KR100440533B1 -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물질 - Google Patents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533B1
KR100440533B1 KR10-2001-0078860A KR20010078860A KR100440533B1 KR 100440533 B1 KR100440533 B1 KR 100440533B1 KR 20010078860 A KR20010078860 A KR 20010078860A KR 100440533 B1 KR100440533 B1 KR 100440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functional
par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821A (ko
Inventor
최상근
김병곤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산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산주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산주택
Priority to KR10-2001-007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53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7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58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or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규석 40∼65중량부, 흑연 20∼70중량부, 견운모 20∼40중량부 및 ABDM 0.01∼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건축용 모르타르 및 인조석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폐, 냄새 제거, 축열 및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난,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모르타르 및 인조석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물질{FUNCTIONAL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MATERIAL AND MATERIALS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규석 40∼65중량부, 흑연 20∼70중량부, 견운모 20∼40중량부 및 ABDM 0.01∼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건축용 모르타르 및 인조석판를 포함한 건축용 물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조석판 제조와 관련되는 자료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특허 등록번호 제10-0225476호에는 금속 광산에서 유기 금속 광물을 회수한 후 폐기된 광물을 수거하여 소석회, 고령토 등을 혼합하여 자동압력장치(autoclave)에 장입하여 판재를 만드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등록번호 제10-0118762호에는 주형 및 성형시 표면이 무광인 필름을 사용하여 무광 표면의 인조대리석 제조에 관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 등록번호 제10-0180646호는 아크릴계 수지에 수산화알미늄, 분산제, 가교제 및 안료 등을 혼합하여 진공 상태에서 탈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연속제조 방법과 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 등록번호 제10-0181833호는 수지에 콤파운드를 혼합하여 인조대리석판을 연속적으로 성형 제조하는 방법을, 공개번호 제94-9100호(출원번호 제92-19373호)에서는 아크릴시럽에 무기 충전물(흑색입자, 백색입자)을 첨가하여 충격저항, 표면경도 및 열저항성이 향상된 인조 대리석판의 제조 방법을, 공개번호 제89-5003호(출원번호 제87-10474호)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경화제, 이형제 및 석분 등을 혼합 한 후 유리섬유, 석면 및 섬유질 등을 혼합하여 고열 금형에서 성형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모르타르에 관련되는 종래의 기술로는, 전기석을 주성분으로 하여 원적외선, 음이온 방사로 전자파 중화, 수맥파를 차단하는 다기능 구상형의 시멘트 모르타르의 혼용제 제품을 만드는 것으로써, 자세하게는 전기석에 옥, 맥반석, 황토, 숯의 미분말과 석영을 혼합하고, 점결제인 시멘트를 혼합하여 물과 교반 하여 0.5cm 내외의 구형형틀에서 압축성형 한 뒤 열풍기로 건조하여 사용(시공)할 때 모래, 시멘트와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각원료의 구성원이 다르며 구상형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번호 제10-2001-0016344호(출원번호 제10-2000-00731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번호 제10-2001-0020064호(출원번호 제10-1999-0036752호)은 폐PCB판과 구리 분말을 혼합하여 항균성과 전자파 차폐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등록번호 제10-0242106호에는 황토광물 또는 암석 분말에 유산 칼슘, 산화마그네슘을 배합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외, 등록번호 제10-0183430호, 공개번호 제10-2001-0044300호(출원번호 제10-2001-0004973호)등의 다수의 문헌에 모르타르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조석판 관련 문헌에는 대부분 미분화, 입도분포, 기능성 부여 및 입자의 표면 처리 기술에 관한 기술들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광물의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도 없이, 막연히 암석 및 광물을 나열하여 광범위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르타르 관련 문헌에는 대부분 원료 광물 및 암석을 단순히 혼합하여 시멘트와 혼합하는 방법이나, 원료 광물 및 암석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만든 후 이를 결합재와 반응시켜 모르타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사용 원료 광물의 특성을 제시하고, 분석하여 각 기능의 효과(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폐, 시멘트 독성의 제거, 수맥파 차단, 축열, 항균 항곰팡이 및 냄새 제거 효과)를 분석한 데이터, 이를 나타내는 도면 및 실험결과 등을 과학적으로 제시한 기술은 없었다. 또한, 원료 광물을 세분화하고, 입도 분포를 조절하여 압축강도를 알맞게 유지하고, 사용되는 원료 입자에 표면처리를 가하는 기술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으면서,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폐, 시멘트 독성의 제거, 축열과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건축용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쇄된 흑연 입자의 입도 분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쇄된 흑연 입자의 층간의 일예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분쇄된 흑연의 입자모양(particle shape)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용 시료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효과의 측정 방법에 사용되는 시편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축열 효과의 측정에 있어서 온도 차이의 측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의 기본 원료로 사용되는 규석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의 기본 원료로 사용되는 규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9는 실시예1의 기능성 인조석판에 사용되는 조성물(표7)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0은 실시예1의 기능성 인조석판에 사용되는 조성물(표7)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1은 실시예1의 기능성 인조석판의 전자파 차폐 효과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2는 일반 단일 광물인 규석(시료 1)의 전자파 차폐효과 측정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3은 실시예1의 기능성 인조석판의 시간 변화에 따른 냄새제거 효과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4는 실시예1의 기능성 인조석판의 축열효과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5는 실시예2의 기능성 모르타르 시편(시편번호 0, 17, 19, 20)과 종래의 모르타르 시편(시편번호 33)의 시간 경과에 따른 항곰팡이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15a, b 및 c는 각각 1일, 2일 및 9일 경과 후의 항곰팡이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6은 실시예3의 기능성 모르타르 및 종래의 모르타르의 환경개선 효과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6a 및 b는 각각 처음 상태 및 2일 경과 후의 결과를 나타내고, 16c는 상기 16b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은 규석 40∼65중량부, 흑연 20∼70중량부, 견운모 20∼40중량부 및 ABDM 0.01∼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규석(silica stone)은 규암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주로 석영으로 된 광석이며, 화학성분은 무수규산(SiO2)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규석은 예를 들면, 단양 규석을 사용할 수 있다. 단양 규암의 성분 분석결과는 다음 표1과 같으며, 알루미나 성분이 있으며, 규조토의 실리카 함량과 비슷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규석은 바람직하기로는, 단양광산에서 생산되는 규석 5, 6 및 7호사이다.
표1. 단양광산 규석의 화학성분 분석결과(%).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 MnO Ig.loss TiO2 P2O5
94.6 3.26 0.71 흔적 0.09 0.72 0.06 - - -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규석, 흑연 및 견운모는 종래의 교반형 밀(attrition mill)을 변형한 "초미립 분말 제조용 고진공 미분쇄 장치"(실용신안 등록 제104956호) 및 "자동급배출식 진공미분쇄 장치"(실용신안 등록 제101885호)를 이용하여, 진공 분위기하에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분쇄 과정은 압축강도 유지를 위한 최적의 입도 분포가 이루어지도록 진공도를 부여한 상태에서, 분쇄가 이루어졌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규석의 일예인 단양 규석은 분쇄가 이루어지면, 작은 구형모양의 입자로 된다. 상기 단양에서 생산되는 단양 규석(단양규사 제품)은 분쇄된 모양이 구형으로 일반 규석의 뾰족한 모양에 비하면, 표면적이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비교적 철분이 적은 특징이 있다.
상기 규석의 함량은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중에 규석 40∼6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석의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떨어지고, 강도가 약하게 되고, 6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함량 증가에 비하여 원적회선 방사 효과나 강도 증가의 효과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흑연(graphite)은 고정탄소 98∼99.5% 이상인 정제된 흑연 분말을 이용하였으며, 그 성분 분석결과는 표2와 같다.
표2. 흑연의 화학성분 분석 결과.
광종 성분 고정탄소 휘발분 수분 재(ash)
인상흑연 함량(%) 99.1 0.34 0.006 0.48 99.98
본 발명에서 사용된 흑연은, 상기한 방법으로 미세하게 분쇄하는 과정에서 10-1∼10-3토르(torr)의 진공도를 부여하고, 분쇄 도중에 흑연 입자와 미디어(ball) 간의 마찰에 의한 열로 인하여 그 층간 간격을 팽창시켜 수십 Å의 길이가 되도록 하였다. 패창이 지나치면 탄소층이 각각 분리되어 압축강도가 떨어지고, 표면처리를 하는 경우 어려움이 있으며, 비중이 가벼워 상층으로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잘 조절하여야 한다. 이렇게 분쇄된 흑연 입자의 입도 분포의 일예는 도1에 나타내었으며, 층간 모양은 도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2는 흑연의 미립자화된 최종 분쇄산물을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한 사진으로서, 빗살 무늬 형태의 흑연 층들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층상구조 및 층간 거리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의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분쇄된 흑연의 입자모양(particle shape)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도3에 나타내었다. 도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거의 모든 개개의 입자들이 1㎛ 이하이며, 부분적으로 응집되어 약간 큰 덩어리를 이루고 있는 부분도 볼 수 있다. 입자 개개의 모양은판상형(flaky type)이었다. 이러한 흑연은 소수성이 강하고 표면화학적 특성이 거의 없어 반응성이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ABDM을 처리하여 그 반응성을 개선하였다.
상기 흑연의 함량은 흑연 20∼7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흑연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민인 경우에는, 전자파 차폐, 냄새 제거, 축열,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 및 시멘트의 독성 제거 효과가 떨어지고, 7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함량의 증가에 비하여 상기의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견운모(sericite)는 질이 치밀하거나 미세한 비늘 모양 백운모의 총칭을 말하는 것으로, 세리사이트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견운모는 예를 들면, 표3과 같은 정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운모도 상기 흑연 및 견운모의 분쇄 방법과 동일하게, 종래의 교반형 밀(attrition mill)을 변형한 "초미립 분말 제조용 고진공 미분쇄 장치"(실용신안 등록 제104956호) 및 "자동급배출식 진공미분쇄 장치"(실용신안 등록 제101885호)를 이용하여, 진공 분위기하에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분쇄된 입자의 평균 입도는 약 10㎛의 분말이 바람직하다.
표3. 견운모의 화학성분 분석결과(%).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 MnO Ig.loss TiO2 P2O5
48.5 32.2 1.28 0.85 1.48 9.48 0.36 0.05 5.25 0.34 0.04
상기의 견운모의 함량은 견운모 20∼4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운모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원적외선, 전자파 차폐, 공기 정화 및 음이온 발생효과가 미미하고, 4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효과가 그 함량의 증가에 비하여 크지 않거나 너무 지나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ABDM은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alkyl benzyl dimethyl ammonium chloride)로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친수성이 매우 강한 원자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ABDM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흑연의 표면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즉, 흑연은 단위 구조가 탄소 육각망 평면이 평행하게 배열된 층상 구조로, 전기전도도 및 윤활성은 우수하나, 소수성이 매우 강하고 표면화학적 특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 표면 흡착이 매우 어려운 물질이다. 이러한, 흑연의 반응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BDM을 사용하여 그 표면화학적 특성을 개선하였다.
상기 ABDM의 함량은 ABDM 0.01∼3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BDM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적고 흑연에 표면 반응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미미하며, 3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흑연의 표면 반응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그 함량의 증가에 비하여 그 효과가 크지 않다.
본 발명은 또한, 규석 40∼65중량부, 흑연 20∼70중량부, 견운모 20∼40중량부 및 ABDM 0.01∼3중량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에 시멘트 16.7∼27.1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멘트는 토목 및 건축용의 무기질의 결합경화제로서, 주성분으로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및 산화철을 함유하는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 충분히 혼합하여 그 일부가 용융하여, 소성(燒成)된 클링커(clinker)에 적당량의 석고를 가하여 분말로 한 것으로서, 포틀랜드 시멘트라고도 한다. 이러한 시멘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더 첨가하고, 혼합하여 모르타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시멘트의 함량은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중에 16.7∼27.1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재 현장에서 사용되는 모르타르의 시멘트와 규석(모래)의 비율에 해당하는 함량의 범위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규석 40∼65중량부, 흑연 20∼70중량부, 견운모 20∼40중량부 및 ABDM 0.01∼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조석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인조석판은 상기 조성물에 수지, 예를 들면 난연성 폴리코트 NA-104(애경화학주식회사 제품)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조석판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난연성 수지 및 그 특성은 예를 들면, 다음 표5와 같은 난연성 폴리코트 타입(애경화학주식회사 제품)이 될 수 있다.
표5. 난연성 폴리코트의 타입의 일예.
분류형 품번 액형 점도 겔화시간(분) 용도 특징
첨가형(addition type) NA-105 2Y 2∼5 5∼12 건재, 차량내장판 침강성개량
NA-106 2Y 10∼15 10∼25 고난연 건재 저발연성
NA-107 2Y 4∼7 10∼25 건축부품 비할로겐
NA-108 2Y 3∼5 10∼14 건기부품 굴곡탄성율
NA-109 2Y 0.8∼1.2 10∼25 선박, 차량 Al(OH)3를 포함하는 ATH 혼합형
반응형(reaction type) NA-105 3Y 2∼3 10∼15 기계적 강도 Br계
NA-281 3N 3∼5 10∼18 건재, 차량내장판 Cl계
NA-930 3N 2∼3 10∼13 후드, 덕트, 스크러버 비닐에스테르계
상기 난연성 수지의 함량은 상기 규석 40∼65중량부, 흑연 20∼70중량부, 견운모 20∼40중량부 및 ABDM 0.01∼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 난연성 수지의 비를 5: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모르타르 및 인조석판 뿐만 아니라, 상기한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타의 기능성 건축용 재료를 만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원적외선 방사 효과의 확인 실험.
원적외선 방출 효과 측정은, 도4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용 시료판을 먼저 만든 다음, 다시 가로 세로 4cm, 두께 3mm 이하로 만들어 한국건자재시험 연구원에 의뢰하여 결과를 얻었다.
(2) 전자파 차폐 효과의 확인 실험.
전자파 차폐효과의 측정 방법은 도5과 같은 모양으로 시편을 만들어서 한국표준연구원에 의뢰하여 각각의 결과를 얻었다.
(3) 냄새 제거 효과의 확인 실험.
악취를 제거시키는 것은 다른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 보다 용이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어느 정도로 제거시켜야 하는지가 분명치 않기 때문이다.
Mill 등은 냄새의 정도를 사람의 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8명을 대상으로 하여 어떠한 냄새를 유발하는 가스를 희석시켰을 때 냄새가 없다고 과반수인 3∼4명이 판정할 때의 냄새의 농도를 최저감도치(最低感度臭)(MTO, minimum identifiable odor)라고 하고, MTO가 될 때까지 사용한 희석배수를 냄새의 단위(odor unit)로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직접관능법, 공기희석관능법 및 기기 분석법을 사용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험실에서 직접관능법에 의한 분석을 하였으며 악취 판정은 표6과 같다.
표 6. 우리나라의 악취 판정표.
악취도 악취감지 구분
0 무취(無臭)(취기(臭氣)를 감지 못함)
1/2 감지취(感知臭)(약간 취기를 감지)
1 확실한 취(확실한 취기를 감지)
2 보통취(普通臭)(보통 정도의 취기를 감지)
3 강취(强臭)(강한 취기를 감지)
4 극심한 취(아주 강한 취기)
5 참기 어려운 취(견딜 수 없는 취기)
(4) 축열 효과의 측정 방법.
기능성 인조석판과 모르타르를 기능성을 부여하지 않은 동일한 부피(8×10×8cm)와 무게로 제조된 종래의 석판 및 모르타르를 만든 다음, 일정한 온도(250℃)에서 약 30분간 넣어 축열시킨 후 꺼내어 400ml의 물이 담긴 600ml 비이커에 신속하게 넣어 온도 센서로 물의 온도 변화 및 차이를 도6과 같이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1 :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인조석판의 기능성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 표7과 같은 조성을 가진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인조석판을 제조하여 그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인조석판은 상기 조성물과 수지(난연성 폴리코트 NA-104(애경화학주식회사))를 혼합한 다음, 성형, 압축, 열처리, 연마 및 절단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상기 난연성 폴리코트(열경화성 수지)의 함량은, 무게 비율로 난연성 폴리코트:상기 조성물이 1:5가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각 원료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표7.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의 성분 비율.
원료 규석(규암) 흑연 견운모 ABDM
무게(g) 1,000 410 400 9
중량부 55 22.5 22 0.5
1. 적외선 방사율의 측정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의 기본 원료로 사용되는규석의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조사하였다. 규석으로서는 단양 규암을 사용하여 상기한 방법과 같이 시편을 준비하여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에 사용된 장비는 FT-IR(MIDAC, model M2410-C)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의 기본 원료로 사용되는 규석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0.913으로 높았으며(도7)에, 방사에너지는 3.68×102(W/m2)이었다(도8).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표7)에 대하여도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석 분말 보다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 0.93(5∼20㎛)을 나타내었으며,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는 3.76×102(W/m2)로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40℃에서 FT-IR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율은 0.60∼0.95범위이다. 원적외선을 많이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옥(玉)과 같이,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2. 전자파 차폐 효과 실험
전자파 차폐 효과의 측정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하였으며, 전자파 측정 관련 ASTM D 4935-89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of Planar Materials)에 의거 시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전자파 차폐 효과의 측정결과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11에서, 시료2 및 시료3은 상기 조성물(표7)을 본 발명에서 사용한 "초미립 분말 제조용 고진공 미분쇄 장치"(실용신안 등록 제104956호) 및 "자동급배출식 진공미분쇄 장치"(실용신안 등록 제101885호)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운전방법으로 진공 분위기하에서 분쇄하여 제조된 시료이다.
전자파의 % 차폐효과는 % 차폐 효과=(1-10-dB/10)×100의 공식에 의거하여 표시하였다.
시료2는 전자파 차폐효과가 10dB로 90%이상의 전자파 차폐효과가 있었으며,시료3은 전자파 차폐효과가 15dB로 95%이상의 전자파 차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11 참조). 이러한 결과로부터, 규석, 흑연 및 견운모와 같은 비금속 광물을 이용하여 90%이상의 전자파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 단일 광물인 규석(시료 1)에 대하여 전자파 차폐효과를 측정하여 본 결과, 도12와 같이 전자파 차폐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냄새 제거 효과의 확인
냄새(악취) 제거 효과의 확인 실험은 사람의 코에 의한 직접 관능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하나의 250ml의 분액 깔때기에 상기 조성물(표7) 1g을 넣고(No. A-1), 다른 하나의 분액 깔때기에는 혼합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No. X)(공백)로 하여 일정량의 담배 연기를 직경 3mm의 플라스틱 관으로 분액 깔때기의 안에 넣은 다음, 시간 변화에 따른 냄새 변화 조사하였다.
시간이 30분, 1시간, 2시간, 1일 및 5일 경과한 다음, MILL이 제창한 방법에 따라 6인 이상이 판정한 냄새의 단위를 표11, 12, 13, 14 및 1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별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악취가 없어짐을 알 수가 있었으며, 시간에 따라 상기 조성물을 첨가 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과의 악취의 차이가 분명하게 확인할 수가 있었다.
표8. 30분 경과 후의 냄새 제거 효과.
시료 최-- 김-- 한-- -수- -상- --현 평균
종래의 조성물(x) 5 5 5 4 5 5 4.83
기능성 조성물(A-1) 3 2 3 3 3 3 2.83
표9. 1시간 경과 후의 냄새 제거 효과.
시료 최-- 김-- 한-- -수- -상- --현 평균
종래의 조성물(x) 5 5 5 4 5 5 4.83
기능성 조성물(A-1) 3 2 3 3 3 2 2.67
표10. 2시간 경과 후의 냄새 제거 효과.
시료 최-- 김-- 한-- -수- -상- --현 평균
종래의 조성물(x) 5 4 5 4 5 5 4.67
기능성 조성물(A-1) 2 2 2 2 2 2 2
표11. 24시간 경과 후 냄새 제거 효과.
시료 최-- 김-- 한-- -수- -상- --현 평균
종래의 조성물(x) 5 4 5 4 5 5 4.67
기능성 조성물(A-1) 1 0.5 1 1 1 1 0.91
표12. 5일 경과 후 냄새 제거 효과.
시료 최-- 김-- 한-- -수- -상- --현 평균
종래의 조성물(x) 4 4 4 3 4 4 3.83
기능성 조성물(A-1) 0.5 0.5 0 0.5 0 1 0.42
또한, 깔때기에 상기 조성물(표7) 2.0g을 넣고(A-2), 시간 변화에 따른 냄새제거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13와 같이, 냄새 제거 효과가 더욱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축열 효과의 확인
상기 (4) 축열 효과의 측정 방법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일정한 시간 동안 축열된 시편을 물속에 침적시켰을 때, 물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기 시작하였다. 상기 조성물(표7)로 이루어진 인조석판과 종래의 인조석판의 온도는, 약 20분 후에 최고 온도에 각각 도달하였다. 이때 기능성 인조석판 시편과 종래의 인조석판 시편(도7 참조) 사이의 온도 차이는 약 2.3℃로, 기능성 인조석판이 들어 있는 물의 온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능성 인조석판 시편이 종래의 인조석판 시편 보다 더 많은 열을 흡수하여 저장하고 있던 도중, 이를 방출했기 때문이다. 즉, 기능성 인조석판 시편이 종래의 인조석판 시편 보다 약 5% 정도 우수한 축열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14).
실시예2 :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모르타르의 기능성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표13과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되는 모르타르의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와 시멘트 중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시편은 상기 표13의 시멘트(아세아시멘트 공업주식회사 제품), 모래, 흑연, 견운모 및 ABDM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혼합하고, 이로부터 기능성 건축용 모르타르를 제조한 다음, 7일 동안 수화 반응을 시킨 것이다. 이렇게 수화된 모르타르를 본 발명의 기능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표13.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용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g).
실험번호 시멘트 모래(규석) 흑연 견운모 ABDM 비고
33 29 71 - - -
17 29.4 70.58 - - 0.02
20 26.5 63.5 5.4 4.58 0.02
19 26.5 63.5 9.0 - 1.0
0 26.5 63.5 6.4 3.58 0.02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항곰팡이 및 항균 실험
항곰팡이 및 항균 실험은 기능성 원료의 성분비를 변화 시켜, 기능성 모르타르를 6×5×2cm 정도 크기의 판으로 각각 만든 다음, 판 위에 파쇄된 김치 0.5g과 밥(밥알) 0.8g를 올려놓고 각각의 판재에 곰팡이가 생성 및 번식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곰팡이가 초기에 생성되지 않는 경우, 항곰팡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항곰팡이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2) 시멘트 독성의 제거 효과의 확인 방법
시멘트의 냄새(독성)는 인체에 해로운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어서, 이에 대한 제거 방법도 있지만,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6×5×2cm 정도 크기의 판으로 만든 다음, 각각의 판 위에 파쇄된 김치 0.5g과 밥(밥알)을 0.8g을 올려놓고 실험을 하였다. 곰팡이가 서식할 수 있도록 밥알이 놓여진 판재를, 지하수를 밑면에 넣고 그 위에 탈지면이 깔린 아크릴 상자(box)에 넣었다. 즉, 탈지면에 지하수가 축축하게 펴져서 항상 상자 내에 습기가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서 곰팡이가 서식하기 좋은 분위기를 부여하여 실험하였다. 곰팡이가 생성 후 및 계속적으로 서식하는 경우에는 독성 제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독성 제거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1.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의 확인
상기 (1) 항곰팡이 및 항균 실험에 설명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15(도15a, b, c)과 같이, 기능성 모르타르 시편(시편번호 0, 17, 19, 20)과 종래의 모르타르 시편(시편번호 33)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곰팡이의 생성 및 서식 정도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도15에서 볼 수있는 바와 같이, 기능성 모르타르 시편의 경우 1∼2일 동안 곰팡이가 전혀 생성하지 못하였고, 신선도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부터 항균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종래의 모르타르 시편은 1일 경과 후에 바로 곰팡이가 생성되어, 항균능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서 기능성 모르타르 시편 표면이 아닌 밥알들 사이에서만 곰팡이 균이 번식하였지만, 기능성 모르타르 시편 자체의 표면 위에는, 곰팡이 균을 함유한 용액이 흘러내려도 전혀 곰팡이 균이 서식하거나 번식하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완벽한 항균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종래의 모르타르 위에서는 항균능력이 없이 초기에 바로 곰팡이 균이 생성되었으나, 시간이 지나 갈수록 시편 표면뿐만 아니라 밥알들 사이에서도 곰팡이 균이 거의 서식하지 못함을 도15에서 알 수 있었다. 이는 기능성을 부여하지 않은 종래의 모르타르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습기와 반응하면서 수화반응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시멘트로부터 방출되는 심한 냄새의 원인인 일명 시멘트 독이 시편 표면뿐만 아니라 밥알들 사이까지 영향을 미쳐 곰팡이 균이거의 서식하지 못하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다시 말하면, 기능성 모르타르 시편의 경우 시편 표면 위에서는 항균능력 때문에 곰팡이 균이 생성하지 못하지만 밥알들 사이에서만은 계속 생존하는 것으로 보아, 본 실험에서 사용한 각종 기능성 물질들이 시멘트로부터 방출되는 일명 시멘트 독을 흡착제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3 : 본 발명의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기능성의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2에서 제조된 모르타르를 실험번호 0 및 33번의 압축 강도 및 이를 이용한 환경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번호 0 및 33번의 기능성 모르타르를 7일 압축강도를 실험한 결과 160kg/cm 전후였으며, 기존 압축강도 140kg/cm 이상의 강도를 나타내어 안정된 모르타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기능성 모르타르의 항곰팡이 효과를 대기중에서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0 또는 33번의 기능성 모르타르로 1cm 두께로 8×8cm로 잘라서 상자를 만든 다음, 그 안에 얘기 사과를 반으로 잘라 넣었다(도16a, b, c). 또한, 단순히 모래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모르타르(종래의 모르타르)를 만든 다음, 상기 기능성 모르타르로 만든 상자와 동일한 크기로 상자를 조립하여 얘기사과 반을 넣어 시간 변화에 따른 상태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2일 후, 종래의 모르타르 상자에서는 회고 검은색의 곰팡이가 생겼고, 본 발명의 기능성 모르타르 상자에서는 곰팡이가 생기지 않았다 (도16b, c).
본 발명에 의하면, 원적외선 방사, 전자파 차폐, 냄새 제거, 축열 및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난,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모르타르 및 인조석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음이온 방출, 수맥파 차단, 공기 정화, 곤충류 서식 곤란, 다색화 및 란이외의 식물의 성장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규석 40∼65중량부, 흑연 20∼70중량부, 견운모 20∼40중량부 및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01∼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석, 흑연 및 견운모는 진공 분위기를 부여한 다음, 미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미세분말화되고, 차폐 및 은폐 면적이 큰 판상으로 가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시멘트 16.7∼27.1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4. 제3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모르타르.
  5. 제1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인조석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판은 제1항에 따른 조성물에 폴리코트 타입의 난연성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판.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건축용 물질.
  8. 제7항에 있어서, 고무, 플라스틱, 제지 및 도료분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축용 물질.
KR10-2001-0078860A 2001-12-13 2001-12-13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물질 KR100440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860A KR100440533B1 (ko) 2001-12-13 2001-12-13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860A KR100440533B1 (ko) 2001-12-13 2001-12-13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821A KR20030048821A (ko) 2003-06-25
KR100440533B1 true KR100440533B1 (ko) 2004-07-21

Family

ID=2957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860A KR100440533B1 (ko) 2001-12-13 2001-12-13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05B1 (ko) * 2007-06-25 2008-01-28 세창화학 주식회사 수용성 항균잉크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위생용품 재료의 제조 방법
KR100798404B1 (ko) * 2007-06-25 2008-01-28 세창화학 주식회사 수용성 항균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위생용품 재료
KR100837307B1 (ko) * 2007-11-30 2008-06-12 이춘구 유해파 차단기능을 갖는 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80089B1 (ko) * 2021-10-26 2022-03-29 주식회사 정연산업 기능성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7973A (ko) * 1984-05-14 1985-12-11 나점순 레들용 내화벽돌의 제조방법
JPH0269375A (ja) * 1988-09-05 1990-03-08 Aoki Corp コンクリート被覆材と被覆方法
KR970000479U (ko) * 1995-06-12 1997-01-21 주물의 거시조직을 무늬로 한 동합금 골프채 해드
KR970060847U (ko) * 1996-05-17 1997-12-10 진수곤 진공/진동방식의 원료 분쇄 장치
KR19990047224A (ko) * 1997-12-03 1999-07-05 김희근 도전성 흑연 시멘트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06662A (ko) * 1999-09-28 2000-02-07 윤활 원적외선방사 미장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25663A (ko) * 2001-01-15 2001-04-06 정효연 칼륨장석분말을 주재로 한 도자기 원료 조성물
KR20030025980A (ko) * 2001-09-24 2003-03-31 주식회사 바우테크놀로지 활성화 기능이 우수한 생체 세라믹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7973A (ko) * 1984-05-14 1985-12-11 나점순 레들용 내화벽돌의 제조방법
JPH0269375A (ja) * 1988-09-05 1990-03-08 Aoki Corp コンクリート被覆材と被覆方法
KR970000479U (ko) * 1995-06-12 1997-01-21 주물의 거시조직을 무늬로 한 동합금 골프채 해드
KR970060847U (ko) * 1996-05-17 1997-12-10 진수곤 진공/진동방식의 원료 분쇄 장치
KR19990047224A (ko) * 1997-12-03 1999-07-05 김희근 도전성 흑연 시멘트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06662A (ko) * 1999-09-28 2000-02-07 윤활 원적외선방사 미장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25663A (ko) * 2001-01-15 2001-04-06 정효연 칼륨장석분말을 주재로 한 도자기 원료 조성물
KR20030025980A (ko) * 2001-09-24 2003-03-31 주식회사 바우테크놀로지 활성화 기능이 우수한 생체 세라믹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821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ze et al. Effect of silicate modulus on the setting, mechanical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iron-rich aluminosilicate (laterite) based-geopolymer cured at room temperature
Ruan et al. The use of microbial induced carbonate precipitation in healing cracks within reactive magnesia cement-based blends
Fırat et al. Utilization of marble dust, fly ash and waste sand (Silt-Quartz) in road subbase filling materials
Manikandan et al. Effect of curing method on characteristics of cold bonded fly ash aggregates
Fitos et al. Pozzolanic activity of thermally and mechanically treated kaolins of hydrothermal origin
Guo et al. Development of magnesium oxychloride cement with enhanced water resistance by adding silica fume and hybrid fly ash-silica fume
Bamogo et al. Improvement of water resistance and thermal comfort of earth renders by cow dung: an ancestral practice of Burkina Faso
Mohsen et al. Correlation between porous structure analysis, mechanical efficiency and gamma-ray attenuation power for hydrothermally treated slag-glass waste-based geopolymer
Mucsi et al. Development of geopolymer using industrial waste materials
Wetwet et al. Multifunctional cementitious blends containing zirconia nanoparticles: Mechanical characteristics, gamma attenuation behavior, and self-cleaning performance
Park et al. Effect of healing products on the self-healing performance of cementitious materials with crystalline admixtures
CA2585348A1 (en)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as constituent material silica obtained by decomposing chrysotile and cured object
Huang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pozzolanic properties of calcined waste kaolin
Rêgo et al. Effect of partial substitution of highly reactive mineral additions by nanosilica in cement pastes
Mghaiouini et al. Elaboration and physico-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a new eco-mortar composite based on magnetized water and fly ash
KR100440533B1 (ko)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물질
KR101611413B1 (ko) 건축물의 친환경 마감재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조성물 및 건축물의 친환경 마감재
Yusuf et al. Strength and microstructural performance of nano-SiO2 gel (NSG) infused alkaline activated ground blast furnace slag-ultrafine palm oil fuel ash (AAGU) based mortar
Borsoi et al. Studies of the performance of nanostructured and other compatible consolidation products for historical renders
Mohamed Sutan et al. Sustainable nanopozzolan modified cement: Characterizations and morphology of calcium silicate hydrate during hydration
EP3663268A1 (en) Expanded and expandable granular materials
KR101611426B1 (ko) 건축물의 친환경 마감재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조성물 및 건축물의 친환경 마감재
Riza et al. Influence of unground palm oil fuel ash (UPOFA) in compressed earth brick (CEB) properties
Danchenko et al. Investigation of the surface properties of quartz-based dispersed materials
Kadhim et al. Using geopolymers materials for remediation of lead-contaminated s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