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428B1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428B1
KR102219428B1 KR1020140100618A KR20140100618A KR102219428B1 KR 102219428 B1 KR102219428 B1 KR 102219428B1 KR 1020140100618 A KR1020140100618 A KR 1020140100618A KR 20140100618 A KR20140100618 A KR 20140100618A KR 102219428 B1 KR102219428 B1 KR 10221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iring
auxiliary
display device
pixel electrode
organic e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588A (ko
Inventor
미츠히로 카시와바라
토시유키 마츠우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423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033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417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03337A/ja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5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 보조 배선부, 절연층, 유기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은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배선부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1 단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상기 절연층에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정의되어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보조 배선부 위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와 중첩한다.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보조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품질이 향상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같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중에 상부 발광형(top emission type)에 있어서, 발광 소자의 발광 방향이 박막 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or)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의 발광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된 전극(이하, 상부 전극으로 정의)은 광투과성을 갖는 금속 박막이거나, 투명 도전성 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구조를 갖는 상기 상부 전극의 저항을 낮추기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전극의 저항에 따른 전압 강하에 의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불균일해져 발생되는 휘도 분포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휘도 분포는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가 고전류가 필요한 고휘도 및 대화면을 가질수록,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선행기술문헌들에서 보조 배선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 전극과 접속시킴으로서 상기 전압 강하를 감소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95008 A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2001-230086 A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011810 A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093398 A
유기 발광층을 성막하는 경우에는, 공통으로 성막할 수 있는 층이 많을수록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그 경우에는, 특허문헌 3, 4에 개시된 방법과 같이, 보조 배선 상에 성막된 유기 막을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하거나, 유기 막을 성막할 때에 유기막이 보조 배선과 부착되지 않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조 배선의 공정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양산 시, 수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는,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필요한 부분에만 레이저 조사를 하기 위한 차폐 마스크를 얼라인먼트하여 배치하거나, 진공 중에서 마스크를 얼라인먼트 함과 동시에 레이저를 다수 회 조사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보조 배선과 상부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공정을 간략화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 보조 배선부, 절연층, 유기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은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배선부는 제1 단부를 갖는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1 단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상기 절연층에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정의되어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보조 배선부 위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와 중첩한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화소 전극과 접촉된다.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보조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판 위에 화소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위에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1 보조 배선과 이격된 제2 보조 배선을 형성한다. 상기 화소 전극, 상기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2 보조 배선 위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방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유기 발광층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상기 유기 발광층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과 접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배선과 상부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갖는 보조 배선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개구부의 주변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도 6, 도 7, 도 8a 및 도 8b들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선들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선들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형을 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 또는 유사한 부호(숫자 뒤에 A, B 등을 붙인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의 크기 비율은 설명의 편의상 실제의 비율과는 다르거나, 구성의 일부가 도면으로부터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기판 상에 형성되는 이라 함은 기판에 접촉하여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기판과의 사이에 다른 구성을 삽입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상부 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이다. 표시 장치(1)는 스마트폰,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기기에 사용된다. 기판(10) 위에는 표시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배치된다. 기판(10)에 표시 영역(100)이 정의되고, 표시 영역(100)의 주변에 표시 영역(100)에 배치된 화소들(도 8b의 pix)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71, 72, 73, 74) 및 상기 화소들 측으로 제공되는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 인가부(70)가 배치된다. 표시 영역(100)에는 상기 화소들 및 상기 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들(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신호 라인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회로(71, 72, 73, 74)는 상기 복수의 신호 라인들을 통해 표시 영역(100)의 각 화소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100)의 외측에는 전원 접속 전극(도 4의 250)이 배치되고, 상기 전원 접속 전극을 통해 유기 발광층(도 4의 300)을 발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이 상부 전극(도 4의 500)측으로 인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갖는 보조 배선부(200)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표시 영역(100)에 있어서 보조 배선부(200)의 일부가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 전극들(110B, 110G, 110R)은 청색 화소, 녹색 화소 또는 적색 화소에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된다. 화소 전극들(110B, 110G, 110R) 각각은 TFT를 통해 화소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소 피치(PP)가 636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화소 피치(PP)의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 배선부(200)는 제1 보조 배선(210) 및 제2 보조 배선(220)을 포함하고, 제1 보조 배선(210)은 제2 보조 배선(220)과 이격된다. 보조 배선부(200)는 화소 전극들(110B, 110G, 110R)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화소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 배선부(200)의 제1 선폭(L1)은 66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보조 배선부(200)의 제2 선폭(L2)은 22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보조 배선부(200)는 도전막일 수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전막은 은 합금층 및 상기 은 합금층 위에 적층된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은 합금층은 AgPdCu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배선부(200)와 같이, 화소 전극(110B, 110G, 110R)은 상기 은 합금층 및 상기 은 합금층 위에 적층된 상기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300)은 화소 전극들(110B, 110G, 110R) 및 보조 배선부(200) 위에 배치된다. 절연층(300)은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300)에는 제1 개구부(310) 및 제2 개구부(320)가 정의된다. 상기 제1 개구부(310)는 화소 전극들(110B, 110G, 110R) 각각과 중첩되고, 그 결과 제 1 개구부(310)를 통해 화소 전극들(110B, 110G, 110R) 각각은 유기 발광층(400)과 접속된다. 제2 개구부(320)는 보조 배선부(200)의 일부와 중첩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개구부(320)의 주변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배선부(200)는 제1 보조 배선(210) 및 제2 보조 배선(220)을 포함하고, 제1 보조 배선(210)은 제1 단부(210T)를 포함하고, 제2 보조 배선(220)은 제1 단부(210T)와 이격되는 제2 단부(220T)를 포함한다. 제1 단부(210T)는 제2 단부(220T)와 마주하고, 제2 개구부(320)는 제1 및 제2 단부들(210T, 220T)과 중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개구부(320)의 폭(A1)은 10마이크로미터 내지 20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제2 개구부(320)의 길이(A2)는 30마이크로미터 내지 40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개구부(320)의 폭(A1)은 15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제2 개구부(320)의 길이(A2)는 35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제1 단부(210T)와 제2 단부(220T) 간의 사이를 단부 사이(BW)로 정의하면, 단부 사이(BW)의 제1 이격거리(Wa)는 5마이크로미터 내지 20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이격거리(Wa)는 화소 전극들(110B, 110G, 110R) 각각과 보조 배선부(200) 간의 제2 이격거리 (도 2의 Wp) 보다 짧을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표시 영역(100)의 외측에 전원 접속 전극(250)이 배치된다. 전원 접속 전극(250)에 유기 발광층(도 4의 400)을 발광시키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전원 접속 전극(250)의 일부는 절연층(300)에 정의된 제3 개구부(3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000)은 글래스 기판일 수 있고, 기판(1000) 위에 구동 회로(도 1의 71, 72, 73 및 74) 및 전압 인가부(도 1의 7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0)의 표면에는 평탄화를 위해 폴리이미드와 같은 절연막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110B), 제1 보조 배선(210), 제2 보조 배선(220), 및 전원 접속 전극(250)은 동일 층 상에 배치되어 서로 동일한 도전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300)에는 제1 개구부(310), 제2 개구부(320) 및 제3 개구부(350)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310)에 의해 화소 전극(110B)의 일부가 노출되고, 제2 개구부(320)에 의해 보조 배선(200)의 일부가 노출되고, 제3 개구부(350)에 의해 전원 접속 전극(250)의 일부가 노출된다.
유기 발광층(400)은 절연층(300) 위에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400)은 단부 사이(BW)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제거된 형상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사이(BW)에는 유기 발광층(400)의 잔사물(450)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부 전극(500)은 유기 발광층(400)상에 배치된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 사이(BW)의 주변에 유기 발광층(400)이 제거되므로 상부 전극(500)은 제1 보조 배선(210)의 제1 단부(210T)와 제2 보조 배선(220)의 제2 단부(220T)에 접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전극(500)은 보조 배선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전원 접속 전극(250)상에도 상부 전극(5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원 접속 전극(250)을 통해 상부 전극(500) 측으로 유기 발광층(400)을 발광시키는데 사용되는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110B)은 애노드로 작용할 수 있고, 보조 배선부(200)는 상부 전극(500)을 통하여 전원 접속 전극(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부 전극(500)의 전기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접속 전극(250) 및 전압 인가부(70)는 상부 전극(500)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도 5, 도 6, 도 7, 도 8a 및 도 8b들은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1000)상에 도전막이 성막되고, 상기 도전막이 패터닝되어 화소 전극(110B), 제1 보조 배선(210), 제2 보조 배선(220) 및 전원 접속 전극(250)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전막은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000) 위에 제 1 개구부(310), 제 2 개구부(320) 및 제 3 개구부(350)가 정의된 절연막(300)이 형성된다.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소오스막이 기판(1000) 위에 형성된 이후에, 상기 소오스막에 대해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패터닝 공정을 수행하여 제1 내지 제3 개구부들(310, 320, 330)이 정의된 절연막(3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판(1000) 위에 유기 발광층(400)을 형성한다. 유기 발광층(400)을 형성하기 이전에 기판(1000)에 대해 산소 플라즈마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층(400)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층(400)은 영역에 따라 상이한 두께 또는 상이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보조 배선(210) 및 제2 보조 배선(220)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210, 220) 사이에 방전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은 100kHz 정도의 주파수 및 100Vrms 내지 300 Vrms 정도의 실효치(root-mean-square)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에,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210, 220) 사이에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보조 배선 단자(BL1)을 통해 제1 보조 배선(210) 측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제2 보조 배선 단자(BL2)을 통해 제2 보조 배선(220) 측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보조 배선 단자(BL1)는 복수의 화소들(pix)로 이루어진 표시 영역(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보조 배선(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보조 배선 단자(BL2)는 표시 영역(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2 보조 배선(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화소들(pix)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변들에 대응하여 복 수의 단부 사이(BW)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210, 220)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는 경우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전에 따른 에너지에 의해 유기 발광층(400)이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보조 배선(210)의 제1 단부(210T) 및 제2 보조 배선(220)의 제2 단부(220T) 각각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210, 220) 사이에 유기 발광층(400)의 잔사물(450)이 남을 수도 있다.
하나의 제1 보조 배선(210) 및 하나의 제1 보조 배선(220)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210, 220) 각각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보조 배선부(200)의 전체에 걸쳐 전압이 인가되어 복수의 제1 보조 배선들(210) 및 복수의 제2 보조 배선들(220) 사이들에 방전이 복수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로 발생되는 방전의 위치들 각각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층(400)이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부 사이(BW)의 거리는 5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방전에 의해 유기 발광층(400)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제1 및 제2 단부들(210T, 220T)이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다. 단부 사이(BW)의 거리가 5마이크로미터 미만인 경우에, 제1 및 제2 단부들(210T, 220T) 간에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단부 사이(BW)의 거리가 100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 유기 발광층(400)을 제거하기 위한 방전을 일으키는 조건이 엄격해지고, 제1 및 제2 단부들(210T, 220T)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증가되어 이 전압에 의해 기판(1000) 위에 배치된 TFT와 같은 다른 소자에 데미지가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보조 배선부(200)와 상부 전극(500)간에 접속된 부분의 전기 저항이 작을수록, 보조 배선부(200)에 의해 상부 전극(500)의 전기 저항이 감소되는 효과가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휘도가 균일해지고, 표시장치의 소비 전력의 저감에 유리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 배선부(200) 및 상부 전극(500)이 접속되는 부분의 전기 저항이 200 kΩ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보조 배선부(200) 및 상부 전극(500)이 접속되는 부분에서 전압 강하는 2V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 배선부(200) 및 상부 전극(500)이 접속되는 부분의 전기 저항이 50kΩ일수 있고, 이 경우에, 보조 배선부(200) 및 상부 전극(500)이 접속되는 부분에서 전압 강하는 0.5V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소에 대응하여 보조 배선부(200) 및 상부 전극(500)이 접속되는 부분이 하나씩 형성될 수 있고,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화소들에 보조 배선부(200) 및 상부 전극(500)이 접속되는 부분이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방전에 의해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보조 전극들(210, 220) 사이에 위치한 유기 발광층(40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층(400)을 레이저와 같은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동안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를 정의하는 마스크의 얼라인먼트가 필요 없으므로, 유기 발광층(400)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의 간략화가 구현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400)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이후에, 유기 발광층(400) 위에 상부 전극(500)을 성막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210, 220)이 상부 전극(500)과 접촉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 전극(500)은 캐소드로 작용할 수 있다.
상부 전극(500)을 형성한 이후에, 투명한 봉지 글래스와 같은 봉지 부재를 사용하여 유기 발광층(400), 상부 전극(500) 및 화소 전극(110B)이 형성된 기판(1000)에 대해 봉지 공정을 수행한다.
[제 2 실시예]
앞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조 배선부(200)의 전체에 전압이 동시에 인가되어, 도 4에 도시된 제1 단부(ST1) 및 제2 단부(ST2)간의 단부 사이(BW) 외에, 표시 영역(도 2의 100) 전체에 정의된 보조 배선부(200)의 제1 보조 배선(210) 및 제2 보조 배선(220) 간의 단부 사이들에 동시에 방전이 발생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조 배선부(200)가 영역별로 구분되고, 상기 구분된 보조 배선부(200)에 순차적으로 방전이 발생된다. 이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A)의 표시 영역은 제1 표시 영역(100A1) 및 제2 표시 영역(100A2)으로 분할된다. 표시 장치(1A)는 제1 전압 인가부(70A1) 및 제2 전압 인가부(70A2)를 포함하고, 보조 배선부(200) 중 제1 표시 영역(100A1)에 위치한 보조 배선부의 일부는 제1 전압 인가부(70A1)을 통해 전압을 인가받고, 보조 배선부(200) 중 제2 표시 영역(100A2)에 위치한 보조 배선부의 다른 일부는 제2 전압 인가부(70A2)을 통해 전압을 인가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표시 영역들(100A1, 100A2)에 걸쳐 배치된 보조 배선부(200)의 전체에 전압을 일괄적으로 인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류의 증가에 따라 표시장치(1A)에 배치된 TFT와 같은 소자에 데미지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보조 배선(210)의 제1 단부(210T) 및 제2 보조 배선(220)의 제2 단부(220T) 각각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 4 실시예에서는 제1 보조 배선(210) 및 제2 보조 배선(220) 각각의 단부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선들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 배선부(220A)는 제1 보조 배선(210A) 및 제2 보조 배선(210B)을 포함하고, 제1 보조 배선(210A)은 제1 단부(210TB)을 포함하고, 제2 보조 배선(210B)은 제2 단부(220TB)를 포함한다. 제1 단부(210TB)는 제2 단부(220TB)와 마주하고, 제1 및 제2 단부들(210TB, 220TB)은 서로 이격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단부들(210TB, 220TB) 각각은 평면상에서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제1 및 제2 단부들(210TB, 220TB) 간의 최단 거리는 제1 단부(210TB)에서 정의되는 삼각형의 꼭지점과 제2 단부(220TB)에서 정의되는 삼각형의 꼭지점 간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단부들(210TB, 220TB) 사이에 방전이 보다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선들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보조 배선부(220B)는 제1 보조 배선(210A) 및 제2 보조 배선(210B-1)을 포함하고, 제1 보조 배선(210A)은 제1 단부(210TB)을 포함하고, 제2 보조 배선(210B-1)은 제2 단부(220TC)를 포함한다. 제1 단부(210TB)는 제2 단부(220TC)와 마주하고, 제1 및 제2 단부들(210TB, 220TC)은 서로 이격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단부(220TC)는 평면상에서 사각형 형상을 갖고, 제2 단부(220TC)의 폭은 제2 보조 배선(210B-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단부(210TB)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단부(220TC)가 평면상에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단부(210TB) 및 제2 단부(220TC) 각각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판(1000) 위에 유기 발광층(400)을 형성한 이후에, 제1 보조 배선(210) 및 제2 보조 배선(220)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400)의 일부를 커버하는 도전층(510)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전층(510)은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고, 도전층(510)은 제1 개구부(310)에 수용된 유기 발광층(400)의 일부는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앞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보조 배선(210) 및 제2 보조 배선(220) 각각에 전압을 인가한다. 그 결과, 제1 보조 배선(210)의 의 제1 단부(210T) 및 제2 보조 배선(220)의 제2 단부(220T)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고, 상기 방전에 의해 단부 사이(BW)에 대응하는 유기 EL 층(400) 및 도전층(510) 각각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제1 단부(210T) 및 제2 단부(220T)가 외부로 노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단부(210T) 및 제2 단부(220T)를 노출시킨 이후에, 상부 전극(500-1)을 형성한다. 그 결과, 상부 전극(500-1)에 의해 제1 보조 배선(210) 및 제2 보조 배선(2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 전극(500-1)은 유기 발광층(400)을 사이에 두고 화소 전극(100B) 위에 배치되므로 캐소드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와 같이, 제1 보조 배선(210) 및 제2 보조 배선(220)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기 이전에, 단부 사이(BW)의 주변을 도전층(510)이 커버하므로 방전에 의해 상기 주변에 데미지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1: 표시 장치 10: 기판
70: 전압 인가부 71,72,73,74 : 구동 회로
100: 표시 영역 1110B,110G,100R : 화소 전극
200: 보조 배선부 210: 제1 보조 배선
220: 제2 보조 배선 210T: 제1 단부
220T: 제2 단부 250: 전원 접속 전극
300 : 절연층 310 : 제1 개구부
320 : 제2 개구부 350 : 제3 개구부
400 : 유기 발광층 500 : 상부 전극
CP: 접속부 510: 도전층

Claims (14)

  1. 복수의 화소들 각각에 배치된 화소 전극;
    제1 단부를 갖는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1 단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단부를 갖는 제2 보조 배선을 포함하는 보조 배선부;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제 1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와 중첩되는 제 2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보조 배선부 위에 배치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해 상기 화소 전극과 접촉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보조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갖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2 보조 배선은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보조 배선 또는 상기 제2 보조 배선 및 상기 화소 전극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5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접속부들 각각의 접속 저항은 200 k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기 발광층을 발광시키는 전력이 인가되는 전원 접속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접속 전극은 상기 상부 전극을 통해 상기 보조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보조 배선 단자; 및
    상기 제2 보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보조 배선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 단자들은 표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 상기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2 보조 배선은 동일 층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기판 위에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위에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1 보조 배선과 이격된 제2 보조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상기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2 보조 배선 위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유기 발광층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상기 유기 발광층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배선, 상기 제2 보조 배선 및 상기 화소 전극은 동일 층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배선, 상기 제2 보조 배선 및 상기 화소 전극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보조 배선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보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보조 배선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방전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배선 및 상기 제2 보조 배선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들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보조 배선 또는 상기 제2 보조 배선과 상기 화소 전극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들 간의 이격거리는 5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들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기 이전에,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선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들의 주변을 커버하는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40100618A 2013-11-22 2014-08-0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9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42309A JP2015103359A (ja) 2013-11-22 2013-11-22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3241781A JP2015103337A (ja) 2013-11-22 2013-11-22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JP-P-2013-241781 2013-11-22
JP2013241711 2013-11-22
JPJP-P-2013-242309 2013-11-22
JPJP-P-2013-241711 2013-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588A KR20150059588A (ko) 2015-06-01
KR102219428B1 true KR102219428B1 (ko) 2021-02-26

Family

ID=5349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618A KR102219428B1 (ko) 2013-11-22 2014-08-0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9931B (zh) 2018-08-29 2023-06-3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面板、显示装置、输入输出装置、数据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6052A (ja) * 2003-05-30 2004-12-16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871A (ko) * 2007-03-13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전계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6052A (ja) * 2003-05-30 2004-12-16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588A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79076B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590212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US988198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P266065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6067473A (zh) 显示装置
KR102457162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6189692B2 (ja) Oled表示パネル
JP2017091946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68598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150061756A (ko)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EP3462492B1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KR10236001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2093B1 (ko) 표시 장치
JP2017091693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TWI392096B (zh) 薄膜電晶體陣列面板
JP6223070B2 (ja) 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5012257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011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18031976A (ja) 表示装置
KR10210600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US911778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1942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5014783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10231783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50001068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