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171B1 -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171B1
KR102219171B1 KR1020140051362A KR20140051362A KR102219171B1 KR 102219171 B1 KR102219171 B1 KR 102219171B1 KR 1020140051362 A KR1020140051362 A KR 1020140051362A KR 20140051362 A KR20140051362 A KR 20140051362A KR 102219171 B1 KR102219171 B1 KR 10221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magnetic energy
energy transfer
output
condu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273A (ko
Inventor
박찬웅
Original Assignee
박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웅 filed Critical 박찬웅
Publication of KR2014013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는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출력 선로와,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출력 선로 사이에 위치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와,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보빈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자기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이 제어되는 입력권선과; 상기 입력권선과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여 상기 출력 선로를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출력권선과; 그리고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에 위치하는 도체판을 포함하되, 상기 도체판이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를 가로 막는 부분에서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의 용량성 결합이 차단되며, 상기 도체판이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을 감싸는 부분의 상기 도체판의 폭과 길이의 선정에 의해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를 가로막지 않는 면적을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상기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하는 용량성 결합의 합과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양이 설정되며, 상기 도체판이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를 가로막지 않는 면적을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상기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하는 용량성 결합의 합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장치의 EMI가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에 의해 상쇄되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MAGNETIC ENERGY TRANSFER ELEMENT AND POWER SUPPLY}
본 발명은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방해)를 상쇄시켜 낮추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전원에서, 스위칭 소자가 스위칭될 때 트랜스포머의 입력권선의 전위의 변동이 용량성 결합에 의해 출력권선으로 전달되어 출력선로가 전위의 변동을 가지게 되며, 출력 선로는 대지 접지로 노이즈의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공중으로 노이즈를 방사하여 EMI가 발생한다. EMI를 규제치 이내로 낮추기 위해서는 트랜스포머의 각 권선을 포함하여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합을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추어 출력선로의 노이즈 전위를 낮게 해야 한다.
종래에 있어서, 트랜스포머의 각 권선을 포함하여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합과 크기는 같고 극성이 반대인 용량성 결합을 출력권선으로 생성시켜 상쇄시킬 목적을 갖는 하나 이상의 권선을 출력권선 주위에 위치시켜,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모든 용량성 결합을 상쇄시켜 전원장치의 EMI를 법적인 규제치 이하로 낮추려 하였다.
종래 기술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제시된 모든 도면에서 트랜스포머의 각 권선에 표시된 검은 점은 권선의 시작이나 혹은 끝을 표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상쇄시켜 낮추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교류 입력 전압은 정류되고 캐패시터(11)에 의해 평활된다. 출력전압의 피드백에 대응하여 스위칭소자(12)가 스위칭되어 트랜스포머(13)의 입력권선(131)에 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이 일어나며, 출력정류기(14)와 캐패시터(15)는 출력권선(133)을 통해 에너지를 인출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스위칭소자(12)가 스위칭될 때 트랜스포머(13)의 입력권선(131)에서 생성되는 큰 전위의 변동은 입력권선(131)과 출력권선(133) 사이의 분포용량(Cps)을 통해 전달되고, 트랜스포머 코어(136)의 전위는 분포용량(Ccs)을 통해 출력권선(133)에 전달되어 출력 선로(17)가 노이즈의 전위를 갖게 하여, 전원장치의 EMI가 크게 발생한다. 트랜스포머 코어(136)의 전위의 변동을 줄이기 위해 트랜스포머 코어(136)의 표면을 접지로 연결하기도 한다.
도 1의 종래기술은 출력 선로(17)가 갖는 노이즈의 전위를 낮추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상쇄권선(132)은 입력권선(131)과 출력권선(133) 사이의 권선층에 출력권선(133)이 감기는 면적을 꽉 채워서 빈틈없이 감겨 입력권선(131)과 출력권선(133) 사이의 용량성의 결합이 가능한 한 적게 발생하게 차단한다. 또한, 상쇄권선(132)과 출력권선(133) 사이에서 입력권선(131)과 출력권선(133) 사이의 용량성 결합과 크기는 비슷하고 반대 극성인 용량성 결합을 생성시켜, 상쇄권선(132)과 입력권선(131)으로부터 출력권선(13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합이 상쇄되어 "0(zero)"에 접근하게 하고, 출력선로(17)의 노이즈 전위를 낮추려 한다. 상쇄권선(132)과 출력권선(133) 사이에서 입력권선(131)과 출력권선(133) 사이의 용량성 결합과 크기는 비슷하고 반대 극성인 용량성 결합을 생성시키기 위해, 출력권선(133)이 감기는 면과 결합하는 상쇄권선(132)의 턴(Turn, 감긴) 수는 통상적으로 출력권선(133)의 턴 수보다 1 내지 2턴 작은 값을 가진다. 즉, 출력권선(133)과 상쇄권선(132)의 사이에서 1 내지 2 턴의 턴 수 차이에 의한 전위차에 의해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으로 입력권선(131)과 출력권선(133) 사이의 용량성의 결합을 상쇄시켜 낮추는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 출력권선(133)과 상쇄권선(132)의 턴 수 차가 1 턴이면 입력권선(131)과 출력권선(133) 사이의 용량성의 결합을 제거하기에 약간 부족하고, 2 턴이면 너무 커서, 출력 선로 (17)의 노이즈 전위를 제대로 상쇄시켜 낮출 수 없어서 높은 EMI를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출력권선(133)의 턴 수가 3 내지 5턴 정도로 작은데 보빈의 권선폭이 넓은 경우, 출력권선(133)보다 1 내지 2 턴이 더 작은 상쇄권선(132)을 2 내지 3턴으로 보빈의 권선폭 전체를 여러 가닥으로 빈틈없이 채워서 감기가 물리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출력 전압이 5V 정도로 낮은 경우, 출력권선(133)보다 더 작은 턴 수를 갖는 상쇄권선(132)의 플라이백 전압을 정류하더라도 6V 이하의 전압 밖에 얻을 수 없으므로, 전원장치의 제어부에 10V 내외의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권선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기술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상쇄시켜 낮추는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트랜스포머(18)는 입력권선(181)과 플라이백권선(182)과 출력권선(183)과 포워드권선(184)을 포함한다.
도 2에 있어서, "정"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플라이백권선(182)과 "부"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포워드권선(184)은 한 권선면의 평균전위를 "0"으로 만들어, 플라이백권선(182)과 포워드권선(184)이 출력권선(183)으로 생성시키는 용량성 결합의 합을 입력권선(181)과 출력권선(183) 사이에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과 역극성이면서 크기가 같게 생성하게 하여, 출력권선(18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합을 상쇄시켜 "0"에 접근시키고, 출력 선로 (17)의 노이즈 전위를 낮추려 한다.
도 2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플라이백권선(182)과 포워드권선(184)이 형성하는 "0"의 평균전위와 출력권선(183)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의 양을 입력권선(181)과 출력권선(183) 사이에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과 역극성이면서 크기가 같게 생성시키기가 어려워 제품마다의 편차가 커서, 도 1과 마찬가지로 전원장치가 발생시키는 EMI를 균일하게 어느 값 이하로 낮추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플라이백권선(182)과 포워드권선(184)으로 입력권선(181)의 권선면 전체를 빈틈없이 채워서 감아, 입력권선(181)과 출력권선(183) 사이에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이 플라이백권선(182)과 포워드권선(184)이 출력권선(183)으로 생성시키는 용량성 결합의 합보다 훨씬 작은 경우, 출력권선(18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합을 낮추기 위해 또 다른 권선을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3은 종래기술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상쇄시켜 낮추는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트랜스포머(19)는 제1입력권선(191)과 제2입력권선(192)과 출력권선(193)을 포함한다.
제2입력권선(192)은 제1입력권선(191)과 출력권선(193) 사이의 권선층에 감겨지며, 제2입력권선(192)과 출력권선(193) 사이에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은 제1입력권선(191)과 출력권선(193) 사이에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과 역극성이면서 크기가 비슷하게 생성하도록 설정되며, 출력권선(19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합을 상쇄시켜 낮추어, 출력 선로 (17)의 노이즈 전위를 낮추며, 전원장치의 EMI를 규제치 이하로 맞추려 한다.
도 3에 있어서는, 제2입력권선(192)이 제1입력권선(191)과 출력권선(193) 사이를 빈틈없이 채워서 감기는 경우, EMI를 가장 낮게 낮추기 위해 필요한 출력권선(193)이 감기는 면과 용량성으로 결합하는 제2입력권선(192)의 턴 수는 통상적으로 출력권선(193)의 턴 수보다 1 내지 2턴 정도 큰 값을 가진다. 출력권선(193)의 턴수가 5턴이면 제2입력권선(192)의 턴수는 6 내지 7 턴이 필요하다.
도 3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한 바퀴 단위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제2입력권선(192)의 턴 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전원장치가 발생시키는 EMI를 어느 값 이하로 낮추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출력권선(193)의 턴 수는 작은데 보빈의 권선폭이 넓은 경우 출력권선(193)보다 1 내지 2턴 큰 턴 수로 보빈의 권선면을 빈틈없이 채워서 감기가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권선의 플라이백 전압을 정류하여 전원장치의 제어부의 전원전압을 공급해야 하는 경우, 제2입력권선(192)과는 별도로 추가의 권선을 설치해야 했는데, 추가된 권선이 출력권선(193)으로 또 다른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시키거나 혹은 제1입력권선(191)과 출력권선(193) 사이의 자기 결합을 방해하여 효율을 낮추는 등의 문제를 야기했었다.
도 4는 종래기술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상쇄시켜 낮추는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트랜스포머(13a)는 입력권선(131a)과 상쇄권선(132a)과 출력권선(133a)과 쉴드판(135a)을 포함한다.
쉴드판(135a)은 입력권선(131a)과 출력권선(133a) 사이의 권선층에 위치하여 입력권선(131a)과 출력권선(133a) 사이의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한다.
상쇄권선(132a)은 출력권선(13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131a)을 향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과 마주하여 위치하며, 상쇄권선(132a)과 출력권선(133a) 사이에서 출력권선(133a)과 쉴드판(135a) 사이의 용량성의 결합과 크기는 비슷하고 극성이 반대인 용량성 결합을 생성시켜, 출력권선(133a)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합이 상쇄되어 "0(zero)"에 접근하게 하여, 출력선로(17)의 노이즈 전위를 낮추려 한다.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쉴드판(135a)을 절연시키지 않고 감는 경우, 금속판의 양끝이 단락되지 않도록 한바퀴에서 1mm 내지 2mm 부족하게 감는다. 혹은 테이프 등으로 절연 구조를 형성시키는 경우, 금속판을 한바퀴를 초과하게 감아 두 권선 사이의 용량성 결합을 완전히 차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트랜스포머(18)의 입력권선(181)과 출력권선(183)의 사이나 혹은 트랜스포머(19)의 제1입력권선(191)과 출력권선(193)의 사이에 한 점이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되는 쉴드판을 위치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이 기술도 1턴 단위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상쇄권선(132a) 혹은 플라이백권선(182)과 포워드권선(184) 혹은 제2입력권선(192)의 턴 수를 조절하여 EMI를 낮추어야 하는데, 정교한 상쇄가 어려워 EMI를 균일하게 어느 값 이하로 낮추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한 바퀴 단위로 증감하는 권선의 턴 수의 조절만으로는 전원장치의 EMI를 충분히 낮추기가 어려워 EMI의 마진을 충분히 확보하기가 어렵고, 출력권선의 턴 수는 작은데 보빈의 권선폭이 넓은 경우 상쇄를 위해 설치하는 권선을 여러가닥의 작은 턴 수로 보빈의 권선면을 빈틈없이 채워서 감기가 물리적으로 매우 어려우며, 보조 전원 전압의 인출을 필요로 하는 경우 추가로 권선이 필요하여 효율이 저하하고 트랜스포머의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단점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는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출력 선로와,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출력 선로 사이에 위치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와,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보빈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자기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이 제어되는 입력권선과; 상기 입력권선과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여 상기 출력 선로를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출력권선과; 그리고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에 위치하는 도체판을 포함하되,
상기 도체판이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를 가로 막는 부분에서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의 용량성 결합이 차단되며,
상기 도체판이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을 감싸는 부분의 상기 도체판의 폭과 길이의 선정에 의해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를 가로막지 않는 면적을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상기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하는 용량성 결합의 합과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양이 설정되며,
상기 도체판이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를 가로막지 않는 면적을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상기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하는 용량성 결합의 합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장치의 EMI가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에 의해 상쇄되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는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출력 선로와,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출력 선로 사이에 위치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와,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보빈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자기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이 제어되는 입력권선과; 상기 입력권선과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여 상기 출력 선로를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출력권선과; 그리고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중 상기 출력권선이 상기 입력권선을 향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과 용량성 결합을 생성시키는 도체판을 포함하되,
상기 도체판이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을 감싸는 부분의 상기 도체판의 폭과 길이의 선정에 의해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양이 설정되며,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상기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하는 용량성 결합의 합에 의한 전원장치의 EMI가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에 의해 상쇄되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상술한 자기에너지전달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치형 전원장치 및 스위치형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출력권선과 용량성으로 결합하는 권선의 턴 수를 출력권선의 턴 수보다 훨씬 크게 취하고도 출력권선의 권선면의 일부분과 용량성으로 결합하는 도체판에 의해 전원장치의 EMI를 정교하게 상쇄시켜 아주 낮은 값으로 낮출 수 있게 하여 충분한 EMI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며, 출력권선과 용량성으로 결합하는 권선을 큰 턴 수로 취하여 권선면을 채워서 감을 수 있어서 트랜스포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원가 인하의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상쇄시켜 낮추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정교하게 상쇄시켜 낮추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트랜스포머의 구조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정교하게 상쇄시켜 낮추는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는 모든 방식의 스위치형 전원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 플라이백 컨버터를 이용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정교하게 상쇄시켜 낮추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있어서, 트랜스포머(20)를 제외한 회로 구성은 도 1의 회로 구성에 대응된다.
도 5의 트랜스포머(20)은 입력권선(201)과 제1권선(202)과 출력권선(203)과 도체판(205)과 트랜스포머코어(206)를 포함한다.
도 5에서, 스위칭소자(12)가 스위칭 될 때 입력권선(201)과 제1권선(202)과 트랜스포머코어(206)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도 있는 권선들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을 도체판(205)으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역극성의 용량성의 결합에 의해 상쇄시켜 전원장치의 EMI를 낮춘다.
특히, 입력권선(201)과 제1권선(202)과 트랜스포머코어(206)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도 있는 권선들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에 의해 전원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도체판(205)과 출력권선(203) 사이의 용량성 결합에 의해 상쇄시켜 "0"에 가장 가까이 접근시킬 수 있는 도체판(205)의 길이와 폭을 정할 수 있어서, 충분한 EMI의 마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출력권선(203)의 턴수가 5턴이고 도체판(205)이 출력권선(203)의 한쪽 권선면의 전체 폭과 둘레를 감싸서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되어 있다면, 도체판(205)과 출력권선(203)의 사이에는 5턴의 턴 수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이 생성된다. 또한, 출력권선(203)의 권선면의 둘레가 30mm인데 도체판(205)이 출력권선(203)의 권선폭 전체를 6mm의 길이로 감싸면, 도체판(205)과 출력권선(203)의 사이에는 5턴의 6/30인 1턴의 차이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이 생성된다. 또한, 도체판(205)이 출력권선(203)의 권선폭을 7mm의 길이로 감싸면, 7/6 턴의 턴 수차만큼의 용량성의 결합이 생성된다. 즉, 1mm의 도체판(205) 길이의 변화로 1/6 턴의 턴 수 차(difference)만큼의 용량성 결합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고, 0.5mm의 변화로 1/12 턴의 턴 수 차만큼의 용량성 결합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도체판(205)이 출력권선(203)의 권선폭을 15mm의 길이로 감싸면, 15/6 즉 2.5턴의 턴 수 차만큼의 용량성의 결합이 생성된다.
입력권선(201)과 제1권선(202)과 트랜스포머코어(206)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이 N 턴의 턴 수 차만큼 발생되는 경우, N 턴의 턴 수 차의 용량성의 결합을 역극성으로 생성시켜 상쇄할 도체판(205) 길이는 다음 식으로 산출된다.
길이 = 출력권선(203)의 권선면의 둘레 X 턴 수 차 / 출력권선(203)의 턴 수
예를 들어, 출력권선(203)의 권선면의 둘레가 30mm이고, 출력권선(203)의 턴 수가 5턴이며, 턴 수 차가 1.3턴이면, 상쇄를 위해 필요한 도체판(205)의 길이는 7.8mm이다. 도체판(205)의 길이의 편차가 +/- 0.3mm 이면, 용량성 결합은 1.35턴에서 1.25턴의 턴 수 차의 범위에서 변화하므로 도체판(205)의 길이의 편차에 의해 +/- 0.05턴의 턴 수 차의 편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도 5의 플라이 백컨버터는 1턴 단위의 증감에 의해 대략적으로 조절하던 도 1의 종래기술에 비해 10배 가까이 훨씬 세밀하게 전원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상쇄시켜 낮출 수 있게 하여, 훨씬 큰 EMI의 마진을 제공한다.
입력권선(201)과 제1권선(202)과 트랜스포머코어(206)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도 있는 권선들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이 몇 턴의 턴 수 차인지 모르더라도, 전원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가 가장 낮게 얻어지는 도체판(205)의 길이를 실험에 의해 찾아서 선정할 수도 있다.
도체판(205)은 동판이나 동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출력권선(203)의 권선면과 용량성으로 결합하며, 한 점이 직접 혹은 하나 이상의 수동 소자의 조합을 통해 1차측의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되거나 도체판(205)에 전위를 가하기 위한 권선을 통해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의 일 실시예로써, 트랜스포머코어(206)의 표면이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되어 있고, 입력권선(201)과 출력권선(203) 사이의 권선층을 제1권선(202)으로 빈틈없이 채워서 감아 입력권선(201)과 출력권선(203) 사이의 용량성 결합이 가능한 한 적게 생성되게 하는 경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양은 대부분 제1권선(202)과 출력권선(203)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결정된다. 만일, 제1권선(202)의 턴 수와 출력권선(203)의 턴 수와의 차이가 출력권선(203)의 턴 수보다 작다면, 도체판(205)은 도 6과 같이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과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시키도록 위치하여, 도체판(205)의 길이의 선정에 의해 입력권선(201)과 제1권선(202)과 트랜스포머코어(206)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도 있는 권선들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을 상쇄시켜 "0"에 접근시킬 수 있다.
도 4의 종래의 트랜스포머(13a)는 출력권선(133a)의 한 쪽 권선면의 둘레는 한 점이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된 쉴드판(135a)으로 감싸고, 다른 한 쪽 권선면의 둘레는 상쇄권선(132a)으로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도 4에 있어서는, 쉴드판(135a)으로 출력권선(133a)의 한 쪽 권선면의 둘레를 양쪽 끝이 단락되지 않게 절연된 금속판으로 한 바퀴 이상 혹은 양쪽 끝이 절연되지 않은 금속판으로 한 바퀴보다 1mm 내지 2mm 부족하게 혹은 둘레의 90% 만큼 감싸고, 출력권선(133a)과 용량성으로 결합하는 상쇄권선(132a)의 턴 수의 조절에 의해 출력권선(133a)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을 가능한 한 낮은 값으로 갖도록 하여 EMI를 낮춘다.
도 6의 트랜스포머(20a)는 도체판(205)의 길이의 선정에 의해 입력권선(201)과 제1권선(202)과 트랜스포머코어(206)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도 있는 권선들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을 상쇄시켜 EMI를 세밀하게 "0"에 접근시키는 것이 도 4의 트랜스포머와의 차이점이다.
도 6의 트랜스포머에서 도체판(205)의 길이가 출력권선(203)의 한 쪽 권선면의 둘레에서 1mm 내지 2mm를 뺀 값 혹은 둘레의 90%에 접근하거나 혹은 그 이상이 되는 경우, 도 4의 종래의 기술과의 구분이 어려워질 수 있다.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과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시켜서 EMI를 낮추는 도체판(205)의 길이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의 둘레의 80 퍼센트 이하이거나 혹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의 둘레에서 4mm를 뺀 길이 이하일 때 도 4의 종래의 기술과의 구분이 더 명확해 질 수 있다. 혹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과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시켜서 EMI를 낮추는 도체판(205)의 길이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의 둘레의 60 퍼센트 이내이거나 혹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의 둘레에서 6mm를 뺀 길이 이하일 때 더욱 더 명확해 질 수 있다.
또한, 도 4의 트랜스포머(13a)는 쉴드판(135a)이 입력권선(131a)과 출력권선(133a) 사이에 위치하나, 도 6의 트랜스포머(20a)는 도체판(205)이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 쪽에 위치하는 큰 구조적인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도 6의 트랜스포머(20a)의 도체판(205)의 길이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의 둘레의 100 퍼센트에 이르더라도 그 구분은 명확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출력권선(203)의 둘레의 일부분과 용량성으로 결합하도록 도체판(205a)을 부착하여 인출한 단자(207)를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7은 출력권선(203) 권선폭보다 짧게 도체판(205b)을 부착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에 있어서, 트랜스포머(20a)의 한 점이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된 도체판(205)의 길이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의 둘레의 100 퍼센트에 이르러도 입력권선(201)과 제1권선(202)과 트랜스포머코어(206)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도 있는 권선들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을 상쇄시켜 EMI를 "0"에 접근시키기에 부족한 경우, 도체판(205)은 출력권선(203)과의 전위차를 키우기 위한 권선을 거쳐서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도체판(205)은, 도 8과 도 9와 같이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과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하고, 도체판(205)이 입력권선(201)과 출력권선(203)의 사이를 가로막는 면적에서 입력권선(201)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도체판(205)의 면적이 증가할 수록 입력권선(201)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양이 감소하므로, 도체판(205)과 출력권선(203) 사이의 용량성의 결합이 입력권선(201)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에 의해 전원장치에서 발생하는 EMI를 상쇄시켜 가장 낮은 값으로 낮출 수 있는 도체판(205)의 길이를 선정한다. 도 8과 도 9의 일실시예로써, 입력권선(201)과 출력권선(203) 사이에 제1권선(202)이 위치하고, 제1권선(202)과 출력권선(203) 사이의 권선면 면적의 전체 혹은 일부분에 도체판(205)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권선(201)과 제1권선(202)에서 생성하는 고주파 노이즈의 일부가 도체판(205)에 의해 차단되어 출력권선(203)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방사 EMI도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
다른 일실시예로써, 입력권선(201)과 출력권선(203) 사이의 권선면 면적의 전체 혹은 일부분에 도체판(205)이 위치하고, 도체판(205)과 출력권선(203)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권선이 위치할 수도 있다. 출력권선(203)과 결합하여 출력전압의 정보를 피드백하는 권선 혹은 제1권선(202)이 그 일례이다.
일실시예로써, 도체판(205 혹은 205a 혹은 205b 혹은 205c)은 보빈의 권선면 내에서 외부와 연결하는 연결선을 접속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도 8과 도 9와 같이 도체판(205c)의 일부분을 보빈(28)의 권선면 밖으로 인출하여 권선면의 밖에서 외부와 연결하는 단자(207)를 접속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의 경우에도 도체판(205a 혹은 205b)의 한쪽 끝을 보빈의 권선면 밖으로 인출하여 외부와 연결하는 단자(207)를 접속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체판(205)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과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시키는 위치와 출력권선(20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01)을 마주하는 권선면과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시키는 위치에 모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입력권선(201)이 둘로 나뉘어 출력권선(203)과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도 도체판(205)은 출력권선(203)의 양쪽 권선면에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시키도록 두 군데에 위치시키거나 한쪽 권선면에만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시키도록 위치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정교하게 상쇄시켜 낮추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부"의 출력전압이 인출되는 것이 도 5와 다르다.
도 10에 있어서, 입력권선(211)과 제1권선(212)과 트랜스포머코어(216)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도 있는 권선들을 포함하는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1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을 도체판(215)으로부터 출력권선(213)으로 생성되는 역극성의 용량성의 결합에 의해 상쇄시켜 전원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낮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정교하게 상쇄시켜 낮추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에 있어서, 트랜스포머(22)를 제외한 회로 구성은 도 2의 회로 구성에 대응된다.
도 11은 "정"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플라이백권선(222)과 "부"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포워드권선(224)이 형성하는 평균전위와 출력권선(183)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과 입력권선(181)과 출력권선(183) 사이에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을 포함하여 트랜스포머의 코어(226)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도 있는 권선들이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23)으로 생성시키는 용량성 결합에 의해 전원장치에서 생성되는 EMI를 도체판(225)과 출력권선(223) 사이에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으로 상쇄시켜 낮춘다. 도 5와 마찬가지로, 도체판(225)의 폭과 길이를 선정하여 정교하게 전원장치의 EMI를 낮출 수 있어서, 충분한 EMI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도체판(225)은 출력권선(22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21)을 마주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으로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하도록 위치시킬 수도 있고, 출력권선(223)의 권선면 중 입력권선(221)을 마주하는 권선면으로 용량성의 결합을 생성하도록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양쪽 모두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EMI를 정교하게 상쇄시켜 낮추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있어서, 트랜스포머(23)를 제외한 회로 구성은 도 3의 회로 구성에 대응된다.
도 12의 트랜스포머(23)는 제1입력권선(231)과 제2입력권선(232)과 출력권선(233)과 도체판(235)과 트랜스포머코어(236)를 포함한다.
제2입력권선(232)이 제1입력권선(231)과 출력권선(233) 사이의 권선층에 위치할 수도 있고, 출력권선(233)이 제1입력권선(231)과 제2입력권선(232) 사이의 권선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트랜스포머 코어(236)와 제1입력권선(231)과 제2입력권선(232)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도 있는 권선들이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33)으로 생성시키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에 의해 전원장치에서 생성되는 EMI를 도체판(235)과 출력권선(233) 사이에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으로 상쇄시켜 낮춘다. 도 5와 마찬가지로, 도체판(235)의 폭과 길이를 선정하여 정교하게 전원장치의 EMI를 낮출 수 있어서, 충분한 EMI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에서 트랜스포머의 코어(206 혹은 216 혹은 226 혹은 236)는 오픈된 상태일 수도 있고, 1차측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될 수도 있고, 혹은 트랜스포머(20 혹은 21 혹은 22 혹은 23)에 포함되는 한 권선의 일측단자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12에서 도체판(205 혹은 215 혹은 225 혹은 235)은 직접 1차측의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되거나, 저항이나 캐패시터 등의 수동소자의 조합을 통해 1차측의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되거나, 혹은 도체판에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권선을 경유하여 1차측의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 내지 도 12의 실시예들은 도체판(205 혹은 205a 내지 205c 혹은 215 혹은 225 혹은 235)의 폭과 길이를 입력권선(201혹은 211 혹은 221 혹은 231)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20혹은 21 혹은 22 혹은 23) 및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출력권선(203 혹은 213 혹은 223 혹은 23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의 결합의 합에 의해 전원장치에서 발생시키는 EMI를 가장 많이 상쇄시켜 낮출 수 있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3의 종래기술에 비해 EMI를 훨씬 낮춰 충분한 마진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출력권선(203 혹은 213 혹은 223 혹은 233)과 용량성으로 결합하는 제1권선(202) 혹은 플라이백권선(222)과 포워드권선(224) 혹은 제2입력권선(232)의 턴 수를 출력권선(203 혹은 213 혹은 223 혹은 233)의 턴 수보다 2배로 크게 취하여 플라이백 전압을 정류하여 제어부의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도체판의 크기를 전원장치의 EMI를 가장 많이 상쇄시켜 낮출 수 있는 값으로 설정하여 충분한 EMI의 마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출력권선(203 혹은 213 혹은 223 혹은 233)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을 상쇄시킬 별도의 권선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출력권선(203 혹은 213 혹은 223 혹은 233)의 턴 수의 2배인 제1권선(202) 혹은 플라이백권선(222)과 포워드권선(224) 혹은 제2입력권선(232)은 얇은 선을 2 내지 3가닥 정도로 보빈의 권선면을 쉽게 꽉 채워서 감을 수 있으므로, 출력권선(203 혹은 213 혹은 223 혹은 233)의 작은 턴 수 내외로 많은 가닥수로 감아서 채워야 했던 종래기술에 비해 권선의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은 입력 캐패시터, 12는 스위칭소자, 13은 트랜스포머, 131와 131a는 입력권선, 132와 132a는 상쇄권선, 133과 133a는 출력권선, 135a는 쉴드판, 136과 136a는 트랜스포머 코어, 14와 14a는 출력정류기, 15는 출력캐패시터, 17은 출력선로, Cps는 입력권선과 출력권선 사이의 분포용량, Ccs는 트랜스포머 코어와 출력권선 사이의 분포용량, Cog는 출력선로와 접지 사이의 분포용량, 18은 트랜스포머, 181은 입력권선, 182는 플라이백권선, 183은 출력권선, 184는 포워드권선, 186은 트랜스포머 코어, 19는 트랜스포머, 191은 제1입력권선, 192는 제2입력권선, 193은 출력권선, 196은 트랜스포머 코어, 20은 트랜스포머, 201은 입력권선, 202는 제1권선, 203은 출력권선, 205와 205a 내지 205c는 도체판, 206은 트랜스포머 코어, 207은 단자, 208은 트랜스포머 보빈, 21은 트랜스포머, 211은 입력권선, 212는 제1권선, 213은 출력권선, 215는 도체판, 216은 트랜스포머 코어, 22는 트랜스포머, 221은 입력권선, 222는 플라이백권선, 223은 출력권선, 224는 포워드권선, 225는 도체판, 226은 트랜스포머 코어, 23은 트랜스포머, 231은 제1입력권선, 232는 제2입력권선, 233은 출력권선, 235는 도체판, 236은 트랜스포머 코어

Claims (31)

  1.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출력 선로와,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출력 선로 사이에 위치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와,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보빈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자기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이 제어되는 입력권선과;
    상기 입력권선과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여 상기 출력 선로를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출력권선과; 그리고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에 위치하는 도체판을 포함하되,
    상기 도체판이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를 가로 막는 부분에서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의 용량성 결합이 차단되며,
    상기 도체판이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을 감싸는 부분의 상기 도체판의 폭과 길이의 선정에 의해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를 가로막지 않는 면적을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상기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하는 용량성 결합의 합과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양이 설정되며,
    상기 도체판이 상기 입력권선의 한 권선면과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사이를 가로막지 않는 면적을 포함하는 경로를 통해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상기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하는 용량성 결합의 합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장치의 EMI가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에 의해 상쇄되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2.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에 전위를 가하기 위한 제1권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체판은 상기 제1권선을 통해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3.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에 전위를 가하기 위한 제1권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체판은 상기 제1권선과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의 조합을 통해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4.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5.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은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의 조합을 통해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6.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권선층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용량성 결합이 적게 생성되게 하며, 상기 출력권선으로 용량성 결합을 생성하는 제2권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권선과 상기 제2권선 사이에 상기 도체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7.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권선층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용량성 결합이 적게 생성되게 하며, 상기 출력권선으로 용량성 결합을 생성하는 제2권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상기 도체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8.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정"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제3권선과 "부"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제4권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체판의 한 면 쪽으로 상기 입력권선과 상기 제3권선과 상기 제4권선이 위치하고 상기 도체판의 다른 한 면 쪽으로 상기 출력권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9.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정"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제3권선과 "부"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제4권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체판의 한 면 쪽으로 상기 입력권선이 위치하고 상기 도체판의 다른 한 면 쪽으로 상기 제3권선과 상기 제4권선과 상기 출력권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입력권선의 일부분이 상기 출력권선의 한 쪽 권선면과 마주하여 위치하고, 상기 입력권선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출력권선의 다른 한 쪽 권선면과 마주하여 위치하며, 상기 도체판은 상기 입력권선의 일부분과 상기 출력권선의 한 쪽 권선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15. 제14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입력권선의 다른 일부분과 상기 출력권선의 다른 한 쪽 권선면 사이에 상기 출력권선의 다른 한 쪽 권선면으로 용량성 결합을 생성하는 제2도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16.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중 상기 출력권선이 상기 입력권선을 향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의 면적의 일부분으로 용량성 결합을 생성하는 제3도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17. 제1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의 일부분이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보빈의 권선면 밖으로 인출되어 외부와의 연결선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18.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출력 선로와,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 및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출력 선로 사이에 위치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와,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보빈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자기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이 제어되는 입력권선과;
    상기 입력권선과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여 상기 출력 선로를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출력권선과; 그리고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 중 상기 출력권선이 상기 입력권선을 향하는 권선면의 반대쪽 권선면과 용량성 결합을 생성시키는 도체판을 포함하되,
    상기 도체판이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을 감싸는 부분의 상기 도체판의 폭과 길이의 선정에 의해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의 양이 설정되며,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상기 전원장치 내의 요소들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하는 용량성 결합의 합에 의한 전원장치의 EMI가 상기 도체판으로부터 상기 출력권선으로 생성되는 용량성 결합에 의해 상쇄되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19. 제18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의 길이는 상기 도체판과 마주하는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의 둘레의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20. 제18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의 길이는 상기 도체판과 마주하는 상기 출력권선의 권선면의 둘레의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21. 제18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에 전위를 가하기 위한 제1권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체판은 상기 제1권선을 통해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22. 제18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에 전위를 가하기 위한 제1권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체판은 상기 제1권선과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의 조합을 통해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23. 제18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24. 제18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은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의 조합을 통해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25. 제18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권선층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용량성 결합이 적게 생성되게 하며, 상기 출력권선으로 용량성 결합을 생성하는 제2권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26. 제18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정"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제3권선과 "부"의 플라이백 전압을 유도하는 제4권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권선과 상기 제4권선은 상기 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27. 삭제
  28. 삭제
  29. 제18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의 일부분이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보빈의 권선면 밖으로 인출되어 외부와의 연결선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30. 제1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4항 내지 제26항 또는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자기에너지전달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31. 제30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물품.
KR1020140051362A 2013-05-02 2014-04-29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KR102219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340 2013-05-02
KR1020130049340 2013-05-02
KR1020130123334 2013-10-16
KR20130123334 2013-10-16
KR20140022754 2014-02-26
KR1020140022754 2014-02-26
KR20140041172 2014-04-07
KR1020140041172 2014-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73A KR20140131273A (ko) 2014-11-12
KR102219171B1 true KR102219171B1 (ko) 2021-02-23

Family

ID=5245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362A KR102219171B1 (ko) 2013-05-02 2014-04-29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93B1 (ko) * 2014-12-22 2021-04-06 박찬웅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WO2024113100A1 (en) * 2022-11-28 2024-06-06 Innoscience (suzhou) Semiconductor Co., Ltd. Power converter and electronic device 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064A2 (ko) * 2010-11-09 2012-05-18 Park Chan-Woong 전기적 잡음을 상쇄시키는 평형된 컨버터 및 자기에너지전달소자
JP5719448B2 (ja) * 2010-11-09 2015-05-20 ウン パク,チャン 電気的ノイズを相殺させる磁気エネルギー伝達素子及び電源装置
KR101588481B1 (ko) * 2011-01-03 2016-01-25 박찬웅 차폐와 상쇄에 의해 스위칭 전원에서 전기적 접지로 흐르는 변위전류를 낮추는 방법과 장치
KR20120118734A (ko) * 2011-04-19 2012-10-29 박찬웅 차폐와 상쇄에 의해 스위칭 전원에서 전기적 접지로 흐르는 변위전류를 낮추는 방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73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5784B2 (en) DC power source apparatus
EP3035349B1 (en) A transformer
KR101282579B1 (ko) 전기적 잡음을 상쇄시키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US7236077B1 (en) Transformer having adjustable leakage inductance
CN107393705A (zh) 集成变压器和耦合电感器以及相关联的开关功率转换器和方法
KR101904997B1 (ko) 전기적 잡음을 상쇄시키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및 물품
US20120049645A1 (en) Electronic component, power feed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KR20090056197A (ko) 고주파 변압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씨-디씨컨버터
US20200168389A1 (en) Transformer and Switch-Mode Power Supply
KR102219171B1 (ko)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US20200357571A1 (en) Low common mode noise transformer structure with external float wire mount
JP2016015453A (ja) プレーナトランス、電源ユニット、及びプレーナトランスの製造方法
JP200513631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用トランスと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
US20150302972A1 (en) Planar type transform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20130097909A (ko) 전기적 잡음을 상쇄시키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CN206991926U (zh) 电路装置及电力传输系统
KR20150047793A (ko) 권선간의 용량성 결합에 의해 전기적인 접지로 생성되는 변위전류를 낮추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 및 전원 장치
KR102401021B1 (ko) 스위칭 전원에서 다이오드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을 낮추는 방법과 장치
WO2014178589A1 (ko)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KR102237093B1 (ko)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KR102324809B1 (ko) 누전체감 제로형 전원공급 장치
KR102324808B1 (ko) 누전체감 제로형 전원공급장치용 트랜스포머
KR20150045289A (ko) 쉴드판에 의해 전도 노이즈와 방사 노이즈를 낮추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 및 전원 장치
CN105634265B (zh) 电源装置及其平面变压器
KR20150031847A (ko) 권선간의 용량성 결합에 의해 전기적인 접지로 생성되는 변위전류를 낮추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 및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