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875B1 -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875B1
KR102218875B1 KR1020200169216A KR20200169216A KR102218875B1 KR 102218875 B1 KR102218875 B1 KR 102218875B1 KR 1020200169216 A KR1020200169216 A KR 1020200169216A KR 20200169216 A KR20200169216 A KR 20200169216A KR 102218875 B1 KR102218875 B1 KR 10221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unit
power supply
tim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에스
Priority to KR1020200169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3/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of short duration, e.g. light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는, 낙뢰를 감지하는 낙뢰 감지부; 낙뢰 감지부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면, 복수의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차단하며, 기 충전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보조전력 전환부; 낙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응하여, 낙뢰가 발생된 낙뢰지점을 판단하는 낙뢰지점 판단부; 낙뢰지점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전기설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거리 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보조전력으로부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하는 전환시간 결정부; 및 낙뢰 감지부에 의해 낙뢰가 감지된 시점부터 전환시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에 따라, 보조전력으로부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교류전력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INTELLIGENT ELECTRIC POWER SUPPLY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GHTNING STROKE}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에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으로부터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전기설비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뿐만 아니라 낙뢰로 인한 파손의 염려가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교류전력으로 전환함으로써 전기설비의 원래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낙뢰는 일반적으로 30 ~ 40kA의 최대전류를 전기설비에 인가하기 때문에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전류를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낙뢰 보호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낙뢰 보호장치는 통상적으로, 낙뢰가 발생한 경우에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차단하고 낙뢰를 대지에 접지시킴으로써, 낙뢰에 의한 과전류가 전기설비로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낙뢰 보호장치는 낙뢰가 발생한 경우에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때문에 전력이 다시 공급될 때까지의 일정한 시간 동안 전기설비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설비에 보조전력을 설치하고, 낙뢰가 발생한 경우에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차단하며, 교류전력이 차단되는 동안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전기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낙뢰 보호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낙뢰 보호장치는 보조전력의 공급만으로는 전기설비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전기설비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리자에 의해 전력공급이 교류전력으로 전환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1723호 (공개일자: 2020.07.3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에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으로부터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전기설비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뿐만 아니라 낙뢰로 인한 파손의 염려가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교류전력으로 전환함으로써 전기설비의 원래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는, 낙뢰를 감지하는 낙뢰 감지부;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면, 복수의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차단하며, 기 충전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보조전력 전환부;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응하여, 낙뢰가 발생된 낙뢰지점을 판단하는 낙뢰지점 판단부; 상기 낙뢰지점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상기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상기 거리 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하는 전환시간 결정부; 및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낙뢰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전환시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교류전력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는,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한 전계강도를 추정하는 전계강도 추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시간 결정부는 상기 전계강도 추정부에 의해 추정되는 전계강도 및 상기 거리 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한다.
전술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는, 상기 전계강도 추정부에 의해 추정되는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오존 테이블을 작성하는 오존테이블 작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는,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는 시간, 상기 낙뢰지점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낙뢰지점, 및 상기 거리 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를 저장하는 낙뢰 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낙뢰 감지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이 적어도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낙뢰를 감지하고, 상기 낙뢰지점 판단부는 각각의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한 낙뢰감지 반경의 교차지점을 낙뢰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은,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에 있어서, 낙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면, 복수의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차단하며, 기 충전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응하여, 낙뢰가 발생된 낙뢰지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낙뢰지점 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되는 상기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거리 계산단계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낙뢰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전환시간 결정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은,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한 전계강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시간 결정단계는 상기 전계강도 추정단계에 의해 추정되는 전계강도 및 상기 거리 계산단계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한다.
전술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은, 상기 전계강도 추정단계에 의해 추정되는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오존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은,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는 시간, 상기 낙뢰지점 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되는 낙뢰지점, 및 상기 거리 계산단계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낙뢰 감지단계는 적어도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낙뢰를 감지하고, 상기 낙뢰지점 판단단계는 각각의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한 낙뢰감지 반경의 교차지점을 낙뢰지점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에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으로부터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전기설비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뿐만 아니라 낙뢰로 인한 파손의 염려가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교류전력으로 전환함으로써 전기설비의 원래의 기능을 신속하게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보조전력 전환부가 복수의 전기설비에 대하여 보조전력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낙뢰발생의 범위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낙뢰지점을 판단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전기설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계파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전계량 주파수 변화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이하,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라고 한다)(100)는 낙뢰 감지부(102), 보조전력 전환부(104), 낙뢰지점 판단부(106), 거리 계산부(108), 전환시간 결정부(110), 교류전력 전환부(112), 전계강도 추정부(114), 오존테이블 작성부(116) 및 낙뢰 기록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낙뢰 감지부(102)는 낙뢰를 감지한다. 이때, 낙뢰 감지부(102)는 음향센서를 포함하며, 음향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낙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낙뢰 감지부(102)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낙뢰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기재된 낙뢰의 감지방법은 낙뢰 감지의 예를 기재한 것일 뿐이며, 낙뢰 감지부(102)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낙뢰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낙뢰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낙뢰 감지부(102)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이 적어도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낙뢰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전력 전환부(104)는 낙뢰 감지부(102)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면, 복수의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차단하며, 기 충전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전기설비에 공급한다. 이때, 보조전력 전환부(10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기설비(10)에 대한 교류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각각의 전기설비(10)에 보조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전력 전환부(104)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낙뢰지점 사이의 거리, 기 설정된 전환시간 등에 따라 각각의 전기설비(1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10)에 대한 교류전력을 차단하고,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낙뢰지점 판단부(106)는 낙뢰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응하여, 낙뢰가 발생된 낙뢰지점을 판단한다. 이때, 낙뢰 감지부(102)가 카메라를 통해해 번개를 감지하고, 번개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천둥소리를 감지하였다면, 낙뢰지점 판단부(106)는 번개에 기초하여 방향을 설정하고, 번개 및 천둥소리에 기초하여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뢰 감지지점(A)로부터 좁은 범위의 낙뢰발생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낙뢰 감지부(102)가 전체적으로 불빛의 번쩍임만을 감지하고 그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천둥소리를 감지하였다면, 낙뢰지점 판단부(106)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뢰 감지지점(A)으로부터 넓은 범위의 낙뢰발생의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낙뢰지점 판단부(106)는 설정된 낙뢰발생의 범위가 광범위한 경우,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낙뢰 감지부(102)가 감지한 낙뢰발생의 범위에 기초하여 낙뢰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 A, B 및 C에서 모두 광범위한 범위의 낙뢰발생의 범위가 설정된 경우, 낙뢰지점 판단부(106)는 각각의 위치에서 설정된 낙뢰발생의 범위에 대한 낙뢰감지 반경이 교차하는 교차점을 낙뢰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낙뢰지점 판단부(106)는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감지된 낙뢰에 대하여 낙뢰감지 반경이 교차하는 교차지점을 낙뢰지점으로 판단함으로써, 정확한 낙뢰지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거리 계산부(108)는 낙뢰지점 판단부(106)에 의해 판단되는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리 계산부(108)는 두 개의 전기설비1(10) 및 전기설비2(10)의 각각에 대하여 낙뢰지점 판단부(106)에 의해 판단되는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거리 계산부(108)는 각각의 전기설비(10)의 위치정보는 알고 있으며, 낙뢰지점 판단부(106)에 의해 판단되는 낙뢰지점의 위치에 근거하여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거리 계산부(108)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보조전력으로부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한다. 이때,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단계의 거리범위에 따라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거리 계산부(108)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대응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낙뢰로부터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교류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짧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거리 0 ~ 1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10분, 10 ~ 2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5분, 20 ~5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1분 등의 전환시간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거리 계산부(108)에 의해 계산되는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가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각각의 전기설비에 대응하는 교류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거리 계산부(108)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교류전력으로부터 보조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단계의 거리범위에 따라 교류전력에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거리 계산부(108)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대응하는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낙뢰로부터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교류전력에서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짧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거리 0 ~ 1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0.1초, 10 ~ 2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1초, 20 ~5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10초 등의 전환시간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거리 계산부(108)에 의해 계산되는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가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각각의 전기설비에 대응하는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교류전력에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은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짧은 전환시간을 결정하며, 보조전력에서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은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짧은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교류전력 전환부(112)는 낙뢰 감지부(102)에 의해 낙뢰가 감지된 시점부터 전환시간 결정부(110)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에 따라, 보조전력으로부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전기설비에 공급한다. 이를 통해, 교류전력 전환부(112)는 보조전력으로부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경우, 낙뢰지점으로부터 거리가 먼 전기설비부터 거리가 가까워지는 전기설비의 순서로 교류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전계강도 추정부(114)는 낙뢰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한 전계강도를 추정한다. 낙뢰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파형은 대체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파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각각의 전계파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각각의 파 사이의 간격이 짧아지며, 전계밀도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낙뢰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파형의 각각의 파의 전계량 주파수의 변화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를 통해, 전계강도 추정부(114)는 처음에 발생한 파로부터 각각의 파형의 전계밀도의 감소비율과 전계파의 수를 추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n차 연속적으로 발생한 낙뢰 중 어느 하나의 전계량을 측정하고, n차 연속적으로 발생된 낙뢰를 모두 통합하여 전계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전계강도의 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전계강도의 범위와 분류된 각각의 거리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교류전력에서의 보조전력의 전환시간, 및 보조전력에서의 교류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시간 결정부(110)는 거리 계산부(108)에 의해 계산되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와, 전계강도 추정부(114)에 의해 추정되는 낙뢰의 전계강도에 따라 교류전력에서의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시간, 또는 보조전력에서의 교류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오존테이블 작성부(116)는 낙뢰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한 오존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때, 오존테이블 작성부(116)는 전계강도 추정부(114)에 의해 추정되는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오존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낙뢰가 발생하면, 뇌전(공간에서 발생하는 전계강도, 전계량)이 발생한다. 이때, 오존테이블 작성부(116)는 뇌전에 의한 스파크가 감지되는 최초시점의 전하량(전계파형의 제1차 파)을 측정하며, 습도가 75% 이상인 지상낙뢰만 유효성 낙뢰로 판단하고 나머지는 공간잡음 낙뢰로 분류하여 오존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낙뢰 기록부(118)는 낙뢰 감지부(102)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는 시간, 낙뢰지점 판단부(106)에 의해 판단되는 낙뢰지점, 및 거리 계산부(108)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를 낙뢰정보로 저장한다. 이와 같은 낙뢰정보는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수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은 도 1에 나타낸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낙뢰를 감지한다(S110).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음향센서를 포함하며, 음향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낙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낙뢰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기재된 낙뢰의 감지방법은 낙뢰 감지의 예를 기재한 것일 뿐이며, 낙뢰 감지부(102)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낙뢰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낙뢰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적어도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낙뢰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낙뢰가 감지되면, 복수의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차단하며, 기 충전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전기설비에 공급한다(S120).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복수의 전기설비(10)에 대한 교류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고, 각각의 전기설비(10)에 보조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낙뢰지점 사이의 거리, 기 설정된 전환시간 등에 따라 각각의 전기설비(1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10)에 대한 교류전력을 차단하고,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감지되는 낙뢰에 대응하여, 낙뢰가 발생된 낙뢰지점을 판단한다(S130).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가 카메라를 통해해 번개를 감지하고, 번개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천둥소리를 감지하였다면, 번개에 기초하여 방향을 설정하고, 번개 및 천둥소리에 기초하여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낙뢰 감지지점(A)로부터 좁은 범위의 낙뢰발생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가 전체적으로 불빛의 번쩍임만을 감지하고 그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천둥소리를 감지하였다면, 낙뢰 감지지점(A)으로부터 넓은 범위의 낙뢰발생의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설정된 낙뢰발생의 범위가 광범위한 경우,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감지한 낙뢰발생의 범위에 기초하여 낙뢰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위치 A, B 및 C에서 모두 광범위한 범위의 낙뢰발생의 범위가 설정된 경우,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각각의 위치에서 설정된 낙뢰발생의 범위에 대한 낙뢰감지 반경이 교차하는 교차점을 낙뢰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감지된 낙뢰에 대하여 낙뢰감지 반경이 교차하는 교차지점을 낙뢰지점으로 판단함으로써, 정확한 낙뢰지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판단되는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S140). 예를 들어,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두 개의 전기설비1(10) 및 전기설비2(10)의 각각에 대하여 판단되는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각각의 전기설비(10)의 위치정보는 알고 있으며, 판단되는 낙뢰지점의 위치에 근거하여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감지되는 낙뢰에 대한 전계강도를 추정한다(S150). 낙뢰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파형은 대체로 다중파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각각의 전계파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각각의 파 사이의 간격이 짧아지며, 전계밀도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낙뢰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파형의 각각의 파의 전계량 주파수의 변화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를 통해,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처음에 발생한 파로부터 각각의 파형의 전계밀도의 감소비율과 전계파의 수를 추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n차 연속적으로 발생한 낙뢰 중 어느 하나의 전계량을 측정하고, n차 연속적으로 발생된 낙뢰를 모두 통합하여 전계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감지되는 낙뢰에 대한 오존 테이블을 작성한다(S160).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추정되는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오존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낙뢰가 발생하면, 뇌전(공간에서 발생하는 전계강도, 전계량)이 발생한다. 이때, 오존테이블 작성부(116)는 뇌전에 의한 스파크가 감지되는 최초시점의 전하량(전계파형의 제1차 파)을 측정하며, 습도가 75% 이상인 지상낙뢰만 유효성 낙뢰로 판단하고 나머지는 공간잡음 낙뢰로 분류하여 오존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보조전력으로부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한다(S170).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단계의 거리범위에 따라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계산되는 거리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대응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낙뢰로부터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교류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짧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거리 0 ~ 1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10분, 10 ~ 2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5분, 20 ~5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1분 등의 전환시간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계산되는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가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각각의 전기설비에 대응하는 교류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교류전력으로부터 보조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단계의 거리범위에 따라 교류전력에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계산되는 거리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대응하는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낙뢰로부터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교류전력에서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짧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거리 0 ~ 1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0.1초, 10 ~ 2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1초, 20 ~50km의 범위에 대응하여 10초 등의 전환시간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계산되는 각각의 전기설비(10)까지의 거리가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각각의 전기설비에 대응하는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교류전력에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은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짧은 전환시간을 결정하며, 보조전력에서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은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짧은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전계강도의 범위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며, 분류된 각각의 전계강도의 범위와 분류된 각각의 거리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교류전력에서의 보조전력의 전환시간, 및 보조전력에서의 교류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계산되는 낙뢰지점으로부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와, 추정되는 낙뢰의 전계강도에 따라 교류전력에서의 보조전력으로의 전환시간, 또는 보조전력에서의 교류전력으로의 전환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감지된 시점부터 결정되는 전환시간에 따라, 보조전력으로부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전기설비에 공급한다(S180). 이를 통해,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보조전력으로부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경우, 낙뢰지점으로부터 거리가 먼 전기설비부터 거리가 가까워지는 전기설비의 순서로 교류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100)는 낙뢰가 감지되는 시간, 판단되는 낙뢰지점, 및 계산되는 거리를 포함하는 낙뢰정보로 저장한다(S190). 이와 같은 낙뢰정보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낙뢰를 감지하는 낙뢰 감지부;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면, 복수의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차단하며, 기 충전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보조전력 전환부;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응하여, 낙뢰가 발생된 낙뢰지점을 판단하는 낙뢰지점 판단부;
    상기 낙뢰지점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상기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상기 거리 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하는 전환시간 결정부; 및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낙뢰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전환시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교류전력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한 전계강도를 추정하는 전계강도 추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시간 결정부는 상기 전계강도 추정부에 의해 추정되는 전계강도 및 상기 거리 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강도 추정부에 의해 추정되는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오존 테이블을 작성하는 오존테이블 작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는 시간, 상기 낙뢰지점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낙뢰지점, 및 상기 거리 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를 저장하는 낙뢰 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 감지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이 적어도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낙뢰를 감지하고,
    상기 낙뢰지점 판단부는 각각의 상기 낙뢰 감지부에 의한 낙뢰감지 반경의 교차지점을 낙뢰지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6.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에 있어서,
    낙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면, 복수의 전기설비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차단하며, 기 충전된 보조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응하여, 낙뢰가 발생된 낙뢰지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낙뢰지점 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되는 상기 낙뢰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거리 계산단계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낙뢰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전환시간 결정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여 각각의 상기 전기설비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감지되는 낙뢰에 대한 전계강도를 추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시간 결정단계는 상기 전계강도 추정단계에 의해 추정되는 전계강도 및 상기 거리 계산단계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보조전력으로부터 상기 교류전력으로 전환하는 전환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강도 추정단계에 의해 추정되는 전계강도에 대응하여 오존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해 낙뢰가 감지되는 시간, 상기 낙뢰지점 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되는 낙뢰지점, 및 상기 거리 계산단계에 의해 계산되는 거리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 감지단계는 적어도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낙뢰를 감지하고,
    상기 낙뢰지점 판단단계는 각각의 상기 낙뢰 감지단계에 의한 낙뢰감지 반경의 교차지점을 낙뢰지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방법.
KR1020200169216A 2020-12-07 2020-12-07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 KR10221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216A KR102218875B1 (ko) 2020-12-07 2020-12-07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216A KR102218875B1 (ko) 2020-12-07 2020-12-07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875B1 true KR102218875B1 (ko) 2021-02-23

Family

ID=7468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216A KR102218875B1 (ko) 2020-12-07 2020-12-07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8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173A (ja) * 2001-07-27 2003-02-14 Fujitsu Ltd 落雷情報提供方法、落雷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中央装置
KR20050081645A (ko) * 2004-02-16 2005-08-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낙뢰 위치 검출장치
KR20080040428A (ko) * 2006-11-03 2008-05-08 박성호 배전선로에서의 사고지점 감지장치
KR20080100715A (ko) * 2007-05-14 2008-11-19 (주)무한케이앤이 지능형 전원보호장치
KR20170103392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필코닉스 낙뢰감지센서 및 송전 자동차단시스템
KR20190083857A (ko) * 2018-01-05 2019-07-1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낙뢰감지센서를 이용한 전력 자동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1723A (ko) 2019-01-23 2020-07-31 삼현씨앤에스 주식회사 서지보호기의 고전류 낙뢰방지 보호회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173A (ja) * 2001-07-27 2003-02-14 Fujitsu Ltd 落雷情報提供方法、落雷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中央装置
KR20050081645A (ko) * 2004-02-16 2005-08-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낙뢰 위치 검출장치
KR20080040428A (ko) * 2006-11-03 2008-05-08 박성호 배전선로에서의 사고지점 감지장치
KR20080100715A (ko) * 2007-05-14 2008-11-19 (주)무한케이앤이 지능형 전원보호장치
KR20170103392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필코닉스 낙뢰감지센서 및 송전 자동차단시스템
KR20190083857A (ko) * 2018-01-05 2019-07-1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낙뢰감지센서를 이용한 전력 자동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1723A (ko) 2019-01-23 2020-07-31 삼현씨앤에스 주식회사 서지보호기의 고전류 낙뢰방지 보호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1690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улучшенной функцией повторного замыкания
US7366622B1 (en) Arc fault identification using model reference estimation
US721902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detection of fault current arcing in electric circuits
KR101519923B1 (ko) Ae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부분방전 검출 시스템
KR20070098598A (ko) 연속 아킹 기간에 특징이 있는 아크 결함 검출방법
KR102048367B1 (ko) 순시 전력 레벨의 시간 측정에 기초한 전원 차단 방법 및 장치
KR101550689B1 (ko)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ae센서 기반 수배전반의 아크 및 코로나 검출 시스템
US11283256B2 (en) Power interrup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phase measurement and arc detection of power level
CN110687444A (zh) 一种10kV真空断路器分合闸平均速度测试装置及方法
CN110011271A (zh) 接地漏电断路器
JP5030683B2 (ja) 地絡事故予知システムおよび地絡事故予知方法
US109580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 electric arc in a photovoltaic installation
KR102272834B1 (ko) 수배전설비의 이상상태 판단-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8875B1 (ko) 낙뢰에 대한 지능형 전력공급 전환장치 및 그 전력공급 전환방법
JP6509029B2 (ja) 分電盤
JP2019507344A (ja) 地絡故障を判断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4142608B2 (ja) 配電線の樹木接触監視装置
CN109342904A (zh) 一种电弧故障检测和预警的方法及装置
RU249620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ирова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функции защиты
KR102015329B1 (ko) 홀 센서와 전자로드를 이용한 비상방송용 스피커 라인의 폴트 검출 장치
KR20080040940A (ko)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CN103472310A (zh) 包括信号质量显示的用于绝缘监控的方法和装置
KR20210103786A (ko) 주파수별 매그니튜드의 변동량을 이용한 아크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20136952A (ko) 고저항 지락고장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298733A (zh) 一种电弧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