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848B1 -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퇴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 Google Patents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퇴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848B1
KR102218848B1 KR1020200081246A KR20200081246A KR102218848B1 KR 102218848 B1 KR102218848 B1 KR 102218848B1 KR 1020200081246 A KR1020200081246 A KR 1020200081246A KR 20200081246 A KR20200081246 A KR 20200081246A KR 102218848 B1 KR102218848 B1 KR 10221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fish tank
sculpture
ston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복수
Original Assignee
서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복수 filed Critical 서복수
Priority to KR102020008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반형태의 어항본체; 상기 어항본체의 중앙에 마련되는 배수구에 결합되는 연질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축방향으로 억지끼움 관통하여 결합하는 제1소켓; 상기 제1소켓의 중심홀에 하측이 축 결합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측이 축 결합되는 제2소켓; 상기 제2소켓의 상측에 결합되는 회전조형물; 및 상기 회전조형물에 결합되는 태양광램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퇴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stone fishbowl}
본 발명은 석재어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어항의 중앙에 석재 조형물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석재 조형물을 어항의 배수마개로 활용하여 어항에서 분리할 경우 어항 중앙의 배수구가 개방되어 내부의 물이 배수되어 석재어항을 이동하거나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석재어항 내부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에 관한 것이다.
수반은 물을 담아서 관상용 꽃을 꽂거나 괴석(怪石) 따위를 넣어 두는 그릇으로, 꽃과 괴석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관상어를 함께 넣어 두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수반을 어항으로 사용하는 경우 어류의 수명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물의 순환 구조 및 여과기능이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반적인 수반은 형상적인 특성으로 인해 수반에 담겨진 물의 수심은 비교적 낮은 편이며(통상적인 관상용 수반의 경우 수심은 대략 10cm 이하이다), 이로 인해 모래 또는 크기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자갈들을 수반의 바닥에 깔아서 여과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모래나 알갱이 형태의 자갈만을 이용해서 여과를 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이끼와 배설물 등에 의한 이물질이 수반 속에 쌓이게 되는 바, 이러한 이물질에 의해 수질이 나빠지게 됨으로써 물의 부패가 가속화되고, 이는 결국 수반속의 어류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 모래나 알갱이 형태의 자갈을 수반의 바닥에 깔고, 물의 순환 구조를 위해 수반 속에 펌프를 설치한 경우도 있으나, 펌프의 토출력과 흡입력에 의해 모래나 자갈이 수반 속에서 흩날리게 됨으로써 관상이란 용도에 부적한 상황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펌프의 흡입구에 모래나 자갈이 함께 흡입됨에 따라 펌프의 쉽게 고장나는 단점도 있다.
특히, 상기 수반형태의 어항 중에는 석재를 깍아서 고급스럽고 중후한 멋을 갖도록 하는 석재어항이 있다.
이러한 석재어항은 한번 설치되면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이동이 어렵고 한 자리에서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물갈이 및 어항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75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석재어항의 중앙에 석재 조형물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석재 조형물을 어항의 배수마개로 활용하여 어항에서 분리할 경우 어항 중앙의 배수구가 개방되어 내부의 물이 배수되어 석재어항을 이동하거나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석재어항 내부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반형태의 어항본체; 상기 어항본체의 중앙에 마련되는 배수구에 결합되는 연질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축방향으로 억지끼움 관통하여 결합하는 제1소켓; 상기 제1소켓의 중심홀에 하측이 축 결합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의 상측이 축 결합되는 제2소켓; 상기 제2소켓의 상측에 결합되는 회전조형물; 및 상기 회전조형물에 결합되는 태양광램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항본체는 바닥부 및 측면부로 이루어진 담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 중앙에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질커넥터는 어항본체의 배수구에 끼움 결합되는 원통형의 커넥터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몸체의 상단 외주연 둘레에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소켓은 연질커넥터의 내경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 관통하여 결합하는 중공관 형태의 소켓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몸체의 상측 단부의 외경을 확장시켜 걸림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소켓몸체의 외경에 는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면을 갖는 역린테두리를 등 간격 형성하고, 상기 걸림단부의 상면을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안내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재는 원반형태의 중앙분리단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분리단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상부축부를 형성하며, 상기 중앙분리단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부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축부 및 하부축부의 외주연 수직방향으로 줄무늬형태의 메탈베어링이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소켓은 회전축부재의 상부축부에 하측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기둥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부 상측 단부가 회전조형물과 억지 끼움 결합하는 조형물 결합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부의 하면을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안내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조형물은 석재조형물이고, 태양광램프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매립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램프모듈은 자가발전형 태양광패널 및 램프가 일체형 모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석재어항의 중앙에 석재 조형물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석재 조형물을 어항의 배수마개로 활용하여 어항에서 분리할 경우 어항 중앙의 배수구가 개방되어 내부의 물이 배수되어 석재어항을 이동하거나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석재어항 내부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어항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어항을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어항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어항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어항은 크게 어항본체(110), 연질커넥터(120), 제1소켓(130), 회전축부재(140), 제2소켓(150), 회전조형물(160), 태양광램프모듈(170), 받침대(180)로 구성된다.
먼저, 어항본체(110)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수반형태의 어항본체(110)가 개시된다.
상기 어항본체(110)는 석재를 가공하여 바닥부(111) 및 측면부(113)로 이루어진 담수공간(115)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111) 중앙에 배수구(117)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어항본체(110)의 중앙에 마련되는 배수구(117)에 연질커넥터(1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연질커넥터(120)는 연질의 금속재로 제작된 관체로서, 상대적으로 경질인 금속재로 제작된 제1소켓(130)의 축결합 시 외연이 확장되어 제1소켓(130)의 외면과 배수구(117) 사이의 틈새를 수밀 가능한 상태로 메꾸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연질커넥터(120)의 형상은 어항본체(110)의 배수구(117)에 끼움 결합되는 원통형의 커넥터몸체(121)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몸체(121)의 상단 외주연 둘레에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23)를 형성한다.
상기 플랜지부(123)는 배수구(117) 주변의 미려한 마감을 위해 형성함과 아울러 제1소켓(130)의 억지 끼움작업 시에 연질커넥터(120)가 배수구(117)를 통해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제1소켓(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넥터(120)를 축방향으로 억지끼움 관통하여 결합하는 제1소켓(130)이 개시된다.
상기 제1소켓(130)은 연질커넥터(120)의 내경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 관통하여 결합하는 중공관 형태의 소켓몸체(13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켓몸체(131)의 상측 단부의 외경을 확장시켜 걸림단부(133)를 형성하는데, 상기 걸림단부(133)는 제1소켓(130)의 끼움 결합 시에 하부방향으로의 진입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켓몸체(131)의 외경에는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면을 갖는 복수 개의 역린테두리(135)들을 등 간격 형성하는데, 상기 역린테두리(135) 들은 제1소켓(130)의 억지끼움 작업 시 진행방향으로 진입을 수월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역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역린테두리(135) 마다 연질커넥터(120)의 살부가 밀착됨에 따라 복수개의 밀폐링을 설치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부(133)의 상면을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안내면(137)을 형성하는데, 상기 경사안내면(137)의 상측단부가 어항본체(110) 바닥부(111)와 동일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배수 작업 시에 어항 내부에 잔류되는 물 없이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경사안내면(137)은 배수 작업 시에 물의 흐름을 하부로 유도하여 빠른 배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안내면(137)과 대향구조를 갖는 대응경사면(142)을 회전축부재(140)에도 형성함으로써, 상호 접촉면을 확대함과 아울러 자중에 의해 항시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물이 새 나가지 않도록 하는 배수마개의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은, 회전축부재(1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소켓(130)의 중심홀에 하측이 축 결합되는 회전축부재(140)가 개시된다.
상기 회전축부재(140)는 원반형태의 중앙분리단(14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중앙분리단(141)은 제1소켓(130)의 경사안내면(137)과 대향구조를 갖는 대응경사면(14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분리단(141)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상부축부(143)를 형성하며, 상기 중앙분리단(141)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부축부(145)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축부(143) 및 하부축부(145)의 외주연 수직방향으로 줄무늬형태의 메탈베어링(147)이 삽입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메탈베어링(147)은 면 접촉에 의한 회전축을 지지할 때 마찰계수를 낮추어서 베어링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제2소켓(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부재(140)의 상측이 축 결합되는 제2소켓(150)이 개시된다.
상기 제2소켓(150)은 회전축부재(140)의 상부축부(143)에 하측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기둥부(151)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부(151) 상측 단부가 회전조형물(160)과 억지 끼움 결합하는 조형물 결합단부(153)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부(151)의 하면을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안내면(155)을 형성한다.
다음은, 회전조형물(1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소켓(150)의 상측에 결합되는 회전조형물(160)이 개시된다.
첨부도면에서는 회전조형물(160)을 구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회전조형물(160)은 석재조형물이고, 태양광램프모듈(170)을 설치하기 위한 매립홈(161)을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조형물(160)에 결합되는 태양광램프모듈(170)은 자가발전형 태양광패널 및 램프가 일체형 모듈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회전형조형물(160)에 착탈 결합하여 사용 및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태양광램프모듈(170)에는 조도센서를 추가하여 낮에는 전기를 충전하고 야간에 램프가 켜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석재어항은 별도 제작되는 받침대(180)에 올려져서 사용될 수 있고, 어항본체(110)의 바닥부(111)로 관통된 제1소켓(130)의 단부에 튜브를 연결하여 배수된 물을 배수통으로 유인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석재어항의 중앙에 석재 조형물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석재 조형물을 어항의 배수마개로 활용하여 어항에서 분리할 경우 어항 중앙의 배수구가 개방되어 내부의 물이 배수되어 석재어항을 이동하거나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석재어항 내부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어항본체 111: 바닥부
113: 측면부 115: 담수공간
117: 배수구 120: 연질커넥터
121: 커넥터몸체 123: 플랜지부
130: 제1소켓 131: 소켓몸체
133: 걸림단부 135: 역린테두리
137: 경사안내면 140: 회전축부재
141: 중앙분리단 142: 대응경사면
143: 상부축부 145: 하부축부
147: 메탈베어링 150: 제2소켓
151: 기둥부 153: 조형물 결합단부
155: 경사안내면 160: 회전조형물
170: 태양광램프모듈 180: 받침대

Claims (8)

  1. 수반형태의 어항본체(110);
    상기 어항본체(110)의 중앙에 마련되는 배수구(117)에 결합되는 연질커넥터(120);
    상기 연질커넥터(120)를 축방향으로 억지끼움 관통하여 결합하는 제1소켓(130);
    상기 제1소켓(130)의 중심홀에 하측이 축 결합되는 회전축부재(140);
    상기 회전축부재(140)의 상측이 축 결합되는 제2소켓(150);
    상기 제2소켓(150)의 상측에 결합되는 회전조형물(160);
    상기 회전조형물(160)에 결합되는 태양광램프모듈(170);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재(140)는 원반형태의 중앙분리단(141)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분리단(141)은 제1소켓(130)의 경사안내면(137)과 대향구조를 갖는 대응경사면(142)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중앙분리단(141)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상부축부(143)를 형성하며, 상기 중앙분리단(141)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하부축부(145)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축부(143) 및 하부축부(145)의 외주연 수직방향으로 줄무늬형태의 메탈베어링(147)이 삽입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메탈베어링(147)은 면 접촉에 의한 회전축을 지지할 때 마찰계수를 낮추어서 베어링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항본체(110)는 바닥부(111) 및 측면부(113)로 이루어진 담수공간(115)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111) 중앙에 배수구(1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커넥터(120)는 어항본체(110)의 배수구(117)에 끼움 결합되는 원통형의 커넥터몸체(121)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몸체(121)의 상단 외주연 둘레에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2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130)은 연질커넥터(120)의 내경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 관통하여 결합하는 중공관 형태의 소켓몸체(131)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몸체(131)의 상측 단부의 외경을 확장시켜 걸림단부(133)를 형성하며, 상기 소켓몸체(131)의 외경에 는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면을 갖는 역린테두리(135)를 등 간격 형성하고, 상기 걸림단부(133)의 상면을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안내면(13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켓(150)은 회전축부재(140)의 상부축부(143)에 하측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기둥부(151)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부(151) 상측 단부가 회전조형물(160)과 억지 끼움 결합하는 조형물 결합단부(153)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부(151)의 하면을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안내면(15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형물(160)은 석재조형물이고, 태양광램프모듈(170)을 설치하기 위한 매립홈(16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램프모듈(170)은 자가발전형 태양광패널 및 램프가 일체형 모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배수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KR1020200081246A 2020-07-02 2020-07-02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퇴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KR10221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46A KR102218848B1 (ko) 2020-07-02 2020-07-02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퇴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46A KR102218848B1 (ko) 2020-07-02 2020-07-02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퇴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848B1 true KR102218848B1 (ko) 2021-02-22

Family

ID=7468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246A KR102218848B1 (ko) 2020-07-02 2020-07-02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퇴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8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868U (ja) * 1992-01-16 1993-07-27 富士子 望月 二重槽
KR20030052069A (ko) *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인출장치
KR20160057566A (ko) 2014-11-13 2016-05-24 (주)퐁당퐁당 수반 어항용 여과장치
KR20190077709A (ko) * 2017-12-26 2019-07-04 이영선 바다 생물을 위한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868U (ja) * 1992-01-16 1993-07-27 富士子 望月 二重槽
KR20030052069A (ko) *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인출장치
KR20160057566A (ko) 2014-11-13 2016-05-24 (주)퐁당퐁당 수반 어항용 여과장치
KR20190077709A (ko) * 2017-12-26 2019-07-04 이영선 바다 생물을 위한 인공어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0844B1 (en) Filter systems and methods for pond water pump systems
US20060218714A1 (en) Drain cover
US6684813B1 (en) Birdbath assembly and method
CA2099830A1 (en) Auto-flushing drainage filter system
JP2018188799A (ja) 排水釜場と釜場排水方法
US20170105393A1 (en) Kit for assembling an aquarium aquaponic assembly and aquarium aquaponic assemblies thereof
US10772307B1 (en) Skimmer assembly for ponds and water features
KR102218848B1 (ko) 회전형 조형물을 이용한 퇴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석재어항
US20040194719A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enhancing aquariums
KR20100009815A (ko) 염전용 해주
US6893557B2 (en) Skimmer basket weight
US5257643A (en) Dry hydrant
CN209845994U (zh) 一种室内生态观赏池
FR2784983A1 (fr) Amenagement d'espaces de baignade a epuration biologique
CN215289568U (zh) 一种市政雨水收集系统
CN210886828U (zh) 室外灯具自洁式安装结构
KR200188689Y1 (ko) 수반
CN211909781U (zh) 一种环保防尘市政道路用盆栽
KR101827500B1 (ko) 출몰식 바퀴가 구비되는 화분
CN217251364U (zh) 一种园林绿化施工用电动花盆清洁装置
JP2007296489A (ja) 水表面浮遊物除去用器具及び除去装置
KR102203724B1 (ko) 수족관, 저수지 등에 설치가능한 물순환 장치
TWI700993B (zh) 一種多功能潛水泵
CN114108782A (zh) 一种水源自净化更新的风景园林水景
KR20100094912A (ko) 수조용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