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593B1 -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593B1
KR102218593B1 KR1020200057402A KR20200057402A KR102218593B1 KR 102218593 B1 KR102218593 B1 KR 102218593B1 KR 1020200057402 A KR1020200057402 A KR 1020200057402A KR 20200057402 A KR20200057402 A KR 20200057402A KR 102218593 B1 KR102218593 B1 KR 102218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epezil
stabilizer
monothioglycerol
comparative example
related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우
신창열
김해선
차광호
김현정
현상민
마사오키 고토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케이엠 트랜스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케이엠 트랜스덤 엘티디 filed Critical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93B1/ko
Priority to CN202180034892.5A priority patent/CN115666536A/zh
Priority to CA3181045A priority patent/CA3181045C/en
Priority to EP21805158.9A priority patent/EP4149442A4/en
Priority to AU2021270155A priority patent/AU2021270155B2/en
Priority to PCT/KR2021/005930 priority patent/WO2021230647A1/en
Priority to MA58444A priority patent/MA58444B1/fr
Priority to MX2022013702A priority patent/MX2022013702A/es
Priority to US17/924,781 priority patent/US20230201131A1/en
Priority to JP2022568614A priority patent/JP7419565B2/ja
Priority to BR112022023127A priority patent/BR112022023127A2/pt
Priority to PE2022002555A priority patent/PE20240490A1/es
Priority to ZA2022/11680A priority patent/ZA202211680B/en
Priority to CL2022002984A priority patent/CL2022002984A1/es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네페질을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 경피 흡수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약물함유층에 안정화제로서 티오시안산염과 차카테킨,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소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 또는 모노티오글리세롤과 차카테킨,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또는 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 경피 흡수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기가혹시험(70℃ 48시간 보관), 장기가속시험 1(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및 장기가속시험 2(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도네페질 함유 경피흡수 제제는 도네페질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유연물질 생성을 감소시켜 장기간 보존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Percutaneous Absorption Preparation Comprising Donepezil with Improved Stability}
본 발명은 단기간 뿐만 아니라 장기간 보관 조건에서도 도네페질 유연물질 생성을 억제시켜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에 관한 것이다.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인 도네페질은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약물로서 대표적인 시판제품으로는 아리셉트® 경구용 정제가 있다. 초기 복용자는 부작용을 고려하여 4~6주간은 5mg를 복용하고, 이 기간 동안 임상적 반응을 평가한 후 1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그리고 최소 3개월 동안 10mg을 복용한 환자에게 23mg으로 용량을 증가시켜 투여 가능하다. 그러나 도네페질 함유 경구용 정제의 경우 복용 시, 급격한 혈중 농도 상승으로 인해 오심, 구토, 설사 등의 부작용이 심하고, 연하 능력이 저하된 노인 환자들의 경우 복약 편의성이 문제로 발생할 뿐 아니라, 치매 환자는 스스로 규칙적인 치료제 복용이 쉽지 않아, 환자의 순응도가 크게 떨어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도네페질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치매치료용 경피 흡수제제 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국내외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경피 흡수제제는 통상 전신작용을 얻기 위해서 제제 중에 비교적 고농도로 도네페질을 배합하여야 하는데, 도네페질은 열/빛/수분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다양한 유연물질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어, 보관 중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화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제시되어 왔다.
한편, 유럽 의약청(European Medicines Agency)에서 발행한 “Guideline on quality of transdermal patches”에 따르면, 경피 흡수제제에서의 유연물질은 국제의약품규제 조화위원회(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z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ICH)에서 발간한 가이드라인, ICH Q3B에 따라 유연물질 기준을 관리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ICH Q3B에서의 유연물질은 1일 투여량에 따라 일반적인 유연물질 설정 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며, 주성분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유연물질 중 특정 유연물질의 독성 정도에 따라 그 유연물질의 기준을 상향 또는 하향 시킬 수 있다.
미국 약전에서는 도네페질이 분해되어 발생할 수 있는 유연물질에 대하여 기준을 설정하여 도네페질 함유 정제에 대해 관리를 하고 있으며, 기준을 초과하는 유연 물질 발생 시 유연물질에 의한 독성을 고려하여 사용을 금하고 있다.
주성분이 분해되어 발생하는 유연물질을 평가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 평가하며,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사용하는 분석 조건(컬럼 조건, 이동상 조건, 흡수 파장 등)에 따라 분석할 수 있는 유연 물질의 종류가 달라지며, 미국 약전에서는 도네페질 유연물질 분석법을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는(이하 ‘제1법’이라 한다) 도네페질 유연물질 중 Desbenzyl donepezil, Donepezil open ring, Donepezil N-oxide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 3가지 유연물질에 대해서 각각 0.5% 이하로, 그리고 이 외 미지 유연물질에 대해서는 0.2% 이하로 관리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두번째 방법으로는(이하 ‘제2법’이라 한다) 도네페질 유연물질 중 Desbenzyl donepezil, Donepezil pyridine analog, Donepezil quaternary salt, Donepezil indene analog, Deoxydonepezil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 5가지 유연물질에 대해서 각각 0.15% 이내로, 그리고 이 외 미지 유연물질에 대해서는 0.1% 이하로, 총 유연물질은 1.0% 이내로 관리하기를 권고하고 있으며, 도네페질 함유 제제에서 상기 5종의 유연물질이 잠재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시, 제1법 보다는 제2법으로 유연물질을 관리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도네페질 유연물질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는 미국특허공보 제6,372,76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제10-0866720호, 제10-1408500호, 제10-1408454호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게재되어 있다.
미국특허공보 제6,372,760호는 유기산 첨가를 통해 도네페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6720호는 고분자량 산성 물질과 고분자량 염기성 물질 첨가를 통해 도네페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나, 상기 종래기술은 경구제, 시럽제 등의 경구 투여 제제를 제안한 것으로, 경피 흡수제제에 대한 안정화제의 적용을 교시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는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금속염 또는 에스테르, 이소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금속염,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또는 그의 금속염, 시스테인, 아세틸시스테인,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3(2)-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2,6-디-t-부틸-4-메틸페놀,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펜타에리트리톨,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아세트산토코페롤, 루틴, 쿠에르세틴, 히드로퀴논, 히드록시메탄술핀산 금속염, 메타중아황산 금속염, 아황산 금속염 및 티오황산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경피 흡수제제에서 도네페질 유연 물질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안정화제는 유연물질(Donepezil N-oxide, Desbenzyl donepezil) 및 총 유연물질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단기 가혹 조건(70℃ 48시간)에서 미국약전에서 제시된 분석법 중 1법만을 통해 유연물질을 평가하여 도네페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유연물질을 장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고 보기 힘든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500호 및 제10-1408454호에는 이소아스코르브산,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히드록시메탄술폰산금속염, 루틴, 2,6-디-t-부틸-4-메틸페놀, 아스코르브산 및 메타중아황산 금속염 등의 안정화제 2종을 조합 사용하여 경피 흡수제제에서 도네페질 유연 물질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단일 안정화제로는 2종의 유연물질(Donepezil N-oxide, Desbenzyl donepezil) 및 총 유연물질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으며, 2종의 안정화제를 조합 사용시 도네페질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유연물질 중 2종의 유연물질(Donepezil N-oxide, Desbenzyl donepezil) 및 총 유연물질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단기 가혹 조건에서 미국약전에서 제시된 분석법 중 1법만을 통해 유연물질을 평가하여 도네페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유연물질을 장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고 보기 힘든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는 티오시안산염(적합하게는, 칼륨염), 모노티오글리세롤 또는 다이메틸티오유리아 사용시 단일 안정화제로만으로도 경피 흡수제제에서 도네페질 유연 물질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다른 종래기술과 달리 미국약전에서 제시된 분석법인 1법과 2법을 모두 평가하여 단기 가혹 조건에서 적합한 유연물질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다른 종래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500호 및 제10-1408454호)에 개시되어 있는 도네페질 경피 흡수제제는 미국약전에서 제시된 분석법인 1법 및/또는 2법 기준에 부적합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개시되어 있는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상업화하기 위해 개발하던 중에 장기간 보관시 안정성 평가에서 미국약전에 제시된 분석법인 1법과 2법의 유연물질 적합기준을 벗어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개시되어 있는 안정화제 다이메틸티오유리아는 의약품 분야에서 허가되지 않는 물질이므로 본 발명의 개발 후보군에서 배제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개시되어 있는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염, 모노티오글리세롤을 사용하여 단기간 뿐만 아니라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연구한 결과, 단기간 및 장기간 보관 조건에서도 도네페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유연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한 안정화제를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개시되어 있는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염, 모노티오글리세롤을 사용하여 단기간 뿐만 아니라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기가혹조건 및 장기가속조건 시험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층, 약물함유층, 박리층으로 구성된 도네페질 경피 흡수제제에 있어서, 약물함유층은 점착기제 및 유효성분으로서 도네페질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안정화제로서 티오시안산염과 차카테킨,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소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 또는 모노티오글리세롤과 차카테킨, (+)-카테킨 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경피 흡수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약물함유층에 사용되는 상기 도네페질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자유염기(free base) 형태인 도네페질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바람직한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산성 및 경피 흡수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약물함유층에는 자유염기 형태의 도네페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피 흡수제제 중에 함유되는 도네페질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약물함유층에서 도네페질의 분산성 및 경피 흡수성을 고려하면, 도네페질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약물함유층 중량 대비 1 ~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10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ⅰ) 티오시안산염과 차카테킨,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소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 또는 (ⅱ) 모노티오글리세롤과 차카테킨, (+)-카테킨 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이며, 티오시안산염과 차카테킨,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소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은 안정화제로 모노티오글리세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염은 산화방지제 성분으로, 티오시안산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염으로 칼륨, 나트륨,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수은, 코발트, 납, 구리, 은, 리튬, 철, 니켈, 바륨, 카드뮴, 아연, 세슘, 탈리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염으로 에틸, 메틸, 구아니딘, 벤질,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테트라메틸암모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티오시안산칼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약물함유층에 함유되며 안정화제의 중량 비율은 약물함유층의 물성에 악영향을 제공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안정화제의 비율의 상한값의 바람직한 예는, 약물함유층 (즉, 약물함유층 형성에 사용하는 조합물의 고형분 총 중량)에 기초하여, 그의 총량으로서 5 중량%를 초과하면 약물함유층의 점착력 등의 물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고, 0.0005 중량%를 하회하면 충분한 안정화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안정화제의 중량 비율은 약물함유층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5 중량%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 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 2 중량%이고, 예를들어, 3종의 안정화제 혼합시에 티오시안산염은 도네페질 총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 50 중량% 함유되고, 안정화제 2종 및 안정화제 3종의 혼합물은 티오시안산염 총중량에 대하여 1 중량% ~ 50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기제에 있어서, 점착기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계 고분자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점착기제로는, 고무계 점착제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이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 내 스티렌 함량 및 다이블록 (diblock) 함량에 따라 녹는점, 용액 점도 등 다양한 성질이 변화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일본 의약품 첨가물 규격집 2013년판에 기재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 측정 방법”에 따라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용액 점도를 측정하였을 시, 용액 점도의 하한은 0.5 Pa * s 이상, 바람직하게는 0.7 Pa *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Pa * s 이상이고, 용액 점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 Pa * s 이하, 바람직하게는 1.8 Pa * s 이하이다.
약물함유층 중의 점착기제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약물함유층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고,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약물의 피부투과도 감소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물함유층 중의 점착기제의 함유량은 10 중량% 이상 ~ 7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 ~ 6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 60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 ~ 55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경피흡수형 제형에 있어서의 점착물 조성물에는 가소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소제로서는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계 프로세스 오일, 방향족계 프로세스 오일, 올리브유, 동백유, 톨유, 피마자유,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미네랄 오일,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카프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성분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이와 같은 가소제의 배합량은 경피 흡수제제의 충분한 응집력의 유지를 고려하여 약물함유층 중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10중량% 이상 ~ 8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 ~ 7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상 ~ 7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 65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약물함유층에는 경피 흡수제제의 점착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점착부여수지를 추가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점착부여수지로는, 로진유도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테르펜수지를 대표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점착부여제가 약물함유층에 함유되는 경우, 약물함유층 중의 점착부여제의 함량은 피부 자극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이다. 그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중량% 이하이며, 점착부여제가 없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패치의 피부 접착력과 관련하여, 점착부여제의 함량은 약물함유층 내의 도네페질,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가용화제 및 가소제의 종류 및 배합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점착부여제 첨가 없이 충분한 피부 점착력을 가질 경우 점착 부여제는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지지층의 "지지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피흡수제제 등에 범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 직포 또는 부직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탄 등의 발포성 지지체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복수종이 적층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지지체에 정전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체를 구성하는 전기직포, 부직포, 필름 등에 대전방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점착제층과의 양호한 투묘성을 얻기 위해 지지체로서 부직포 혹은 직포, 또는 필름의 적층체를 이용할 수 있다.지지체의 두께는 필름에 대해서는 보통 10μm~100μm, 선호도는 15μm~50μm이며, 직포, 부직포, 발포성 지지체 등의 다공성 시트에 대해서는 통상 50μm~2,000μm, 바람직한 것은 100μm~1,000μm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박리층은 경피흡수제제 등에 범용되는 일반적인 박리라이너를 사용할 수 있다. 박리라이너로서는 글라신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등의 수지필름, 알루미늄 필름, 발포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발포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 혹은 전기 중 2종 이상의 적층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실리콘 가공한 것이나 불소 수지로 가공한 것, 엠보스가공, 친수성이공, 소수성이공 등을 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통상 10μm~200μm, 좋게는 15μm~150μm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경피흡수 제제는 첨가물, 용해제, 경피흡수 촉진제, 향미제, 착색제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피흡수 제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경피흡수제제 제조방법, 예를 들어 대한민국약전 제제총칙 경피흡수제제 제조 방법과 같은 방법, 즉 점착기제, 도네페질, 안정화제 및 가소제 등을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조합하고, 얻어진 용액 또는 분산액을 박리층의 표면상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지지체를 합지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로서, (1) 유기용매에 도네페질 및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제 혼합물을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박리층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약물 함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3)상기 약물 함유층을 지지층과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도네페질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용매에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헥산, 2-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메틸렌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들 수 있으며, 점착기제 등을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온도가 높을수록 용매 증발 가능성이 높아지며 또한 온도에 따라 도네페질이 분해되어 유연물질이 다량 생성될 수 있어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양태에서 얻어진 용액 또는 분산액을 박리층의 표면상에 도포하는 방법, 건조하는 방법, 그리고 지지체 합지 방법은 통상적인 경피흡수제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기가혹시험(70℃ 48시간 보관), 장기가속시험 1(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및 장기가속시험 2(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유연물질의 경시적인 변화를 확인하여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네페질 함유 경피흡수 제제는 단기가혹조건 뿐만 아니라 장기가속조건에서도 도네페질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유연물질 생성을 감소시켜 미국약전 제1법 및 제2법의 유연물질 관리 기준에 적합한 것으므로 장기간 보존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3> 본 발명에 따른 경피흡수 제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16g,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4.7g,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6.5g, 테르펜수지 2g 및 도네페질 1.3g을 에틸아세테이트 27g에 녹여 도네페질이 함유된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하기 [표 1]에 기재된 안정화제에 따라 총량 0.13g(각 1/n 함유)을 메탄올 1g에 녹인 후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에 혼합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실리콘 코팅된 PET 필름에 도포하여 80℃ 오븐에서 30분간 건조시킨 후 지지 필름 (Backing film)과 합지하여 경피 흡수제제를 제조하여 각각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3으로 하였다.
Figure 112020127683418-pat00025
<비교예 1>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피흡수 제제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하여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2 내지 4>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티오시안산칼륨 및/또는 모노티오글리세롤을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중 티오시안산칼륨 또는 모노티오글리세롤을 각각 또는 혼합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하여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로 하였다.
<비교예 5 내지 16> 비교예 2 내지 4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시트르산, 타타르산 또는 및 벤조산을 안정화제로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미국특허공보 제6,372,760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중 시트르산, 타타르산 또는벤조산을 포함하는 경피흡수 제제를 각각 비교예 5 내지 7로 하고, 위 비교예 2 내지 4에 미국특허공보 제6,372,760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중 시트르산, 타타르산 및 벤조산의 각 1종 안정화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하여 각각 비교예 8 내지 16으로 하였다.
Figure 112020048521624-pat00002
<비교예 17 내지 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500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2종을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500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중 유연물질인 Donepezil N-oxide, Desbenzyl donepezil 및 총 유연물질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던 하기 표 3에 기재된 안정화제 2종의 4군을 선택하여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하여 비교예 17 내지 20으로 하였다.
Figure 112020048521624-pat00003
<비교예 21> 안정화제 2종을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454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아스코르브산과 메타중아황산나트륨을 각각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하여 비교예 21로 하였다.
<비교예 22 내지 4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각종 안정화제를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및 각종 안정화제를 하기 표 4에 기재된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하여 비교예 22 내지 49로 하였다.
Figure 112020048521624-pat00004
<비교예 50 내지 67>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각종 안정화제를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안정화제로서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중 표 5에 기재된 안정화제를 각각 혼합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하고, 각각 비교예 50 내지 67로 하였다.
Figure 112020048521624-pat00005
<비교예 68 내지 86> 모노티오글리세롤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각종 안정화제를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안정화제로서 모노티오글리세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과 동일 화합물임)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중 표 6에 기재된 안정화제를 각각 혼합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하고, 각각 비교예 68 내지 86으로 하였다.
Figure 112020048521624-pat00006
<비교예 87 내지 104> 티오시안산칼륨 및 모노티오글리세롤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각종 안정화제를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안정화제로서 티오시안산칼륨 및 모노티오글리세롤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중 표 7에 기재된 안정화제를 각각 혼합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경피흡수 제제를 제조하고, 각각 비교예 87 내지 104로 하였다.
Figure 112020048521624-pat00007
<실험예 1> 단기가혹조건 70℃ 48시간 보관 후 제1법에 의한 유연 물질 평가
단기간 보관시 도네페질 유연 물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경피흡수 제제를 단기가혹조건인 70℃ 48시간 보관 후, 하기와 같이 제1법으로 유연물질을 평가하였다.
1. 유연물질 분석법 제1법
유연물질 분석법 제1법의 경우, 각각의 경피 흡수제제를 에틸아세테이트에 60분 동안 교반하여 녹인 후, 메탄올을 첨가하여 60분 동안 교반한 다음, 5분 동안 원심 분리한 상등액을 검액으로 하여 미국 약전 “도네페질 정제” 항의 유연물질 분석법 제1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표준액은 도네페질 염산염 표준품을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15:85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0.8 ug/mL 이 되게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1법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조건>
컬럼: 이너트실 ODS-2 (4.6 X 150 mm, C18, 5 um)
이동상: 1-데칸술폰산 나트륨 2.5 g을 정제수 650 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70% 과염소산용액 1 mL과 아세토니트릴 350 mL을 첨가한 액을 이동상으로 한다.
컬럼온도: 35℃
유속: 1.4 mL/min
샘플 주입량: 20 uL
자외부 흡광광도계: 271 nm
유연물질 계산식
유연물질 % = (Ru/Rs) X (Cs/Cu) X (1/F) X 100
Ru : 검액 중 각 유연물질의 피크 면적
Rs : 표준액 중 도네페질 피크 면적
Cs : 표준액 농도 (mg/mL)
Cu : 검액 농도 (mg/mL)
F : 개개 유연물질의 상대적인 보정 계수
Figure 112020048521624-pat00008
2. 유연물질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경피흡수 제제를 단기가혹조건인 70℃ 48시간 보관한 후 제1법에 의해 분석한 도네페질 유연 물질 생성량은 표 8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8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화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1법에서는 도네페질이 분해되어 상대유지시간 0.53(미지 유연물질), 1.2(Donepezil N-oxide) 및 총 유연물질에서 많은 양의 유연물질이 생성되어 도네페질 경피흡수 제제는 유연물질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정화제가 필요한 제제임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비교예 2), 모노티오글리세롤(비교예 3)과 상기 2종의 안정화제(티오시안산칼륨/모노티오글리세롤)를 혼합하여 포함된 경피흡수 제제의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유연물질 생성량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뛰어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미국특허공보 제6,372,760호에 기재된 유기산인 시트르산과 타타르산 및 벤조산을 사용한 비교예 5 내지 7의 경우, 상대유지시간 1.2(Donepezil N-oxide)은 미국 약전에 제시한 기준에 부적합하였나, 이를 비교예 2 내지 4에 각각 혼합한 비교예 8 내지 16의 경우, 상대유지시간 1.2(Donepezil N-oxide)을 현저히 감소시켜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500호 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454호에 기재된 2종의 안정화제를 혼합한 비교예 17 내지 비교예 21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유연물질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를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22 내지 44의 경우, 비교에 23(시스테인), 비교예24(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비교예 30(히드록시메탄술폰산나트륨) 및 비교예 33(티오황산나트륨)는 개개 유연물질이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대부분의 안정화제를 단독으로 첨가시에 부적합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와 종래에 알려진 안정화제를 2종 혼합한 비교예 45 내지 49의 경우, 비교예 45(2,6-디-t-부틸-4-메틸페놀/차카테킨), 비교예 48(2,6-디-t-부틸-4-메틸페놀/이소아스코르브산) 및 비교예 49(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이소아스코르브산)는 미국 약전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고, 비교예 46(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차카테킨) 및 비교예 47(티오황산나트륨/차카테킨)는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50 내지 67의 경우, 대부분의 안정화제는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비교예 53(티오시안산칼륨/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비교예 57(티오시안산칼륨/하이드로퀴논), 비교예 62(티오시안산칼륨/프로필 갈레이트) 및 비교예 64(티오시안산칼륨/(+)-알파-토코페롤)은 개개 유연물질이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68내지 86의 경우, 대부분의 안정화제는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비교예 71(모노티오글리세롤/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과 비교예 82(모노티오글리세롤/(+)-알파-토코페롤/)은 개개 유연물질이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 및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87 내지 104의 경우, 대부분의 안정화제는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비교예 90(티오시안산칼륨/모노티오글리세롤/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비교예 94(티오시안산칼륨/모노티오글리세롤/하이드로퀴논), 비교예 99(티오시안산칼륨/모노티오글리세롤/프로필 갈레이트) 및 비교예 101(티오시안산칼륨/모노티오글리세롤/(+)-알파-토코페롤)은 개개 유연물질이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3의 경우, 개개 유연물질이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뛰어난 안정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0127683418-pat00026
Figure 112020048521624-pat00010
Figure 112020048521624-pat00011
Figure 112020048521624-pat00012
Figure 112020048521624-pat00013
1) RRT 0.33: Desbenzyldonepezil, 0.5% 이내
2) RRT 0.48: 미지유연물질, 0.2% 이내
3)RRT 0.53: 미지유연물질, 0.2% 이내
4) RRT 0.7: Donepezil open ring, 0.5% 이내
5) RRT 1.2: Donepezil N-oxdie, 0.5% 이내
* 붉은색 : 부적합
<실험예 2> 단기가혹조건 70℃ 48시간 보관 후 제2법에 의한 유연 물질 평가
도네페질 유연 물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경피흡수 제제를 단기가혹조건 70℃ 48시간 보관 후, 하기와 같이 제2법으로 유연물질을 평가하였다.
1. 유연물질 분석법 제2법
유연물질 분석법 제2법의 경우, 각각의 경피 흡수제제를 에틸아세테이트에 60분동안 교반하여 녹인 후, 0.1N 염산:메탄올이 25:75로 혼합한 용액을 첨가하여 60분 동안 교반한 후, 5분 동안 원심 분리한 상등액을 검액으로 하여 미국 약전 “도네페질 정제” 항의 유연물질 분석법 제2법에 따라 하기 표 10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표준액은 도네페질 염산염 표준품을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0.1N 염산=100:675:225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10 ug/mL 이 되게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2법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조건>
컬럼: Capcellpak (4.6 X 250 mm, C18,5 um)
이동상 A: 인산 1 mL을 정제수 1 L에 첨가한 후, 트리에틸아민을 이용하여 pH를 6.5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여과한 뒤 초음파세척기로 기포를 제거하여 이동상으로 사용하였다.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Figure 112020048521624-pat00014
컬럼온도: 50℃
유속: 1.5 mL/min
샘플 주입량: 20 uL
자외부 흡광광도계: 286 nm
유연물질 계산식
유연물질 % = (Ru/Rs) X (Cs/Cu) X (1/F) X 100
Ru : 검액 중 각 유연물질의 피크 면적
Rs : 표준액 중 도네페질 피크 면적
Cs : 표준액 농도 (mg/mL)
Cu : 검액 농도 (mg/mL)
F : 개개 유연물질의 상대적인 보정 계수
Figure 112020048521624-pat00015
2. 유연물질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경피흡수 제제를 단기가혹조건인 70℃ 48시간 보관한 후 제2법에 의해 분석한 도네페질 유연 물질 생성량은 표 9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9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경피흡수제제(비교예 1)는 제2법 실험결과에서 도네페질이 분해되어 상대유지시간 0.49(Donepezil pyridine analog), 0.57(미지 유연물질), 1.08(미지 유연물질) 및 총 유연물질에서 기준 이상의 유연물질이 생성되므로 안정화제가 필요한 제제임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비교예 2), 모노티오글리세롤(비교예 3)과 상기 2종의 안정화제를 혼합하여 포함된 경피흡수 제제(비교예 4)의 경우, 단기가혹조건(70℃ 48시간 보관)에서 유연물질 생성량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뛰어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미국특허공보 제6,372,760호에 기재된 유기산인 시트르산, 타타르산 및 벤조산을 사용한 비교예 5 내지 7의 경우는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고, 상기 안정화제와 비교예 2 내지 4의 안정화제와 혼합한 비교예 8 내지 16의 경우에도 단기가혹조건에서 유연물질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했던 실험결과와 달리 제2법 기준에 모두 부적합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500호 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454호에 기재된 2종의 안정화제를 혼합한 비교예 17 내지 비교예 21의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유연물질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했던 실험결과와 달리 제2법 기준에 모두 부적합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및 종래 알려진 안정화제를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22 내지 44의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일부 안정화제를 포함한 경피흡수 제제는 유연물질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했던 실험결과와 달리 제2법 기준에 모두 부적합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와 종래에 알려진 안정화제를 2종 혼합한 비교예 45 내지 49도 모두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50 내지 67의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유연물질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대부분 적합했던 실험결과와 달리 비교예 67(티오시안산칼륨/루틴)만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적합하였고, 그 외 모두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부적합 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인 비교예 68 내지 86의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유연물질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대부분 적합했던 실험결과와 달리 비교예 68(모노티오글리세롤/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비교예 70(모노티오글리세롤/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비교예 72(모노티오글리세롤/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비교예 74(모노티오글리세롤/케르세틴2수화물), 비교예 75(모노티오글리세롤/하이드로퀴논), 비교예 78(모노티오글리세롤/아황산나트륨), 비교예 79(모노티오글리세롤/티오황산나트륨), 비교예 80(모노티오글리세롤/프로필 갈레이트), 비교예 81(모노티오글리세롤/1,3-부탄디올), 비교예 83(모노티오글리세롤/알파-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비교예 85(모노티오글리세롤/루틴) 및 비교예 86(모노티오글리세롤/이소아스코르브산)만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대부분 적합하였을 뿐, 비교예 69(모노티오글리세롤/시스테인), 비교예 71(모노티오글리세롤/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비교예 73(모노티오글리세롤/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디-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비교예 76(모노티오글리세롤/히드록시메탄술폰산나트륨), 비교예 77(모노티오글리세롤/메타중아황산나트륨), 비교예 82(모노티오글리세롤/(+)-알파-토코페롤) 및 비교예 84(모노티오글리세롤/벤조트리아졸)는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부적합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 및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87 내지 104의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유연물질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대부분 적합했던 실험결과와 달리 비교예 104(모노티오글리세롤/티오시안산칼륨/루틴)만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적합하였고, 그 외 모두 제2법 기준에 부적합 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3의 경우, 개개 유연물질이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뛰어난 안정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0127683418-pat00027
Figure 112020048521624-pat00017
Figure 112020048521624-pat00018
Figure 112020048521624-pat00019
Figure 112020048521624-pat00020
1) RRT 0.23: Desbenzyldonepezil, 0.15% 이내
2) RRT 0.49: Donepezil pyridine analog, 0.15% 이내
3) RRT 0.57: 미지유연물질, 0.1% 이내
4) RRT 0.68: Donepezil quaternary salt, 0.15% 이내
5) RRT 1.03: 미지유연물질, 0.1% 이내
6) RRT 1.08: 미지유연물질, 0.1% 이내
7) RRT 1.7: Donepezil indene analog, 0.15% 이내
8) RRT 2.1: Deoxydonepezil, 0.15% 이내
* 붉은색 : 부적합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로부터, 단기가혹조건 70℃, 48hr에서 미국약전에서 제시한 유연물질 분석법 제1법 및 제2법의 기준에 모두 적합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2 내지 4(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티오시안산칼륨 및/또는 모노티오글리세롤을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비교예 67(티오시안산칼륨/루틴), 비교예 68(모노티오글리세롤/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비교예 70(모노티오글리세롤/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비교예 72(모노티오글리세롤/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비교예 74(모노티오글리세롤/케르세틴2수화물), 비교예 75(모노티오글리세롤/하이드로퀴논), 비교예 78(모노티오글리세롤/아황산나트륨), 비교예 79(모노티오글리세롤/티오황산나트륨), 비교예 80(모노티오글리세롤/프로필 갈레이트), 비교예 81(모노티오글리세롤/1,3-부탄디올), 비교예 83(모노티오글리세롤/알파-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비교예 85(모노티오글리세롤/루틴), 비교예 86(모노티오글리세롤/이소아스코르브산) 및 비교예 104(모노티오글리세롤/티오시안산칼륨/루틴)에서 제조된 경피흡수 제제였다.
<실험예 3> 장기가속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유연 물질 평가
도네페질 경피 흡수 제제를 장기간 보관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 및 2의 단기가혹조건에서 유연물질의 생성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2, 3, 4, 67, 68, 70, 72, 74, 75, 78, 79, 80, 81, 83, 85, 86 및 104를 대상으로 하여 40℃ 상대습도 75% 장기가속시험 조건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 상기 실험예 1의 제1법 및 제2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연물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 및 표 11에 나타내었다.
1. 제1법의 분석에 의한 유연물질 평가
하기 표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경피흡수제제(비교예 1)는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1법 실험결과에서 도네페질이 분해되어 상대유지시간 0.53(미지 유연물질), 1.2(Donepezil N-oxide) 및 총 유연물질에서 기준 이상의 유연물질이 생성되므로 안정화제가 필요한 제제임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비교예 2)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1법 기준에 부적합하였으나, 모노티오글리세롤(비교예 3)과 상기 2종의 안정화제(티오시안산칼륨/모노티오글리세롤)를 혼합하여 포함된 경피흡수 제제(비교예 4)는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루틴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인 비교예 67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인 비교예 75(모노티오글리세롤/하이드로퀴논) 및 비교예 80(모노티오글리세롤/프로필 갈레이트)의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한 것과는 달리,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1법 기준에 부적합하였으나, 비교예 68(모노티오글리세롤/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비교예 70(모노티오글리세롤/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비교예 72(모노티오글리세롤/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비교예 74(모노티오글리세롤/케르세틴2수화물), 비교예 78(모노티오글리세롤/아황산나트륨), 비교예 79(모노티오글리세롤/티오황산나트륨), 비교예 80(모노티오글리세롤/프로필 갈레이트), 비교예 81(모노티오글리세롤/1,3-부탄디올), 비교예 83(모노티오글리세롤/알파-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비교예 85(모노티오글리세롤/루틴) 및 비교예 86(모노티오글리세롤/이소아스코르브산)은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 및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루틴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104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3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뛰어난 안정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0127683418-pat00028
Figure 112020048521624-pat00022
1) RRT 0.33: Desbenzyldonepezil, 0.5% 이내
2) RRT 0.48: 미지유연물질, 0.2% 이내
3) RRT 0.53: 미지유연물질, 0.2% 이내
4) RRT 0.7: Donepezil open ring, 0.5% 이내
5) RRT 1.2: Donepezil N-oxdie, 0.5% 이내
* 붉은색 : 부적합
2. 제2법의 분석에 의한 유연물질 평가
하기 표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경피흡수제제(비교예 1)는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2법 실험결과에서 도네페질이 분해되어 상대유지시간 0.49(Donepezil pyridine analog), 0.57(미지 유연물질) 및 총 유연물질에서 기준 이상의 유연물질이 생성되므로 안정화제가 필요한 제제임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비교예 2) 및 모노티오글리세롤(비교예 3)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으나, 상기 2종의 안정화제(티오시안산칼륨/모노티오글리세롤)를 혼합하여 포함된 경피흡수 제제(비교예 4)는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2법 기준에 적합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루틴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인 비교예 67의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적합한 것과는 달리,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인 비교예 68(모노티오글리세롤/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비교예 70(모노티오글리세롤/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비교예 72(모노티오글리세롤/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비교예 74(모노티오글리세롤/케르세틴2수화물), 비교예 75(모노티오글리세롤/하이드로퀴논), 비교예 78(모노티오글리세롤/아황산나트륨), 비교예 79(모노티오글리세롤/티오황산나트륨), 비교예 80(모노티오글리세롤/프로필 갈레이트), 비교예 81(모노티오글리세롤/1,3-부탄디올) 및 비교예 83(모노티오글리세롤/알파-토코페롤 아세테이트)의 경우, 단기가혹조건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적합한 것과는 달리,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으나, 비교예 85(모노티오글리세롤/루틴) 및 비교예 86(모노티오글리세롤/이소아스코르브산)은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2법 기준에 적합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 및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루틴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104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제2법 기준에 적합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3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뛰어난 안정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0127683418-pat00029
Figure 112020048521624-pat00024
1) RRT 0.23: Desbenzyldonepezil, 0.15% 이내
2) RRT 0.49: Donepezil pyridine analog, 0.15% 이내
3) RRT 0.57: 미지유연물질, 0.1% 이내
4) RRT 0.68: Donepezil quaternary salt, 0.15% 이내
5) RRT 1.03: 미지유연물질, 0.1% 이내
6) RRT 1.08: 미지유연물질, 0.1% 이내
7) RRT 1.7: Donepezil indene analog, 0.15% 이내
8) RRT 2.1: Deoxydonepezil, 0.15% 이내
* 붉은색 : 부적합
<실험예 4> 장기가속조건(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 유연 물질 평가
도네페질 경피 흡수 제제를 장기간 보관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3에서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에서 유연물질의 생성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4, 85, 86 및 104를 대상으로 하여 40℃ 상대습도 75% 장기가속시험 조건에서 3개월간 보관한 후, 상기 실험예 1의 제1법 및 제2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연물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및 표 13에 나타내었다.
1. 제1법의 분석에 의한 유연물질 평가
하기 표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경피흡수제제(비교예 1)는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 제1법 실험결과에서 도네페질이 분해되어 상대유지시간 0.53(미지 유연물질), 1.2(Donepezil N-oxide) 및 총 유연물질에서 기준 이상의 유연물질이 생성되므로 안정화제가 필요한 제제임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과 모노티오글리세롤를 모두 포함한 경피흡수 제제(비교예 4)는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중에서, 비교예 86(모노티오글리세롤/이소아스코르브산)은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고, 비교예 85(모노티오글리세롤/루틴)는 부적합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 및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루틴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104의 경우에도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3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기준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뛰어난 안정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0127683418-pat00030
1) RRT 0.33: Desbenzyldonepezil, 0.5% 이내
2) RRT 0.48: 미지유연물질, 0.2% 이내
3) RRT 0.53: 미지유연물질, 0.2% 이내
4) RRT 0.7: Donepezil open ring, 0.5% 이내
5) RRT 1.2: Donepezil N-oxdie, 0.5% 이내
* 붉은색 : 부적합
2. 제2법의 분석에 의한 유연물질 평가
하기 표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경피흡수제제(비교예 1)는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실험결과에서 도네페질이 분해되어 상대유지시간 0.49(Donepezil pyridine analog), 0.57(미지 유연물질) 및 총 유연물질에서 기준 이상의 유연물질이 생성되므로 안정화제가 필요한 제제임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티오시안산칼륨과 모노티오글리세롤 2종의 안정화제를 포함한 경피흡수 제제(비교예 4)는 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 조건에서 유연물질이 기준 이상으로 생성하여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 및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루틴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104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3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2법 기준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뛰어난 안정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0127683418-pat00031
1) RRT 0.23: Desbenzyldonepezil, 0.15% 이내
2) RRT 0.49: Donepezil pyridine analog, 0.15% 이내
3) RRT 0.57: 미지유연물질, 0.1% 이내
4) RRT 0.68: Donepezil quaternary salt, 0.15% 이내
5) RRT 1.03: 미지유연물질, 0.1% 이내
6) RRT 1.08: 미지유연물질, 0.1% 이내
7) RRT 1.7: Donepezil indene analog, 0.15% 이내
8) RRT 2.1: Deoxydonepezil, 0.15% 이내
* 붉은색 : 부적합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도네페질 유연물질 분석법 중 제1법과 제2법 중 하나의 방법만으로는 도네페질의 보관 안정성을 확인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도네페질은 단계적으로 약물을 증량하여 장기간 동안 복용하는 치매 치료제로, 유연물질이 함유된 제제를 지속적으로 투약시 미지 유연물질의 독성에 의한 잠재적인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도네페질 경피 흡수제제는 약물의 장기간 보관 안정성 위해, 유연물질을 제제 내 허용 기준치를 설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미국 약전에 게재된 도네페질의 유연물질들은 제1법을 통해 총 3종의 유연물질을, 제2법을 통해 총 5종의 유연물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법과 제2법을 통해 확인되는 유연물질은 Desbenzyl Donepezil을 제외하고는 모두 다른 종류의 유연물질이다. 이러한 유연물질들은 독성을 고려하여 제제 내 허용 기준치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개시되어 있는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 모노티오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단기가혹시험(70℃ 48시간 보관), 장기가속시험 1(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및 장기가속시험 2(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유연물질의 경시적인 변화를 확인하여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제공한다.
단기가혹조건 70℃, 48시간에서 미국약전에서 제시한 유연물질 분석법 제1법 및 제2법의 기준에 모두 적합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2 내지 4(티오시안산칼륨 및/또는 모노티오글리세롤), 비교예 67(티오시안산칼륨/루틴), 비교예 104(모노티오글리세롤/티오시안산칼륨/루틴)이다.
다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의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안정화제 1, 2종은 모두 단기가혹조건 70℃, 48시간에서 미국약전에서 제시한 유연물질 분석법 제1법 및/또는 제2법의 기준에 부적합하였으나, 모노티오글리세롤과 동일한 화합물인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과 임의로 조합한 2종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제제 중에서 비교예 68(모노티오글리세롤/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비교예 70(모노티오글리세롤/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비교예 72(모노티오글리세롤/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비교예 74(모노티오글리세롤/케르세틴2수화물), 비교예 75(모노티오글리세롤/하이드로퀴논), 비교예 78(모노티오글리세롤/아황산나트륨), 비교예 79(모노티오글리세롤/티오황산나트륨), 비교예 80(모노티오글리세롤/프로필 갈레이트), 비교예 81(모노티오글리세롤/1,3-부탄디올), 비교예 83(모노티오글리세롤/알파-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비교예 85(모노티오글리세롤/루틴), 비교예 86(모노티오글리세롤/이소아스코르브산)에서 제조된 경피흡수 제제는 단기가혹조건 70℃, 48시간에서 미국약전에서 제시한 유연물질 분석법 제1법 및 제2법의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실험예 3은 도네페질 경피 흡수 제제를 장기간 보관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 및 2의 단기가혹조건에서 유연물질의 생성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2, 3, 4, 67, 68, 70, 72, 74, 75, 78, 79, 80, 81, 83, 85, 86 및 104를 대상으로 하여 40℃ 상대습도 75% 장기가속시험 조건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 유연물질을 평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험예 3에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과 모노티오글리세롤를 모두 포함하는 경피 흡수제제(비교예 4)만 미국 약전에 제시한 기준에 적합하였을 뿐, 비교예 2(티오시안산칼륨), 비교예 3(모노티오글리세롤)은 40℃ 상대습도 75% 가속시험 1개월 보관 조건의 장기 가속시험에서 부적합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 및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루틴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104의 경우에도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유연물질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하였다.
그런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임의로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 중에서, 비교예 85(모노티오글리세롤/루틴) 및 비교예 86(모노티오글리세롤/이소아스코르브산)은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유연물질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하였을 뿐이고, 비교예 68, 70, 72, 74, 75, 78, 79, 80, 81 및 83의 경우, 장기가속시험 조건(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유연물질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실험예 4는 40℃ 상대습도 75% 가속시험 1개월 장기 가속 조건에서 유연물질의 생성이 미국 약전에 제시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4, 85, 86 및 104에 대하여 유연물질이 40℃ 상대습도 75% 가속시험 3개월 보관 후, 미국 약전에 제시한 유연물질 평가하여, 유연물질의 경시적인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험예 4에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티오시안산칼륨과 모노티오글리세롤를 모두 포함하는 경피 흡수제제인 비교예 4(티오시안산칼륨/모노티오글리세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 및 티오시안산칼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루틴을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제제인 비교예 104(티오시안산칼륨/모노티오글리세롤/루틴)는 40℃ 상대습도 75%, 1개월 이후, 유연물질의 생성이 증가하여, 3개월 보관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그런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8-0167289호에 기재된 안정화제인 모노티오글리세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565호에 기재된 안정화제 1종을 임의로 혼합하여 첨가한 경피흡수 제제인 비교예 85(모노티오글리세롤/루틴)은 미국 약전에 제시한 유연물질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고, 비교예 86(모노티오글리세롤/이소아스코르브산)은 미국 약전에 제시한 유연물질 제1법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미국 약전에 제시한 유연물질 제2법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삭제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단기가혹시험(70℃ 48시간 보관), 장기가속시험 1(40℃ 상대습도 75% 1개월 보관) 및 장기가속시험 2(40℃ 상대습도 75% 3개월 보관)에서 미국 약전에 제시한 제1법 및 제2법 기준에 적합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도네페질 함유 경피흡수 제제는 도네페질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유연물질 생성을 감소시켜 장기간 보존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3)

  1. 지지층, 약물함유층, 박리층으로 구성된 도네페질 경피흡수 제제에 있어서,
    약물함유층에는 유효성분으로서 도네페질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점착기제 및 안정화제로서 (ⅰ) 티오시안산염과 차카테킨,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소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 또는 (ⅱ) 모노티오글리세롤과 차카테킨, (+)-카테킨 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경피 흡수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네페질은 자유염기(free bas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티오시안산염과 차카테킨,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소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제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오시안산염은 티오시안산칼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제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로 모노티오글리세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모노티오글리세롤과 차카테킨, (+)-카테킨 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제제.
  7. 지지층, 약물함유층, 박리층으로 구성된 도네페질 경피흡수 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ⅰ) 유기용매에 도네페질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점착기제 및 안정화제로서 티오시안산염과 차카테킨,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소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 또는 모노티오글리세롤과 차카테킨, (+)-카테킨 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을 포함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ⅱ)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박리층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약물 함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약물 함유층을 지지층과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네페질 경피흡수 제제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헥산, 2-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네페질 경피흡수 제제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네페질은 자유염기(free bas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제제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티오시안산염과 차카테킨,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소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네페질 경피흡수 제제의 제조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오시안산염은 티오시안산칼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제제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로 모노티오글리세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네페질 경피흡수 제제의 제조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모노티오글리세롤과 차카테킨, (+)-카테킨 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1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네페질 경피흡수 제제의 제조방법.
KR1020200057402A 2020-05-13 2020-05-13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KR102218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02A KR102218593B1 (ko) 2020-05-13 2020-05-13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PE2022002555A PE20240490A1 (es) 2020-05-13 2021-05-12 Preparacion de absorcion percutanea que comprende donepezil con estabilidad mejorada
PCT/KR2021/005930 WO2021230647A1 (en) 2020-05-13 2021-05-12 Percutaneous absorption preparation comprising donepezil with improved stability
CA3181045A CA3181045C (en) 2020-05-13 2021-05-12 Percutaneous absorption preparation comprising donepezil with improved stability
EP21805158.9A EP4149442A4 (en) 2020-05-13 2021-05-12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BSORPTION CONTAINING DONEPEZIL WITH IMPROVED STABILITY
AU2021270155A AU2021270155B2 (en) 2020-05-13 2021-05-12 Percutaneous absorption preparation comprising donepezil with improved stability
CN202180034892.5A CN115666536A (zh) 2020-05-13 2021-05-12 稳定性得到提升的含多奈哌齐经皮吸收剂
MA58444A MA58444B1 (fr) 2020-05-13 2021-05-12 Préparation à absorption percutanée comprenant du donépézil à stabilité améliorée
MX2022013702A MX2022013702A (es) 2020-05-13 2021-05-12 Preparacion de absorcion percutanea que comprende donepezil con estabilidad mejorada.
US17/924,781 US20230201131A1 (en) 2020-05-13 2021-05-12 Percutaneous absorption preparation comprising donepezil with improved stability
JP2022568614A JP7419565B2 (ja) 2020-05-13 2021-05-12 安定性が向上したドネペジル含有経皮吸収製剤
BR112022023127A BR112022023127A2 (pt) 2020-05-13 2021-05-12 Preparação de absorção percutânea que compreende donepezil com estabilidade aumentada
ZA2022/11680A ZA202211680B (en) 2020-05-13 2022-10-26 Percutaneous absorption preparation comprising donepezil with improved stability
CL2022002984A CL2022002984A1 (es) 2020-05-13 2022-10-27 Preparación de absorción percutánea que comprende donepezil con estabilidad mejorad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02A KR102218593B1 (ko) 2020-05-13 2020-05-13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593B1 true KR102218593B1 (ko) 2021-02-22

Family

ID=7468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402A KR102218593B1 (ko) 2020-05-13 2020-05-13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30201131A1 (ko)
EP (1) EP4149442A4 (ko)
JP (1) JP7419565B2 (ko)
KR (1) KR102218593B1 (ko)
CN (1) CN115666536A (ko)
AU (1) AU2021270155B2 (ko)
BR (1) BR112022023127A2 (ko)
CA (1) CA3181045C (ko)
CL (1) CL2022002984A1 (ko)
MA (1) MA58444B1 (ko)
MX (1) MX2022013702A (ko)
PE (1) PE20240490A1 (ko)
WO (1) WO2021230647A1 (ko)
ZA (1) ZA2022116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647A1 (en) * 2020-05-13 2021-11-18 Dong-A St Co., Ltd. Percutaneous absorption preparation comprising donepezil with improved stab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173A (ko) * 2009-01-22 2009-02-11 (주)바이오제닉스 코팅된 항산화제 입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86565A (ko) * 2006-12-01 2009-08-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안정화된 도네페질 함유 접착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18396A2 (pt) * 2004-12-27 2008-11-18 Eisai R&D Man Co Ltd mÉtodo para estabilizaÇço de droga anti-demÊncia
KR101408488B1 (ko) 2006-12-01 2014-06-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네페질 함유 접착 제제의 경시적인 변색을 억제하는 방법
KR101454362B1 (ko) * 2008-03-24 2014-10-23 아이큐어 주식회사 도네페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경피흡수제제
KR101485822B1 (ko) * 2014-01-22 2015-01-23 주식회사 대웅제약 도네페질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경피흡수제제
KR102024996B1 (ko) * 2017-12-27 2019-09-25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도네페질을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 경피흡수제제
KR102115102B1 (ko) 2018-12-21 2020-05-26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안정화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KR102218593B1 (ko) * 2020-05-13 2021-02-22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6565A (ko) * 2006-12-01 2009-08-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안정화된 도네페질 함유 접착 제제
KR20090015173A (ko) * 2009-01-22 2009-02-11 (주)바이오제닉스 코팅된 항산화제 입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647A1 (en) * 2020-05-13 2021-11-18 Dong-A St Co., Ltd. Percutaneous absorption preparation comprising donepezil with improved st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9442A4 (en) 2024-05-29
EP4149442A1 (en) 2023-03-22
MA58444A1 (fr) 2023-03-31
CA3181045A1 (en) 2021-11-18
BR112022023127A2 (pt) 2022-12-20
MA58444B1 (fr) 2023-09-27
PE20240490A1 (es) 2024-03-15
CN115666536A (zh) 2023-01-31
AU2021270155B2 (en) 2023-11-09
JP2023525533A (ja) 2023-06-16
ZA202211680B (en) 2023-07-26
AU2021270155A1 (en) 2022-11-24
WO2021230647A1 (en) 2021-11-18
JP7419565B2 (ja) 2024-01-22
US20230201131A1 (en) 2023-06-29
CA3181045C (en) 2024-05-21
MX2022013702A (es) 2022-12-07
CL2022002984A1 (es)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8299B1 (en) Adhesive patch
AU2007255724B2 (en) Novel tape preparation
US10143662B2 (en) Fentanyl-containing adhesive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JP2022133471A (ja) リドカインを配合した非水性貼付剤
NO973471L (no) Transdermalt preparat
US20040209907A1 (en) Formulation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hrombocythemia
KR102218593B1 (ko) 안정성이 향상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KR102115102B1 (ko) 안정화된 도네페질 함유 경피 흡수제제
PL175077B1 (pl) Przezskórny układ terapeutyczny do leczenia jaskry oraz sposób otrzymywania przezskórnego układu terapeutycznego do leczenia jaskry
JPWO2004024155A1 (ja) 貼付剤
KR102024996B1 (ko) 도네페질을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 경피흡수제제
US20220062236A1 (en) Patch
US20040120995A1 (en) Transdermal delivery of pergolide
KR20130112413A (ko) 리도카인 또는 그의 염 및 프릴로카인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경피흡수제제
JPWO2010098261A1 (ja) リスペリドン含有経皮吸収型製剤及びこれを用いた貼付剤
US20180360968A1 (en) Patch
JPWO2005041967A1 (ja) ペルゴリド療法における副作用低減のための経皮吸収型製剤および方法
RU2814017C2 (ru) Препарат с чрескожной абсорбцией, содержащий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донепезил
EP3501518A1 (en) Patch
KR20190048320A (ko) 바레니클린 경피흡수제
MXPA97005723A (en) Transderm formulation
WO2001013938A1 (fr) Composition therapeutique pouvant etre administree par voie percutanee ou par les muque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