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360B1 -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360B1
KR102218360B1 KR1020200107693A KR20200107693A KR102218360B1 KR 102218360 B1 KR102218360 B1 KR 102218360B1 KR 1020200107693 A KR1020200107693 A KR 1020200107693A KR 20200107693 A KR20200107693 A KR 20200107693A KR 102218360 B1 KR102218360 B1 KR 102218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ame
gauge
pulley
gaug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석
Original Assignee
(주)우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우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0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wheel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10Wheel alignment
    • G01B2210/22Wheels in a state of motion supported on rollers, rotating platform or other structure substantially capable of only one degree of rotational freedo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10Wheel alignment
    • G01B2210/26Algorithms, instructions, databases, computerized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employed by a user in conjunction with the wheel alig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프레임;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원동축 풀리의 두 곳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게이지; 및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종동축 풀리의 두 곳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게이지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게이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횡단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는,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DEVICE FOR MEASURING ALIGNMENT STATUS BETWEEN PULLEYS}
본 발명은 구동 장치와 피동 장치 각각의 풀리 간의 정렬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풀리(Pulley)는 벨트를 거는 원통형의 바퀴를 말하며, 벨트바퀴라고도 한다. 풀리는 감기 전동에서 원동 및 종동축에 사용하는 마찰바퀴를 말하는 것을, 평 벨트용, V 벨트용, 이붙은 벨트용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원동축 풀리는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에 반해, 종동축 풀리는 모터의 출력(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 구동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입력축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대상물로서는, 공조용 팬 등이 있을 수 있다.
모터와 대상물 간의 동력 전달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모터와 대상물 간의 정렬이 정확해야 한다. 그들의 정렬은 최종적으로 원동축 풀리와 종동축 풀리 간의 정렬로 귀결된다. 그에 따라, 그들을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하여 그들의 위치나 자세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원동축 풀리와 종동축 풀리 간의 정렬을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그러한 확인은 대략 눈으로 확인하가나 벨트를 걸어서 작동에 문제 없음을 확인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풀리 간의 정렬에 관한 사항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한계에 따른 현상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원동축 풀리와 종동축 풀리 간의 정렬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정렬 여부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프레임;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원동축 풀리의 두 곳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게이지; 및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종동축 풀리의 두 곳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게이지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게이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횡단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게이지 및 상기 제2 게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일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게이지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지 고정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조여서 고정하는 조임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지 고정 유닛은,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변위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 나사는, 상기 변위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게이지 및 상기 제2 게이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동축 풀리 또는 상기 종동축 풀리를 향해 전진하여 그와 접촉하는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의 전진에 의해 상기 측정 지점에서 측정된 거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 게이지가 설치되는 제1 마운팅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게이지가 설치되는 제2 마운팅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운팅 프레임 및 상기 제2 마운팅 프레임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운팅 프레임 및 상기 제2 마운팅 프레임 중 하나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 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에 의하면, 마운팅 프레임에는 제1 게이지와 제2 게이지가 설치되어 원동축 풀리와 종동축 풀리와의 거리에 관한 수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데, 그들은 각기 풀리에서의 두 곳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또한 그들은 마운팅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횡단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됨메 의해, 위의 수치 정보에 의해 원동축 풀리와 종동축 풀리 간의 정렬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100)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를 이용한 풀리 정렬 상태 측정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100)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100)는, 마운팅 프레임(110), 제1 게이지(130), 제2 게이지(150), 그리고 게이지 고정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 프레임(110)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부재일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길이 방향(L)과 그에 수직한 횡단 방향(T)을 따라 연장되는 변들에 의해 마운팅 프레임(110)의 형태가 결정된다. 그 결과 마운팅 프레임(110)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마운팅 프레임(110)은 제1 게이지(130) 등이 설치되는 대상이 되는 것으로서, 변형에 강인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운팅 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지(130)는 마운팅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풀리에 대한 수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게이지(130)는 풀리, 구체적으로는 원동축 풀리(DP, 도 4 참조)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게이지(130)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원동축 풀리(DP)의 두 곳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게이지(150)는 제1 게이지(130)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이다. 제2 게이지(150) 역시 한 쌍으로 구비되고, 그 한 쌍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종동축 풀리(FP, 도 4 참조)의 두 곳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제1 게이지(130) 및 제2 게이지(150)가 각 한 쌍으로 구비됨에 의해, 개별 게이지는 모두 4개가 된다. 4개의 게이지는 횡단 방향(T)을 따라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개별 게이지의 구성은 제1 게이지(1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게이지(130)는, 구체적으로, 몸체(131), 프로브(133), 디스플레이(135), 및 조작 버튼(137)을 가질 수 있다. 몸체(131)는 대체로 횡단 방향(T)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로브(133)는 몸체(131)에 횡단 방향(T)을 따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횡단 방향(T)을 따라 전진하여 원동축 풀리(DP)와 접촉하여, 초기 위치와 전진된 위치 간의 차인 거리 정보를 측정하게 된다. 디스플레이(135)는 상기 거리 정보를 숫자나 기호 등으로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조작 버튼(137)은 프로브(133)의 발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받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1 게이지(130)는 전자식 거리 측정기로 예시하나, 그는 수동식 거리 측정기여도 무방하다. 수동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나사를 돌려 프로브를 전진시키고, 눈금자를 통해 상기 거리 정보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지 고정 유닛(170)은 제1 게이지(130) 또는 제2 게이지(150)를 마운팅 프레임(110)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는 제1 게이지(130) 및 제2 게이지(150)에서 개별 게이지를 길이 방향(L)을 따라 위치 이동시킨 후에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게이지 고정 유닛(170)은 조임 나사(171)와 변위홀(175)을 가질 수 있다. 조임 나사(171)는 제1 게이지(130)의 몸체(131)에 설치되고, 그를 조이면 몸체(131)가 마운팅 프레임(110)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지만, 조임 나사(171)에 대응하는 너트가 몸체(131)에 설치될 수 있다. 변위홀(175)은 마운팅 프레임(110)에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변위홀(175)에는 조임 나사(17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마운팅 프레임(110)을 원동축 풀리(DP) 및 종동축 풀리(FP)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 게이지(130) 및 제2 게이지(150)를 작동시켜서 각각에서 수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수치 정보를 확인하면서, 모터의 위치나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서, 모터와 대상물 간의 정렬을 달성하고, 그 정렬의 정도를 위 수치 정보로서 보다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원동축 풀리(DP)와 종동축 풀리(FP) 간의 간격이나 각각의 사이즈가 달라지는 경우에, 제1 게이지(130) 또는 제2 게이지(150)에서 개별 게이지를 길이 방향(L)을 따라 이동시킨 후에 조임 나사(171)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임 나사(171)는 개별 게이지와 함께 변위홀(175)을 따라 이동됨에 의해, 위치 이동시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형태의 측정 장치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는 앞선 실시예의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100)와 대체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에서, 마운팅 프레임(210)은 제1 마운팅 프레임(211)과 제2 마운팅 프레임(21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마운팅 프레임(211)에는 제1 게이지(230)가 설치되고, 제2 마운팅 프레임(215)에는 제2 게이지(250)가 설치된다. 마운팅 프레임(211,215)에 대한 개별 게이지의 고정은 게이지 고정 유닛(270)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는 앞선 실시예의 게이지 고정 유닛(170)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마운팅 프레임(211)과 제2 마운팅 프레임(215)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일렬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상의 제1 마운팅 프레임(211)과 제2 마운팅 프레임(215)은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280)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80) 역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80)은 제1 마운팅 프레임(211)과 제2 마운팅 프레임(215)이 길이 방향(L)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상이 된다. 이를 위해, 제1 마운팅 프레임(211) 및 제2 마운팅 프레임(215) 각각과 베이스 프레임(280) 사이에는 슬라이더(281,285)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281,285)는 마운팅 프레임(211,215)에 고정 결합된 채로, 베이스 프레임(28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마운팅 프레임(211) 및 제2 마운팅 프레임(215)을 베이스 프레임(280)에 대해 고정을 위해서는 고정 밴드(29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밴드(290)는 예를 들어 고무 밴드로서, 제1 마운팅 프레임(211)와 베이스 프레임(280)을 감싸거나, 제2 마운팅 프레임(215)와 베이스 프레임(280)을 감싸도록 그들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의 사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를 이용한 풀리 정렬 상태 측정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및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200)를 원동축 풀리(DP)와 종동축 풀리(FP)에 대해 접촉시킨 채 유지해야 한다.
여기서, 원동축 풀리(DP)와 종동축 풀리(FP) 간의 간격에 대응해서는, 작업자는 제1 마운팅 프레임(211)와 제2 마운팅 프레임(215)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작업자는 제1 마운팅 프레임(211) 또는 제2 마운팅 프레임(215)을 베이스 프레임(280)에 대해 길이 방향(L)을 따라 이동시키면 된다.
아울러, 원동축 풀리(DP) 또는 종동축 풀리(FP)에 대응하여 개별 게이지 간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작업자는 조임 나사(271)를 풀어서 개별 게이지를 길이 방향(L)을 따라 이동시킨 후에 다시 조이면 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제1 게이지(230) 및 제2 게이지(250)를 작동시켜서, 각각에서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원동축 풀리(DP)와 종동축 풀리(FP) 간의 정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200: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110,210: 마운팅 프레임
130,230: 제1 게이지 150,250: 제2 게이지
170,270: 게이지 고정 유닛 280: 베이스 프레임
290: 고정 밴드

Claims (7)

  1.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프레임;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원동축 풀리의 두 곳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게이지; 및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종동축 풀리의 두 곳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게이지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게이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횡단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게이지 및 상기 제2 게이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동축 풀리 또는 상기 종동축 풀리를 향해 전진하여 그와 접촉하는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의 전진에 의해 상기 측정 지점에서 측정된 거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지 및 상기 제2 게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일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게이지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고정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조여서 고정하는 조임 나사를 포함하는,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고정 유닛은,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변위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 나사는, 상기 변위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 게이지가 설치되는 제1 마운팅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게이지가 설치되는 제2 마운팅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운팅 프레임 및 상기 제2 마운팅 프레임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팅 프레임 및 상기 제2 마운팅 프레임 중 하나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하는,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KR1020200107693A 2020-08-26 2020-08-26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KR102218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93A KR102218360B1 (ko) 2020-08-26 2020-08-26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93A KR102218360B1 (ko) 2020-08-26 2020-08-26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360B1 true KR102218360B1 (ko) 2021-02-22

Family

ID=7468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693A KR102218360B1 (ko) 2020-08-26 2020-08-26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3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4265A2 (en) * 1995-01-20 1997-11-05 Vincent J. Macri Instruction for playing hockey
KR200269632Y1 (ko) * 2001-12-19 2002-03-25 한전기공주식회사 브이벨트형 회전체의 축 정렬장치
KR200439349Y1 (ko) * 2006-12-29 2008-04-07 주식회사 성창기공 소화기의 압력게이지 취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4265A2 (en) * 1995-01-20 1997-11-05 Vincent J. Macri Instruction for playing hockey
KR200269632Y1 (ko) * 2001-12-19 2002-03-25 한전기공주식회사 브이벨트형 회전체의 축 정렬장치
KR200439349Y1 (ko) * 2006-12-29 2008-04-07 주식회사 성창기공 소화기의 압력게이지 취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6608B2 (en) Tensile test machine
KR100680347B1 (ko) 토크측정기 검사장치
US8141263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 inside diameter of a hole of a workpiece
KR100939857B1 (ko) 유연성 측정장치
KR102218360B1 (ko) 풀리 정렬 상태 측정 장치
TW201445108A (zh) 壁厚測量儀
JP2007127530A (ja) 光学式リニアエンコーダの組立調整システム及び調整方法
WO2015122206A1 (ja) 測長装置
JP4713074B2 (ja) 伝動用チェーンの弛み量測定方法
JP2001074625A (ja) せん断変形量測定装置
KR102463495B1 (ko) 틈새 측정 장치
EP3218686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s spannungszustandes
JP2006258597A (ja) ノギス
KR20050033264A (ko) 공작물 내경 측정용 게이지
JP2021092500A (ja) チェーンの伸び率の測定装置
CN112888548B (zh) 用于弯曲物体的设备和方法
US20150316366A1 (en) System for determining diameter of a seal
JPH10288575A (ja) 曲げ反力測定装置
JP5235143B2 (ja) シーブ面間距離測定装置
JP2005140535A (ja) 伝動用ベルトの張り検査方法
CN208398838U (zh) 一种位移传感器测试装置
JP5823992B2 (ja) ベルトスパン長測定補助治具及びベルトスパン長測定方法
SU66657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нат жени магнитной ленты
JP2006119092A (ja) 平行出し装置および平行出し方法
KR920005503B1 (ko) 결삭공구 게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