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935B1 -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935B1
KR102217935B1 KR1020190030876A KR20190030876A KR102217935B1 KR 102217935 B1 KR102217935 B1 KR 102217935B1 KR 1020190030876 A KR1020190030876 A KR 1020190030876A KR 20190030876 A KR20190030876 A KR 20190030876A KR 102217935 B1 KR102217935 B1 KR 10221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und source
song
datab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339A (ko
Inventor
김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직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직카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직카우
Priority to KR102019003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9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에서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확인 할 수 있으며, 특정 장소에서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사용하였을 경우 저작권자에게 알림으로써 저작권자가 음원에 대한 저작권 행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음원에 관한 곡 정보, 복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이 복수의 장소 각각에서 재생될 수 있는 저작권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음원 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정보 수신부, 수신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곡 정보를 추출하는 곡 정보 추출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출한 곡 정보 및 수신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부,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저작권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copyright information}
본 발명은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에서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장소에서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사용하였을 경우 저작권자에게 알림으로써 저작권자가 음원에 대한 저작권 행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전세계 적으로 저작권법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는 2021년까지 음원에 대한 저작권자의 수익을 60%에서 70%까지 올리고 음원 제공사의 묶음 할인 상품을 판매하지 못하게 할 것으로 밝혔다. 또한, 유럽연합(EU)은 온라인 사이트에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필터링하도록 강제하는 저작권법 개정안을 내놓을 것으로 밝혔다. 이처럼 온라인에서 저작권을 침해하는 법률은 강화되고 있어 온라인에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탐지하는 것은 수월하나 오프라인에서 저작권을 침해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에서도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탐지하여 저작권자에게 알림으로써 저작권자가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67504호 "저작권 침해 콘텐츠가 유통되는 모바일 앱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 방송 제공자의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저작권법에 저촉되는 콘텐츠를 추출함으로써, 저작권법에 저촉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개인 방송 제공자에게 저작권료를 청구하기 위한 저작권 침해 콘텐츠가 유통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위 선행기술은 개인 방송인 온라인에서 저작권 침해 콘텐츠를 유통할 경우에만 저작권 침해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저작권 침해 행위를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7504호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서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사용하였을 경우 저작권자에게 알림으로써 저작권자가 음원에 대한 저작권 행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을 경우 그 로그를 저장함으로써 특정 장소 또는 특정 음원의 저작권이 침해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작권이 침해되는 로그 정보에 관한 통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장소에서든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티스트의 저작권 침해여부, 저작권 침해 건수, 저작권 침해율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정렬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 및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회원이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음원 정보로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곡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원 정보를 추출하지 않고도 음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에 관한 곡 정보, 복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장소 각각에서 재생될 수 있는 저작권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음원 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곡 정보를 추출하는 곡 정보 추출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상기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곡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상기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부,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저작권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작권 정보 송신부는 상기 저작권 정보를 확인한 결과, 상기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에게 저작권 침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작권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로그 정보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계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그 정보는 상기 확인된 음원에 대응되는 곡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곡 정보는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에 대한 아티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계 정보 제공부는 상기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입된 회원 별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계 정보 제공부의 상기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 및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입된 회원에게 제공될 리워드를 결정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 정보 수신부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상기 음원 정보로 수신하고, 상기 곡 정보 추출부는 상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곡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 정보 수신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인식한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곡 정보 추출부는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서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사용하였을 경우 저작권자에게 알림으로써 저작권자가 음원에 대한 저작권 행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을 경우 그 로그를 저장함으로써 특정 장소 또는 특정 음원의 저작권이 침해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작권이 침해되는 로그 정보에 관한 통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장소에서든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티스트의 저작권 침해여부, 저작권 침해 건수, 저작권 침해율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정렬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 및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회원이 저작권이 침해되는 음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음원 정보로 수신하고,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곡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원 정보를 추출하지 않고도 음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곡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 등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은 단일 서버와 같이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같이 복수의 장치에 분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카페, 음식점 또는 놀이를 즐기는 오프라인의 여러가지 공간에서 음악이 흘러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오프라인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의 저작권이 유효한지 궁금해도 저작권이 유효한지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은 오프라인에서 음원의 저작권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원의 저작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는 휴대폰 및 태블릿 PC 같은 음원과 같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음원이 흘러나오는 장소에 사용자 단말기로 음원을 인식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확인 버튼을 누르면(110) 사용자 단말기는 음원을 인식(120)하고 인식된 음원의 저작권이 유효한 경우와 유효하지 않은 경우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로 인식한 음원이 유효한 경우 "유효한 저작권 입니다"로 표시(131)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로 인식한 음원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유효한 저작권이 없습니다"로 표시(132)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카페에서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음악의 저작권을 정당하게 구매한 경우, 해당 음악이 재생될 때, 노래를 듣는 사용자가 A카페에서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곡의 저작권을 구매하고 노래를 재생하는지 아닌지 궁금할 수 있다. 그때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꺼내 음원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음원을 인식하기 위해 음원 인식 확인 버튼을 누르고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을 하면 아이유의 '밤편지'가 A카페에서 재생되어도 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아이유의 '밤편지'가 A카페에서 재생되어도 된다면 "유효한 저작권 입니다"라는 문구를 통해 사용자는 저작권이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A카페에서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음악의 저작권을 구매하지 못한 경우, 해당 음악이 재생될 때, 노래를 듣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꺼내 음원을 인식하여 아이유의 '너의 의미'가 A카페에서 재생되어도 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이유의 '너의 의미'가 A카페에서 재생될수 없는 곡으로 확인된다면 "유효한 저작권이 없습니다"라는 문구를 통해 사용자는 저작권이 유효하지 않은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손쉽게 확인한 저작권 침해여부에 관한 정보는 저작권 행사가 가능하도록 저작권자에게 전송될 수 있으며, 저작권자 또는 저작권 대행사에서 본 발명의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을 구비하는 경우라면, 직접 시스템상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권을 행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저작권자는 기존에 저작권 침해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징수하지 못하였던 저작권료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저작권을 기반으로 하는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은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 음원 정보 수신부(204), 곡 정보 추출부(205), 위치정보 수신부(207),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 저작권 정보 송신부(208), 통계 정보 제공부(209), 리워드 제공부(2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컴퓨터 시스템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일 수 있는데, 동일한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는 복수의 음원에 관한 곡 정보, 복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장소 각각에서 재생될 수 있는 저작권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는 음원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음원에 관한 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소에서 특정 음원을 합법적으로 구매했는지 여부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저작권 정보는 해당 저작권이 공중을 대상으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형태의 권리인지, 아니면 개인적으로 저작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권리인지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카페에서 손님들이 들을 수 있도록 음악을 틀어놓는데 A카페에서 저작권에 위반되지 않도록 공중을 대상으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권리를 구매하게 되면, 그 구매한 음원들에 대한 정보들이 상기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될 수 있다. 즉, 특정장소에서 구매한 음원의 권리와 그 음원 정보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다.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되는 곡 정보는 개별 곡 하나하나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저작권협회와 같이 다수의 저작권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여러 곡들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저작권을 부여받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원 정보 수신부(204)는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음원 정보를 수신한다.
음원 정보 수신부(204)에서 수신하는 음원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인식한 음원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마이크가 구비된 기기일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음원 이외의 잡음에 해당하는 파형을 제거하고, 음원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만을 추출한 뒤, 해당 오디오 신호와 유사도가 높은 음원을 검색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확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음원에 대한 오디오 신호 정보를 저장하거나, 오디오 신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음원 정보 확인을 위해서 딥러닝 등과 같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체적인 음원 인식 방법에 따라 제한되지 않는다.
음원 정보 수신부(204)에서 수신하는 음원 정보는 특정 음원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의 정보일 수 있으며, 음원 정보는 그 음원의 정보를 알 수 있는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음원의 음원 정보의 곡 제목은 '밤편지', 앨범명은 '밤편지', 작사가는 아이유, 작곡가와 편곡가는 제취, 김희원, 가수는 아이유, 장르는 발라드일 수 있다. 또는 A라는 음원의 음원 정보는 다른 서버에서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수신하여 단순히 'A음원' 이라는 식별 정보로 수신될 수 있다. 즉, 음원 정보 수신부(204)에서 수신되는 음원 정보는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구체적인 정보일 수 있으며, 다른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될 수 있는 표시번호와 같은 식별 정보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음원 정보 수신부(204)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음원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이크를 포함하는 기기일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변환 전후에 음원 이외의 소리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음원을 인식할 수 있는 음원의 주파수 또는 음역의 신호일 수 있으며, 음원 정보 수신부(204)는 음원의 주파수 또는 음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와 같이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통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이 어떤 음원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곡 정보 추출부(205)는 수신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곡 정보를 추출한다.
곡 정보 추출부(205)는 음원 정보 수신부(204)에서 수신한 음원 정보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 해당 디지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음원의 주파수 또는 음역의 신호를 분석하여 인식한 그 음원이 어떤 곡인지 인식하여 그 곡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특정 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곡 정보 추출부(205)는 음원 정보 수신부(204)에서 수신한 음악의 곡 종류를 기초로 그 곡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곡 정보 추출부(205)에서는 상기 디지털 신호에서, 음원 이외의 잡음에 해당하는 파형을 제거하고, 음원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만을 추출한 뒤, 해당 오디오 신호와 유사도가 높은 음원을 검색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음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음원에 대한 오디오 신호 정보를 저장하거나, 오디오 신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별도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음원 정보 확인을 위해서 딥러닝 등과 같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체적인 음원 인식 방법에 따라 제한되지 않는다
곡 정보 추출부(205)는 음원 정보가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인식한 음원에 관한 정보인 경우,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추출한다.
곡 정보 추출부(205)는 음원 정보 수신부(204)에서 수신한 음원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음원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음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 정보를 수신받아 다른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에서 특정 곡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207)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위치정보 수신부(207)는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위지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시스템은 GPS 위성 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이거나,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을 하는 정보, 또는 WiFi AP 또는 비콘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실내외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장소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내 위치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를 참조하여 추출한 곡 정보 및 수신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한다.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는 위치정보 수신부(207)에서 수신된 특정 장소에서 재생될 수 있는 곡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를 참조하여 특정 장소에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 수신부(207)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인 A카페에서 재생될 수 있는 곡의 정보가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되어 있다.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를 참조하여 저장된 A카페에서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단말기를 가지고 A카페에 위치하여 있고 A카페에서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노래가 흘러나오고 있고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A카페는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노래가 저작권료를 지불한 곡이라고 저장되어 있다면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는 A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음원은 재생될 수 있다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A카페에서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노래가 흘러나오고 있고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A카페는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노래가 저작권료를 지불하지 않은 곡이라고 저장되어 있으면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는 A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음원은 재생될 수 없다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는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정보를 저장한다.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는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없다고 확인된 로그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있다고 확인된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했다는 자체에 대한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가지고 A카페에 위치하여 있고 A카페에서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노래가 흘러나오고 있고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A카페는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노래가 저작권료를 지불한 곡이라고 저장되어 있다면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는 A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아이유의 '밤편지'라는 음원은 재생될 수 있다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는 A카페에서 '밤편지'가 재생될 수 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A카페에서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노래가 흘러나오고 있고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A카페는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노래가 저작권료를 지불하지 않은 곡이라고 저장되어 있으면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는 A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음원은 재생될 수 없다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는 A카페에서 '너의 의미'가 재생될 수 없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는 사용자가 A카페에서 아이유의 '밤편지'와 '너의 의미'라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조회했다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통계 정보 제공부(209)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로그 정보에 관한 통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통계 정보 제공부(209)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기록에 관한 로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통계 정보 제공부(209)는 사용자가 얼마나 특정 곡에 대해서 저작권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한 것에 대한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조회수 대비 저작권 침해 적발한 침해수로 저작권 침해율도 계산할 수 있다.
로그 정보는 확인된 음원에 대응되는 곡정보를 포함하고, 곡 정보는 복수의 음원 각각에 대한 아티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기록에 관한 로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는 특정 음원에 대한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계 정보 제공부(209)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를 참조하여,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통계 정보 제공부(209)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참조하여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별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티스트는 가수 일 수 있으며, 작사가, 작곡가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아티스트인 가수 별 통계 정보를 보고자 한다면, 순위의 기준은 가수별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조회수인 저작권 확인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횟수인 저작권 침해 적발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조회수 대비 저작권 침해 적발한 침해수를 계산한 저작권 침해율을 기준으로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는 가입된 회원 별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한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는 가입된 회원에 대한 이름, 성별, 나이, 취미, 선호하는 아티스트, 선호하는 음악 장르, 선호하는 장소 등의 회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계 정보 제공부(209)는 회원인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를 기초로 자동으로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에 좋아하는 아티스트를 에일리로 저장한 사용자인 회원이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또는 어플에 접속할 경우 현재 에일리의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조회수인 저작권 확인수인 저작권 확인수 및 순위, 저장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횟수인 저작권 침해 적발수 및 순위,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조회수 대비 저작권 침해 적발한 침해수를 계산한 저작권 침해율 및 순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따로 통계를 보기 위한 설정을 하지 않아도 자신이 선호하는 아티스트의 현재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인 회원의 나이대, 성별, 취미, 장르별 저작권 확인수 및 순위, 저작권 침해 적발수 및 순위, 저작권 침해율을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210)는 통계 정보 제공부(209)의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 및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입된 회원에게 제공될 리워드를 결정한다.
리워드 제공부(210)는 통계 정보 제공부(209)에서 제공하는 저작권 확인수 및 순위, 저작권 침해 적발수 및 순위, 저작권 침해율을 기초로 사용자인 회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는 사용자인 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에서 특정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횟수에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순위가 높은 아티스트를 선호하는 회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는 특정 사이트 및 어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또는 특정 아이템으로 지급될 수 있으며, 아티스트에게 저작권 수익으로 일부 지급될 수도 있다.
저작권 정보 송신부(208)는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저작권 정보 송신부(208)는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한 음원의 저작권 침해 여부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 저작권이 침해된 음원을 확인하였을 경우 "유효한 저작권이 없습니다'의 문구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저작권이 침되지 않는 음원을 확인하였을 경우 "유효한 저작권입니다"의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저작권 정보 송신부(208)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한 결과,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에게 저작권 침해 정보를 송신한다.
저작권 정보 송신부(208)는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음원이 재생될 경우 저작권이 유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그 특정 음원의 저작권자에게 저작권이 침해된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A카페에서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노래가 흘러나오고 있고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A카페는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노래가 저작권료를 지불하지 않은 곡이라고 저장되어 있으면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는 A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음원은 재생될 수 없다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A카페에서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음원이 재생될 수 없다고 확인되었다는 정보를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음원의 저작권자에게 A카페에서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정보를 곡 정보와 함께 송신한다. 그러면 아이유의 '너의 의미'라는 음원의 저작권자는 A카페에게 저작권료를 지불하라는 권리를 행사하여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를 참조하여 곡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는 복수의 음원에 관한 곡 정보, 복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장소 각각에서 재생될 수 있는 저작권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는 음원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음원에 관한 곡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소에서 특정 음원을 합법적으로 구매했는지 여부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클XX라는 장소에서 재생될 수 있는 음원은 '사랑을 했다', '그날처럼', '지나오다' 등으로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더클XX에 방문을 했는데 지금 흘러나오는 음원이 더클XX라는 장소에서 저작권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로 음원을 인식한 결과 곡 정보는 '사랑을 했다'로 나왔으며 저작권 정보 송신부(208)는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아티스트 'iKON'의 '사랑을 했다'라는 곡이 더클XX에서 유효한 저작권임을 확인할 수 있는 문구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계 정보 제공부(209)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를 참조하여,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통계 정보 제공부(209)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참조하여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별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티스트는 가수 일 수 있으며, 작사가, 작곡가 일 수 있다.
사용자가 아티스트인 가수 별 통계 정보를 보고자 한다면, 순위의 기준은 가수별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조회수인 저작권 확인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횟수인 저작권 침해 적발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조회수 대비 저작권 침해 적발한 침해수를 계산한 저작권 침해율을 기준으로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저작권을 여부를 조회한 횟수인 저작권 확인수 순으로 순위를 보고자 한다면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조회수 순으로 순위를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정보 확인 방법은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적인 설명을 그대로 적용하여 이해할 수 있다.
저작권 정보 저장 단계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는 복수의 음원에 관한 곡 정보, 복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장소 각각에서 재생될 수 있는 저작권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는 음원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음원에 관한 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소에서 특정 음원을 합법적으로 구매했는지 여부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저작권 정보는 해당 저작권이 공중을 대상으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형태의 권리인지, 아니면 개인적으로 저작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권리인지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는 음원 정보 수신부(204)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음원 정보를 수신한다.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는 수신하는 음원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인식한 음원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마이크가 구비된 기기일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원을 인식할 수 있다.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음원 정보로 수신한다.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는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로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오디오 신호의 디지털 신호는 음원을 인식할 수 있는 음원의 주파수 또는 음역의 신호일 수 있으며,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는 음원의 주파수 또는 음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는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인식한 음원 정보를 수신한다.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음원의 종류를 인식하여 음원 정보를 수신 할 수 있다. 즉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에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그 오디오 신호를 통해 그 음원의 음악의 곡 종류를 알 수 있다.
곡 정보 추출 단계(S503)는 곡 정보 추출부(205)에서 수신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곡 정보를 추출한다.
곡 정보 추출 단계(S503)는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에서 수신한 음원의 주파수 또는 음역의 신호를 분석하여 인식한 그 음원이 어떤 곡인지 인식하여 그 곡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특정 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곡 정보 추출 단계(S503)는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에서 수신한 음악의 곡 종류를 기초로 그 곡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곡 정보 추출 단계(S503)는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곡 정보를 추출한다.
곡 정보 추출 단계(S503)는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에서 수신한 음원의 주파수 또는 음역의 신호와 같은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그 음원이 어떤 곡인지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곡의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곡 정보 추출 단계(S503)는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추출한다.
곡 정보 추출 단계(S503)는 음원 정보 수신 단계(S502)에서 수신한 음원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음원의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음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번호를 수신받아 다른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특정 곡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 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 단계(S504)는 위치정보 수신부(207)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위치정보 수신 단계(S504)는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위지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는 저작권 정보 확인부(206)에서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를 참조하여 추출한 곡 정보 및 수신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한다.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는 위치정보 수신 단계(S504)에서 수신된 특정 장소에서 재생될 수 있는 곡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를 참조하여 특정 장소에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단계는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에서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정보를 저장한다.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단계는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없다고 확인된 로그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있다고 확인된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곡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했다는 자체에 대한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통계 정보 제공 단계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단계에 저장된 로그 정보에 관한 통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통계 정보 제공 단계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단계에 저장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기록에 관한 로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통계 정보 제공 단계는 사용자가 얼마나 특정 곡에 대해서 저작권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한 것에 대한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조회수 대비 저작권 침해 적발한 침해수로 저작권 침해율도 계산할 수 있다.
로그 정보는 확인된 음원에 대응되는 곡정보를 포함하고, 곡 정보는 복수의 음원 각각에 대한 아티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단계에 저장된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조회한 기록에 관한 로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는 특정 음원에 대한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등과 같은 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계 정보 제공 단계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단계를 참조하여,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통계 정보 제공 단계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단계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참조하여 곡 제목, 앨범명, 작사가, 작곡가, 가수, 장르 별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티스트는 가수 일 수 있으며, 작사가, 작곡가 일 수 있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하는 단계는 가입된 회원 별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한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하는 단계는 가입된 회원에 대한 이름, 성별, 나이, 취미, 선호하는 아티스트, 선호하는 음악 장르, 선호하는 장소 등의 회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계 정보 제공 단계는 회원인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하는 단계를 기초로 자동으로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 단계는 통계 정보 제공 단계의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 및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하는 단계에 저장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입된 회원에게 제공될 리워드를 결정한다.
리워드 제공 단계는 통계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하는 저작권 확인수 및 순위, 저작권 침해 적발수 및 순위, 저작권 침해율을 기초로 사용자인 회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는 사용자인 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에서 특정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횟수에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순위가 높은 아티스트를 선호하는 회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는 특정 사이트 및 어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또는 특정 아이템으로 지급될 수 있으며, 아티스트에게 저작권 수익으로 일부 지급될 수도 있다.
저작권 정보 송신 단계(S506)는 저작권 정보 송신부(208)에서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저작권 정보 송신 단계(S506)는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한 음원의 저작권 침해 여부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에서 저작권이 침해된 음원을 확인하였을 경우 "유효한 저작권이 없습니다'의 문구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저작권이 침되지 않는 음원을 확인하였을 경우 "유효한 저작권입니다"의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저작권 정보 송신 단계(S506)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한 결과,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에게 저작권 침해 정보를 송신한다.
저작권 정보 송신 단계(S506)는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S505)에서 특정 장소에서 특정 음원이 재생될 경우 저작권이 유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그 특정 음원의 저작권자에게 저작권이 침해된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저작권 정보 확인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201: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
202: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
203: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204: 음원 정보 수신부 205: 곡 정보 추출부
206: 저작권 정보 확인부 207: 위치정보 수신수
208: 저작권 정보 송신부 209: 통계 정보 제공부
210: 리워드 제공부

Claims (17)

  1. 복수의 음원에 관한 아티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곡 정보, 복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장소 각각에서 재생될 수 있는 저작권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음원 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음원 정보에 대응되는 곡 정보를 추출하는 곡 정보 추출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상기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곡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상기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부;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저작권 정보 송신부;
    상기 저작권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정보를 상기 곡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로그 정보 및 곡 정보를 참조하여, 아티스트별 로그 정보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계 정보 제공부;
    가입된 회원 별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계 정보 제공부의 상기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 및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아티스트별 저작권 확인수 및 저작권 침해 적발수에 대응하는 포인트 또는 아이템 형태의 리워드를 상기 각 아티스트를 선호하는 회원에게 제공하는 것을 결정하는 리워드 제공부
    를 포함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정보 송신부는
    상기 저작권 정보를 확인한 결과, 상기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에게 저작권 침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수신부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상기 음원 정보로 수신하고,
    상기 곡 정보 추출부는
    상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곡 정보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수신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인식한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곡 정보 추출부는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9.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복수의 음원에 관한 아티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곡 정보, 복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음원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장소 각각에서 재생될 수 있는 저작권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작권 정보 저장 단계;
    음원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음원 정보를 수신하는 음원 정보 수신 단계;
    곡 정보 추출부에서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곡 정보를 추출하는 곡 정보 추출 단계;
    위치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 단계;
    저작권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곡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장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상기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
    저작권 정보 송신부에서 상기 확인된 저작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저작권 정보 송신 단계;
    상기 저작권 정보 확인 단계에서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로그 정보를 상기 곡 정보에 대응시켜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통계 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로그 정보 및 곡 정보를 참조하여, 아티스트별 로그 정보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계 정보 제공 단계;
    가입된 회원 별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리워드 제공부에서 상기 통계 정보 제공 단계의 상기 아티스트 별 통계 정보 및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아티스트별 저작권 확인수 및 저작권 침해 적발수에 대응하는 포인트 또는 아이템 형태의 리워드를 상기 각 아티스트를 선호하는 회원에게 제공하는 것을 결정하는 리워드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정보 송신 단계는
    상기 저작권 정보를 확인한 결과, 상기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에서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이 재생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곡 정보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에게 저작권 침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수신 단계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상기 음원 정보로 수신하고,
    상기 곡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곡 정보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인식한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곡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정보 확인 방법.
  17. 제9항, 제10항,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90030876A 2019-03-19 2019-03-19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21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76A KR102217935B1 (ko) 2019-03-19 2019-03-19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76A KR102217935B1 (ko) 2019-03-19 2019-03-19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39A KR20200111339A (ko) 2020-09-29
KR102217935B1 true KR102217935B1 (ko) 2021-02-19

Family

ID=7266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76A KR102217935B1 (ko) 2019-03-19 2019-03-19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9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70B1 (ko) * 2016-10-26 2017-04-10 함현식 음원 저작권 보호를 위한 시스템, 검사용 단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04B1 (ko) 2017-12-27 2018-07-23 (주)엠더블유스토리 저작권 침해 콘텐츠가 유통되는 모바일 앱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70B1 (ko) * 2016-10-26 2017-04-10 함현식 음원 저작권 보호를 위한 시스템, 검사용 단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39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246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audio services
KR101484321B1 (ko) 미디어 콘텐츠 주문 및 배달 방법 및 시스템
US78536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pre-recorded music
KR100587763B1 (ko) 광고가 결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방법
US8458184B2 (en) Tagging media assets, locations, and advertisements
US201601648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Sender and a Recipient Via a Personalized Message Including an Audio Clip Extracted from a Pre-Existing Recording
US7925590B2 (en) Multimedia search engine
JP2012506575A (ja) ダウンロードトランザクション会計及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交流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9014788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センタ装置
CN101465703A (zh) 基于推荐网络填充因特网电台服务的内容库的方法和系统
KR20110128112A (ko) 사용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35300A (ko) 동영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통한 광고방법
KR102217935B1 (ko) 저작권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2043A (ko) 맞춤형 음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2161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874420B (zh) 一种基于纸书二维码的有声书获取方法及系统
JP2003216862A (ja) 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装置
KR100977641B1 (ko) 인터넷을 통한 음악신청 및 음악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813084B1 (ko) 이동형의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
KR100808290B1 (ko) 음악 파일 전송 장치 및 방법과, 음악 파일 재생 장치 및 방법
Thompson Evaluating User Perspectives of Audio Fingerprinting Technologies
KR20050072344A (ko) 오디오 신호의 상세 정보 취득 방법 및 시스템
WO2010071455A1 (en) File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Martin A'social form of knowledge'in practice: Unofficial compiling of 1960s pop music on CD-R
KR20080083075A (ko) 라디오 방송 중 음악파일의 실시간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