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968B1 -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968B1
KR102216968B1 KR1020190110547A KR20190110547A KR102216968B1 KR 102216968 B1 KR102216968 B1 KR 102216968B1 KR 1020190110547 A KR1020190110547 A KR 1020190110547A KR 20190110547 A KR20190110547 A KR 20190110547A KR 102216968 B1 KR102216968 B1 KR 10221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information
cradl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to KR102019011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968B1/ko
Priority to PCT/KR2020/009842 priority patent/WO2021045386A1/ko
Priority to US17/639,797 priority patent/US2022033609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by projecting aerial or floating im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보급화된 사용자단말기와, 사용자단말기가 거치 및 충전되는 크래들모듈을 통해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도우미 로봇 없이도 저렴한 비용으로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크래들모듈에 사용자단말기의 거치시 도우미 서비스가 실행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크래들모듈 및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정보(ex : 도우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도우미 서비스 제공시 실제 캐릭터와 대화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친밀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외로움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SYSTEM FOR HELPER USING CRADLE}
본 발명은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공지능 비서 기기로 활용되는 스마트 스피커 또는 도우미 로봇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음성으로 뉴스나 날씨정보, 생활정보 등을 기기에 문의하거나 음악을 호출하여 듣고, 음성으로 온라인 쇼핑도 대신하며,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된 가전제품과 조명을 음성으로 원격제어하며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다.
한편, 근래 독거노인 등 혼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고가의 스마트 스피커 또는 도우미 로봇을 쉽게 구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고가의 스마트 스피커 또는 도우미 로봇을 구입하더라도 설치 및 사용방법이 복잡하여 스마트 스피커 및 도우미 로봇을 통해 연령대가 높은 독거노인 등 혼자서 생활하는 사람들을 효율적, 능동적으로 케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연령대가 높은 독거노인들 효율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보급형 도우미 로봇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9515(2018.11.2.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단말기와, 사용자단말기가 거치 및 충전되는 크래들모듈을 통해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도우미 로봇 없이도 저렴한 비용으로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크래들모듈에 사용자단말기의 거치시 도우미 서비스가 실행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크래들모듈;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며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설정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모듈로부터 단말기연결신호(s2)를 인가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도우미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서비스구동신호(s3)를 인가하는 도우미서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래들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동적 그래픽이미지(g)가 투영되어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되는 홀로그램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보급화된 사용자단말기와, 사용자단말기가 거치 및 충전되는 크래들모듈을 통해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도우미 로봇 없이도 저렴한 비용으로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크래들모듈에 사용자단말기의 거치시 도우미 서비스가 실행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크래들모듈 및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정보(ex : 도우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도우미 서비스 제공시 실제 캐릭터와 대화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친밀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외로움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 및 크래들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크래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크래들모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크래들모듈을 통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동적 그래픽이미지가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에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 및 크래들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크래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크래들모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크래들모듈을 통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동적 그래픽이미지가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10)은 거치부(101)와 거치부(10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03)가 구비된 크래들모듈(100); 및 거치부(101)에 거치되며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여 구동부(103)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래들모듈(100)은 사용자단말기(200)가 거치되는 거치부(101)를 포함하며, 거치부(101)에 사용자단말기(200)가 거치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0)의 유/무선충전이 이뤄질 수 있다.
이때, 크래들모듈(100)은 본체부(107)에 구비된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와 다양한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크래들모듈(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200)의 구동제어신호(s1)에 의해 구동되며, 사용자단말기(200)의 방향이 제어되도록 거치부(10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0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부(103)를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103)는 구동제어신호(s1) 중 사용자의 방향정보(i2-1)에 따른 제1구동제어신호(s1-1)에 의해 구동되어 거치부(101)를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103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구동부(103a)는 베이스부(105)에 구비되며, 제1구동제어신호(s1-1)에 의해 구동되어 본체부(107)를 바닥면과 수직한 가상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거치부(101)와 사용자단말기(200)를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사용자의 방향정보(i2-1)는 사용자가 위치한 좌표와 대응되는 정보로써, 후술할 입력부(109)를 통해 입력된 입력정보(i1) 중 음성정보(i1-1) 또는 영상정보(i1-2)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03)는 구동제어신호(s1) 중 사용자의 안면정보(i2-2)에 따른 제2구동제어신호(s1-2)에 의해 구동되어 거치부(101)를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도록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103b);를 더 포함한다.
제2구동부(103b)는 본체부(107)에 구비되며, 제2구동제어신호(s1-2)에 의해 구동되어 사용자단말기(200)가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도록 바닥면을 기준으로 거치부(101)의 각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안면정보(i2-2)는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한 각도와 대응되는 정보로써, 영상입력부(109b)를 통해 입력된 영상정보(i1-2)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한편, 크래들모듈(100)은 베이스부(105)와, 베이스부(10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107) 및 본체부(107)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101)를 포함한다.
또한, 크래들모듈(100)은 사용자의 음성정보(i1-1)와 영상정보(i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정보(i1)가 입력되는 입력부(109)와, 도우미 서비스가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되는 출력부(111) 및 스위치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109)는 사용자의 음성정보(i1-1)가 입력되는 음성입력부(109a)와, 사용자의 영상정보(i1-2)가 입력되는 영상입력부(109b)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성입력부(109a)는 본체부(107)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일예로 음성입력부(109a)는 본체부(107)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음성입력부(109a')와 본체부(107)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음성입력부(109a'')를 포함한다.
제1음성입력부(109a')와 제2음성입력부(109a'')는 각각 본체부(107)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가 위치한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음성정보(i1-1)의 크기(decibel)가 서로 다르게 입력될 수 있는데, 이로써, 사용자단말기(200)는 입력된 음성정보(i1-1)의 크기를 통해 입력정보(i1)가 입력된 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음성입력부(109a')와 제2음성입력부(109a'')는 본체부(107)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와 다양한 음성정보(i1-1)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일예로 본체부(107)와 분리시 통신부를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ex : wifi, Bluetooth 등등)을 통해 사용자단말기(200)와 다양한 음성정보(i1-1)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어서, 영상입력부(109b)는 사용자의 영상정보(i1-2)가 입력되는데, 영상입력부(109b)는 본체부(107)를 기준으로 다양한 위치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정보(i1-2)가 입력될 수 있도록 360도 카메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입력부(109b)는 음성입력부(109a)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7)의 상측에 구비된 홀로그램생성부(1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단말기(200)와 다양한 영상정보(i1-2)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일예로 홀로그램생성부(121)와 분리시 통신부를 통한 근거리 무선통신(ex : wifi, Bluetooth 등등)을 통해 사용자단말기(200)와 다양한 영상정보(i1-2)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어서, 출력부(111)는 도우미 서비스가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러한 출력부(111)는 일예로 음성입력부(109a)와 일체로 형성되는 스피커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스위치부(112)는 본체부(107)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출력된 서비스 ON/OFF신호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데, 이때, 후술할 도우미 서비스가 ON/OFF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의한 크래들모듈(100)은 사용자단말기(200)의 영상출력부(207)를 통해 출력된 동적 그래픽이미지(g)가 투영되어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되는 홀로그램생성부(121);를 더 포함한다.
홀로그램생성부(121)는 일예로 본체부(107)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200)의 영상출력부(207)를 통해 출력된 동적 그래픽이미지(g)가 투영되어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러한 홀로그램생성부(121)는 일예로 영상출력부(207)를 통해 출력된 동적 그래픽이미지(g)가 투용되어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되는 투영부(미도시) 및 영상출력부(207)를 통해 출력된 동적 그래픽이미지(g)가 투영부로 투영되도록 동적 그래픽이미지(g)를 반사시키는 반사부(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영부(미도시)는 동적 그래픽이미지(g)가 투영되어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다각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래들모듈(100)은 단말기인식부(125)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인식부(125)는 최초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0)의 단말기정보가 저장되며, 최초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0)가 거치되어 단말기정보(i2)가 인가되는 경우 단말기연결신호(s2)를 출력하여 후술할 도우미서버부(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최초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0)란 특정 통신사에서만 출시 및 공급되는 모델의 사용자단말기(200)일 수 있다.
계속해서, 사용자단말기(200)는 크래들모듈(100)의 거치부(101)에 거치되며, 거치부(101)에 거치되는 경우 유/무선통신을 통해 크래들모듈(100)과 다양한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사용자단말기(200)는 일예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기(200)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음성정보(i1-1)와 영상정보(i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정보(i1)가 입력된 방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방향정보(i2-1)와 안면정보(i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i2)를 출력하는 위치분석부(203); 및 사용자정보(i2)를 인가받아 사용자정보(i2)에 따른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는 구동제어부(201);를 포함한다.
위치분석부(203)는 크래들모듈(100)의 입력부(109)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정보(i1-1)와 영상정보(i1-2)를 인가받아, 사용자의 음성정보(i1-1)와 영상정보(i1-2)를 통해 사용자의 방향정보(i2-1)와 안면정보(i2-1)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i2)를 출력하여 구동제어부(201)로 인가한다.
일예로, 위치분석부(203)는 복수개의 음성입력부(109a)로 입력된 음성정보(i1-1)를 인가받아, 복수개의 음성입력부(109a)로부터 인가된 각각의 음성정보(i1-1)의 크기(ex : decibel)를 비교한 뒤, 가장 큰 값의 음성정보(i1-1)가 입력된 음성입력부(109a)가 위치한 방향에 사용자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의 방향정보(i2-1)를 출력한다.
다른 예로, 위치분석부(203)는 영상입력부(109b)로부터 영상정보(i1-2)를 인가받아, 영상정보(i1-2) 중 사용자가 촬영된 사용자영역을 도출하여 사용자의 방향정보(i2-1)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분석부(203)는 입력정보(i1)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정보(i2-2)를 출력할 수 있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위치분석부(203)는 입력정보(i1) 중 영상입력부(109b)를 통해 입력된 영상정보(i1-2)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정보(i2-2)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분석부(203)는 영상정보(i1-2) 중 사용자가 촬영된 영역을 도출한 뒤, 사용자가 촬영된 영역 중에서도 사용자의 눈, 코, 입이 포함된 영역을 사용자의 안면정보(i2-2)로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구동제어부(201)는 사용자정보(i2)를 인가받아 사용자정보(i2)에 따른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여 크래들모듈(100)의 구동부(103)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동제어부(201)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제어부(201)는 사용자정보(i2) 중 사용자의 방향정보(i2-1)에 따른 제1구동제어신호(s1-1)를 출력하여, 거치부(101)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부(103)를 제어하는 회전제어부(201a); 및 사용자정보(i2) 중 사용자의 안면정보(i2-2)에 따른 제2구동제어신호(s1-2)를 출력하여, 거치부(101)가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도록 구동부(103)를 제어하는 각도제어부(201b);를 포함한다.
회전제어부(201a)는 위치분석부(203)를 통해 출력된 사용자의 방향정보(i2-1)에 따른 제1구동제어신호(s1-1)를 출력하여, 거치부(101)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구동부(103a)를 제어한다.
각도제어부(201b)는 위치분석부(203)를 통해 출력된 사용자의 안면정보(i2-2)에 따른 제2구동제어신호(s1-2)를 출력하여, 거치부(101)가 바닥면을 기준으로 각도조절되어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도록 제2구동부(103b)를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단말기(200)는 영상출력부(207)를 더 포함하는데, 영상출력부(207)는 다양한 영상정보와 텍스트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출력부(207)는 후술할 도우미서버부(300)로부터 아바타생성신호(s4)가 인가되는 경우 기설정된 캐릭터의 동적 그래픽이미지(g)를 출력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음성정보(i1-1)와 영상정보(i1-2)를 통해 사용자의 방향정보(i2-1)와 안면정보(i2-2)를 도출한 뒤, 사용자의 방향정보(i2-1)를 통해 제1구동부(103a)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거치부(101)를 회전시키고, 사용자의 안면정보(i2-2)를 통해 거치부(101)가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크래들모듈(100) 및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정보(ex : 도우미 서비스)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설정된 사용자단말기(200)가 거치부(101)에 거치되는 경우, 크래들모듈(100)로부터 단말기연결신호(s2)를 인가받아,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도우미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사용자단말기(200)로 서비스구동신호(s3)를 인가하는 도우미서버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우미 서비스란, 인공지능 챗봇 기능을 통해 독거노인 등의 사용자를 케어하는 서비스로써, 구체적으로 도우미 서비스는 크래들모듈(100)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정보(i1-1)와 영상정보(i1-2)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패턴분석, 사용자에게 능동적인 대화를 유도하는 말벗기능, 영상통화, 복약시간알림, 운동추천, 사용자의 모션감지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도우미서버부(300)는 사용자단말기(200) 및 크래들모듈(100)과 유/무선통신을 통해 다양한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도우미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인공지능 챗봇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우미서버부(300)는 크래들모듈(100)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정보(i1-1)와 영상정보(i1-2)를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인가받아, 사용자의 패턴분석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외로움을 느끼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능동적으로 말벗기능과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설정된 시간에 사용자에게 복약시간 알림 및 운동을 추천한다.
이때, 도우미서버부(300)는 사용자의 영상정보(i2-2)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말벗기능 서비스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와 연관관계로 기설정된 지인의 단말기(미도시)로 위험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도우미서버부(300)는 단말기연결신호(s2)가 인가되는 경우, 서비스구동신호(s3)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면서, 앞서 설명한 다양한 도우미 서비스가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크래들모듈(1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사용자단말기(200)로 서비스제어신호(s4)를 인가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도우미 서비스(ex : 영상통화 및 문자 서비스 등등)를 직접 출력하거나, 크래들모듈(100)을 통해 도우미 서비스가 출력되도록 서비스제어부(205)가 크래들모듈(100)로 서비스제어신호(s4-2)를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기(200)는 특정 도우미 서비스가 출력되도록 서비스제어신호(s4-2)를 출력하는 경우, 도우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되도록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여 구동부(103)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다솜아 아들 번호로 영상통화 걸어줘'라는 음성정보(i1-1)가 입력되는 경우, 도우미서버부(300)는 사용자단말기(200)가 특정 번호로 영상통화를 걸도록 서비스제어신호(s4-1)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데,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구동제어신호(s1-1)를 출력하여 제1구동부(103a)를 제어한 뒤,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도록 제2구동제어신호(s1-2)를 출력하여 제2구동부(103a)를 제어한다.
물론,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외한 도우미 서비스가 출력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단말기(200)는, 도우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되도록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여 크래들모듈(100)의 구동부(103)를 제어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우미서버부(3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서비스구동신호(s3)를 인가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0)의 영상출력부(207)를 통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동적 그래픽이미지(g)가 출력되도록 아바타생성신호(s4)를 출력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인가하는 아바타생성부(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바타생성부(301)는 아바타생성신호(s4)를 출력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데,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동적 그래픽이미지(g)를 출력하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출력된 동적 그래픽이미지(g)는 반사부(123)에 반사된 후 투영부(미도시)에 투영되어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된 캐릭터의 동적 그래픽이미지(g)는 도우미 서비스의 출력시 사용자와 대화 하는 것과 같은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우미 서비스 제공시 실제 캐릭터와 대화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친밀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혼자 생활하는 사용자의 외로움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i3)가 입력되며, 생체정보(i3)를 도우미서버부(300)로 전송하는 웨어러블모듈(400);을 더 포함한다.
웨어러블모듈(4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심장박동, 혈압, 체온, 혈당 등을 포함하는 생체정보(i3)가 입력되며, 이러한 생체정보(i3)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데, 이때, 도우미서버부(300)는 생체정보(i3)를 통해 복약시간알림, 운동추천 등의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보급화된 사용자단말기(200)와, 사용자단말기(200)가 거치 및 충전되는 크래들모듈(100)을 통해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도우미 로봇 없이도 저렴한 비용으로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크래들모듈(100)에 사용자단말기(200)의 거치시 도우미 서비스가 실행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크래들모듈(100) 및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정보(ex : 도우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도우미 서비스 제공시 실제 캐릭터와 대화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친밀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외로움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100 : 크래들모듈
101 : 거치부
103 : 구동부
103a : 제1구동부
103b : 제2구동부
105 : 베이스부
107 : 본체부
109 : 입력부
109a : 음성입력부
109b : 영상입력부
111 : 출력부
112 : 스위치부
113 : 음성입력부
121 : 홀로그램생성부
123 : 반사부
125 : 단말기인식부
200 : 사용자단말기
201 : 구동제어부
201a : 회전제어부
201b : 각도제어부
300 : 도우미서버부
301 : 아바타생성부
400 : 웨어러블모듈

Claims (9)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사용자의 음성정보(i1-1)와 영상정보(i1-2)를 포함하는 입력정보(i1)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크래들모듈;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며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모듈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정보(i1-1)가 입력되는 음성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입력부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입력되는 음성정보(i1-1)를 통해 입력정보(i1)가 입력된 방향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음성입력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음성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음성입력부와 제2음성입력부가 상기 본체부와 분리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정보(i1-1)와 영상정보(i1-2)를 포함하는 입력정보(i1)가 입력된 방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향정보(i2-1)와 안면정보(i2-2)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i2)를 출력하는 위치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정보(i2)를 인가받아 상기 사용자정보(i2)에 따른 상기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방향정보(i2-1)에 따른 제1구동제어신호(s1-1)를 출력하여, 상기 거치부가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제어신호(s1) 중 상기 사용자의 방향정보(i2-1)에 따른 제1구동제어신호(s1-1)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거치부를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제어신호(s1)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정보(i2-2)에 따른 제2구동제어신호(s1-2)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거치부를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도록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정보(i2)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정보(i2-2)에 따른 제2구동제어신호(s1-2)를 출력하여, 상기 거치부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각도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크래들모듈로부터 단말기연결신호(s2)를 인가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도우미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서비스구동신호(s3)를 인가하는 도우미서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미서버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서비스구동신호(s3)를 인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동적 그래픽이미지(g)가 출력되도록 아바타생성신호(s4)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인가하는 아바타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동적 그래픽이미지(g)가 투영되어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되는 홀로그램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i3)가 입력되며, 상기 생체정보(i3)를 상기 도우미서버부로 전송하는 웨어러블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KR1020190110547A 2019-09-06 2019-09-06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KR102216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47A KR102216968B1 (ko) 2019-09-06 2019-09-06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PCT/KR2020/009842 WO2021045386A1 (ko) 2019-09-06 2020-07-27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US17/639,797 US20220336094A1 (en) 2019-09-06 2020-07-27 Assistive system using cr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547A KR102216968B1 (ko) 2019-09-06 2019-09-06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968B1 true KR102216968B1 (ko) 2021-02-18

Family

ID=7468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547A KR102216968B1 (ko) 2019-09-06 2019-09-06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36094A1 (ko)
KR (1) KR102216968B1 (ko)
WO (1) WO2021045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268B1 (ko) * 2020-01-20 2021-09-17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크래들의 구동패턴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381A (ja) * 2010-12-30 2014-11-06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イション 可動式ロボットシステム
KR20170027190A (ko) *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결합형 주행 로봇 및 그 로봇의 제어 방법
KR20180039439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안내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119515A (ko) 2017-04-25 2018-11-02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26B1 (ko) * 2009-07-07 2012-03-13 송세경 식당의 고객 서비스 및 계산 가능한 지능형 주행로봇
US20130338525A1 (en) * 2012-04-24 2013-12-19 Irobot Corporation Mobile Human Interface Robot
US9424678B1 (en) * 2012-08-21 2016-08-23 Acronis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teleconferencing using 3-D avatar
CN107548548B (zh) * 2015-05-12 2021-09-14 德克斯康公司 用于连续葡萄糖监视的分布式系统架构
US20180054228A1 (en) * 2016-08-16 2018-02-22 I-Tan Lin Teleoperated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80106418A1 (en) * 2016-10-13 2018-04-19 Troy Anglin Imaging stand
JP6856914B2 (ja) * 2017-07-18 2021-04-14 ハンジョウ タロ ポジ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Hangzhou Taro Positioning Technology Co.,Ltd. インテリジェントな物体追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381A (ja) * 2010-12-30 2014-11-06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イション 可動式ロボットシステム
KR20170027190A (ko) *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결합형 주행 로봇 및 그 로봇의 제어 방법
KR20180039439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안내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119515A (ko) 2017-04-25 2018-11-02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36094A1 (en) 2022-10-20
WO2021045386A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6736B1 (ja) 仮想空間を介し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US11044544B2 (en) Headphones with interactive display
US10341612B2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spac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EP3326362B1 (en) Distributed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104383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irtual space deliver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3134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method
JP6290467B1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AU2018329647B2 (en) Headphones with interactive display
US20180348987A1 (en) Method executed on computer for providing virtual spa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JP6306765B1 (ja) 仮想空間を移動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257826B1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180329604A1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in virtual space, and progra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16968B1 (ko) 크래들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US201803294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and program
JP2018125003A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19106220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バイスを介して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処理装置
US20210302922A1 (en) Artificially intelligent mechanical system used in connection with enabled audio/video hardware
TWI638264B (zh) 應用於智慧型機器人的開機系統及其開機方法
JP6225242B1 (ja) 情報処理方法、装置、およ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2003846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8142319A (ja) 仮想空間を移動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8206340A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321247B1 (ja) 仮想空間を移動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れる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8097879A (ja) 仮想空間を介し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JP2020042593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