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553B1 -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553B1
KR102216553B1 KR1020190075493A KR20190075493A KR102216553B1 KR 102216553 B1 KR102216553 B1 KR 102216553B1 KR 1020190075493 A KR1020190075493 A KR 1020190075493A KR 20190075493 A KR20190075493 A KR 20190075493A KR 102216553 B1 KR102216553 B1 KR 10221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protective member
insulating film
film lay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428A (ko
Inventor
박용석
이석주
성홍석
강효용
Original Assignee
엘티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5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본체와 커버를 각각 성형하여 준비하되, 상기 케이스 본체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를 세척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단에서 커버를 용접 고정하는 용접부위에 보호부재를 형성한 후에, 케이스 본체 내측에 절연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층이 형성된 후에 상기 보호부재를 제거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구성부품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단에 커버를 용접 고정하여 봉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용접 작업시 이물질(절연막층 코팅 입자)에 의한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스의 치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case}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양단에 커버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봉합할 때 코팅 잔유물로 인한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급격하게 보급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단위 배터리 셀들을 모아서 구성하고, 이를 배터리 모듈이라 칭한다.
이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에 배터리 케이스(또는 하우징)에 삽입 설치하여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케이스는 알루미늄 소재를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여러 부품으로 분리하여 성형한 후에 각 부품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다이캐스팅 소재의 특성상 다이캐스팅 제작된 부품의 내부에는 불가피하게 기공이 생성되고, 이러한 기공이 생성되는 다이캐스팅 부품을 용접할 경우 용접에 의한 폭발, 용접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케이스 제조 공정에 의해 성형된다.
먼저, 배터리 케이스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양단에 고정되어 양단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케이스 본체는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사각 기둥의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케이스는 공간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는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하여 제작하거나 사각 형상의 판부재를 여러 번 접어서 사각 기둥 형태로 만든 후에 접는 방향의 단부를 겹쳐서 용접으로 고정하여 형성한다.
이후에, 케이스 본체에 다수의 홀을 형성한다. 이 다수의 홀은 케이스 본체 내에 레진(resin)을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는 프레스(press)나 공구(드릴)를 이용하여 홀의 성형시 홀 가장자리에 발생되는 버(burr)를 제거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다수의 홀 성형 이후에, 케이스 본체의 내면에 절연막 층을 형성한다. 이 절연막 층은 분체 도장실에 케이스 본체를 넣은 후에 분체 도장으로 형성한다. 즉, 케이스 본체를 본체 도장실에 넣은 후에, 분체 도장기계로 도료를 케이스 본체의 내측으로 분사하여 절연막 층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절연막층(22)은 케이스 본체에 전기가 전달되지 않는 절연체로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절연막 층 형성 이후에, 케이스 본체 내부에 배터리를 조립하고,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 작업 등을 수행한다. 즉, 케이스 본체 내부에 배터리를 설치하는 작업을 완료한다.
이후에, 케이스 본체 내에 형성된 절연막 층 중에서 케이스 본체의 양단부 에지 부분에 형성된 절연막을 제거하게 된다. 즉,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양단부에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용접할 때, 절연막 층에 의해 용접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양단 에지 부분에 형성된 절연막 층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렇게 케이스 본체의 양단 에지 부분의 절연막 층을 제거한 후에, 커버를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양단부에 밀착시킨 후에 커버를 케이스 본체 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커버를 케이스 본체의 양단부에 용접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케이스 본체의 양단부에 커버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개방된 케이스 본체의 양단을 봉합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가 제작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케이스 본체의 양단부에 커버가 용접으로 고정되는 용접 부위를 마련하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 내에 형성된 절연막 층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절연막층 잔유물 등이 용접 부위에 남아 있게 됨으로써, 커버의 용접 고정시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7449호 (2019.03.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배터리 케이스의 제작시 절연막층 코팅입자로 인한 용접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케이스의 엄격한 치수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한 배터리 케이스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와 커버를 각각 성형하여 준비하는 부품 준비단계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는 피어싱 단계와,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용접 영역에 보호부재를 형성하는 보호부재 형성 단계와, 상기 보호부재가 양단부에 형성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절연막층을 형성하는 절연막층 형성단계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단에 형성된 보호부재를 제거하는 보호부재 제거단계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배터리를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품 설치단계;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단에 커버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양단을 봉합하는 커버 봉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절연막층 형성단계에는 상기 절연막층을 형성한 후에 건조하기 전에 상기 보호부재에 형성된 절연막층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보호부재 절연막층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어싱 단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홀을 형성한 후에, 상기 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버(burr)를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막층 형성단계는,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도장 작업으로 절연막층을 도포한 후에 상기 도포된 절연막층을 건조시켜 경화화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재 형성단계는, 졸(sol) 상태의 보호부재 재료를 담은 용기에 홀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단부를 설정된 시간 동안 담근 후에 꺼내 건조시켜 보호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 내측에 절연막층을 형성하기 전에 케이스 본체의 용접 부위에 보호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용접 작업시 이물질(절연막층 코팅 입자)에 의한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를 물질적으로, 예로서,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케이스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 공정에서 보호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공정에서 절연막층 형성 후 보호부재의 절연막층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양단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를 기준으로 할 때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양단부 중 어느 한 방향을 전방이라 하면 반대쪽을 후방이라 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방으로 개방된 부분이 노출된 쪽을 전방이라 하고, 개방된 부분이 노출되지 않은 반대쪽을 후방이라 한다.
도 2는 통상적인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 공정에서 보호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공정에서 절연막층 형성후 보호부재의 절연막층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부품 준비단계(S100), 피어싱 단계(S110), 보호부재 형성단계(S120), 절연막층 형성단계(S130), 보호부재의 절연막층 제거단계(S140), 보호부재 제거단계(S150), 구성품 설치단계(S160), 커버 봉합단계(S1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10)는 도 2와 같이, 양단이 개방 형성된 케이스 본체(20)와, 케이스 본체(20)의 개방된 양단을 덮는 커버(3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본체(20)는 양단이 개방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케이스 본체(20)는 도 2와 같이, 대략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배터리 모듈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커버(30)는 케이스 본체(20)의 개방된 양단에 고정되어 개방된 양단을 덮는 것으로, 케이스 본체(20)의 개방된 양단의 입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20)는 내측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전선 등에 의해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내면을 절연막 층(22)으로 형성한다. 커버(30)는 케이스 본체(20)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절연막 층(22)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커버는 배터리가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절연막층을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준비단계(S100)는 케이스 본체(20)와 커버(30)를 각각 성형하여 준비하게 된다. 케이스 본체(20)는 알루미늄(Al) 소재를 압출하여 설정된 길이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 본체(20)는 양단부가 개방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케이스 본체(20)와 커버(30)를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이는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서 중량도 가볍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케이스 본체(20)는 압출 가공으로 성형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롤이나 길이가 길게 형성된 판 형태의 재료를 사각 기둥 형상의 케이스 본체(20)를 펼쳐서 형성되는 판 형상의 부재의 크기로 절단한 후에, 판 형상의 부재를 측면 방향으로 수회 접었을 때, 서로 만나는 양측부를 용접 고정하여 사각기둥 형상의 케이스 본체(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피어싱 단계(S110)는 준비단계(S100)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성형된 케이스 본체(20)에 다수의 홀(21)을 피어싱 금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다수의 홀(21)은 케이스 본체(20) 내에 레진(resin)을 주입하는데 사용된다. 레진은 배터리 셀과 케이스 본체(20) 사이에 마련됨으로써,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열이 케이스 본체(20)로 잘 전달시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 본체(20)에 홀(21)을 형성하는 피어싱 가공은 펀칭(punching) 가공으로 형성한다. 여기에서 피어싱 가공은 피어싱 금형을 사용한다. 또한, 피어싱 가공은 홀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드릴을 사용할 수도 있다.
피어싱 단계(S110)는 피어싱 금형으로 홀(21)을 형성할 때 홀(21)의 주변으로 형성되는 버(burr)를 제거하는 버 제거단계를 더 포함한다. 버 제거단계는 버(burr) 제거공구 예로서, 디버링 금형을 사용하여 홀(21)의 주변에 형성된 버(burr)를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홀(21) 주변에 형성되는 버(burr)는 피어싱으로 홀을 형성할 때 발생되는 찌꺼기로서, 재질에 따라 날카로워서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힐 뿐만 아니라 제품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버(Burr)는 케이스 본체(20)의 외측과 내측에 모두 형성됨으로 케이스 본체(20)의 내측과 외측에서 모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어싱 단계(S110) 이후에는 피어싱 단계와 버 제거 단계시 발생된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단계를 갖는다. 즉, 세척단계는 피어싱 단계(S110)와 버 제거시 케이스 본체(20)에 묻은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 본체의 표면을 탈지하여 표면의 피막을 전처리하여 코팅이 잘될 수 있도록 한다.
보호부재 성형단계(120)는 커버(30)가 용접 고정되는 케이스 본체(20)의 양단부에 용접 부위(20a)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본체(20)의 양단의 일부를 덮어서 보호하는 보호부재(4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커버(30)를 케이스 본체(20)의 양단부에 밀착시켜 용접 고정할 때, 케이스 본체(20)의 단부에서 용융되어 커버(30)에 접합되는 부위를 용접 부위(20a)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20)의 내면에서 용접 부위(20a)를 제외한 나머지를 절연막층 형성 부위(20b)라 칭한다. 용접 부위(20a)는 배터리 케이스(10)의 설계시 설정된 치수에 따른다.
여기서, 보호부재(40)의 성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케이스 본체를 미리 가열시킨다. 이후에, 보호부재(40)의 재료가 졸(sol) 상태로 담긴 용기에 가열된 케이스 본체(20)의 단부를 설정된 시간 동안 넣어서 케이스 본체(20)의 단부에 액상 상태의 보호부재가 묻을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케이스 본체(20)를 꺼내서 케이스 본체(20)의 단부에 묻어 있는 보호부재(40)를 건조시켜 단단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용기에 담긴 졸(sol) 상태의 보호부재(40)의 원료 용액의 깊이는 졸(sol) 상태의 보호부재의 원료에 케이스 본체(20)의 단부를 넣었을 때 용접 부위(20a)의 높이와 같도록 구성한다.
또한, 보호부재(40)는 케이스 본체(20)의 양단에 부착하여 쉽게 떼어낼 수 있는 설정된 폭을 갖는 부착 부재 예로서, 테이프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보호부재 형성단계(S120)에서 케이스 본체(20)의 양단부에 보호부재(40)를 모두 형성하게 된다.
절연막층 형성단계(S130)는 케이스 본체(20)의 내면에 절연막층(22)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절연막층(22)은 케이스 본체(20)의 내면을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비전도성 상태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절연막층(22)을 형성하는 도료는 비전도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절연막층(22)은 비전도성 물질로 된 도료로 케이스 본체(20)의 내면을 도포하여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절연막층(22)을 형성하기 위해 비전도성 물질의 도료를 케이스 본체(20)의 내면에 도포할 때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하나의 예로서, 분체도장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분체도장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절연막층 형성단계(S130)는 분체도장으로 형성된 절연막층(22)이 묻어 나지 않도록 완전히 건조시키는 과정도 포함한다. 즉, 절연막층 형성단계(S130)에는 분체 도장으로 케이스 본체(20) 내에 형성된 절연막층(22)을 경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있는데, 절연막층(22)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켜 경화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절연막층(22)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켜 경화하는 과정에서 너무 고온의 열을 가하게 되면 케이스 본체(20)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강성이 약화되기 때문에 약한 온도의 열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막층(22)에 열을 직접 가하는 것보다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는 챔버 내에 절연막층(22)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20)를 수용한 상태에서 건조 경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막층 형성단계(S130)는 절연막층 형성단계(130)에서 케이스 본체(20)의 내측에 절연막층(22)을 분체 도장으로 형성하고, 이 절연막층(22)을 건조하기 전에 보호부재(40)에 도포된 절연막층(22)을 제거하는 보호부재 절연막층 제거단계(S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는 분체 도장으로 케이스 본체(20)에 절연막층(22)을 형성할 때, 보호부재(40)에도 절연막층(22)이 형성되는데, 이 보호부재(40)에 형성된 절연막층(22)은 보호부재(40)를 제거하게 되면 케이스 본체(20)의 용접부위(20a)를 침투하게 되어 커버(30)의 용접 봉합시 용접 불량을 초래하기 때문에 용접부위에(20a) 침투하는 절연막층(22)을 제거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부재 절연막층 제거단계(S131)는 케이스 본체(20)에 절연막층(22)을 형성할 때, 보호부재(40)에 형성된 절연막층(22)이 건조되어 완전히 형성되기 전에 제거해야 하는 것이다. 즉, 분체 도장으로 절연막층(22)이 케이스 본체(20) 내에 형성된 후에, 흡입기(50)를 이용하여 보호부재(40)에 형성된 절연막층(22)을 흡입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 흡입기(50)로 보호부재(40)의 절연막층(22)을 흡입하는 작업은 케이스 본체(20)의 절연막층(22)이 흡입되지 않도록 보호부재(40)의 경계 부분을 차단한 상태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보호부재(40)의 절연막층(22)을 흡입하는 작업 전에 보호부재(40)의 경계부분에 차단막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부재(40)의 경계부분에 지지되는 판 형상의 차단부를 구비하는 흡입기(50)를 이용하여 보호부재(40)의 절연막층(22)을 제거할 수도 있다.
케이스 본체(20)의 양단에 형성된 보호부재(40)를 제거하는 보호부재 제거단계(S140)를 갖는다.
보호부재 제거단계(S140)는 케이스 본체(20)의 단부에 형성된 보호부재(40)를 제거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호부재(40)는 제거시 별도의 도구나 손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보호부재 제거단계(S140) 이후에는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배터리 모듈을 조립하고,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품 설치단계(S150)를 갖는다.
구성품 설치단계(S150)는 배터리 셀을 서로 결합하여 구성한 배터리 팩을 케이스 본체(20) 내에 끼워서 전선으로 연결하여 배선하게 된다. 구성품 설치단계(S150)는 후술하는 커버 봉합단계(S160)를 수행하기 전에 케이스 본체(20) 내에 설치해야 할 모든 구성품을 설치하게 된다.
구성품 설치단계(S150) 이후에, 케이스 본체(20)의 양단에 커버(3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하는 커버 봉합단계(S150)를 갖는다. 이 커버 봉합단계(S150)에서 케이스 본체(20)의 양단에 커버(30)를 밀착시킬 때, 커버(30)에 압력을 가하여 용접 작업시 용융되는 케이스 본체(20)의 양단의 용접 부위(20a)와 커버(30)의 용접부위가 서로 압착시켜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 본체(20)의 양단에 커버(30)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봉합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10)의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10; 배터리 케이스
20; 케이스 본체
20a; 용접 부위 20b; 절연막층 형성 부위
21; 홀 22: 절연막층
30; 커버
40; 보호부재
50; 흡입기

Claims (5)

  1. 케이스 본체와 커버를 각각 성형하여 준비하는 부품 준비단계;
    상기 케이스 본체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는 피어싱 단계;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용접 부위에 보호부재를 형성하는 보호부재 형성단계;
    상기 보호부재가 양단부에 형성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절연막 층을 형성하는 절연막 층 형성단계;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단에 형성된 보호부재를 제거하는 보호부재 제거단계;
    상기 케이스 본체에 배터리를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품 설치단계;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단에 커버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양단을 봉합하는 커버 봉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절연막층 형성단계에는 상기 절연막층을 형성한 후에 건조하기 전에 상기 보호부재에 형성된 절연막층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보호부재 절연막층 제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 형성단계는, 졸(sol) 상태의 보호부재 재료를 담은 용기에 상기 케이스 본체의 설계시 설정된 치수의 단부를 설정된 시간 동안 담근 후에 꺼내 건조시켜 보호부재를 형성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단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홀을 형성한 후에, 상기 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버(burr)를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 제거 후에 상기 케이스 본체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층 형성단계는,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도장 작업으로 절연막층을 도포한 후에 상기 도포된 절연막층을 건조시켜 경화화는 과정을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90075493A 2019-06-25 2019-06-25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221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493A KR102216553B1 (ko) 2019-06-25 2019-06-25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493A KR102216553B1 (ko) 2019-06-25 2019-06-25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28A KR20210000428A (ko) 2021-01-05
KR102216553B1 true KR102216553B1 (ko) 2021-02-17

Family

ID=7414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493A KR102216553B1 (ko) 2019-06-25 2019-06-25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055B1 (ko) * 2021-07-09 2022-04-14 김재우 전기차 배터리케이스 제조방법
KR102367849B1 (ko) * 2021-07-09 2022-02-28 김재우 전기차 배터리케이스 제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39B1 (ko) * 2012-02-07 2014-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KR20170082273A (ko) * 2016-01-06 2017-07-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디버링 공정 및 세척 공정 통합장치
KR102187056B1 (ko) * 2016-12-20 2020-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밀도 향상 및 조립 공정이 간소화된 배터리 모듈
KR102002551B1 (ko) 2017-09-07 2019-10-01 (주)케이에이치바텍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제조방법 및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커버 접합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28A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553B1 (ko)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2002551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제조방법 및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커버 접합용 구조물
CN109818198B (zh) 密封电线线束
JP4114497B2 (ja) 回路構成体用ケース及び回路構成体の製造方法
CN109216755B (zh) 方形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CN100474686C (zh) 锂离子二次电池
JP6953840B2 (ja) 蓄電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61293B1 (ko) 이차전지 팩
US20230223615A1 (en) Battery Module Housing Having Easily Reusable Recyclable, and Reworkable Adhesion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EP3151306B1 (en) Rechargeable battery
WO2016091851A1 (de) Batteriezelle mit elektrisch isolierender folie mit konturierung
DE10201221311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thium-Ionen-Zellmodulen mit prozessintegrierter Rahmenfertigung sowie derartiges Zellenmodul
CN106208188A (zh) 散热性能提高的充电器及其制造方法
KR20210000427A (ko)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233615B1 (ko) 배터리 팩
WO2014040734A2 (de) Isolation vo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n
KR102412028B1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KR20210000429A (ko)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KR20230110974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JP6201141B2 (ja) 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2004362874A (ja) 電池パック
CN105173247A (zh) 电池单元收缩包装方法和装配设备
JP2005243362A (ja) 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5407058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666265U (zh) 动力电池顶盖及动力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