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754B1 - 모듈형 방열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방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754B1
KR102215754B1 KR1020200077278A KR20200077278A KR102215754B1 KR 102215754 B1 KR102215754 B1 KR 102215754B1 KR 1020200077278 A KR1020200077278 A KR 1020200077278A KR 20200077278 A KR20200077278 A KR 20200077278A KR 102215754 B1 KR102215754 B1 KR 102215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pipe
heat
block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혁
김선도
최근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앤씨트랜스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앤씨트랜스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앤씨트랜스퍼
Priority to KR102020007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36Heat pipes, e.g. wicks or capillar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wires or p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모듈형 방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발열체, 제1방열블록, 제2방열블록, 제1방열파이프 및 제2방열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열블록 및 상기 제2방열블록을 통하여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을 수 있고, 제1방열블록은 상기 제1방열파이프로 열을 전달하고, 제2방열블록은 상기 제2방열파이프로 열을 전달하여, 발열체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방열장치{MODULE TYPE HEAT DISSIP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듈형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모듈형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을 방출 또는 발산하는 목적은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원을 이용하여 특정의 공간을 가열 또는 냉각하거나,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원을 냉각시켜 발열체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 실내공간과 같이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협소한 실내공기를 직접적으로 가열하여 난방을 도모하는 전기가열식 난방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전기가열식 난방장치는 기본적으로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히트싱크 및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자연대류식 난방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자연대류식 난방장치는 공기의 자연적인 유동에 의해 난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난방할 수 있는 발열체의 부하에 한계가 있고, 발열체의 부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히트싱크의 크기를 키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히트싱크의 크기를 키우게 되면 난방장치의 점유공간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히트싱크의 크기는 발열체가 가지는 열에너지의 용량을 고려하여 최적의 크기로 설계되어야 하는데, 만약 발열체가 가지는 열에너지의 용량에 비하여 히트싱크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거나 작게 하면, 발열체의 부하를 증가시키게 되고, 열의 방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열체가 가지는 열에너지의 용량과 히트싱크의 크기가 바람직하게 설정되었다 하더라도, 발열체 및 히트싱크의 결합 구조에 따라, 방열 효율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07507호 (2013.09.12.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에서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모듈형 방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발열체의 열을 전달받는 제1방열블록; 상기 발열체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나머지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발열체의 열을 전달받는 제2방열블록; 일단부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1방열파이프를 구비하는 제1방열모듈; 및 일단부는 상기 제2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방열블록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2방열파이프를 구비하는 제2방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열블록은, 상기 제1방열파이프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파이프수용홈이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발열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발열체수용홈이 구비되는 제1방열플레이트; 및 상기 제1방열파이프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되는 제2파이프수용홈이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발열체와 이웃하는 다른 발열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발열체수용홈이 구비되는 제2방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파이프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열블록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제1파이프영역; 상기 제1방열블록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영역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2파이프영역; 및 상기 제1파이프영역과 상기 제2파이프영역을 연결하는 제3파이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전방 상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방열파이프의 타단부는 상기 제2방열블록의 후방 상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방열핀과, 상기 제2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방열핀의 간섭영역을 줄여 공간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발열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방열모듈 및 상기 제2방열모듈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파이프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열블록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제1파이프영역; 상기 제1방열블록의 상측 영역에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영역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로 전달하는 제2파이프영역; 및 상기 제1파이프영역과 상기 제2파이프영역을 연결하는 제3파이프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방열핀과, 상기 제2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방열핀이 서로 높이차를 가지며,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방열파이프 또는 상기 제2방열파이프가 비스듬히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열을 전달받는 제1연장형 방열블록;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나머지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열을 전달받는 제2연장형 방열블록; 일단부는 상기 제1연장형 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연장형 방열블록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와, 상기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연장형 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1연장형 방열핀을 구비하는 제1연장형 방열모듈; 및 일단부는 상기 제2연장형 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연장형 방열블록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형 방열파이프와, 상기 제2연장형 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연장형 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2연장형 방열핀을 구비하는 제2연장형 방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체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는 제1방열블록 및 제2방열블록과, 일단부가 제1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1방열파이프 및 일단부가 제2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2방열파이프를 통하여,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파이프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방열파이프의 일부가 삽입되는 파이프수용홈이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발열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발열체수용홈이 구비되는 제1방열플레이트 및 제2방열플레이트를 통하여, 발열체를 사이에 두고 방열블록 및 방열파이프를 번갈아가며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a) 및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b)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모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a) 및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b)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는 발열체(100), 제1방열블록(200), 제2방열블록(300), 제1방열모듈(400) 및 제2방열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100)는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저항체일 수 있으며, 일정한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길쭉한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100)에서 발생된 대부분의 열은 발열체(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방출될 수 있다.
발열체(100)로는 PTC히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PTC히터는 정비례 온도계수를 가지는 반전도성 세라믹 소자인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PTC소자는 일정온도 이전에는 주위온도가 높아질수록 전기저항이 낮아지며, 온도가 일정온도에서 퀴리온도(Curie Temperature)까지는 저항이 증가하며, 퀴리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전기저항은 급격히 증가한다. 이러한 PTC소자의 특징을 이용하여 PTC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는 것이 PTC히터이다. 이러한 PTC히터는 PTC소자의 표면에 온도 상승이 극히 빠르고, 퀴리온도에서의 표면온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는 PTC히터 외에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양한 종류의 저항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방열블록(200)은 발열체(100)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열체(100)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발열체(100)의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즉, 발열체(100)의 좌측에서 발열체(100)의 좌측부를 덮도록 결합되어서 발열체(100)의 좌측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제2방열블록(300)은 발열체(100)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열체(100)의 나머지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발열체(100)의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즉, 발열체(100)의 우측에서 발열체(100)의 우측부를 덮도록 결합되어서 발열체(100)의 우측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100)에서 발생된 열은 발열체(100)를 사이에 두고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제1방열블록(200) 및 제2방열블록(300)으로 분배 및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발열체(100)가 구비될 경우, 제1방열블록(200) 및 제2방열블록(300)은 각 발열체(100)를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번갈아가며 교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방열블록(200)은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발열체(100)를 연결할 수 있고, 제1방열블록(200)은 좌측에 배치된 발열체(100)의 일부 열과, 우측에 배치된 발열체(100)의 일부 열을 동시에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1방열블록(200) 및 제2방열블록(300)은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방열블록(200)은 제1방열플레이트(210) 및 제2방열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열파이프(410)를 중심으로 제1방열플레이트(210)는 일측에 배치되고 제2방열플레이트(220)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방열플레이트(210)는 제1좌측결합부(212) 및 제1우측결합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좌측결합부(212)는 제1방열플레이트(210)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1우측결합부(214)는 제1방열플레이트(210)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좌측결합부(212)는 제1방열파이프(410)를 사이에 두고 제2방열플레이트(220)의 제2우측결합부(22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방열파이프(4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파이프수용홈(2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우측결합부(214)는 발열체(100)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2방열블록(3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발열체(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발열체수용홈(2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2방열플레이트(220)는 제2우측결합부(222) 및 제2좌측결합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우측결합부(222)는 제2방열플레이트(220)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좌측결합부(224)는 제2방열플레이트(220)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우측결합부(222)는 제1방열파이프(410)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1방열플레이트(210)의 제1좌측결합부(21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방열파이프(4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파이프수용홈(2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제1방열플레이트(210)의 제1좌측결합부(212) 및 제2방열플레이트(220)의 제2우측결합부(222)가 서로 밀착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제1방열파이프(410)의 단부는 제1방열블록(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좌측결합부(224)는 발열체(100)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1방열블록(2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발열체(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발열체수용홈(223)을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개의 발열체(100)가 구비될 경우, 하나의 발열체에서 발생된 일부 열은 제1방열플레이트(210)를 통하여 제1방열파이프(410)로 전달될 수 있고, 이웃하는 다른 발열체에서 발생된 일부 열은 제2방열플레이트(220)를 통하여 제1방열파이프(41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 (a)를 참조하면, 제1파이프수용홈(211) 및 제2파이프수용홈(221)은 발열체(100)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과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파이프수용홈(211) 및 제2파이프수용홈(221)에 결합된 방열파이프 측으로 발열체(100)의 열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방열플레이트(210) 및 제2방열플레이트(220) 간의 결합과, 제1방열블록(200) 및 제2방열블록(300) 간의 결합은 용접 등의 열전도성 접착제 혹은 별도의 체결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방열블록(200)의 하부면에는 요철부(2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철부(215)를 통하여 제1방열블록(200)은 지지물(도시되지 않음)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방열블록(300)은 전술한 제1방열블록(200)과 구성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관련 설명은 생략한다.
제1방열모듈(400)은 제1방열블록(200)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제1방열파이프(410) 및 제1방열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열파이프(410)는 일단부가 제1방열블록(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제1방열블록(200)의 외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방열파이프(410)는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방열파이프(410)는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소정 용량의 작동유체가 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제1방열파이프(410)로 전달된 열에 의하여 기화될 수 있고, 기화된 작동유체는 제1방열파이프(410)의 저온영역인 타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작동유체로는 암모니아, 메틸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상온에서 물보다 비등점이 낮은 유체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1방열파이프(410)의 내면에는 미세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방열파이프(410)의 고온영역인 일단부에서 기화된 작동유체는 저온영역인 타단부로 유동하고, 이후 저온영역인 타단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는 미세유로를 따라 고온영역인 일단부로 이동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유로로는 금속가루를 소결시킨 파우더(Powder) 방식, 금속섬유로된 직물 조직이 있는 메쉬(Mesh) 방식, 총열에 사용되는 강선과 같은 형상을 내부에 구현한 그루브(Groove)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방열파이프(410)는 제1파이프영역(411), 제2파이프영역(412) 및 제3파이프영역(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이프영역(411)은 제1방열블록(200)에 삽입되어 제1방열블록(200)으로부터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부분이며, 발열체(100)와 상응하게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파이프영역(412) 제1방열블록(2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제1파이프영역(411)에서 전달된 열을 제1방열핀(420)으로 전달하는 부분이며,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방열블록(200)의 전방 또는 후방 영역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파이프영역(413) 제1파이프영역(411) 및 제2파이프영역(412)을 연결하여 제1파이프영역(411)의 열을 제2파이프영역(412)로 전달하는 부분이며, 작동유체의 유동이 자연스레 안내되도록 곡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방열파이프(410)는 전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L자 형상의 제1방열파이프(410)는 제1방열블록(200)의 열을 전달받아 제1방열블록(200)의 전방 또는 후방 영역으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방열파이프(410)를 진공된 내부에 소정 용량의 작동유체가 충전된 히트파이프로 구성할 경우, 수직 배치된 제2파이프영역(412) 및 제3파이프영역(413)의 내부에는 응축되는 작동유체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그루브 등의 미세유로가 배제되더라도, 응축된 작동유체는 자중에 의해 제1파이프영역(411)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결국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유체는 제1파이프영역(411) 보다 큰 용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방열파이프(410)의 단면적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방열핀(420)을 향해 방사상으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제2파이프영역(412)과 달리, 제1방열블록(200) 및 제2방열블록(300)에 삽입되는 제1파이프영역(411,511)은 발열체(100)을 향하는 일부분이 발열체(100)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평탄한 발열체(100)와 상응하도록 발열체(100)을 향하는 제1파이프영역(411)의 일부분이 면치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1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은 방열파이프 측으로 보다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제1방열핀(420)은 제1방열파이프(41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1방열블록(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제1방열핀(420)은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최대화하여 제1방열파이프(410)로부터 열을 전달 받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방열핀(420)은 제2파이프영역(4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파이프영역(412)의 외면 전체 구간에 걸쳐 설치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제1방열파이프(410)의 타단부는 제1방열핀(42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즉, 제1방열핀(420)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1방열파이프(410)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구(421)와 상기 결합구(431)에 연장 형성되는 보조방열핀(4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방열파이프(410)의 제2파이프영역(412)의 열은 제1방열핀(420)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제2방열모듈(500)은 제2방열블록(300)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제2방열파이프(510) 및 제2방열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열파이프(510)는 일단부가 제2방열블록(3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제2방열블록(300)의 외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방열모듈(500)은 전술한 제1방열모듈(400)과 구성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관련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제1방열파이프(410) 및 제2방열파이프(510)는 모두 전방 상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모두 후방 상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100)에서 발생된 열은 전방 상측 영역으로 방출되거나, 후방 상측 영역으로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제1방열파이프(410) 및 제2방열파이프(510)는 모두 전방 하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모두 후방 하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100)에서 발생된 열은 전방 하측 영역으로 방출되거나, 후방 하측 영역으로 방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방열파이프(410) 및 제2방열파이프(510)를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제1방열파이프(410) 및 제2방열파이프(510) 간의 간격이 좁아 열의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제1방열핀(420) 및 제2방열핀(520) 간의 간격이 좁아 간섭영역에 의해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방열핀의 설치 시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방열핀을 축소 설계할 경우에는 열교환 면적이 축소되어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열모듈(400) 및 제2방열모듈(5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방열파이프(410)의 제2파이프영역(412) 및 제1방열핀(420)은 제1방열블록(200)의 전방 상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방열파이프(510)의 제2파이프영역 및 제2방열핀(520)은 제2방열블록(300)의 후방 상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발열체(100)가 구비될 경우, 발열체(100)를 사이에 두고 제1방열모듈(400) 및 제2방열모듈(500)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발열체(100)에서 발생된 열은 주변 영역으로 균일하게 방출될 수 있고, 제1방열핀(420) 및 제2방열핀(520) 간의 간섭영역을 줄여 공간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방열핀의 설계 면적 및 설치 구조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는 대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방열파이프의 구성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점을 가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는 발열체(100)를 사이에 두고 제1방열모듈(400), 제2방열모듈(500) 및 제3방열모듈(600)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열모듈(400) 및 제2방열모듈(500)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방열모듈(600) 역시 제3방열파이프(610) 및 제3방열핀(6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방열파이프(610)는 제1파이프영역(611), 제2파이프영역(612) 및 제3파이프영역(6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파이프영역(611)은 제1방열블록에 삽입되어 제1방열블록으로부터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부분이며, 발열체(100)와 상응하게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파이프영역(612)은 제1방열블록의 외부에 배치되어 제1파이프영역(611)에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부분이며,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1방열블록의 전방 및 후방 영역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제3파이프영역(613)은 제1파이프영역(611) 및 제2파이프영역(612)을 연결하여 제1파이프영역(611)의 열을 제2파이프영역(612)으로 전달하는 부분이며, 작동유체의 유동이 자연스레 안내되도록 곡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3방열파이프(610)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방열핀(620)은 제3방열파이프(610)의 제2파이프영역(612)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제2실시예에 의한 제3방열모듈(600)을 포함하는 모듈형 방열장치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전력을 가지는 발열체(100)에 대하여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열체(100)가 구비될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L자형 방열파이프와 제2실시예에 따른 U자형 방열파이프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방열모듈(400) 및 제2방열모듈(500)의 사이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3방열모듈(6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 역시 대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방열파이프의 구성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점을 가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는 발열체(100)를 사이에 두고 제1방열모듈(700), 제2방열모듈(800) 및 제3방열모듈(900)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방열모듈(700) 역시 제1방열파이프(710) 및 제1방열핀(7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방열파이프(710)는 제1파이프영역(711), 제2파이프영역(712) 및 제3파이프영역(7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파이프영역(711)은 제1방열블록에 삽입되어 제1방열블록으로부터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부분이며, 발열체(100)와 상응하게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파이프영역(712)은 제1방열블록의 외부에 배치되어 제1파이프영역(711)에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부분이며, 제1방열블록과 상응하게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방열블록의 상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파이프영역(713)은 제1파이프영역(711)과 제2파이프영역(712)을 연결하여 제1파이프영역(711)의 열을 제2파이프영역(712)으로 전달하는 부분이며, 작동유체의 유동이 자연스레 안내되도록 곡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방열파이프(71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ㄷ자 형상의 제1방열파이프(710)는 제1방열블록(200)의 열을 전달받아 제1방열블록(200)의 상측 영역으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방열파이프(710)를 진공된 내부에 소정 용량의 작동유체가 충전된 히트파이프로 구성할 경우, 수직 배치된 제3파이프영역(713)의 내부에는 응축되는 작동유체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그루브 등의 미세유로가 배제되더라도, 제2파이프영역(712)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는 자중에 의해 제1파이프영역(711)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결국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방열핀(720)은 제1방열파이프(710)의 제2파이프영역(712)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방열모듈(800) 및 제3방열모듈(900)은 전술한 제1방열모듈(700)과 구성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관련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열모듈(700), 제2방열모듈(800) 및 제3방열모듈(9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방열모듈(700)은 제1파이프영역(711)의 전방 단부에 제3파이프영역(713)이 연장 형성되고 다시 제3파이프영역(713)에서 후방을 향해 제2파이프영역(712)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제2방열모듈(800)은 제1파이프영역의 후방 단부에 제3파이프영역이 연장 형성되고 다시 제3파이프영역에서 전방을 향해 제2파이프영역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제3방열모듈(900)은 제1파이프영역의 전방 단부에 제3파이프영역이 연장 형성되고 다시 제3파이프영역에서 후방을 향해 제2파이프영역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방열모듈의 제2파이프영역(730,830,930) 및 방열핀(740,840,940)은 높이차를 가지면서 높이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발열체(100)에서 발생된 열은 상측 영역으로 집중되어 방출될 수 있고, 방열모듈의 설치공간 점유율도 줄일 수 있어,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파이프영역(730,830,930) 및 방열핀(740,840,940)이 서로 높이차를 가지면서 일직선 상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방열블록에 제1방열모듈(700), 제2방열모듈(800) 및 제3방열모듈(90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방열모듈(700), 제2방열모듈(800) 및 제3방열모듈(900)을 서로 대항하게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배치된 제2방열모듈(800)을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1방열모듈(700) 및 제3방열모듈(900)을 서로 마주하여 비스듬히 기울임으로써, 제1방열핀(720), 제2방열핀(820) 및 제3방열핀(920)이 높이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는 방열모듈의 제1파이프영역을 사이에 두고 제1방열플레이트(210) 및 제2방열플레이트(220)의 결합 과정에서 방열모듈의 결합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점유공간을 줄이고 공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는 발열체(100)의 수량 및 소비전력과, 방열장치의 설치공간을 고려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L자 형상의 방열파이프, 제2실시예에 따른 U자 형상의 방열파이프 및 제3실시예에 따른 ㄷ자 형상의 방열파이프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는 발열체(100), 제1방열블록(200), 제2방열블록(300), 제1방열모듈(400), 제2방열모듈(500),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 제1연장형 방열모듈(1400) 및 제2연장형 방열모듈(15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열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발열체(100), 제1방열블록(200), 제2방열블록(300), 제1방열모듈(400) 및 제2방열모듈(500)에 부가하여,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 제1연장형 방열모듈(1400) 및 제2연장형 방열모듈(1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은 제1방열파이프(410)의 타단부 즉, 제2파이프영역(412)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방열파이프(410)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제1방열파이프(410)의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은 제1방열파이프(410)의 타단부 즉, 제2파이프영역(412)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방열파이프(410)의 나머지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제1방열파이프(410)의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 및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은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방열파이프(410)에서 발생된 열은 제1방열파이프(410)를 사이에 두고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 및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으로 분배 및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은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10) 및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를 중심으로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10)는 일측에 배치되고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20)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10)는 제1좌측결합부 및 제1우측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좌측결합부는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10)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1우측결합부는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10)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좌측결합부는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를 사이에 두고 제2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20)의 제2우측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좌측파이프수용홈(12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우측결합부는 제1방열파이프(410)의 타단부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방열파이프(4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우측파이프수용홈(12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20)는 제2우측결합부 및 제2좌측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우측결합부는 제2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20)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좌측결합부는 제2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20)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우측결합부는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10)의 제1좌측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우측파이프수용홈(122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좌측결합부는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다른 제2연장형 방열블록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방열파이프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좌측파이프수용홈(122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방열파이프가 구비될 경우, 하나의 방열파이프에서 발생된 일부 열은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10)를 통하여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로 전달될 수 있고, 이웃하는 다른 방열파이프에서 발생된 일부 열은 제2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20)를 통하여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10) 및 제2연장형 방열플레이트(1220) 간의 결합과,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 및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 간의 결합은 용접 등의 열전도성 접착제 혹은 별도의 체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은 전술한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과 구성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관련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제1방열파이프(410)가 구비될 경우, 제1방열파이프(410)를 사이에 두고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 및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은 번갈아가며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연장형 방열모듈(1400)은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 및 제1연장형 방열핀(1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는 일단부가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타단부는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00)는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는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소정 용량의 작동유체가 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로 전달된 열에 의하여 기화될 수 있고, 기화된 작동유체는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의 저온영역인 타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의 내면에는 미세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의 고온영역인 일단부에서 기화된 작동유체는 저온영역인 타단부로 유동하고, 이후 저온영역인 타단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는 미세유로를 따라 고온영역인 일단부로 이동 복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는 제1방열파이프(410)와 마찬가지 제1파이프영역, 제2파이프영역 및 제3파이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형 방열핀(1420)은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의 제2파이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는 제1파이프영역, 제2파이프영역 및 제3파이프영역이 일직선으로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1410)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제1방열파이프와 같이, L자, U자 및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발열체(100)의 수량과 소비전력 및 방열장치의 설치공간에 따라, 직선형, L자, U자 및 ㄷ자 형상의 연장형 방열파이프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2연장형 방열모듈(1500)은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며, 제2연장형 방열파이프(1510) 및 제2연장형 방열핀(1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장형 방열파이프(1510)는 일단부가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타단부는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장형 방열핀(1520)은 제2연장형 방열파이프(1510)의 제2파이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연장형 방열모듈(1500)은 전술한 제1연장형 방열모듈(1400)과 구성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관련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발열체(100)에서 발생된 열은 제1방열블록(200), 제2방열블록(300), 제1방열모듈(400) 및 제2방열모듈(500)을 거치면서 방출되고, 제1방열모듈(400) 및 제2방열모듈(500)의 열은 다시 제1연장형 방열블록(1200) 및 제2연장형 방열블록(1300)과, 제1연장형 방열모듈(1400) 및 제2연장형 방열모듈(1500)을 통하여 외부로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발열체
200: 제1방열블록
210: 제1방열플레이트
220: 제2방열플레이트
300: 제2방열블록
400: 제1방열모듈
500: 제2방열모듈

Claims (5)

  1.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발열체의 열을 전달받는 제1방열블록;
    상기 발열체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나머지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발열체의 열을 전달받는 제2방열블록;
    일단부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1방열파이프를 구비하는 제1방열모듈;
    일단부는 상기 제2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방열블록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2방열파이프를 구비하는 제2방열모듈;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열을 전달받는 제1연장형 방열블록;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나머지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열을 전달받는 제2연장형 방열블록;
    일단부는 상기 제1연장형 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연장형 방열블록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와, 상기 제1연장형 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연장형 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1연장형 방열핀을 구비하는 제1연장형 방열모듈; 및
    일단부는 상기 제2연장형 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연장형 방열블록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형 방열파이프와, 상기 제2연장형 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연장형 방열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제2연장형 방열핀을 구비하는 제2연장형 방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열블록은,
    상기 제1방열파이프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파이프수용홈이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발열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발열체수용홈이 구비되는 제1방열플레이트; 및
    상기 제1방열파이프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되는 제2파이프수용홈이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발열체와 이웃하는 다른 발열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발열체수용홈이 구비되는 제2방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방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파이프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열블록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제1파이프영역;
    상기 제1방열블록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영역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2파이프영역; 및
    상기 제1파이프영역과 상기 제2파이프영역을 연결하는 제3파이프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방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전방 상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방열파이프의 타단부는 상기 제2방열블록의 후방 상측 영역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방열핀과, 상기 제2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방열핀의 간섭영역을 줄여 공간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발열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방열모듈 및 상기 제2방열모듈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방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파이프는,
    상기 제1방열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열블록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제1파이프영역;
    상기 제1방열블록의 상측 영역에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영역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로 전달하는 제2파이프영역; 및
    상기 제1파이프영역과 상기 제2파이프영역을 연결하는 제3파이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방열핀과, 상기 제2방열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방열핀이 서로 높이차를 가지며,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방열파이프 또는 상기 제2방열파이프가 비스듬히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방열장치.
  5. 삭제
KR1020200077278A 2020-06-24 2020-06-24 모듈형 방열장치 KR102215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278A KR102215754B1 (ko) 2020-06-24 2020-06-24 모듈형 방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278A KR102215754B1 (ko) 2020-06-24 2020-06-24 모듈형 방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754B1 true KR102215754B1 (ko) 2021-02-16

Family

ID=7468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278A KR102215754B1 (ko) 2020-06-24 2020-06-24 모듈형 방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7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964Y1 (ko) * 2002-07-22 2002-10-11 아즈플러스홀딩스(주) 온풍기용 전열장치
KR200460223Y1 (ko) * 2011-10-04 2012-05-10 새빛테크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기구용 방열장치
KR200468413Y1 (ko) * 2013-03-21 2013-08-12 새빛테크 주식회사 진공 방열유닛을 갖는 난방장치
KR101307507B1 (ko) 2012-05-25 2013-09-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열소자 방열장치 및 발열소자 패키지 모듈
KR20160048308A (ko) * 2014-10-23 2016-05-04 주식회사 포스코 적층형 열전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964Y1 (ko) * 2002-07-22 2002-10-11 아즈플러스홀딩스(주) 온풍기용 전열장치
KR200460223Y1 (ko) * 2011-10-04 2012-05-10 새빛테크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기구용 방열장치
KR101307507B1 (ko) 2012-05-25 2013-09-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열소자 방열장치 및 발열소자 패키지 모듈
KR200468413Y1 (ko) * 2013-03-21 2013-08-12 새빛테크 주식회사 진공 방열유닛을 갖는 난방장치
KR20160048308A (ko) * 2014-10-23 2016-05-04 주식회사 포스코 적층형 열전 발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87425B (zh) 散熱器
JPWO2019151291A1 (ja) ヒートシンク
CN110785070B (zh) 散热器
CN212876431U (zh) 散热器
US20190373761A1 (en) Heatsi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sink
WO2019155683A1 (ja) 熱交換装置
JP2009099753A (ja) ヒートシンク
KR102062778B1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CN110785071A (zh) 散热器
KR101753322B1 (ko) 열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 냉난방장치
KR102215754B1 (ko) 모듈형 방열장치
CN207939933U (zh) 液冷散热器及电机控制器
CN110679207B (zh) 冷却装置
WO2022083365A1 (zh) 一种设备散热方法及散热设备
KR102246518B1 (ko) 허니콤 타입의 고전압 피티씨 히터모듈
JP2558578B2 (ja) 発熱体用放熱装置
JP3063395B2 (ja) 正特性サーミスタ発熱体
KR200491117Y1 (ko) 인터페이스 카드의 교차식 방열 구조
CN110410864B (zh) 用于柜式空调器的电加热器及具有其的柜式空调器
CN216716425U (zh) 散热器和空调器
KR20150066398A (ko) 컵홀더 방열기 및 컵홀더
CN216716426U (zh) 散热器及空调器
CN217721879U (zh) 散热器和设备
CN219497785U (zh) 一种芯片散热器及具有其的芯片
JP7269422B1 (ja) ヒートシ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