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742B1 - Solenoid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solenoid valve - Google Patents

Solenoid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solenoid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742B1
KR102215742B1 KR1020190093283A KR20190093283A KR102215742B1 KR 102215742 B1 KR102215742 B1 KR 102215742B1 KR 1020190093283 A KR1020190093283 A KR 1020190093283A KR 20190093283 A KR20190093283 A KR 20190093283A KR 102215742 B1 KR102215742 B1 KR 10221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coil
flange
fu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5041A (en
Inventor
정휘동
황필강
주진우
이재익
김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19009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742B1/en
Publication of KR2021001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0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제작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 이너 보빈과,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되는 코일과,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 제1 터미널과,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2 터미널과,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3 터미널과,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를 포함한다.
A solenoid valve capable of automa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and a terminal unit included in the solenoid valve are provided.
To this end,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flang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is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ang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ormed inner bobbin, a coil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 plunger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coil, and the first 1 A first plug portion disposed in the flang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is formed at one end, and a first coil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at the other end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The formed first terminal and a second coil connection portion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a first fuse connection formed at the other end A second terminal, a third terminal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and having a second plug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at one end and a second fuse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and in the first flange And a fuse disposed and connecting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SOLENOID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SOLENOID VALVE}Solenoid valv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the solenoid valve {SOLENOID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퓨즈를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enoid valv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terminal unit included in the solenoid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enoid valve having a fus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terminal unit included in the solenoid valve.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물, 냉매, 공기 등의 유로를 개폐하거나 유로의 크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전자식 밸브이다.In general, solenoid valves are electronic valves for opening and closing flow paths such as water, refrigerant, and air or changing the size of the flow path.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과,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플런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olenoid valve comprises a bobbin having a hollow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il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and a plunger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recipr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bbin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coil. do.

상기 플런저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유로가 개폐되거나, 상기 유로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The flow path may be opened or clos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lunger, or the size of the flow path may be varied.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코일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상기 열이 소정의 온도가 되면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를 구비한다.The solenoid valve generates heat by a current applied to the coil, and includes a fuse for blocking the current when the heat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5157호(2011.04.06. 공개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퓨즈를 구비한 '전자식 급수밸브'가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35157 (published on April 6, 2011) (hereinafter referred to as'conventional technology') discloses a'electronic water supply valve' equipped with a fuse.

종래 기술은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에 퓨즈가 설치되어서, 상기 코일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퓨즈가 끊어져서 상기 코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In the prior art, a fuse is installed in a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il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he fuse is blown and power supply to the coil is cut off.

하지만, 종래 기술은 상기 코일에 상기 퓨즈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납땜하여 결합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코일에 납땜에 의해 쇼트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작업을 하여야 하였으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fuse is manually soldered to the coil and coupled to the coil. Therefore, the operator has to pay attention not to cause a short-circuit defect due to soldering to the coil,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또한, 종래 기술은 상기 코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의 일단만이 상기 보빈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타단은 상기 보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의 타단에 상기 코일을 연결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since only one end of a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il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bobbin, an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bobbin, the coil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was difficul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5157호(2011.04.06. 공개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35157 (2011.04.06. Publication dat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제작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enoid valve capable of autom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and a terminal unit included in the solenoid valv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코일과 터미널의 연결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enoid valv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that can easily connect a coil and a terminal, and a terminal unit included in the solenoid valv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이너 보빈과, 코일과, 플런저와,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과, 퓨즈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 보빈은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 보빈은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 보빈은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코일연결부는 상기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3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된다.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bobbin, a coil, a plunger,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 third terminal, and a fuse. The inner bobbin is formed with a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bobbin has a first flang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bobbin has a second flang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The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is moved longitudinally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The first terminal is disposed within the first flange. At one end of the first terminal, a first plug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flang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terminal, a first coil connection part protruding out of the first flange is formed.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The second terminal is disposed within the first flange. At one end of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coil connection part protruding out of the first flange is forme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 first fuse connect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is disposed within the first flange. At one end of the third terminal, a second plug portion protruding out of the first flange is formed. A second fuse connect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terminal. The fuse is disposed within the first flange. The fuse connects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제1 플랜지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plug part, the second plug part,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may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in one direction.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plug part and the second plug part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in the other direction.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may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lange.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는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와 교차하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may extend in one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lug part, the second plug part,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은 상기 제1 플랜지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An end of the first fuse connector and an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or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in one direction.

상기 제1 터미널에는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1 코일연결부 사이에 호형상의 제1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만곡부는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제2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1 퓨즈연결부 사이에 호형상의 제2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제2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 사이에 제3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may have an arc-shaped first curv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lug portion and the first coil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curved portion may form a part of a circle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llow. The second terminal may have an arc-shaped second curv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The second curved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to form a part of the circle,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llow. The third terminal may have a third curv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plug portion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ortion. The third curved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to form a part of the circle,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llow.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용접될 수 있다.The fuse may be welded to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아우터 보빈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보빈은 상기 이너 보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는 상기 아우터 보빈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outer bobbin. The outer bobbin may accommodate the inner bobbin therein. The first plug part and the second plug part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obbin.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은 상기 제1 플랜지보다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은 상기 아우터 보빈의 일면을 관통할 수 있다.One end of the inner bobbin may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bobbin. One end of the inner bobbin may pass through one surface of the outer bobbin.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셰이딩 코일과, 셰이딩 코일 가이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이딩 코일은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는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부를 통해 상기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는 상기 플런저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셰이딩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는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상기 셰이딩 코일 내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은 상기 제2 플랜지보다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은 상기 아우터 보빈의 타면을 관통할 수 있다.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ading coil and a shading coil guide. The shading coil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e shading coil guide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The shading coil guide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hading coil is inserted on one surface facing the plunger. The shading coil guide may have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hading coil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may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bobbin than the second flange.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may penetrate the other surface of the outer bobbin.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브라켓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양면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보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의 타면에는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bracket. The bracke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with both sides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bobbin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bobbin may be accommodated in the bracket.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ading coil guide.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one end of the inner bobbin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상기 제1 플랜지는 플랜지 바디와 플랜지 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캡은 상기 플랜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를 덮을 수 있다.The first flange may be composed of a flange body and a flange cap.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and the fuse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lange body. The flange cap may be coupled to the flange body to cover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and the fuse.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는 금형 내에서 상기 이너 보빈과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and the fuse may be insert-injected with the inner bobbin in a mold.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은, 퓨즈용접단계와 보빈사출단계와 터미널커팅단계와 코일권선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퓨즈용접단계에서는 상기 제1 코일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의 끝단이 제1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이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및 상기 제3 터미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부재를 준비한 후,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퓨즈를 용접하여, 상기 퓨즈로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한다. 상기 보빈사출단계에서는 상기 퓨즈가 용접된 상기 터미널부재를 금형 내에서 상기 이너 보빈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상기 제2 코일연결부, 상기 제1 퓨즈연결부, 상기 제2 퓨즈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터미널커팅단계에서는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를 커팅하여 상기 제1 연결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커팅하여 상기 제2 연결부를 제거한다. 상기 코일권선단계에서는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코일을 권선한 후, 상기 코일의 일단을 상기 제1 코일연결부에 연결하고, 상기 코일의 타단을 상기 제2 코일연결부에 연결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se welding step, a bobbin injection step, a terminal cutting step, and a coil winding step. In the fuse welding step, an end of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by a second connection part. After preparing a terminal member which is connected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a fuse is welded to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The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In the bobbin injection step, by insert-injecting the terminal member to which the fuse is welded with the inner bobbin in a mold, the first plug part, the second plug part,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the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protrude outward of the first flange. In the terminal cutting step,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are cut to remov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are cut to remove the second connection part. In the coil winding step, after winding a coil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one end of the coil is connected to the first coil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 to the coil connection.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은 상기 코일권선단계 후에 코일보호단계와 보빈보호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보호단계에서는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을 보호테이프로 감쌀 수 있다. 상기 보빈보호단계에서는 상기 이너 보빈의 외측에 수지를 몰딩하여 상기 이너 보빈을 상기 수지가 경화된 아우터 보빈 내에 수용하고,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를 상기 아우터 보빈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il protection step and a bobbin protection step after the coil winding step. In the coil protection step, the coil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may be wrapped with a protective tape. In the bobbin protection step, a resin is molded outside the inner bobbin to accommodate the inner bobbin in an outer bobbin in which the resin is cured, and the first plug part and the second plug part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obbin. have.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유닛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사용된다. 상기 터미널 유닛은 터미널부재와 퓨즈로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부재는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과,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코일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의 끝단을 연결한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을 연결한다.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용접되어,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한다.The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solenoid valve. The terminal unit is composed of a terminal member and a fuse. The terminal member includes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 third terminal,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A first plug par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terminal, and a first coil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terminal. A second coil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terminal, and a first fuse connection pa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plug par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terminal, and a second fuse connection pa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terminal. The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s an end of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The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s an end of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The fuse is welded to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to connect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에 따르면, 퓨즈가 이너 보빈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enoid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rminal unit included in the solenoid valve, since the fuse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flange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bobb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olenoid valve can be automated. There is a possible effect.

또한, 제1 터미널에 형성된 제1 코일연결부와 제2 터미널에 형성된 제2 코일연결부가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너 보빈의 외측에서 코일의 일단부를 상기 제1 코일연결부에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이너 보빈의 외측에서 상기 코일의 타단부를 상기 제2 코일연결부에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il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terminal ar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one end of the coil from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obbin is the first coil connection portion. It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ther end of the coil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bobbi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브라켓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단면도,
도 6은 제1 터미널, 제2 터미널, 제3 터미널 및 퓨즈가 제1 플랜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랜지 캡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에 따른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퓨즈용접단계 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보빈사출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터미널커팅단계, 코일권선단계 및 코일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d는 도 9에 도시된 보빈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1 excluding a bracke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ure 1,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1;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 third terminal, and a fuse are installed on a first flange, excluding a flange cap;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cedure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plan view showing after the fuse welding step shown in FIG. 9;
10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fter the bobbin injection step shown in FIG. 9;
10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fter the terminal cutting step, the coil winding step and the coil protection step shown in FIG. 9;
10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bbin protection step shown in FIG. 9.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and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unit included in the solenoid val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브라켓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1 excluding a bracket,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이너 보빈(10)과, 코일(20)과, 플런저(30)와, 제1 터미널(41)과, 제2 터미널(42)과, 제3 터미널(43)과, 퓨즈(50)와, 아우터 보빈(60)과, 셰이딩 코일(70)과, 셰이딩 코일 가이드(80)와, 브라켓(9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bobbin 10, a coil 20, a plunger 30, a first terminal 41, and a first terminal. 2 terminal 42, a third terminal 43, a fuse 50, an outer bobbin 60, a shading coil 70, a shading coil guide 80, and a bracket 90. I can.

이너 보빈(1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15)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15)은 원형의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bobbin 10 may have a hollow 15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llow 1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bar shape.

이너 보빈(10)은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1)는 이너 보빈(10)의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bobbin 10 may have a first flange 11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flange 11 may protrude throughout the inner bobbin 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너 보빈(10)은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2)는 이너 보빈(10)의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bobbin 10 may have a second flange 12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flange 12 may be formed to protrude all over the inner bobbin 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면 상, 이너 보빈(1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플랜지(11)는 이너 보빈(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플랜지(12)는 이너 보빈(1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inner bobbin 10 may be formed to be long vertically, the first flange 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bbin 10, and the second flange 12 is It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이너 보빈(10)의 길이방향은 상하방향으로, 이너 보빈(10)의 일단부는 이너 보빈(10)의 상단부로, 이너 보빈(10)의 일단은 이너 보빈(10)의 상단으로, 이너 보빈(10)의 타단부는 이너 보빈(10)의 하단부로, 이너 보빈(10)의 타단은 이너 보빈(10)의 하단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bobbin 10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end of the inner bobbin 10 is an upper end of the inner bobbin 10, and one end of the inner bobbin 10 is the inner bobbin 10 ),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10 will be described as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bbin 10,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10 will be described as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bbin 10.

또한, 플런저(30), 아우터 보빈(60), 셰이딩 코일 가이드(80) 및 브라켓(90) 각각의, 일단은 상단으로, 타단은 하단으로, 일측은 상측으로, 타측은 하측으로, 일면은 상면으로, 타측은 하면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nger 30, the outer bobbin 60, the shading coil guide 80 and the bracket 90, one end to the upper end, the other end to the lower end, one side to the upper side, the other side to the lower side, one side to the upper surface As, the other side will be described as a lower surface.

제1 플랜지(11)는, 환형의 일부를 형성하는 아크형부(11A)와, 아크형부(11A)에서 연장되되 아크형부(11A)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고, 아크형부(11A)에 가장 먼 끝단의 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판형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lange 11 extends from the arc-shaped portion 11A forming a part of the annular shape and the arc-shaped portion 11A, but the width becomes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arc-shaped portion 11A becomes narrower, and is the most in the arc-shaped portion 11A. A side surface of the far end may include a plate-shaped portion 11B formed in a plane.

아크형부(11A)의 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형부(11B)의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플랜지(11)의 둘레면 중, 아크형부(11A)에 해당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판형부(11B)에 해당하는 면은 적어도 하나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판형부(11B)의 측면은 3개의 평면으로 형성된다.The side surface of the arc-shaped portion 11A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shaped portion 11B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plane. That is, am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11,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rc-shaped portion 11A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late-shaped portion 11B may be formed as at least one plane. In this embodiment,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shaped portion 11B is formed in three planes.

판형부(11B)의 측면이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너 보빈(10)이 아우터 보빈(60) 내에 삽입된 상태일 때, 이너 보빈(10)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shaped portion 11B includes at least one plane, when the inner bobbin 10 is inserted into the outer bobbin 60, the inner bobbin 10 may not be rotated.

제2 플랜지(12)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lange 12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이너 보빈(10)은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를 제외한 부분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bobbin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cept for the first flange 11 and the second flange 12.

코일(20)은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될 수 있다. 코일(20)은 전류가 통하는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코일(20)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20)은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il 20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10 between the first flange 11 and the second flange 12. The coil 20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through which current passes. For example, the coil 20 may be formed of copper. The coil 20 may generate a magnetic field when current is applied.

코일(20)은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될 수 있다. 도면에는 코일(20)이 와이어의 형태로 나타나 있지 않으나, 이는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20)의 전체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The coil 20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10 between the first flange 11 and the second flange 12. In the drawing, the coil 20 is not shown in the form of a wire, but this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coil 2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10 between the first flange 11 and the second flange 12. It is because it appeared as.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20)을 보호테이프(25)로 감싼 후, 이너 보빈(10)의 외측에 수지가 몰딩될 수 있으며, 이 몰딩된 수지는 경화되어 아우터 보빈(60)이 될 수 있다.After wrapping the coil 2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10 with a protective tape 25, a resin may be mol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obbin 10, and the molded resin is cured to cure the outer bobbin 60 ) Can be.

코일(20)을 감싼 보호테이프(25)와, 아우터 보빈(60)은, 코일(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코일(20)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otective tape 25 surrounding the coil 20 and the outer bobbin 60 can absorb an impact applied to the coil 20 and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coil 20.

플런저(30)는 원형의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30)는 중공(15)에 삽입되어 이너 보빈(10)의 상단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플런저(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nger 3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bar shape. The plunger 3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15 and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bbin 10. The plunger 3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플런저(30)는 코일(2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plunger 30 may be moved vertically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20.

예를 들어, 제1 터미널(41)의 제1 플러그부(41A)에 양전류가 입력되고, 제3 터미널(43)의 제2 플러그부(43A)에 음전류가 입력되는 경우, 플런저(30)는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ositive current is input to the first plug portion 41A of the first terminal 41 and a negative current is input to the second plug portion 43A of the third terminal 43, the plunger 30 ) Can be moved upwards.

또한, 제1 터미널(41)의 제1 플러그부(41A)에 음전류가 입력되고, 제3 터미널(43)의 제2 플러그부(43A)에 양전류가 입력되는 경우, 플런저(30)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negative current is input to the first plug portion 41A of the first terminal 41 and a positive current is input to the second plug portion 43A of the third terminal 43, the plunger 30 It can be moved downwards.

플런저(3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별도로 마련된 유로를 개폐할 수 있고, 상기 유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plunger 30 is moved up and down to open and close a separately provided flow path, and the size of the flow path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수기에 설치되는 경우, 플런저(3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정수기 내에 마련된 수로를 닫을 수 있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정수기 내에 마련된 수로를 개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ater purifier, the plunger 30 may be moved upward to close the water passage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and moved downward to open the water passage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have.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는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1)는 플랜지 바디(11C)와 플랜지 캡(11D)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바디(11C)의 일면에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가 안착될 수 있다. 플랜지 캡(11D)은 플랜지 바디(11C)에 결합되어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덮을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flange 11. The first flange 11 may be composed of a flange body 11C and a flange cap 11D. A first terminal 41, a second terminal 42, a third terminal 43, and a fuse 50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lange body 11C. The flange cap 11D may be coupled to the flange body 11C to cover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금형 내에 용융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서, 상기 수지가 경화된 이너 보빈(10)을 먼저 사출한 후,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플랜지 바디(11C)의 상측면에 배치시킨 후, 플랜지 바디(11C)의 상측면을 플랜지 캡(11D)으로 덮어서,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After injecting a molten resin into the mold, and injecting the inner bobbin 10 in which the resin is cured first,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body 11C, and then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body 11C is covered with a flange cap 11D, so that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and the third terminal 43 ) And the fuse 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irst flange 11.

아우터 보빈(60)은 이너 보빈(1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은 외부로부터 아우터 보빈(60) 내로 이물질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은 이너 보빈(10)과 금형 내에서 인서트 사출되어, 이너 보빈(10) 및 아우터 보빈(6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 및 아우터 보빈(60)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outer bobbin 60 may accommodate the inner bobbin 10 therein. The outer bobbin 60 may prevent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and moisture into the outer bobbin 60 from the outside. The outer bobbin 60 is insert-injected into the inner bobbin 10 and the mold, so that the inner bobbin 10 and the outer bobbin 6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inner bobbin 10 and the outer bobbin 60 may be formed separately.

아우터 보빈(60)은 이너 보빈(10)을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할 수 있다.The outer bobbin 60 may accommodate the inner bobbin 10 in the outer bobbin 60.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제1 플랜지(11)보다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아우터 보빈(60)의 상면을 관통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플랜지 캡(11D)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end 16 of the inner bobbin 10 may protrude above the first flange 11. The upper end 16 of the inner bobbin 10 may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bobbin 60. The upper end 16 of the inner bobbin 10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cap 11D.

세이딩 코일(20)은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셰이딩 코일 가이드(80)는 이너 보빈(10)의 하단부를 통해 중공(15)에 삽입될 수 있다. 셰이딩 코일 가이드(80)는 플런저(30)를 향하는 상면에 셰이딩 코일(20)이 삽입되는 삽입홈(81)이 형성될 수 있다. 셰이딩 코일 가이드(80)는 삽입홈(81)의 바닥면에 셰이딩 코일(20) 내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82)가 형성될 수 있다.The shading coil 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e shading coil guide 8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15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bbin 10. The shading coil guide 80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81 into which the shading coil 20 is inserted on an upper surface facing the plunger 30. The shading coil guide 80 may have a guide protrusion 82 inserted into the shading coil 2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81.

이너 보빈(10)의 하단(17)은 제2 플랜지(12)보다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하단(17)은 아우터 보빈(60)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다.The lower end 17 of the inner bobbin 10 may protrude below the second flange 12. The lower end 17 of the inner bobbin 10 may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bobbin 60.

브라켓(90)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양면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은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9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bracket 9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with open both sides crossing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bobbin 60 may be accommodated in the bracket 90.

브라켓(90)에는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9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홀(95)은 브라켓(90)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A first insertion hole 95 into which the upper end 16 of the inner bobbin 1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90. The first insertion hole 9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90.

셰이딩 코일 가이드(80)의 하면에는 이너 보빈(10)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83)가 형성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83 protruding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bbin 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ading coil guide 80.

브라켓(90)에는 결합돌기(83)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9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96)은 브라켓(90)의 하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insertion hole 96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83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90. The second insertion hole 96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90.

브라켓(90)은 브라켓 바디(91)와 브라켓 커버(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cket 90 may include a bracket body 91 and a bracket cover 92.

브라켓 바디(91)는, 제2 삽입홀(96)이 형성된 바닥판부(91A)와, 바닥판부(91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는 양측판부(91B)를 포함할 수 있다. 양측판부(91B)는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The bracket body 91 may include a bottom plate portion 91A in which the second insertion hole 96 is formed, and both side plate portions 91B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portion 91A. Both side plate portions 91B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제1 삽입홀(95)은 브라켓 커버(92)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커버(92)는 양측판부(91B)의 끝단 사이를 덮을 수 있고, 양측판부(91B)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커버(92)는 바닥판부(91A)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hole 95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cover 92. The bracket cover 92 may cover between the ends of the both side plate portions 91B, and may be coupled to the ends of the both side plate portions 91B. The bracket cover 92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bottom plate portion 91A.

도 6은 제1 터미널, 제2 터미널, 제3 터미널 및 퓨즈가 제1 플랜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랜지 캡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 third terminal, and a fuse are installed on a first flange, excluding a flange cap.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터미널(41)의 일단부에는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4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러그부(41A)는 제1 플랜지(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1 to 6, a first plug part 41A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terminal 41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11. The first plug part 41A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11 in the other direction.

제1 터미널(41)의 타단부에는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코일연결부(41B)가 형성된다. 제1 코일연결부(41B)는 코일(20)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너 보빈(10)의 외측에서 코일(20)의 일단부를 제1 코일연결부(41B)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terminal 41, a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11.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20. The operator can easily connect one end of the coil 20 to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bobbin 10.

제1 코일연결부(41B)는 제1 플랜지(11)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코일연결부(41B)는 제1 플러그부(41A)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플랜지(11)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may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lange 11.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lug part 41A and may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11 in one direction.

제1 터미널(41)에는 제1 플러그부(41A) 및 제1 코일연결부(41B) 사이에 호형상의 제1 만곡부(41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만곡부(41C)는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중공(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An arc-shaped first curved portion 41C may be formed in the first terminal 41 between the first plug portion 41A and the first coil connection portion 41B. The first curved portion 41C may form a part of a circle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llow 15.

제2 터미널(42)의 일단부에는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코일연결부(4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연결부(42A)는 코일(2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너 보빈(10)의 외측에서 코일(20)의 타단부를 제2 코일연결부(42A)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At one end of the second terminal 42, a second coil connection 42A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11.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20. The operator can easily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coil 20 to the second coil connection 42A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bobbin 10.

제2 코일연결부(42A)는 제1 플랜지(11)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코일연결부(42A)는 후술하는 제2 플러그부(43A)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플랜지(11)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may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lange 11.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lug part 43A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11 in one direction.

제1 코일연결부(41B) 및 제2 코일연결부(42A)는 제1 플랜지(11)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코일연결부(41B) 및 제2 코일연결부(42A)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may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11 in the same direction.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may be arranged in parallel.

제2 터미널(42)의 타단부에는 제1 퓨즈연결부(4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퓨즈연결부(42B)는 제2 코일연결부(42A)와 교차하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퓨즈연결부(42B)의 끝단은 제1 플랜지(11)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A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erminal 42.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may extend in one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An end of the first fuse connector 42B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11 in one direction.

제2 터미널(42)은 제2 코일연결부(42A) 및 제1 퓨즈연결부(42B) 사이에 호형상의 제2 만곡부(42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만곡부(42C)는 제1 만곡부(41C)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중공(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42 may have an arc-shaped second curved portion 42C formed between the second coil connection portion 42A and the first fuse connection portion 42B. The second curved portion 42C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41C to form a part of the circle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llow 15.

제3 터미널(43)의 일단부에는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4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러그부(43A)는 제1 플랜지(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At one end of the third terminal 43, a second plug portion 43A protruding out of the first flange 11 may be formed. The second plug portion 43A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11 to the other side.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제1 플랜지(11)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lug part 41A and the second plug part 43A may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11 in the same direction. The first plug portion 41A and the second plug portion 43A may be disposed in parallel.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제1 플랜지(11)의 판형부(11B) 중 아크형부(11A)에서 먼 끝단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lug portion 41A and the second plug portion 43A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an end far from the arc-shaped portion 11A of the plate-shaped portion 11B of the first flange 11.

아우터 보빈(60)의 상단부는 제1 플랜지(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의 상단부 중 제1 플랜지(11)의 판형부(11B)에 대응되는 부분의 끝단은, 브라켓(90)의 개구된 일면을 통해 브라켓(9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outer bobbin 6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nge 11. An end of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bobbin 60 corresponding to the plate-shaped portion 11B of the first flange 11 may b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90 through an opened surface of the bracket 90. .

이너 보빈(10)이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된 상태일 때,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아우터 보빈(60)의 상단부 중 브라켓(9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된 부분의 끝단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inner bobbin 10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bobbin 60, the first plug part 41A and the second plug part 43A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90 among the upper ends of the outer bobbin 60 It can be disposed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part.

아우터 보빈(60)은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가 돌출되는 일측이 브라켓(90)의 개구된 일면을 통해 브라켓(9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outer bobbin 60 from which the first plug part 41A and the second plug part 43A protrude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90 through an opened surface of the bracket 90.

제3 터미널(43)의 타단부에는 제2 퓨즈연결부(4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퓨즈연결부(43B)는 제2 플러그부(43A)와 교차하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퓨즈연결부(43B)의 끝단은 제1 플랜지(11)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terminal 43.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may extend in one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plug part 43A. An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11 in one direction.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는 제1 플랜지(11)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may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11 in the same direction.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may be disposed in parallel.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는 제1 플러그부(41A), 제2 플러그부(43A), 제1 코일연결부(41B) 및 제2 코일연결부(42A)와 교차하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cross the first plug part 41A, the second plug part 43A,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It may extend in one direction.

제3 터미널(43)은 제2 플러그부(43A) 및 제2 퓨즈연결부(43B) 사이에 제3 만곡부(43C)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만곡부(43C)는 제1 만곡부(41C) 및 제2 만곡부(42C)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중공(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terminal 43 may have a third curved portion 43C formed between the second plug portion 43A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ortion 43B. The third curved portion 43C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41C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42C to form a part of the circle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llow 15.

퓨즈(50)는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를 연결할 수 있다. 퓨즈(50)는 전류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발생된 열이 소정온도 이상이면 끊어져서 코일(20)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The fuse 50 may connect the first fuse connector 42B and the second fuse connector 43B. The fuse 50 may generate heat due to current resistance, and may be cut off when the generated heat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block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0.

플랜지 바디(11C)의 상면과 플랜지 캡(11D)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퓨즈(50)가 쉽게 끊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랜지 바디(11C)의 상면과 플랜지 캡(11D)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퓨즈(50)가 삽입되는 홈이 소정의 여유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body 11C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cap 11D has a groove into which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are inserted. Can be formed. 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the fuse 50 to be easily blown, a groove into which the fuse 50 is inserted forms a predetermined clearance space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body 11C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cap 11D. This is desirable.

퓨즈(50)는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에 용접될 수 있다. 퓨즈(50)의 일단부는 제1 퓨즈연결부(42B)에 용접될 수 있고, 퓨즈(50)의 타단부는 제2 퓨즈연결부(43B)에 용접될 수 있다.The fuse 50 may be welded to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One end of the fuse 50 may be welded to the first fuse connector 42B, and the other end of the fuse 50 may be welded to the second fuse connector 43B.

이너 보빈(10)이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된 상태일 때,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아우터 보빈(6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별도로 마련된 콘센트의 홈에 꼽혀서 상기 콘센트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When the inner bobbin 10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bobbin 60, the first plug part 41A and the second plug part 43A may b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obbin 60. The first plug part 41A and the second plug part 43A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of a separately provided outlet to receive current from the outlet.

아우터 보빈(60)의 내주면에는, 제1 코일연결부(41B)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1 홈(60A)과, 제2 코일연결부(42A)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2 홈(60B)과, 제1 퓨즈연결부(42B)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3 홈(60C)과, 제2 퓨즈연결부(43B)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4 홈(60D)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bobbin 60, a first groove 60A into which an end of the first coil connector 41B is inserted, a second groove 60B into which an end of the second coil connector 42A is inserted, and A third groove 60C into which an end of the 1 fuse connection part 42B is inserted and a fourth groove 60D into which an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is inserted may be formed.

제1 코일연결부(41B)의 끝단이 제1 홈(60A)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1 터미널(41)은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Since the end of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60A, the first terminal 41 is not rotated and the position can be fixed.

제2 코일연결부(42A)의 끝단이 제2 홈(60B)에 삽입되고, 제1 퓨즈연결부(42B)의 끝단이 제3 홈(60C)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2 터미널(42)은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Since the end of the second coil connection 42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60B, and the end of the first fuse connection 42B is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60C, the second terminal 42 is not rotated. Without the position can be fixed.

제2 퓨즈연결부(43B)의 끝단이 제4 홈(60D)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3 터미널(43)은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Since the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or 43B is inserted into the fourth groove 60D, the third terminal 43 may not be rotated and the position may be fix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7 and 8, it can be seen that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배치시키기 위해, 제1 플랜지(11)가 플랜지 바디(11C) 및 플랜지 캡(11D)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가 금형 내에서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되어서,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는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배치된다.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rrange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inside the first flange 11, the first The flange 11 is composed of a flange body 11C and a flange cap 11D.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are insert-injected with the inner bobbin 10 in the mold, so that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are disposed inside the first flange 11.

이너 보빈(10)을 상기 금형 내에서 사출할 시, 상기 금형 내에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삽입한 후, 상기 금형 내에 이너 보빈(10)을 형성하기 위한 용융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서,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는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할 수 있다.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이 완료되면,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는 제1 플랜지(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inner bobbin 10 is injected into the mold, after inserting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into the mold, By injecting a molten resin to form the inner bobbin 10,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bobbin 10 Can eject. When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bobbin 10 and injection is completed,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11.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에 따른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cedure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은, 퓨즈용접단계(S1)와, 보빈사출단계(S2)와, 터미널커팅단계(S3)와, 코일권선단계(S4)와, 코일보호단계(S5)와, 보빈보호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a 내지 도 10d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9,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se welding step (S1), a bobbin injection step (S2), a terminal cutting step (S3), and a coil winding step ( S4), a coil protection step (S5), and a bobbin protection step (S6) may be includ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to 10D.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퓨즈용접단계 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0A is a plan view showing the fuse welding step shown in FIG. 9.

도 9 및 도 10a를 참조하면, 퓨즈용접단계(S1)에서는 터미널부재(40)를 준비한 후,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에 퓨즈(50)를 용접하여, 퓨즈(50)로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미널부재(40)에 퓨즈(50)가 용접되어 일체로 된 구성을 솔레노이드 밸브에 사용되는 터미널유닛으로 지칭할 수 있다.9 and 10A, in the fuse welding step (S1), after preparing the terminal member 40, the fuse 50 is welded to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may be connected to 50. In this way,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use 50 is welded to the terminal member 40 may be referred to as a terminal unit used for a solenoid valve.

터미널부재(40)는 추후에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및 제3 터미널(43)이 되는 부재일 수 있다. 즉, 터미널부재(40)는 제1 코일연결부(41B)의 끝단 및 제2 코일연결부(42A)의 끝단이 제1 연결부(44)에 의해 연결되고, 제1 퓨즈연결부(42B)의 끝단 및 제2 퓨즈연결부(43B)의 끝단이 제2 연결부(45)에 의해 연결되어,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및 제3 터미널(43)이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The terminal member 40 may be a member that becomes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and the third terminal 43 in the future. That is, in the terminal member 40, the end of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and the end of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are connected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44, and the ends of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and the first 2 The end of the fuse connection part 43B may be connected by the second connection part 45 so that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and the third terminal 43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보빈사출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fter the bobbin injection step shown in FIG. 9.

도 9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보빈사출단계(S2)에서는 상기 터미널유닛인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를 금형 내에서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할 수 있다. 즉,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를 금형 내에 삽입한 후, 상기 금형 내에 용융 상태의 수지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는 금형 내에서 사출된 후 이너 보빈(10)이 되는 수지일 수 있다.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는 상기 금형 내에서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되어 이너 보빈(10)의 제1 플랜지(11) 내에 설치될 수 있다.9 and 10B, in the bobbin injection step (S2), the terminal member 40 to which the fuse 50, which is the terminal unit, is welded may be insert-injected with the inner bobbin 10 in a mold. That is, after inserting the terminal member 40 to which the fuse 50 is welded into the mold, a molten resin may be injected into the mold. Here, the resin may be a resin that becomes the inner bobbin 10 after being injected into the mold. The terminal member 40 to which the fuse 50 is welded may be insert-injected with the inner bobbin 10 in the mold to be installed in the first flange 11 of the inner bobbin 10.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를 금형 내에서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하면, 제1 플러그부(41A), 제2 플러그부(43A), 제1 코일연결부(41B), 제2 코일연결부(42A), 제1 퓨즈연결부(42B), 제2 퓨즈연결부(43B), 제1 연결부(44) 및 제2 연결부(45)는 제1 플랜지(11)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터미널부재(40)의 나머지 부분과 퓨즈(50)는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member 40 to which the fuse 50 is welded is insert-injected with the inner bobbin 10 in the mold, the first plug part 41A, the second plug part 43A,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B,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the first connection part 44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5 ar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11. In additi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erminal member 40 and the fuse 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flange 11.

이너 보빈(10)을 상기 금형 내에서 사출할 시,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가 일체로 결합된 상기 터미널유닛 하나만을 상기 금형 내에 삽입하기 때문에,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금형 내에서 삽입하는 경우에 비해,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제1 플랜지(11) 내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When the inner bobbin 10 is injected into the mold, only one terminal unit in which the terminal member 40 to which the fuse 50 is welded is integrally coupled is inserted into the mold, so that the first terminal 41,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econd terminal 42, the third terminal 43, and the fuse 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the mold, the first terminal 41, the second terminal 42, and the third The terminal 43 and the fuse 50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at a set position in the first flange 11.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터미널커팅단계, 코일권선단계 및 코일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cutting step, a coil winding step, and a coil protection step shown in FIG. 9.

도 9 및 도 10c를 참조하면, 터미널커팅단계(S3)에서는 제1 코일연결부(41B) 및 제2 코일연결부(42A)를 커팅하여 제1 연결부(44)를 제거할 수 있고,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를 커팅하여 제2 연결부(45)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4) 및 제2 연결부(45)를 제거하면, 터미널부재(40)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및 제3 터미널(43)로 분할될 수 있다.9 and 10C, in the terminal cutting step (S3),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may be cut to remove the first connection part 44, and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The second connection part 45 may be removed by cutting the 42B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B.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5 are removed, the terminal member 4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terminal 41, a second terminal 42, and a third terminal 43.

코일권선단계(S4)에서는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코일(20)을 권선한 후, 코일(20)의 일단부를 제1 코일연결부(41B)에 연결할 수 있고, 코일(20)의 타단부를 제2 코일연결부(42A)에 연결할 수 있다.In the coil winding step (S4), after the coil 2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10 between the first flange 11 and the second flange 12, one end of the coil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il. It can be connected to (41B), the other end of the coil 2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connection (42A).

코일보호단계(S5)에서는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20)을 보호테이프(25)로 감쌀 수 있다.In the coil protection step (S5), the coil 2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10 may be wrapped with a protective tape 25.

도 10d는 도 9에 도시된 보빈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bbin protection step shown in FIG. 9.

도 9 및 도 10d를 참조하면, 보빈보호단계(S6)에서는 이너 보빈(10)의 외측에 수지를 몰딩하여 이너 보빈(10)을 상기 수지가 경화된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외측에 수지를 몰딩하여 이너 보빈(10)을 상기 수지가 경화된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하면, 이너 보빈(10) 및 아우터 보빈(60)은 일체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D, in the bobbin protection step S6, a resin is molded outside the inner bobbin 10 to accommodate the inner bobbin 10 in the outer bobbin 60 in which the resin is cured. When a resin is molded outside the inner bobbin 10 and the inner bobbin 10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bobbin 60 in which the resin is cured, the inner bobbin 10 and the outer bobbin 60 may be integrated.

이너 보빈(10)을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하면,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아우터 보빈(6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inner bobbin 10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bobbin 60, the first plug portion 41A and the second plug portion 43A may b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obbin 60.

또한, 이너 보빈(10)을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하면,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아우터 보빈(60)의 상면을 관통할 수 있고, 이너 보빈(10)의 하단(17)은 아우터 보빈(60)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ner bobbin 10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bobbin 60, the upper end 16 of the inner bobbin 10 may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bobbin 60, and the lower end 17 of the inner bobbin 10 ) May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bobbin 60.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후에 셰이딩 코일 가이드(80)의 삽입홈(81)에 셰이딩 코일(70)을 삽입한 후, 셰이딩 코일 가이드(80)를 이너 보빈(10)의 하단(17)을 통해 중공(15)으로 삽입할 수 있다.3 and 5, after inserting the shading coil 70 into the insertion groove 81 of the shading coil guide 80, the shading coil guide 80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17 of the inner bobbin 1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hollow (15).

이후에, 아우터 보빈(60)을 브라켓 바디(91)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를 브라켓 바디(91) 내에 삽입하면, 셰이딩 코일 가이드(80)에 형성된 결합돌기(83)는 브라켓 바디(91)에 형성된 제2 삽입홀(96)로 삽입될 수 있다.Thereafter, the outer bobbin 60 may be inserted into the bracket body 91. When the outer bobbin 6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body 91, the coupling protrusion 83 formed in the shading coil guide 8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96 formed in the bracket body 91.

이후에,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을 통해 중공(15)에 플런저(30)를 삽입한 후, 브라켓 바디(91)의 상단에 브라켓 커버(92)를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91)의 상단에 브라켓 커버(92)를 결합하면,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브라켓 커버(92)에 형성된 제1 삽입홀(95)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바디(91)의 상단에 브라켓 커버(92)를 결합하면, 플런저(30)의 상단은 브라켓 커버(92)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Thereafter, after inserting the plunger 30 into the hollow 15 through the upper end 16 of the inner bobbin 10, the bracket cover 9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body 91. When the bracket cover 9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body 91, the upper end 16 of the inner bobbin 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95 formed in the bracket cover 92. In addition, when the bracket cover 9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body 91,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3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racket cover 92.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퓨즈(50)가 이너 보빈(10)의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enoid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se 5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flange 11 of the inner bobbin 10, the solenoid valve Autom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possible.

또한, 제1 터미널(41)에 형성된 제1 코일연결부(41B)와 제2 터미널(42)에 형성된 제2 코일연결부(42A)가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너 보빈(10)의 외측에서 코일(20)의 일단부를 제1 코일연결부(41B)에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이너 보빈(10)의 외측에서 코일(20)의 타단부를 제2 코일연결부(42A)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il connection portion 41B formed o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ortion 42A formed on the second terminal 42 ar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11, the inner One end of the coil 20 from the outside of the bobbin 10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B,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20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bobbin 10 is a second coil connection part 42A. Can be easily connected to.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이너 보빈 11 : 제1 플랜지
11C : 플랜지 바디 11D : 플랜지 캡
12 : 제2 플랜지 15 : 중공
20 : 코일 25 : 보호테이프
30 : 플런저 40 : 터미널부재
41 : 제1 터미널 41A : 제1 플러그부
41B : 제1 코일연결부 41C : 제1 만곡부
42 : 제2 터미널 42A : 제2 코일연결부
42B : 제1 퓨즈연결부 42C : 제2 만곡부
43 : 제3 터미널 43A : 제2 플러그부
43B : 제2 퓨즈연결부 43C : 제3 만곡부
44 : 제1 연결부 45 : 제2 연결부
50 : 퓨즈 60 : 아우터 보빈
70 : 셰이딩 코일 80 : 셰이딩 코일 가이드
81 : 삽입홈 82 : 가이드돌기
83 : 결합돌기 90 : 브라켓
91 : 브라켓 바디 92 : 브라켓 커버
95 : 제1 삽입홀 96 : 제2 삽입홀
10: inner bobbin 11: first flange
11C: flange body 11D: flange cap
12: second flange 15: hollow
20: coil 25: protective tape
30: plunger 40: terminal member
41: first terminal 41A: first plug part
41B: first coil connection part 41C: first curved part
42: second terminal 42A: second coil connection
42B: first fuse connection part 42C: second curved part
43: third terminal 43A: second plug part
43B: second fuse connection part 43C: third curved part
44: first connection portion 45: second connection portion
50: fuse 60: outer bobbin
70: shading coil 80: shading coil guide
81: insertion groove 82: guide protrusion
83: coupling protrusion 90: bracket
91: bracket body 92: bracket cover
95: first insertion hole 96: second insertion hole

Claims (16)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 이너 보빈;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되는 코일;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 제1 터미널;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2 터미널;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3 터미널; 및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An inner bobbin having a hollow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flang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ang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il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 plunger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A first plug portion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is formed at one end, and a first plug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is formed at the other end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1 a first terminal formed with a coil connection portion;
A second terminal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having a second coil connection par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at one en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having a first fuse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A third terminal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having a second plug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at one end, and a second fuse connection at the other end; And
A fuse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and connecting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제1 플랜지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ug part, the second plug part,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flan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plug part and the second plug part protrude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flange,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solenoid valv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lang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는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와 교차하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extend in one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lug part, the second plug part,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은 상기 제1 플랜지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of claim 4,
A solenoid valve wherein an end of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in one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은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1 코일연결부 사이에,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되는 호형상의 제1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제2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1 퓨즈연결부 사이에, 상기 제1 만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되는 호형상의 제2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제2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 사이에,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되는 호형상의 제3 만곡부가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terminal forms a part of a circle between the first plug part and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has an arc-shaped first curved part disposed outside the hollow,
The second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rved part to form a part of the circle between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an arc-shaped second curved part disposed outside the hollow is formed,
The third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rved part and the second curved part between the second plug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to form a part of the circle, and an arc-shaped third disposed outside the hollow. Solenoid valve with a curve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용접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use is a solenoid valve welded to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보빈을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보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는 상기 아우터 보빈의 외부로 돌출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uter bobbin accommodating the inner bobbin therein,
A solenoid valve protruding from the outer bobbin of the first plug part and the second plug par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은 상기 제1 플랜지보다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은 상기 아우터 보빈의 일면을 관통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of claim 8,
One end of the inner bobbin protrudes from the first fl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bobbin,
A solenoid valve having one end of the inner bobbin penetrating through one surface of the outer bobbin.
청구항 9에 있어서,
링형의 셰이딩 코일과,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부를 통해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셰이딩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상기 셰이딩 코일 내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셰이딩 코일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은 상기 제2 플랜지보다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은 상기 아우터 보빈의 타면을 관통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of claim 9,
A ring-shaped shading coil,
A shading coil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serted into the hollow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and inserted into the shading coil on one surface facing the plunger, and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hading coil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Including more guides,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bobbin than the second flange,
A solenoid valv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passes through the other surface of the outer bobbi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양면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의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보빈은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의 타면에는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과,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ner bobbin further comprises a square-cylindrical bracket with open sides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bobbin is accommodated in the bracket,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bobbi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ading coil guide,
The bracket has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one end of the inner bobbin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가 일면에 안착되는 플랜지 바디와,
상기 플랜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를 덮는 플랜지 캡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lange,
A flange body on which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and the fuse are seated on one surface,
A solenoid valve coupled to the flange body and including a flange cap coveri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and the fu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는 금형 내에서 상기 이너 보빈과 인서트 사출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and the fuse are solenoid valves that are insert-injected with the inner bobbin in a mold.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 이너 보빈;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되는 코일;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 제1 터미널;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2 터미널;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3 터미널; 및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의 끝단이 제1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이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및 상기 제3 터미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부재를 준비한 후,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퓨즈를 용접하여, 상기 퓨즈로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용접단계;
상기 퓨즈가 용접된 상기 터미널부재를 금형 내에서 상기 이너 보빈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상기 제2 코일연결부, 상기 제1 퓨즈연결부, 상기 제2 퓨즈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보빈사출단계;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를 커팅하여 상기 제1 연결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커팅하여 상기 제2 연결부를 제거하는 터미널커팅단계; 및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코일을 권선한 후, 상기 코일의 일단부를 상기 제1 코일연결부에 연결하고, 상기 코일의 타단부를 상기 제2 코일연결부에 연결하는 코일권선단계;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
An inner bobbin having a hollow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flang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ang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il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 plunger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A first plug portion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is formed at one end, and a first plug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is formed at the other end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1 a first terminal formed with a coil connection portion;
A second terminal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having a second coil connection par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at one en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nd having a first fuse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A third terminal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having a second plug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lange at one end, and a second fuse connection at the other end; An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comprising a fuse disposed in the first flange and connecting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An end of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by a second connection part. After preparing a terminal member in which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are integrally formed, a fuse is welded to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2 fuse welding step of connecting the fuse connection part;
The terminal member to which the fuse is welded is insert-injected with the inner bobbin in a mold, so that the first plug part, the second plug part,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 bobbin injection step of protruding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utward of the first flange;
A terminal cutting step of cutting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to remov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cutting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to remove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After winding a coil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one end of the coil is connected to the first coil conn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connec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comprising a; coil winding step.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코일권선단계 후에,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을 보호테이프로 감싸는 코일보호단계; 및
상기 이너 보빈의 외측에 수지를 몰딩하여 상기 이너 보빈을 상기 수지가 경화된 아우터 보빈 내에 수용하고,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를 상기 아우터 보빈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보빈보호단계;를 더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After the coil winding step,
A coil protection step of wrapping the coil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with a protective tape; And
A bobbin protection step of molding a resin outside the inner bobbin to accommodate the inner bobbin in the outer bobbin cured with the resin, and protruding the first plug part and the second plug part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obbin; fur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noid valve including.
솔레노이드 밸브에 사용되는 터미널유닛에 있어서,
일단부에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 제1 터미널과, 일단부에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2 터미널과, 일단부에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3 터미널과, 상기 제1 코일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용접되어,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터미널유닛.
In the terminal unit used for a solenoid valve,
A first terminal having a first plug part formed at one end and a first coil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at the other end, and a second coil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 second terminal having a first fuse connection part formed thereon, a third terminal having a second plug part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fuse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n end of the first coil connection part and the end of the second coil connection part A terminal member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an end of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And
A fuse welded to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to connect the first fus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use connection part.
KR1020190093283A 2019-07-31 2019-07-31 Solenoid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solenoid valve KR1022157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83A KR102215742B1 (en) 2019-07-31 2019-07-31 Solenoid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solenoid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83A KR102215742B1 (en) 2019-07-31 2019-07-31 Solenoid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solenoid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041A KR20210015041A (en) 2021-02-10
KR102215742B1 true KR102215742B1 (en) 2021-02-16

Family

ID=7456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83A KR102215742B1 (en) 2019-07-31 2019-07-31 Solenoid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solenoid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74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33B1 (en) 2013-11-07 2014-11-2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Terminal assembly type solenoid
KR101470073B1 (en) 2012-06-21 2014-12-1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KR101715874B1 (en) 2016-07-12 2017-03-13 배수근 Solenoid valv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630B1 (en) * 2008-01-11 2014-03-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earth terminal fixing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lutch for compressor
KR101021446B1 (en) * 2008-09-16 2011-03-15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Solenoid
KR20110035157A (en) 2009-09-30 2011-04-06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Electromagnetic water supply val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073B1 (en) 2012-06-21 2014-12-1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KR101460633B1 (en) 2013-11-07 2014-11-2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Terminal assembly type solenoid
KR101715874B1 (en) 2016-07-12 2017-03-13 배수근 Solenoid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041A (en)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4906B2 (en) ANTENNA DEVICE AND ANTENNA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20150302963A1 (en) Electromagnetic drive coil unit and molding method thereof
KR102091117B1 (en) Transfor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8117735B2 (en) Two piece bi-metal coil terminal and electrical coil assembly incorporating same
CN107039769B (en) Antenn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0544477A1 (en) Molded transformer
US20130186986A1 (en) Fuel Injector Having a Reduced Number of Components
KR20140003131A (en) Coil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15742B1 (en) Solenoid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terminal unit included in solenoid valve
WO2021054071A1 (en) Resin molded solenoid coil and solenoid valve equipped therewith
KR20190104358A (en) Coil device and electric valve and solenoid valve using it
KR20160042559A (en) Coil component
CN113196424B (en) Molded co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1181815U (en) Electromagnetic coil structure and expansion valve
US20120154078A1 (en) Solenoid with a connection region
KR102024534B1 (en) Coil assembly for automotive electronic clutch with diode breakage protection structure
US3138771A (en) Meltable plastic spacer for securing coil to tubular support and housing, and methodof assembly
JP2016052035A (en) Antenn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79628B1 (en) Sleeve of field coil assembly of compressor electromagnetic clutc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JP7136986B1 (en) electromagnetic coil
JP5204731B2 (en) Mold type transformer
KR101753880B1 (en) Bobin assambly
CN112823401A (en) Transfor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0148046B1 (en) Production of solenoid for electric valve
US20070176594A1 (en) Transmission sensor with overmo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