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636B1 -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636B1
KR102215636B1 KR1020200066443A KR20200066443A KR102215636B1 KR 102215636 B1 KR102215636 B1 KR 102215636B1 KR 1020200066443 A KR1020200066443 A KR 1020200066443A KR 20200066443 A KR20200066443 A KR 20200066443A KR 102215636 B1 KR102215636 B1 KR 102215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washing water
water
diffus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철
유대환
이천우
김종구
윤용준
성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강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강테크
Priority to KR102020006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636B1/ko
Priority to US17/927,897 priority patent/US20230202891A1/en
Priority to PCT/KR2021/003601 priority patent/WO2021246626A1/ko
Priority to EP21816744.3A priority patent/EP4159693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 및 그를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여과장치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연직상방으로 분배하거나, 연직상방에서 세척수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분배수조와 물보다 작은 비중을 구비하여 상기 분배수조로부터 오·폐수가 연직상방으로 분배되는 경우 상승하여 오·폐수 내 고형물 및 유기물을 여과하며, 세척수가 연직상방에서 유입되는 경우 하강하며 부착된 고형물 및 유기물을 분리시키는 여재와 상기 여재를 거치며 고형물 및 유기물이 여과된 처리수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를 상기 여재로 배출하는 처리수조 및 상기 여재로 공기를 공급하여 호기성 환경을 조성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 및 그를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Diffuser with Minimal Damage, and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오·폐수 여과과정에서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 및 그를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강화된 수질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다양한 생물학적 처리공정과 추가 고도처리공정이 오·폐수처리장들에 적용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된 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공정이나 단위기술들이 오·폐수처리장에 추가되며, 오·폐수처리장은 더 많은 부지면적을 필요로 한다. 특히, 부지문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미국 및 유럽에서도 그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용되는 부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처리기술로는 생물여과기술(Bio-filtration)이 존재한다. 생물여과공정은 오·폐수의 성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부상여재를 여과 장치 내에 충진하여 여재를 이용해 고형물을 여과하고, 여재의 표면에 부착성장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폐수 내 유기물 등을 생물학적 처리한다. 생물여과기술은 단일 반응조에서 생물학적 처리와 물리적 여과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고 별도의 이차 침전지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의 필요면적을 최소화시켜 부지집약화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검토되고 있다.
도 17은 종래의 생물여과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종래의 생물여과장치 내 산기장치가 파손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오·폐수는 종래의 생물여과장치로 상향으로 유입된 후 부상여재(1710)를 지나 물리적 및 생물학적 여과를 거치며 처리된다. 여과를 거친 처리수는 처리수조(1730)로 집수된다.
한편, 여과시간이 지속되면서 오·폐수 내의 고형물 및 미생물 증식으로 인해 손실수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기준치 이상의 손실수두 발생 시, 도 17(b)와 같이, 종래의 생물여과장치는 처리수조(1730)에서 처리수를 하향으로 분사하여 부상여재를 세척한다.
이때, 생물여과장치 내에는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포기용 산기장치(1720)가 부상여재 내부에 설치되고, 여재 등의 세척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역세용 산기장치(미도시)가 여과조 하부에 설치된다.
포기용 산기장치(1720)는 여과과정에서는 미생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산소를 방출하나, 무산소로 공정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나 세척 시에는 산소 공급을 중단한다. 이때, 포기용 산기장치(1720)가 산소를 공급하다가 중단하게 될 경우, 산소 방출구로 오·폐수나 세척수가 배관 내부로 유입된다. 이처럼 유입된 오·폐수나 세척수는 추후 포기용 산기장치(1720)가 다시 산소를 공급해야 할 때, 산소의 원활한 공급을 방해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이 포기용 산기장치(1720)가 산소의 공급과 중단을 반복할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의 해소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여 왔다.
또한, 전술한 대로, 오·폐수 상향 유입과 세척수의 하향 유입에 의해 부상여재(1710)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부상여재(1710)가 승·하강하며, 부상여재(17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포기용 산기장치(1720)와 지속적으로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에 의해 포기용 산기장치(1720)는 도 18와 같이 파손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상여재로 인한 산기관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산기관 내로 유입된 물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오·폐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여과장치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연직상방으로 분배하거나, 연직상방에서 세척수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분배수조와 물보다 작은 비중을 구비하여 상기 분배수조로부터 오·폐수가 연직상방으로 분배되는 경우 상승하여 오·폐수 내 고형물 및 유기물을 여과하며, 세척수가 연직상방에서 유입되는 경우 하강하며 부착된 고형물 및 유기물을 분리시키는 여재와 상기 여재를 거치며 고형물 및 유기물이 여과된 처리수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를 상기 여재로 배출하는 처리수조 및 상기 여재로 공기를 공급하여 호기성 환경을 조성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산기관은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산기관은 유입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제1 주관, 상기 복수의 제1 주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구로 유입된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주관 및 상기 제1 주관과 상기 제2 주관을 연결하는 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오·폐수 여과장치 내에서 호기성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상기 오·폐수 여과장치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에 있어서, 유입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제1 주관과 상기 복수의 제1 주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산기관으로 유입된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주관과 상기 제1 주관과 상기 제2 주관을 연결하는 지관 및 상기 제1 주관, 상기 제2 주관 및 상기 지관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관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산기관은 오·폐수 여과장치 내에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산기관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산기관을 둘러싸는 보강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폐수의 여과과정에서 부상여재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산기관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산기관의 동작에 의해 산기관 내로 유입되는 물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 또는 지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산기관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에 가해지는 항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산기관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생물여과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생물여과장치 내 산기장치가 파손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오·폐수 여과장치(100)는 유입수조(110), 분배수조(120), 여재(134, 138), 산기관(140a, 140b), 처리수조(150), 스트레이너 블록(210), 노즐(2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유입수조(110)는 외부로부터 처리되어야 할 오·폐수가 유입된다. 유입수조(110)는 외부로부터 오·폐수를 유입받으며, 유입관(118)을 거쳐 유입된 오·폐수를 분배수조(120)로 전달한다. 유입수조(110)는 처리량에 따라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분배수조(120)는 유입수조(110)를 거쳐 유입되는 오·폐수를 연직상방으로 분배하거나, 연직상방에서 세척수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한다.
유입관(118)을 거친 오·폐수는 분배수조(120)로 유입된다. 분배수조(120)는 오·폐수를 유입받아 연직상방(여재(134, 138)가 존재하는 방향)으로 오·폐수를 분배한다. 분배수조(120)는 오·폐수를 연직상방으로 임의로 분사할 수도 있으나,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고자 고르게 연직상방으로 분배하여 배출한다. 오·폐수를 유입받아 연직 상방으로 분배하고자 할 때는, 분배수조(120)는 유입밸브(129)를 개방하여 오·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배출밸브(126)는 폐쇄하여 유입된 오·폐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분배수조(120)는 세척수를 연직상방에서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한다. 일정 시간 오·폐수의 여과가 진행된 경우, 여재(134, 138)의 (역)세척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세척은 세척수가 처리수조(150)로부터 여재(134, 138)로 노즐(220)을 거쳐 배출되며 진행되는데, 여재(134, 138)의 세척이 진행된 세척수는 분배수조(120)로 유입된다. 분배수조(120)는 유입밸브(129)를 폐쇄하고 배출밸브(126)를 개방하여, 유입된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재(134, 138)는 유입되는 오·폐수 내에서 물리적으로 고형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생물학적으로 유기물을 함께 제거한다.
여재(134, 138)는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가져, 오·폐수의 유입시 오·폐수와 함께 상승한다. 여재(134, 138)는 스트레이너 블록(210)이 위치한 높이까지 함께 상승하며, 스트레이너 블록(210)에 의해 더 상승하지 못하며 크기에 따라 층을 분리하여 밀집되기 시작한다. 밀집된 여재(134, 138)들은 크기에 따라 고형물을 제거하거나 유기물을 제거한다. 한편, 여재(134, 138)들의 세척을 위해 세척수가 반응조(130)로 유입되는 경우, 여재(134, 138)들은 크기에 따라 세척수에 의해 여과과정에서 누적된 이물질들을 세척한다.
오·폐수 여과장치(100)에는 크기(부피)가 상이한 적어도 두 종류의 여재(134, 138)가 포함된다. 반응조(130)로 오·폐수가 유입될 경우, 오·폐수는 분배수조(120)에 의해 연직상방으로 분배되기 때문에, 각 여재는 오·폐수에 의해 부력을 받는다. 이때,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여재는 하기 공식과 같이 오·폐수에 의해 서로 다른 부력을 받는다.
Figure 112020056661224-pat00001
여기서, B는 부력을, p는 유체의 밀도를, V는 유체에 잠긴 물체의 부피를, g는 중력가속도를 각각 의미한다. 이때, 유체의 밀도와 중력가속도는 일정하기에, 여재의 부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입자의 부피이다. 이에 따라, 입자의 부피가 커질수록 부력에 보다 많은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상단에 밀집되어 배치된다.
반대로, 반응조(130)로 세척수가 유입될 경우, 크기가 작은 여재는 부력에 의한 상향속도가 작기 때문에 세척수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부피 팽창률을 갖는다. 반면, 크기가 큰 여재는 부력에 의한 상향속도가 크기 때문에, 세척수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 팽창률을 갖는다.
전술한 내용에 따라, 반응조(130)에 크기가 상이한 여재들이 무작위로 배치된다 하더라도, 오·폐수나 세척수의 유입에 의해 자연적으로 크기에 따라 여재들이 존재하는 층이 구분된다. 또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오·폐수와 세척수가 각각 유입된다 하더라도, 전술한 이유에 의해 여재들의 층이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3(a)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여재(134)는 여재(134)로 작용하는 부력량이 상대적으로 적기에 반응조(130)의 (상대적) 하단부에 배치된다. 여재(134)의 직경은 3 내지 8mm일 수 있으며, 여재(134)는 0.5 내지 2.0m의 높이만큼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여재(134)는 미세한 공극을 만들어 오·폐수 내 고형물을 제거한다. 한편, 여재(134)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경우, 여재(134)는 상대적으로 적은 부력량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은 부피 팽창률을 보인다. 예를 들어, 여재(134)는 세척수 유입 시의 부피는 오·폐수 유입 시의 부피보다, 적게는 50%에서 많게는 100%까지 팽창할 수 있다. 세척수의 유입 시, 여재(134)는 상대적으로 많이 부피가 팽창되기에 여재에 의해 여과되어 있던 고형물들이 효율적으로 탈리되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된다.
한편, 도 3(b)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여재(138)는 여재(138)로 작용하는 부력량이 상대적으로 많기에 반응조(130)의 (상대적) 상단부에 배치된다. 여재(138)의 직경은 4 내지 10mm일 수 있으며, 여재(138)는 2.0 내지 3.5m의 높이만큼 배치될 수 있다. 여재(138)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기 때문에, 여재(134)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공극을 갖는다. 이에, 여재(138)의 표면에는 오·폐수 내 유기물을 분해하기 위한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원활히 성장할 수 있다. 여재(138)는 표면에 성장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폐수 내에서 여재(134)에 의해서도 제거되지 않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고형물과 용존성 유기물을 제거한다. 한편, 세척수의 유입 시, 여재(138)는 고형물과 유기물을 제거한 (표면에 형성된) 미생물막을 세척공기와 세척수의 전단력을 이용하여 탈리시킨다. 탈리된 미생물들은 세척수 및 세척공기와 함께 배출된다.
산기관(140a, 140b)은 미생물의 성장 또는 여재(134, 138)의 세척을 위한 세척공기를 공급한다.
산기관(140a)은 반응조(130) 내에 배치되어, 여재(138)로 산소를 공급한다. 산기관(140a)은 오·폐수의 유입에 의해 반응조(130) 내에서 여재(138)가 상승하여 층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주로, 여재(138)로 산소를 공급한다. 산기관(140a)은 호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하는데 필요한 전자수용체를 공급한다. 산기관(140a)은 공기를 공급하여 전자 수용체인 산소를 공급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순 산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 산기관(140a)의 산소 공급에 따라, 여재(138)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여재(134)가 제거하지 못한 작은 크기의 고형물들과 용존성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산기관(140b)은 반응조(130) 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여재(134, 138)의 세척을 위한 세척공기를 공급한다. 여재(134, 138)에 성장하거나 부착된 고형물 또는 유기물들은 세척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으나, 세척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기관(140b)은 세척공기를 함께 공급할 수 있다.
산기관(140)에 대한 설명은 도 12 내지 1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처리수조(150)는 여재(134, 138)를 거친 처리수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유입받아 여재(134, 138)로 배출한다. 여재(134, 138)에 의해 오염물질(고형물 및 유기물)이 여과된 처리수는 노즐(220) 또는 스트레이너 블록(210)과 노즐(220)을 거치며 처리수조(150)로 유입된다. 다른 오·폐수 여과장치 내에서 세척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처리수조(150)는 유입된 처리수를 다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처리수조로 배출할 수 있다. 또는, 처리수조(150)는 처리수를 방류하거나 다른 별도의 처리장치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처리수조(150)는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유입받는다. 여기서, 유입되는 세척수는 다른 오·폐수 여과장치에서 여과된 처리수일 수 있다.
스트레이너 블록(210)은 반응조(130)와 처리수조(150)를 공간적으로 분리한다.
스트레이너 블록(210) 내에는 기 설정된 간격마다 노즐(220)이 배치될 수 있다. 노즐(220)에도 마찬가지로 공기나 액체와 같은 유체는 통과시키나, 여재(138)는 통과시키지 않는 미세 크기의 구멍들이 형성된다. 이에, 노즐(220)은 처리수(산소)는 처리수조로 유입시키며, 세척수를 반응조(130)로 분사한다. 특히, 노즐(220)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속도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재(134, 138)에 성장하거나 부착된 고형물 또는 유기물들이 원활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스트레이너 블록(210)은 콘크리트와 같은 친수성 표면을 갖는 재질로 구현된다. 여재(138)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기 전까지는 여재 표면상에 증식된 미생물과 점액물질에 의해 점착력을 갖는다. 이에, 오·폐수의 유입으로 여재(138)가 부상하며 스트레이너 블록(210)에 점착될 수 있다. 그러나 여재(138)가 스트레이너 블록(210)에 점착될 경우, 폐색과 같은 문제를 유발하기에 여재(138)의 스트레이너 블록(210)으로의 점착은 방지되어야 한다. 스트레이너 블록(210)에 노즐(220)이 빽빽하게 배치된다면 이러한 문제는 방지될 수 있으나, 스트레이너 블록(210)의 구조나 내구도 등을 고려할 때 노즐(220)이 스트레이너 블록(210) 내에 기 설정된 간격 이하의 좁은 간격으로는 배치될 수 없다. 이에, 노즐(220)과 노즐(220) 사이의 사구간에 여재(138)가 점착될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스트레이너 블록(210)은 노즐(220)과 노즐(220) 사이 공간에 요철부(230)를 포함한다. 요철부(230)는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유입수조(110)로의 오·폐수의 유입, 처리수조(150)로의 세척수의 유입 및 산기관(140)으로의 산소 유입을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배출밸브(126) 및 유입밸브(129)를 제어하여, 유입수조(110)로의 오·폐수의 유입이나, 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처리수조(150)로의 세척수의 유입 및 분사를 제어한다. 오·폐수는 여재(134, 138)에 성장하거나 부착된 고형물 또는 유기물들에 의해 반응조(130)로 유입되며 수두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제어부(미도시)는 반응조(130) 내에 배치된 압력계(미도시)로부터 오·폐수의 유입압력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까지 떨어지는지를 파악한다. 오·폐수의 유입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치까지 떨어졌다면, 여재(134, 138)에 성장하거나 부착된 고형물 또는 유기물들의 양이 과도하게 많아졌음을 의미하기에 세척이 필요한 시기에 해당한다. 이에, 제어부(미도시)는 유입밸브(129)를 폐쇄하여 오·폐수의 유입을 차단하며, 배출밸브(126)를 개방하여 세척수(기 처리된 처리수 또는 다른 오·폐수 여과장치에서의 처리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제어하며, 노즐(220)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오·폐수의 유입에 따라 여과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산기관(140a)이 여재(138)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산소 공급밸브(145a)를 개방하며 세척공기 공급밸브(145b)는 폐쇄한다. 반대로, 제어부(미도시)는 여재(134, 138)를 세척하는 과정에서는 산기관(140b)이 세척공기를 반응조(130)에 공급하도록, 세척공기 공급밸브(145b)를 개방하며 산소 공급밸브(145a)는 폐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로 오·폐수가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유입수조(110)로 유입된 오·폐수는 분배수조(120)에 의해 여재(134, 138)가 위치하는 연직방상으로 분배된다. 이에 따라, 여재(134, 138)들은 부력에 의해 상승하며, 상대적으로 더 큰 부력을 받는 여재(138)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여재(134)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층을 이루어 배치된다. 여재(134)를 거치며 오·폐수 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고형물이 여과되고, 여재(138)를 거치며 여재(138) 표면에 성장한 미생물에 의해 오·폐수 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고형물과 유기물이 여과된다. 오염물질들이 여과된 처리수는 스트레이너 블록(210) 및 노즐(220)을 거치며 처리수조(150)로 유입된다. 유입된 처리수조(150)는 자신 또는 다른 장치의 세척수로 사용되거나,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로 역세수가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한편, 여재(134, 138)에 성장하거나 부착된 고형물 또는 유기물들의 양이 증가하여 오·폐수의 유입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치까지 떨어진 경우, 세척이 수행된다. 처리수조(150)로부터 노즐(220)을 거쳐 반응조(130)로 세척수가 분사된다. 이때, 산기관(140b)에서는 세척공기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원활한 여재의 세척을 위해 세척수는 60 내지 120m/hr의 속도로 분사될 수 있으며, 세척공기는 10 내지 40m/hr의 속도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되는 세척수와 세척공기에 의해 여재(134, 138)에 성장하거나 부착된 고형물 또는 유기물들이 탈리되어 세척수와 함께 분리수조(120)로 유입된다. 유입된 세척수는 배출밸브(126)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여재(134)에서 탈리된 고형물은 밀도가 물보다 무겁고 크기가 상당히 작을 수 있다. 이에, 고형물이 세척수에 부상되지 않아 세척수와 함께 이동하지 않고 탈리된 위치에 머물 수 있다. 이러한 고형물들이 여재 내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척수 및 세척공기를 이용해 여재를 세척하는 공정이 복수 회 반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고형물질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TBOD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SBOD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실험된 환경은 다음과 같다. 반응조(130)는 1.2m의 직경을 가지며, 여재(134)는 1.0m의 깊이만큼, 여재(138)는 2.0m의 깊이만큼 배치되었다. 또한, 장치의 높이는 5.5m이었다. 오·폐수가 장치(100) 내로 유입되어 체류한 시간은 15 내지 30분이었으며, 세척공기는 5.0scfm로, 산소는 5.0~8.0mg/L의 농도로 공급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오·폐수 여과장치(100)는 유입된 오·폐수 내 고형물을 84% 이상 제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오·폐수 여과장치(100)는 유입된 오·폐수의 BOD를 81% 이상 감소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폐수 여과장치(100)의 최대 BOD 제거 속도는 55.7kgBOD/m3·d로 나타났으며, 해당 수치는 종래의 여과장치에서 나타나는 BOD 제거 속도인 5.5kgBOD/m3·d보다 약 10배 가량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폐수 여과장치(100)는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오·폐수 여과장치(100)는 안정적으로 약 74% 이상의 용존성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제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여과장치의 여과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분배수조(120)는 유입된 오·폐수를 상향으로 분배한다(S910).
여재(134)는 상향하는 오·폐수 내 고형물을 여과한다(S920)
여재(138)는 고형물이 여과된 오·폐수 내 미세 고형물 및 유기물을 제거한다(S930).
처리수조(150)는 각 성분이 여과된 처리수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방류한다(S940).
처리수조(150)는 역세수를 하향으로 분사한다(S950).
분배수조(120)는 여재(134, 138)를 거친 역세수를 외부로 배출한다(S96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 블록 및 노즐의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스트레이너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요철부(230)는 노즐(220)과 노즐(220) 사이마다 스트레이너 블록(210)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다. 요철부(230)는 노즐(220)의 세척수 분사각도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사구간에 형성되어, 여재(138)가 스트레이너 블록(210)에 점착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한다. 요철부(230)는 노즐(220)의 세척수 분사각도에 따라 세척수가 자신의 표면으로 분사될 수 있는 위치까지 돌출됨으로써, 여재(138)가 자신의 표면에 부착되더라도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나아가, 요철부(230)는 스트레이너 블록(210)과 달리, 여재(138)가 점착되기에 용이하지 않은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요철부(230)가 전술한 소재로 구현됨에 따라, 물리적으로 여재(138)가 스트레이너 블록(210)에 점착되는 것은 물론, 요철부(230) 자신에도 점착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요철부(230)는 표면에 돌기(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230)의 표면에 돌기(235)가 형성됨에 따라, 여재(138)가 요철부(230)에 점착될 확률이 보다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특히, 돌기(235)는 여재(138)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마다 요철부(230) 표면에 형성되어, 여재(138)가 요철부(230)에 점착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는 요철부(230)와 돌기(235)가 모두 둥근(반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의 (b) 내지 (d)와 같이, 요철부(230)가 삼각형태로 돌출될 수도 있고, 요철부(230)의 형상과 무관하게 돌기(235)가 삼각형태로 돌출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140)은 제1 주관(1210, 1215), 지관(1220, 1225) 및 제2 주관(1230)을 포함한다.
산기관(140)은 반응조(130)의 외곽 또는 외곽으로부터 반응조(130) 내부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해당 위치에 배치되어, 반응조(130) 내부로 미생물의 성장 또는 세척을 위한 공기를 공급한다.
산기관에는 반응조(13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공기의 공급이 중단될 경우, 배출구로 일시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반응조(130) 내의 오·폐수 또는 세척수(이하에서, '물'이라 칭함)가 유입된다. 산기관으로 유입된 물은 추후, 다시 배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는데 있어 방해를 하여, 반응조(130) 내로 미생물 성장 또는 세척을 위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도록 하고, 산기관 내의 압력 및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산기관(140)은 반응조(13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나 산기관(140) 내부로 유입된 물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한 공기가 주입되는 제1 주관(1210, 1215), 제1 주관으로 유입된 공기와 산기관 내부로 유입된 물을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주관(1230) 및 제1 주관과 제2 주관을 연결하는 지관(1220, 1225)를 포함한다.
제1 주관(1210, 1215)은 반응조(13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나 산기관(140)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를 외부로부터 유입한다. 반응조(130)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그에 따라 산기관(140)의 크기도 함께 커지게 된다. 산기관(140)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산기관(140) 내로 유입되는 물의 양도 많아지게 된다. 이에, 제1 주관(1210, 1215)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과 전달속도가 향상되어야, 제1 주관(1210, 1215) 내로 유입되는 물의 배출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주관(1210, 1215)은 복수 개로 분기되어, 각 제1 주관(1210, 1215)으로 각각 공기가 공급된다. 제1 주관(1210, 1215)은 산기관(140)의 면적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분기될 수 있으며, 분기되는 개수에 따라 공기의 양과 전달속도가 향상되게 된다.
지관(1220, 1225)은 각 제1 주관(1210, 1215)과 제2 주관(1230)을 연결한다. 각 지관(1220, 1225)은 각 제1 주관(1210, 1215)과 제2 주관(1230)을 하나의 관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기 설정된 간격을 가지며 복수 개가 각각 양 주관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각 지관(1220, 1225)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양 주관들을 연결하기 때문에, 산기관(140)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물과 공기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킨다. 복수 개의 지관들이 양 주관들(1210, 1215, 1230)을 연결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관들이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주관(1210, 1215)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배출되는 물이 분산되어 제2 주관(12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나의 지관만이 양 주관들을 연결하고 있다면, 유입된 물과 공기량에 따라 상당한 압력이 지관 또는 주관과 지관의 연결부위로 가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관(1220, 1225)은 복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됨에 따라, 물과 공기가 각 지관들로 분산되어 제2 주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주관(1230)은 제1 주관(1210, 1215)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관을 거쳐 전달되는 물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제2 주관(1230)은 제1 주관(1210, 1215)들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한 대로, 제1 주관(1210, 1215)은 복수 개로 분기되어 배치된다. 제2 주관(1230)은 분기되어 배치되는 제1 주관들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한 대로, 지관(1220, 1225)들은 제1 주관과 제2 주관을 연결하는데, 제1 주관 또는 제2 주관의 배치에 따라 지관(1220, 1225)의 길이가 달라진다. 지관(1220, 1225)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산기관(140)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제조나 주관들과의 연결(용접 등)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주관(1230)은 제1 주관(1210, 1215)들 사이에 배치되어 지관의 길이를 최소화한다.
제2 주관(1230)은 각 지관들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제1 주관과 달리 제2 주관(1230)은 하나만이 배치된다. 제1 주관(1210, 1215)으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는 복수의 지관(1220, 1225)들에 의해 분배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산기관(140) 내부로 유입된 물은 하나의 주관(12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산기관(140)은 내부로 유입된 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주관(1210, 1215)이 2개로 분기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과 같이, 제1 주관(1310, 1315, 1320, 1325)이 4개로 분기될 수도 있고, 그 이상으로 분기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주관이 몇 개로 분기되더라도, 지관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2 주관(1230)은 제1 주관들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 또는 지관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종래의 산기관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에 가해지는 항력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종래의 산기관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배출구(1410), 보강 지지대(1420) 및 지지대(1430)를 포함한다.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외부로부터 미생물 성장, 세척 또는 물의 배출을 위한 공기를 유입한다.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일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으로 오·폐수 또는 세척수나 승강 또는 하강하는 부상여재에 의해 항력이 작용한다.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으로 작용하는 항력은 하기의 식을 만족한다
Figure 112020056661224-pat00002
여기서, Fd는 항력을, Cd는 항력계수를, Ap는 작용면적을 ρw는 유체의 밀도를, vp는 유체의 속도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주관 또는 지관은 원형의 단면적을 갖는다.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작용하는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원형이 아닌 타원형의 단면적을 갖는다.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자신에 유체나 부상여재로부터 작용하는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감소한 단면적을 갖는다.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의 단면적이 타원형을 가지며, 장축이 수직방향(유체 또는 부상여재가 승·하강하는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의 작용면적은 현저히 작아질 수 있다. 통상적인 원형의 단면적을 가질 때에 비해, 절반 또는 그 이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종래의 주관 또는 지관(1510)으로는 상당한 항력이 작용하는 반면, 작용면적의 감소로 인해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로는 절반 또는 그 이상 감소한 항력이 작용하게 된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전술한 단면적을 갖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우수한 이차 모멘트를 갖는다. 모멘트는 물체를 회전시키려는 힘의 작용을 의미하며, 크기는 힘(F)과 회전축에서 힘의 작용선까지의 거리(r)의 곱으로 연산된다. 이차 모멘트는 배관의 휨 강도와 비례하기 때문에, 이차 모멘트가 높을수록 해당 배관은 우수한 휨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종래의 배관과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단면적의 형상에 의해 다음과 같은 이차 모멘트값을 가질 수 있다.
도 16(a)에 도시된, 원형 단면을 갖는 종래의 배관(1510)은 다음과 같은 이차 모멘트값을 갖는다.
Figure 112020056661224-pat00003
반면, 도 16(b)에 도시된, 타원형 단면을 갖는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다음과 같은 이차 모멘트 값을 갖는다.
Figure 112020056661224-pat00004
전술한 이차 모멘트 값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종래의 배관(15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이차 모멘트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KS 규격의 32mm(10S) 배관을 적용해보면, 종래의 배관(원형 단면)의 이차 모멘트는 7.0cm4인 반면,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의 이차 모멘트는 11.9cm4로, 종래에 비해 약 1.7배 향상되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이처럼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타원형의 단면적을 가짐에 따라, 높은 휨강도(이차 모멘트)를 가짐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받는 항력을 낮출 수 있다. 이에,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승강하는 유체에 의한 부력 또는 하강하는 유체나 승·하강하는 여재와의 마찰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지지대(1420)는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를 감싸며, 지지대(1430)는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의 하부에서 각각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를 지지한다. 보강 지지대(1420) 또는 지지대(1430)는 승강하는 유체에 의한 부력 또는 하강하는 유체나 승·하강하는 여재와의 마찰력에 의해 배치된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이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대로,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은 감소한 면적을 갖기 때문에, 설치될 보강 지지대(1420)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산기관(140) 전체에 설치될 보강 지지대(1420)의 양이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
보강 지지대(1420) 및 지지대(1430)는 양자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각 세트가 기 설정된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보강 지지대(1420) 및 지지대(1430)가 촘촘히 배치된다면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는 있으나, 설치될 세트의 양이 증가하고, 세트, 주관 또는 지관으로 작용하는 항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보강 지지대(1420) 및 지지대(1430)는 일정한 간격마다 하나씩 배치되어 주관 또는 지관(1210 내지 123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 도면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9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오·폐수 여과장치
110: 유입수조
118: 유입관
120: 분배수조
123: 차단막
126: 배출밸브
129: 유입밸브
130: 반응조
134, 138: 여재
140: 산기관
145a: 산소 공급밸브
145b: 세척공기 공급밸브
150: 처리수조
210: 스트레이너 블록
220: 노즐
1210, 1215, 1310, 1315, 1320, 1325: 제1 주관
1220, 1225: 지관
1230: 제2 주관
1410: 배출구
1420: 보강 지지대
1430: 지지대
1710: 부상여재
1720: 산기장치
1730: 처리수조

Claims (6)

  1.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여과장치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연직상방으로 분배하거나, 연직상방에서 세척수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분배수조;
    물보다 작은 비중을 구비하여 상기 분배수조로부터 오·폐수가 연직상방으로 분배되는 경우 상승하여 오·폐수 내 고형물 및 유기물을 여과하며, 세척수가 연직상방에서 유입되는 경우 하강하며 부착된 고형물 및 유기물을 분리시키는 여재;
    상기 여재를 거치며 고형물 및 유기물이 여과된 처리수를 유입받아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를 상기 여재로 배출하는 처리수조;
    상기 분배수조에서 분배된 오·폐수를 유입받거나 상기 처리수조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유입받으며, 내부에 상기 여재를 포함하는 반응조;
    여재로 공급하거나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 또는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제1 주관, 상기 복수의 제1 주관의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된 오·폐수 또는 세척수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주관 및 상기 제1 주관과 상기 제2 주관을 연결하는 지관을 포함하여, 상기 여재로 공기를 공급하여 호기성 환경을 조성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산기관은 상기 반응조 내 오·폐수, 세척수 또는 승·하강하는 여재에 의해 항력이 작용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주관, 제2 주관 및 지관은 오·폐수 또는 세척수나 승강 또는 하강하는 여재에 의해 작용하는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타원형의 단면적을 가지며, 장축이 유체 또는 상기 여재가 승·하강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66443A 2020-06-02 2020-06-02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KR102215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443A KR102215636B1 (ko) 2020-06-02 2020-06-02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US17/927,897 US20230202891A1 (en) 2020-06-02 2021-03-23 Wastewater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comprising filter media of different sizes
PCT/KR2021/003601 WO2021246626A1 (ko) 2020-06-02 2021-03-23 서로 상이한 크기의 여재를 포함한 오·폐수 여과장치 및 방법
EP21816744.3A EP4159693A4 (en) 2020-06-02 2021-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 WATER FILTRATION COMPRISING FILTER MEDIA OF DIFFERENT SIZ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443A KR102215636B1 (ko) 2020-06-02 2020-06-02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636B1 true KR102215636B1 (ko) 2021-02-15

Family

ID=7456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443A KR102215636B1 (ko) 2020-06-02 2020-06-02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6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541B1 (ko) * 2005-10-11 2006-06-20 주식회사 필텍코리아 비중이 상이한 여재가 각각 충진된 복수의 여재층을 구비한오폐수 처리장치
KR101297639B1 (ko) * 2012-11-26 2013-08-19 주식회사 부강테크 공기 및 물 배출구를 구비한 생물여과용 산기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40022049A (ko) * 2011-04-04 2014-02-21 베올리아 워터 솔루션즈 앤드 테크놀러지스 써포트 향상된 생물학적 폐수 정화 반응기 및 정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541B1 (ko) * 2005-10-11 2006-06-20 주식회사 필텍코리아 비중이 상이한 여재가 각각 충진된 복수의 여재층을 구비한오폐수 처리장치
KR20140022049A (ko) * 2011-04-04 2014-02-21 베올리아 워터 솔루션즈 앤드 테크놀러지스 써포트 향상된 생물학적 폐수 정화 반응기 및 정화 방법
KR101297639B1 (ko) * 2012-11-26 2013-08-19 주식회사 부강테크 공기 및 물 배출구를 구비한 생물여과용 산기시스템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5342B2 (ja) 廃水の生物学的浄化のための方法及びリアクタ
US7862711B2 (en) Biofilter units and water treatment facilities with using the same biofilter units
JP6038119B2 (ja) 改善された生物学的排水浄化リアクターおよび方法
NO20110520A1 (no) Vannbehandlingsapparat og system
KR102215648B1 (ko) 서로 상이한 크기의 여재를 포함한 오·폐수 여과장치 및 방법
RU2314864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 виде полой волоконной мембраны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при очистке сточных вод, а также мембранный биореактор
CN101708891A (zh) 曝气生物活性炭滤池及应用其净化给水的方法
TWI236929B (en) Membrane cartridge,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nd membrane separation method
KR102215636B1 (ko) 파손이 최소화된 산기관을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KR20190022388A (ko) 유동상 생물반응조에서 담체 순환 및 유실 방지를 위한 장치
JP2695624B2 (ja) 浮遊濾材の洗浄方法
EP0112095A1 (en) Aqueous liquid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JP2795620B2 (ja) 浮遊ろ材を用いた生物的水処理装置及びその逆洗方法
KR102301712B1 (ko) 여재의 점착을 최소화한 스트레이너 블록 및 그를 포함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EP4159693A1 (en) Wastewater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comprising filter media of different sizes
WO1991008817A1 (en) Treating liquids in filters
WO2017061872A1 (en) Method and reactor to alternate between stationary bed and moving bed for treatment of water, without changing the water level in the reactor
CA2565052A1 (en) System for improved dissolved air floatation with a biofilter
KR200305743Y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JP2004243199A (ja) 汚染水の浄化施設
KR100488471B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CN217895375U (zh) 过滤池以及污水处理装置
CN110776092B (zh) 一种mbr膜生物反应器
CN1259257C (zh) 生物活性反应器以及废水处理方法
KR100390010B1 (ko) 튜브 타입 미생물 부착 메디아를 이용한 하천 정화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