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944B1 -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944B1
KR102214944B1 KR1020200054794A KR20200054794A KR102214944B1 KR 102214944 B1 KR102214944 B1 KR 102214944B1 KR 1020200054794 A KR1020200054794 A KR 1020200054794A KR 20200054794 A KR20200054794 A KR 20200054794A KR 102214944 B1 KR102214944 B1 KR 10221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ight source
led light
steriliza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영
Original Assignee
송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근영 filed Critical 송근영
Priority to KR102020005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경사진 일 측면에 설치되는 살균부; 및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버튼 일측 방향의 벽면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버튼과 동일 선상에서 상기 버튼 일측 방향의 벽면에 체결되면, 상기 본체의 경사진 일 측면이 상기 버튼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마주보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BUTTON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이나 고층의 건축물에 있어서, 계단을 오르내리는 대용물의 수단으로 에스컬레이터(escalator) 또는 엘리베이터(elevator)가 있다. 엘리베이터는 에스컬레이터에 비해 상하로 승강시키는 역할만을 하지만, 설치면적 및 속도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 사용빈도가 높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조작부에는 버튼이 마련되고 버튼에 물리적 힘을 가해 버튼의 온, 오프를 조작하는 누름 방식의 버튼을 사용한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엘리베이터를 사용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내장재와 여러 사용자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장재는 쉽게 세균에 감염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조작 버튼은 사용자의 신체적 접촉에 의해 작동이 되므로, 수많은 사용자의 신체 내지 물건들과 접촉하고 이를 통해 많은 세균이 버튼에 오염되고 번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내에 환기가 되지 않아 세균번식을 용이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4447호(2006.08.14)
본 발명은 한정된 좁은 공간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세균번식이 용이한 엘리베이터에서, LED 광원을 이용하여 보다 사용자의 신체 접촉이 많은 버튼을 살균함으로써 위생 증대에 효과적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경사진 일 측면에 설치되는 살균부; 및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버튼 일측 방향의 벽면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 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버튼과 동일 선상에서 상기 버튼 일측 방향의 벽면에 체결되면, 상기 본체의 경사진 일 측면이 상기 버튼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마주보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살균부가 작동되고,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살균부의 작동이 중단되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판이 설치되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자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정된 좁은 공간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세균번식이 용이한 엘리베이터에서, 보다 사용자의 신체 접촉이 많은 버튼을 살균함으로써 위생 증대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가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가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가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에 각도 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에 카운팅 센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버튼(B)을 살균할 수 있다.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는 본체(10), 살균부(20), 체결부(30), 동작 감지 센서(40), 배터리부(50) 및 태양광판(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일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는 육면체 형상에서 일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제1 측면(101), 제2 측면(102), 제3 측면(103), 제4 측면(104), 상면(105) 및 하면(1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101), 제2 측면(102), 제3 측면(103), 제4 측면(104), 상면(105) 및 하면(106)이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며, 제1 측면(101)이 상면(105)에서 하면(106)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측면(101)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부(20)는 제1 측면(10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살균부(20)는 경사진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살균부(20)는 살균 기능을 하는 다양한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UVC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살균부(20)는 제1 측면(101)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30)는 본체(10)의 상면(105) 또는 하면(106)에 설치되어, 본체(10)를 엘리베이터 벽면에 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0)는 제1 측면(101)의 경사에 의해 서로 길이가 상이한 상면(105)과 하면(106) 중에서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하면(106)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30)는 자기력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으로 이루어진 체결부(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체결부(30)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엘리베이터 벽면에 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체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40)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작 감지 센서(40)는 본체(10) 내측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40)는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살균부(20)가 작동되고,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살균부(20)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살균부(20)가 UVC LED로 이루어지는 경우, UVC 자외선은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움직임이 감지될 때는 살균부(20)가 작동되지 않는다. 즉, 동작 감지 센서(40)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써, 사람이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을 때는 살균부(2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40)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것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살균부(20)가 작동될 수 있다. 이처럼, 동작 감지 센서(40)에서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살균부(20)가 작동될 수 있다.
배터리부(50)는 살균부(20)와 동작 감지 센서(40) 등 전력이 필요한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50)는 전선(51)을 통해 태양광판(6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태양광판(6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단자(7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태양광판(60)은 본체(10)에 설치되어, 형광등이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햇빛 등으로부터 빛을 받아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 배터리부(50)로 공급할 수 있다.
태양광판(60)은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판(60)은 살균부(20)가 설치되는 제1 측면(101)과 체결부(30)가 설치되는 하면(106)을 제외한 다른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태양광판(60)은 제2 측면(102)과 상면(105)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는 엘리베이터 버튼(B) 일 측 방향의 엘리베이터 벽면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30)가 버튼(B)과 동일 선상에서 버튼(B) 일 측 방향의 벽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자석으로 이루어진 체결부(3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엘리베이터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를 엘리베이터에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0)가 버튼(B) 일 측 방향의 벽면에 체결될 때,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측면(101)이 버튼(B)과 소정 간격 이격되며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측면(101)과 버튼(B)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버튼(B)을 누를 수 있으며, 버튼(B)과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써 살균부(20)의 빛이 조사되어 살균 작용이 가능하다.
또한, 2줄로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의 2개의 버튼(B)에 동시에 UVC LED를 조사할 수 있도록 제1 측면(101)의 상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버튼(B)은 제1 버튼(B1)과 제2 버튼(B2)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튼(B1) 측 방향의 벽면에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체결된 경우, 제1 버튼(B1)과 마주보며 살균부(20)가 위치되어 제1 버튼(B1)이 살균될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B2)에도 살균부(20)의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제1 측면(101)의 상부에 살균부(20)를 설치 및 설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튼(B1)과 제2 버튼(B2)을 살균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40)는 제3 측면(103)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측면(103)에 동작 감지 센서(40)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입구측으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입구측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판(60)이 엘리베이터 내부의 빛을 모아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부(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106), 도 4a는 버튼(B)이 세로로 2줄로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버튼(B)이 가로로 2줄로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의 경우에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제1 버튼(B1)의 측 방향의 벽면에 설치되어, 세로로 2줄로 배치된 제1 버튼(B1)과 제2 버튼(B2)을 살균할 수 있다. 일 예로, 12층까지 있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6행 2열로 버튼(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1열의 버튼(B)들을 제1 버튼(B1)이라 하고, 2열의 버튼(B)들을 제2 버튼(B2)이라 할 때,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는 제1 버튼(B1)의 측 방향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b의 경우에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제1 버튼(B1)의 상측 방향의 벽면에 설치되어, 가로로 2줄로 배치된 제1 버튼(B1)과 제2 버튼(B2)을 살균할 수 있다. 일 예로, 12층까지 있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2행 6열로 버튼(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1열의 버튼(B)들을 제1 버튼(B1)이라 하고, 2열의 버튼(B)들을 제2 버튼(B2)이라 할 때,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는 제2 버튼(B2)의 측 방향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에 각도 조절부(8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는 각도 조절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80)는 제1 측면(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 버튼(B2)으로 보다 정확하게 살균부(20)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80)는 돌출 브라켓(81), 회동부(82) 및 힌지(8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브라켓(81)은 제1 측면(101)의 상부에서 제2 버튼(B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82)는 돌출 브라켓(81)의 단부에 힌지(8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동부(82)에는 살균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힌지(83)의 조임을 통해 회동부(82)가 돌출 브라켓(81)에서 회전된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돌출 브라켓(81)이 제2 버튼(B2) 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살균부(20)가 제2 버튼(B2)을 향하는 각도로 회동부(82)가 힌지(83)에 의해 돌출 브라켓(81)에 고정됨으로써, 회동부(82)에 설치된 살균부(20)가 보다 효율적으로 제2 버튼(B2)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에는 충전단자(7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선(51)에 의해 배터리부(50)와 연결되도록 충전단자(70)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에 카운팅 센서(9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는 카운팅 센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운팅 센서(90)는 제1 측면(101)에 설치되어 버튼(B)이 얼마나 눌리는지 카운팅할 수 있다. 카운팅 센서(90)에서 감지되는 버튼(B)이 눌리는 횟수에 따라 살균부(20)가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카운팅 센서(90)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운팅 센서(90)는 제1 카운팅부(91) 및 제2 카운팅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운팅부(91)는 제1 버튼(B1)이 눌리는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도록 제1 측면(101)의 하부에서 제1 버튼(B1)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제2 카운팅부(92)는 제2 버튼(B2)이 눌리는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도록 제1 측면(101)의 상부에서 제2 버튼(B2)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카운팅부(91)는 제1 버튼(B1)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버튼(B1)에서 몇번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카운팅하여, 제1 버튼(B1)이 눌린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카운팅부(92)는 제2 버튼(B2)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제2 버튼(B2)에서 몇번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를 카운팅하여, 제2 버튼(B2)이 눌린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제1 카운팅부(91)와 제2 카운팅부(92)에서 카운팅 된 횟수에 따라 살균부(20)가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버튼(B)과 3층 버튼(B) 각각의 상측에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설치된 경우, 2층 버튼(B)의 상측에 설치된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의 제1 카운팅부(91)에 카운팅된 움직임 횟수가 5회이고, 3층 버튼(B)의 상측에 설치된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의 제1 카운팅부(91)에 카운팅된 움직임 횟수가 0회인 경우, 3층 버튼(B)의 상측에 설치된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의 살균부(20)는 작동되지 않고, 2층 버튼(B)의 상측에 설치된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의 살균부(20)만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는 5회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카운팅 센서(90)에서 감지된 움직임 횟수가 작업자가 설정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 되면 살균부(20)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제1 블록(11)과 제2 블록(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록(11)은 본체(10)의 하부일 수 있고, 제2 블록(12)은 본체(10)의 상부일 수 있다. 제1 블록(11)과 제2 블록(12)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11)은 상면(105)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블록(12)은 하면(106)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11)는 가이드 홀(12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블록(12)이 제1 블록(11)의 상면(105)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카운팅부(91)와 제2 카운팅부(92)에서 움직임을 카운팅한 경우, 제1 버튼(B1)을 감지하는 제1 카운팅부(91)에서는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제2 버튼(B2)을 감지하는 제2 카운팅부(92)에서 다수회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2 블록(12)이 제1 블록(11)을 따라 제2 버튼(B2)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살균부(20)가 작동될 수 있다.
이처럼, 카운팅 센서(90)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 블록(11) 및 제2 블록(12)을 통해 선택적으로 다수회 사용된 버튼(B)만 정확하게 살균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버튼을 살균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버튼(B)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버튼(B) 측 방향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버튼(B) 각각을 살균할 수 있도록 살균부(20)는 버튼(B) 개수에 대응되게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하나의 살균부(20)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a는 버튼(B)이 세로로 2줄로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버튼(B)이 가로로 2줄로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나의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복수의 버튼(B) 측 방향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3개의 버튼(B)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버튼(B), 4개의 버튼(B), 5개의 버튼(B) 등 복수의 버튼(B) 측 방향 벽면에 하나의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1)가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B: 버튼
B1: 제1 버튼 B2: 제2 버튼
10: 본체 11: 제1 블록
111: 가이드 돌기 12: 제2 블록
121: 가이드 홀 101: 제1 측면
102: 제2 측면 103: 제3 측면
104: 제4 측면 105: 상면
106: 하면 20: 살균부
30: 체결부 40: 동작 감지 센서
50: 배터리부 51: 전선
60: 태양광판 70: 충전단자
80: 각도 조절부 81: 돌출 브라켓
82: 회동부 83: 힌지
90: 카운팅 센서 91: 제1 카운팅부
92: 제2 카운팅부

Claims (4)

  1. 사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상면에서 상기 하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면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 길이가 상기 상면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3 측면 사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는 살균부; 및
    상기 하면의 하부에 설치되어 버튼 일측 방향의 벽면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버튼과 동일 선상에서 상기 버튼 일측 방향의 벽면에 체결되면,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버튼과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버튼을 바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살균부가 상기 버튼을 향하되,
    상기 본체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살균부가 작동되고,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살균부의 작동이 중단되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판이 설치되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자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KR1020200054794A 2020-05-07 2020-05-07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KR10221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794A KR102214944B1 (ko) 2020-05-07 2020-05-07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794A KR102214944B1 (ko) 2020-05-07 2020-05-07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944B1 true KR102214944B1 (ko) 2021-02-10

Family

ID=7456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794A KR102214944B1 (ko) 2020-05-07 2020-05-07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862B1 (ko) * 2021-11-05 2023-02-17 주식회사 더원정보시스템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40Y1 (ko) * 2004-05-28 2004-08-26 이문숙 이동 설치용 자외선 살균기
KR200424447Y1 (ko) 2006-06-02 2006-08-22 김성태 엘리베이터
KR101449618B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Led 조명장치
KR20200006726A (ko) * 2018-07-11 2020-01-21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접착형 uv led 발광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40Y1 (ko) * 2004-05-28 2004-08-26 이문숙 이동 설치용 자외선 살균기
KR200424447Y1 (ko) 2006-06-02 2006-08-22 김성태 엘리베이터
KR101449618B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Led 조명장치
KR20200006726A (ko) * 2018-07-11 2020-01-21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접착형 uv led 발광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862B1 (ko) * 2021-11-05 2023-02-17 주식회사 더원정보시스템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8539B2 (en) Germicidal device for elevator buttons
EP2676913B1 (en) Non-contact selection switch
US6161655A (en) Non-contact elevator call button
JP3174620U (ja) エレベーターボタンの殺菌装置
US20110174992A1 (en) Irradiation system for door handle
KR101836911B1 (ko) 핸드레일 살균장치
CN209815425U (zh) 一种电梯按钮杀菌装置
KR102214944B1 (ko) Led광원을 활용한 고정형 살균장치
KR102167155B1 (ko) 도어의 손잡이 소독장치
US20150151016A1 (en) Sanitation apparatus for buttons
KR101413217B1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세척 및 살균장치
KR20180115437A (ko) 센서 제어가 가능한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승강장 호출입력버튼
KR20100010939U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 장치
CN214343641U (zh) 一种电梯按键消毒装置
JP5627382B2 (ja) マンコンベア
US20220062478A1 (en) Antimicrobial light systems for high-touch surfaces, apparatuses, and equipment
US20210353796A1 (en) Automatic uvc sanitizer for common touch points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JP2007007356A (ja) 電動天井裏収納庫ユニット
KR102250438B1 (ko) 전염병 예방을 위한 살균용 발판
JP2022095255A (ja) 乗客搬送装置
KR101965172B1 (ko) 살균소독기가 부착된 수납가구
KR102634765B1 (ko) 승강기용 입력버튼
JP2022026696A (ja) 殺菌装置、建物及び建築設備
KR20060072880A (ko) 발로 누를 수 있는 엘리베이터 버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