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893B1 - Mr 이미징을 위한 무선 주파수 코일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Mr 이미징을 위한 무선 주파수 코일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893B1
KR102214893B1 KR1020197015469A KR20197015469A KR102214893B1 KR 102214893 B1 KR102214893 B1 KR 102214893B1 KR 1020197015469 A KR1020197015469 A KR 1020197015469A KR 20197015469 A KR20197015469 A KR 20197015469A KR 102214893 B1 KR102214893 B1 KR 10221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ils
loop
array
co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266A (ko
Inventor
로버트 스티븐 스토몬트
스코트 알렌 린제이
다쉔 츄
리카도 엠. 마티아스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9009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 G01R33/341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comprising surface coils
    • G01R33/3415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comprising surface coils comprising arrays of sub-coils, i.e. phased-array coils with flexible receiver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 G01R33/3408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implantable coils or coils being geometrically adaptable to the sample, e.g. flexible coils or coils comprising mutual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4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A61B5/0042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for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 G01R33/34007Manufacture of RF coils, e.g. using printed circuit board technology; additional hardware for providing mechanical support to the RF coil assembly or to part thereof, e.g. a support for moving the coil assembly relative to the remainder of the M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6Electrical details, e.g. matching or coupling of the coil to the receiver
    • G01R33/3685Means for reducing sheath currents, e.g. RF traps, balu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6Electrical details, e.g. matching or coupling of the coil to the receiver
    • G01R33/3628Tuning/matching of the transmit/receive coi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6Electrical details, e.g. matching or coupling of the coil to the receiver
    • G01R33/3642Mutual coupling or decoupling of multiple coils, e.g. decoupling of a receive coil from a transmission coil, or intentional coupling of RF coils, e.g. for RF magnetic field amplification
    • G01R33/3657Decoupling of multiple RF coils wherein the multiple RF coils do not have the same function in MR, e.g. decoupling of a transmission coil from a receive co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자기 공명 이미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시스템의 가요성이고 경량이고 저비용인 신축성 무선 주파수(RF) 코일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제공된다. 일례에서, MRI 시스템을 위한 RF 코일 조립체는, 분산형 정전용량 전도체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루프 부분; 전치 증폭기를 포함하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 및 루프 부분 및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이 부착되고/되거나 그 내부에 봉입되는 신축성 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MR 이미징을 위한 무선 주파수 코일을 위한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11월 23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YSTEMS FOR A RADIO FREQUENCY COIL FOR MR IMAGING"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25,97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실시예들은 자기 공명 이미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MRI 무선 주파수(RF) 코일들에 관한 것이다.
자기 공명 이미징(MRI)은, x-선 또는 다른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고서 인체 내부의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는 의료 이미징 양상이다. MRI 시스템들은 강하고 균일한 정적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초전도 자석을 포함한다.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가 자기장 내에 배치될 때, 조직수(tissue water) 내의 수소 핵들과 연관된 핵 스핀(nuclear spin)들이 편광되게 되며, 여기서 이러한 스핀들과 연관된 자기 모멘트들은 자기장의 방향을 따라 우선적으로 정렬되어져서, 그 축을 따라 작은 순(net) 조직 자화를 야기하게 된다. MRI 시스템들은 또한, 신체 내의 각각의 위치에서 시그너처 공진 주파수를 생성함으로써 자기 공명(MR) 신호를 공간적으로 인코딩하기 위해 직교하는 축들을 갖는 더 작은 진폭의 공간적으로 변하는 자기장들을 생성하는 경사 코일(gradient coil)들을 포함한다. 이어서, 무선 주파수(RF) 코일들은, 핵 스핀 시스템에 에너지를 부가하는, 수소 핵들의 공진 주파수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RF 에너지의 펄스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핵 스핀들이 그들의 정지 에너지 상태(rest energy state)로 다시 이완됨에 따라, 그들은 MR 신호의 형태로 흡수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러한 신호는 MRI 시스템에 의해 검출되고, 컴퓨터 및 공지된 재구성 알고리즘들을 사용하여 이미지로 변환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RF 여기 신호(excitation signal)들을 송신하기 위해("송신 코일"), 그리고 이미징 피험자에 의해 방출되는 MR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수신 코일") RF 코일들이 MRI 시스템들에서 사용된다.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이 RF 코일들과 프로세싱 시스템의 다른 태양들 사이에서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RF 코일들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RF 코일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RF 코일들은 부피가 크고 강성인 경향이 있고, 어레이 내의 다른 RF 코일들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벌키성(bulkiness) 및 가요성의 결여는 종종, RF 코일 루프들이 원하는 해부학적 구조와 가장 효율적으로 커플링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들을 이미징 피험자에게 매우 불편하게 만든다. 또한, 코일간 상호작용들은, 코일들이 커버리지 또는 이미징 가속 관점으로부터 비이상적으로 크기설정 및/또는 위치설정될 것을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기 공명(MRI) 시스템을 위한 무선 주파수(RF) 코일 조립체는, 분산형 정전용량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루프 부분; 전치 증폭기를 포함하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 및 루프 부분 및 커플링 전자기기가 부착되거나 그 내부에 봉입되는 신축성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된 코일 중첩들 또는 전자기기 위치설정을 고려할 필요 없이, 어레이 내의 RF 코일들이 더 임의로 위치설정되게 하여, 코일들의 배치 및/또는 크기가 원하는 해부학적 구조 커버리지에 기초하게 하는 가요성이고 신축성인 RF 코일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코일들은 변형, 중첩 및/또는 신장될 수 있어서, RF 코일들이 신축성 재료 상에 배치되거나 그 내부에 봉입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코일들이 환자 해부학적 구조 둘레에 적응 및 순응하고 코일들에 의한 해부학적 구조의 커버리지를 증가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는 단일 RF 코일 어레이가 다양한 환자 크기들을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코일들의 비용 및 중량은 최소화된 재료들 및 생산 공정으로 인해 상당히 낮아질 수 있고, 종래의 코일들에 비해 본 발명의 RF 코일들의 제조 및 소형화에 환경 친화적 공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내용은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개념들의 선택을 단순화된 형태로 도입하도록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청구된 주제의 주요한 또는 본질적인 특징들을 식별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그 범주는 상세한 설명을 뒤따르는 청구범위에 의해 고유하게 규정된다. 게다가, 청구된 주제는 상기에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부분에서 언급된 임의의 단점들을 해결하는 구현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의 하기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제어기 유닛에 커플링된 예시적인 RF 코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제1 예시적인 RF 코일 및 연관된 커플링 전자기기를 도시한다.
도 4는 제2 예시적인 RF 코일 및 연관된 커플링 전자기기를 도시한다.
도 5는 복수의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신축성 지지체에 커플링된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8은 신축성 재료에 커플링된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신축성 재료에 커플링된 다른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1은 신축성 재료에 커플링된 다른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2는 신축성 재료에 커플링된 다른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3a는 예시적인 패키징된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3b는 다른 예시적인 패키징된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4는 프로세싱 시스템과 MRI 시스템의 RF 코일 어레이 사이에 위치설정된 복수의 연속 및/또는 인접한 공통 모드 트랩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복수의 연속 및/또는 인접한 공통 모드 트랩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기 설명은 MRI 시스템들에서의 무선 주파수(RF) 코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수의 관점들에서 효과적으로 투명한 저비용, 가요성, 그리고 경량인 RF 코일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RF 코일은, RF 코일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가요성 패키징 및 코일의 저중량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투명하다. RF 코일은 또한 자기 및 전기 커플링 메커니즘들의 최소화로 인해 RF 코일들의 어레이 내의 다른 RF 코일들에 효과적으로 투명하여, 신축성 코일 어레이 내로의 코일들의 포함을 허용한다. 또한, RF 코일은 정전용량 최소화를 통해 다른 구조체들에 효과적으로 투명하고, 질량 감소를 통해 양전자(positron)들에 투명하여, 하이브리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MR 이미징 시스템들에서 RF 코일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RF 코일은 다양한 자기장 강도들의 MRI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RF 코일은, 종래의 RF 코일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상당히 더 작은 양의 구리, 인쇄 회로 기판(PCB) 재료 및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유전체 재료에 의해 봉지되고 분리되어 코일 요소를 형성하는 평행한 세장형(elongated) 와이어 전도체들을 포함한다. 평행한 와이어들은, 개별 커패시터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낮은 리액턴스 구조체를 형성한다. 허용가능한 손실을 유지하도록 크기설정된 최소 전도체는 코일 루프들 사이의 정전용량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전기장 커플링을 감소시킨다. 큰 샘플링 임피던스와 인터페이싱함으로써, 전류들이 감소되고 자기장 커플링이 최소화된다. 전자기기는 크기 및 함량이 최소화되어 질량 및 중량을 낮게 유지하고, 원하는 필드와의 과도한 상호작용을 방지한다. 패키징은 이제 극히 가요성이고/이거나 신축성일 수 있으며, 이는 해부학적 구조에 순응하는 것을 허용하여, 신호대 잡음비(SNR) 및 이미징 가속을 최적화한다.
MR에 대한 전통적인 RF 수신 코일은, 커패시터들에 의해 그들 사이에 접합된 여러 전도성 간격(conductive interval)들로 구성된다. 커패시터들의 값들을 조정함으로써, RF 코일의 임피던스는 그의 최소 값으로 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 낮은 저항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공진 주파수에서, 저장된 자기 및 전기 에너지는 주기적으로 교번한다. 각각의 전도성 간격은, 그의 길이 및 폭으로 인해, 소정의 자기 정전용량(self-capacitance)을 가지며, 여기서 전기 에너지가 정전기로서 주기적으로 저장된다. 이러한 전기의 분포는 대략 5 내지 15 cm의 전체 전도성 간격 길이에 걸쳐 발생하여, 유사한 범위의 쌍극자 전기장을 야기한다. 큰 유전 부하의 부근에서, 간격들의 자기 정전용량이 변경되고, 따라서 코일의 디튜닝(detuning)이 발생한다. 손실 유전체의 경우에, 쌍극자 전기장은, 코일에 의해 관찰되는 전체 저항의 증가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줄 소산(Joule dissipation)을 야기한다.
그에 반하여, 본 발명의 RF 코일은, 그의 공통 모드 전류가 그의 주연부를 따라 위상 및 진폭이 균일하기 때문에 거의 이상적인 자기 다이폴 안테나를 나타낸다. RF 코일의 정전용량은 루프의 주연부를 따라 2개의 와이어들 사이에 형성된다. 보존적 전기장은 2개의 평행한 와이어들 및 유전체 충전제 재료의 작은 단면 내에 엄격하게 한정된다. 중첩하는 2개의 RF 코일 루프들의 경우에, 전통적인 RF 코일들의 2개의 중첩된 구리 트레이스들과 비교하여 교차부(cross-over)들에서의 기생 용량이 크게 감소된다. RF 코일의 얇은 단면들은, 2개의 전통적인 트레이스 기반 코일 루프들과 비교하여 더 양호한 자기 디커플링을 허용하고 2개의 루프들 사이의 임계 중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도 1은, 초전도 자석 유닛(12), 경사 코일 유닛(13), RF 코일 유닛(14), RF 본체 또는 체적 코일 유닛(15), 송신/수신(T/R) 스위치(20), RF 구동기 유닛(22), 경사 코일 구동기 유닛(23), 데이터 획득 유닛(24), 제어기 유닛(25), 환자 테이블 또는 베드(26),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31), 조작 콘솔 유닛(32), 및 디스플레이 유닛(33)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이미징(MRI) 장치(10)를 예시한다. 일례에서, RF 코일 유닛(14)은, 전형적으로 피험자(16)의 관심 대상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국소 코일인 표면 코일이다. 본 명세서에서, RF 본체 코일 유닛(15)은 RF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이고, 국소 표면 RF 코일 유닛(14)은 MR 신호들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송신 본체 코일(예컨대, RF 본체 코일 유닛(15)) 및 표면 수신 코일(예컨대, RF 코일 유닛(14))은 독립적이지만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는 구조체들이다. MRI 장치(10)는 이미징 공간(18) 내에 배치된 피험자(16)에게 전자기 펄스 신호들을 송신하며, 이때 피험자(16)로부터 자기 공명 신호들을 얻기 위한 스캔을 수행하여 그에 따라 스캔에 의해 얻어진 자기 공명 신호들에 기초하여 피험자(16)의 슬라이스의 이미지를 재구성하기 위해 정적 자기장이 형성된다.
초전도 자석 유닛(12)은, 예를 들어 원환형(toroidal) 진공 용기 내에 장착되는 환형 초전도 자석을 포함한다. 자석은 피험자(16)를 둘러싸는 원통형 공간을 한정하고, 원통형 공간의 Z 방향을 따라 일정하고 강하고 균일한 정적 자기장을 생성한다.
MRI 장치(10)는 또한, 3차원 위치 정보를 갖는 RF 코일 유닛(14)에 의해 수신되는 자기 공명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미징 공간(18) 내에 경사 자기장을 생성하는 경사 코일 유닛(13)을 포함한다. 경사 코일 유닛(13)은 3개의 경사 코일 시스템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서로 수직인 3개의 공간 축들 중 하나의 축 내로 경사지는 경사 자기장을 생성하고, 이미징 조건에 따라 주파수 인코딩 방향, 위상 인코딩 방향, 및 슬라이스 선택 방향 각각에서 경사 자기장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사 코일 유닛(13)은 피험자(16)의 슬라이스 선택 방향으로 경사 자기장을 인가하여 슬라이스를 선택하고; RF 본체 코일 유닛(15)은 RF 신호를 피험자(16)의 선택된 슬라이스로 송신하고 그것을 여기시킨다. 경사 코일 유닛(13)은 또한 피험자(16)의 위상 인코딩 방향으로 경사 자기장을 인가하여, RF 신호에 의해 여기되는 슬라이스로부터의 자기 공명 신호들을 위상 인코딩한다. 이어서, 경사 코일 유닛(13)은 피험자(16)의 주파수 인코딩 방향으로 경사 자기장을 인가하여, RF 신호에 의해 여기되는 슬라이스로부터의 자기 공명 신호들을 주파수 인코딩한다.
RF 코일 유닛(14)은, 예를 들어 피험자(16)의 이미징될 영역을 봉입하도록 배치된다. 일부 예들에서, RF 코일 유닛(14)은 표면 코일 또는 수신 코일로 지칭될 수 있다. 초전도 자석 유닛(12)에 의해 정적 자기장이 형성되는 정적 자기장 공간 또는 이미징 공간(18)에서, RF 코일 유닛(14)은, 제어기 유닛(25)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기파인 RF 신호를 피험자(16)에게 송신하고 이에 의해 고주파 자기장을 생성한다. 이것은 피험자(16)의 이미징될 슬라이스 내의 양성자들의 스핀을 여기시킨다. RF 코일 유닛(14)은, 피험자(16)의 이미징될 슬라이스 내의 그에 따라 여기되는 양성자 스핀이 초기 자화 벡터와의 정렬로 복귀할 때 생성되는 전자기파를, 자기 공명 신호로서, 수신한다. RF 코일 유닛(14)은 동일한 RF 코일을 사용하여 RF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RF 본체 코일 유닛(15)은, 예를 들어 이미징 공간(18)을 봉입하도록 배치되고, 이미징 공간(18) 내의 초전도 자석 유닛(12)에 의해 생성되는 주 자기장에 직교하는 RF 자기장 펄스들을 생성하여 핵들을 여기시킨다. MRI 장치(10)로부터 접속해제되고 다른 RF 코일 유닛으로 대체될 수 있는 RF 코일 유닛(14)과는 대조적으로, RF 본체 코일 유닛(15)은 MRI 장치(10)에 고정식으로 부착되고 접속된다. 게다가, RF 코일 유닛(14)을 포함하는 것들과 같은 국소 코일들은 피험자(16)의 오직 국소화된 영역으로 신호들을 송신하거나 그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반면, RF 본체 코일 유닛(15)은 일반적으로 더 큰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다. RF 본체 코일 유닛(15)은, 예를 들어 피험자(16)의 전신으로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전용 국소 코일들 및 송신 본체 코일들을 사용하는 것은, 피험자 내에 침착되는 높은 RF 전력을 희생하여 균일한 RF 여기 및 양호한 이미지 균일성을 제공한다. 송신-수신 국소 코일의 경우, 국소 코일은 RF 여기를 관심 영역에 제공하고 MR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의해 피험자 내에 침착되는 RF 전력을 감소시킨다. RF 코일 유닛(14) 및/또는 RF 본체 코일 유닛(15)의 특정 사용이 이미징 응용에 의존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T/R 스위치(20)는, RF 본체 코일 유닛(15)을, 수신 모드에서 동작할 때 데이터 획득 유닛(24)에, 그리고 송신 모드에서 동작할 때 RF 구동기 유닛(22)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T/R 스위치(20)는, RF 코일 유닛(14)을, RF 코일 유닛(14)이 수신 모드에서 동작할 때 데이터 획득 유닛(24)에, 그리고 송신 모드에서 동작할 때 RF 구동기 유닛(22)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RF 코일 유닛(14) 및 RF 본체 코일 유닛(15) 둘 모두가 단일 스캔으로 사용될 때, 예를 들어 RF 코일 유닛(14)이 MR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RF 본체 코일 유닛(15)이 RF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T/R 스위치(20)는 제어 신호들을 RF 구동기 유닛(22)으로부터 RF 본체 코일 유닛(15)으로 지향시키면서 수신된 MR 신호들을 RF 코일 유닛(14)으로부터 데이터 획득 유닛(24)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RF 본체 코일 유닛(15)의 코일들은 송신 전용 모드, 수신 전용 모드, 또는 송신-수신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국소 RF 코일 유닛(14)의 코일들은 송신-수신 모드 또는 수신 전용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구동기 유닛(22)은, RF 코일 유닛(14)을 구동하고 이미징 공간(18) 내에 고주파 자기장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게이트 변조기(도시되지 않음), RF 전력 증폭기(도시되지 않음), 및 RF 발진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RF 구동기 유닛(22)은, 제어기 유닛(25)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그리고 게이트 변조기를 사용하여, RF 발진기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미리결정된 엔벨로프(envelope)를 갖는 미리결정된 타이밍의 신호로 변조시킨다. 게이트 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RF 신호는 RF 전력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고 이어서 RF 코일 유닛(14)으로 출력된다.
경사 코일 구동기 유닛(23)은 제어기 유닛(25)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경사 코일 유닛(13)을 구동하고, 이에 의해 이미징 공간(18) 내에 경사 자기장을 생성한다. 경사 코일 구동기 유닛(23)은, 경사 코일 유닛(13) 내에 포함된 3개의 경사 코일 시스템들에 대응하는 구동기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의 3개의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 유닛(24)은, RF 코일 유닛(14)에 의해 수신되는 자기 공명 신호들을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전치 증폭기(도시되지 않음), 위상 검출기(도시되지 않음),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 유닛(24)에서, 위상 검출기는, RF 구동기 유닛(22)의 RF 발진기로부터의 출력을 기준 신호로서 사용하여, RF 코일 유닛(14)으로부터 수신되고 전치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는 자기 공명 신호들을 위상 검출하고, 위상 검출된 아날로그 자기 공명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얻어진 디지털 신호들은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31)으로 출력된다.
MRI 장치(10)는 피험자(16)를 그 위에 배치하기 위한 테이블(26)을 포함한다. 피험자(16)는, 제어기 유닛(25)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테이블(26)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미징 공간(18)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어기 유닛(25)은, 컴퓨터, 및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의 다양한 부분들로 하여금 미리결정된 스캐닝에 대응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ROM, 가요성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 유닛(25)은 조작 콘솔 유닛(32)에 접속되고, 조작 콘솔 유닛(32)에 입력되는 동작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또한 테이블(26), RF 구동기 유닛(22), 경사 코일 구동기 유닛(23), 및 데이터 획득 유닛(24)에 제어 신호들을 출력함으로써 그들을 제어한다. 제어기 유닛(25)은 또한,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 위해, 조작 콘솔 유닛(32)으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31) 및 디스플레이 유닛(33)을 제어한다.
조작 콘솔 유닛(32)은 터치스크린,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조작 콘솔 유닛(32)은, 예를 들어, 그러한 데이터를 이미징 프로토콜로서 입력하고 이미징 시퀀스가 실행될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 사용된다. 이미징 프로토콜 및 이미징 시퀀스 실행 영역에 관한 데이터가 제어기 유닛(25)으로 출력된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31)은, 컴퓨터, 및 미리결정된 데이터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31)은 제어기 유닛(25)에 접속되고, 제어기 유닛(25)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31)은 또한 데이터 획득 유닛(24)에 접속되고, 데이터 획득 유닛(24)으로부터 출력되는 자기 공명 신호들에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 동작들을 적용함으로써 스펙트럼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어기 유닛(25)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예를 들어 조작자가 조작 콘솔 유닛(32)으로부터 동작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아이템에 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3)은 또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31)에 의해 생성되는 피험자(16)의 3차원(3D) 또는 2차원(2D) 슬라이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스캔 동안,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들(도시되지 않음)이 RF 코일들(예컨대, RF 코일 유닛(14) 및 RF 본체 코일 유닛(15))과 프로세싱 시스템의 다른 태양들(예컨대, 데이터 획득 유닛(24), 제어기 유닛(25) 등) 사이에서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RF 코일들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RF 코일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RF 본체 코일 유닛(15)은 RF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이고, 국소 표면 RF 코일 유닛(14)은 MR 신호들을 수신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RF 여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송신 코일"), 그리고 이미징 피험자에 의해 방출되는 MR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수신 코일") RF 코일들이 사용된다. 일례에서, 송신 및 수신 코일들은 단일의 기계적 및 전기적 구조체 또는 구조체들의 어레이이며, 이때 송신/수신 모드는 보조 회로부에 의해 스위칭가능하다. 다른 예들에서, 송신 본체 코일(예컨대, RF 본체 코일 유닛(15)) 및 표면 수신 코일(예컨대, RF 코일 유닛(14))은 데이터 획득 유닛 또는 다른 프로세싱 유닛을 통해 서로 물리적으로 커플링되는 독립적인 구조체들일 수 있다. 그러나, 향상된 이미지 품질을 위해, 송신 코일로부터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수신 코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수신 코일은, 그의 수신 모드에서, 송신 코일에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고 그에 의해 자극되는 RF "에코(echo)" 펄스와 공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송신 모드 동안, 수신 코일은 RF 신호의 실제 송신 동안, 송신 코일로부터 전자기적으로 디커플링되고 그에 따라서 송신 코일과 공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디커플링은, 수신 코일이 RF 신호의 전체 전력에 커플링될 때 보조 회로부 내에서 생성되는 잡음의 잠재적인 문제를 방지한다. 수신 RF 코일의 비커플링에 관한 추가의 상세사항들은 후술될 것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RF 코일들은, 집중형 전자 컴포넌트(lumped electronic component)들(예컨대, 커패시터들, 인덕터들, 발룬(balun)들, 저항기들 등), 매칭 회로부, 디커플링 회로부, 및 전치 증폭기들을 갖는 PCB들 상의 산 에칭된 구리 트레이스들(루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전형적으로 부피가 매우 크고 무겁고 강성이고, 이미지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코일 요소들 간의 커플링 상호작용들을 방지하기 위해 어레이 내에서의 서로에 대한 코일들의 비교적 엄격한 배치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RF 코일들 및 RF 코일 어레이들은 가요성이 결여되어 있고, 따라서 환자 해부학적 구조에 순응하지 않아, 이미징 품질 및 환자의 편안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RF 코일 유닛(14)과 같은 RF 코일 어레이는, 집중형 전자 컴포넌트들을 갖는 PCB 상의 구리 트레이스들보다는 오히려 분산형 정전용량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RF 코일 어레이는 경량이고 가요성이어서, 저비용, 경량, 방수, 및/또는 난연성 패브릭들 또는 재료들에서의 배치를 허용할 수 있다. RF 코일의 루프 부분에 커플링되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예컨대, 분산형 정전용량 와이어)은 소형화될 수 있고 낮은 입력 임피던스 전치 증폭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예컨대,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로 인해) 높은 소스 임피던스에 대해 최적화되고 RF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 요소들 사이의 가요성 중첩들을 허용한다. 또한, RF 코일 어레이와 시스템 프로세싱 컴포넌트들 사이의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은 가요성일 수 있고 분산형 발룬들의 형태로 통합된 투명도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강성 전자 컴포넌트들이 회피되게 하고 열 부하의 확산을 돕는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 및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212)을 통해 제어기 유닛(210)에 커플링되는 루프 부분(201)을 포함하는 RF 코일(202)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례에서, RF 코일은, 단일 채널 또는 다중 채널일 수 있는 표면 수신 코일일 수 있다. RF 코일(202)은 도 1의 RF 코일 유닛(14)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이고, 그와 같이, MRI 장치(10) 내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212)은,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과 RF 코일 어레이의 인터페이싱 커넥터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 또는 RF 코일 어레이의 인터페이싱 커넥터와 MRI 시스템 제어기 유닛(210) 사이에서 연장되는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일 수 있다. 제어기 유닛(210)은 도 1에서의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31) 또는 제어기 유닛(25)과 연관될 수 있고/있거나 그의 비제한적인 예일 수 있다.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은 RF 코일(202)의 루프 부분(201)에 커플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은 디커플링 회로(204),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206), 및 전치 증폭기(20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커플링 회로(204)는 송신 동작 동안 RF 코일을 효과적으로 디커플링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수신 모드에서의 RF 코일(202)은, 송신 모드 동안 송신되는 RF 신호의 에코들을 수신하기 위해 MRI 장치에 의해 이미징되는 피험자의 신체에 커플링될 수 있다. RF 코일(202)이 송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경우, RF 본체 코일이 RF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동안 RF 코일(202)을 RF 본체 코일로부터 디커플링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송신 코일로부터의 수신 코일의 디커플링은 공진 회로들 및 PIN 다이오드들,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MEMS) 스위치들, 또는 다른 유형의 스위칭 회로부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위칭 회로부는 RF 코일(202)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는 디튜닝 회로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206)는 RF 코일(202)과 전치 증폭기(208) 사이에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206)는 RF 코일(202)의 코일 임피던스를 전치 증폭기(208)에 대한 최적의 소스 임피던스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206)는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 및 입력 발룬을 포함할 수 있다. 전치 증폭기(208)는 대응하는 RF 코일(202)로부터 MR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MR 신호들을 증폭한다. 일례에서, 전치 증폭기는, 비교적 높은 차단 또는 소스 임피던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낮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 RF 코일 및 연관된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에 관한 추가의 상세사항들은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은 크기가 대략 2 ㎠ 이하인 매우 작은 PCB 내에 패키징될 수 있다. PCB는 순응성 코팅 또는 봉지 수지로 보호될 수 있다.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과 같은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212)은, RF 코일들과 프로세싱 시스템의 다른 태양들 사이에서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RF 코일들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RF 코일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은 (도 1의 MRI 장치(10)와 같은) MRI 장치의 보어(bore) 또는 이미징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고, MRI 장치에 의해 생성 및 사용되는 전자기장들을 받을 수 있다. MRI 시스템들에서,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212)과 같은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은 송신기 구동 공통 모드 전류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컴포넌트들의 예측불가능한 가열 및/또는 필드 왜곡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공통 모드 전류들은 발룬들을 사용함으로써 차단된다. 발룬들 또는 공통 모드 트랩들은 높은 공통 모드 임피던스들을 제공하며, 이는 이어서 송신기 구동 전류들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212)은 하나 이상의 발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통적인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에서, 발룬들은 비교적 높은 밀도로 위치설정되는데, 그 이유는 발룬 밀도가 너무 낮은 경우 또는 발룬들이 부적절한 위치에 위치설정되는 경우 높은 소산/전압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밀한 배치는 가요성, 비용, 및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 내의 하나 이상의 발룬들은, 위치설정에 관계없이, 어떠한 높은 전류 또는 정재파도 보장하지 않도록 하는 연속 발룬들일 수 있다. 연속 발룬들은 분산형, 플러터(flutter), 및/또는 버터플라이 발룬(butterfly balun)들일 수 있다.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 및 발룬들에 관한 추가의 상세사항들은 도 14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제시될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세그먼트화된 전도체들을 갖는 RF 코일(301)의 개략도이다. RF 코일(301)은 도 2의 RF 코일(202)의 비제한적인 예이고, 그와 같이, RF 코일(202)의 루프 부분(201) 및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을 포함한다.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은 RF 코일이 데이터 획득 유닛(124)(도 1에 도시됨)에 의해 구동될 때 RF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게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RF 코일(301)은 제1 전도체(300) 및 제2 전도체(30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300, 302)은, 전도체들이 개방 회로를 형성하도록(예컨대, 단극을 형성하도록) 세그먼트화될 수 있다. 전도체들(300, 302)의 세그먼트들은 아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길이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300, 302)의 길이는 선택 분산형 정전용량, 및 그에 따라 선택 공진 주파수를 달성하도록 변할 수 있다.
제1 전도체(300)는 제1 세그먼트(304) 및 제2 세그먼트(306)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304)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으로 종단되는 인터페이스에 있는 피구동 단부(driven end)(312)를 포함하며, 이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1 세그먼트(304)는 또한, 기준 접지로부터 분리되어, 이에 의해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는 플로팅 단부(floating end)(314)를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306)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으로 종단되는 인터페이스에 있는 피구동 단부(316) 및 기준 접지로부터 분리되는 플로팅 단부(318)를 포함한다.
제2 전도체(302)는 제1 세그먼트(308) 및 제2 세그먼트(310)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308)는 인터페이스에 있는 피구동 단부(320)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308)는 또한, 기준 접지로부터 분리되어, 이에 의해 플로팅 상태를 유지하는 플로팅 단부(322)를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310)는 인터페이스에 있는 피구동 단부(324) 및 기준 접지로부터 분리되는 플로팅 단부(326)를 포함한다. 피구동 단부(324)는, 단부(324)가 분산형 정전용량을 통해 제1 전도체에만 커플링되도록 인터페이스에서 종단될 수 있다. 전도체들 사이의 루프 주위에 도시된 커패시터들은 와이어들 사이의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제1 전도체(300)는,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304, 306)의 길이에 기초하여 증대되는 분산형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제2 전도체(302)는, 제1 및 제2 세그먼트들(308, 310)의 길이에 기초하여 증대되는 분산형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제1 세그먼트들(304, 308)은 제2 세그먼트들(306, 310)과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세그먼트들(304, 308)과 제2 세그먼트들(306, 310) 사이의 상대적 길이 차이는, 원하는 중심 주파수에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유효 LC 회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세그먼트들(306, 310)의 길이들에 대해 제1 세그먼트들(304, 308)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통합된 분산형 정전용량이 변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도체들(300, 302)은 인터페이스로 종단되는 루프 부분으로 형상화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형상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루프 부분은 표면(예컨대, 하우징)의 윤곽들에 순응하도록 형상화된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루프 부분은 제1 및 제2 전도체들을 따라 전도성 경로를 한정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은 전도성 경로의 전체 길이를 따라 어떠한 개별 또는 집중형 용량성 또는 유도성 요소도 없다. 루프 부분은 또한, 스트랜드(stranded) 또는 중실(solid) 전도체 와이어의 다양한 게이지(gauge)의 루프들, 다양한 길이의 제1 및 제2 전도체들(300, 302)을 갖는 다양한 직경의 루프들, 및/또는 제1 전도체와 제2 전도체 사이의 다양한 간격의 루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도체들 각각은 전도성 경로를 따라 다양한 위치들에서 어떠한 절단부(cut) 또는 갭도 갖지 않거나(세그먼트화된 전도체 없음) 또는 하나 이상의 절단부들 또는 갭들(세그먼트화된 전도체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분산형 정전용량(DCAP)은, 개별 또는 집중형 용량성 컴포넌트 및 개별 또는 집중형 유도성 컴포넌트가 없고, 전도체들의 길이를 따라 고르게 그리고 균일하게 증대되는, 전도체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예들에서, 정전용량은 제1 및 제2 전도체들(300, 302)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방식으로 증대될 수 있다.
유전체 재료(303)가 제1 및 제2 전도체들(300, 302)을 봉지하고 분리시킨다. 유전체 재료(303)는 선택 분산형 정전용량을 달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유전체 재료(303)는 루프 부분의 유효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원하는 유전율(
Figure 112019055217778-pct00001
)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재료(303)는 공기, 고무,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유전체 재료일 수 있다. 일례에서, 유전체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재료(303)는 제1 및 제2 전도체들(300, 302)의 평행한 전도성 요소들을 둘러싸는 절연 재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전도체들(300, 302)은 연선 케이블(twisted pair cable)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꼬여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전체 재료(303)는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300, 302)은, 플라스틱 유전체 재료(303)가 제1 및 제2 전도체들을 분리시키는 동축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및 제2 전도체들은 평면 스트립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은 RF 구동기 유닛(22), 데이터 획득 유닛(124), 제어기 유닛(25),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31)에 동작가능하게 그리고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어 RF 코일(301)이 RF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게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은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신호 인터페이스(358)를 포함한다. 신호 인터페이스(358)는 케이블을 통해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케이블은 중심 전도체, 내부 차폐부, 및 외부 차폐부를 갖는 3-전도체 3축 케이블일 수 있다. 중심 전도체는 RF 신호 및 전치 증폭기 제어부(RF)에 접속되고, 내부 차폐부는 접지(GND)에 접속되고, 외부 차폐부는 다중 제어 바이어스(다이오드 디커플링 제어부)(MC_BIAS)에 접속된다. RF 신호와 동일한 전도체 상에서 10V 전력 접속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은 디커플링 회로,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 및 전치 증폭기를 포함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커플링 회로는 디커플링 다이오드(360)를 포함한다. 디커플링 다이오드(360)에는, 예를 들어, 디커플링 다이오드(360)를 켜기 위해, MC_BIAS로부터의 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켜질 때, 디커플링 다이오드(360)는 전도체(300)로 하여금 전도체(302)와 단락되게 하여, 그에 따라 코일로 하여금 공진이 없게 하고, 따라서, 예를 들어 송신 동작 동안 코일을 디커플링시킨다.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는, 제1 인덕터(370a), 제2 인덕터(370b), 및 제3 인덕터(370c)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터들; 제1 커패시터(372a), 제2 커패시터(372b), 제3 커패시터(372c), 및 제4 커패시터(372d)를 포함하는 복수의 커패시터들; 및 다이오드(374)를 포함한다.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는 매칭 회로부 및 입력 발룬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발룬은 제1 인덕터(370a), 제2 인덕터(370b), 제1 커패시터(372a), 및 제2 커패시터(372b)를 포함하는 격자 발룬(lattice balun)이다. 일례에서, 다이오드(374)는 RF 수신 신호들이 디커플링 바이어스 분기부(MC_BIAS)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전류 흐름의 방향을 제한한다.
전치 증폭기(362)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에 의해 높은 소스 임피던스에 대해 최적화되는 낮은 입력 임피던스 전치 증폭기일 수 있다. 전치 증폭기는 낮은 잡음 반사 계수(γ) 및 낮은 잡음 저항(Rn)을 가질 수 있다. 일례에서, 전치 증폭기는, 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γ의 소스 반사 계수 및 낮은 잡음 지수(noise figure)에 더하여 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Rn의 정규화된 잡음 저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0.1 이하의 γ 값들 및 실질적으로 0.2 이하의 Rn 값들이 또한 고려된다. 적절한 γ 및 Rn 값들을 갖는 전치 증폭기에 의하면, 전치 증폭기는 RF 코일(301)에 대한 차단 임피던스를 제공하면서 또한 스미스 차트(Smith Chart)의 맥락에서 큰 잡음 원(noise circle)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RF 코일(301) 내의 전류가 최소화되고, 전치 증폭기는 RF 코일(301) 출력 임피던스와 효과적으로 잡음 매칭된다. 큰 잡음 원을 가지면, 전치 증폭기는, RF 코일(301)에 높은 차단 임피던스를 생성하면서 다양한 RF 코일 임피던스들에 걸쳐 유효 SNR을 산출한다.
일부 예들에서, 전치 증폭기(362)는, 커패시터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변환기는, 기생 용량 효과에 의해 야기되는 정전용량과 같은, 전치 증폭기의 리액턴스를 효과적으로 상쇄하기 위해 전치 증폭기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생 용량 효과들은, 예를 들어, 전치 증폭기의 PCB 레이아웃에 의해 또는 전치 증폭기의 게이트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리액턴스는 종종, 주파수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하게도, 리액턴스를 상쇄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하도록 전치 증폭기의 임피던스 변환기를 구성하는 것은, 전치 증폭기의 잡음 지수에 상당한 영향을 주지 않고서 유효 SNR 및 RF 코일(301)에 대한 높은 임피던스(즉, 차단 임피던스)를 유지한다. 전술된 격자 발룬은 임피던스 변환기의 비제한적인 예일 수 있다.
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전치 증폭기는 낮은 입력 전치 증폭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치 증폭기의 "비교적 낮은" 입력 임피던스는 공진 주파수에서 대략 5 옴 미만이다. RF 코일(301)의 코일 임피던스는, 코일 부하, 코일 크기, 자기장 강도 등에 의존할 수 있는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RF 코일(301)의 코일 임피던스의 예들은, 1.5T 자기장 강도 등에서 대략 2 옴 내지 대략 10 옴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부는 RF 코일(301)의 코일 임피던스를 비교적 높은 소스 임피던스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교적 높은" 소스 임피던스는 대략 100 옴 이상이고, 150 옴 초과일 수 있다.
임피던스 변환기는 또한 RF 코일(301)에 차단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RF 코일(301)의 코일 임피던스의 비교적 높은 소스 임피던스로의 변환은, 임피던스 변환기가 RF 코일(301)에 더 높은 차단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더 높은 차단 임피던스들에 대한 예시적인 값들은, 예를 들어 500 옴 이상 및 1000 옴 이상의 차단 임피던스를 포함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부분(201) 및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을 포함하는 RF 코일(401)의 개략도이다. 도 4의 RF 코일은 도 2의 RF 코일 및 커플링 전자기기의 비제한적인 예이고, 그와 같이, 루프 부분(201) 및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을 포함한다. 커플링 전자기기는 RF 코일이 데이터 획득 유닛(124)(도 1에 도시됨)에 의해 구동될 때 RF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게 한다. RF 코일(401)은, 제2 전도체(402)와 평행한 제1 전도체(40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 중 적어도 하나가 세장형이고 연속적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인터페이스로 종단되는 루프 부분으로 형상화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형상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루프 부분은 표면(예컨대, 하우징)의 윤곽들에 순응하도록 형상화된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루프 부분은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을 따라 전도성 경로를 한정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전도성 경로의 전체 길이를 따라 어떠한 개별 또는 집중형 용량성 또는 유도성 컴포넌트도 없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루프 부분의 전체 길이를 따라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이다. 루프 부분은 또한, 스트랜드 또는 중실 전도체 와이어의 다양한 게이지의 루프들, 다양한 길이의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을 갖는 다양한 직경의 루프들, 및/또는 제1 전도체와 제2 전도체 사이의 다양한 간격의 루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도체들 각각은 전도성 경로를 따라 다양한 위치들에서 어떠한 절단부 또는 갭도 갖지 않거나(세그먼트화된 전도체 없음) 또는 하나 이상의 절단부들 또는 갭들(세그먼트화된 전도체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루프 부분의 길이를 따라(예컨대,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의 길이를 따라) 분산형 정전용량을 갖는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루프 부분의 전체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균일한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분산형 정전용량(DCAP)은, 개별 또는 집중형 용량성 컴포넌트 및 개별 또는 집중형 유도성 컴포넌트가 없고, 전도체들의 길이를 따라 고르게 그리고 균일하게 증대되는, 전도체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예들에서, 정전용량은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방식으로 증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 중 적어도 하나가 세장형이고 연속적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 둘 모두가 세장형이고 연속적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제1 또는 제2 전도체들(400, 402) 중 하나만이 세장형이고 연속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연속 분산형 커패시터들을 형성한다. 정전용량은 전도체들(400, 402)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증대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의 길이를 따라 DCAP를 나타내는 세장형 연속 전도체들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의 종단 단부들 사이의 연속 전도체들의 전체 길이를 따라 어떠한 개별 용량성 및 유도성 컴포넌트도 없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루프 부분의 길이를 따라 어떠한 개별 커패시터도, 또는 어떠한 인덕터도 포함하지 않는다.
유전체 재료(403)가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을 분리시킨다. 유전체 재료(403)는 선택 분산형 정전용량을 달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유전체 재료(403)는 루프 부분의 유효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원하는 유전율(
Figure 112019055217778-pct00002
)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재료(403)는 공기, 고무,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유전체 재료일 수 있다. 일례에서, 유전체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재료(403)는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의 평행한 전도성 요소들을 둘러싸는 절연 재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연선 케이블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꼬여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전체 재료(403)는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플라스틱 유전체 재료(403)가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을 분리시키는 동축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및 제2 전도체들(400, 402)은 평면 스트립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도체(400)는, 인터페이스에서 종단되는 제1 종단 단부(412) 및 제2 종단 단부(416)를 포함한다. 제1 종단 단부(412)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에 커플링된다. 제1 종단 단부(412)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동 단부(drive end)"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종단 단부(416)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2 구동 단부"로 지칭된다.
제2 전도체(402)는, 인터페이스에서 종단되는 제1 종단 단부(420) 및 제2 종단 단부(424)를 포함한다. 제1 종단 단부(420)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에 커플링된다. 제1 종단 단부(420)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동 단부"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종단 단부(424)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2 구동 단부"로 지칭된다.
RF 코일(401)의 루프 부분(201)은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에 커플링된다.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은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전술된 동일한 커플링 전자기기일 수 있고, 따라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동일한 컴포넌트들에 주어지고 추가의 설명이 생략된다.
도 3 및 도 4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RF 코일의 루프 부분을 포함하는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은 각각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속 전도체들일 수 있거나, 또는 전도체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연속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전도체들 둘 모두가 절단부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전도체가 2개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전도체 세그먼트들 사이의 생성된 공간은, 전도체들을 봉지하고 둘러싸는 유전체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2개의 절단부들은 상이한 위치들에 위치설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하나의 절단부는 (루프 부분이 커플링 전자기기와 인터페이싱하는 곳에 대해) 135°에 위치설정되고 다른 하나의 절단부는 225°에 위치설정된다. 불연속 전도체들을 포함함으로써, 코일의 공진 주파수는, 연속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코일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일례에서, RF 코일이, 유전체에 의해 봉지되고 분리되는 2개의 연속 평행한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공진 주파수는 더 작은 제1 공진 주파수일 수 있다. 그러한 RF 코일이 대신에 하나의 불연속 전도체(예컨대, 여기서 전도체들 중 하나가 절단되고 유전체 재료로 충전됨) 및 하나의 연속 전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 이때 모든 다른 파라미터들(예컨대, 전도체 와이어 게이지, 루프 직경, 전도체들 사이의 간격, 유전체 재료)은 동일함 -, RF 코일의 공진 주파수는 더 큰 제2 공진 주파수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도체 와이어 게이지, 루프 직경, 전도체들 사이의 간격, 유전체 재료 선택 및/또는 두께, 및 전도체 세그먼트 수 및 길이를 포함하는 루프 부분의 파라미터들은 RF 코일을 원하는 공진 주파수로 튜닝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위에서 제시된 RF 코일들은 MR 이미징 세션 동안 MR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 내지 도 4의 RF 코일들은 도 1의 RF 코일 유닛(14)의 비제한적인 예들일 수 있고, 프로세싱 시스템과 같은 MRI 시스템의 하류측 컴포넌트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RF 코일들은 다양한 구성들을 갖는 RF 코일들의 어레이로 존재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도 5 내지 도 16은,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전술된 RF 코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RF 코일 어레이들 및 수반되는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 5는 RF 코일 어레이에 대한 상이한 배열들을 도시한다. 제1 RF 코일 어레이(510)는 코일 루프와 각각의 코일 루프에 커플링된 전자기기 유닛, 및 각각의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에 접속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을 포함한다. 따라서, RF 코일 어레이(510)는 4개의 코일 루프들, 4개의 전자기기 유닛들, 및 4개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RF 코일 어레이(510)는 제1 코일 루프(512), 제1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514), 및 제1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516)을 포함하는 제1 RF 코일을 포함한다. 제2 RF 코일 어레이(520)는 각각의 코일 루프에 대한 별개의 전자기기 유닛을 포함하며, 이때 각각의 전자기기 유닛은 각자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에 커플링된다. 어레이(520)는 4개의 코일 루프들, 4개의 전자기기 유닛들, 및 4개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 - 이들은 4개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의 단일 그룹화로 함께 번들링됨 - 을 포함하고, 통합된 발룬 케이블 하니스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상부 전자기기 유닛들에 커플링된 2개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은 함께 번들링되고, 이들은 2개의 하부 전자기기 유닛들로부터의 2개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과 번들링된다. 제3 RF 코일 어레이(530)는 각각의 코일 루프에 대한 별개의 전자기기 유닛을 포함하며, 이때 각각의 전자기기 유닛은 각자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에 커플링된다. 어레이(530)는 4개의 코일 루프들, 4개의 전자기기 유닛들, 및 4개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 - 이들은 4개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의 단일 그룹화로 함께 번들링됨 - 을 포함하고, 통합된 발룬 케이블 하니스로 지칭될 수 있다.
개별 커플링 전자기기는 공통 전자기기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코일 어레이의 각각의 코일 루프는, 하우징 내에 수용된 각자의 커플링 전자기기(예컨대, 디커플링 회로,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 및 전치 증폭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공통 전자기기 하우징은 코일 루프 또는 RF 코일 어레이로부터 탈착가능할 수 있다. 특히, 개별 커플링 전자기기가 도 5의 RF 코일 어레이(530)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전자기기는 분리가능한 조립체 내에 배치되고 RF 코일 어레이로부터 접속해제될 수 있다. 커넥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도체 루프 부분들(예컨대, 전술된 구동 단부들)과 각각의 개별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에 대한 커플링 전자기기 사이의 접합부에 배치될 수 있다.
RF 코일 어레이 또는 RF 코일의 루프 부분에 사용되는 전도체 와이어들 및 코일 루프들은, 원하는 RF 코일 응용에 대해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얻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28 또는 30개의 미국 와이어 게이지(American Wire Gauge, AWG)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와이어 게이지와 같은 원하는 전도체 와이어 게이지는 동일한 게이지의 평행한 전도체 와이어와 쌍을 이루고, 압출 공정 또는 3차원(3D) 인쇄 또는 적층 가공 공정을 사용하여 유전체 재료로 봉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공정은 낮은 폐기물 및 저비용으로 환경 친화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RF 코일은, 2개의 평행한 전도체 와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절단부를 갖지 않거나 적어도 하나의 절단부를 가질 수 있는, pTFE 유전체 내에 봉지된 트윈 리드(twin lead) 전도체 와이어 루프, 및 각각의 코일 루프에 커플링되는 소형화된 커플링 전자기기 PCB(예컨대, 대략 2 ㎠ 이하의 크기의 매우 작은 커플링 전자기기 PCB)를 포함한다. PCB들은 순응성 코팅 또는 봉지 수지로 보호될 수 있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컴포넌트들이 제거되고, 정전용량이 통합된 커패시터(INCA) 코일 루프들 "내에 형성"된다. 코일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들은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코일 루프들은, 사용되는 전도체 와이어의 게이지, 전도체 와이어들 사이의 간격, 루프 직경들, 루프 형상들, 및 전도체 와이어들에서의 절단부들의 수 및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MR 동작 주파수들에 적응가능하다.
코일 루프들은 PET/MR 응용들에서 투명하여, 도즈(dose) 관리 및 신호대 잡음비(SNR)에 도움이 된다. 소형화된 커플링 전자기기 PCB는 디커플링 회로부, 임피던스 매칭 회로부 및 입력 발룬을 갖는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부, 및 전치 증폭기를 포함한다. 전치 증폭기는 가장 낮은 잡음, 강건성, 및 투명도를 위해 코일 어레이 응용들에서 새로운 표준들을 설정한다. 전치 증폭기는, 전류 잡음, 부스트(boost) 선형성을 감소시키고 다양한 코일 부하 조건들에 대한 허용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능동 잡음 상쇄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소형화된 커플링 전자기기 PCB들 각각을, MRI 시스템과 인터페이싱하는 RF 코일 어레이 커넥터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발룬들을 갖는 케이블 하니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RF 코일은 예외적으로 경량이고, 중량이 가요성 RF 코일 어레이들의 General Electric Company의 Geometry Embracing Method(GEM) 스위트(suite)를 갖는 코일 요소당 45 그램에 비해 코일 요소당 10 그램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16-채널 RF 코일 어레이는 중량이 0.5 ㎏ 미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RF 코일은, 코일이 극히 단순하며 매우 적은 강성 컴포넌트들을 갖고 플로팅 중첩들을 허용하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가요성이고 내구성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RF 코일은 예외적으로 저비용인데, 예컨대, 현재 기술로부터 10배 초과로 감소된다. 예를 들어, 16-채널 RF 코일 어레이는 $50 미만의 컴포넌트들 및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RF 코일은 현재 패키징 또는 신흥 기술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형성기(former)에 패키징되거나 부착될 필요가 없는 RF 코일 어레이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가요성 형성기들 또는 신축성 재료들에 부착되는 RF 코일 어레이들로 구현될 수 있다.
INCA 코일 루프 및 연관된 커플링 전자기기의 조합은 단일 코일 요소인데, 이는 그의 주위 환경 또는 이웃 코일 요소들에 기능적으로 독립적이고 전기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RF 코일은 저밀도 코일 어레이 응용 및 고밀도 코일 어레이 응용에서 동등하게 잘 작동한다. 코일 요소들 사이의 예외적인 격리는, 코일 요소들에 걸쳐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코일 요소들 사이의 중첩이 최대화되게 한다. 이것은 전통적인 RF 코일 어레이 설계들에 의해 가능한 것보다 더 높은 밀도의 코일 요소들을 허용한다.
도 6은 가요성의 분산형 정전용량 RF 코일 어레이(610)를 도시한다. RF 코일 어레이(610)는, 집중형 컴포넌트들 없이, 평행한 전도체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RF 코일 루프들을 포함하고,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각자의 소형화된 커플링 전자기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RF 코일 어레이(610)의 RF 코일 루프는 평행한 전도체들의 코일 루프(612) 및 연관된 커플링 전자기기(614)를 포함한다. RF 코일 루프들은 중첩 방식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고, 사실상 임의의 재료 내에 봉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RF 코일 어레이(610)는 가요성 또는 신축성 재료(615) 내에 봉입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전통적인 RF 코일 어레이는, 강성이고 RF 코일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들에 유지하는, PCB 상의 구리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RF 코일 루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RF 코일들은, 집중형 컴포넌트들(예컨대, 커패시터들, 인덕터들, 저항기들 등), 및 RF 코일 어레이(610)의 커플링 전자기기와 비교하여, 비교적 큰 배열의 커플링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RF 코일 어레이는, 구리 트레이스들이 형성되고 집중형 컴포넌트들이 존재하는 PCB를 포함한다. 커플링 전자기기는, 커패시터들, 발룬들, 인덕터들, 저항기들 등과 같은, 부피가 크고 강성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RF 코일 어레이의 구성으로 인해(예컨대, RF 코일 어레이에 의한 열 발생으로 인해), 강성이고/이거나 부피가 큰 하우징 재료가 요구된다. 또한, 전통적인 RF 코일 어레이는 MR 이미징 동안 실제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전체 RF 코일 어레이 요소의 일부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전체 RF 코일 어레이 요소는 복수의 별개의 전통적인 RF 코일 어레이들을 포함하여, 전통적인 전체 RF 코일 어레이의 크기, 중량 및 비용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RF 코일 어레이(610) 내의 코일들은 기재에 의해 지지되거나 둘러싸이지 않는다. RF 코일 루프들 내의 전도체들이 유전체 재료 내에 봉지되는 동안, 적어도 일부 예들에서, RF 코일들 전체 주위에 어떠한 다른 기재도 존재하지 않는다. RF 코일들은 신축성 패브릭 또는 다른 가요성 인클로저(enclosure) 내에 봉입될 수 있지만, RF 코일들은 다수의 치수들로 가요성으로 유지될 수 있고, 서로 고정식으로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RF 코일들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가능하여, 코일 요소들 사이의 다양한 중첩량들이 제공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전통적인 RF 코일 어레이의 코일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 제위치에 고정되고, 기재(예컨대, PCB)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기재가 가요성일 때에도, 전통적인 RF 코일 어레이의 코일 요소들의 이동은 제한된다.
도 7은 패브릭 지지체에 부착된 16개의 RF 코일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RF 코일 어레이(700)를 도시한다. RF 코일 어레이의 각각의 RF 코일은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전술된 RF 코일들의 비제한적인 예이고, 그와 같이,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702) 및 코일 루프들 각각에 직접 커플링된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704)을 포함한다. (케이블(706)과 같은)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이 각각의 전자기기 부분에 접속되고 그로부터 연장된다.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은 중심 전도체, 내부 차폐부, 및 외부 차폐부를 갖는 3-전도체 3축 케이블일 수 있다. 중심 전도체는 RF 신호 및 전치 증폭기 제어부(RF)에 접속되고, 내부 차폐부는 접지(GND)에 접속되고, 외부 차폐부는 다중 제어 바이어스(다이오드 디커플링 제어부)(MC_BIAS)에 접속된다. RF 신호 및 전치 증폭기 제어부(RF)와 동일한 전도체 상에서 10V 전력 접속이 수행될 수 있다.
16개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이 함께 번들링되고, 인터페이싱 커넥터(710)로 연장된다. 각각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은, 각각의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704)과 인터페이싱 커넥터(710)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발룬(708)과 같은) 발룬에 커플링될 수 있다(하나의 발룬만이 도 7에 예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은 적어도 일부 예들에서 각자의 발룬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예들에서, RF 코일 어레이(700)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은, 원통 형상의 덩어리형(lumpy) 발룬들을 제거하기 위해 그들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속 및/또는 인접한 발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커넥터(710)는, 예를 들어,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MRI 시스템의 프로세싱 시스템 또는 다른 컴포넌트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RF 코일 루프들(702)은 지지용 패브릭 재료(716)에 스티칭될 수 있다. 지지체에 스티칭되거나 달리 커플링될 때에도, 각각의 RF 코일은 다수의 치수들로 가요성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RF 코일 어레이(700)는 제1 축(도 7의 선(712)에 의해 도시됨)을 중심으로 휘어질 수 있고, 또한 제2 축(도 7의 선(714)에 의해 도시됨)을 중심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RF 코일들은 여러가지 상이한 가요성 또는 신축성 지지 재료들 및 인클로저들에 대한 부착 및/또는 그 내로의 포함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RF 코일들은, 모자, 바지, 반바지, 셔츠, 브라, 벙어리장갑, 장갑, 양말, 관절(발목, 무릎, 손목, 팔꿈치, 또는 어깨)용 슬리브(sleeve), 숄더 스트랩 등에서와 같은, 착용가능한 코일 어레이들 및 신축성 코일 어레이들로서의 구현들을 허용한다.
도 8은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800)를 도시한다.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는, 루프 형상 변화들에 대한 강건성뿐만 아니라 루프간 커플링을 감소시키기 위해 임피던스 매칭 인터페이스에 의존한다. 중첩들은, 심한 것으로부터, 임계적인 것을 거쳐, 그리고 심지어 요소 언더랩(underlap)까지 다양할 수 있다.
RF 코일 어레이(800)는, 본 명세서에서, 뇌 이미징을 위한 타이트하게 맞는 모자(802)(예컨대, "스컬 캡(skull cap)")의 형태의 신축성 재료의 층에 부착되지만,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코일들은, 다른 의류 유형의 물품들 또는 신축성 슬리브들 내에 또는 그 위에 접착, 스티칭, 매설, 또는 달리 봉합(sew)될 수 있다. 머리 크기/형상에 따른 맞춤 요소 배열, 또는 요소 위치들 및 중첩들을 유지하기 위한 강성 형성기와 비교하면, 신축성 코일 어레이 접근법은 상당한 RF 코일 요소 상호작용 또는 열화된 성능 없이 다양한 형상들에 대한 매우 타이트한 커플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들은, 탄성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또는 다른 신축성 합성 패브릭, 면 등을 포함하는 신축성 재료에 커플링될 수 있다. 특정 예들로서, 코일들은 네오프렌, 드라이-핏 패브릭(dri-fit fabric), 스판덱스, 또는 발, 발목, 무릎, 손, 손목, 팔꿈치, 몸통, 어깨, 가슴, 목, 머리 등 위에 맞춰질 수 있는 다른 신축성 패브릭에 커플링될 수 있다. 신축성 재료는, 비탄성중합체인 경질 섬유사 및 탄성중합체 얀을 포함하는 편직물(knitted fabric), 예를 들어, 5 내지 20%의 탄성중합체 섬유 함량 및 95 내지 80%의 경질 섬유 함량을 갖는 편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신축성 재료는 울, 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및/또는 비탄성중합체 얀들의 접속된 루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신축성" 재료는, 신축성 재료의 착용자에 의해 인가될 수 있는 일정량의 힘과 같은, 적합한 양의 힘을 사용하여 제1 길이 및/또는 폭으로부터 제2 길이 및/또는 폭으로 신축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신축성 재료는 임계 신축력(stretch force)(또는 그 미만)을 갖는 것으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신축력은 재료를 그의 원래 길이의 10%(또는 20%, 50%, 또는 다른 적합한 백분율)만큼 신축시키기 위해 필요한 단위 폭당 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신축성 재료는 0.15 ㎏/cm(0.85 pli) 이하의 10% 신축력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0.15 ㎏/cm의 힘은 재료를 그의 원래 길이의 10%만큼 신축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신축성 재료의 신축능력은, 신축성 재료가 착용자의 신체에 순응하게 할 수 있고, 신축성 재료가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예컨대, 머리, 팔꿈치, 몸통 등) 위에서 이동되고 있을 때 신축성 재료가 하나 또는 2개의 치수들로 신축되게 할 수 있고, 신축성 재료가 임의의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 범위의 운동, 예컨대 팔꿈치 또는 무릎의 굽힘을 수용하게 할 수 있다. 일단 신축성 재료가 신체의 일부로부터 제거되면, 신축성 재료는 그의 비신축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800)는, 모자(802)의 신축성 재료의 층에 봉합되거나 접착되거나 또는 달리 부착되는, 제1 RF 코일(804), 제2 RF 코일(806), 및 제3 RF 코일(808)을 포함하는 복수의 RF 코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RF 코일은, 신축성 재료의 층을 횡단하는 하나 이상의 스레드(thread)들을 통해 신축성 재료의 층에 커플링될 수 있다. 각각의 RF 코일은 각자의 커플링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하나 초과의 세트의 커플링 전자기기가 단일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RF 코일(804), 제2 RF 코일(806), 및 제3 RF 코일(808)을 위한 커플링 전자기기가 공통 전자기기 하우징(8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각각의 세트의 커플링 전자기기에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고정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예시적인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에서, RF 코일들이 부착되는 재료는 신축성일 수 있지만, RF 코일들 자체는 거의 또는 전혀 신축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RF 코일들 사이의 중첩 거리는 기저 재료가 신축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지만, RF 코일들은 비교적 고정된 원주방향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성 재료가 신축되고 있지 않을 때, 신축성 재료에 커플링된 제1 RF 코일의 중심은 인접한 제2 RF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제1 중첩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일단 신축성 재료가 지정된 신체 부분(예컨대, 이미징되고 있는 피험자의 머리) 위로 당겨지면, 신축성 재료는, 제1 RF 코일의 중심이 제2 RF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제1 중첩 거리보다 큰 제2 중첩 거리만큼 분리되도록 신축될 수 있다. 제1 RF 코일 및 제2 RF 코일 각각의 직경은 RF 코일들이 신축성이 아닌 것으로 인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RF 코일들이 신축성 재료로 제조되지 않을 때에도, RF 코일들은 어느 정도 변형될 수 있는데, 예컨대 원형으로부터 타원형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는, 각각의 RF 코일의 루프 부분을 형성하는 평행한 전도체들이 신축가능하여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의 전체가 신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예컨대, RF 코일들 자체와 이들이 부착되는 재료 양쪽 모두가 신축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RF 코일들 사이의 중첩 거리는 기저 재료가 신축됨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RF 코일들의 형상은 또한 기저 재료가 신축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RF 코일 어레이들은 조작자에게 그리고/또는 이미징 시스템에 보이는 마커들(예컨대, RF 코일들 자체 상에 또는 RF 코일들이 부착되는 재료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기준 마커(fiduciary marker)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마커들은, 예를 들어, 조작자가, 지정된 위치 및/또는 배향으로 환자 해부학적 구조의 원하는 부분 상에 특정 코일 어레이가 배치된 것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마커(812)가 도 8에 예시되어 있다. 조작자는, 마커(812)가, 예를 들어 환자의 귀와 정렬되도록 코일 어레이를 환자의 머리 상에 위치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코일 어레이가, 도 8의 신축성 어레이(800)와 같이, 신축성 코일 어레이인 경우, 마커 자체가 신축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코일 어레이의 신축 정도는 마커의 크기의 변화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커(812)는, 어레이(800)가 환자 상에 위치설정되지 않을 때 제1 길이 및 제1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어레이가 환자 상에 위치설정될 때, 마커(812)는 조정된 제2 길이 및/또는 조정된 제2 폭을 가질 수 있고, 코일 어레이의 전체 신축 정도는 마커 길이 및/또는 폭의 변화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어레이의 신축 정도는, 적어도 일부 예들에서, 어레이의 RF 코일들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의 중첩의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조작자는 이러한 정보를 이미징 시스템 프로세서에 대한 입력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있거나 이미징 시스템은 어레이의 신축 정도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미징 시스템은 어레이/코일들의 신축/중첩량에 기초하여 다양한 이미징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중첩의 레벨이 비교적 낮은 경우(예컨대, 코일들이 중첩되지 않음), 병렬 이미징이 수행될 수 있는 반면, 코일들 사이의 중첩의 레벨이 비교적 높은 경우, 비병렬 이미징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미지 재구성은 코일 중첩 및/또는 어레이의 신축의 레벨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대량의 신축이 예상되는 경우, 마커는, 타깃 어레이 배치 정보가 신축된 상태에서의 마커에 의해 운반되도록 크기설정되고/되거나 위치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산형 커패시터들을 갖는 와이어들을 이용함으로써, 최소한의 재료가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코일의 형성을 방해한다. 낮은 루프간 정전용량 및 높은 임피던스 인터페이싱은, 중첩들이 변하게 하여, 그에 따라 패키지가 신축됨에 따라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하게 한다. 매우 큰 잡음 지수 및 이득 원들을 갖는 전치 증폭기를 이용하는 것은, 코일 요소(루프)가 세장형이거나 왜곡될 때 성능이 유지되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RF 코일들은, 양호한 요소간 격리를 얻도록 루프 형상을 유지하거나 중첩들을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코일 어레이가 다양한 해부학적 구조 형상들 및 크기들로 신축되고 그에 적응되게 한다. 그러한 RF 코일 어레이 구성은 최상의 이미지 품질을 위해 환자들의 변하는 크기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매우 가까운 커플링을 허용하고, 많은 상황들에 대해 최적화된 단일 코일 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다른 예시적인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를 도시한다.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는, 예를 들어 이미징 피험자의 팔 또는 다리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그와 같이, (원통의 중간에 중공 보어(hollow bore)를 갖는) 원통으로서 형상화된 신축성 재료(902)를 포함한다. 신축성 재료(902)는 연속 및/또는 단일형일 수 있어서,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가 (예컨대, 슬리브 또는 바짓가랑이(pant leg)와 유사한) 임의의 체결 메커니즘들을 결합 또는 결합해제하지 않고서 적합한 신체 부분 위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한다. 신축성 재료(902)는 도 8과 관련하여 전술된 신축성 재료와 유사할 수 있다.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는 복수의 RF 코일들(904)을 포함하며, 이는 도 2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전술된 RF 코일들과 유사할 수 있다.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는 각자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을 통해 각각의 RF 코일에 커플링되는 인터페이싱 커넥터(906)를 포함한다. 도 9는, 15개의 RF 코일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RF 코일들을 도시하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RF 코일들이 가능하고 RF 코일들이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의 측부들 및/또는 후방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는 원통/슬리브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가 피험자에 의해 착용되어 있지 않을 때,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는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의 길이를 따라 비교적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의 상부에서의 제1 폭(908)은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의 하부에서의 제2 폭(910)과 동일할 수 있고, 각각의 RF 코일은 인접한 RF 코일들로부터 비교적 균일한 양만큼 이격될 수 있다. 신축성 재료(902)의 신축성 특성으로 인해, RF 코일들의 상대적 간격은,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가 피험자에 의해 착용되고 신축성 재료(902)가 신축될 때 변화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재료(902)는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가 피험자의 팔 상에 착용될 때 신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원통/슬리브의 상대적 폭들은, RF 코일들 사이의 상대적 간격과 마찬가지로 변화할 수 있다. 도 10에서,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의 상부 부분은 피험자의 팔뚝 위에 착용되어 있는 반면,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의 하부 부분은 피험자의 이두박근(bicep) 위에 착용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부분은 상부 부분보다 더 많이 신축될 수 있고, 폭(910)은 폭(908)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도 10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900)는 해부학적 구조 범위의 운동을 수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피험자의 팔꿈치의 굽힘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1100)를 도시한다.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1100)는 혈압계 밴드(blood-pressure cuff)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고, 그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서 형상화된 신축성 재료 층(1104)을 포함한다(그러나, 다른 형상들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 신축성 재료 층(1104)은 도 8과 관련하여 전술된 재료들과 유사할 수 있다. 복수의 RF 코일들(1102)이 (예컨대, 스티칭, 접착제,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신축성 재료 층(1104)의 제1 면에 커플링된다. 복수의 RF 코일들(1102)은 15개의 RF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예들에서 복수의 RF 코일들(1102)은 더 많거나 더 적은 RF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RF 코일은, 도 2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전술된 RF 코일들과 유사하게, 루프 부분,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 및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을 포함한다. 각각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은, 복수의 RF 코일들을 MRI 시스템의 프로세싱 또는 데이터 획득 유닛과 같은, MRI 시스템의 적합한 컴포넌트에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싱 커넥터(1106)로 연장된다.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1100)는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를 제자리에(예컨대, 이미징 피험자의 팔 또는 다리 주위에) 유지하기 위한 체결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는, 신축성 재료 층의 제1 면에 커플링된 제1 체결구(1108) 및 신축성 재료 층의 제2 반대편 면에 커플링된 제2 상보적 체결구(파선 박스에 의해 도시됨)를 포함하는 후크 앤드 루프 체결구(hook-and-loop fastener)를 포함한다.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1100)가 이미징 피험자 둘레에 감싸일 때, 제1 및 제2 체결구들은 면 공유 접촉(face-sharing contact)으로 될 수 있고, 상보적 체결구들은 결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지 않지만, 일부 예들에서는, 재료의 외부 층이 복수의 RF 코일들(1102) 위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제1 체결구(1108)는 재료의 외부 층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1200)를 도시한다.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1200)는 자전거용 반바지 한 벌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고, 그와 같이, 이미징 피험자의 몸통, 골반부(pelvic region), 및 상부 다리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신축성 재료 층(1204)을 포함한다(그러나, 다른 형상들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 신축성 재료 층(1204)은 도 8과 관련하여 전술된 재료들과 유사할 수 있다. 복수의 RF 코일들(1202)이 (예컨대, 스티칭, 접착제,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신축성 재료 층(1204)의 제1 면에 커플링된다. 복수의 RF 코일들(1202)은 15개의 RF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예들에서 복수의 RF 코일들(1202)은 더 많거나 더 적은 RF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신축성 재료 층의 모든 면들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RF 코일은, 도 2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전술된 RF 코일들과 유사하게, 루프 부분,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 및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을 포함한다. 각각의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은, 복수의 RF 코일들을 MRI 시스템의 프로세싱 또는 데이터 획득 유닛과 같은, MRI 시스템의 적합한 컴포넌트에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싱 커넥터(1206)로 연장된다. 도 12에 도시되지 않지만, 일부 예들에서는, 재료의 외부 층이 복수의 RF 코일들(1202)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성 RF 코일 어레이(1200)는, RF 코일들을 피험자의 다리, 골반부, 및/또는 몸통 주위에 위치설정하도록 이미징 피험자의 다리 위로 당겨질 반바지 한 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신축성 재료는 상이한 신체 부분들 및 상이한 크기의 피험자들을 수용하도록 신축되어서, 심지어 전통적인 RF 코일들에 의해 이미징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는 영역들(예컨대, 골반부)에서도, RF 코일들이 이미징 피험자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설정되게 할 수 있다. 유사한 구성들이 셔츠, 양말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의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RF 코일들을 포함하는 패키징된 RF 코일 어레이의 예들을 예시한다. 도 13a는, RF 코일 어레이를 봉입하는 가요성 하우징 재료를 포함하는 패키징된 RF 코일 어레이(130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RF 코일 어레이가,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을 통해 제어기 유닛 또는 다른 프로세싱 시스템에 커플링되거나 접속되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싱 커넥터(1303)가 제공된다. 일부 예들에서, 가요성 하우징 재료는, 전술된 바와 같이, 신축성일 수 있다.
패키징된 RF 코일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서, 도 2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소형화된 전자기기 PCB를 각각 갖는 16개의 RF 코일들을 포함하는 코일 어레이(1302)를 포함한다. RF 코일 어레이의 각각의 RF 코일은, 스티칭 또는 다른 부착 메커니즘을 통해 가요성 및/또는 신축성 패브릭 재료(1304)의 섹션에 커플링된다. 재료의 제1 섹션(1310) 및 제2 섹션(1312)을 포함하는 외부 인클로저는 RF 코일 어레이 및 부착된 재료를 개재시킨다. 외부 인클로저의 재료는 DARTEX® 또는 세정가능한 다른 적합한 재료일 수 있어서, 그에 따라 임상 건강 관리 응용들에서 RF 코일 어레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b는, 내부 인클로저가 추가된, 도 13a의 패키징된 RF 코일 어레이의 분해도(1350)를 도시한다. RF 코일 어레이 및 부착된 재료를 개재시키는 것은, 재료의 제1 섹션(1306) 및 제2 섹션(1308)을 포함하는 내부 인클로저이다. 내부 인클로저의 재료는 NOMEX® 또는 패딩(padding), 간격, 및/또는 난연 특성들을 제공하는 다른 적합한 재료일 수 있고/있거나, 재료는 스판덱스와 같이, 신축성일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가 시트-유사 코일 어레이를 예시하지만, 일부 예들에서, 코일 어레이는, 예를 들어, 신축성 코일 어레이가 환자 해부학적 구조에 가깝게 순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신축성 슬리브, 모자, 셔츠, 또는 의류 물품과 특성이 유사한 다른 구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도 13a 및 도 13b에 예시된 코일 어레이의 내부 및/또는 외부 인클로저들은, 예를 들어 슬리브 유형 구성을 생성하도록 짧은 단부들 또는 긴 단부들을 따라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F 코일 어레이는, 위치설정에 관계없이, 높은 전류들 또는 정재파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접한 분산형 발룬들 또는 공통 모드 트랩들을 포함하는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에 커플링될 수 있다.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의 높은 응력 영역들은 여러 발룬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열 부하는 공통 전도체를 통해 공유될 수 있다.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들의 중심 경로 및 복귀 경로의 인덕턴스는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실질적으로 향상되지 않고, 따라서 기하학적 변화들에 따라 안정적이다. 정전용량은 분산형이고, 기하학적 변화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는다. 공진기 치수들은 이상적으로는 매우 작지만, 실제로는 차단 요건들, 전기장 및 자기장 세기들, 국소 왜곡들, 열 및 전압 응력들 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연속 공통 모드 트랩 조립체(1400)의 블록 개략도를 예시한다. 공통 모드 트랩 조립체(1400)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전술된 MRI 장치(10)와 같은 MRI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공통 모드 트랩 조립체(1400)는 MRI 시스템의 프로세싱 시스템(1450)과 RF 코일 어레이(1460) 사이의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 송신 케이블(1401)로서 구성된다. 송신 케이블(1401)은,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212)의 비제한적인 예이고, 프로세싱 시스템(1450)은 제어기 유닛(210)의 비제한적인 예이고, RF 코일 어레이(1460)는 도 2의 복수의 RF 코일들(202) 및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203)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송신 케이블(1401)(또는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은 중심 전도체(1410) 및 복수의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을 포함한다.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이 중심 전도체(1410)와는 별개인 것으로 도시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이 중심 전도체(14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그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중심 전도체(1410)는 일정 길이(1404)를 갖고, MRI RF 코일 어레이(1460)와 MRI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컨대, 프로세싱 시스템(1450))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중심 전도체(1410)는, 예를 들어 리본 전도체, 와이어, 또는 동축 케이블 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중심 전도체(1410)의 길이(1404)는, 중심 전도체(1410)의 제1 단부(이는 프로세싱 시스템(1450)에 커플링됨)로부터 중심 전도체(1410)의 제2 단부(이는 RF 코일 어레이(1460)에 커플링됨)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심 전도체는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의 중심 개방부를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된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이는 공통 모드 트랩 유닛(1418)을 형성하도록 협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은,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전도체(1410)의 길이(1404)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은 전체 길이(1404)를 따라 연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은 전체 길이(1404)를 따라,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1404)를 따라(예컨대, 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RF 코일 어레이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단부에 있는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전체 길이(1404)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은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 각각은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트랩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인접한"은 서로 접촉해 있거나 또는 바로 옆에 있는 컴포넌트들 또는 태양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컴포넌트들은 서로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접한 컴포넌트들 사이에 작은 또는 미미한 갭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미한 갭(또는 전도체 길이)은 자유 공간에서의 송신 주파수의 파장의 1/40 미만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미한 갭(또는 전도체 길이)은 2 센티미터 이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접한 공통 모드 트랩들은, 예를 들어, 공통 모드 트랩에 의해 제공되는 경감 없이 자기장으로부터의 전류의 유도에 영향을 받기 쉬울 수 있는 그들 사이에 개재되는 갭 또는 전도체가 전혀 없다(또는 미미하게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모드 트랩(1412)은 공통 모드 트랩(1414)에 인접하고, 공통 모드 트랩(1414)은 공통 모드 트랩(1412) 및 공통 모드 트랩(1416)에 인접하고(공통 모드 트랩(1412)과 공통 모드 트랩(1416) 사이에 끼어 있고), 공통 모드 트랩(1416)은 공통 모드 트랩(1414)에 인접한다.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 각각은 MRI 시스템의 송신기 구동 전류들을 수신하기 위한 임피던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은 높은 공통 모드 임피던스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공통 모드 트랩(1412, 1414, 1416)은, 원하는 주파수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또는 타깃 주파수 범위 내에서 원하는 임피던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진 회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공진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 및/또는 공통 모드 트랩 유닛(1418)은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초크(choke)들 또는 발룬들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그들 사이에 공간들이 있는 분리된 개별 공통 모드 트랩들을 갖는 시스템들과는 대조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예컨대, 공통 모드 트랩 조립체(1400))은, 공통 모드 트랩들이 연속적으로 그리고/또는 인접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가져서, 그 부분을 따라 공통 모드 트랩이 제공되지 않는 어떠한 위치도 존재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모든 관심 위치들이 연속 및/또는 인접한 공통 모드 트랩 내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공통 모드 트랩들의 특정 배치 위치들을 선택하거나 달성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연속 트랩 부분(예컨대, 공통 모드 트랩 유닛(1418))은 송신 케이블의 길이 또는 그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속 모드 트랩 부분은, 인접하게 접합된 개별 공통 모드 트랩들 또는 트랩 섹션들(예컨대,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공통 모드 트랩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코일 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낮추거나, 더 큰 영역에 걸쳐 열을 분산시키거나(예컨대, 핫 스폿(hot spot)들을 방지하거나), 또는 원하는 또는 필요한 위치에 차단이 위치됨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공통 모드 트랩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더 큰 영역에 걸쳐 전압을 분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연속 및/또는 인접한 공통 모드 트랩들은 가요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통 모드 트랩들은 연속 길이의 전도체(들)(예컨대, 중심 전도체 둘레에 감싸인 외부 전도체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달리 일체형으로 형성된 인접한 섹션들로서 조직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원통 내에 형성된) 인접한 및/또는 연속 공통 모드 트랩들의 사용은, 조립체의 휨이 구조체의 공진 주파수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거나, 또는 조립체가 그것이 휘어질 때의 주파수로 유지되는, 일정 범위의 가요성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개별 공통 모드 트랩들 또는 섹션들(예컨대,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은 서로 대체로 유사하게 구성 또는 형성될 수 있지만(예컨대, 각각의 트랩은 테이퍼진 권취된 코일들의 길이의 섹션일 수 있음), 각각의 개별 트랩 또는 섹션은 다른 트랩들 또는 섹션들과는 약간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공통 모드 트랩(1412, 1414, 1416)은 독립적으로 튜닝된다. 따라서, 각각의 공통 모드 트랩(1412, 1414, 1416)은, 동일한 공통 모드 트랩 조립체(1400)의 다른 공통 모드 트랩들과는 상이한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공통 모드 트랩은 MRI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 근처의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튜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공통 모드 트랩은, 공진 주파수가 동작 주파수를 포함하는 대역을 정의하거나 그에 대응할 때, 또는 공진 주파수가 온-주파수(on-frequency) 차단을 제공하거나 또는 동작 주파수에서 차단 임피던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 주파수에 충분히 가까울 때, 동작 주파수 근처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공통 모드 트랩은 MRI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 미만의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튜닝될 수 있다(또는 각각의 공통 모드 트랩은 MRI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 초과의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튜닝될 수 있다). 각각의 트랩이 동작 주파수 미만의 주파수를 갖는 경우(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트랩이 동작 주파수 초과의 주파수를 갖는 경우), (예컨대, 하나의 트랩이 동작 주파수 초과의 주파수를 갖고 다른 트랩이 동작 주파수 미만의 주파수를 갖는 것으로 인해) 트랩들 중 임의의 트랩이 서로를 상쇄할 위험은 제거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각각의 공통 모드 트랩은 광대역 공통 모드 트랩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대역으로 튜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공통 모드 트랩들은 자기장 커플링 및/또는 국소 왜곡들에 대응하기 위해 2차원(2D) 또는 3차원(3D) 버터플라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연속 및/또는 인접한 공통 모드 트랩들을 포함하는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의 사시도이다.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은 외부 슬리브 또는 차폐부(1503), 유전체 스페이서(1504), 내부 슬리브(1505), 제1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7), 및 제2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9)를 포함한다.
제1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7)는, 제1 방향(1508)으로, 유전체 스페이서(1504)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싸이거나, 또는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의 보어(1518) 내에 배치된 중심 전도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테이퍼링 거리(tapering distance)에서 나선형으로 감싸인다. 또한, 제2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9)는, 제1 방향(1508)의 반대인 제2 방향(1510)으로, 유전체 스페이서(1504)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싸이거나, 또는 보어(1518) 내에 배치된 중심 전도체로부터 테이퍼링 거리에서 나선형으로 감싸인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방향(1508)은 시계 방향이고, 제2 방향(1510)은 시계반대방향이다.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의 전도체들(1507, 1509)은 전기 전도성 재료(예컨대, 금속)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리본, 와이어, 및/또는 케이블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대로 권취된 또는 외부 전도체들(1507, 1509)은, 중심 전도체를 통과하는 전류에 대한 복귀 경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반대로 권취된 전도체들(1507, 1509)은,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들 사이의 커플링을 제거, 최소화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직교로 교차할 수 있다(예컨대, 제1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7)에 의해 정의된 중심 선 또는 경로는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들이 경로들을 교차할 때 제2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9)에 의해 정의된 중심 선 또는 경로에 수직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7) 및 제2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9)는,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이 굽혀지거나 휘어질 때 인덕턴스의 임의의 결합, 커플링, 또는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또는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해 유전체 스페이서(1504) 둘레에 느슨하게 감싸이는 것에 추가로 주목할 수 있다. 반대로 권취된 외부 전도체들의 느슨함 또는 타이트함(tightness)은 (예컨대, 전도체들 및 유전체 스페이서의 상대적 크기들, 공통 모드 트랩에 대해 요구되는 굽힘 또는 휨의 양 등에 기초하여) 응용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또는 반대로 권취된 전도체들은, 이들이 유전체 스페이서(1504)에 대해 동일한 일반적인 배향으로 유지되도록 하기에 충분히 타이트해야 하지만, 반대로 권취된 외부 전도체들의 커플링 또는 결합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의 굽힘 또는 휨 동안 충분한 양의 슬랙(slack) 또는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히 느슨해야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차폐부(1503)는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의 중간에서 불연속적이어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유전체 스페이서(1504)의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유전체 스페이서(1504)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Teflon 또는 다른 유전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 스페이서(1504)는 커패시터로서 기능하고, 따라서 원하는 공진을 제공하도록 튜닝 또는 구성될 수 있다.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에 정전용량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고, 예시된 구성들이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개별 커패시터들이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에 대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은, 제1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7) 및 제2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9)가 고정되는 제1 기둥(1513) 및 제2 기둥(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1 기둥(1513) 및 제2 기둥은 공통 모드 트랩의 반대편 단부들에 위치설정되고, 외부 차폐부(1503)에 고정된다. 제1 기둥(1513) 및 제2 기둥은, 제1 및 제2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들(1507, 1509)이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00)의 단부들에서 외부 차폐부(1503)에 가깝게 위치설정됨을 보장하여,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은 반대로 권취된 전도체들의 테이퍼진 버터플라이 구성을 제공한다.
테이퍼진 버터플라이 구성은, 제1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7)에 의해 형성된 제1 루프 및 제2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09)에 의해 형성된 제2 루프를 포함하는데, 이는 제1 루프(1507) 내의 유도 전류(자기장으로 인해 유도된 전류) 및 제2 루프(1509) 내의 유도 전류가 서로를 상쇄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필드가 균일하고 제1 루프(1507) 및 제2 루프(1509)가 동일한 면적들을 갖는 경우, 결과적인 순 전류는 0일 것이다. 루프들(1507, 1509)의 테이퍼진 원통형 배열은, 공통 모드 트랩들에서 관례적으로 사용되는 2차원 배열들에 비해 휨 동안 공진 주파수의 개선된 가요성 및 일관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테이퍼진 버터플라이 구성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고, 자기장에 의해 각각의 루프(또는 루프들의 그룹)에서 유도된 전류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루프(또는 루프들의 그룹)에서 유도된 전류를 상쇄하는 경향이 있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유사한 크기의 반대 루프들을 포함하는, 플럭스 상쇄(flux cancelling)되는 전도체 구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대로 권취된 전도체들(예컨대, 중심 부재 및/또는 축을 중심으로 반대 나선형 방향들로 권취된 전도체들)은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을 형성하기 위해 중심 전도체(1410)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거리는 공통 모드 트랩들의 단부를 향해 테이퍼져서 프린지 효과(fringe effect)들을 감소시키거나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통 모드 트랩들(1412, 1414, 1416)은 그들 사이의 실질적인 갭 없이 연속적으로 또는 인접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된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들의 테이퍼진 나선형 구성은, 다수의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들이 공통 모드 트랩 조립체 내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특히 유리하다. 예시적인 예로서, 도 16은, RF 코일 어레이(1570)를 프로세싱 시스템(1560)에 커플링시키는 복수의 연속 및/또는 인접한 공통 모드 트랩들을 포함하는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50)의 사시도이다.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50)은, 중심 전도체(1552) 상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설정된 제1 공통 모드 트랩(1580) 및 제2 공통 모드 트랩(1590)을 포함한다.
제1 공통 모드 트랩(1580)은, 테이퍼진 나선형 구성으로 반대로 권취된 제1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82) 및 제2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84)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전도체들(1582, 1584)은 기둥들(1586, 1588)에 고정된다. 기둥들(1586, 1588)은 공통 모드 트랩(1580)의 동일한 면 상에 정렬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유사하게, 제2 공통 모드 트랩(1590)은, 테이퍼진 나선형 구성으로 반대로 권취되고 기둥들(1596, 1598)에 고정된 제3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92) 및 제4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1594)를 포함한다. 기둥들(1596, 1598)은 공통 모드 트랩(1590)의 동일한 면 상에 정렬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모드 트랩들(1580, 1590)은 일정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어서, 이에 의해 공통 모드 트랩들 사이의 갭(1554)에서 중심 전도체(1552)를 노출시킨다. 공통 모드 트랩들의 공통 모드 트랩 전도체들의 테이퍼링 나선형 구성으로 인해, 갭(1554)은, 공통 모드 트랩들의 임피던스 기능들의 손실 없이 공통 모드 트랩 조립체에서의 공통 모드 트랩들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최소화되거나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즉, 거리는, 공통 모드 트랩들이 테이퍼진 나선형 구성을 고려하여, 면 공유 접촉으로 있도록 임의로 작게 될 수 있다.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50)이 2개의 공통 모드 트랩들(1580, 1590)을 포함하지만, 실제로는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이 2개 초과의 공통 모드 트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1550)의 공통 모드 트랩들(1580, 1590)은, 기둥들(1586, 1588, 896, 1598)이 RF 코일 어레이 인터페이싱 케이블의 동일한 면 상에 정렬되도록 정렬된다. 그러나, 공통 모드 트랩들 사이의 크로스토크(cross-talk)가 가능할 수 있는 예들에서, 예를 들어, 반대로 권취된 전도체들의 테이퍼링이 더욱 심하거나 가파른 경우, 공통 모드 트랩들은 서로에 대해 회전되어서 트랩들 사이의 프린지 효과들 및/또는 크로스토크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공통 모드 트랩 또는 발룬 구성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공통 모드 트랩의 외부 차폐부는, 공통 모드 트랩들이 중첩되거나 인터리빙되어서, 그에 따라 공통 모드 트랩들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트리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의 신축성 RF 코일 조립체의 기술적 효과는, 고정된 코일 중첩들 또는 전자기기 위치설정을 고려할 필요 없이, 어레이 내의 RF 코일들이 더 임의로 위치설정되어, 코일들의 배치 및/또는 크기가 원하는 해부학적 구조 커버리지에 기초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기술적 효과는, 코일들 및 커플링된 신축성 재료가 환자 해부학적 구조, 강성, 또는 반강성 하우징 윤곽들에 순응하여, 해부학적 구조가 크기 및 형상이 변하는 경우에도, RF 코일들이 이미징되고 있는 해부학적 구조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설정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코일들의 비용 및 중량은 최소화된 재료들 및 생산 공정으로 인해 상당히 낮아질 수 있고, 종래의 코일들에 비해 본 발명의 RF 코일들의 제조 및 소형화에 보다 환경 친화적 공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는 자기 공명 이미징(MRI) 시스템을 위한 무선 주파수(RF) 코일 조립체를 제공한다. RF 코일 조립체는, 분산형 정전용량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루프 부분; 전치 증폭기를 포함하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 및 루프 부분 및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이 부착되는 신축성 재료 층을 포함한다. RF 코일 조립체의 제1 예에서, 신축성 재료 층은 탄성중합체 재료, 폴리에스테르 재료, 면, 및 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예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RF 코일 조립체의 제2 예에서, 신축성 재료 층은, 이미징될 피험자의 팔, 손, 손목, 팔꿈치, 다리, 발, 발목 및 무릎 중 하나 이상 위에 맞춰지도록 적응된 슬리브의 형태이다. 제1 예 및 제2 예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조립체의 제3 예에서, 신축성 재료 층은 이미징될 피험자의 목, 흉부, 및 몸통 중 하나 이상 위에 맞춰지도록 적응된 원통의 형태이다. 제1 예 내지 제3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조립체의 제4 예에서,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은 디커플링 회로 및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는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 및 입력 발룬을 포함한다. 제1 예 내지 제4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조립체의 제5 예에서, 전치 증폭기는 높은 소스 임피던스에 대해 최적화된 낮은 입력 임피던스 전치 증폭기를 포함하고,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는 높은 소스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제1 예 내지 제5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조립체의 제6 예에서, 분산형 정전용량 전도체들은, 유전체 재료에 의해 봉지되고 분리되는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루프 부분의 정전용량은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 사이의 간격, 2개의 평행한 와이어들 상의 절단부들의 위치 및/또는 수, 및 유전체 재료의 함수이다. 제1 예 내지 제6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조립체의 제7 예에서, 루프 부분은, 그의 종단 단부들 사이의 루프 부분의 전체 길이를 따라 어떠한 용량성 및 유도성 집중형 컴포넌트도 없다. 제1 예 내지 제7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조립체의 제8 예에서, 조립체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과 RF 코일 조립체의 인터페이싱 커넥터 사이에서 연장되는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을 추가로 포함하고,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은, 중심 전도체의 길이 둘레에 반대로 권취된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를 포함한다.
일례는 자기 공명 이미징(MRI) 시스템을 위한 무선 주파수(RF) 코일 어레이를 제공한다. RF 코일 어레이는 복수의 RF 코일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RF 코일은,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 및 높은 차단 임피던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치 증폭기 및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을 포함한다. RF 코일 어레이는 신축성 재료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RF 코일은 신축성 재료 층에 부착된다. RF 코일 어레이의 제1 예에서, 각각의 RF 코일은 신축성 재료 층 상에 봉합된다. 제1 예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어레이의 제2 예에서, 복수의 RF 코일들은 서로에 대해 비고정 위치들에 위치설정된다. 제1 예 및 제2 예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어레이의 제3 예에서, 어레이는, 각각의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으로부터 인터페이스 커넥터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인터페이싱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예 내지 제3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어레이의 제4 예에서, 각각의 RF 코일은 RF 코일 어레이의 다른 RF 코일들에 대해 다수의 치수들로 이동가능하다. 제1 예 내지 제4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어레이의 제5 예에서, 각각의 RF 코일은 다른 RF 코일들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되지 않아서, 각각의 RF 코일이 RF 코일 어레이의 다른 RF 코일들과의 조정가능하고 가변적인 중첩량을 갖게 한다.
일례는 자기 공명 이미징(MRI) 시스템을 위한 무선 주파수(RF) 코일 어레이를 제공한다. RF 코일 어레이는, 이미징될 피험자의 머리 상에 맞춰지도록 적응된 신축성 헤드웨어(headwear), 및 신축성 헤드웨어에 커플링된 복수의 RF 코일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RF 코일은,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 및 높은 차단 임피던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치 증폭기 및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을 포함한다. RF 코일 어레이의 제1 예에서, 신축성 헤드웨어가 피험자에 의해 착용되지 않을 때, 복수의 RF 코일들 중 제1 RF 코일은 복수의 RF 코일들 중 제2 RF 코일로부터 제1 거리만큼 분리되고, 신축성 헤드웨어가 피험자에 의해 착용될 때, 제1 RF 코일은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만큼 제2 RF 코일로부터 분리되고, 제1 RF 코일의 직경은, 신축성 헤드웨어가 피험자에 의해 착용되지 않을 때 그리고 신축성 헤드웨어가 피험자에 의해 착용될 때에 동일하다. 제1 예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RF 코일 어레이의 제2 예에서,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는, 유전체 재료에 의해 봉지되고 분리되는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은 루프 부분의 종단 단부들 사이의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 채로 유지된다. 제1 예 및 제2 예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RF 코일 어레이의 제3 예에서, 각각의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은 공통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제1 예 내지 제3 예 중 하나 이상 또는 각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RF 코일 어레이의 제4 예에서, RF 코일 어레이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들을 코일 인터페이싱 케이블에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으로 인용되고 단어 "a" 또는 "an"으로 진행되는 요소 또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배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상기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인용된 특징부들을 또한 포함하는 추가 실시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더욱이, 명시적으로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특정 특성을 갖는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거나"("comprising", "including"), 또는 "갖는" 실시예들은, 그러한 특성을 갖지 않는 추가의 그러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들 "포함하는(including)" 및 "여기서(in which)"는 각자의 용어들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언어 등가물들로서 사용된다. 더욱이, 용어들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라벨들로서 사용되고, 수치 요건들 또는 그들의 물체들 상의 특정 위치 순서를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러한 서면 설명은, 최상의 모드를 비롯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임의의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것 및 임의의 포함된 방법들을 수행하는 것을 비롯하여,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예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특허가능한 범주는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고, 당업자들에게 떠오르는 다른 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예들은, 그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상이하지 않은 구조적 요소들을 갖는 경우, 또는 그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미미한 차이들을 갖는 등가의 구조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자기 공명 이미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시스템을 위한 무선 주파수(RF) 코일 조립체로서,
    분산형 정전용량 전도체들을 포함하는 루프 부분;
    전치 증폭기(pre-amplifier)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 부분에 커플링되는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 및
    상기 루프 부분 및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이 부착되는 신축성 재료 층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 부분은 유전체 재료에 의해 봉지되고 분리되는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은 상기 루프 부분의 종단 단부들 사이의 상기 루프 부분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 채로 유지되는, RF 코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재료 층은 탄성중합체 재료, 폴리에스테르 재료, 면, 및 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RF 코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재료 층은, 이미징될 피험자의 팔, 손, 손목, 팔꿈치, 다리, 발, 발목 및 무릎 중 하나 이상 위에 맞춰지도록 적응된 슬리브(sleeve)의 형태인, RF 코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재료 층은 이미징될 피험자의 목, 흉부, 및 몸통 중 하나 이상 위에 맞춰지도록 적응된 원통의 형태인, RF 코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전자기기 부분은 디커플링 회로 및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인버터 회로는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 및 입력 발룬을 포함하고, 상기 전치 증폭기는 높은 소스 임피던스에 대해 최적화된 낮은 입력 임피던스 전치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는 상기 높은 소스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RF 코일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부분의 정전용량은 상기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 사이의 간격, 2개의 평행한 와이어들 상의 절단부들의 위치 및 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유전체 재료의 함수인, RF 코일 조립체.
  7. 자기 공명 이미징(MRI) 시스템을 위한 무선 주파수(RF) 코일 어레이로서,
    복수의 RF 코일들 - 각각의 RF 코일은,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 및
    높은 차단 임피던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치 증폭기 및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루프에 커플링되는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을 포함함 -; 및
    신축성 재료 층을 포함하고, 각각의 RF 코일은 상기 신축성 재료 층에 부착되고,
    상기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는 유전체 재료에 의해 봉지되고 분리되는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은 상기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의 종단 단부들 사이의 상기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 채로 유지되는, RF 코일 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F 코일들은 서로에 대해 비고정 위치들에 위치설정되는, RF 코일 어레이.
  9. 자기 공명 이미징(MRI) 시스템을 위한 무선 주파수(RF) 코일 어레이로서,
    이미징될 피험자의 머리 상에 맞춰지도록 적응된 신축성 헤드웨어(headwear); 및
    상기 신축성 헤드웨어에 커플링된 복수의 RF 코일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RF 코일은,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 및
    높은 차단 임피던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치 증폭기 및 임피던스 매칭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에 커플링되는 커플링 전자기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는 유전체 재료에 의해 봉지되고 분리되는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평행한 전도체들은 상기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의 종단 단부들 사이의 상기 통합된 커패시터 코일 루프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 채로 유지되는, RF 코일 어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헤드웨어가 상기 피험자에 의해 착용되지 않을 때, 상기 복수의 RF 코일들 중 제1 RF 코일은 상기 복수의 RF 코일들 중 제2 RF 코일로부터 제1 거리만큼 분리되고, 상기 신축성 헤드웨어가 상기 피험자에 의해 착용될 때, 상기 제1 RF 코일은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만큼 상기 제2 RF 코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 RF 코일의 직경은, 상기 신축성 헤드웨어가 상기 피험자에 의해 착용되지 않을 때 그리고 상기 신축성 헤드웨어가 상기 피험자에 의해 착용될 때에 동일한, RF 코일 어레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7015469A 2016-11-23 2017-11-22 Mr 이미징을 위한 무선 주파수 코일을 위한 시스템 KR102214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5975P 2016-11-23 2016-11-23
US62/425,975 2016-11-23
PCT/US2017/062983 WO2018098255A1 (en) 2016-11-23 2017-11-22 Systems for a radio frequency coil for mr ima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266A KR20190095266A (ko) 2019-08-14
KR102214893B1 true KR102214893B1 (ko) 2021-02-10

Family

ID=6219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469A KR102214893B1 (ko) 2016-11-23 2017-11-22 Mr 이미징을 위한 무선 주파수 코일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67153B2 (ko)
EP (1) EP3545323B1 (ko)
JP (1) JP7073366B2 (ko)
KR (1) KR102214893B1 (ko)
CN (1) CN109937367B (ko)
WO (1) WO2018098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3367B2 (ja) 2016-11-23 2022-05-23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磁気共鳴撮像(mri)システム用の前部無線周波数(rf)コイルアレイ
JP6995118B2 (ja) 2016-11-23 2022-01-1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磁気共鳴撮像(mri)システム用の適合型後部無線周波数(rf)コイルアレイ
US10473737B2 (en) * 2017-08-18 2019-11-12 Synaptive Medical (Barbados) Inc. Active switching for RF slice-selecting
US10983185B2 (en) * 2017-11-22 2021-04-20 General Electric Company RF coil array for an MRI system
US10921399B2 (en) * 2017-11-22 2021-02-16 GE Precision Healthcare LLC Radio frequency (RF) coil array for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ystem for use in interventional and surgical procedures
CN108519570A (zh) * 2018-05-10 2018-09-11 达研医疗技术(合肥)有限公司 一种基于纳米材料的可穿戴磁共振线圈
JP7166083B2 (ja) * 2018-06-18 2022-11-07 富士フイルム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アレイコイル及び磁気共鳴撮像装置
EP3594706A1 (de) * 2018-07-13 2020-01-15 Siemens Healthcare GmbH Flexible lokalspule mit marker und bildgewinnungsverfahren
US10877115B2 (en) * 2018-09-12 2020-12-2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 radio frequency coil for MR imaging
DE102018215457A1 (de) * 2018-09-12 2020-03-12 Siemens Healthcare Gmbh Anpassbare MR-Lokalspule
US11360168B2 (en) * 2018-11-21 2022-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 neck radio frequency coil for MR imaging
KR102102998B1 (ko) * 2018-11-29 2020-04-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나선형 및 분리형 공진기
JP7237611B2 (ja) * 2019-01-29 2023-03-13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周波コイル
WO2020232021A1 (en) * 2019-05-12 2020-11-19 Purdue Research Foundation Expandable apparatus for detecting rf signals and related method
US20200408860A1 (en) * 2019-06-26 2020-12-3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for a radio frequency coil assembly
WO2021081191A1 (en) * 2019-10-25 2021-04-29 Hyperfine Resear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atient motion dur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11143723B2 (en) 2020-01-08 2021-10-12 Neocoil, Llc Flexible local coil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CN111273206B (zh) * 2020-03-27 2022-05-27 苏州众志医疗科技有限公司 磁共振射频阵列线圈及装置和磁共振成像方法
JP7479178B2 (ja) * 2020-03-31 2024-05-08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周波コイル
DE102020210645A1 (de) * 2020-08-21 2022-02-24 Siemens Healthcare Gmbh Magnetresonanzantenne mit in Schaum eingebetteter Drahtstruktur
CN114252822A (zh) * 2020-09-25 2022-03-29 西门子(深圳)磁共振有限公司 磁共振成像系统的射频线圈及磁共振成像系统
CN114496448A (zh) * 2020-10-26 2022-05-13 北京梦之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可拉伸射频线圈
CN112674718A (zh) * 2020-12-01 2021-04-20 浙江清华柔性电子技术研究院 脑成像检测装置
EP4016103A1 (de) * 2020-12-18 2022-06-22 Siemens Healthcare GmbH Magnetresonanztomograph und verfahren zum schnellen umschalten von tx nach rx
US20220229132A1 (en) * 2021-01-15 2022-07-21 Hyperfine, Inc. Flexible radio frequency coil apparatus and method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11519980B2 (en) * 2021-04-15 2022-12-06 GE Precision Healthcare LLC Contoured radio frequency coil assemblies for a magnetic resonance system
CN113253174B (zh) * 2021-05-13 2023-06-16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接收天线组件及磁共振装置
CN216434341U (zh) * 2021-09-26 2022-05-03 深圳市联影高端医疗装备创新研究院 一种射频线圈
US11719775B1 (en) 2022-01-28 2023-08-08 GE Precision Healthcare LLC RF receiver coil with equal perimeter loops
JP2024065663A (ja) 2022-10-31 2024-05-15 富士フイルムヘルスケア株式会社 高周波コイ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4021A1 (en) * 2004-06-17 2008-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and Wearable Radio Frequency Coil Garment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JP2009513219A (ja) * 2005-10-28 2009-04-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Mri用の撮像領域特定無線周波数コイル
US20120153955A1 (en) * 2010-12-15 2012-06-21 Agilent Technologies, Inc. MRI Short Coils
US20150323624A1 (en) 2014-02-12 2015-11-12 David A. Feinberg Device and method for loops-over-loops mri coils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386A (en) * 1980-07-17 1982-06-15 Johns Robert H Bifilar antenna trap
US4621237A (en) 1982-06-28 1986-11-04 Oxford Research Systems Limited Radiofrequency transduc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4825163A (en) * 1987-07-31 1989-04-25 Hitachi, Ltd. Quadrature probe for nuclear magnetic resonance
US4885541A (en) * 1988-08-19 1989-12-0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multiple coil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imaging
US4825162A (en) 1987-12-07 1989-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imaging with multiple surface coils
JPH0616760B2 (ja) 1988-09-09 1994-03-09 ザ・トラステイズ・オブ・ザ・ユーニバァスィティ・オブ・ペンシルバニア 核磁気共鳴映像法で使用するためのコイル組立体
US5682098A (en) 1996-01-11 1997-10-28 W. L. Gore & Associates, Inc. Open quadrature whole volume imaging NMR surface coil array including three figure-8 shaped surface coils
US5905378A (en) 1997-02-13 1999-05-18 General Electric Company Flexible lightweight attached phased-array (FLAP) receive coils
US6094599A (en) * 1998-03-24 2000-07-25 Ehti Medical Corporation RF diathermy and faradic muscle stimulation treatment
US6501980B1 (en) 2000-11-09 2002-12-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asily decontaminated MRI endocavity coils
US6650926B1 (en) 2001-03-30 2003-11-18 Usa Instruments, Inc. Flexible multi-section MRI radio frequency array coil
US7177671B2 (en) 2001-05-08 2007-02-13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RF coil, RF signal transmitter receiver, RF signal receiver,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for the inferior abdomen
JP4820022B2 (ja) * 2001-07-03 2011-11-24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Rfコイ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核磁気共鳴装置
DE10317629B8 (de) 2002-04-17 2010-03-04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Waukesha RF-Spule und Magnetresonanzabbildungsvorrichtung
US6605775B1 (en) * 2002-05-13 2003-08-12 Igc-Medical Advances, Inc. Floating radio frequency trap for shield currents
DE10221644A1 (de) 2002-05-15 2003-12-11 Siemens Ag Lokalspulenanordnung für eine Magnetresonanzanlage
US6980000B2 (en) 2003-04-29 2005-12-27 Varian, Inc. Coils for high frequency MRI
US6919723B2 (en) 2003-07-09 2005-07-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maintain loop isolation in position variant MRI coils
ATE445846T1 (de) 2003-07-09 2009-10-15 Isra Juk Electronics Ltd System und verfahren zur erkennung elektrischer fehler
US8046046B2 (en) 2003-11-19 2011-10-25 General Electric Company RF array coil system and method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102004005120B4 (de) 2004-02-02 2008-01-17 Siemens Ag Lokalspuleneinheit zur Verwendung in einem Magnetresonanzgerät
US7282915B2 (en) * 2004-05-14 2007-10-16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turn element RF coil array for multiple channel MRI
CN1969194A (zh) * 2004-06-18 2007-05-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低局部sar鸟笼射频线圈
US7917213B2 (en) * 2005-11-04 2011-03-29 Kenergy, Inc. MRI compatible implanted electronic medical lead
US7945308B2 (en) 2005-12-27 2011-05-1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endo-rectal receive-only probe
US7714581B2 (en) * 2006-04-19 2010-05-1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RF coil assembly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spectroscopy systems
DE102006042996A1 (de) 2006-09-13 2007-10-04 Siemens Ag Antenne für Magnetresonanzanwendungen
US7619416B2 (en) 2008-04-17 2009-11-17 Universität Zürich Prorektorat Forschung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Coil assembly and multiple coil arrangement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8179136B2 (en) 2009-04-17 2012-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Radio frequency (RF) coil array with double asymmetric saddle coil pairs
US8269498B2 (en) 2009-05-04 2012-09-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MRI signal excitation and reception using non-resonance RF method (NORM)
US8193811B2 (en) * 2009-05-29 2012-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frequency coil array for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ystem
WO2010148095A2 (en) 2009-06-16 2010-12-23 Neocoil, Llc Modular apparatu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8362776B2 (en) 2009-09-30 2013-01-2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tuning magnetic resonance coil ele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207736B2 (en) 2009-09-30 2012-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feeding a magnetic resonance coi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441258B2 (en) 2009-12-30 2013-05-14 General Electric Company Quadrature and linear RF coil array for MRI of human spine and torso
US8624597B2 (en) 2010-12-27 2014-01-07 General Electric Company RF coil array for cardiac and thorac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8598880B2 (en) 2011-05-18 2013-12-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a subject using local surface coils
US9018955B2 (en) * 2011-06-17 2015-04-2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magnetic resonance (MR) signals with an FET electrically between preamplifier terminals
US9000766B2 (en) * 2011-10-18 2015-04-07 General Electric Company Radio frequency (RF) coil array for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US9002431B2 (en) 2011-11-23 2015-04-07 Scanmed, Llc Garment MRI antenna array
US9157971B2 (en) * 2012-01-05 2015-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Distributed capacitance radio frequncy (RF) coil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E102012200599A1 (de) 2012-01-17 2013-07-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astisches Antennensystem für ein Magnetresonanzbildgebungssystem
US9250305B2 (en) 2012-05-31 2016-02-02 General Electric Company Adaptable sheet of coils
CN202889295U (zh) * 2012-10-30 2013-04-17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谐振陷波器及配置有谐振陷波器的磁共振成像系统
US20150293192A1 (en) * 2012-11-02 2015-10-15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Method and appratus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fields induced by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in electronic cables and devices
KR101424976B1 (ko) * 2012-11-08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배열형 고주파 코일 및 이를 채용한 자기공명영상 장치
US9696393B2 (en) 2013-01-28 2017-07-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RI receiver coil providing an enhanced signal-to-noise ratio
CN105188527B (zh) * 2013-03-14 2019-03-08 因维沃公司 用于磁共振成像的线圈系统
US9678180B2 (en) 2014-05-06 2017-06-13 Quality Electrodynamics, Llc Coaxial cabl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coil
CN204575834U (zh) * 2015-02-13 2015-08-19 江苏麦格思频仪器有限公司 用于开放式磁共振成像系统的多通道射频线圈
US10983185B2 (en) * 2017-11-22 2021-04-20 General Electric Company RF coil array for an MRI system
US11280859B2 (en) * 2018-05-31 2022-03-2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s for a radio frequency coil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4021A1 (en) * 2004-06-17 2008-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and Wearable Radio Frequency Coil Garment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JP2009513219A (ja) * 2005-10-28 2009-04-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Mri用の撮像領域特定無線周波数コイル
US20120153955A1 (en) * 2010-12-15 2012-06-21 Agilent Technologies, Inc. MRI Short Coils
US20150323624A1 (en) 2014-02-12 2015-11-12 David A. Feinberg Device and method for loops-over-loops mri co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37367B (zh) 2023-04-18
EP3545323B1 (en) 2024-05-29
US11567153B2 (en) 2023-01-31
EP3545323A1 (en) 2019-10-02
KR20190095266A (ko) 2019-08-14
WO2018098255A1 (en) 2018-05-31
JP2020500073A (ja) 2020-01-09
CN109937367A (zh) 2019-06-25
US20190353722A1 (en) 2019-11-21
EP3545323A4 (en) 2020-12-02
JP7073366B2 (ja)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893B1 (ko) Mr 이미징을 위한 무선 주파수 코일을 위한 시스템
KR102076752B1 (ko) Mr 이미징을 위한 무선 주파수 코일을 위한 시스템
JP7073367B2 (ja) 磁気共鳴撮像(mri)システム用の前部無線周波数(rf)コイルアレイ
US11280859B2 (en) Method and systems for a radio frequency coil assembly
KR102276790B1 (ko) Mr 이미징을 위한 무선 주파수 코일을 위한 시스템
US11307274B2 (en) Method and systems for a radio frequency coil assembly
KR102270520B1 (ko) 자기 공명 이미징(mri) 시스템을 위한 순응성 후방 무선 주파수(rf) 코일 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