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847B1 - 블록체인을 활용한 cctv영상의 디지털 증거 무결성 및 진본성 확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활용한 cctv영상의 디지털 증거 무결성 및 진본성 확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847B1
KR102214847B1 KR1020180081509A KR20180081509A KR102214847B1 KR 102214847 B1 KR102214847 B1 KR 102214847B1 KR 1020180081509 A KR1020180081509 A KR 1020180081509A KR 20180081509 A KR20180081509 A KR 20180081509A KR 102214847 B1 KR102214847 B1 KR 10221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node
block chain
bloc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295A (ko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이엔지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이엔지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이엔지앤디자인
Publication of KR2019008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L2209/38

Abstract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관제방법은 관제 대상이 되는 제1장소에 대응되는 제1노드가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관제영상에 대응하는 블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노드가 생성한 블록데이터를 상기 제1장소에 대응되는 제1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하고 중앙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타노드에 상기 블록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활용한 CCTV영상의 디지털 증거 무결성 및 진본성 확보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ertifying and authenticity of digital evidence}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CCTV 영상 등과 같은 관제영상의 디지털 증거 무결성 및 진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제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CTV 등의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관제를 수행하는 관제시스템에 이용되는 데이터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블록체인을 관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관제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관제방식은 모니터링 수단으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 즉, 관제영상들을 중앙서버가 수신하고 직접 저장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중앙서버에 모든 관제영상들이 저장되므로 외부로부터 공격받거나, 내부자에 의한 위변조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관제영상을 분산해서 저장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일 예는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291000, "고해상도 카메라 기반의 지역 분산형 통합관제 시스템")에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 역시 관제영상을 저장 및 관리하는 중앙서버의 기능이 지역관제시스템으로 일부 분산되어 있는 개념이고, 중앙서버와 지역관제시스템이 저장하는 정보가 서로 다른 것이어서 마찬가지로 공격을 통한 위변조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291000, "고해상도 카메라 기반의 지역 분산형 통합관제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즉, 관제영상의 위변조에 대한 강인한 특징을 부여할 수 있어서, 진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에 대한 블록체인을 구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블록데이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제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제1노드의 관제에 있어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노드가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관제영상의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블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노드가 생성한 블록데이터를 제1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하고 중앙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타노드에 상기 블록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 데이터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관제영상의 파일식별정보, 상기 관제영상이 저장되는 서버식별정보, 상기 관제영상에 상응하는 시간정보, 상기 관제영상에 대한 담장자 정보, 또는 상기 관제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블록체인에 결합되는 상기 블록데이터는 상기 제1노드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노드는 복수의 목적들별로 관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블록체인은 상기 제1관제영상의 제1목적에 해당하는 관제영상에 상응하는 블록 데이터만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노드 중 제2노드의 관제에 있어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노드가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2관제영상에 대응하는 제2블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노드가 생성한 상기 제2블록데이터를 상기 제1블록체인 또는 상기 제2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하고 타노드에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노드가 생성한 블록데이터를 상기 제1블록체인 또는 상기 제2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하고 타노드에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제2노드가 상기 제2블록데이터를 상기 제2블록체인에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블록체인은 상기 제2노드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만 결합되는 블록체인이거나, 상기 제2관제영상의 제2목적에 해당하는 관제영상의 블록데이터만이 결합되는 블록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관제방법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제1노드, 중앙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타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노드는 관제를 수행하면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관제영상의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블록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블록데이터를 제1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하고 중앙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타노드에 상기 블록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 데이터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관제영상의 파일식별정보, 상기 관제영상이 저장되는 서버식별정보, 상기 관제영상에 상응하는 시간정보, 상기 관제영상에 대한 담장자 정보, 또는 상기 관제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블록체인에 결합되는 상기 블록데이터는 상기 제1노드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제1노드는 복수의 목적들별로 관제를 수행하며 상기 제1블록체인은 상기 제1관제영상의 제1목적에 해당하는 관제영상에 상응하는 블록 데이터만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된 블록체인이 관제영상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관제영상의 위변조에 대한 강인한 특징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다중 블록체인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제의 대상이 되는 싸이트별로 독립적인 데이터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제영상의 프레임별 해시 값을 블록에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변조시도가 있을 때에도 프레임별로 위변조 시도가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관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제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블록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중앙서버가 과제를 수행하는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제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 및 중앙서버(200)가 구비된다. 각각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에는 대응되는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00 내지 330)이 적어도 하나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중앙서버(200) 역시 하나의 참여자인 노드로 취급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관제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상기 노드를 중앙서버(200)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 및 상기 중앙서버(200)는 서로 P2P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 및 상기 중앙서버(2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서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외부인 또는 제3자가 노드(또는 참여자)로 네트워크의 구성원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 및 상기 중앙서버(200)는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후술할 바와 같이 블록체인을 통해 저장되는 정보가 관제영상의 확인데이터일 경우 퍼블릭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방식의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 및 중앙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므로, 이하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또는 별다른 언급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공지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기술(예컨대,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검증, 합의 등)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40)은 관제대상이 되는 장소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노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관제 시스템을 통해 관제하고자 하는 복수의 장소들 중 제1장소에 대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노드(110), 제3노드(120), 및 제4노드(130)는 각각의 장소에 대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장소라 함은 좁게는 하나의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관제되는 모니터링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넓게는 관제 센터(또는 관제 시스템)과 같이 관제의 주체별로 해당 관제주체가 관제하는 장소들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동일한 관제 센터 내에서도 모니터링하는 영역별로 복수의 노드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어느 하나의 노드가 서로 다른 복수의 관제영역들에 대한 관제영상의 블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관제영상은 관제의 목적별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소정의 노드가 관제하는 관제영상은 관제의 목적(또는 대상)이 방범용 관제일 수 있고, 또 다른 관제영상은 관제의 목적이 상수도용 관제일 수도 있으며, 또 다른 관제영상은 관제의 목적이 또 다른 목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블록체인에 의해 관리되는 관제영상 또는 관제영상의 확인 데이터는 목적별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노드는 동일한 목적의 관제만을 수행할 수도 있고, 노드의 정의에 따라 어느 하나의 노드가 여러 목적의 관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구현 예에 따라 노드들 중에는 더미 노드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미 노드는 실제로 관제에 참여하지는 않지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자로 존재하여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 노드는 블록체인에 포함될 블록을 생성하지는 않고,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 노드에는 대응되는 모니터링 수단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노드(100)는 제1모니터링 수단(300, 예컨대, CCTV, 카메라 등)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모니터링 수단(300)으로부터 관제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노드(100)는 반드시 어느 하나의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00)에만 연결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제1노드(100)는 상기 제1모니터링 수단(300)외에도 소정의 추가적인 모니터링 수단(미도시)으로부터 더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제1노드(100)는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00)으로부터 영상 즉, 관제영상을 획득하고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노드(11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10)으로부터 제2장소를 촬영한 관제영상을 획득하고 임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제3노드(12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20)으로부터 제3장소를 촬영한 관제영상을 획득하고 임시로 저장할 수 있고, 제4노드(13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30)으로부터 제4장소를 촬영한 관제영상을 획득하고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더미노드가 프라이빗 P2P 네트워크에 참여자로 참여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은 임시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에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중앙서버(200)는 2가지 경로를 통해 관제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경로는 블록체인과는 무관하게 각각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로부터 대응되는 모니터링 수단들이 획득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경로일 수 있다. 이러한 경로를 통해서 상기 중앙서버(200)는 실시간으로 관제대상이 되는 복수의 장소들 각각의 관제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 하나의 경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의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참여자로써,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이 공유하는 블록데이터를 상기 중앙서버(200)가 수신하는 경로일 수 있다. 상기 블록데이터에는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로부터 추출된 관제영상이, 관제영상 자체로 전부 또는 소정의 전처리를 거친 후에 일부만 발췌되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블록체인에서 논의되는 블록데이터들은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 데이터는 그 용량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노드(100)는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00)로부터 관제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노드(100)는 미리 정의된 이벤트에 따라 블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데이터는 제1노드(100)가 획득한 관제영상들 중 소정의 단위시간에 상응하는 관제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위시간이 10분이라면, 상기 블록데이터에는 10분 동안 상기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00)을 통해 획득한 관제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노드(100)는 상기 단위시간의 경과라는 이벤트마다 블록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약 이벤트가 단위시간의 경과가 아니라 영상에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라면,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할때마다 상기 제1노드(100)는 블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 데이터에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영상 즉, 특정 상황이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영상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은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한 영상들만이 선택적으로, 그리고 발생 시간 순으로, 저장된 정보의 집합체가 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전체 관제영상은 상기 특정상황이 발생한 영상과는 별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이벤트가 단위시간의 경과인 경우를 주로 설명하지만, 상기 이벤트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상기 블록 데이터에 포함될 정보, 블록체인이 저장하는 정보 등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각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은 상기 이벤트를 디텍팅할 수 있는 알고리즘 및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이 갖추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블록데이터는 관제영상 자체가 아니라 관제영상에 상응하는 확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데이터는 예컨대, 블록데이터로 관리할 관제영상의 파일식별정보(예컨대, 파일명), 상기 관제영상을 저장할 서버명(예컨대, 복수의 서버들에 관제영상이 저장될 경우), 상기 관제영상에 상응하는 시간정보(예컨대, 생성날짜, 생성 시간 등에 대한 정보), 및/또는 담당자 정보(예컨대, 해당 관제영상을 모니터링하거나 소정의 서버에 저장을 승인한 담당자의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데이터에는 상기 관제영상의 해시값이 더 포함됨으로써 관제영상의 진본성이 검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제 관제영상은 미리 정해진 경로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관제방법에 의하면, 관제영상 자체가 블록데이터로써 저장되어 유지/관리될 수도 있고, 관제영상은 별도로 유지/관리되면서 관제영상별 확인데이터만이 블록체인으로 유지/관리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확인데이터에는 관제의 대상이 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 및/또는 노드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노드(100)가 생성한 블록데이터는 제1장소의 관제영상에 대응되는 제1블록체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록체인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되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블록체인에 결합될(연결될) 블록데이터는 상기 제1노드(100)만이 생성하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설계될 수 있다. 즉, 제1블록체인은 제1장소의 관제영상에 해당하는 정보들만이 포함되는 정보의 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제1노드(100)는 자신이 생성하는 블록데이터를 제1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노드(10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타 노드들(예컨대, 중앙서버(200) 및 제2노드(110), 제3노드(120), 제4노드(130) 등)에 자신이 생성하는 블록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블록체인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블록체인은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 및 중앙서버(2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유지관리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관제 대상이 되는 제2장소에 대응되는 제2노드(110) 역시 제2장소에 해당하는 소정의 단위시간 동안 수집된 제2관제영상에 대응하는 제2블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노드(110)는 역시 미리 정의된 이벤트(예컨대, 단위시간의 경과)에 따라 블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노드가 생성하는 블록데이터에는 대응되는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10)을 통해 획득한 관제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노드(110)가 생성한 블록데이터는 제2장소의 관제영상에 대응되는 제2블록체인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노드(110) 역시 생성한 블록데이터를 타 노드들에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2블록체인 역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되는 정보의 집합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블록체인에 결합될(연결될) 블록데이터는 상기 제2노드(110)만이 생성하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설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각각의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별 블록체인이 서로 독립적으로 공유되고 있을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다중 블록체인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블록체인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과는 독립적인 정보의 집합체일 수 있으며, 각각의 관제대상 장소에 따라 독립적인 정보의 집합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되고 있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블록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소에 대응되는 제1블록체인(5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될 수 있으며, 제2장소에 대응되는 제2블록체인(600) 역시 제1블록체인(500)과는 독립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공유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각각의 블록체인은 관제영상의 목적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관제영상은 관제의 목적별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블록체인은 서로 다른 장소에 해당하더라도 방범용 관제영상만이 또는 관제영상의 확인데이터만이 결합되는 블록체인일 수 있고, 제2블록체인은 방법용이 아닌 상하수도용 관제영상만이 또는 관제영상의 확인데이터만이 결합되는 블록체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동일한 목적의 관제영상에 별개의 블록체인으로 구성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해당 관제영상의 원본 또는 확인데이터를 목적에 부합하게 검색 및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데이터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블록데이터(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데이터에 포함될 관제영상(450)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제영상(450)은 노드들(예컨대, 100 내지 130)이 블록데이터(400)를 생성하는 조건 즉, 이벤트에 상응하는 영상일 수 있다. 예컨대, 단위시간의 경과가 이벤트로 정의되는 경우, 해당 단위시간동안의 영상이 상기 관제영상(450)일 수 있다.
특정 상황의 발생(예컨대, 특정 사고의 발생)이 이벤트로 정의되는 경우, 상기 특정상황이 발생한 영상부분이 상기 관제영상(450)이 될 수 있다.
관제영상(450)에 대한 정보는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획득된 관제영상 그 자체일 수도 있고,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 또는 샘플링 등을 통한 전처리가 수행된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블록데이터(400)에는 해당 블록데이터(400)에 포함된 관제영상(450)의 프레임별 해시 값(43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관제영상(450) 전체에 대한 해시 값이 아니라 프레임별 해시 값(430)이 블록데이터(4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페이로드 즉, 상기 관제영상(450) 전체에 대한 해시 값을 포함시키는 것에 비해, 보다 공격 또는 위변조에 강인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별로 위변조가 디텍팅될 수 있는 효과도 존재한다.
물론, 상기 관제영상 전체(예컨대, 10분 단위 관제동영상 각각 또는 시간단위 관제 동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해시 값이 상기 블록데이터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체 시스템의 저장 리소스의 절약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록데이터(400)에는 이전 블록의 해시 값(420)이 포함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블록데이터만의 위변조 시도만으로는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전 블록의 해시 값(420)은 이전의 블록데이터 전체에 대한 해시값일 수도 있지만, 미리 정해진 특정 데이터들에 대해서만을 해시 대상으로 하여 해시 값이 연산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블록데이터(400)에는 블록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440)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타 정보들이 상기 블록데이터(400)에 포함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블록데이터(400)는 관제영상 자체는 포함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확인데이터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통해 중앙서버(200)가 관제를 수행하는 방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중앙서버가 과제를 수행하는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정의 노드(이하, 제1노드(100)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함)는 대응되는 모니터링 수단(예컨대, 300)으로부터 획득되는 관제영상을 실시간으로 중앙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00, S110).
그러면 중앙서버(200)는 수신된 관제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S120). 이를 위해 중앙서버(200)는 상기 관제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영상시스템으로 관제영상을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중앙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블록체인으로부터 원하는 영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중앙서버(200)는 관리자로부터 특정 장소(예컨대, 제1노드(100)에 대응되는 제1장소)의 특정 시간의 영상을 요청받을 수 있다(S130).
그러면 상기 중앙서버(200)는 상기 장소에 상응하는 블록체인(예컨대, 제1블록체인)을 특정하고, 특정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특정시간에 상응하는 블록데이터 즉, 재생대상 블록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140). 재생대상 블록데이터의 추출을 위해 블록데이터에 포함된 시간정보가 참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중앙서버(200)는 추출한 재생대상 블록데이터로부터 관제영상을 추출하여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S150).
구현 예에 따라서, 각 노드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노드로으로 하여금, 상술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제1노드의 관제에 있어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노드가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관제영상의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블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노드가 생성한 블록데이터를 제1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하고 중앙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타노드에 상기 블록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 데이터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관제영상의 파일식별정보, 상기 제1관제영상이 저장되는 서버식별정보, 상기 제1관제영상에 상응하는 시간정보, 상기 제1관제영상에 대한 담장자 정보, 또는 상기 제1관제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노드는,
    복수의 목적들별로 관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블록체인은 상기 제1관제영상 중 제1목적에 해당하는 관제영상에 상응하는 블록 데이터만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체인에 결합되는 상기 블록데이터는 상기 제1노드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노드 중 제2노드의 관제에 있어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노드가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2관제영상에 대응하는 제2블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노드가 생성한 상기 제2블록데이터를 상기 제1블록체인 또는 제2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하고 타노드에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2노드가 생성한 블록데이터를 상기 제1블록체인 또는 상기 제2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하고 타노드에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제2노드가 상기 제2블록데이터를 상기 제2블록체인에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블록체인은 상기 제2노드에 의해 생성된 블록데이터만 결합되는 블록체인이거나, 상기 제2관제영상 중 제2목적에 해당하는 관제영상의 블록데이터만이 결합되는 블록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방법.
  6.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7.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제1노드;
    중앙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타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노드는,
    관제를 수행하면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관제영상의 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블록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블록데이터를 제1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저장하고 중앙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타노드에 상기 블록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 데이터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관제영상의 파일식별정보, 상기 제1관제영상이 저장되는 서버식별정보, 상기 제1관제영상에 상응하는 시간정보, 상기 제1관제영상에 대한 담장자 정보, 또는 상기 제1관제영상의 해시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노드는,
    복수의 목적들별로 관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블록체인은 상기 제1관제영상 중 제1목적에 해당하는 관제영상에 상응하는 블록 데이터만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체인에 결합되는 상기 블록데이터는 상기 제1노드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관제시스템.
KR1020180081509A 2018-01-03 2018-07-13 블록체인을 활용한 cctv영상의 디지털 증거 무결성 및 진본성 확보방법 및 시스템 KR102214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642 2018-01-03
KR1020180000642 2018-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295A KR20190083295A (ko) 2019-07-11
KR102214847B1 true KR102214847B1 (ko) 2021-02-10

Family

ID=6725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509A KR102214847B1 (ko) 2018-01-03 2018-07-13 블록체인을 활용한 cctv영상의 디지털 증거 무결성 및 진본성 확보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870B1 (ko) * 2019-03-26 2020-03-03 옥타코 주식회사 생체인증과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관제 접촉흔적 관리 시스템
KR102174611B1 (ko) 2019-08-12 2020-11-06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랙박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생성 방법
KR102242111B1 (ko) * 2019-11-22 2021-04-20 김성연 블록체인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53673B1 (ko) * 2019-12-18 2020-09-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엣지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능형 cctv 영상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그리고 기록매체
KR102453076B1 (ko) 2021-03-25 2022-10-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의 무결성을 지원하는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438501B1 (ko) * 2022-04-21 2022-09-01 주식회사 코코넛랩 프레임 최적화를 이용한 고화질 실시간 관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14B1 (ko) * 2006-06-15 2008-01-04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Usn 기반 상황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101291000B1 (ko) 2013-02-22 2013-07-30 (주)파슨텍 고해상도 카메라 기반의 지역분산형 통합관제시스템
KR102296226B1 (ko) * 2014-09-22 2021-08-30 주식회사 케이티 사물인터넷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센서 노드의 배터리 교체 방법
KR20170141926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옵토스타 저전력으로 영상촬영 및 무선전송이 가능한 급수시설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295A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847B1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cctv영상의 디지털 증거 무결성 및 진본성 확보방법 및 시스템
US101763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video using watermarks
KR102153673B1 (ko) 엣지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능형 cctv 영상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그리고 기록매체
CN110795755B (zh) 基于区块链的建筑项目场景式存证不可篡改方法及系统
JP4778361B2 (ja) 認証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装置の装置確認方法
CN108549825A (zh) 一种文件存证、验真和举证方法及装置
US20230074748A1 (en) Digital forensic image verification system
KR10221312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109150800A (zh) 一种登录访问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101847618B1 (ko) 영상 보안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 객체 마스킹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키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영상 보안 시스템
Mercan et al. Blockchain‐based video forensics and integrity verification framework for wireless Internet‐of‐Things devices
KR20190083296A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cctv영상의 디지털 증거 무결성 및 진본성 확보시스템
CN117319596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视频会议用信息安全系统及方法
KR20210035757A (ko)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JP2023511248A (ja) 固有属性に基づくコンテンツ認証
KR102083870B1 (ko) 생체인증과 블록체인을 이용한 영상관제 접촉흔적 관리 시스템
CN115865537B (zh) 基于中心化系统管理的隐私计算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307440A (zh) 一种利用区块链技术保护在线教育教学视频产权的方法
CN112966042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执法记录仪信息处理方法及系统
CN103383814A (zh) 一种违章抓拍方法
KR102167026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cctv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0945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chain of custody of body worn cameras
Vimal et al. Development of cloud integrated internet of things based intruder detection system
US20180102906A1 (en) Authentication of a new device by a trusted device
KR20190135780A (ko) 단말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