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120B1 -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120B1
KR102213120B1 KR1020190021806A KR20190021806A KR102213120B1 KR 102213120 B1 KR102213120 B1 KR 102213120B1 KR 1020190021806 A KR1020190021806 A KR 1020190021806A KR 20190021806 A KR20190021806 A KR 20190021806A KR 102213120 B1 KR102213120 B1 KR 10221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nformation
converted
original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394A (ko
Inventor
이완연
김영민
신영미
장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데이터
주식회사 인텔리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데이터, 주식회사 인텔리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데이터
Priority to KR102019002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12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15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z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영상을 변환한 변환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분산 노드로 구성되는 블록체인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영상을 변환한 변환 동영상 및 이들 동영상들과 관련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동영상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관리 서버는,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결되어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 및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영상 관리 서버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동영상 관리 서버는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CONTRACT OF CONTENT SHARING FOR INTEGRITY VERIFICATION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동영상 파일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원본으로부터 변환된 변환 동영상을 추적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및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고 시청하는 등의 서비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동영상 편집 기술도 함께 발전되고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원본 동영상을 편집하거나 조작하여 인터넷에 유포되고 있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공 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얼굴과 음성을 합성한 가짜 동영상(Deep Fake 영상)이 유튜브 등과 같은 동영상 플랫폼에서 유포되어 심각한 사회적 혼란을 발생시킨 사례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일반인도 손쉽게 가짜 동영상을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어서 점차 그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인공 지능 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정밀도가 향상되어 이를 탐지하는 기술은 한계가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나 CCTV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나 블랙박스 영상 등도 범죄 사고나 교통 사고 발생시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편집 소프트웨어 등에 의한 조작 편집이 용이하고 원본 영상을 교묘하게 편집하여 위변조된 영상에 의한 피해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6162호(2017.06.12.공고)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편집 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필드 시그너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편집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동영상 편집툴을 사용하면, 편집 이후에 재압축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편집툴의 압축 방법의 흔적이 남는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동영상 파일의 헤더 영역을 분석하여 동영상 편집툴을 사용한흔적을 찾는 방법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0429호(2018.08.21.공고)는, 동영상 녹화 장치의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동영상 파일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동영상 녹화장치에서 녹화된 동영상을 압축하여 파일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장치별로 동영상 파일의 헤더 구조가 달라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의 헤더 영역을 분석하여 녹화장치의 흔적을 찾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검사 대상 동영상 파일이 재가공(변환)이 전혀 없다는 가정에서 기반한 것이고, 녹화 동영상을 유튜브와 같은 인터넷 상에 업로드할 때 대부분은 인터넷에 적합하도록 파일 포맷을 변환하는데 변환된 동영상 파일에 대해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무결성 훼손 여부를 검출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6162호(2017.06.12.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0429호(2018.08.21.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동영상 파일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원본으로부터 변환된 변환 동영상을 추적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으로서,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영상을 변환한 변환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분산 노드로 구성되는 블록체인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영상을 변환한 변환 동영상 및 이들 동영상들과 관련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동영상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관리 서버는,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결되어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 및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영상 관리 서버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동영상 관리 서버는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동영상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동영상 관련 부가 정보는, 원본 동영상의 소유자 정보, 장소 정보, 시간 정보,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는,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 시간 정보, 장소 정보, 검색어 정보, URL 정보, 지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는, 원본 동영상 블록 정보, 시간 정보, 차이점 정보, 검색어 정보, URL 정보, 지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는, 영상 저장 포맷, 압축 코덱 종류, 압축 코덱 파라미터, 파일 헤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차이점 정보는, 상기 원본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의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추가적으로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동영상에 상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지불 절차를 수행한 후,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동영상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방법으로서, 동영상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저장하고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이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 동영상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변환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저장하고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이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제4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영상 관리 서버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동영상 관리 서버가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동영상 파일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원본으로부터 변환된 변환 동영상을 추적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데이터의 위조 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에 기초하여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영상을 재가공하여 악의적인 위변조 및 편집으로 인한 각종 문제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영상 콘텐츠 정보를 제3자와 공유함으로써 공공의 가치(타인 사건/사고의 증거 활용, 여행 사전 탐사) 창출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에 의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노드(21~26)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100, 이하, 간단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동영상 관리 서버(10) 및 블록체인 시스템(20)을 포함한다.
동영상 관리 서버(10)은 사용자 단말기(30,40)로부터 전송되는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영상을 변환한 변환 동영상 및 이들 동영상과 관련된 동영상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동영상 관리 서버(10)는 블록체인 시스템(20)과 연결되어 블록체인 시스템(20)으로 원본 동영상 또는 변환 동영상과 관련된 메타 정보를 전송하며, 블록체인 시스템(20)을 통한 사용자 단말기(30,40)로부터의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30,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30,40)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종래 알려져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 동영상을 변환한 변환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분산 노드(distributed node, 21~26(도 4 참조))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의 분산 노드(21~26)들은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전술한 동영상 관리 서버(10)와 연동하여 블록체인 기반 동영상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블록체인 시스템(20)은, 동영상 관리 서버(10)로부터 원본 동영상 및 변환 동영상에 대한 메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해 두고, 사용자 단말기(30,40)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영상 관리 서버(10)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동영상 관리 서버(1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0,40)로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이러한 과정에 대해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기(30)가 동영상 관리 서버(10)에 원본 동영상 및 원본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한다(S100).
여기에서, 원본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는 원본 동영상의 소유자 정보, 장소 정보, 시간 정보,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소유자 정보는 원본 동영상을 촬영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의미하며, 장소 정보는 원본 동영상이 촬영된 주소 등과 같은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시간 정보는 원본 동영상이 촬영된 시간을 의미하며, 검색어 정보는 해당 원본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태그 정보와 같은 정보를 의미한다.
동영상 관리 서버(10)는 수신된 원본 동영상 및 원본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저장한다(S110). 이 때, 동영상 관리 서버(10)는 원본 동영상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동영상 관리 서버(10)는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S120).
여기에서,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는,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 시간 정보, 장소 정보, 검색어 정보, URL 정보, 지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는, 해당 동영상 파일의 헤더(header)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로서, 예컨대, 영상 저장 포맷, 압축 코덱 종류, 압축 코덱 파라미터, 파일 헤더 구조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으며, 이들은 동영상 파일을 촬영한 녹화 장치 및 녹화 장치에서의 압축 소프트웨어의 동작 특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는, 동영상 관리 서버(10) 또는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무결성 검증에 사용된다.
시간 정보, 장소 정보, 검색어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URL 정보는 원본 동영상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주소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지불 정보는, 해당 원본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30,40)로 전송할 때의 사용자가 지불해야 하는 금액 정보로서, 해당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사용되는 토큰(token) 액수 정보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를 생성하고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한다(S130). 따라서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의 전송은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를 생성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볼 수 있다. 즉,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의 전송은 블록체인 시스템(20)에서 동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스마트 계약)를 배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가 생성되면,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노드(21~26)는 이를 다른 노드(21~26)로 전송하여 공유 저장되도록 하는데, 이는 실제적으로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을 구성하는 노드(21~26) 중 어느 하나에서 해당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block)을 생성하고 노드(21~26)간에 해당 블록이 P2P 네트워크에 의해 공유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30)는 동영상 관리 서버(10)에 원본 동영상을 변환한 변환 동영상 및 변환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전송한다(S140).
여기에서, 변환 동영상이라 함은, 원본 동영상에 기초하여 원본 동영상이 변형된 동영상을 의미하며, 예컨대 원본 동영상의 일부 구간을 잘라낸 동영상이거나 자막을 추가한 동영상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원본 동영상을 새로 압축한동영상이거나 포맷을 변환한 동영상 등과 같은 것도 변환 동영상으로 볼 수 있다. 즉, 변환 동영상은 원본 동영상에 내용 또는 형식면에서 어떠한 형태라도 변형이 된 동영상을 의미한다.
변환 동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는 변환 동영상의 소유자 정보, 시간 정보,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동영상 관리 서버(10)는 수신된 변환 동영상 및 변환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저장하고(S150),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S160). 이 때에도, 동영상 관리 서버(10)는 변환 동영상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는, 원본 동영상 블록 정보, 시간 정보, 차이점 정보, 검색어 정보, URL 정보, 지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원본 동영상 블록 정보는,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정보로서, 블록체인 시스템(20) 내에서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의 주소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차이점 정보는, 원본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는데, 이는 원본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의 차이점을 검출하는 무결성 검증 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무결성 검증 장치는,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의 변환 여부를 검증하는 장치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저장 포맷, 압축 코덱 종류, 압축 코덱 파라미터, 파일 헤더 구조 등과 같은 정보를 동영상 파일을 촬영한 녹화 장치에서의 압축 소프트웨어의 동작 특성을 사전에 조사하여 시그니쳐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비교 대상 동영상 파일의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시그니쳐 형태의 데이테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과 비교하는 방법에 의해 변환 여부 및 차이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결성 검증 장치는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은 아니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시간 정보, 검색어 정보, URL 정보, 지불 정보는 앞서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수신한 블록체인 시스템(20)은,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앞서 단계(S130)에서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하고,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에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추가적으로 등록 저장한다(S170,S180). 따라서,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의 전송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기 위한 트랜잭션으로 볼 수 있다.
도 3은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에 의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본 동영상의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노드(21~26)에 저장되어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가 블록체인 시스템(20)으로 전송되면, 블록체인 시스템(20)은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에 포함된 원본 동영상 블록 정보에 의해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판별하고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가 포함된 블록의 해쉬값을 계산하고 이를 포함하는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저장하는 블록을 생성한다. 따라서 도 3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 블록이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40)가 블록체인 시스템(20)으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90).
여기에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40)가 동영상 관리 서버(10) 또는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접속하여 시간 정보, 장소 정보, 내용 정보 등과 같은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에 나타난 동영상을 선택하는 방식에 의해 블록체인 시스템(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본 동영상 또는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에는 시간 정보, 장소 정보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를 통해 시간 정보, 장소 정보에 기초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본 동영상 또는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에는 검색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내용 정보는 검색어 정보를 기초로 하여 검색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동영상에 상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지불 절차를 수행한 후,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동영상 관리 서버(10)로 전송한다(S200).
여기에서, 지불 절차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시스템(20)의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의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는 이러한 지불 정보에 상응하는 토큰 등과 같은 암호 화폐 거래 정보가 포함되고, 블록체인 시스템(20)은 해당 암호 화폐를 동영상 관리 서버(10)의 계정으로 전송하는 등의 방식에 의해 지불 절차를 완료하고, 동영상 관리 서버(10)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210).
이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는 해당 동영상을 식별할 수 있는 동영상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동영상 관리 서버(10)는 해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동영상을 복호화한 후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S220).
이상에서 설명한 블록체인 시스템(20)과 동영상 관리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기(30,40)와의 연동에 의한 동영상 콘텐츠 공유 서비스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동작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체인 시스템(20)은 복수개의 분산 노드(21~26)에 의해 구성되며, 복수개의 노드(21~26)들은 피어투피어(Peer to Peer, P2P)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서로 직접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노드(21~26)들은 물리적으로는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정해진 합의(concensus) 알고리즘에 의해 서로 공유된 원장(ledger)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들 원장은 복수개의 블록이 연결된 체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비트코인(Bitcoin)이나 이더리움(Ethereum) 등과 같은 종래 기술의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block)들은, 블록체인 시스템(20)을 통한 거래 내역 정보인 트랜잭션(transaction)이 저장되는 블록 보디(body)와 블록 헤더(header)로 구성되며, 이들은 이른바 채굴자(miner) 노드들에 의한 작업 증명(PoW, Proof of Work) 등을 통해 생성되어 블록체인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이른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능을 포함하며,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란, 이더리움 블록체인 플랫폼에 의하여 알려진 것으로서, 비트코인과 같은 기존의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들이 단순한 거래 내역만을 저장하는 것에 비해, 프로그래밍에 의해 코드(code)로 구성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블록체인 시스템(20)에 저장해 두고 이를 블록체인 시스템(20)을 구성하는 노드(21~26)에서 실행시키고 그 실행 결과에 의한 거래 내역을 블록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실시예로서, 블록체인 시스템(20)을 구성하는 노드(21~26)들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블록체인 및 블록체인 시스템(20)의 개념 자체는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블록체인 시스템(20)의 구성 자체를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블록체인 시스템(20)은, 이더리움 등과 같은 누구에게나 개방된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특정한 사용자만으로 구성되는 폐쇄형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의 노드(21~26)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노드(21~26)들은 통신부(211), 블록 저장부(212), 가상 머신(213) 및 블록 생성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1)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을 구성하는 노드(21~26)들과의 P2P 연결과 동영상 관리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기(30,40)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며, 블록 저장부(2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을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의 블록 저장부(212)에는 거래 내역 및 정보를 저장하는 원장(ledger)이 저장되며, 이는 노드(21~26)들간에 P2P 연결에 의해 공유된다.
가상 머신(virtual machine,213)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시스템(30)에서 원본 동영상 및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저장해 두고, 이를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기(30,40)로부터의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동영상 관리 서버(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일실시예로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영상 관리 서버(10)가 블록체인 시스템(20)으로 전송하는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에 의해 블록체인 시스템(20)에 배포(deploy)되어 노드(21~26)의 블록 저장부(212)에 공유 저장된다.
또한, 동영상 관리 서버(10)로부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가 수신되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업데이트해 둔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30,40)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가 수신되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불 절차를 수행하고 동영상 관리 서버(10)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동영상 관리 서버(10)가 해당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30,40)로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블록 생성부(214)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수단이며, 이는 종래 기술의 블록체인 기술에서 채굴(mining)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며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블록체인 시스템(20)을 구성하는 노드(21~26)들은 기능적으로는 블록체인 시스템(20)을 위해서만 동작하고 동영상 관리 서버(10), 사용자 단말기(30,40)와는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기능적인 구분이며, 동영상 관리 서버(10)와 사용자 단말기(30,40)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20)을 구성하는 노드(21~26)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노드(21~26)의 구성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은 아니므로 기타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의 단계(S200)에서 블록체인 시스템(20)이 앞서 단계(S15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무결성 검증 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전송을 요청한 동영상이 원본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100...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10...동영상 관리 서버
20...블록체인 시스템
30,40...사용자 단말기
21~26...노드
211...통신부
212...블록 저장부
213...가상 머신
214...블록 생성부

Claims (7)

  1.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으로서,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영상을 변환한 변환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분산 노드로 구성되는 블록체인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영상을 변환한 변환 동영상 및 이들 동영상들과 관련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동영상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관리 서버는,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결되어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 및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동영상 관련 부가 정보는, 원본 동영상의 소유자 정보, 장소 정보, 시간 정보,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는,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 시간 정보, 장소 정보, 검색어 정보, URL 정보, 지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는, 원본 동영상 블록 정보, 시간 정보, 차이점 정보, 검색어 정보, URL 정보, 지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는, 영상 저장 포맷, 압축 코덱 종류, 압축 코덱 파라미터, 파일 헤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차이점 정보는, 원본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원본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의 차이점을 검출하는 무결성 검증 장치에 의해 상기 원본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의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되고,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추가적으로 등록 저장하고,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영상 관리 서버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동영상 관리 서버는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동영상에 상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지불 절차를 수행한 후,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동영상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방법으로서,
    동영상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원본 동영상과 원본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저장하고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이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
    동영상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변환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저장하고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이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제4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영상 관리 서버로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동영상 관리 서버가 동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관련 부가 정보는, 원본 동영상의 소유자 정보, 장소 정보, 시간 정보, 검색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는,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 시간 정보, 장소 정보, 검색어 정보, URL 정보, 지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는, 원본 동영상 블록 정보, 시간 정보, 차이점 정보, 검색어 정보, URL 정보, 지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는, 영상 저장 포맷, 압축 코덱 종류, 압축 코덱 파라미터, 파일 헤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차이점 정보는, 원본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원본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의 차이점을 검출하는 무결성 검증 장치에 의해 상기 원본 동영상과 변환 동영상의 동영상 파일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원본 동영상 메타 정보를 저장하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변환 동영상 메타 정보를 추가적으로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방법.
KR1020190021806A 2019-02-25 2019-02-25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213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06A KR102213120B1 (ko) 2019-02-25 2019-02-25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06A KR102213120B1 (ko) 2019-02-25 2019-02-25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394A KR20200103394A (ko) 2020-09-02
KR102213120B1 true KR102213120B1 (ko) 2021-02-05

Family

ID=7244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806A KR102213120B1 (ko) 2019-02-25 2019-02-25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523B1 (ko) * 2020-11-19 2022-07-21 주식회사 한빛소프트 웹어셈블리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변조 판별 방법
KR102418020B1 (ko) * 2021-01-28 2022-07-06 주식회사 코탑미디어 Xr 기반의 디지털 스튜디오를 위한 계층적 콘텐츠 블록체인 시스템
KR102398788B1 (ko) * 2022-02-21 2022-05-18 주식회사 코코넛랩 블록체인 기반 영상압축기술을 이용한 고화질 실시간 관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679627B (zh) * 2022-05-30 2022-09-06 广州卓远虚拟现实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点播数据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23109A1 (en) * 2015-05-01 2016-11-03 Monegraph, Inc. Rights transfers using block chain transactions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26B1 (ko) * 2015-04-27 2017-03-14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해시 코드를 이용하는 콘텐츠의 무결성 및 유효성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746162B1 (ko) 2016-02-26 2017-06-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검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결성 검증 방법
KR101890429B1 (ko) 2017-05-11 2018-08-21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주식회사 동영상 녹화 장치의 특성 정보에 기반한 동영상 파일의 무결성 검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23109A1 (en) * 2015-05-01 2016-11-03 Monegraph, Inc. Rights transfers using block chain transactions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394A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12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109409122B (zh) 文件存储方法及其电子设备、存储介质
EP3734489B1 (en) Evidence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ockchain evidence storage
KR101880935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 검증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장치, 이에 의한 디지털 영상 생성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영상의 검증방법
CN109741482B (zh) 一种信息共享方法及装置
CN109951490A (zh) 基于区块链的网页防篡改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0866265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存储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3765675B (zh) 一种交易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CN111488372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190107791A (ko) 블록체인 기반 차량 상황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125784B1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음성 녹취 데이터 검증 방법
KR20210035757A (ko)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997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ication of video integrity based on blockchain
CN111556148B (zh) 一种数据共享方法、数据共享平台和装置
CN112003925A (zh) 基于区块链的物联网数据存储方法和物联网系统
KR102120330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방식의 계약 단말 및 방법
CN112966042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执法记录仪信息处理方法及系统
Ma et al. A practical solution for blockchain-secured sharing of trustworthy traffic information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FR3112625A1 (fr) Système de gestion de contrats électroniques de la chaîne de blocs
CN112307516A (zh) 一种验证认证数字资产真实性的方法
JP726009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CN116684207B (zh) 一种基于区块链的监控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2010239B2 (en) Talking head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US11989813B2 (en) Talking head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on a distributed network
CN110599172B (zh) 基于区块链的资产信息处理方法和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