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846B1 -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 - Google Patents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846B1
KR102214846B1 KR1020180150227A KR20180150227A KR102214846B1 KR 102214846 B1 KR102214846 B1 KR 102214846B1 KR 1020180150227 A KR1020180150227 A KR 1020180150227A KR 20180150227 A KR20180150227 A KR 20180150227A KR 102214846 B1 KR102214846 B1 KR 10221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gps
information
module
gp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981A (ko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이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석 filed Critical 이용석
Publication of KR20190128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마다 각각 구비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자신의 상태정보-상기 상태정보는 위치정보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전송할 수 있는 GPS모듈, 및 상기 GPS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신호의 수신각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차폐 케이싱을 포함하는 GPS유닛,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GPS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른 주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GPS and GPS unit for it}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위치 및 시간을 알 수 있는 GPS유닛을 이용하여 복잡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서도 주차면에 차량의 주차여부를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으면서,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수신각도범위 제한을 통해 오작동 위험을 방지하고, 정확한 시간정보를 이용한 정확한 주차요금 징수가 가능함은 물론 허가된 사용자 외의 불법주차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차량이 주차될 수 있는 주차장은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 많을 경우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할 빈 주차면을 찾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차량 운전자는 빈 주차면을 찾기 위해 주차장 내부를 배회하거나 대기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많은 주차장들이 주차유도 시스템 혹은 주차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주차유도 시스템이나 주차관리 시스템들은 주차장 내의 통로에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거나, 주차가 가능한 빈 주차면의 개수를 안내하여 사용자가 주차장 내에 주차가능한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주차유도 시스템 혹은 주차관리 시스템의 경우,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주로 초음파 센서 등을 구비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초음파 센서의 경우, 차량이 아닌 다른 소형 물체(예컨대, 낙엽, 쓰레기 등)에 의한 오작동이나 파손의 위험으로 인해 실내 주차장이 아닌 야외 주차장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센서 단가나 설치비용, 유지/보수 비용이 상당하여 비용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대다수의 야외 주차장에서는 빈 주차면이 남아 있는지, 있다면 몇 개의 빈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나, 주차장 내에서 빈 주차면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알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야외 주차장이라 하더라도, 주차장의 진출입구에 별도의 관리 시스템이 없는 주차면 예컨대, 골목 등지에 구획된 거주자 우선 주차장이나 도로변의 노상 주차장에서는 주차시간을 정확히 산출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부당한 주차요금을 징수당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제대로 주차요금을 내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거주자 우선 주차장이나 주차장 정기 이용 고객과 같이 미리 허가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주차면의 경우, 별도의 주차관제 시스템을 통해 지속적인 감시를 수행하거나 단속 요원이 단속 출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의 불법 주차를 적발하기 쉽지 않아 허가된 사용자가 의도치않은 피해를 입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야외 주차장이나 노상 주차면에서도 차량의 주차 여부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면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 사용자의 주차시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에 사용자는 주차장에 직접 방문하기 전에는 주차장 내에 주차가능한 빈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막상 주차장을 방문한 이후 빈 주차면이 있는 다른 주차장을 찾아 헤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차장을 방문하기 전, 각 주차장의 위치 및/또는 각 주차장별 주차정보(빈 주차면 개수 및/또는 빈 주차면 위치 등)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276320,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복잡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도 GPS유닛을 이용하여 주차면에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GPS유닛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각도범위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이나 차량, 지면 등 각종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의 수신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GPS유닛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여부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주차면에 주차하는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주차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주차요금 징수가 투명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주차장을 방문하기 전, 각 주차장의 위치 및/또는 각 주차장별 주차정보(빈 주차면 개수 및/또는 빈 주차면 위치 등)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주차 여부가 판단되는 시점에 사용자 단말기로 주차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주차요금 결제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마다 각각 구비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자신의 상태정보-상기 상태정보는 위치정보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전송할 수 있는 GPS모듈, 및 상기 GPS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신호의 수신각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차폐 케이싱을 포함하는 GPS유닛,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GPS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른 주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케이싱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 내에 상기 GPS모듈이 위치하여 상기 홈에 의해 상기 신호의 수신각도범위가 제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모듈은, 상기 홈 내에서 상기 홈의 깊이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케이싱은,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돔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케이싱은, 상기 홈을 이루는 상기 차폐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을 중심으로 이동되어 상기 홈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GPS유닛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 개의 GPS유닛들 중 적어도 일부를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그룹 내의 GPS유닛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를 상기 주차장의 위치정보로 특정하여, 특정된 상기 주차장의 위치정보를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에 따른 상기 주차정보의 변동을 소정 범위 내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의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목적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목적지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다른 주차면으로 주차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목적지를 중심으로 상기 다른 주차면의 위치에 따라 주차요금이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마다 각각 구비되어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자신의 상태정보-상기 상태정보는 위치정보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전송할 수 있는 GPS유닛,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GPS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에서 상기 GPS유닛과 상기 인공위성 간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GPS유닛에 상응하는 주차면이 주차가능한 빈 주차면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태정보에서 상기 GPS유닛과 상기 인공위성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GPS유닛에 상응하는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허가된 사용자에 의한 주차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상응하는 주차정보를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상기 GPS유닛의 위치정보 및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허가된 사용자에 의한 주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판단결과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주차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마다 각각 구비되어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자신의 상태정보-상기 상태정보는 위치정보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전송할 수 있는 GPS유닛,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GPS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에서 상기 GPS유닛과 상기 인공위성 간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GPS유닛에 상응하는 주차면이 주차가능한 빈 주차면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태정보에서 상기 GPS유닛과 상기 인공위성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GPS유닛에 상응하는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상기 GPS유닛의 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주차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 소정 금액 또는 소정 비율만큼 할인된 주차요금이 결제될 수 있도록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 소정 금액 또는 소정 비율만큼 할인된 주차요금이 결제될 수 있도록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특정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유닛은, 주차면에 구비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자신의 상태정보-상기 상태정보는 위치정보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전송할 수 있는 GPS모듈, 및 상기 GPS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신호의 수신각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차폐 케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GPS모듈과 상기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주차면의 주차여부가 상기 GPS모듈과 통신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복잡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도 GPS유닛을 이용하여 주차면에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GPS유닛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각도범위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이나 차량, 지면 등 각종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의 수신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GPS유닛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여부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면에 주차하는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차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주차요금 징수가 투명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차장을 방문하기 전, 각 주차장의 위치 및/또는 각 주차장별 주차정보(빈 주차면 개수 및/또는 빈 주차면 위치 등)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주차 여부가 판단되는 시점에 사용자 단말기로 주차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주차요금 결제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면에 설치된 GPS유닛에 의해 반사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유닛의 수신각도범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PS유닛의 수신각도범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주차정보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GPS유닛별로 부여된 식별정보를 이용한 그룹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p)에 각각 구비되는 GPS유닛(10)과 제어 시스템(1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제공되는 주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GPS유닛(10)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전파)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예컨대, 경도, 위도, 표고 등)를 알 수 있는 GPS 모듈과, 상기 제어 시스템(200)으로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LTE 통신망 또는 사물인터넷(IoT) 전용 통신망(예컨대, LoRa망, NB-IoT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통신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혹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면 무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GPS유닛(10)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및/또는 상기 GPS유닛(10)과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상태에 대한 정보(예컨대, 통신연결 또는 통신연결해제(끊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상태정보에는 상기 GPS유닛(10)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GPS유닛(10)은 상기 상태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예컨대, 인공위성과 통신 연결상태가 변경(연결 중 연결해제되거나, 연결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된 경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GPS유닛(1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GPS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오차가 적게는 수십 센티미터부터 많게는 십 수미터까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통 2 ~ 3미터 간격으로 구획되는 주차면들이 복수 개 존재하는 주차장의 경우, 각각의 주차면들을 단순히 GPS의 위치정보만으로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GPS유닛(10) 각각은 고유의 식별정보를 미리 부여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주차면들을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GPS유닛(10)은 일반적인 GPS에 비해 정밀도가 크게 향상된 SBAS(Sata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위성기반 위치보정시스템)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SBAS의 경우 인공위성으로부터 직접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일반적인 GPS에 비해, 지상에 설치된 기준국 및 중앙처리국을 통해 다수의 인공위성(GPS 위성)들과 위치정보를 주고받으며 오차를 보정하고, 보정된 위치정보가 다시 정지궤도위성을 거쳐 수신기(사용자 단말기, 네비게이션 등)로 전송되게 되어 오차범위가 기존의 GPS에 비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GPS유닛(10)으로 칭하지만 반드시 GPS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 및/또는 시간정보의 파악이 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GPS유닛(10)은 주차면이 구비된 노면 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GPS유닛(10)이 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면서 GPS유닛(10)의 일 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서 주차면에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데 GPS유닛(10)과 인공위성과의 통신연결/연결해제 여부를 이용하게 되는데, 차량이 주차면에 주차되어 GPS유닛(10)을 완전히 가리는 경우에 GPS유닛(10)과 인공위성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어 상기 GPS유닛(10)의 설치위치는 주차면의 중앙 부근이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PS유닛(10)이 주차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바퀴 또는 사용자의 발에 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은 물론 GPS유닛(10) 자체의 파손 위험이 있으므로 GPS유닛(10)의 설치시 GPS유닛(10)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GPS유닛(10)의 일면은 주차면 상에서 차량의 바퀴나 사용자의 발에 밟힐 수 있는데, 이러한 외부 충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강인한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GPS유닛(1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GPS유닛(10)에 대응되는 주차면의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주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이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이 포함된 주차장을 관리하는 소정의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제공(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이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GPS유닛(1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10),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주차장의 관리를 위한 소정의 관리 시스템(미도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소정의 서버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과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단말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00)이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관리 시스템(미도시)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면 혹은 주차장의 관리를 위한 주차관제 시스템이나 주차유도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은 주차면 혹은 주차장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은 상기 관리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주차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자가 주차면의 사용 여부, 정확한 사용시간(주차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하거나,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주차면에 허가된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가 주차면 사용(즉, 차량의 주차)에 따른 주차요금 징수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불법주차 단속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의 일부의 구성은 소정의 서버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의 구성은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분산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버와 상기 제어 시스템(100) 및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이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즉,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의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 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시스템(100)과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주차정보의 제공과 함께 주자관제 혹은 주차유도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평소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역시 자신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면서 상기 제어 시스템(100)과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전술한 모바일 단말기뿐 아니라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 역시 단순히 자신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수행하는 것은 물론, 상기 제어 시스템(100)과 소정의 통신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모듈(110)은 상기 GPS유닛(1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GPS유닛(10)과 통신하는 상기 수신모듈(110) 및 사용자 단말기(200)/관리 시스템(미도시)과 통신하는 상기 통신모듈(120)을 구분하고 있으나, 상기 수신모듈(110) 및 상기 통신모듈(120)이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다른 구성요소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수신모듈(110) 및 상기 통신모듈(120)은 상기 GPS유닛(1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관리 시스템(미도시) 등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모듈(110)에 의해 상기 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GPS유닛(10)에 대응되는 주차면(p)의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면(p)의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이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면, 주차면(p)에 주차한 차량이 없는 경우, 상기 GPS유닛(10)은 인공위성(s)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GPS유닛(10)이 상기 인공위성(s)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GPS유닛(10)이 상기 상태정보에 상기 인공위성(s)과의 통신연결 중인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해당 주차면(p)이 주차가능한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상기 주차면(p)에 차량(c)이 주차된 경우에는, 상기 GPS유닛(10)이 상기 차량(c)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인공위성(s)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상기 GPS유닛(10)과 인공위성(s)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상태정보에 통신연결이 해제되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GPS유닛(10)과 상기 인공위성(s) 간의 통신연결이 해제된 시점부터 해당 주차면(p)에 주차가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상기 GPS유닛(10)은 사용자가 빈 주차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발광수단(예컨대, LE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GPS유닛(10)이 상기 인공위성(s)과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경우 즉, 주차면이 비어있는 경우에는 발광하여 사용자가 빈 주차면을 찾기 용이하도록 하고, 차량이 주차되어 상기 GPS유닛(10)과 상기 인공위성(s)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GPS유닛(10)은 태양열 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충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GPS유닛(10)은 인공위성(s)과의 통신 연결 여부와 함께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므로, 각 GPS유닛(10)의 위치정보에 따라 주차장 내의 어느 주차면에 차량(c)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종래의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초음파 센서가 낙엽이나 소형 쓰레기 등에 의해 가려지면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비해 GPS유닛(10)의 경우 차량(c)이 주차면(p)을 커버하기 전에는 인공위성(s)과의 통신이 지속될 수 있어 야외 노상에 구획된 주차면(p)에서도 용이한 주차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주차면(p)에 차량(c)의 주차 여부만을 파악할 수 있는 종래의 주차관리 시스템과 달리,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주차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서도 상대적으로 정확한 주차시간(주차 시작 시간 및 주차 종료(출차)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GPS가 위도, 경도, 표고 등의 위치정보는 물론 정확한 시간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GPS유닛(10)이 설치된 상기 주차면(p)에 차량(c)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라 해도, 상기 인공위성(s)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건물이나 주변 차량, 기타 장애물, 및/또는 지면 등에 반사되어 차량(c)의 하부로 진입, 상기 GPS유닛(10)에 의해 수신될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 주차면(p)에 상기 차량(c)이 주차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인공위성(s)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GPS유닛(10)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차량(c)이 주차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여지가 있다.
이러한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면에 설치된 GPS유닛에 의해 반사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주차면(p)에 설치된 GPS유닛(10)을 충분히 가리도록 차량(c)이 주차되어 있는 상황이 도시되고 있다. 이처럼 차량(c)이 GPS유닛(10)을 가리도록 주차면(p)에 주차되어 있더라도, 차량(c)의 하부 공간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된 신호가 상기 GPS유닛(10)에 도달할 수 있다.
이처럼 반사되어 차량(c)의 하부까지 진입하는 신호 즉, 반사신호(w)는 그 진입각도가 지면과 평행에 가까운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GPS유닛(10)이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c)이 주차된 상태에서 차량(c)의 하부를 통해 반사되어 진입하는 반사신호(w)가 GPS유닛(10)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GPS유닛(10)의 구성이 도 5에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유닛 및 GPS유닛의 수신각도범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유닛(10)은 GPS모듈(11)과, 상기 GPS모듈(11)이 수용되는 차폐 케이싱(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차폐 케이싱(12)은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돔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경우 차량(c)의 바퀴나 사용자의 발에 밟히더라도 원활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차폐 케이싱(12)의 형상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면이 돔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폐 케이싱(12)의 형상은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케이싱(12)은 상부가 개방되며,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형성된 홈 내에 상기 GPS모듈(11)이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차폐 케이싱(12)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폐 케이싱(12)의 재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충격에 강인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상기 홈 내부는 각종 신호(전파)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이 상기 차폐 케이싱(12)에 형성된 홈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GPS모듈(11)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각도범위가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c)의 하부 공간을 통해 반사된 신호가 GPS유닛(10)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는, 차량(c)의 하부 높이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승용차에 비해, 트럭이나 버스와 같이 차량 하부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차량의 경우 차량(c)이 주차면(p)에 주차되어 있더라도 주차 여부 판단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c)의 종류, 또는 기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상기 GPS유닛(10) 즉, 상기 GPS모듈(11)이 신호를 수신할 수신각도범위를 설정(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차폐 케이싱(12)의 홈에 수용되는 GPS모듈(11)의 위치가 상기 홈 내부에서 상기 홈의 깊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간편하게 GPS모듈(11)의 수신각도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GPS모듈(11)은 상기 홈 내부에서 상기 홈의 깊이 방향으로 그 위치가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GPS모듈(11)이 상기 차폐 케이싱(12)에 형성된 홈 내부에 소정 깊이 이상 수용되도록 위치하는 경우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기 차폐 케이싱(12)의 상면에 가깝도록 상기 GPS모듈(11)이 위치하는 경우는 각각 그 수신각도범위(a 또는 b)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일반적인 승용차를 대상으로 상기 GPS모듈(11)의 수신각도범위가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직각이 되도록, 또는 직각에 가깝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GPS모듈(11)은 상기 차폐 케이싱(12)에 형성된 홈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차폐 케이싱(12)의 상면에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주차되는 차량의 하부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트럭이나 버스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GPS모듈(11)의 수신각도범위를 좁힐 필요가 있을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GPS모듈(11)의 위치를 상기 차폐 케이싱(12)에 형성된 홈 내부로 보다 깊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신각도범위가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60도 이내가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GPS모듈(11)의 수신각도범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수신각도범위를 이루는 각도나 기타 수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GPS모듈(11)의 상기 홈 내에서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고, 구현 예에 따라 별도의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GPS모듈(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의 상기 홈 내에서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GPS모듈(11)의 수신각도범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PS유닛 및 GPS유닛의 수신각도범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GPS유닛(10)은, 상기 차폐 케이싱(12)에 형성된 홈 내부에서 상기 GPS모듈(11)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케이싱(12)에 형성된 홈의 각도 즉, 상기 홈의 내벽(1)이 형성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GPS모듈(11)의 수신각도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홈의 하단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홈을 이루는 차폐 케이싱(12)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홈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홈의 각도가 조절되면, 상기 GPS모듈(11)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각도범위(a 또는 b)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홈의 각도 역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고, 소정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홈의 각도 조절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30)이 상기 GPS유닛(1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통해 주차면(p)의 주차가능여부를 파악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이를 이용하여 주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차정보는, 단순히 주차면(p)의 위치나 각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물론, 복수 개의 주차면(p)들이 포함된 주차장에서 주차가능한 빈 주차면(p)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정보의 구현 예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주차정보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주차정보는 주차장에 총 주차면 수와, 이 중 주차가능한 주차면의 개수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주차장의 위치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주차장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나, 인근에 다수의 주차장들이 있는 경우에도 각 주차장들의 위치와 함께, 각 주차장별로 현재 주차가능한 주차면의 개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장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주차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주차장의 주차면들을 이미지로 표시하고, 현재 주차가능한 주차면(차량이 없이 비어있는 주차면)과 주차불가능한 주차면(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주차면)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먼저 도 7에서 설명한대로 지도 상에 주차장의 위치와 주차가능한 주차면 수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 주차장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주차장의 주차면을 도 8과 같이 상세히 표시하는 방식으로 상기 주차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주차정보는 상기 GPS유닛(1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직접 주차장에 방문해보기 전에 주차장의 위치는 물론 어떤 주차장에 주차가능한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미리 알 수 있어 사용자가 주차공간이나 주차장을 찾아 헤매는 불필요한 시간이나 노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차정보에 복수 개의 주차면(p)들이 포함된 주차장의 위치가 포함되는 경우, GPS유닛(10)의 특성상 발생할 수밖에 없는 오차때문에 복수 개의 주차면(p)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 각각을 정확히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주차장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 개의 GPS유닛(10)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모두 표시하는 것은 오히려 불필요한 과잉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주차면(p)들 각각에 대응되는 GPS유닛(10)들을 그룹핑(grouping)하고, 그룹의 위치정보를 해당 주차장의 위치정보로 특정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GPS유닛별로 부여된 식별정보를 이용한 그룹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어느 주차장 내에 구획된 복수 개의 주차면들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GPS유닛(10)들이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GPS유닛(10)들은 각각 고유의 식별정보(예컨대, #1 ~ #21)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복수 개의 GPS유닛(10)들의 식별정보(예컨대, #1 ~ #21)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GPS유닛(10)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복수 개의 GPS유닛(10)들 전체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복수 개의 GPS유닛(10)들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그룹핑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 개의 GPS유닛(10)들이 그룹핑되면, 상기 제어모듈(130)은 해당 그룹의 위치정보 즉, 그룹 내에 속한 GPS유닛(10) 중 어느 하나의 위치정보를 주차장의 위치정보로 특정하고, 특정된 주차장의 위치정보를 주차정보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차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물론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주차정보가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각 주차면(p)의 주차가능여부 및/또는 빈 주차면의 개수가 주차장에 구비된 주차유도 시스템 혹은 주차안내 시스템 등을 통해 주차장에 방문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정보가 주차장의 입구 및/또는 주차장 내부 통로에 구비된 일반적인 주차유도 시스템에 반영되어 주차장이 진입한 사용자가 빈 주차면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주차장에 구비되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주차장 내의 주차가능한 주차면 개수를 표시하거나, 빈 주차면이 있는 방향으로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 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주차유도 시스템의 경우 주로 실내 주차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야외 주차장의 경우 파손 위험과 오작동 위험이 있어 사용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야외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빈 주차면을 찾아 주차장을 배회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야외 주차장에서도 상기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주차정보를 이용하여 주차가능한 주차면(즉, 빈 주차면)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구현 예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c)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를 입력하여 차량(c)을 운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차량(c)이 목적지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전술한 주차정보가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차량(c)이 주차장에 진입하거나, 주차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해당 주차장 내부의 주차면들 각각에 대한 주차정보(즉, 빈 주차면 위치 등)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단순히 미리 저장된 주차장의 위치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목적지 근처에 도달한 경우 목적지 인근의 주차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특히 야외에서 주차면의 사용 여부 즉, 주차가능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본 발명은 대규모 야외 주차장은 물론, 골목 등지에 미리 정해진 사용자에게만 허락된 주차면(예컨대,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등)의 주차면 사용 여부도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어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파악하기에도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내에서 지정된(또는 미리 허가된) 사용자만 이용하도록 정해진 주차면이나, 골목 등에 허가된 사용자만 사용 가능한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도로변에 주차가 가능한 노면 주차면 등과 같은 경우, 허가된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는 사이에 허가받지 않은 다른 사용자가 주차를 하거나, 주차요금을 결제하지 않고 주차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허가된 사용자는 불법주차된 차량의 차주가 돌아와 차량을 이동하거나, 관리자 혹은 단속 요원에 의해 불법주차된 차량을 견인하는 등의 조치가 취해지기 전까지 자신의 차량을 주차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관리자의 입장에서도, 주변에 별도의 불법주차 단속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불법주차되는 차량이 주차된 정확한 시간을 알기 어려워 나중에라도 주차요금을 제대로 징수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심지어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주차되는 것 자체를 알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입구에서부터 차량을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된 주차장이 아닌, 도로변이나 골목 등에 구비된 노상 주차면이나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등에서 더욱 심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의 불법주차를 일일이 단속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GPS유닛(10)을 이용하여 주차면(p)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특히 야외, 노상에서 주차면(p)을 관리하기 용이할 수 있다. 즉, 야외나 노상이라 할지라도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하는 시점에서 관리자가 이를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에게만 허가된 주차면(p)에 대하여, 허가된 사용자가 주차하는지,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불법주차를 하는지 여부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특정 주차면(p)의 사용을 허가받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 위치정보와, 상기 특정 주차면(p)에 구비된 GPS유닛(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주차된 차량이 허가받은 사용자의 차량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어 GPS유닛(10)이 인공위성(s)과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어 주차면(p)이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주차된 차량이 허가된 사용자의 차량인지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차면(p)에 대응되는 GPS유닛(10)의 상태정보에 변동이 있는 경우(예컨대, 주차면(p)의 사용이 시작된 경우 즉, GPS유닛(10)과 인공위성(s)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주차정보를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되는 주차정보에는 상기 주차면(p)에 주차가 시작되었다는 정보와 함께, 허가된 사용자에 의한 정상적인 주차인지, 또는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불법주차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허가된 사용자가 차량을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주차한 경우라면,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상응하는 GPS유닛(10)의 위치정보와 상기 허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가 오차범위를 감안해도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었다고 판단된 시점과, 상기 위치정보들이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한 시점이 동일하다면, 상기 특정 주차면(p)에는 허가된 사용자가 정상적인 주차를 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각 주차면(p)별로 허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 정보를 미리 등록(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이처럼 허가된 사용자에 의한 정상적인 주차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차정보가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정확한 주차시작시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를 시작한 시점에 주차정보가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관리자의 주차관리에 유리할 수 있다. 결국, 정상적인 주차라고 판단되는 경우 주차정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전송될 수 있다.
만약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주차면(p)에 불법주차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된 시점에 상기 허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상기 GPS유닛(10)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특정 주차면(p)에 불법주차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주차정보를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된 시점에, 해당 주차면(p)의 위치로 관리자 혹은 단속 요원이 출동하여 바로 단속을 수행할 수 있어 허가된 사용자의 편의는 물론 단속의 효율 역시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정확한 시간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GPS의 특성을 이용하여, 주차면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확한 이용시간을 알 수 있어 주차요금 징수 역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이 관리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관리자 단말기로 구현되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포함된 경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주차된 차량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관리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전송된 주차정보에 따라 주차가 시작된 시간 또는 촬영이 수행된 시간을 주차시작 시간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의해 추출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시간정보를 통해 정확한 주차장 사용 여부가 확인될 수 있으므로, 관리자에 의해 불법주차 단속의 근거로 활용되거나 정확한 주차요금 징수를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주차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미리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 및 상기 GPS유닛(10)의 위치정보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즉, 허가된 사용자에 의해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허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주차요금 결제 여부를 묻는 소정의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주차면(p)에 차량을 주차한 시점에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주차요금을 미리 결제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허가된 사용자에 의해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이 아니라, 상기 허가된 사용자의 주차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되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허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와 주차면에 설치된 GPS유닛(10)의 위치정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 시작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가 상기 GPS유닛(10)의 위치정보로부터 소정 범위 밖으로 이탈하는 경우 즉, 주차가 종료되고 사용자의 차량이 이동을 시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또는 판단하기 전에), 상기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 즉, 해당 주차면(p)에 설치된 GPS유닛(10)의 위치정보와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시점에,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미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의 이용을 위해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 또는 차량의 주차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사용자 단말기(200)로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주차요금 결제를 위해 별도의 행위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주차시점에 편리하게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소정의 목적지를 방문하여 차량을 주차할 때, 목적지에 따라 유동인구나 상주인구가 많아 주차 공간(주차면(p))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장소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지 인근에 상대적으로 주차 공간에 여유가 있는 장소가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방문하는 목적지 외에 다른 주차 공간은 소유자나 관리자가 다른 경우가 많아, 사용자는 자신의 목적지에 빈 주차면(p)이 없어 주차 공간을 찾아 헤매면서도 목적지 인근의 다른 건물에 구획된 주차장에는 주차를 하기 쉽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만약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각각 다른 주차장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래 방문하려던 목적지에 소속된 주차장에 빈 주차면(p) 없는 경우 해당 목적지는 아니더라도 목적지 인근에 위치한 다른 주차면(p)으로 사용자의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목적지 주변에 빈 주차 공간(주차면(p))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어 빈 주차공간을 찾아 배회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각 주차장을 관리하는 관리주체의 입장에서도 비어있는 주차공간의 활용이 늘어날 수 있어 주차요금 징수에 따른 수입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목적지로 출발하면서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목적지를 입력하고 경로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GPS유닛(10)을 이용하여 주차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목적지를 향해 출발하는 시점 또는 사용자가 목적지 인근에 도착한 시점에 목적지에 구비된 주차면(p)들 중 주차가 가능한 빈 주차면(p)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에 빈 주차면(p)이 없는 경우,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목적지를 중심으로 목적지 인근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 다른 빈 주차면(p)으로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A라는 건물을 목적지로 지정하여 차량을 운행하는데 A 건물에 빈 주차면(p)이 없는 경우,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상기 A 건물 옆에 위치한 B 건물에 구비된 주차장으로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목적지(예컨대, A 건물)가 아닌 인근 다른 주차장(예컨대, B 건물에 구비된 주차장)으로 사용자를 안내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도 있고, 또는 구현 예에 따라서 자동으로 빈 주차면(p)으로 유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각각의 주차면(p)들마다 GPS유닛(1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주차 정보에 따라 빈 주차면(p)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빈 주차면(p)까지 사용자를 유도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자신의 목적지가 아닌 인근 다른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을 주차한 후 자신의 목적지까지 다시 이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목적지 인근의 다른 주차장에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하게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주차요금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참여를 적극 유도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에 구비된 주차장에 빈 주차면(p)이 없는 경우,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현재 인근에 빈 주차면(p)이 있는 다른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다. 이러한 확인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소정의 확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사전 동의를 받은 경우에는 빈 주차면(p)이 존재하는 목적지 인근 다른 주차장으로 자동으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래 가려던 목적지가 아닌 주변의 다른 주차면(p)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원래 목적지 주차장의 주차요금 및/또는 사용자가 현재 주차할 다른 주차면(p)의 주차요금에 비해 일정 수준 할인된 주차요금을 부과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주차요금은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를 중심으로 거리에 따른 차등요금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목적지를 중심으로 하여 거리가 멀어질수록 주차요금의 할인폭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목적지를 중심으로 소정 구간별로 주차요금의 할인율이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목적지가 아닌 다른 장소에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하게 되는 경우 일괄적으로 할인된 주차요금이 부과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를 목적지나 목적지 인근의 주차가능한 빈 주차면(p)으로 안내하여 사용자가 빈 주차면(p)을 찾아 배회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면서도, 목적지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다른 주차장에 주차를 하는 경우 주차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면(p)들을 관리하는 관리주체 역시, 빈 주차면(p)이 없이 붐비는 측에서는 주차장의 혼잡도를 분산시킬 수 있고, 빈 주차면(p)들이 존재하는 주변의 다른 관리주체는 주차장을 놀리지 않고 저렴한 요금이나마 주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어 수익개선에 도움이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통해 주차면(p)들을 관리하는 관리주체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들, 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들 중 일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할인된 주차요금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와 주차면(p)에 설치된 GPS유닛(10)의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또는 주차요금 할인이 적용되도록 지정된 사용자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 후 결제가 진행될 때 소정 금액이나 소정 비율만큼 할인된 주차요금이 결제되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의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이용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요금 할인 적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주차요금 할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보상차원에서 주차요금 할인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조건의 예를 들어보면, 어느 A 건물에 평상시 구비된 주차면(p)들의 수에 비해 주차되는 차량이 적어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차공간에 여유가 있는 건물이 있을 수 있다. 상기 A 건물에는 입주자가 예정보다 적거나, 입주자들의 차량 보유 수가 적을 수 있다.
이때 상기 A 건물의 주차면(p)들을 관리하는 관리주체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다른 건물을 방문하는 방문차량들에 대하여 주차요금 할인과 같은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주차를 유도하고, 이로 인해 주차면(p)들에 대한 운영비용을 보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상황에 따라 원래 상기 A 건물을 상시 이용하거나 상기 A 건물에 입주하고 있던 입주민들이 차량을 주차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만약 상기 A 건물의 입주자들이 차량 주차에는 큰 문제가 없더라도, 다른 차량들의 주차가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복잡해지는 주차장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상기 A 건물의 입주자들과 같은 경우, 다른 장소를 방문하여 차량을 주차할 때에 주차요금의 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A 건물의 입주자일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A 건물의 입주자들은 다른 사용자들과 주차면(p)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상황일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조건이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주차면(p)을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상기 다른 장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주차요금 할인과 같은 혜택을 적용함으로써, 차량들의 주차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주차면(p)들을 관리하는 관리주체의 입장에서도 주차요금을 할인하지만 보다 많은 차량들의 주차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주차면(p)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GPS유닛(10)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통해 소정의 입력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PS유닛(10)의 상태정보를 통해 특정 주차면(p)에 주차가 시작되었음이 파악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상응하는 사용자(즉, 허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소정의 입력정보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는 예컨대 비밀번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 주차면(p)의 사용을 위해 요금을 결제할 때 미리 발급되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가 특정 주차면(p)에 대응되는 GPS유닛(10)과의 위치정보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소정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주차가 시작된 경우, 주차정보가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될 수 있는데,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서는 주차가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입력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소정의 알림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입력정보가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는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불법주차일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서툰 조작으로 인해 입력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특정 주차면(p)에 차량이 주차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입력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알림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특정 주차면(p)으로 이동하여 불법주차인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거나 사용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알림정보는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음향이나 메시지, 또는 진동 등을 통해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반드시 지정된 하나의 특정 주차면(p)뿐 아니라 일반적인 주차장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주차장 내에 정상적으로 진입한 사용자에게 입력할 입력정보를 발급한 후, 사용자가 주차장 내에서 어떤 주차면에 주차하더라도 상기 입력정보의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발급되는 상기 입력정보는 종래의 주차권과 같이 발급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주차장 내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발급(예컨대,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문자 메시지, 푸시 메시지 등)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사용자는 목적지로 출발하기 전, 자신의 목적지 인근 주차장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제공되는 주차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주차장 내의 특정 주차면(p), 또는 노상의 특정 주차면(p)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미리 허가를 받을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목적지로 출발하기 전에 목적지 인근에 자신의 차량(c)을 주차할 주차면(p)을 미리 예약한 후, 자신의 차량(c)을 운행하여 미리 예약된 주차면(p)에 차량(c)을 주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특정 주차면(p)을 미리 선택하고,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요구되는 소정의 입력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주차면(p)의 사용을 미리 예약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입력정보의 입력과 함께 자신이 주차할 시간을 미리 지정하여 주차요금을 미리 결제할 수도 있다. 물론, 예약된 주차면(p)의 이용이 끝나고 주차면(p)에서 출차시에 주차요금이 결제될 수도 있다. 다만 주차면(p)의 예약시 예약만하고 실제 주차를 하지 않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해당 주차면(p)을 이용할 수 없게 될 수 있으므로, 주차면(p)의 예약시 소정의 예약금이 미리 결제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한 모바일 결제나 온라인 결제에 대한 기술적 사상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차면(p)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한 상기 입력정보의 입력 여부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는 사용자가 입력정보를 직접 보고 기억하거나 별도로 메모를 하였다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것이 번거로움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p)들 각각에 상응하는 인식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는 상응하는 주차면(p)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구비되어, 주차를 마친 사용자가 차량에서 내릴 때 용이하게 눈에 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인식부(미도시)는 QR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특정 주차면(p)에 자신의 차량을 주차한 후,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부(미도시)를 인식(스캔)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의해 소정의 정보가 상기 제어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식부(미도시)의 인식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예컨대, 차량을 주차한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차량정보, 및/또는 차량의 입/출차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특정 주차면(p)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의한 상기 인식부(미도시)의 인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이를 불법주차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상기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인식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을 주차하는 시점은 물론 차량의 출차시에도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부(미도시)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처음 상기 인식부(미도시)를 인식한 시점이 주차 시작 시점이 될 수 있으며, 이후 두 번째 인식되는 시점이 주차 종료 시점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주차요금이 징수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인식부(미도시)를 이용한 주차요금 징수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관리자에게 직접 요금을 납부하는 방식은 물론, 상기 인식부(미도시)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통해 모바일 및/또는 온라인 결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물론 관리자의 편의성도 한층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GPS유닛(10)과 인공위성(s) 간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 여부에 의해 주차면에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정확한 시간정보와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야외 주차장이나 노상 주차면에서도 사용자에게 주차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주차요금 징수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불법 주차 단속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마다 각각 구비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자신의 상태정보-상기 상태정보는 위치정보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전송할 수 있는 GPS모듈, 및 상기 GPS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신호의 수신각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차폐 케이싱을 포함하는 GPS유닛;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GPS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른 주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 케이싱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 내에 상기 GPS모듈이 위치하여 상기 홈에 의해 상기 신호의 수신각도범위가 제한될 수 있고,
    상기 GPS모듈은,
    상기 홈 내에서 상기 홈의 깊이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케이싱은,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돔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케이싱은,
    상기 홈을 이루는 상기 차폐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을 중심으로 이동되어 상기 홈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GPS유닛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 개의 GPS유닛들 중 적어도 일부를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그룹 내의 GPS유닛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를 주차장의 위치정보로 특정하여, 특정된 상기 주차장의 위치정보를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상태정보의 변경에 따른 상기 주차정보의 변동을 소정 범위 내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의 주차가능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목적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목적지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다른 주차면으로 주차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목적지를 중심으로 상기 다른 주차면의 위치에 따라 주차요금이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10.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마다 각각 구비되어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자신의 상태정보-상기 상태정보는 위치정보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전송할 수 있는 GPS유닛;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GPS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에서 상기 GPS유닛과 상기 인공위성 간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GPS유닛에 상응하는 주차면이 주차가능한 빈 주차면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태정보에서 상기 GPS유닛과 상기 인공위성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GPS유닛에 상응하는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상기 GPS유닛의 위치정보 및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허가된 사용자에 의한 주차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상응하는 주차정보를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판단결과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주차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13.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마다 각각 구비되어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자신의 상태정보-상기 상태정보는 위치정보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전송할 수 있는 GPS유닛;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GPS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상태정보에서 상기 GPS유닛과 상기 인공위성 간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GPS유닛에 상응하는 주차면이 주차가능한 빈 주차면으로 판단하고,
    상기 상태정보에서 상기 GPS유닛과 상기 인공위성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GPS유닛에 상응하는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차면에 주차가 시작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상기 GPS유닛의 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주차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 소정 금액 또는 소정 비율만큼 할인된 주차요금이 결제될 수 있도록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미리 설정된 목적지와 상기 주차면의 위치 간의 거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 중이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이 아닌 다른 장소의 주차면에 주차 여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주차면에 구비되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자신의 상태정보-상기 상태정보는 위치정보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전송할 수 있는 GPS모듈; 및
    상기 GPS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신호의 수신각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차폐 케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GPS모듈과 상기 인공위성과의 통신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주차면의 주차여부가 상기 GPS모듈과 통신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판단되고,
    상기 차폐 케이싱부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 내에 상기 GPS모듈이 위치하여 상기 홈에 의해 상기 신호의 수신각도범위가 제한될 수 있고,
    상기 GPS모듈은,
    상기 홈 내에서 상기 홈의 깊이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유닛.
KR1020180150227A 2018-05-09 2018-11-28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 KR102214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56 2018-05-09
KR20180053056 2018-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81A KR20190128981A (ko) 2019-11-19
KR102214846B1 true KR102214846B1 (ko) 2021-02-10

Family

ID=6877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227A KR102214846B1 (ko) 2018-05-09 2018-11-28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8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6016A (ja) * 2010-04-01 2011-10-27 Denso Corp 駐車位置案内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320B1 (ko) 2011-12-20 2013-06-18 와이엠디(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894233B1 (ko) * 2015-11-10 2018-10-04 신덕유 전파 수신방식 차량감지장치
KR20170073429A (ko) * 2015-12-20 2017-06-28 주식회사 모두컴퍼니 공유 주차 관제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공유 주차 관제 서버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6016A (ja) * 2010-04-01 2011-10-27 Denso Corp 駐車位置案内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81A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40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Tracking
US11688217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KR101676363B1 (ko) 주차장 관리용 공유주차 관리시스템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CN105185149A (zh) 一种停车场车位预定与导航系统
KR102187313B1 (ko)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US10026244B2 (en) Parking area access control system as well as a method for the control of the access in a parking space
CN103632572A (zh) 一种智能停车方法和系统
KR20130090207A (ko)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예약 방법 및 그 예약 시스템
KR101831987B1 (ko) 주차공간 유료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104467B1 (ko) 이기종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입출차 관제 기기와 연동된 주차 요금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274234B1 (ko) 원스톱 자동 주차유도 시스템
JP2021177413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2268014B1 (ko)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KR102214846B1 (ko) Gps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gps유닛
KR102001146B1 (ko)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87314B1 (ko)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KR102318209B1 (ko) 공유주차공간을 연결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주차장 공유장치 및 주차장 공유방법
KR20070109529A (ko) 주차장 온라인 관리 장치와 주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주차장 온라인 운영 시스템
KR100426610B1 (ko) 주차장의 요금징수 서비스방법
JP7365092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72131B1 (ko) 위치 기반 차량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2515789B1 (ko) 공유 주차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510837B1 (ko) 공공 도로면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672135B1 (ko) 복수의 회원제 주차장에 대한 위치 기반 차단기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