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524B1 - 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 Google Patents

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524B1
KR102214524B1 KR1020200056040A KR20200056040A KR102214524B1 KR 102214524 B1 KR102214524 B1 KR 102214524B1 KR 1020200056040 A KR1020200056040 A KR 1020200056040A KR 20200056040 A KR20200056040 A KR 20200056040A KR 102214524 B1 KR102214524 B1 KR 10221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mmand
terminal
user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원율
Original Assignee
박원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율 filed Critical 박원율
Priority to KR102020005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5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257
    • H04N5/232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 A47G2200/226Weight sens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ual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which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comprises a main body, a first door, a notification button, a door lock, and a communications module.

Description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자체 제어부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다목적 및 다용도로 사용되고, 단말기에 설치된 앱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user's terminal or its own control unit.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that is used for multi-purpose and multi-purpose, and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an app installed on a terminal.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는 사용자가 배송을 의뢰한 수하물을 목적지까지 배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통상적인 택배 서비스는 배송 의뢰를 받은 물품을 의뢰인 또는 구매처에서 수집하여 수하물 집하장으로 집결시키고, 배송 목적지별로 분류하여 지역의 영업점으로 배달하고, 각 지역의 영업점에서 배송 목적지까지 배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In general, the courier service refers to a service that delivers the luggage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destination. In a typical courier service, the goods requested for delivery are collected at the client or the place of purchase, collected at a baggage drop, classified by delivery destination, delivered to a local branch, and delivered from each regional branch to the delivery destination.

그러나 최근 들어 1인 세대가 늘어나는 등 하나의 세대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평균 수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는 등으로 인해 배송 목적지에 수취인이 부재인 경우 이웃집이나 경비실 등에 택배 수하물을 맡기거나 수취인 부재로 다시 택배 수하물을 영업점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average number of members constituting one household is gradually decreasing,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f there is no recipient at the delivery destination due to the increase in double-income families, etc.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parcel baggage is brought back to branch offices due to absence.

수취인이 직접 택배 수하물을 수령하지 않는 경우, 전달자가 택배를 제때 전달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수취처로 택배가 배송되는 등의 배송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택배 배송자와 수취인 간에 분쟁이 발생되곤 한다.If the recipient does not directly receive the parcel baggage, a delivery accident may occur, such as the forwarder may not deliver the parcel in time or the parcel is delivered to the wrong destination. At this time, disputes often arise between the courier and the recipient.

또한, 수취인 부재로 택배물이 영업점으로 복귀되는 경우, 장기간 택배물이 배송중인 상태로 남아 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배송물이 식품인 경우에는 유통기한이 경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곤 한다.In addition, when the package is returned to the branch due to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problems such as the delivery of the package for a long time may occur, and when the package is food, the expiration date may be elapsed. .

종래 무인 택배함은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공동주택에서 다수의 세대에 공용 무인 택배함을 운영하는 사례가 존재하였으나, 공용 무인 택배함은 사생활의 영역을 침범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공용 무인 택배함을 운영하는 경우 공유 세대들 간에 비밀번호를 공유하게 되므로, 비밀번호가 유출되어 도난 등의 우려가 높다.Conventionally, unmanned courier boxes existed in cases of operating public unmanned courier boxes for multiple households in apartments due to space constraints, but public unmanned courier boxes have problems such as invading the realm of private life. In addition, when a public unmanned courier box is operated, passwords are shared among shared households, so there is a high concern about theft due to leakage of passwords.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968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996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자체 제어부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다목적 및 다용도로 사용되고, 단말기에 설치된 앱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user's terminal or its own control unit, which is used for multi-purpose and multi-purpose, and provides a smart service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an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double door structure f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고 택배나 배달 음식 등 출입문을 통해 교환되는 상황에 대해 비대면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이중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door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face-to-face contact and providing non-face-to-face service for situations that are exchanged through an entrance door such as parcel delivery or delivery fo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범죄 등의 보안 침해 사항을 미연에 방지하고 전염병 차단 등 방역 효과가 탁월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s with excellent quarantine effects such as preventing in advance of security violations such as crime through non-face-to-face services and blocking infectious diseas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는,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출입문에 설치되되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와는 독립적으로 개폐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를 통해 개폐가 가능한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배달 물품의 도착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알림버튼과,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작동이 가능한 도어락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도어 또는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알림버튼을 푸쉬(push)하는 경우, 상기 배달 물품이 상기 사용자의 주택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안내메세지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1 안내메세지는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여부 또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도어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명령어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명령어에 의해 잠김이 해제될 수 있다.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installed on an entrance door that blocks the interior and exterior, but is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of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to receive the goods. A body having a space, a first door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opening and closing through the user's terminal, and a first door located on the first door, and whether the delivery item has arrived A notification button capable of notifying the user, a door lock installed on the first door and controlling whether to lock or unlock the first door, and a door lock operable through the user's terminal, and a command from the terminal.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or door lock; and, when the notification button is pushed, a first guidance message notifying that the delivery product has arrived at the user's hous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first guide message includes content for selecting whether to open the first door or to unlock the door lock, and the user selects the first door to be opened. When selected, the terminal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open the first door and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command sends the first door to the first door. When a command is transmitted, the first door is opened by the command, and when the user selects to unlock the door lock, the terminal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unlock the door lock,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sends the The command including comma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door lock, and the door lock may be unlocked by the command.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달 물품의 중량을 센싱할 수 있는 중량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배달 물품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중량센서는 상기 수납공간의 중량변화를 감지하고, 중량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배달 물품의 배송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로 제2 안내메세지가 전송되고, 상기 제2 안내메세지에는 상기 제1 도어의 폐쇄여부 또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도어의 폐쇄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도어를 폐쇄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도어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명령어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을 잠금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명령어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weight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weight of the delivery product, and when the delivery produc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 weight sensor detects a change in weight of the storage space, and when a change in weight is detected , Recognizing that the delivery of the delivery product has been completed, a second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second guide message includes contents for selecting whether the first door is closed or the door lock is locked. Included, and when the user selects to close the first door, the terminal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close the first door and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the first door is closed by the command, and when the user selects to lock the door lock, the terminal locks the door lock. It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command and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door lock, and the door lock can be locked by the command. have.

상기 제1 도어의 또는 본체에 위치하고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워셔토출구와, 상기 제1 도어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달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의 인상착의를 식별할 수 있는 카메라와 열센서가 구비된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알림버튼이 푸쉬(push)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열센서가 상기 배달원의 체온을 센싱하면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인상착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되거나, 녹화되어 전송되며, 상기 주택의 거주자 또는 방문자는 상기 에어워셔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An air washer discharge port located on the first door or o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injecting compressed air, and a camera and a thermal sensor installed on the first door and capable of identifying the impression of a delivery person delivering the delivery product. Further comprising a camera module provided, wherein when the notification button is pushed, the camera is activated, or when the thermal sensor sens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delivery person, the camera is activated, and th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e information on the impress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user in real time or is recorded and transmitted, and the resident or visitor of the house can remove dust by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washer discharge port.

상기 본체의 일측과 반대편인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택의 내부에서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제2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배달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의 인상착의를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주택에서 발생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door locat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which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house, and a delivery man installed on the second door and delivering the delivery goods. 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ule capable of discriminating, and a fire detec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and capable of detecting a fire generated in the hous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는 주택에 포함된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를 통해 개폐가 가능한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배달 물품의 도착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알림버튼과,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작동이 가능한 도어락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도어 또는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알림버튼을 푸쉬(push)하는 경우, 상기 배달 물품이 상기 사용자의 주택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안내메세지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1 안내메세지는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여부 또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도어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명령어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명령어에 의해 잠김이 해제될 수 있다.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included in a house, and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items, an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door that is located,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a notification button located on the first door and capable of notifying the user whether the delivery item has arrived, and the A door lock installed on the first door, controlling whether to lock and unlock the first door, and operable through the terminal of the user,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terminal, and receiving the command from the first door or door lock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when the notification button is pushed, a first guidance message notifying that the delivery item has arrived at the user's hous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first The guidance message includes content for selecting whether to open the first door or to unlock the door lock, and when the user selects to open the first door, the terminal opens the first door.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command and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and the first door responds to the command. When the user selects to unlock the door lock, the terminal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for unlocking the door lock and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mmand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a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door lock, and the door lock may be unlocked by the comman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는 주택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를 통해 개폐가 가능한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배달 물품의 도착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알림버튼과,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작동이 가능한 도어락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도어 또는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알림버튼을 푸쉬(push)하는 경우, 상기 배달 물품이 상기 사용자의 주택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안내메세지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1 안내메세지는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여부 또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도어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명령어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명령어에 의해 잠김이 해제될 수 있다.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o be installed and spaced apart from a house by a certain distance, and ha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goods, and A first door located on one side,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llowing opening and closing through the user's terminal, a notification button located on the first door 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product; and , A door lock installed in the first door, controlling whether to lock and unlock the first door, and operable through the terminal of the user,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terminal, and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first door or the door lock.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ommand, wherein when the notification button is pushed, a first guidance message notifying that the delivery item has arrived at the user's hous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The first guidance message includes content for selecting whether to open the first door or to unlock the door lock, and when the user selects to open the first door, the terminal It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open and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and the first door It is opened by a command, and when the user selects to unlock the door lock, the terminal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unlock the door lock and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door lock, and the door lock may be unlocked by the command.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고, 다목적 및 다용도로 사용되며, 단말기에 설치된 앱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user's terminal, is used for multi-purpose and multi-purpose, and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an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do.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의 발명의 효과도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of the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와 단말기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통신모듈과 단말기의 블록도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주택의 현관문에 설치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의 태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현관문에 설치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의 제2 도어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주택의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주택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a double door structure and a terminal for a smart service.
3 shows a part of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terminal.
Figure 4 shows an aspect of a double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installed on the front door of a house.
5 shows a second door part of the double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installed on the front door.
6 shows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installed and embedded in the wall of a house.
7 shows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independently installed in a hous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와 단말기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통신모듈과 단말기의 블록도 일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주택의 현관문에 설치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의 태양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현관문에 설치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의 제2 도어 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주택의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주택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and a terminal, and FIG. 3 is a partial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terminal 4 shows the aspect of the double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installed on the front door of the house, and FIG. 5 shows the second door part of the double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installed on the front door, and FIG. 6 shows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installed embedded in the wall of a house, and FIG. 7 shows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independently installed in the house.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의 구성 및 작동 등을 설명한다.First,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주택 또는 기타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구조물 등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단말기(2)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다.1 to 3, a double door structure 1 for a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ouse or other structure providing an interior space, and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2 It is possible.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배달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1)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공간(21)을 개폐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도 2의 2)를 통해 개폐가 가능한 제1 도어(11)와, 상기 제1 도어(11)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11)의 잠금 및 해제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2)를 통해 작동이 가능한 도어락(110)과, 상기 단말기(2)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도어(11) 또는 도어락(110)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는 통신모듈(도 3의 4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storage space 21 in which delivery goods are stored, and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21, The first door 1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2 in FIG. 2), installed in the first door 11, controls whether or not the first door 11 is locked and released, and , A door lock 110 operable through the user's terminal 2, a communication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terminal 2,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11 or the door lock 110 It may include a module (400 in FIG. 3).

알림버튼(120)은 제1 도어(11)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배달 물품의 도착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배달 물품을 전달하는 배달원이 상기 알림버튼(120)을 푸쉬(push)하여 사용자의 주택으로 배송이 왔음을 알 릴 수 있다.The notification button 120 is located on the first door 11 and may notify the user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product, that is, a delivery person delivering the delivery product pushes the notification button 120 Thus, it can be notified that the delivery has come to the user's home.

알림버튼(120)을 푸쉬(push)하는 경우, 상기 배달 물품이 상기 사용자의 주택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안내메세지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2)로 전송된다.When the notification button 120 is pushed, a first guide message notifying that the delivery item has arrived at the user's house is transmitted to the user's terminal 2.

이를 위해, 통신모듈(400)은 제1 안내메세지를 생성하는 메세지 생성부(401)를 포함한다. 안내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메세지 생성부(401)는 메시지 생성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400)은 생성된 제1 안내메세지를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인터넷 통신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400)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으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includes a message generating unit 401 that generates a first guide message. In order to generate a guide message, the message generating unit 401 may include a message generating processor.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net communication means to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guide message to the terminal 2.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composed of Internet of Things (IoT).

단말기(2)는 제1 안내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수신부(50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부(501)는 수신된 제1 안내메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할 수 있다. The terminal 2 may include a message receiving unit 501 capable of receiving a first guide message. The message receiving unit 501 may display the received first guide message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2 so that the user can check.

한편, 제1 안내메세지는 상기 제1 도어(11)의 개방여부 또는 상기 도어락(110)의 잠금해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2)를 통해 제1 안내메세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guide message may include content for selecting whether to open the first door 11 or to unlock the door lock 110. The user who checks the first guide message through the terminal 2 can select as follows.

도어를 개방할 때,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설치된 앱을 구동시켜서 비밀번호 등을 원격으로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 일측에 구비된 입력수단 또는 인식수단을 이용하여 지문인식, 안면인식 또는 비밀번호 등의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When opening the door, it is generally possible to open the door by remotely inputting a password by driving an app installed through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input means or recognition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You can also use means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face recognition, or password.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제1 도어(11)의 개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2)는 상기 제1 도어(11)를 개방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400)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400)은 상기 제1 도어(11)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도어(11)는 상기 명령어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First, when the user selects to open the first door 11, the terminal 2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open the first door 11, and the command information is sen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that transmits the included command and receives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11, and the first door 11 may be opened by the command. .

이에 의해, 제1 도어(11)가 개방되어, 배달원은 배달 물품을 수납공간(21)에 넣어, 배송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의 제1 도어(11)는 통신 수단에 의해 원격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는 구동장치(미도시)가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Thereby, the first door 11 is opened, and the delivery person can put the delivered article in the storage space 21 and complete the delivery. That is, the first door 11 of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can be opened by a user remotely by a communication means. To this end, a driving device (not shown) capable of opening the first door 11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110)의 잠금해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2)는 상기 도어락(110)의 잠금을 해제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400)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400)은 상기 도어락(110)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도어락(110)은 상기 명령어에 의해 잠김이 해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unlocking of the door lock 110, the terminal 2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unlock the door lock 110 and includes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that transmits the command and receives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door lock 110, and the door lock 110 may be unlocked by the command.

이에 의해, 도어락(110)이 잠금해제되어, 배달원은 손잡이(112)를 이용하여 제1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다. 제1 도어(11)를 개방한 후, 배달원은 배달 물품을 수납공간(21)에 넣어, 배송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의 도어락(110)은 통신 수단에 의해 원격에서 사용자에 의해 잠금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oor lock 110 is unlocked, and the delivery person can open the first door 11 using the handle 112. After opening the first door 11, the delivery person can complete the delivery by putting the delivered article into the storage space 21. That is, the door lock 110 of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can be unlocked by a user remotely by a communication means.

이중도어를 통해 침입을 시도할 경우, 센서부(미도시)에 의해 외부인이 침입하는 행위를 감지하고 이를 차단 또는 경고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는 열감지 또는 비전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When an intrusion is attempted through a double door, a sensor unit (not shown) detects an intrusion by an outsider and blocks it or provides a warning alarm.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camera module for detecting heat or generating vision.

한편, 단말기(2)는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정보(제1 도어 개방 또는 도어락 잠금해제)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생성하는 명령어 생성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명령어는 단말기(2)에 포함된 명령어 전송부(503)를 통해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의 통신모듈(400)로 전송한다. 통신모듈(400)은 명령어를 수신하는 명령어 수신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와 통신모듈(400)은 통신망(예를 들어, 5G, 4G, 3G 통신, Wi-Fi 통신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2 may include a command generation unit 502 that generates a command including comman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opening the first door or unlocking the door lock). The generated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of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through the command transmission unit 503 included in the terminal 2.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include a command receiving unit 402 for receiving a command. The terminal 2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eg, 5G, 4G, 3G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etc.).

계속해서, 본체(10)에는 상기 배달 물품의 중량을 센싱할 수 있는 중량센서(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배달 물품이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중량센서는 상기 수납공간(21)의 중량변화를 감지하고, 중량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배달 물품의 배송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2)로 제2 안내메세지가 전송될 수 있다. 즉, 중량센서는 배달 물품에 의해 수납공간(21)의 중량증가를 감지하여, 배송 완료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weight sensor (not shown) capable of sensing the weight of the delivery product, and when the delivery produc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1, the weight sensor When the weight change of (21) is sensed, and the weight change is detected, the delivery of the delivery product is recognized as being completed, and a second guid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 of the user. That is, the weight sensor may detect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storage space 21 by the delivered product, and recognize whether delivery is complete.

상기 제2 안내메세지에는 상기 제1 도어(11)의 폐쇄여부 또는 상기 도어락(110)의 잠금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안내메세지는 통신모듈(400)의 메시지 생성부(401)에서 생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message may include content for selecting whether the first door 11 is closed or whether the door lock 110 is locked. The second guide message may be generated by the message generating unit 401 of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도어(11)의 폐쇄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2)는 상기 제1 도어(11)를 폐쇄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400)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400)은 상기 제1 도어(11)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도어(11)는 상기 명령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o close the first door 11, the terminal 2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close the first door 11, and the comman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that transmits the command and receives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11, and the first door 11 may be closed by the command.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110)의 잠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2)는 상기 도어락(110)을 잠금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400)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400)은 상기 도어락(110)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도어락(110)은 상기 명령어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o lock the door lock 110, the terminal 2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lock the door lock 1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includes the command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that transmits a command and receives the comm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door lock 110, and the door lock 110 may be locked by the command.

한편, 상기 제1 도어(11)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달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의 인상착의를 식별할 수 있는 카메라(210)가 구비된 카메라모듈(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module 200 installed on the first door 11 and provided with a camera 210 capable of identifying the impression of the delivery person delivering the delivery product.

배달원에 의해 알림버튼(120)이 푸쉬(push)되는 경우, 카메라(210)가 활성화된다. 즉, 배달원의 인산착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카메라(210)는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When the notification button 120 is pushed by the delivery person, the camera 210 is activated. That is, the camera 210 may start photographing so as to identify the delivery person's phosphorescence.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되는 배달원의 인상착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2)로 실시간 전송되거나, 녹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배달원의 인상착의를 확인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impression of the delivery man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0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 of the user in real time or may be recorded and transmitted.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impression of the delivery person.

카메라모듈(200)은 열센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열센서(220)가 배달원의 체온을 센싱하면 상기 카메라(210)가 활성화된다. 카메라모듈(200)의 카메라(210)는 알림버튼(120) 또는 열센서(22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다.The camera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thermal sensor 220. That is, when the thermal sensor 220 sens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delivery person, the camera 210 is activated. The camera 210 of the camera module 200 can be activated by the notification button 120 or the thermal sensor 2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제1 도어(11)의 또는 본체(10)에 위치하고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워셔토출구(301, 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 또는 제1 도어(11)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ir washer discharge ports 301 and 302 that are located in the first door 11 or in the main body 10 and can inject compressed air. can do. To this end, the main body 10 or the first door 11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not shown).

에어워셔토출구(301, 302)는 제1 도어(11)의 우측이나 좌측, 본체(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워셔토출구(301, 302)는 예를 들어, 제1 도어(11)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거나, 본체(10) 측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에어워셔토출구(301, 302)는 다수의 홀이 그룹으로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The air washer discharge ports 301 and 302 may be located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first door 11 or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air washer discharge ports 301 and 302 may exten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door 11, or may be formed in a form extending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air washer discharge ports 301 and 302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s a group.

에어워셔토출구(301, 302)에 의해, 상기 주택의 거주자 또는 방문자는 상기 에어워셔토출구(301, 302)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외기에 의해 신체, 헤어, 의복에 쌓인 먼지 또는 미세먼지를 주택에 진입하기 전에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쾌적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With the air washer discharge ports 301 and 302, residents or visitors of the house can remove dust by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washer discharge ports 301 and 302. That is, dust or fine dust accumulated on the body, hair, and clothing by outside air can be removed before entering the house. Users can lead a comfortable life.

한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현관문(10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의 본체(10)가 현관문(1000)의 일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11)는 주택의 외부에, 제2 도어(12)는 주택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의 본체(10)가 현관문(100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door 1000. That is, the main body 10 of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may be installed through a part of the front door 1000. For example, the main body 10 of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is the front door 1000 so that the first door 11 is located outside the house and the second door 12 is located inside the house. It can be installed through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본체(10)의 일측과 반대편인 타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주택의 내부에서 수납공간(21)을 개폐할 수 있는 제2 도어(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도어(12)의 개폐부(150)를 통해 제2 도어(12)를 잠금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도어(12)를 개방하여, 배달 물품을 수납공간(21)에서 회수할 수 있다.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door 12 through which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21 inside the house. I can. The user may lock or unlock the second door 12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50 of the second door 12. The user can open the second door 12 and retrieve the delivered product from the storage space 21.

한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상기 제2 도어(12)에 설치되고, 상기 배달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의 인상착의를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배달원의 인상착의를 단말기(2)가 아닌 디스플레이 모듈(130)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ule 130 installed on the second door 12 and capable of identifying the impression of a delivery person delivering the delivery product. . That is, the impression of the delivery pers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0 can be checked in the display module 130 instead of the terminal 2.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제2 도어(12)에 설치되고, 상기 주택에서 발생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택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is installed on the second door 12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e detection module 140 capable of detecting a fire generated in the house. Thereby, it can contribute to the safety of a user living in a house.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벽면(w)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의 본체(10)가 벽면(w)에 매립된다. 이 경우, 사용자나 배달원 모두 제1 도어(11)를 통해 수납공간(21)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may be embedded and installed in the wall surface w. To this end, the main body 10 of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is embedded in the wall surface w. In this case, both the user and the delivery person may access the storage space 21 through the first door 11.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주택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바닥 고정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고정부(181)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과 본체(10)를 소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may be disposed and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house. To this end,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may include a floor fixing part 181. The floor fixing part 181 may be installed under the main body 10 to separate the floor and the main body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은 배달 물품으로 옷과 같은 세탁물도 수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공간(21) 내에 행거(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신선 식품, 즉석 식품, 조리 식품과 같은 각종 식품등도 수납공간(21)에 수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식품 전용 수납대(미도시)도 수납공간(21) 내의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accommodate laundry such as clothes as a delivery item. To this end, a hang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21. In addition, various foods such as fresh foods, instant foods, and cooked food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1, and for this purpose, a food-only storage stand (not shown) is also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in the storage space 21 Can be.

또한, 등기우편도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등기우편 배달자의 단말기와 사용자의 단말기(2)가 상호 연동되어, 단말기를 통해 배달자가 사용자의 서명을 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registered mail can also be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registered mail delivery person's terminal and the user's terminal 2 are interlocked, so that the delivery person may receive the user's signature through the terminal.

한편 사용자의 단말기(2)에는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앱(app)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앱은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1)의 구동과 제어 외에, AI에 기반한 빅데이터 처리에 의해, 사용자의 취향과 선호도를 추출하여, 사영자에게 맞는 최적의 쇼핑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구정보도 푸쉬알림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a driving app is installed in the user's terminal 2 to drive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 In addition to driving and controlling the double door structure (1) for smart services, the driving app can extract user's tastes and preferences through AI-based big data processing, and provide optimal shopping information for business owners. . In addition, tool information for purchasing products at low prices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a push notification.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any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본체 11: 제1 도어 12: 제2 도어
21: 수납공간 110: 도어락
120: 알림버튼 130: 디스플레이 모듈
140: 화재감지모듈 200: 카메라 모듈
301, 302: 에어워셔토출구 400: 통신모듈
10: main body 11: first door 12: second door
21: storage space 110: door lock
120: notification button 130: display module
140: fire detection module 200: camera module
301, 302: air washer outlet 400: communication module

Claims (5)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출입문에 설치되되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와는 독립적으로 개폐되어 배달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를 통해 개폐가 가능한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배달 물품의 도착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알림버튼;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작동이 가능한 도어락;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도어 또는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알림버튼을 푸쉬(push)하는 경우, 배달 물품이 사용자의 주택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제1 안내메세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안내메세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안내메세지는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여부 또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도어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명령어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의 잠금해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명령어에 의해 잠김이 해제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달 물품의 중량을 센싱할 수 있는 중량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배달 물품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중량센서는 상기 수납공간의 중량변화를 감지하고, 중량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배달 물품의 배송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중량센서에서 중량변화는 감지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제2 안내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2 안내메세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2 안내메세지에는 상기 제1 도어의 폐쇄여부 또는 상기 도어락의 잠금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도어의 폐쇄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도어를 폐쇄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도어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명령어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어락을 잠금하라는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명령정보가 포함된 상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도어락에 상기 명령어를 전달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명령어에 의해 잠금되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는 옷과 같은 세탁물의 수납을 위한 행거가 구비되며, 각종 식품의 수납을 위한 식품 적용 수납대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 공간에는 등기우편이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등기우편이 수납되는 경우, 등기우편 배달자의 단말기와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호 연동되어, 상기 등기우편 배달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서명을 받을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
In the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user's terminal,
A main body installed at an entrance door blocking the inside and outside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receiving delivery goods by being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entrance door;
A first door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opening and closing through the user's terminal;
A notification button located on the first door and configured to notify the user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product;
A door lock installed on the first door, controlling whether to lock or unlock the first door, and operable through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or door lock,
In the case of pushing the notification button, comprising 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first guide message notifying that the delivery item has arrived at the user's house,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first guide message to the terminal,
The first guide message includes contents for selecting whether to open the first door or to unlock the door lock,
When the user selects to open the first door, the terminal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open the first door,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the comm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and the first door is opened by the command,
When the user selects to unlock the door lock, the terminal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unlock the door lock,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the comm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door lock, and the door lock is unlocked by the comm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weight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weight of the delivery product, and when the delivery product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 weight sensor detects a change in weight of the storage space, and when a change in weight is detected , Recognizing that the delivery of the delivered goods has been completed,
When the weight change is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the message generator generates a second guide messag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second guide message generated by the message generator to the terminal,
The second guide message includes content for selecting whether the first door is closed or whether the door lock is locked,
When the user selects to close the first door, the terminal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close the first door,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the comm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first door, and the first door is closed by the command,
When the user selects to lock the door lock, the terminal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to lock the door lock, transmits the command including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command The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and the door lock is locked by the command,
A hanger for storing laundry such as clothes i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food storage rack for storing various foods is provided,
Registered mail may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when the registered mail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 terminal of the registered mail deliverer and the terminal of the user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erminal of the registered mail delivery person Double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you can receive a signature through.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의 또는 본체에 위치하고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워셔토출구와,
상기 제1 도어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배달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의 인상착의를 식별할 수 있는 카메라와 열센서가 구비된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알림버튼이 푸쉬(push)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열센서가 상기 배달원의 체온을 센싱하면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인상착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되거나, 녹화되어 전송되며,
상기 주택의 거주자 또는 방문자는 상기 에어워셔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An air washer discharge port located on the first door or in the body and capable of injecting compressed air,
Further comprising a camera module installed on the first door and provided with a camera and a thermal sensor capable of identifying the impression of the delivery person delivering the delivery product,
When the notification button is pushed, the camera is activated, or when the thermal sensor sens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delivery person, the camera is activated,
The information of the impress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terminal of the user or recorded and transmitted,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that allows residents or visitors of the house to remove dust by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washer discharge po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과 반대편인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택의 내부에서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제2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배달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의 인상착의를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주택에서 발생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door locat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llowing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house,
A display module installed on the second door and capable of identifying an impression of a delivery person delivering the delivery product;
A double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installed on the second door and further comprising a fire detection module capable of detecting a fire generated in the ho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할 때,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설치된 앱을 구동시켜 비밀번호를 원격으로 입력하여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거나, 상기 제1 도어 일측에 구비된 입력수단 또는 인식수단을 이용하여 지문인식, 안면인식 또는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는,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When opening the first door, the app installed through the terminal is driven to remotely input a password to open the first door, or fingerprint recognition using an input means or recognition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door , A double door structure for a smart service to open the first door through face recognition or password input.
KR1020200056040A 2020-05-11 2020-05-11 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KR102214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040A KR102214524B1 (en) 2020-05-11 2020-05-11 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040A KR102214524B1 (en) 2020-05-11 2020-05-11 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524B1 true KR102214524B1 (en) 2021-02-09

Family

ID=7455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040A KR102214524B1 (en) 2020-05-11 2020-05-11 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5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83B1 (en) * 2021-04-15 2021-12-20 김경신 Smart door system with facial recognition fun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247A (en) * 2000-09-20 2002-03-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ome delivery box
KR20090008761U (en) * 2008-02-27 2009-09-01 유한회사 에스엠비 A Air cleanner and disinfection function has a front door
KR20090009968U (en) 2008-03-28 2009-10-01 김인배 Folded home delivery box
KR20160000288U (en) * 2014-07-15 2016-01-26 (주) 코콤 Power display of video phone
KR20160010944A (en) * 2014-07-21 2016-01-29 김태훈 Parcel keeping service system for home us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247A (en) * 2000-09-20 2002-03-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ome delivery box
KR20090008761U (en) * 2008-02-27 2009-09-01 유한회사 에스엠비 A Air cleanner and disinfection function has a front door
KR20090009968U (en) 2008-03-28 2009-10-01 김인배 Folded home delivery box
KR20160000288U (en) * 2014-07-15 2016-01-26 (주) 코콤 Power display of video phone
KR20160010944A (en) * 2014-07-21 2016-01-29 김태훈 Parcel keeping service system for home us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83B1 (en) * 2021-04-15 2021-12-20 김경신 Smart door system with facial recogni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874B1 (en) Manless Parcel Delivery Service System for Apartment House
US11980310B2 (en) Refrigerator for entrance gate
KR101127900B1 (en) Apparatus for deposit of unattended articles
KR101390102B1 (en) Unmaned delivery receiving apparatus
KR20180105777A (en) Smart unmanned delivery box
JP2004038522A (en) Locker management system
KR102031245B1 (en) Unmanned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20175834A1 (en) Refrigerator
KR102214524B1 (en) Dual door structure for smart service
JP2015089441A (en) Mail box system
KR101824887B1 (en) Smart safe with a built-in fingerprint recognition type case for keeping valuables
KR102149729B1 (en) A parcel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occupants of buildings with smartphone parking location and one-pass system
KR102033638B1 (en) Mailboxes with Smart Security
KR101836808B1 (en) Unmanned delivery locker and unmann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unmanned delivery locker linked resident living pattern
KR101994337B1 (en) Alarm system for emergency article storage box
US10492636B2 (en) Secure delivery system
JP2018059662A (en) Storage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JP3666880B2 (en) Delivery management system
CN108665591B (en) Security system based on identity recognition
KR20090009969U (en) Folded home delivery box
JP3631544B2 (en) Automatic management locker device for luggage etc.
KR20090009968U (en) Folded home delivery box
CN108629934B (en) Building anti-theft alarm system
JP7240210B2 (en) delivery box system
CN108049777A (en) A kind of domestic intelligent safety protectiv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