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313B1 -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313B1
KR102214313B1 KR1020200087479A KR20200087479A KR102214313B1 KR 102214313 B1 KR102214313 B1 KR 102214313B1 KR 1020200087479 A KR1020200087479 A KR 1020200087479A KR 20200087479 A KR20200087479 A KR 20200087479A KR 102214313 B1 KR102214313 B1 KR 10221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roadside
sol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희원
Original Assignee
(주)삼인유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인유엔아이 filed Critical (주)삼인유엔아이
Priority to KR102020008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04B41/508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41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8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3Poly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41/4869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8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4B41/4884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4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04B41/5079Portland 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4Harden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20Retarders
    • C04B2103/24Hardening reta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0Defoamers, air de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5Water proofers or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성, 내구성 등의 물성이 향상되어 보수 보강 효과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흡착 및 결빙 방지 효과를 나타내어 외부 자극으로부터 도로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ROAD GUTTER REPAIR COMPOSITION AND ROAD GUTTER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성, 내구성 등의 물성이 향상되어 보수 보강 효과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흡착 및 결빙 방지 효과를 나타내어 외부 자극으로부터 도로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다니는 도로와 사람의 통행을 위한 보도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시공되는데, 이 도로와 보도 사이에는 배수로 등의 확보를 위해 측구가 설치되어 도로에 고인 물을 배수시킨다.
이러한 도로 측구는 시공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차량이 지나감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 또는 진동, 겨울철의 경우 결빙 및 융해 작용, 눈이 내릴 시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도포되는 염화칼슘로 인한 염해 등으로 인하여 노화되고 열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열화되거나 파손된 도로 측구는 주기적인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데, 종래에는 배수로와 재포장된 도로의 레벨 맞춤 및 콘크리트 노후화에 따른 재공사를 위하여, 배수로를 포크레인 또는 브레이커로 파쇄한 후, 발생된 파쇄물을 제거하고 배수구 설치와 콘크리트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양생 기간이 28일 정도로 너무 길어 교통 폐쇄에 대한 불편을 불러일으키며, 강도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결빙 및 융해 등에 대한 저항성이 크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노화되거나 열화된 도로 측구의 빠르게 복구할 수 있으며, 보수 보강 효과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도로 측구 보수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021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향상된 물성, 이산화탄소 흡착, 및 결빙 방지 효과를 나타내어 손상된 도로 측구의 보수 보강 효과를 장기간 유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1) 알루미나 시멘트 20 내지 4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20 내지 40 중량부, 트리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 10 내지 20 중량부, 실리카 퓸 0.1 내지 5 중량부, 반수석고 0.1 내지 5 중량부, 플라이애쉬 0.05 내지 3 중량부, 폐각 분말 0.5 내지 3 중량부, 응회암 0.1 내지 5 중량부, 및 규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고상 조성물; (2) 규산질계 방수제 1 내지 5 중량부, CSA계 팽창제 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0.01 내지 3 중량부, 유동화제 0.01 내지 3 중량부, 경화지연제 0.01 내지 3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3 중량부, 소포제 0.01 내지 3 중량부, 습윤제 0.01 내지 3 중량부, 및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 단섬유 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고상 조성물; 및 (3) 아크릴계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세라믹 변성 아크릴 수지, 불소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 변성 아크릴 수지, 실란 변성 아크릴 수지, 에폭시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손상된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을 고압 살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을 그라인딩 및 표면 파쇄 처리하여 다듬는 단계; 상기 다듬은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대상면의 요철에 따라 하도로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표면에 청구항 1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도포하고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 보수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성이 뛰어나 도로 측구를 빠르게 보수할 수 있고, 향상된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져 보수 후에도 보수 보강 효과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흡착 및 결빙 방지 효과를 나타내어 급격한 환경 변화로부터 도로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보수 공사 후에도 보수 보강 효과를 오랜 기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경력이 짧은 작업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시공이 간편하고, 그에 따라 도로 측구 보수 공사를 위해 폐쇄했던 도로를 조기 개통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상기 목적은, (1) 알루미나 시멘트 20 내지 4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20 내지 40 중량부, 트리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 10 내지 20 중량부, 실리카 퓸 0.1 내지 5 중량부, 반수석고 0.1 내지 5 중량부, 플라이애쉬 0.05 내지 3 중량부, 폐각 분말 0.5 내지 3 중량부, 응회암 0.1 내지 5 중량부, 및 규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고상 조성물; (2) 규산질계 방수제 1 내지 5 중량부, CSA계 팽창제 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0.01 내지 3 중량부, 유동화제 0.01 내지 3 중량부, 경화지연제 0.01 내지 3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3 중량부, 소포제 0.01 내지 3 중량부, 습윤제 0.01 내지 3 중량부, 및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 단섬유 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고상 조성물; 및 (3) 아크릴계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염분 및 산성 물질 등의 열화 물질의 침투를 억제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시멘트와의 혼화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콘트리트와 같은 무기계로서 접착력이 우수하여 도로 측구의 보수 보강 효과가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내수성 및 내약품성 등의 내구성이 우수하여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기존 일반 모르타르와 병행이 용이하므로, 모르타르를 이용하는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도로 측구의 열화된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도로의 소규모 파손 부분의 긴급 보수 및 완급 보수와 같은 토목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도로 측구 외에도 균열이 발생하여 보수가 요구되는 콘크리트에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외벽, 지하주차장 바닥, 옥상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이산화탄소 흡착 및 결빙 방지 효과를 나타내어 급격한 환경 변화로부터 도로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보수 공사 후에도 보수 보강 효과를 오랜 기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주요 성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전체 고상 조성물은 상기 제1 고상 조성물과 제2 고상 조성물을 혼합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제1 고상 조성물은 결합제의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은 상기 제1 고상 조성물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상물 및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의 혼합 비율은 약 1:0.5 내지 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의 비율이 약 0.5 미만일 경우 내화학성, 내수성 등이 하락할 수 있고, 약 1 초과일 경우 반응 시간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상 조성물 중, 시멘트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요 성분으로서, 물과 반응하여 단단하게 굳어져 기계적 강도를 발휘한다. 상기 시멘트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초속경 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및 트리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초속경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원료에 보크사이트, 카올린, 형석, 및 석고를 혼합하여 제조된 시멘트로, 포클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기본적인 재료 특성은 유사하나, 약 2 시간 내지 3 시간 이내에 실용 강도가 얻어지며 경화 후 균열 저항성이 높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속경 시멘트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5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20 내지 약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가 약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는 약 20 내지 약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시멘트는 A12O3의 함량이 약 50% 이상을 차지하며, 도로 측구 보수 시 초기에 강도를 신속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20 내지 약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알루미나 시멘트가 약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초기 강도가 빠르게 확보되지 못해 양생에 오랜 기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약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리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는 황산염 환경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10 내지 약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트리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가 약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황산염에 대한 내구성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할 수 있으며, 약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상 조성물 중 실리카 퓸은 약 0.15 ㎛ 정도의 입경을 갖는 구형의 비정질 활성 실리카로서, 충진 효과에 의해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강도 및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퓸은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강도 및 접착성 향상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있고,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보수 공사 후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상 조성물 중 반수석고는 이수석고를 약 -600 토르 이상의 감압 하에 약 75℃ 내지 약 100℃의 온도로 1 시간 이상 가열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고, 수축 팽창에 의한 균열 억제 효과를 위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수석고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균열 억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있고,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반응 속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상 조성물 중 플라이애쉬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05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화력발전소 등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시설에서 석탄을 태우고 남은 성분들이 산화물 형태로 남아 산화 실리콘이나 산화 알루미늄 성분의 미세한 먼지로 남은 것을 의미하며, 상기 플라이애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수밀성 및 부착성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플라이애쉬가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약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수밀성 및 부착성 향상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반응 속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상 조성물 중 폐각 분말은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5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폐각 분말은 달팽이, 조개, 소라 등의 단단한 껍데기를 수거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뒤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폐각 분말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탄성이 증가하여, 보수 공사 후 하중에 의한 재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폐각 분말이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약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탄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양생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상 조성물 중 응회암은 수밀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응회암이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수밀성 및 부착성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할 수 있으며,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화학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상 조성물 중 규사는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약 1 내지 3 mm 범위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규사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기계적 강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은 상기 제1 고상 조성물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상 조성물 중, 규산질계 방수제는 시멘트의 공극을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충진하여 치밀화시켜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규산질계 방수제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방수성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 강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SA계 팽창제는 급결 및 팽창성 강화를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CSA계 팽창제가 약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수축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 강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점도를 증가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계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응집이 과도하게 일어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제는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폴리카르본산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화제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화지연제는 시멘트가 굳는 현상을 지연시킴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주석산, 글루콘산, 구연산, 옥시카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지연제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시멘트 경화 시간이 지나치게 빨라져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고,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화촉진제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NaAlO2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는 상기 경화지연제와 함께 사용되어 작업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제1 고상 조성물, 제2 고상 조성물, 및 액상 조성물의 혼합 시 기포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오일계 소포제를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는 제1 고상 조성물, 제2 고상 조성물, 및 액상 조성물의 혼합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상 조성물 중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 단섬유는 내구성 및 부착성 향상을 위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 단섬유는 작은 직경을 가져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을 억제할 수 있고, 유기용매, 기름, 염분, 알칼리에 매우 높은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섬유 표면에 수산기를 가지는 친수성 구조로 액상에서 잘 분산되고 부착 성능이 우수하다. 상기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 단섬유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1 내지 약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구성 및 부착성 향상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약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섬유가 엉켜 뭉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은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1 내지 약 3 중량부로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은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약 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함에 따라, 도로 측구에서 가장 많이 측정되는 자동차 배기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도시의 열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의 경우 물과 반응하여 1 ton의 콘크리트를 생산할 때마다 약 0.7 ton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여 기후 악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제2 고상 조성물에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추가 포함함으로써, 도로 측구 보수 시 발생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착하고, 도로 측구 보수 후에도 자동차 배기가스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추가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리튬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Li2O, Li2CO3, LiOH, LiNO3, LiCl, LiBr,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화합물, 및 산화마그네슘(MgO)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Li2CO3와 MgO의 혼합물인 Li2CO3-MgO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Li2O, Li2CO3, LiOH, LiNO3, LiCl, LiBr,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화합물 염 및 산화마그네슘을 혼합 및 소성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리튬 화합물 염을 유기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뒤, 산화마그네슘과 혼합하여 약 300℃ 내지 약 500℃의 온도 범위에서 소성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상기 리튬과 마그네슘의 원소비는 Mg:Li = 약 1: 약 1 내지 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상기 리튬과 마그네슘의 원소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의 흡착 속도가 변화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의 원소비가 증가할 경우 이산화탄소의 흡착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이산화탄소 흡착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응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은 금속 산화물 촉매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은 금속 산화물 촉매를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1 내지 약 0.5 중량부로 포함함에 따라, 자동차 배기가스로서 발생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및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형성될 수 있는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도시의 열섬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이산화탄소가 물과 반응하여 형성되는 탄산으로부터 도로 조성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촉매는 Pt, Pd, Rh, Ru, Ni, Co, Cr, Ir, Au, Ag, Zn, W, Sn, Sr, In, Pb, Fe, Cu, V, Ta, Sb, Sc, Ti, Mn, Ga, 및 G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의 산화물, 및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두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 금속 산화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니켈 산화물 및 니켈-망간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 금속 산화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NiO/NiMn2O4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켈 산화물 및 니켈-망간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 금속 산화물 촉매는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1 내지 약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이산화탄소 흡착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반응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은 코코넛 오일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코넛 오일은 코코넛의 말린 속살에서 추출한 오일로, 상온에서는 버터 같은 질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제2 고상 조성물의 구성 성분으로 상기 코코넛 오일을 추가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자외선 차단성을 증가시켜 도로 측구 보수 공사 후 보수된 도로 측구가 자외선으로부터 변성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코넛 오일은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5 내지 약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코넛 오일이 약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 코코넛 오일이 약 2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양생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코코넛 오일은 약 0.5 내지 약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상 조성물은 결빙방지 단백질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빙방지 단백질은 알라닌-알라닌-트레오닌이 수 차례 내지 수십 차례 반복된 형태로서, 본 발명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제2 고상 조성물의 구성 성분으로 상기 결빙방지 단백질을 추가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로 측구 보수 후 도로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겨울철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빙방지 단백질은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약 0.05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빙방지 단백질이 약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결빙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다른 구성 성분과 반응하여 응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고상 조성물과 액상 조성물이 따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상기 고상 조성물과 액상 조성물이 따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여,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도로 측구 보수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상 조성물, 상기 제2 고상 조성물, 및 액상 조성물의 혼합 비율은 약 1:0.5 내지 1:0.1 내지 0.4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액상 조성물의 비율이 약 0.1 미만일 경우 기계적 강도가 하락할 수 있고, 약 0.4 초과일 경우 양생에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 중 아크릴계 수지는 세라믹 변성 아크릴 수지, 불소 변성 아크릴 수지, 폴리 변성 아크릴 수지, 실란 변성 아크릴 수지, 에폭시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실란 변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부착성 및 수밀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역할로서 포함되는 것으로,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약 10 내지 약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약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부착성 및 수밀성 증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접착성 향상을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약 5 내지 약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가 약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접착성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수밀성이 하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손상된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을 고압 살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살수 세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지하수를 제외한 수돗물을 이용하여 살수기를 사용해 세척한다.
그 후, 세척한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을 그라인딩 및 표면 파쇄 처리하여 다듬는다. 상기 그라인딩을 통해 도로 측구의 결빙 및 융해에 의한 표면부 열화 현상을 일부 제거할 수 있으며, 보수 대상면을 표면 파쇄 처리에 의해 평탄화시킴으로써 추후 도포될 프라이머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측구 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그라인딩 및 표면 파쇄 처리 후 분진을 포함한 이물질을 다시 고압 살수 세척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딩 및 표면 파쇄 처리 후, 그라인딩 한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대상면의 요철에 따라 하도로 도포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접착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프라이머, 우레탄 수지 프라이머, 또는 아크릴 수지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0.05 내지 0.5 mm 두께로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프라이머가 0.05 mm 미만의 두께로 도포될 경우 프라이머와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간의 접착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0.5 mm를 초과할 경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도포 시의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 후,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도포 및 양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2회 내지 3회 반복하여 도포되는 것일 수 있으며, 총 도포되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두께는 약 10 mm 내지 약 50 mm 범위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먼저, 상기 전체 고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루미나 시멘트 25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35 중량부, 트리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 15 중량부, 실리카 퓸 2.5 중량부, 반수석고 1.5 중량부, 플라이애쉬 2.0 중량부, 폐각 분말 2.0 중량부, 응회암 1.75 중량부, 및 규사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고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산질계 방수제, CSA계 팽창제, 증점제, 유동화제, 경화지연제, 경화촉진제, 소포제, 습윤제, 및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 단섬유를 혼합하여 제2 고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제1 고상 조성물과 제2 고상 조성물을 혼합한 후, 상기 액상 조성물 100 중량 대비 물 65 중량부, 폴리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실란 변성 아크릴 수지 25 중량부, 및 폴리우레탄 수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액상 조성물과 혼합하여 실시예 1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2 고상 조성물 제조 단계에서, 하기 표 1과 같이 각각의 첨가물을 각각의 중량부로 추가하였고, 추가된 첨가물에 따라 제조된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각각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로 명명하였다.
구성성분(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규산질계 방수제 2.00 1.80 1.80 1.80
CSA계 팽창제 1.50 1.50 1.50 1.50
증점제 0.50 0.50 0.50 0.50
유동화제 1.00 0.80 0.80 0.80
경화지연제 0.50 0.50 0.50 0.50
경화촉진제 0.50 0.50 0.50 0.50
소포제 0.10 0.10 0.10 0.10
습윤제 0.35 0.35 0.35 0.35
수용성 PVA 단섬유 7.50 7.50 6.25 6.10
Li2CO3-MgO 흡착제 - 0.20 0.20 0.20
NiO/NiMn2O4 촉매 - 0.20 0.20 0.20
코코넛 오일 - - 1.25 1.25
결빙방지 단백질 - - - 0.15
[비교예]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운 의류를 제조하되, 제1 고상 조성물로서 알루미나 시멘트 및 트리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를 포함하지 않고, 포틀랜드 시멘트 75 중량부, 실리카 퓸 2.5 중량부, 반수석고 1.5 중량부, 플라이애쉬 2.0 중량부, 폐각 분말 2.0 중량부, 응회암 1.75 중량부, 및 규사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비교예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항목은 휨 강도,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부착 강도, 및 부피 변화율이다. 상기 휨 강도,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및 부착 강도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보수재 조성물을 이용한 보수 공사 28일 후 KS F 4042-02 표준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상기 부피 변화율은 보수 공사 28일 후 보수재 조성물의 부피를 0℃ 내지 35℃로 변화시켜 매일 부피 변화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각 항목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휨 강도
(N/mm2)
압축 강도
(N/mm2)
인장 강도
(N/mm2)
부착 강도
(MPa)
부피 변화율(%)
실시예 1 25.4 73.0 12.4 3.8 0.0006
실시예 2 27.2 74.9 12.8 3.9 0.0005
실시예 3 28.1 76.7 13.5 4.3 0.0003
실시예 4 29.4 81.0 14.5 4.7 0.0001
비교예 8.8 38.0 4.5 1.1 0.002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초기 강도가 매우 우수하며, 특히, 비교예의 보수재 조성물과 비교하여 휨 강도,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부착 강도, 및 부피 변화율 면에서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내수성 및 내화학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들의 내수성 및 내화학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먼저 내수성의 경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도로 측구에 1 cm 두께로 도포하고, 그 위에 원통형의 물탱크를 설치하여 1 개월 단위로 수분의 침투 여부를 6 개월간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내화학성의 경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에서 경화시킨 28일 후, 35‰의 염분 농도를 갖는 소금물 및 2% 농도의 황산 용액을 매일 1 시간씩 처리하고, 상기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층이 손상되었는지를 1 일 단위로 60 일 동안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내수성 측정 결과(개월) 소금물 내화학성
측정 결과(일)
황산 용액 내화학성 측정 결과 (일)
실시예 1 - 50 32
실시예 2 - 56 48
실시예 3 - - 50
실시예 4 - - 53
비교예 3 17 9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와 달리 6 개월 동안 수분이 전혀 침투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과 비교하여 소금물 및 황산 용액 모두에서 높은 내화학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이산화탄소 흡착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들의 이산화탄소 흡착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기준으로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25℃에서 비표면적 측정장치(liquid nitrogen temperature with a gas sorption analyzer, ASAP 2020)를 통해 각각의 조성물에 대한 흡착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값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흡수 속도 2.35%/min 2.48%/min 2.83%/min 2.95%/min 0.67%/min
상기 표 4의 이산화탄소 흡착 효과 측정 결과, 비교예의 경우 가장 낮은 이산화탄소 흡수 속도를 나타냈으며, 실시예 4의 경우 가장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 속도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자외선 차단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들의 자외선 차단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도포 한 후, 48 시간 동안 280 nm 내지 400 nm의 자외선에 노출시킨 뒤 1 주일 후 내후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변색 경과를 관찰하였다. 관찰은 육안으로 실시하였으며, 뚜렷한 색 변화가 나타난 정도를 '5'점, 나타나지 않은 정도를 '0'점으로 하기 표 5에 표기하였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흡수 속도 2 2 0 0 4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경우 48 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뛰어난 자외선 차단 능력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결빙 방지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들의 결빙 방지 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KS F 2456에 따라 저항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기준 값은 80% 이상으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6에 표기하였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저항성(%) 79 80 82 96 76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은, 비교예의 보수재 조성물과 비교하여 뛰어난 결빙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4의 경우 결빙 방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1) 알루미나 시멘트 20 내지 40 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 20 내지 40 중량부, 트리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 10 내지 20 중량부, 실리카 퓸 0.1 내지 5 중량부, 반수석고 0.1 내지 5 중량부, 플라이애쉬 0.05 내지 3 중량부, 폐각 분말 0.5 내지 3 중량부, 응회암 0.1 내지 5 중량부, 및 규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고상 조성물;
    (2) 규산질계 방수제 1 내지 5 중량부, CSA계 팽창제 1 내지 5 중량부, 증점제 0.01 내지 3 중량부, 유동화제 0.01 내지 3 중량부, 경화지연제 0.01 내지 3 중량부, 경화촉진제 0.01 내지 3 중량부, 소포제 0.01 내지 3 중량부, 습윤제 0.01 내지 3 중량부,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 단섬유 1 내지 15 중량부, Li2CO3-MgO 이산화탄소 흡착제 0.1 내지 3 중량부, NiO/NiMn2O4 촉매 0.1 내지 0.5 중량부, 및 코코넛 오일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고상 조성물; 및
    (3) 폴리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실란 변성 아크릴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2. 삭제
  3. 손상된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을 고압 살수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을 그라인딩 및 표면 파쇄 처리하여 다듬는 단계;
    상기 다듬은 도로 측구의 보수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대상면의 요철에 따라 하도로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표면에 청구항 1에 따른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을 도포하고 양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 보수 방법.
KR1020200087479A 2020-07-15 2020-07-15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 KR10221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479A KR102214313B1 (ko) 2020-07-15 2020-07-15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479A KR102214313B1 (ko) 2020-07-15 2020-07-15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313B1 true KR102214313B1 (ko) 2021-02-10

Family

ID=7456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479A KR102214313B1 (ko) 2020-07-15 2020-07-15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3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780B1 (ko) * 2021-05-12 2022-01-25 장수철 고강도 방수 몰탈 보수공법
KR102362416B1 (ko) 2021-10-08 2022-02-15 주식회사 한강이앤씨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노면 파손부의 단면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61258B1 (ko) * 2021-05-12 2022-10-31 장수철 콘크리트 수명 연장을 위한 보수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895B1 (ko) * 2013-10-11 2014-02-19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속경성 폴리머콘크리트 조성물, 속경성 폴리머콘크리트, 이의 제조방법 및 도로면 측구 시공공법
KR101663690B1 (ko) * 2015-10-13 2016-10-07 주식회사 에코이앤씨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706116B1 (ko) * 2016-03-08 2017-02-14 장영수 친환경 황토 레미콘 조성물
KR101802698B1 (ko) * 2017-02-23 2017-12-28 최원용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2000219B1 (ko) 2018-11-01 2019-07-15 (주)제이엔티아이엔씨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측구의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895B1 (ko) * 2013-10-11 2014-02-19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속경성 폴리머콘크리트 조성물, 속경성 폴리머콘크리트, 이의 제조방법 및 도로면 측구 시공공법
KR101663690B1 (ko) * 2015-10-13 2016-10-07 주식회사 에코이앤씨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706116B1 (ko) * 2016-03-08 2017-02-14 장영수 친환경 황토 레미콘 조성물
KR101802698B1 (ko) * 2017-02-23 2017-12-28 최원용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2000219B1 (ko) 2018-11-01 2019-07-15 (주)제이엔티아이엔씨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도로측구의 보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780B1 (ko) * 2021-05-12 2022-01-25 장수철 고강도 방수 몰탈 보수공법
KR102461258B1 (ko) * 2021-05-12 2022-10-31 장수철 콘크리트 수명 연장을 위한 보수공법
KR102362416B1 (ko) 2021-10-08 2022-02-15 주식회사 한강이앤씨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노면 파손부의 단면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313B1 (ko) 도로 측구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보수 방법
KR101665945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
KR101796418B1 (ko) 속경성 초조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CN109626925B (zh) 基于高温活化和水硬性提升的磷石膏路基材料的制备方法
KR10144624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34367B1 (ko) 수지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방수공법
KR101708357B1 (ko) 고기능성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보수공법
KR10193606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기능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41944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보수, 보강을 위한 속경 고밀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방수 및 보수, 보강 내진 공법
KR101835081B1 (ko)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2058316B1 (ko) 기능성 결합재를 포함한 균열 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102291758B1 (ko) 수축저감형 라텍스 개질 초속경 및 초조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및 교량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14474B1 (ko) 조기 강도 발현형 긴급 보수용 상온 속경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1621199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 시공 방법
CN103193432A (zh) 一种防冻混凝土
KR10184419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0787477B1 (ko)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자기세정 침투성 성능개선제
KR102358366B1 (ko) 초소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첨가한 초소수성 시멘트 페이스트
KR102126254B1 (ko)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또는 강 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방법
KR101747660B1 (ko) 자기 지수 및 보수성을 가지는 교면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2207012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55639B1 (ko) 화강석 석판재용 차열성 코팅조성물 및 코팅방법
KR101050740B1 (ko) 결빙 방지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결빙 방지 도로 포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