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163B1 - 무선충전 케이스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163B1
KR102214163B1 KR1020190062601A KR20190062601A KR102214163B1 KR 102214163 B1 KR102214163 B1 KR 102214163B1 KR 1020190062601 A KR1020190062601 A KR 1020190062601A KR 20190062601 A KR20190062601 A KR 20190062601A KR 102214163 B1 KR102214163 B1 KR 102214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terminal
battery
lock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702A (ko
Inventor
황성진
황성철
Original Assignee
황성진
황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진, 황성철 filed Critical 황성진
Priority to KR102019006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1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는, 무선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각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4 걸림부;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를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를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의 하부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의 사이에 배치된 무선충전부; 및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하부연장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충전 케이스를 단말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단말기의 네 모서리 측에 장착할 수 있어, 어떤 종류의 단말기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 케이스{CASE HAVING WIRELESS CHARGER}
본 발명은 무선충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단말기에 장착하여, 단말기를 무선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등과 같이, 일반화되었으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하는 액세서리(accessory)에 대한 시장도 상당히 큰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중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가죽이나,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단말기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단말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단말기 케이스는 단말기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단말기 케이스는 특정 기기에 맞춤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교체하는 경우, 단말기 케이스도 함께 교체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9765호 (2018.12.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충전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는, 무선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각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4 걸림부;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를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를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의 하부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의 사이에 배치된 무선충전부; 및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하부연장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각각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하부연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선충전부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각각 제1 및 제2 걸림부에 인접하게 상기 제1 및 제2 하부연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연결부는 각각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하부연장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무선충전부의 양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연결부는 각각 제3 및 제4 걸림부에 인접하게 상기 제1 및 제2 하부연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가 신축될 때, 위치가 상기 제3 및 제4 걸림부가 위치한 위치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충전 코일; 상기 무선 충전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단자; 및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무선 충전 코일에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충전 코일; 상기 무선 충전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단자;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에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무선 충전 코일에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외부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모드로 동작하는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배터리에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공급하는 모드 및 상기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모드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제2 코일의 모드를 변경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에는 상기 단말기의 각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각각 제1 내지 제4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홈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와 접촉되는 제1 내지 제4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중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중앙부는 상기 무선충전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연장부는 상기 연결중앙부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하부연장부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충전 케이스를 단말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단말기의 네 모서리 측에 장착할 수 있어, 어떤 종류의 단말기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무선충전 케이스의 걸림부에 형성된 걸림홈의 내측에 점착층이 구비됨에 따라 무선충전 케이스를 단말기에 장착하였을 때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어,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등과 같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안전하게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충전 케이스를 단말기에 장착할 때, 무선충전 케이스가 확장되더라도, 무선충전부의 위치가 단말기의 중앙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무선충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하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단말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무선충전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무선충전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무선충전부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하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에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무선충전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무선충전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하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단말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100)는,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 무선충전부(160), 제1 내지 제4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는 단말기(200)의 네 모서리에 각각 걸리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에는 각각 걸림홈이 형성된다. 도 1에는 제1 걸림홈(111a)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고, 도 2에는 제2 걸림홈(113a)이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이렇게 걸림홈에 단말기(200)의 네 모서리가 걸려 단말기(200)에 케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구형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의 두께로 인해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에 단말기(200)가 삽입되도록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단말기(200)에 장착되면, 단말기(200)의 각 면은 지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단말기(200)에 장착되면, 단말기(200)의 각 면 중 어느 면도 지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떨어뜨리더라도 단말기(200)가 무선충전 케이스(100)에 의해 지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어, 단말기(200)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의 형상을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단말기(200)에 장착되었을 때, 단말기(200)가 지면과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만 가질 수 있으면 되므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는 각각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상부 연장부는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를 각각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제1 내지 제4 하부 연장부는 제1 내지 제4 상부 연장부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를 각각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걸림부(111)와 제2 걸림부(113)는 제3 상부연장부(142) 및 제3 하부연장부(144)에 의해 연결되고, 제2 걸림부(113) 및 제3 걸림부(115)는 제2 상부연장부(132) 및 제2 하부연장부(134)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3 걸림부(115) 및 제4 걸림부(117)는 제4 상부연장부(152) 및 제4 하부연장부(154)에 의해 연결되며, 제4 걸림부(117) 및 제1 걸림부(111)는 제1 상부연장부(122) 및 제1 하부연장부(124)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는 각각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러버(rubber) 등의 소재를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 각각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는 일정 범위 내에서 신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200)의 크기에 따라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의 길이가 신축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2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의 신축 범위에 따라 장착할 수 있는 단말기(200)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단말기(200)에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장착되었을 때, 단말기(200)의 네 측면은 각각 전체가 덮이지 않고,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200)의 측면에 배치된 작동 버튼이나 충전단자가 노출될 수 있어,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단말기(200)에 장착되더라도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것에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무선충전부(160)는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의 사이에 배치된다. 무선충전부(16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의 사이에서 제3 및 제4 걸림부(115, 117)에 치우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무선충전부(160)가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에서 일 측에 치우쳐 배치되는 것은, 단말기(200)에 장착된 무선충전장치가 대체로 단말기(200)의 세로 길이에서 일 측에 치우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무선충전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가 늘어나더라도 무선충전부(160)의 위치는 거의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충전부(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연결부(172, 174, 176, 178)에 의해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연결부(172, 174)는 각각 일단이 제1 및 제2 연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무선충전부(160)에 연결되는데, 이때, 무선충전부(160)의 Y축 방향에 배치된 측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3 및 제4 연결부(176, 178)는 각각 일단이 제1 및 제2 연장부에 연결되며, 타단이 무선충전부(160)에 연결되는데, 이때, 무선충전부(160)의 X축 방향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가 늘어날 때, 제1 및 제2 연결부(172, 174)가 Y축 방향으로 늘어나는 길이가 X축 방향으로 늘어나는 길이보다 길게 늘어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및 제4 연결부(176, 178)가 Y축 방향으로 늘어나는 길이가 X축 방향으로 늘어나는 길이보다 길게 늘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충전부(160)의 위치는 X축 방향에서 움직이지 않고, Y축 방향으로 거의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즉, 무선충전부(160)는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가 늘어나더라도 그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무선충전부(160)의 위치가 거의 움직이지 않음에 따라 단말기(200)가 무선충전 케이스(100)에 장착될 때, 단말기(200)의 무선충전 장치가 위치한 위치에서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충전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에 형성된 걸림홈의 형상에 대해 제1 걸림부(111)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걸림부(111)에는 제1 걸림홈(111a)이 형성된다. 제1 걸림홈(111a)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200)의 모서리 중 하나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단말기(200)가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의 각 걸림홈에 삽입되더라도 쉽게 빠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걸림홈이 탄성이 있는 소재를 가지더라도 쉽게 이탈될 수 있는데, 단말기(200)가 걸림홈에서 쉽게 이탈되면, 단말기(200)를 보호하는 기능이 약해지기 때문에 단말기(200)가 걸림홈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걸림부(111)의 제1 걸림홈(111a)에 제1 점착층(111b)이 형성된다. 제1 점착층(111b)은 단말기(200)와의 마찰을 높여 단말기(200)가 제1 걸림홈(111a)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점착층(111b)은 소정의 점착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되며, 단말기(200)와 접촉되며 점착성이 있는 소재로 인해 단말기(200)에 점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점착층(111b)은 표면에 다수의 먼지나 이물질이 붙더라도 물 등으로 씻으면 다시 점착력이 생성되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홈(113a) 내에 제2 점착층(113b)이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3 및 제4 걸림홈에도 각각 제3 및 제4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무선충전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무선충전부(160)는 무선 충전 코일(166), 배터리(168), 충전 단자(162) 및 스위치(164)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코일(166)은 무선충전부(160)의 내부에 배치되며, 배터리(168)에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전류가 흐르며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다.
배터리(168)는 무선 충전 코일(166)에 전류를 공급하고, 충전 단자(162) 및 스위치(16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충전 단자(162)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이 저장될 수 있다.
충전 단자(16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부(160)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 단자(162)는, 단말기(200)를 유선으로 충전할 때, 이용되는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micro USB, USB c 타입 또는 lightning 타입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치(164)는 무선 충전 코일(166)의 외측에 배치되고, 배터리(168)에서 무선 충전 코일(166)에 전류를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즉, 스위치(164)는 사용자가 무선 충전 코일(166)에 전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여, 단말기(200)가 무선충전 케이스(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무선충전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무선충전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100)의 무선충전부(160)는 무선 충전 코일(166), 배터리(168), 충전 단자(162) 및 감지기(16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충전부(16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스위치(164)를 대신하여 감지기(169)가 배치된다. 감지기(169)는 무선충전 케이스(100)에 단말기(200)가 장착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감지기(169)는 단말기(200)의 충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기(169)에서 단말기(200)가 무선충전 케이스(100)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면, 배터리(168)에서 무선 충전 코일(166)에 전류를 공급하여 단말기(200)에 전력이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감지기(169)가 단말기(200)의 충전상태가 낮은 것을 감지하면, 감지기(169)는 배터리(168)에서 무선 충전 코일(166)에 전류를 공급하여 단마라기에 전려기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무선충전부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100)에 대해 설명하는데,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충전 케이스(100)는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의 중앙에 연결중앙부(179)가 배치된다. 연결중앙부(179)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172, 174, 176, 178)에 의해 연결되며, 제1 내지 제4 연결부(172, 174, 176, 178)는 각각 제1 및 제2 하부연장부(124, 134)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중앙부(179)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172, 174, 176, 178)와 같이, 신축되는 소재로 형성되지 않고,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중앙부(179)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중앙부(179)의 하부에 무선충전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중앙부(179)와 무선충전부(160)는 서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연결중앙부(179)에는 이동턱(179a)이 하부에 형성되고, 무선충전부(160)에는 이동홈(16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중앙부(179)의 이동턱(179a)이 무선충전부(160)의 이동홈(160a)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중앙부(179)와 무선충전부(16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부(160)는 연결중앙부(179)에서 Y축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즉, 무선충전부(160)는 제1 상부연장부(122)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중앙부(179)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무선충전부(160)가 연결중앙부(179)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됨에 따라 단말기(200)가 무선충전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무선충전부(16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홈(160a)의 길이는 이동턱(179a)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200)에 포함된 무선충전 장치의 위치에 따라 무선충전부(160)의 위치를 이동시켜, 단말기(200)의 무선충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하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에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무선충전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의 무선충전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100)는,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 무선충전부(160) 및 제1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는 단말기(200)의 네 모서리에 각각 걸리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에는 각각 걸림홈이 형성된다. 도 10에는 제1 걸림홈(111a)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고, 도 11에는 제2 걸림홈(113a)이 형성된 것만 도시되었지만, 걸림홈은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에 각각 형성된다. 이렇게 걸림홈에 단말기(200)의 네 모서리가 걸려 단말기(200)에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는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를 합친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단말기(200)에 장착될 때,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단말기(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가 각각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단말기(200)에 장착되면,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의 탄성에 의해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가 단말기(20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122, 132, 142, 152) 및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124, 134, 144, 154) 및 각각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4 걸림부(111, 113, 115, 117)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연장부(122) 및 제1 하부연장부(124)는 일부분에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1 상부연장부(122) 및 제1 하부연장부(124)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연장부(132) 및 제2 하부연장부(134)는 일부분에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2 상부연장부(132) 및 제2 하부연장부(134)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충전부(16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166a), 제2 코일(166b), 배터리(168), 충전 단자(162) 및 스위치(164)를 포함한다.
제1 코일(166a) 및 제2 코일(166b)은 각각 무선 충전을 위한 코일이며, 배터리(168)에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전류가 흐르며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다. 이때, 제1 코일(166a) 및 제2 코일(166b)은 배터리(168)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코일(166a)은 배터리(168)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2 코일(166b)은 배터리(168)의 일면의 배면인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충전 케이스(100)가 단말기(200)에 장착되면, 제1 코일(166a)이 단말기(200)에 인접한 위치인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코일(166b)은 무선충전 케이스(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166a)은 무선충전부(160)에 포함된 배터리(168)의 전력을 단말기(200)에 무선 전송하기 위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코일(166a)은 배터리(168)에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전류가 흘러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코일(166b)은 무선충전부(160)에 포함된 배터리(168)의 전력을 별도의 단말기(200)에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별도의 무선충전기(300)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코일(166b)은 제1 코일(166a)과 같이, 배터리(168)의 전력에 의해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케이스(100)는 두 대의 단말기(200)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하나의 단말기(200)는 무선충전 케이스(100)에 결합시키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부(160)가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 다음 무선충전부(160)의 상부에 무선충전이 가능한 다른 단말기(200)를 놓으면, 두 대의 단말기(200)를 동시에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 코일(166b)이 별도의 무선충전기(300)에서 무선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에 무선충전 케이스(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별도의 무선충전기(300)에 올려놓으면, 무선충전기(300)에서 전송된 무선 전력이 단말기(200) 및 무선충전 케이스(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무선충전기(300)에서 공급된 무선전력에 의해 무선충전부(160)의 배터리(168)가 충전될 수 있고, 배터리(168)의 전력이 단말기(20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 제2 코일(166b)이 무선충전부(160)에 배치됨에 따라 충전 단자(162)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배터리(168)를 충전할 수 있다.
스위치(164)는 본 실시예에서, 제2 코일(166b)의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즉, 스위치(164)는 제2 코일(166b)이 배터리(168)의 전력을 외부로 방전하는 모드 및 제2 코일(166b)이 외부의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68)를 충전하는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스위치(164)는 추가적으로 제2 코일(166b)과 배터리(168)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스위치(164)를 이용하여 제2 코일(166b)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충전 케이스
111, 113, 115, 117: 제1 내지 제4 걸림부
111a, 113a: 제1 및 제2 걸림홈
111b, 113b: 제1 및 제2 점착층
122, 132, 142, 152: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
124, 134, 144, 154: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
160: 무선충전부
160a: 이동홈
162: 충전 단자
164: 스위치
166: 무선 충전 코일
166a: 제1 코일
166b: 제2 코일
168: 배터리
169: 감지기
172, 174, 176, 178: 제1 내지 제4 연결부
179: 연결중앙부
179a: 이동턱
200: 단말기
300: 무선충전기

Claims (8)

  1. 무선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각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제1 내지 제4 걸림부;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를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를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의 하부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3 및 제4 걸림부에 치우치게 배치된 무선충전부; 및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하부연장부를 연결하는 제1 내지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부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상부연장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하부연장부를 합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부연장부와 상기 제1 하부연장부 및 상기 제2 상부연장부와 상기 제2 하부연장부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무선충전부는,
    충전 단자에 의해 외부에 공급된 전력이 저장되는 배터리;
    상기 단말기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배터리의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별도의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거나, 별도의 무선충전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충전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제2 코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2 코일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외부로 방전하는 모드와 상기 제2 코일이 외부의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배터리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는 무선충전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62601A 2019-05-28 2019-05-28 무선충전 케이스 KR102214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01A KR102214163B1 (ko) 2019-05-28 2019-05-28 무선충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01A KR102214163B1 (ko) 2019-05-28 2019-05-28 무선충전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02A KR20200136702A (ko) 2020-12-08
KR102214163B1 true KR102214163B1 (ko) 2021-02-09

Family

ID=7377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01A KR102214163B1 (ko) 2019-05-28 2019-05-28 무선충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76A1 (ko) * 2021-06-09 2022-12-15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디바이스용 자켓 및 이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765B1 (ko) 2012-04-06 2018-12-17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무선충전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WO2016140534A1 (ko) * 2015-03-03 2016-09-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822855B1 (ko) * 2015-11-19 2018-03-08 (주)한국전자기술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02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003B1 (ko)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554605B1 (ko)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CN101964550B (zh) 无接触电池装置
JP6293404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JP6196861B2 (ja) モバイルバッテリ
JP5362073B2 (ja) 充電装置
KR101290890B1 (ko) 다종다양한 충전 밧데리용 유무선 겸용 만능 충전기
KR102214163B1 (ko) 무선충전 케이스
JP5528080B2 (ja) 電力供給装置
KR100951456B1 (ko) 전기 접속 시스템
CN108701878B (zh) 能够收发无线电力的辅助电池
KR101868445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KR102415970B1 (ko) 배터리 교체형 이어버드 및 그 전용장치
US6994592B1 (en) Universal charging apparatus
KR200484841Y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692762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US20210194281A1 (en) Portable device configured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s
US11043842B2 (en) Control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0468582B2 (en) Basketball with piezo elements to produce charging current
EP2034584A2 (en) Power charging and supplying system
KR20210056028A (ko) 유체마찰발전에 의한 충전기능을 가진 스마트폰 케이스
KR200379930Y1 (ko) 휴대용 다중 직류전압 공급장치
WO2017013442A2 (en) A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214512660U (zh) 一种游戏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