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152B1 - 선박평형수 처리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고선택성 M/Ru 염소 발생반응 촉매 - Google Patents

선박평형수 처리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고선택성 M/Ru 염소 발생반응 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152B1
KR102214152B1 KR1020190050130A KR20190050130A KR102214152B1 KR 102214152 B1 KR102214152 B1 KR 102214152B1 KR 1020190050130 A KR1020190050130 A KR 1020190050130A KR 20190050130 A KR20190050130 A KR 20190050130A KR 102214152 B1 KR102214152 B1 KR 102214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present
water treatment
thin film
treat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301A (ko
Inventor
김용태
김정환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1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6Redu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0Vanadium, niobium or tantal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6Ruthenium, rhodium, osmium or iridium
    • B01J23/462Ruthe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38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via the gaseous phase-subl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방법은, (a) 금속 전구체(Ta, Gd, Ti, Al, Y)를 루테늄 지지체(Ru support) 위에 로딩하여 50℃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Ar balanced 3% H2 분위기의 고온(700℃) 열처리를 통해 금속 전구체를 환원시킴으로써, 지지체 표면에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작된 M/Ru 촉매가 염소발생반응(CER)에 적용되면, 약 96% 수준의 선택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산업적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선박평형수 처리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고선택성 M/Ru 염소 발생반응 촉매{M/Ru-Based Chlorine Evolution Reaction Catalysts With High Selectivity For Preventing Corrosion Of Balanced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염소 발생반응(Chlorine Evolution Reaction, CER) 촉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평형수 처리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고선택성 M/Ru 염소 발생반응 촉매에 관한 것이다.
선박평형수란 화물적재 상태에 따라 선박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평형수 탱크에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해수를 의미한다. 이 때, 평형수의 주입과 배출에 따라 다른 해역에서 주입된 바닷물에 포함된 해양생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배출된 해양 생물들은 주변의 생태계를 교란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생태계 교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의무적으로 선박에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도록 하는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을 제정하여 발효시킴으로서, 선박 평형수 처리 기술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선박평형수 처리 기술은 주로 UV, 화학약품 사용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나, 기술적으로는 전기분해 방식이 가장 유리하다. 이러한 선박평형수의 전기 분해를 위하여 염소발생반응(Chlorine Evolution Reaction, CER)이 사용된다.
이 때, 염소 발생효율이 낮은 촉매를 사용하여 전기분해를 진행할 경우, 바닷물의 전기화학적 분해반응의 결과로 산소도 발생되게 된다. 즉, 선택성이 높지 않은 촉매를 이용할 경우 산소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선박평형수 처리시설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여 선박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적정 수준의 염소 발생효율을 갖추지 못한 촉매는 산업 현장에의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선박평형수 처리를 위해서는 염소 발생반응(CER)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가지는 촉매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산소발생반응과 염소 발생 반응에서 높은 활성을 가지는 Ru 기반의 촉매를 활용하였다. 또한 선택성을 높이기 위해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금속(M)을 도포시킨 형태인 M/Ru 촉매를 제작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금속 전구체(Ta, Gd, Ti, Al, Y)를 루테늄 지지체(Ru support) 위에 로딩하여 50℃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Ar balanced 3% H2 분위기의 고온(700℃) 열처리를 통해 금속 전구체를 환원시킴으로써, 지지체 표면에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를 제작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작된 M/Ru 촉매가 염소발생반응(CER)에 적용되면, 기존 대비 대폭 증가된 염소 발생효율을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촉매의 CER 도입으로 약 96% 수준의 선택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산업적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M/Ru 촉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전기화학 평가장치(Bio-logic, VSP)를 통해 측정한 Bulk Ru, Ta/Ru, Gd/Ru, Ti/Ru, Al/Ru, Y/Ru의 염소 발생반응(CER) 활성 평가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기체 분석기(Oxygen Analyzer Model EC900)를 이용하여 측정한 Bulk Ru, Ta/Ru, Gd/Ru, Ti/Ru, Al/Ru, Y/Ru의 염소 발생효율(선택성)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단일원자 백금 촉매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개략적으로, M/Ru 촉매를 제작하기 위해 전구체를 통해 제조한 용액을 Droplet 방식으로 증착시킨다. 이를 약 850℃ 조건에서 열처리하여 염소 발생효율이 높은 M/Ru 촉매를 제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CER 촉매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단계 (a) : 루테늄 지지체 위 금속 전구체 증착
우선, 금속 전구체(Gd, Ta, Ti, Al, Y)를 루테늄 지지체(Ru support) 위 미온(50℃)에서 건조시켰으며,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온도에서 60분간 건조시켰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전구체는 염 (salts)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전구체는 염화탄탈럼(Tantalum(V) Chloride), 탄탈륨 에톡사이드(Tantalum(V) ethoxide), 염화가돌리늄(Gadolinium(III) chloride), 질산가돌리늄(Gadolinium(III) nitrate), 염화티타늄(Titanium(Ⅲ) Chloride), 염화알루미늄(Aluminium(Ⅲ) Chloride), 질산알루미늄(Aluminum(Ⅲ) nitrate), 염화이트륨(Yttrium(III) chloride) 질산이트륨(Yttrium(III) nitrate)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염은 염화탄탈럼(Tantalum(V) Chloride), 염화가돌리늄(Gadolinium(III) chloride), 염화티타늄(Titanium(Ⅲ) Chloride), 염화알루미늄(Aluminium(Ⅲ) Chloride), 염화이트륨(Yttrium(III) chloride)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체(support)는 얇은 박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고상 기질(solid substrate)로서, 상기 지지체는 루테늄(Ruthenium, Ru)이 사용되었다. 이는 루테늄이 염소 발생반응(CER)용 촉매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단계 (b) :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 제조
이어,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Ar balanced 3% H2 분위기의 고온(700℃) 열처리를 통해 금속 전구체를 환원시킴으로써, 지지체 표면에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계 (b)는 700℃에서 열처리하여야 하며, 700℃ 이하의 온도범위에서는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가 고르게 형성되지 않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데이터 미기재).
본 발명에서 제조한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는 기존의 루테늄 촉매와는 다른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염소 발생반응(CER)에 있어 Ta/Ru의 선택성이 가장 높았고, 활성이 없는 금속 전구체(Gd, Ta, Ti, Al, Y)로 구성된 얇은 박막(Thin film)으로 루테늄 활성 표면적을 가리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루테늄 촉매보다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도 1과 같은 형태의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가 생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촉매는 금속 박막을 포함하며, 이러한 금속 박막은 금속 전구체(Gd, Ta, Ti, Al, Y)로 구성된 얇은 박막(Thin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 박막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체는 루테늄(Ru)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들은 도 2 및 도 3과 같은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속 전구체(Gd, Ta, Ti, Al, Y)로 구성된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로 인해 전극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용촉매로 이용되고 있는 루테늄(Ru) 보다 염소 발생반응(CER) 활성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로 하면, 대부분의 금속 전구체(Gd, Ti, Al, Y)로 구성된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에서는 크게 선택성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탄탈룸(Tantalum, Ta)으로 구성된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는 기존의 벌크 루테늄 촉매 대비 상당한 선택성의 향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방법:
    (a) 금속 전구체인 Ta, Gd, Ti, Al 및 Y를 루테늄 지지체(Ru support) 위에 로딩하여 50℃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97% 부피의 아르곤과 3% 부피의 수소가 혼합된 700℃의 혼합 기체로 열처리하여 금속 전구체를 환원시킴으로써, 지지체 표면에 얇은 박막(Thin film) 형태의 촉매를 제작하는 단계.
KR1020190050130A 2019-04-29 2019-04-29 선박평형수 처리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고선택성 M/Ru 염소 발생반응 촉매 KR102214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30A KR102214152B1 (ko) 2019-04-29 2019-04-29 선박평형수 처리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고선택성 M/Ru 염소 발생반응 촉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30A KR102214152B1 (ko) 2019-04-29 2019-04-29 선박평형수 처리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고선택성 M/Ru 염소 발생반응 촉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301A KR20200126301A (ko) 2020-11-06
KR102214152B1 true KR102214152B1 (ko) 2021-02-09

Family

ID=7357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130A KR102214152B1 (ko) 2019-04-29 2019-04-29 선박평형수 처리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고선택성 M/Ru 염소 발생반응 촉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1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6075A (ja) 2010-08-25 2013-09-19 バイエル・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気相酸化による塩素製造のための触媒および方法
JP2015502646A (ja) 2011-12-22 2015-01-22 ユミコア・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Umicore AG & Co.KG 燃料電池用電気触媒、および前記電気触媒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01098A1 (it) * 2010-06-17 2011-12-18 Industrie De Nora Spa Elettrodo per elettroclorazione
WO2017057337A1 (ja) * 2015-09-28 2017-04-06 株式会社大阪ソーダ 塩素発生用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6075A (ja) 2010-08-25 2013-09-19 バイエル・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気相酸化による塩素製造のための触媒および方法
JP2015502646A (ja) 2011-12-22 2015-01-22 ユミコア・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Umicore AG & Co.KG 燃料電池用電気触媒、および前記電気触媒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PHYS. CHEM. C 2018. 122. 10468-1047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301A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eng et al. Stability and deactivation of OER electrocatalysts: A review
Li et al. Enhanced mass transfer of oxygen through a gas–liquid–solid interface for photocatalytic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Katsounaros et al. Oxygen electrochemistry as a cornerstone for sustainable energy conversion
CN1060230C (zh) 电极
Shmychkova et al. Electrodeposition of Ni2+-doped PbO2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RU1779224C (ru) Катализатор дл удалени водорода из газовой смеси
Hargreaves et al. Minimizing energy demand and environmental impact for sustainable NH3 and H2O2 production—A perspective on contributions from thermal, electro-, and photo-catalysis
NO158190B (no) Elektrode for elektrolyseprosesser og fremgangsmaate ved fremstilling derav.
DK2704826T3 (en) ELECTRODE FOR ELECTROLYTIC PROCESS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Hojamberdiev et al. Unfolding the role of B site-selective doping of aliovalent cations on enhancing sacrificial visible light-induced photocatalytic H2 and O2 evolution over BaTaO2N
Oliveira et al. Investigation of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reaction of the borohydride anion in palladium layers on Pt (111)
Mohammadpour et al. The role of embedded 2-ABT@ Cu-BTC MOF on the anti-corrosion performance of electro-assisted deposited silica sol-gel composite film
Iqbal et al. Protective cerium-based layered double hydroxides thin films developed on anodized AA6082
KR102214152B1 (ko) 선박평형수 처리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고선택성 M/Ru 염소 발생반응 촉매
Mentus Electrochemical response of a composite Pt/TiO2 layer formed potentiodynamically on titanium surfaces
US9090983B2 (en)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and method for obtaining the same
EP3320130A1 (en)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olytic hydrogen generation
Flis et al. Initiation of Electroless Nickel Plating on Copper, Palladium‐Activated Copper, Gold, and Platinum
Olshtrem et al. Plasmon-assisted spatially selective grafting of Ti3C2TX flakes for prevention of MXene oxidation and stability increase
Bao et al. Hetero MOF‐On‐MOF of Ni‐BDC/NH2‐MIL‐88B (Fe) Enables Efficient Electrochemical Seawater Oxidation
KR101898536B1 (ko) 선박 평형수 전기분해용 전극
Ureta-Zañartu et al. Electrodeposited Pt-Ir electrodes: characterization and electrocatalytic activity for the reduction of the nitrate ion
Kim et al. Electrochemical Preparation of Ru/Co Bi‐layered Catalysts on Ti Substrates for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JP6906846B2 (ja) 触媒カートリッジ
KR20200136765A (ko) 전기분해용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