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130B1 -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130B1
KR102214130B1 KR1020190127620A KR20190127620A KR102214130B1 KR 102214130 B1 KR102214130 B1 KR 102214130B1 KR 1020190127620 A KR1020190127620 A KR 1020190127620A KR 20190127620 A KR20190127620 A KR 20190127620A KR 102214130 B1 KR102214130 B1 KR 10221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ata
gas
medical refrigerator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to KR1020190127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0Enclosures; Chambers for storing hazardous materials in the laboratory, e.g. cupboards, wast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4Temperature balanc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신뢰도가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되는 시약의 온도관리를 위해 구비되는 냉장수단과, 내부 공기를 외부와 연통시켜 환기하기 위해 구비되는 환기수단을 포함하는 의료용 냉장고;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제1온도센서;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온도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온도센서와는 별도로 이중으로 구비되는 제2온도센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온도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며, 상기 의료용 냉장고에 구비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제2온도센서에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2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제2온도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며,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외부에 구비되는 서버부; 및 상기 냉장수단 및 상기 환기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제1온도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데이터를 전송받아 상호 실시간 비교 연산하도록 구비되고, 메인전원공급부에 전원 연결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data recording system for medical refrigerator}
본 발명은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뢰도가 개선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약(試藥), 특히 바이오 계통의 시약이나 의약품은 상대적으로 고가인 경우가 많고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보관 환경에 예민하며 대부분의 경우 보관 조건과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다.
여기서, 유효 기간이 경과하여 역가가 저하되거나 소실된 시약이나 의약품을 사용하게 되면 의도하는 실험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잘못된 결론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실험실이나 연구실에서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하며, 유효 역가를 보유한 고가의 시약을 적기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실험실이나 연구실 경제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연구소, 회사, 공장, 학교 등 시약장을 사용하는 실험실 등에서는 여러종류의 시약을 취급 및 보관하기 위해 시약의 냉장보관이 가능한 시약장 및 의료용 냉장고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의료용 냉장고는 시약을 내부에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온도조절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유독물질 누출에 의한 질식사고나 화재사고, 폭발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의 환기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종래의 의료용 냉장고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의료용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의료용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온도센서 고장, PCB 고장, 전원공급 이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 의료용 냉장고의 온도 관리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의료용 냉장고 내부의 실제온도와 다른 잘못된 온도가 표시부로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즉시 고장 발생에 대처할 수 없어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의료용 냉장고의 온도 센싱을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온도센서 자체의 고장을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가 실제 온도와 다르게 표시되어 사용자가 정상상태로 오인하여 적절한 고장 수리 및 온도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변질된 시약이 사용되거나, 변질된 시약으로부터 유독물질이 의료용 냉장고 내부 및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 인명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3640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뢰도가 개선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되는 시약의 온도관리를 위해 구비되는 냉장수단과, 내부 공기를 외부와 연통시켜 환기하기 위해 구비되는 환기수단을 포함하는 의료용 냉장고;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제1온도센서;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온도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온도센서와는 별도로 이중으로 구비되는 제2온도센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온도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며, 상기 의료용 냉장고에 구비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제2온도센서에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2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제2온도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며,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외부에 구비되는 서버부; 및 상기 냉장수단 및 상기 환기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제1온도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데이터를 전송받아 상호 실시간 비교 연산하도록 구비되고, 메인전원공급부에 전원 연결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제1가스센서와,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가스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가스센서와는 별도로 이중으로 구비되는 제2가스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상기 제1가스센서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1가스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가스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며,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2가스센서에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2가스센서로부터 측정된 제2가스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고,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제1가스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 가스량에 대하여 이중으로 측정된 상기 제1가스데이터 및 상기 제2가스데이터가 기설정된 가스량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 제2고장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제1가스데이터 및 상기 제2가스데이터가 기설정된 가스량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에 상기 환기수단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온도센서 자체의 고장을 판별하기 어려워 시약이 적정온도에서 보관되는지 여부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던 종래와 달리, 제1온도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는 제2온도센서가 이중으로 더 구비되어 각 온도데이터 간의 차이가 발생되는 순간 고장여부를 즉시 확인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냉장수단이 자동으로 구동 제어되어 온도가 자동 조절되므로 제품의 신뢰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제1가스센서와는 별도로 측정되는 각 가스데이터 간의 비교를 통해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제2가스센서가 더 구비되어 시약으로부터 유해가스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가스센서 고장에 의해 유해가스가 미배출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시약이 적정온도에서 지속적으로 보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온도데이터와 가스데이터가 의료용 냉장고 외부에 구비된 서버부에도 저장되어 데이터저장부의 파손 및 손실시에도 각 데이터가 서버부에 이중으로 보존되므로 데이터손실 가능성이 최소화되며 시약의 관리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교류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제로크로싱 신호를 기반으로 연산제어부가 메인전원공급부 및 보조전원공급부 중 어느 하나와 스위칭되어 전원 연결되므로 정전 상황에서도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 온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시약의 변질 및 손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다섯째,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온도보다 의료용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더 높은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연산제어부가 냉장수단을 자동으로 구동 제어하므로 보관된 시약의 변질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어 보관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에서 제1고장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에서 제2고장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에서 전원 공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에서 제1고장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에서 제2고장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에서 전원 공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은 의료용 냉장고(10), 제1온도센서(20), 제2온도센서(30), 데이터저장부(40), 서버부(50), 그리고 연산제어부(6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이 의료용 냉장고(10)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가정용 및 업소용 일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시약이 수용되도록 일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이 투영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시약의 보관상태를 상기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료용 냉장고(10)는 내부에 보관되는 시약의 온도 및 습도 관리를 위해 구비되는 냉장수단(11)과, 내부 공기를 외부와 연통시켜 습도를 조절하며 시약에서 발생될 수도 있는 유해물질을 외부로 환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환기수단(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장수단(11)은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구비되는 냉각시스템을 의미하며, 컴프레셔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환기수단(12)은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환기시스템을 의미하며, 환기팬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장수단(11) 및 상기 환기수단(12)은 상기 연산제어부(60)에 회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유해가스는 이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와 밸브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배관을 따라 상기 환기팬에 의해 유동되어 실외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는 상기 제1온도센서(20)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 및 기록되는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센서(30)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서버부(50)에 저장 및 기록되는 제2온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후술되는 제1고장신호 및 제2고장신호가 각각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3)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에는 후술되는 제1가스센서(70)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 및 기록되는 제1가스데이터 및 후술되는 제2가스센서(80)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서버부(50)에 저장 및 기록되는 제2가스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는 제1고장신호 및 제2고장신호가 알림되도록 스피커 등으로 구비되는 알림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 및 상기 알림수단(미도시)은 상기 연산제어부(60)에 회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온도센서(20)는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온도센서(20)로부터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온도가 실시간 측정되어 상기 연산제어부(60)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제1온도데이터가 전송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냉장수단(11)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1온도센서(2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장수단(11)을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1온도센서(2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장수단(11)을 일시적으로 정지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설정온도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저장부(40)는 상기 제1온도센서(20)에 상기 연산제어부(60)를 매개로 하여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1온도센서(20)로부터 측정된 제1온도데이터를 실시간 저장 및 기록하며,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센서(20)에서 측정된 상기 제1온도데이터가 상기 연산제어부(60)로 전송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산제어부(60)와 상기 데이터저장부(40)는 개별 도시 및 설명되나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마이컴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제1온도데이터가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되어, 사용자가 시간 경과에 따른 제1온도데이터의 추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온도센서(30)는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온도센서(20)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온도센서(20)와는 별도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이중으로 구비된다.
이때, 이중으로 구비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온도 측정 기능을 갖는 상기 제1온도센서(20) 및 상기 제2온도센서(30)가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센서(20) 및 상기 제2온도센서(30)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 내벽면 및 타측 내벽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1온도센서(20) 및 상기 제2온도센서(30)는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서 상호간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온도센서(20) 및 상기 제2온도센서(30)에서 각각 측정되는 온도를 상호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높이, 상기 냉장수단(11)으로부터 상호 동일하게 이격된 거리 등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되도록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버부(50)는 상기 연산제어부(6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온도센서(30)에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2온도센서(30)로부터 측정된 제2온도데이터를 실시간 저장 및 기록하며,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외부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서버부(50)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이외의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제2온도센서(30)에 통신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온도센서(30)에서 실시간 측정된 상기 제2온도데이터가 상기 연산제어부(60)로 전송되어 상기 서버부(50)에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제2온도데이터가 상기 서버부(50)에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되어, 사용자가 시간 경과에 따른 제2온도데이터의 추이를 상기 서버부(50)에 무선 통신 연결되는 스마트폰 등의 외부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온도센서(30)를 통해 측정된 제1온도데이터가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 및 기록되는 것과는 별도로 상기 제2온도센서(40)를 통해 측정된 제2온도데이터가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서버부(50)에 이중으로 저장 및 기록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저장부(40)의 파손 및 손실시에도 시약이 적정온도에서 지속적으로 보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데이터가 상기 서버부(50)에 이중으로 보존되므로 데이터손실 가능성이 최소화되며 시약의 관리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1온도센서(20)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데이터를 전송받아 상호 실시간 비교 연산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산제어부(60)는 PCB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일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1온도센서(20)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온도에 대하여 이중으로 측정된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데이터가 상호 상이한 경우 제1고장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상기 제1온도센서(20)에서 실시간 측정된 제1온도데이터가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되며, 상기 서버부(50)에 상기 제2온도센서(30)에서 실시간 측정된 제2온도데이터가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된다(s10). 이어서,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가 전송된다(s11).
그리고, 상기 연산제어부(60)가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가 상호 일치되는지 판단한다(s12). 이때, 상기 연산제어부(60)가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가 상호 일치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의해 비교 판단되는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가 상호 일치되는 경우 상기 제1온도센서(20), 상기 제2온도센서(30),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의해 비교 판단되는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간의 차가 기설정된 온도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1온도센서(20), 상기 제2온도센서(30),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가 상호 상이한 값으로 나타나는 경우, 즉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데이터가 기설정된 온도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3) 및 상기 알림수단(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고장신호를 전송한다(s13). 즉,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 간의 차가 기설정된 온도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제1고장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가 상호 상이한 값으로 나타난다 함은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 간의 차가 기설정범위를 이탈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컨대, 기설정된 온도범위가 1℃인 경우, 상기 제1온도센서(20)에서 측정된 제1온도데이터가 0℃이고, 상기 제2온도센서(30)에서 측정된 제2온도데이터가 2℃이면 제1고장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가 상호 상이한 값으로 나타나는 원인으로는 상기 연산제어부(60) 자체의 고장, 상기 제1온도센서(20) 및 상기 제2온도센서(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장, 전원 공급 이상 등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에 제1온도센서(20)와 별도로 제2온도센서(30)가 이중으로 구비되어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데이터를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의 실제온도와 다른 잘못된 온도데이터가 저장 및 표시되는 순간 고장여부를 즉시 확인하여 제1고장신호가 즉시 전송되므로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보관되는 시약의 보관안전성이 개선되며, 제품의 신뢰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센서 자체의 고장을 판별하기 어려워 시약이 적정온도에서 보관되는지 여부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던 종래와 달리, 상기 제1온도센서(20)의 고장여부를 판별하는 상기 제2온도센서(30)가 이중으로 더 구비되어 각 온도데이터 간의 차이가 발생되는 순간 상기 제1온도센서(20)의 고장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데이터가 기설정된 온도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 온도가 자동 조절되도록 상기 냉장수단(11)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제1고장신호가 발생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가 냉장되도록 상기 냉장수단(11)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도센서의 고장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온도보다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의 온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연산제어부(60)가 상기 냉장수단(11)을 자동으로 구동 제어하여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의 온도가 자동 조절되므로 보관된 시약의 변질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어 보관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은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의 유해가스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제1가스센서(7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가스센서(70)로부터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유해가스가 실시간 측정되어 상기 연산제어부(60)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유해가스량에 대한 제1가스데이터가 전송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유해가스의 감지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환기수단(12)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1가스센서(70)에 의해 측정된 유해가스량이 기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환기수단(12)을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부(40)는 상기 제1가스센서(70)에 상기 연산제어부(60)를 매개로 하여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1가스센서(70)로부터 측정된 제1가스데이터를 실시간 저장 및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스센서(70)에서 측정된 상기 제1가스데이터가 상기 연산제어부(60)로 전송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유해가스에 대한 제1가스데이터가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되며, 사용자가 시간 경과에 따른 제1가스데이터의 추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은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가스센서(70)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가스센서(70)와는 별도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이중으로 구비되는 제2가스센서(8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중으로 구비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해가스 측정 기능을 갖는 상기 제1가스센서(70) 및 상기 제2가스센서(80)가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가스센서(70) 및 상기 제2가스센서(80)는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자일렌, 유기용제 등을 감지하는 VOCs센서로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가스센서(70) 및 상기 제2가스센서(80)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 내벽면 및 타측 내벽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1가스센서(70) 및 상기 제2가스센서(80)는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서 상호간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가스센서(70) 및 상기 제2가스센서(80)에서 각각 측정되는 유해가스량을 상호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높이, 상기 환기수단(12)으로부터 상호 동일하게 이격된 거리 등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되도록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버부(50)는 상기 연산제어부(6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가스센서(80)에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2가스센서(80)로부터 측정된 제2가스데이터를 실시간 저장 및 기록한다. 물론, 상기 서버부(50)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이외의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제2가스센서(80)에 통신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가스센서(80)에서 측정된 상기 제2가스데이터가 상기 연산제어부(60)로 전송되어 상기 서버부(50)에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유해가스에 대한 제2가스데이터가 상기 서버부(50)에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되어, 사용자가 시간 경과에 따른 제2가스데이터의 추이를 상기 서버부(50)에 무선 통신 연결되는 스마트폰 등의 외부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스센서(70)를 통해 측정된 제1가스데이터가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 및 기록되는 것과는 별도로 상기 제2가스센서(80)를 통해 측정된 제2가스데이터가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서버부(50)에 저장 및 기록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저장부(40)의 파손 및 손실시에도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의 유해가스량에 대한 가스데이터가 상기 서버부(50)에 이중으로 보존되므로 데이터손실 가능성이 최소화되며 시약의 관리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1가스센서(70)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가스데이터 및 상기 제2가스데이터를 전송받아 상호 실시간 비교 연산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1가스센서(70)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 유해가스량에 대하여 이중으로 측정된 상기 제1가스데이터 및 상기 제2가스데이터가 상호 상이한 경우 제2고장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저장부(40)에 상기 제1가스센서(70)에서 실시간 측정된 제1가스데이터가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되며, 상기 서버부(50)에 상기 제2가스센서(80)에서 실시간 측정된 제2가스데이터가 실시간 저장 및 기록된다(s20). 이어서,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가 전송된다(s21).
그리고, 상기 연산제어부(60)가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가 상호 일치되는지 판단한다(s22). 이때, 상기 연산제어부(60)가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가 상호 일치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의해 비교 판단되는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가 상호 일치되는 경우 상기 제1가스센서(70), 상기 제2가스센서(80),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의해 비교 판단되는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간의 차가 기설정된 가스량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1가스센서(70), 상기 제2가스센서(80),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가 상호 상이한 값으로 나타나는 경우, 즉 상기 제1가스데이터 및 상기 제2가스데이터가 기설정된 가스량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3) 및 상기 알림수단(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2고장신호를 전송한다(s13). 즉,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 간의 차가 기설정된 가스량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제2고장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가 상호 상이한 값으로 나타난다 함은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 간의 차가 기설정범위를 이탈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가스데이터 및 제2가스데이터가 상호 상이한 값으로 나타나는 원인으로는 상기 연산제어부(60) 자체의 고장, 상기 제1가스센서(70) 및 상기 제2가스센서(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장, 전원 공급 이상 등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에 제1가스센서(70)와 별도로 제2가스센서(80)가 이중으로 구비되어 각각에서 측정된 가스데이터를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의 실제온도와 다른 잘못된 가스데이터가 저장 및 표시되는 순간 고장여부를 즉시 확인하여 제2고장신호가 즉시 전송되므로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사용안전성이 개선되며 제품의 신뢰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의 내부에 제1가스센서(70)와는 별도로 측정되는 각 가스데이터 간의 비교를 통해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제2가스센서(80)가 더 구비되어 시약으로부터 유해가스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센서 고장에 의해 유해가스가 미배출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1가스데이터 및 상기 제2가스데이터가 기설정된 가스량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가스가 자동 배출되도록 상기 냉장수단(11)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제2고장신호가 발생시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 공기가 외부로 환기되도록 상기 환기수단(12)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센서의 고장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유해가스량보다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의 유해가스량가 더 많은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연산제어부(60)가 상기 환기수단(12)을 자동으로 구동 제어하여 상기 의료용 냉장고(10) 내부의 유해가스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산제어부(60)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전원공급부(90)에 전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는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전원 연결되되, 전기에너지가 직류 전압 및 전류로서 저장되는 배터리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는 정전시에도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연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전원 연결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정전에 의해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의 전원이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연산제어부(60)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는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의 전압 및 전류의 안정적인 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비엠에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은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 및 상기 연산제어부(60) 사이에 전원 연결되어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전환하여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인버터부(92)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경우에 따라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에는 외부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원공급원에 직접 연결됨에 따라 충전될 수도 있으며, 외부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의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가 외부의 전원공급원에 직접 연결되어 충전시, 상기 전원공급원이 상기 외부접속단자에 전원 연결되고 교류 전원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로부터 외부로 전원 공급시 상기 인버터부(92)를 통해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의 직류 전원이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는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전원 연결되어 상기 연산제어부(60)에 교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는 콘센트 등의 전원공급원에 연결되는 전원플러그와, 상기 전원플러그에 연결되는 전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은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에 회로 연결되며, 교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로크로싱 신호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교류전원감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교류전원감지부는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와, 상기 스위칭부(9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교류전원감지부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는 교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로 교류 전압이 양에서 음, 음에서 양으로 전환시 0V가 되는 지점에서 발생되며, 교류 전원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주기로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는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가 검출시 기설정된 듀티비로 디지털 펄스신호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교류 전압이 0V가 되는 지점마다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에 의해 기설정된 듀티비로 디지털 펄스신호가 출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류전원감지부는 교류 전원의 주기가 판단되도록 상기 펄스신호를 카운팅하는 카운트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 및 상기 카운트회로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산제어부(60)는 기설정주기 동안 발생되는 상기 펄스신호의 카운팅 횟수에 대응되어 스위칭부(94)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에서 생성된 기설정된 듀티비의 상기 펄스신호를 상기 카운트회로를 통해 카운팅하여 기설정주기 동안의 카운팅 횟수를 기반으로 정전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정전 감지에 대한 정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류전원감지부는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를 통해 검출된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의 전원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연산제어부(60)와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 및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 중 어느 하나 간의 전원 연결을 스위칭하는 상기 스위칭부(9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 및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산제어부(60)의 구동시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가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31). 이때,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가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93)에 의해 상기 펄스신호가 기설정된 주기 및 기설정된 출력전압으로 발생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산제어부(60)는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가 기설정주기 동안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32).
여기서,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가 기설정주기 동안 감지시,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로부터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전원이 공급된다(s33). 즉,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가 기설정주기 동안 감지시, 상기 스위칭부(94)는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를 상호간 전원 연결하며,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 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상세히,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에 대응되어 발생된 상기 펄스신호의 카운팅 횟수가 기설정주기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감지시, 상기 스위칭부(94)는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를 상호간 전원 연결하며,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 간의 연결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즉, 교류 전원이 인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산제어부(60)를 포함하는 상기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의 전기적 구성요소들이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에 전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의 전기적 구성요소라 함은 연산제어부(60), 제1온도센서(20), 제2온도센서(30), 제1가스센서(70), 제2가스센서(80), 냉장수단(11), 환기수단(12), 디스플레이부(13)를 포함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산제어부(60), 제1온도센서(20), 제2온도센서(30), 제1가스센서(70), 제2가스센서(80), 냉장수단(11), 환기수단(12), 디스플레이부(13)는 교류 및 직류 전원에 호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가 기설정주기 동안 미감지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로부터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전원이 공급된다(s34). 즉,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가 기설정주기 동안 미감지시, 상기 스위칭부(94)는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를 상호간 전원 연결하며,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 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상세히,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에 대응되어 발생된 상기 펄스신호의 카운팅 횟수가 기설정주기 동안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감지시, 상기 스위칭부(94)는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를 상호간 전원 연결하며, 상기 연산제어부(60) 및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 간의 연결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즉, 교류 전원이 차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의 전기적 구성요소들이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에 전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상기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은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에 호환 적용되어 동작되도록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스위칭부(94)를 통해 상기 연산제어부(60)에 상기 메인전원공급부(90) 및 상기 보조전원공급부(91)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연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연산제어부(60)가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교류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제로크로싱 신호를 기반으로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의 전기적 구성요소들이 메인전원공급부(90) 및 보조전원공급부(91)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스위칭되어 전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이 정전 등의 상황에서도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안전하게 구동되어 시약의 변질 및 손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정전 등의 상황에서도 상기 냉장수단(11) 및 상기 환기수단(12)에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시약으로부터 유해물질이 발생된 경우 이를 배출할 수 있어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저장부(40) 및 상기 서버부(50)에 안정적으로 각 데이터가 저장 및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부(60)를 포함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의 전기적 구성요소들에 전원 연결되는 보조전원공급부(91)가 구비됨에 따라 정전이 잦은 환경에서도 전원이 안정적 및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100)가 안정적으로 구동되므로 제품의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10: 의료용 냉장고
11: 냉장수단 12: 환기수단
13: 디스플레이부 20: 제1온도센서
30: 제2온도센서 40: 데이터저장부
50: 서버부 60: 연산제어부
70: 제1가스센서 80: 제2가스센서
90: 메인전원공급부 91: 보조전원공급부
92: 인버터부 93: 제로크로싱 검출회로
94: 스위칭부

Claims (7)

  1. 내부에 보관되는 시약의 온도관리를 위해 구비되는 냉장수단과, 내부 공기를 외부와 연통시켜 환기하기 위해 구비되는 환기수단을 포함하는 의료용 냉장고;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제1온도센서;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온도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온도센서와는 별도로 이중으로 구비되는 제2온도센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온도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며, 상기 의료용 냉장고에 구비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제2온도센서에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2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제2온도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며,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외부에 구비되는 서버부; 및
    상기 냉장수단 및 상기 환기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제1온도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데이터를 전송받아 상호 실시간 비교 연산하도록 구비되고, 메인전원공급부에 전원 연결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제1가스센서와,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가스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제1가스센서와는 별도로 이중으로 구비되는 제2가스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상기 제1가스센서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제1가스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가스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며,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제2가스센서에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2가스센서로부터 측정된 제2가스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하고,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제1가스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 가스량에 대하여 이중으로 측정된 상기 제1가스데이터 및 상기 제2가스데이터가 기설정된 가스량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 제2고장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제1가스데이터 및 상기 제2가스데이터가 기설정된 가스량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에 상기 환기수단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센서 및 상기 제2온도센서는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서 상호간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 온도에 대하여 이중으로 측정된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데이터가 기설정된 온도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 제1고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제2온도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1고장신호가 각각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온도데이터가 기설정된 온도범위 이상으로 상호 상이한 경우, 상기 의료용 냉장고 내부 온도가 자동 조절되도록 상기 냉장수단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부에 정전시에도 연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연결되는 보조전원공급부와,
    상기 메인전원공급부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전원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로크로싱 신호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되는 제로크로싱 검출회로와,
    상기 연산제어부와 상기 메인전원공급부 및 상기 보조전원공급부 중 어느 하나 간의 전원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로크로싱 검출회로를 통해 검출된 상기 제로크로싱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전원공급부의 전원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 연결을 스위칭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산제어부는 상기 메인전원공급부 및 상기 보조전원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KR1020190127620A 2019-10-15 2019-10-15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KR10221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620A KR102214130B1 (ko) 2019-10-15 2019-10-15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620A KR102214130B1 (ko) 2019-10-15 2019-10-15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130B1 true KR102214130B1 (ko) 2021-02-09

Family

ID=7455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620A KR102214130B1 (ko) 2019-10-15 2019-10-15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4528A (zh) * 2022-05-13 2022-07-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冷储设备的运行控制方法、控制装置和冷储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649B1 (ko) * 1997-07-31 1999-11-15 윤종용 냉장고의 냉기공급구 개폐제어장치 및 개폐작동 제어방법
KR100346367B1 (ko) * 1997-09-18 2002-08-01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장치의 자동진단장치
KR101336949B1 (ko) * 2012-05-29 2013-12-04 이인기 의료용 냉동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6100A (ko) * 2013-08-01 2015-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6401A (ko)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스타리온 업소용 냉장고
KR20170015025A (ko) * 2015-07-31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29905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6334A (ko) * 2016-02-16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649B1 (ko) * 1997-07-31 1999-11-15 윤종용 냉장고의 냉기공급구 개폐제어장치 및 개폐작동 제어방법
KR100346367B1 (ko) * 1997-09-18 2002-08-01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장치의 자동진단장치
KR101336949B1 (ko) * 2012-05-29 2013-12-04 이인기 의료용 냉동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6100A (ko) * 2013-08-01 2015-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6401A (ko)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스타리온 업소용 냉장고
KR20170015025A (ko) * 2015-07-31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29905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6334A (ko) * 2016-02-16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4528A (zh) * 2022-05-13 2022-07-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冷储设备的运行控制方法、控制装置和冷储设备
CN114754528B (zh) * 2022-05-13 2023-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冷储设备的运行控制方法、控制装置和冷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475B2 (en) Diagnostic method for a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JP6136679B2 (ja) 蓄電装置及び電力経路開閉装置
US6772598B1 (en) Refrigerant leak detection system
CN201803970U (zh) 一种开关柜内部故障探测装置
KR20180089652A (ko)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KR101754856B1 (ko) IoT 기술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형 가스 센서 시스템
KR102214130B1 (ko)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GB2554267A (en) Refrigerant leak detection system
CN103900320A (zh) 医用冷藏箱的智能调控系统和监控系统及其应用方法
EP3608888A1 (en) Intelligent spac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CN104715580A (zh) 自校准式gis室内六氟化硫气体泄漏监测报警系统
CN105824388A (zh) 一种上电/掉电的检测方法、装置和系统
US10107849B2 (en) Diagnostic system for a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ing a home appliance
GB2554582A (en) Refrigerant leak detection device
US20220334183A1 (en) Gas density relay verification device and verification method therefor
KR101525818B1 (ko) 저온저장고 온도데이터의 비도덕적 조작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온저장고 냉장온도 기록시스템
CN107560798B (zh) 一种检测sf6泄漏的方法及系统
KR20190102806A (ko) 무선 IoT 기반 원격 진단장치
JP5310046B2 (ja) 通信モジュールの待機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の異常判定方法
KR20170091423A (ko) 냉장고 제어 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의 고장 진단 방법
KR20190093010A (ko) 무선 IoT 기반 냉동기 오작동 감시장치
KR102252533B1 (ko) 로라 통신망을 이용한 콘센트형 전력모니터링장치
KR2018008528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6365725B2 (ja) 蓄電装置及び電力経路開閉装置
KR20160002499U (ko) 열차운행제어설비용 다수의 정류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