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849B1 -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849B1
KR101919849B1 KR1020170014264A KR20170014264A KR101919849B1 KR 101919849 B1 KR101919849 B1 KR 101919849B1 KR 1020170014264 A KR1020170014264 A KR 1020170014264A KR 20170014264 A KR20170014264 A KR 20170014264A KR 101919849 B1 KR101919849 B1 KR 10191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sensor
humidity
vaccine
ai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652A (ko
Inventor
김근배
문기석
채덕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스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스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스팹
Priority to KR102017001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8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온도를 상시 관찰하여, 정전/단전에 의한 냉장고 내부온도 상승에 따른 백신 변질 영향요소를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 냉장고 내부습도를 측정하는 내부습도센서; 냉장고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센서; 냉장고 도어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및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습도, 내부 공기압 및 도어의 가속도 값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저장부; 상기 공기압센서의 공기압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센서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 및 정상보관 온도범위 결과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 값을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Refrigerator-mounted vaccine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냉장고 내외부 온도 및 정상동작 상태를 상시 관찰하여, 정전/단전에 의한 냉장고 내부온도 상승에 따른 백신 변질 영향요소를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보건소 등의 의료기관에서는 혈액이나 각종 백신들을 의료용 냉동냉장고 내에 넣어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 내에서 보관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들 의료용 냉동냉장고는 온도 조절에 에러가 발생하여 고내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또는 이하로 되거나, 정전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냉동냉장고의 고내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경보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내의 과도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보관중인 혈액 및 백신 등이 상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이는 관리자가 냉동냉장고와 동일한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경보음이나 경고등을 통해 냉동냉장고의 온도이상을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냉동냉장고의 온도 이상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료용 냉동냉장고의 온도가 상한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하한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경보음을 울리거나 경고등을 켜서 관리자에게 알리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개별 의료용 냉동 냉장고마다 저장 보관되는 혈액이나 약품, 시료, 백신, 혈청, 항독소 등의 관리 이력사항을 기록하고 이상 발생시 연락하게 하는 것에서부터 의료용 냉동 냉장고의 제조 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다양하면서 간편한 조작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혈액이나 약품, 시료, 백신의 종류가 많고 이들을 모두 구비해야 하는 경우, 복수의 냉동 냉장고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전 등과 같은 예상할 수 없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개별 복수의 냉동 냉장고에서 생성된 온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게 되므로 온도 변화의 이력을 파악하는 것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6949호 (등록일자 2013년11월28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장고 내외부 온도 및 정상동작 상태를 상시 관찰하여, 정전/단전에 의한 냉장고 내부온도 상승에 따른 백신 변질 영향요소를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는, 냉장고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 냉장고 내부습도를 측정하는 내부습도센서; 냉장고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센서; 냉장고 도어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및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습도, 내부 공기압 및 도어의 가속도 값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저장부; 상기 공기압센서의 공기압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센서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 및 정상보관 온도범위 결과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 값을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경고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동작 전원의 정전 또는 단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지하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의 작동 및 알림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기압센서의 측정에 따라 상기 냉장고 내부 공기압이 기준범위 이상으로 변화할 경우, 상기 냉장고 내외부의 백신 또는 혈액 입출고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냉장고에 입출고되는 백신 또는 혈액 정보를 스캔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바코드스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 냉장고 외부습도를 측정하는 외부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 외부온도 및 외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의 기준값을 이전 기준값보다 높게 재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부온도센서, 내부습도센서 및 공기압센서를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내부센서; 상기 외부온도센서, 외부습도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외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센서는 백신관리 장치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백신관리 장치 본체는 자석을 포함하는 접착수단을 통하여 상기 냉장고 외부에 부착되고, 상기 내부센서는 상기 냉장고 내부의 챔버에 형성되어 연결선을 통하여 상기 백신관리 장치 본체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는, 냉장고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 냉장고 내부습도를 측정하는 내부습도센서; 냉장고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센서; 냉장고 도어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및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습도, 내부 공기압 및 도어의 가속도 값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저장부; 상기 공기압센서의 공기압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센서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 및 정상보관 온도범위 결과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 값을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동작 전원의 정전 또는 단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지하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의 작동 및 알림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공기압센서의 측정에 따라 상기 냉장고 내부 공기압이 기준범위 이상으로 변화할 경우, 상기 냉장고 내외부의 백신 또는 혈액 입출고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냉장고에 입출고되는 백신 또는 혈액 정보를 스캔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바코드스캔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경고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 냉장고 외부습도를 측정하는 외부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 외부온도 및 외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의 기준값을 이전 기준값보다 높게 재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냉장고 외부에 간편하게 본체를 탈부착할 수 있고, 백신 또는 혈액의 적정 보관(예로서, 4도~8도 권장)상태를 24시간 동안 유지하고 기록함으로써, 백신 또는 혈액이 변질될 수 있는 상황(정전 등에 의한 온도상승)을 간편하게 모니터링하고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벽 단전 또는 갑작스런 정전 등으로 인하여 백신 변질에 의하여 발생하는 의료사고의 경우, 의사의 선량한 관리자 책임을 입증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탈부착 형으로 저비용(1만원대)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수집 정보의 클라우드 저장을 통하여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 및 빅데이터 분석으로 효율적 백신 및 혈액 관리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카메라 촬영 및 바코드 입출력 기록이 가능하여 백신 외의 기타 마약류의 반입/반출 관리가 가능하고, 병원 의사의 백신 또는 혈액 사용량과, 어느 회사 백신을 사용하고 있는지 등의 구체적인 마케팅 및 유통정보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의 냉장고 부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관리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외부 온도, 습도 정보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는, 내부온도센서(111), 내부습도센서(112), 공기압센서(113), 외부온도센서(121), 외부습도센서(122), 가속도센서(123), 제어부(130), 카메라부(140), 바코드스캔부(150), 무선통신부(160), 전원부(170), 저장부(180) 및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200)는 의료용 냉장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백신 또는 혈액은 통상의 의료 및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변질될 우려가 높아 보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의료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고(200)는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을 챔버부(210)에 보관하며, 이들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온도 및 습도로 챔버가 유지되는 지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내부온도센서(111)는 냉장고(200) 내부온도를 측정하고, 내부습도센서(112)는 냉장고(200) 내부습도를 측정한다.
또한, 공기압센서(113)는 냉장고(200) 내부 공기압을 측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압센서(113)는 챔버부(210)의 공기압 변화를 감지하여 냉장고(200)의 문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압센서(113)는 냉장고(200)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조도센서에 의하여 냉장고의 문열림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부온도센서(111), 내부습도센서(112), 공기압센서(113)는 냉장고(200)의 내부 즉, 챔버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온도센서(121)는 냉장고(200) 외부온도, 즉 상온을 측정한다.
외부습도센서(122)는 냉장고(200) 외부습도를 측정한다.
가속도센서(123)는 냉장고(200) 도어의 움직임, 즉 도어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감지하여 도어 개폐를 감지한다. 예로서, 제어부(130)는 가속도센서(123)를 통하여 도어의 문열림 횟수를 카운트하여 문열림 횟수를 제한할 수 있고, 지정된 백신 또는 혈액 반출시간 외에 도어가 열리거나 백신 또는 혈액 외의 특정 의약품 예로서, 마약류 등이 반출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에 신속하게 알림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온도센서(121), 외부습도센서(122), 가속도센서(123)는 냉장고(200)의 외부, 도어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180)는 상기 냉장고(200)의 내외부 온도 및 습도 변화 값을 실시간으로 기록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부(180)는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및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습도, 내부 공기압 및 도어의 가속도 값을 실시간으로 기록한다.
또한, 저장부(180)는 제어부(130)가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80)는 예를 들어, 통상의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공기압센서(113)의 공기압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센서(123)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냉장고(200)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냉장고(200)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이내인가를 판단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냉장고가 정상 동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냉장고(200)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16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300)에 경고알림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MPU 또는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세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무선통신부(160)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판단된 냉장고(200)의 정상동작 여부 및 정상보관 온도범위 결과와 함께 상기 저장부(180)에 기록된 상기 냉장고(200)의 내부 온도 및 습도 값을 단말기(300)에 무선 전송한다.
무선통신부(160)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단말기)에 무선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BLE : Bluetooth Low Energy)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망의 경우, Zigbee, 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무선 LAN(IEEE802.11),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경고알림신호는 문자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메시지와 같은 멀티 문자 메시지, 음성메시지, 무선 진동기 등을 위한 진동콜 등의 기술의 적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60)는 상기 경고알림신호와 온도 및 습도 값 정보를 서로 다른 통신방식 또는 서로다른 통신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로서 특정 통신상의 지연이나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단말기에 알림 정보가 도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휴대폰, PDA(Personal Data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일반 전화기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기(300)는 무선통신부(160)로부터 전송된 알림신호와 온습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내장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냉장고 동작 전원의 정전 또는 단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통지한다.
전원부(170)는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폰 충전용 micro-USB단자 등을 이용하는 유선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설치 및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70)는 냉장고(200)에 공급되는 메인 전원에 이상이 생긴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누전, 단락, 이상 전원 등으로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통지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전류를 감지하여 전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전류 센서(예를 들며, 변류기(Current Transfomer) 등을 들 수 있음), 전압을 감지하여 전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 센서(예를 들면, 전압 변환기(Power Transfom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상기 제어부(13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터치 스크린,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 온도를 표시한다. 또한, 냉동냉장 챔버의 현재 상태 및 경고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상기 공기압센서(113)의 측정에 따라 상기 냉장고(200) 내부 공기압이 변화할 경우 냉장고 내외부의 백신 또는 혈액 입출고 상황을 촬영한다.
즉, 공기압센서(113)의 측정에 따라 상기 냉장고 내부 공기압이 기준범위 이상으로 변화할 경우, 냉장고(200)의 문열림을 감지하고, 카메라부(140)가 냉장고 내외부의 백신 또는 혈액 입출고 상황을 촬영함으로써 누가 입출고를 담당했는지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바코드스캔부(150)는 상기 냉장고(200)에 입출고되는 백신 또는 혈액 정보를 스캔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80)에 기록한다.
예로서, 백신 포장 상자를 보면 QR code 또는 바코드가 붙어있는데, 이 코드에는 백신종류, 분류, 제조 및 수입사, 제품명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바코드스캔부(150)는 이러한 백신 또는 혈액 정보를 스캔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80)에 기록하고, 제어부(130)는 이를 통하여 냉장고 안의 재고량을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바코드스캔부(150)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큐알코드 또는 NFC 등을 스캔할 수 있는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외부온도센서(121)는 냉장고 외부온도를 측정하고, 외부습도센서(122)는 냉장고 외부습도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냉장고 외부온도 및 외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범위 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장고(200)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의 기준값을 이전 기준값 보다 높게 재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외부 온도 및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같은 시간동안 냉장고 도어를 오픈하더라고 냉장고의 온도 변화가 더 높은 것으로 예측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의 냉장고 부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관리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외부 온도, 습도 정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에 있어서, 냉장고(200)는 내부에 밀폐된 챔버부(210)가 형성된다. 즉, 냉장고(200)는 일측에 도어(미도시)가 형성되고 내부에 챔버부(210)가 형성된 일예로,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200)는 기타 약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백신 또는 혈액을 냉장 및/또는 냉동 보관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백신이나 혈액 외에 기타 보관 가능한 의약품 및 의료용 물질로는 약품, 시료, 혈청, 항독소, 생화학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챔버부(210)의 냉장 및/또는 냉동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압축기, 냉각 콘덴서, 이들의 상태 등(예를 들면, 온도, 압력 등을 들 수 있음)을 감지하는 상태감지부(미도시)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이 상태감지부는 챔버부(210)의 현재온도, 주전원, 압축기 동작상태와 냉각콘덴서의 열교환기의 현재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내부센서(110)는 상기 내부온도센서(111), 내부습도센서(112) 및 공기압센서(113)를 일체형으로 포함한다.
외부센서(120)는 상기 외부온도센서(121), 외부습도센서(122) 및 가속도센서(123)를 일체형으로 포함한다.
상기 외부센서(120)는 백신관리 장치 본체(100)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신관리 장치 본체(100)는 자석을 포함하는 접착수단(192)을 통하여 상기 냉장고(200) 외부에 부착된다.
상기 접착수단(192)은 4개의 자석을 상기 백신관리 장치 본체(100)의 4개의 귀퉁이에 설치하여 부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내부센서(110)는 상기 냉장고(200) 내부의 챔버(210)에 형성되어 연결선(195)을 통하여 상기 백신관리 장치 본체(100)와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센서(110)에 구비된 상기 내부온도센서(111), 내부습도센서(112) 및 공기압센서(113)를 통하여 냉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를 감지하고, 외부센서(120)에 구비된 상기 외부온도센서(121), 외부습도센서(122) 및 가속도센서(123)를 통하여 외부의 온도, 습도를 감지한다.
이후, 무선통신부(160)는 상기 저장부(180)에 기록된 온도 및 습도 변화값과 함께 상기 제어부(130)의 알림신호를 단말기(300)에 무선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통신부(160)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단말)에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BLE : Bluetooth Low Energy)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냉장고(200)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300)의 화면에 그래프를 포함하는 다양한 UI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백신관리 장치 본체(100)에는 조작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는 챔버부(210)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 된다. 예로서, 조작부에는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들이 구성되며, 냉동 및/또는 냉장 기능의 온/오프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는, 하드웨어인 컴퓨터(즉, 정품인증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내부센서 111 : 내부온도센서
112 : 내부습도센서 113 : 공기압센서
120 : 외부센서 121 : 외부온도센서
122 : 외부습도센서 123 : 가속도센서
130 : 제어부 140 : 카메라부
150 : 바코드스캔부 160 : 무선통신부
170 : 전원부 180 : 저장부
190 : 디스플레이부 192 : 접착수단
195 : 연결선 200 : 냉장고
210 : 챔버

Claims (10)

  1. 냉장고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
    냉장고 내부습도를 측정하는 내부습도센서;
    냉장고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센서;
    냉장고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
    냉장고 외부습도를 측정하는 외부습도센서;
    냉장고 도어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및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습도, 내부 공기압, 및 도어의 가속도 값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저장부;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 및 정상보관 온도범위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 및 정상보관 온도범위 결과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 값을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냉장고 내외부의 백신 또는 혈액 입출고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센서의 공기압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센서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냉장고 외부온도 및 외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범위 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의 기준값을 재조정하고,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이내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공기압센서의 측정에 따라 상기 냉장고 내부 공기압이 기준범위 이상으로 변화할 경우 촬영하는,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가 정상 동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경고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동작 전원의 정전 또는 단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지하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의 작동 및 알림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 입출고되는 백신 또는 혈액 정보를 스캔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바코드스캔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온도센서, 내부습도센서 및 공기압센서를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내부센서;
    상기 외부온도센서, 외부습도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외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센서는 백신관리 장치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백신관리 장치 본체는 자석을 포함하는 접착수단을 통하여 상기 냉장고 외부에 부착되고,
    상기 내부센서는 상기 냉장고 내부의 챔버에 형성되어 연결선을 통하여 상기 백신관리 장치 본체와 연결되는,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8. 냉장고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
    냉장고 내부습도를 측정하는 내부습도센서;
    냉장고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센서;
    냉장고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
    냉장고 외부습도를 측정하는 외부습도센서;
    냉장고 도어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및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습도, 내부 공기압 및 도어의 가속도 값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저장부;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 및 정상보관 온도범위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 및 정상보관 온도범위 결과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 값을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동작 전원의 정전 또는 단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지하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의 작동 및 알림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냉장고 내외부의 백신 또는 혈액 입출고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냉장고에 입출고되는 백신 또는 혈액 정보를 스캔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는 바코드스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센서의 공기압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센서의 이동속도와 이동횟수를 계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냉장고 외부온도 및 외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범위 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 및 개폐횟수의 기준값을 재조정하고,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 이내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공기압센서의 측정에 따라 상기 냉장고 내부 공기압이 기준범위 이상으로 변화할 경우 촬영하는,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가 정상 동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상기 백신 또는 혈액의 정상보관 온도범위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경고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10. 삭제
KR1020170014264A 2017-02-01 2017-02-01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KR10191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64A KR101919849B1 (ko) 2017-02-01 2017-02-01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64A KR101919849B1 (ko) 2017-02-01 2017-02-01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652A KR20180089652A (ko) 2018-08-09
KR101919849B1 true KR101919849B1 (ko) 2018-11-19

Family

ID=6325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264A KR101919849B1 (ko) 2017-02-01 2017-02-01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8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89B1 (ko) 2020-12-18 2021-10-26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백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백신 저장장치
KR20220077589A (ko) * 2020-12-02 2022-06-09 글로벌테크노스㈜ 케이블 연장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온도 기록계
KR20220099604A (ko) * 2021-01-06 2022-07-14 주식회사 디쌤 운송박스용 자동 온도 기록장치
KR102612896B1 (ko) * 2023-04-24 2023-12-12 강윤구 백신 유통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1450A1 (zh) * 2019-03-11 2020-09-17 苏州易信安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运输监控方法、装置及系统
KR102168062B1 (ko) * 2019-07-10 2020-10-20 이현지 냉장고용 탈취장치
KR102373177B1 (ko) * 2020-09-10 2022-03-11 (주)스마트코리아 밀폐형 환기식 시약장
KR102374739B1 (ko) 2020-12-18 2022-03-15 주식회사 저글런스 백신 냉장고 관리 시스템
KR102461990B1 (ko) * 2021-01-21 2022-11-04 주식회사 턱스 바이오 뱅크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984948A (zh) * 2021-03-16 2021-06-18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开门控制方法
WO2023033566A1 (ko) * 2021-09-03 2023-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CN114322404A (zh) * 2021-12-29 2022-04-12 苏州冷王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SaaS平台的疫苗仓储和物流冷链管理系统
KR102566189B1 (ko) * 2023-01-18 2023-08-11 주식회사 대덕테크 백신병 거치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949B1 (ko) * 2012-05-29 2013-12-04 이인기 의료용 냉동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949B1 (ko) * 2012-05-29 2013-12-04 이인기 의료용 냉동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589A (ko) * 2020-12-02 2022-06-09 글로벌테크노스㈜ 케이블 연장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온도 기록계
KR102498537B1 (ko) * 2020-12-02 2023-02-13 글로벌테크노스(주) 케이블 연장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온도 기록계
KR102317089B1 (ko) 2020-12-18 2021-10-26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백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백신 저장장치
KR20220099604A (ko) * 2021-01-06 2022-07-14 주식회사 디쌤 운송박스용 자동 온도 기록장치
KR102552132B1 (ko) * 2021-01-06 2023-07-07 주식회사 디쌤 운송박스용 자동 온도 기록장치
KR102612896B1 (ko) * 2023-04-24 2023-12-12 강윤구 백신 유통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652A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49B1 (ko) 냉장고 부착형 백신관리 장치
US20200271530A1 (en) Environmental condition surveillance and methods thereof
TWI547895B (zh) 一種用於管控存儲在醫療冰箱或冰櫃中的醫療物品的方法和系統
US20210010750A1 (en) Door alarm system and refrigeration device
WO2013163612A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US9857233B2 (en) Low-power user interface device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KR101336949B1 (ko) 의료용 냉동냉장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578353B2 (en) Autonomous seal monitoring for a refrigeration unit
CN106766656B (zh) 一种药品冷藏箱的智能控制系统
KR101525818B1 (ko) 저온저장고 온도데이터의 비도덕적 조작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온저장고 냉장온도 기록시스템
US11686610B2 (en) Operational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1172587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frigeration units
JP2018054161A (ja) フリーザ監視装置、フリーザ監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127615A (ja) 異常検出装置
US11477546B2 (en) User configurable remot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KR102235853B1 (ko) 식품상태 감시장치 및 그 시스템과 식품상태 감시방법
US2023034116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frigeration Units
US1098946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frigeration units
KR200315542Y1 (ko) 의료용 냉동냉장고 관리장치
JP2020125897A (ja) 冷蔵庫・冷凍庫デジタル監視・警報システム
AU2012336431B2 (en) A fault-resistant refrigerator for biological materials
WO2023065993A1 (zh) 冰箱及其控制方法
US20230029147A1 (en) Pharmaceutical management system
JP2001050820A (ja) 温度記録装置および温度記録システム
JP7403280B2 (ja) 収容容器、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収容容器の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