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009B1 -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 Google Patents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009B1
KR102214009B1 KR1020190108567A KR20190108567A KR102214009B1 KR 102214009 B1 KR102214009 B1 KR 102214009B1 KR 1020190108567 A KR1020190108567 A KR 1020190108567A KR 20190108567 A KR20190108567 A KR 20190108567A KR 102214009 B1 KR102214009 B1 KR 10221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oard
indicator
user
main body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팽동은
손명균
강재윤
박상우
노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0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10Arrangement of audio equipment;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Transport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에 있어서, 전동보드 본체;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전동보드 본체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모듈;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모듈;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전동보드 본체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및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전동보드 본체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ELECTRIC BOARD HAVING INDICATOR FOR PROVIDING STATUS THEREOF}
본 발명은 전동보드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전동보드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다.
종래의 전동보드 공유 서비스는 여러 이유로 사용자가 전동보드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동보드가 고장나거나, 배터리의 부족 등이 그러한 이유에서다. 하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인근에 있는 전동보드가 이러한 이유로 인해, 사용할 수 없음을 쉽게 인지하기 어렵고, 막상 전동보드가 위치한 영역으로 이동하더라도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전동보드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동보드가 주변에 위치한 것을 발견하고, 전동보드로 이동하여 해당 킥보드 공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후 전동보드의 상단에 새겨진 QR코드를 인식시킴으로써, 해당 전동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이 불가한 전동보드는 QR코드의 인식 이후 어플리케이션에서 배터리거나 고장 등의 사용불가 메시지를 띄움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이 QR코드를 인식하기 전까지, 해당 전동보드가 어떤 상태인지 알지 못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만 전동보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한계점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번거로움을 안겨다 주며, 해당 전동보드의 위치까지 찾아간 사용자의 시간마저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공용 전동보드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에 있어서, 전동보드 본체;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전동보드 본체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모듈;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모듈;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전동보드 본체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및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전동보드 본체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동보드가 사용자에게 점유되지 않은 대기 상태이거나 이용불가능한 상태가 아니면 인디케이터는 전동보드가 이용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동보드가 사용자로부터 전동보드의 탑승을 위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 모듈을 통해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수신하면, 인디케이터는 전동보드가 이용중인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이후, 서버 또는 특정 사용자로부터 전동보드의 사용 종료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까지, 인디케이터는 전동보드가 이용중인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전동보드가 다른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인디케이터는 전동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통신 모듈은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동보드 본체의 상태를 확인하라는 알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은 충전 전력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이면 통신 모듈은 서버로 GPS 모듈이 생성한 전동보드의 위치 정보 및 배터리 모듈이 생성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전달하며, 인디케이터는 전동보드가 이용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전동보드의 고장 신고를 수신하면, 서버는 식별 정보를 통해 마지막으로 인증이 진행된 전동보드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전동보드로 잠금 명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을 통해 잠금 명령 정보를 수신한 전동보드는 잠금을 수행하고, 인디케이터는 전동보드가 이용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전동보드의 검색요청을 수신할 경우, 다른 사용자 단말로 고장 신고가 접수된 전동보드의 상태정보를 이용가능 다른 전동보드의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전동보드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허브 구역의 내부에 돌입하면, 인디케이터로 전동보드의 주차가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전동보드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서비스 구역을 내부인 경우 인디케이터로 전동보드의 위치가 서비스 구역 내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현재 위치기 상기 서비스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인디케이터로 전동보드의 위치가 서비스 구역 밖으로 벗어났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는 전동보드 본체의 상단 손잡이 일 영역에 구비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에는 스피커 모듈이 추가로 구비되고, 전동보드의 상태와 대응하는 메시지가 인디케이터에 표시되는 경우, 메시지와 대응하는 기 설정된 소리 신호를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전동보드 본체의 인증에 필요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에 의해 전동보드가 잠금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가 수신하면, 인디케이터를 통해 전동보드 본체의 전력이 부족하다는 강조 메시지를 표시하되, 강조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점멸이나 특정 문자나 영상 재생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서버로부터 전동보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가까운 다른 전동보드의 위치를 수신하여, 다른 전동보드의 위치를 인디케이터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장착된 전동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동보드 본체;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전동보드 본체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모듈;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모듈;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전동보드 본체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및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전동보드 본체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전동보드;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전동보드 본체의 고장 신고를 수신하면, 식별 정보가 마지막으로 인증한 전동보드 본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전동보드 본체의 통신 모듈로 잠금 명령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공용 전동보드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동보드의 사용자는 전력 저하나 고장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이 이용 중인 전동보드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장착된 전동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가 점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가 전력 부족을 알리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고장에 따른 대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에서, '전동보드'란 전동킥보드, 전동휠 등 전동형 모빌리티 장치들을 통칭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장착된 전동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전동보드(100),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전동보드(100)를 이용할 시 전동보드(100)에 구비된 인디케이터를 통해, 전동보드(100)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인디케이터는 전동보드(100)의 상단 손잡이 일 영역에 구비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추가 실시예로 인디케이터가 표시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이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동보드(100)는 공용 자전거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인증을 수행한 후 전동보드(100)를 점유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이러한 공용 전동보드(100)의 이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인디케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식별 정보란 서버(200)에 기 등록되어 각각의 서비스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식별 정보는 사용자 정보나 ID(iden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기 저장하여 전동보드(100)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시, 해당 사용자가 전동보드(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증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전동보드(100)가 배터리 저하 혹은 고장으로 인해 이용이 불가능할 시, 전동보드(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잠금 명령 정보를 전동보드(100)로 전달하는 등의 관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300)은 전동보드(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단말을 뜻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저장할 수 있고, 전동보드(100)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인식시킬 시,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사용자 단말(300)은 전동보드(100)가 주차되어 있는 장소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데, 서버(200)는 전동보드(100)의 위치 정보를 기 수신하고 있어야 한다.
그 밖에도, 전동보드(100)가 파손 등의 이유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서버(200)로 전동보드(100)가 어떤 상태를 신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술된 사용자 단말(300)의 작업은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100)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은 전동보드(100),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전동보드(100) 및 사용자 단말(300)이 서버(2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동보드(100)는 전동보드 본체(101), 프로세서(110), 통신 모듈(120), GPS 모듈(130), 배터리 모듈(140) 및 인디케이터(1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장치는 전동보드 본체(101)에 구비되고, 인디케이터(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프로세서(11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150)가 장착된 전동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장착된 전동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모듈(12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전동보드(100)가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20)은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2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GPS 모듈(13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통해 GPS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전동보드(100)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GPS 모듈(130)은 전동보드(100)가 사용자에게 점유되어 전동보드(100)가 이동을 시작하면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되거나, 기 설정된 주기마다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배터리를 절약할 수도 있다.
배터리 모듈(140)은 전동보드(100)를 구동함에 필요한 전력을 관리하게 된다.
배터리 모듈(140)은 전동보드(100)에 현재 남은 전력의 잔량을 실시간 측정하고, 충전 전력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가 되는 경우 배터리가 부족함을 인디케이터(150)를 통해 표시하거나, 통신 모듈(120)을 통해 서버(200)로 알리게 된다.
인디케이터(150)는 프로세서(110)가 판단한 전동보드(10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LED나 LCD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특정 정보를 표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단순한 색상이나 깜빡임으로 정보를 표기하는 수준으로 구성되거나, 구체적인 문자 혹은 기호 등을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전동보드(100)의 이용 가능, 이용 불가능, 타인이 이용중, 주차구역 진입완료 등의 간단한 정보를 초록 빨강 노랑 등의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인증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 전동보드(100)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인근의 다른 전동보드(100)의 위치 등은 문자를 통해 설명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인디케이터(150)에는 스피커 모듈이 추가로 구비되고, 전동보드(100)의 상태와 대응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와 대응하는 기 설정된 소리 신호를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인디케이터(150)를 확인할 수 없는 운전 중이거나 심야,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고장 등으로 인해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더라도, 사용자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추가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입출력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간단한 명령에 대한 입력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면, 사용자 단말(300)이 생략될 수도 있다.
전동보드 본체(101)는 전력 구동되는 보드를 뜻하며, 앞서 설명한 각각의 모듈 및 장치는 전동보드 본체(101)에 구비되어 동작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100)가 점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동보드(100)는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110).
단계(S110) 이전에, 인디케이터(150)는 전동보드(100)가 사용자에게 점유되지 않은 대기 상태이거나 이용불가능한 상태가 아니면, 전동보드(100)가 이용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용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의 경우 사용자가 전동보드(100)의 전원을 가동시키면 표시되거나, 전동보드(100)가 대기 중에도 인디케이터(150)를 통해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단계(S110)에서, 전동보드(100)는 별도의 입력장치가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직접 입력 받거나 통신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동보드(100)는 통신 모듈(120)을 통해 식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하고,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수신한다(S120).
이때, 서버(200)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전동보드(1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대조하여, 해당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또한, 서버(200)는 인증이 완료되는 시점을 추가로 저장하여, 추후 전동보드(100)에 이상 발생 시, 인증 시점 저장 데이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단계(S110) 내지 단계(S120)가 진행되는 과정(즉,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중에 인디케이터(150)는 사용자가 전동보드 본체(101)에 자신의 점유 자격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이나, 입력 후 어떻게 전동보드(100)를 사용하는지 등이 가이드 정보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디케이터(150)에 전동보드(100)가 사용중임을 표시한다(S130).
전동보드(100)의 통신 모듈(120)이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수신하면, 인디케이터(150)는 전동보드(100)가 이용중인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디케이터에 표시되는 메시지는 "사용중"이라는 문자 메시지나 그에 상응하는 기호 또는 이용 가능한 시간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이후, 서버(200) 또는 특정 사용자로부터 전동보드(100)의 사용 종료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까지, 인디케이터(150)는 전동보드(100)가 이용중인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추가 실시예로 특정 사용자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전동보드(100)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인디케이터(150)는 전동보드(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 모듈(120)은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로 전동보드(100)의 상태를 확인하라는 알람 메시지를 전달할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동보드(100)를 이용하는 특정 사용자가 흡연이나 건물 내의 상점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등의 이유로 잠깐 전동보드(100)를 야외에 주차하고 자리를 비울 수 있다. 하지만, 길에 주차된 전동보드(100)를 다른 사용자의 시점에선 이용자가 없는 전동보드(100)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는 전동보드(100)를 이용하기 위해, 이미 점유중인 전동보드(100)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디케이터(150)가 이미 전동보드(100)가 특정 사용자에 의해 점유중임을 표시하게 되지만, 조작이나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는 인디케이터(150)를 확인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자신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전동보드(100)는 특정 사용자에게 경고에 가까운 메시지를 전달하여 빠르게 전동보드(100)를 확인하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계(S130) 이후, GPS 모듈(130)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전동보드(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전동보드(100)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허브 구역의 내부에 돌입하면, 인디케이터(150)로 전동보드(100)의 주차가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전동보드(100)를 반납할 수 있는 구역에 도달했음을 인지하게 되고, 다른 사용자들이 전동보드(100)를 재사용할 시에도 손쉽게 전동보드(100)를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동보드(100)가 허브 구역에 진입함으로써, 인디케이터(150)가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지만, 추가 실시예로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300)로 허브 구역에 대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동보드(100)를 이용하는 도중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GPS 모듈(130)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전동보드(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서비스 구역을 내부인 경우 인디케이터(150)로 전동보드(100)의 위치가 서비스 구역 내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위치기 서비스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인디케이터(150)로 전동보드(100)의 위치가 서비스 구역 밖으로 벗어났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구역이란 사용자가 전동보드를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범위(boundary)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정 위치로부터의 반경으로 규정될 수도 있고, 도시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규정될 수도 있다.
종래의 전동보드(100) 공유서비스는 서비스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전동보드(100)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으로 멈추도록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동보드(100)의 탑승 중에도 꾸준히 자신의 단말을 확인하여, 자신이 서비스 구역 내부에 있음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인디케이터(150)가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전동보드(100)가 서비스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이를 알리게 됨으로 운행 중 자신의 단말을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된다.
추가 실시예로, 전동보드(100)의 현재 위치가 서비스 구역의 가장 자리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근접하면, 전동보드(100)가 서비스 구역을 벗어날 수도 있다는 경고를 인디케이터(150)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100)가 전력 부족을 알리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동보드(100)는 충전 전력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임을 인식한다(S210).
이때, 충전 전력의 기 설정된 수치는 전동보드(100)가 충전 허브까지 운전이 가능하거나, 전동보드(100)를 회수하러 오는 관리자가 도달할 때까지 GPS 모듈(130) 혹은 통신 모듈(120)이 동작할 수 있는 충전 전력을 남길 수 있도록 수치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동보드(100)는 인디케이터(150)로 전동보드(100)가 이용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220).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가 킥보드를 이용 중에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로 떨어지면, 인디케이터(150)는 실시간으로 전력 부족에 대한 경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기 설정된 추가 수치만큼 추가 전력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전동보드(100)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이용 중인 전동보드(100)의 전력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로 떨어지면, 즉시 전동보드(100)의 잠금을 수행하여 운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전동보드(100)를 이용하고 있던 사용자는 어쩔 수 없이 전동보드(100)를 해당 지점에 세워두거나 목적지까지 끌고 갈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러는 경우, 오히려 전동보드(100)가 방치되어 무리하게 끌고 감으로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에 기 설정된 추가 수치만큼 추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까운 충전 허브로 전동보드(100)를 이동 시킬 수 있도록 배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기능이 제공된다면, 다른 추가 실시예로 인디케이터(150)가 가까운 충전 허브의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추가 실시예로 배터리 모듈(140)에 의해 전동보드(100)가 이용불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가 수신하면, 인디케이터(150)를 통해 전동보드(100)의 전력이 부족하다는 강조 메시지를 표시하되, 강조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점멸이나 특정 문자나 영상 재생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추가 실시예로, 이용불가능한 상태인 전동보드(100)의 통신 모듈(120)은 서버(200)로 GPS 모듈(130)이 생성한 전동보드(100)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고, 서버(200)로부터 전동보드(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가까운 다른 전동보드(100)의 위치를 수신하고, 다른 전동보드(100)의 위치를 인디케이터(15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100)의 고장에 따른 대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식별 정보 및 고장 신고를 수신한다(S310).
고장 신고는 사용자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지만, 전동보드(100)의 인디케이터(150) 및 통신 모듈(120)에 대한 고장이 없다면 전동보드(100)에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직접 고장 신고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동보드(100)를 검색한다(S320).
단계(S320)를 통해, 서버(200)는 식별 정보만으로 복수의 전동보드(100) 중 어떤 전동보드(100)가 파손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추후 전동보드(100)를 누가 파손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서버(20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동보드(100)로 잠금 명령 정보를 제공한다(S330).
잠금 명령 정보를 수신한 전동보드(100)는 가동을 중지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무리하게 전동보드(100)를 운행하려는 행위를 막음으로써, 고장이 난 전동보드(100)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막게 된다.
마지막으로 전동보드(100)가 잠금 명령을 수신하면, 전동보드(100)의 잠금을 수행하고 인디케이터(150)로 전동보드(100)가 이용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340).
이를 통해, 사용자가 주차되어 있는 전동보드(100)가 정상인지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버(200)는 다른 사용자 단말(300)이 전동보드(100)를 이용하기 위해 전동보드(100)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단말(300)로 고장 신고가 접수된 전동보드(100)의 상태정보를 이용이 가능한 다른 전동보드(100)의 정보와 함께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전동보드(100)가 주차된 지역으로 가지 않더라도 자신이 처음 이용하려 했던 전동보드(100)가 고장 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되어 헛걸음을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배터리가 저하되어 이용이 불가능하게 된 전동보드(1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동보드 200: 서버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7)

  1.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에 있어서,
    전동보드 본체;
    상기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모듈;
    상기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전동보드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전동보드의 고장 신고를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마지막으로 인증이 진행된 상기 전동보드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전동보드로 잠금 명령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잠금 명령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전동보드는 잠금을 수행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전동보드가 이용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보드가 사용자에게 점유되지 않은 대기 상태이거나 이용불가능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전동보드가 이용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보드가 사용자로부터 전동보드의 탑승을 위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수신하면,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전동보드가 이용중인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이 완료된 이후,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동보드의 사용 종료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까지,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전동보드가 이용중인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유지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5. 제 3 항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이 완료된 상기 전동보드가 다른 사용자의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전동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상태를 확인하라는 알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충전 전력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이면,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전동보드가 이용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전동보드의 검색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 고장 신고가 접수된 상기 전동보드의 상태정보를 이용가능 다른 상기 전동보드의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모듈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동보드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허브 구역의 내부에 돌입하면, 상기 인디케이터로 상기 전동보드의 주차가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모듈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동보드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서비스 구역을 내부인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로 상기 전동보드의 위치가 서비스 구역 내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서비스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로 상기 전동보드의 위치가 상기 서비스 구역 밖으로 벗어났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상단 손잡이 일 영역에 구비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에는 스피커 모듈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전동보드의 상태와 대응하는 메시지가 상기 인디케이터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와 대응하는 기 설정된 소리 신호를 추가로 출력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인증에 필요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의해 상기 전동보드가 이용불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가 수신하면,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전력이 부족하다는 강조 메시지를 표시하되, 상기 강조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점멸이나 특정 문자나 영상 재생을 통해 표현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서버로 상기 GPS 모듈이 생성한 상기 전동보드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동보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가까운 다른 전동보드의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다른 전동보드의 위치를 상기 인디케이터에 표시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17.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장착된 전동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동보드 본체; 상기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모듈; 상기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전동보드 본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전동보드;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고장 신고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 정보가 마지막으로 인증한 상기 전동보드 본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전동보드 본체의 통신 모듈로 잠금 명령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전동보드의 고장 신고를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마지막으로 인증이 진행된 상기 전동보드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전동보드로 잠금 명령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잠금 명령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전동보드는 잠금을 수행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전동보드가 이용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인,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장착된 전동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190108567A 2019-09-03 2019-09-03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KR10221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67A KR102214009B1 (ko) 2019-09-03 2019-09-03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67A KR102214009B1 (ko) 2019-09-03 2019-09-03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009B1 true KR102214009B1 (ko) 2021-02-09

Family

ID=7455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567A KR102214009B1 (ko) 2019-09-03 2019-09-03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0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741A (ko) * 2010-06-11 2011-12-19 창원경륜공단 자전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73883A (ja) * 2015-10-07 2017-04-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動車両、表示内容を制御する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217930A (ja) * 2016-06-03 2017-12-14 Ihi運搬機械株式会社 レンタル自転車と自転車レンタルシステム
KR20180015616A (ko) * 2015-06-11 2018-02-13 베이징 모바이크 테크놀로지 캄퍼니 리미티드 자전거 관리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37296B1 (ko) * 2016-10-10 2018-03-12 권순남 전동식 킥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741A (ko) * 2010-06-11 2011-12-19 창원경륜공단 자전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15616A (ko) * 2015-06-11 2018-02-13 베이징 모바이크 테크놀로지 캄퍼니 리미티드 자전거 관리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7073883A (ja) * 2015-10-07 2017-04-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動車両、表示内容を制御する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217930A (ja) * 2016-06-03 2017-12-14 Ihi運搬機械株式会社 レンタル自転車と自転車レンタルシステム
KR101837296B1 (ko) * 2016-10-10 2018-03-12 권순남 전동식 킥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66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US11215981B2 (en) Remotely controlling use of an on-demand electric vehicle
US102712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geofencing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11110981B2 (en) Controller for a light electric vehicle
CN100458857C (zh) 监视系统、终端装置、管理装置
US10974782B2 (en) Controller for a light electric vehicle
US20240179403A1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nected service
US20200086939A1 (en) Motorized scooter system
CN105493162A (zh) 越界报警服务器、被监控终端、监控终端、系统及方法
US11967233B2 (en) Management device, shared vehicle, vehicle sha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1243122A (zh) 车辆的停车记录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US2023021169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vehicles through charging station
KR102214009B1 (ko)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전동보드
CN113673647B (zh) 电动自行车的头盔归还处理方法及电动自行车
CN106779342A (zh) 用于电力检修的车辆管理方法、装置及系统
US11279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nauthorized vehicle use
KR20210018063A (ko) 차량용 영상 촬영 장치,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커넥티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108824A (ko) 차량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CN111612949A (zh) 一种解锁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0288492A (zh) 一种酒店入住方法、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055720A (zh) 基于社区的充电方法、社区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14704945U (zh) 自行车管理系统
KR20230100368A (ko) 주차 경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CN115734161A (zh) 停车状态的检测方法、装置、道钉设备和存储介质
CN110826658B (zh) 一种多城市通用的城际一卡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