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504B1 - 생리대 수거함 - Google Patents

생리대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504B1
KR102213504B1 KR1020190178766A KR20190178766A KR102213504B1 KR 102213504 B1 KR102213504 B1 KR 102213504B1 KR 1020190178766 A KR1020190178766 A KR 1020190178766A KR 20190178766 A KR20190178766 A KR 20190178766A KR 102213504 B1 KR102213504 B1 KR 102213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rap
support
sanitary napki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빛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앤비
Priority to KR102019017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504B1/ko
Priority to PCT/KR2020/017821 priority patent/WO202113294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64Sanita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폐 생리대의 투입시 상부커버의 상부로부터 투입구를 가로형으로 돌출 형성하되, 그 투입구의 상부와 그 전후 측면이 노출되게 하고, 투입구의 노출된 부위에 두개의 회전축을 배치하고, 본체 내에 각각 제공되는 제1랩과 제2랩의 일단은 회전축에 경유되어 투입구에 폐 생리대 진입시 월경혈이 랩 부위에 묻혀져 투입되도록 하고, 폐 생리대의 투입감지, 구동모터 작동, 제1랩과 제2랩의 연속 이송으로 투입된 폐 생리대를 밀봉하는 구성으로서 본체 내에 폐 생리대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폐 생리대에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오염, 악취부분을 해결과 함께 깨끗한 사용 및 밀봉포장 수거로서 공중화장실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생리대 수거함{Collection unit for sanitary pad}
본 발명은 생리대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여성전용 공중화장실 내에 구비되어 사용되는 생리대 수거함을 개선하여 폐 생리대의 위생적인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공중화장실 내부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생리대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의 휴게소, 학교, 병원 등의 기관에 마련된 공중화장실은 남자, 여자 화장실을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화장실 부스(대변 칸)에는 화장지 사용 후 버릴 수 있는 쓰레기통, 휴지공급 디펜서, 선반 등이 제공되어 이용에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화장지 사용 후 변기에 바로 버리고 물을 내려 사용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 쓰레기통을 없애는 시행이 2018년도 1.1일부터 공중화장실법 시행령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
통상 여성이 사용하고 버려지는 폐 생리대의 올바른 처리 및 수거를 위해 특히 여성 전용 공중화장실에는 여성 위생용품 수거함(이하, 생리대 수거함이라 칭함)이 설치되어 폐 생리대 전용으로 수거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생리대 수거함과 관련한 선원기술은 대체로 사용후 폐 생리대를 수집하는 수거함에 의존하였고, 이러한 수거함들은 근본적인 악취(냄새가 새어나옴)를 해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장실 관리미화원이 수거함을 개방하고, 수거함에 모인 폐 생리대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2차 악취가 결국 발생하기 때문에 폐 생리대 수거에 따른 공기오염은 물론, 해충 등이 모이게 되어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의 위생적인 부분이 항상 지적되고 있고 쾌적한 화장실 내부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2028276호(명칭: 생리대 수거함, 등록일자: 2019년 09월 26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함)로 국내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폐 생리대(S) 또는 물체 투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1-1)가 구비된 투입구(11)가 마련되고, 전면에 잠금부(12)가 마련된 제1여닫이도어(13)가 마련되며, 측면에 제2여닫이도어(14)가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회전축(20) 및 제2회전축(30)과, 상기 제1회전축(20)에 장착되는 롤 형태의 제1랩(W1)과, 상기 제2회전축(30)에 장착되는 롤 형태의 제2랩(W2)과, 상기 본체(10)내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랩(W1)과 제2랩(W2)의 펼져진 면이 맞닿는 형태로 부착되면서 끌어당겨 폐 생리대(S)를 밀폐상태로 포장 이송되도록 양측에 기어부(41)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1기어축(40)의 기어부(41) 사이에는 두께를 갖는 폐 생리대(S)를 통과시키기 위한 아치부(42)가 함몰 형성된 제1기어축(40)과, 상기 제1기어축(40)과 함께 수평선상에 설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1기어축(40)의 기어부(41)에 치합되는 기어부(51)가 형성된 제2기어축(50)과, 회전축(61)상에 마련된 구동기어(62)로서 제1기어축(40)과 치합되어 제1기어축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60)와, 상기 제1기어축(4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제1랩(W1)과 제2랩(W2) 사이의 폐 생리대(S)를 밀착 가압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가압롤러(70)와, 상기 제2여닫이도어(14)를 통해 본체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기어축(40) 및 제2기어축(50)사이의 하부로 포장되어 인출되는 폐 생리대(S)를 담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체로 상단 변에 요홈(81)이 형성되고, 요홈(81)의 일측에는 랩 절단을 위한 칼날(82)이 경사지게 매입된 수거박스(80)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리대 수거함이다.
상기와 같은 생리대 수거함의 사용에 따라 폐 생리대의 투입감지, 구동모터 작동, 제1랩과 제2랩의 이송으로 투입된 폐생리대를 제1랩과 제2랩사이에 밀봉 포장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폐 생리대를 수거박스에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폐 생리대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악취부분을 해결과 함께 미화원이 수거시에도 악취 발생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거처리할 수 있어 공중화장실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상기 생리대 수거함에서 생리대 투입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폐 생리대는 팬티에 부착하는 생리대와는 달리 직접 몸 안에 삽입하는 탐폰(tampon)의 투입시 수거함의 투입구 오염이 발생한다.
상기 탐폰 타입의 생리대는 월경 중에 질에 삽입함으로써 월경혈을 흡수하도록 환봉형으로 된 흡수체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끈이 매달린 제품이다.
끈을 잡고 당겨 흡수체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끈에 매달린 흡수체가 흔들거리기 때문에 수거함의 투입구에 월경혈이 묻음으로써, 투입구의 오염되기 쉽다. 이에 따라 다음 사용자에게 미관상 불쾌감을 주고, 냄새를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폐 생리대를 양측에서 포개에 제1기어축과 제2기어축을 폐 생리대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리대를 접은 두께에 따라 공급되는 제1랩과 제2랩의 가장자리가 잘 맞지 않게 되는 현상으로 제1기어축과 제2기어축에 물리는 제1랩과 제2랩의 가장자리부분 밀봉이 일정하지 않아 폐 생리대를 수거함에서 수거하는 과정에서 밀봉 취약부분이 벌어져 냄새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수거함에 있어서는 밀봉을 위해 장착되는 제1랩과 제2랩의 폭의 길이를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폐 생리대 통과를 위해 제1기어축은 별도의 아치부를 형성하여야 하는 제작상의 설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폐 생리대를 수거함에 투입 시 투입구를 오염시키지 않고 넣을 수 있도록 하여 미관상 투입구 오염을 방지하고, 랩에 의한 폐 생리대 밀봉시 랩과의 밀착력과 가장자리부분의 밀봉력을 높여 냄새 유출이 전혀 없는 포장 형태로 수거함에 버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 생리대의 위생처리에 따른 공중화장실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생리대 수거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생리대 수거함은, 전면에 폐 생리대 회수를 위한 잠금도어가 마련되고, 상부 내측에 폐 생리대 통로가 형성된 격벽을 갖는 사각형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되게 결합되고, 그 상부 중앙에 폐 생리대 투입을 위한 가로형의 투입구가 상면과 측면이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의 하부 양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투명한 랩가이드편이 하향으로 수직되게 부착된 상부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 대응되게 고정 설치되며, 양측에 축안내홈부가 형성되고, 축안내홈부 사이의 상부에 축지지부가 평행하게 간격지게 형성되며, 중간에 센서지지부가 형성되며, 센서지지부의 하부에 축지 지공 및 본체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공이 형성된 제1지지대와, 상기 본체의 격벽 상부의 폐 생리대 통로와 일치하여 본체 하부로 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바닥부와, 바닥부 양측으로 축관통공이 형성된 측부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격벽 상면에 바닥부 저면이 안착 고정되고, 양측 측부는 상기 제1지지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축안내홈부에 각각 양단이 구름지지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각각 장착되어 투입되는 폐 생리대를 감싸 밀봉하기 위한 롤 형태의 제1랩 및 제2랩과, 상기 제1지지대의 축지지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랩 및 제2랩으로부터 상부커버측 투입구의 개구된 부분을 경유하여 상부커버의 내측 하부로 랩을 안내 유도하는 롤러축과, 상기 제1지지대의 센서지지부에 고정 설치되어 폐 생리대를 감지하는 발광부 및 발광부와 마주하는 제1지지대의 센서지지부에 고정 설치되어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의 유무를 감지하는 수광부와, 한 쌍으로 축봉 양측에 평기어가 고정되고, 평기어 사이에는 튜브형의 쿠션재가 설치되어져 상기 제2지지대에 양단이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과, 상기 제2지지대를 관통하는 제1기어축의 축봉에 결합되는 종동기어 및 종동기어가 설치된 제1지지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2지지대에 설치되어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의 평기어는 치합된 평기어 사이를 통과하는 랩과의 접촉 밀착성을 위해 탄성을 갖는 고무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재는 발포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랩가이드편에는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 투과를 위한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수거함은, 폐 생리대의 투입시 상부커버의 상부로부터 투입구를 가로형으로 돌출 형성하되, 그 투입구의 상부와 그 전후 측면이 노출되게 하고, 투입구의 노출된 부위에 두개의 회전축을 배치하고, 본체 내에 각각 제공되는 제1랩과 제2랩의 일단은 회전축에 경유되어 투입구에 폐 생리대 진입시 월경혈이 랩 부위에 묻혀져 투입되도록 하고, 폐 생리대의 투입감지, 구동모터 작동, 제1랩과 제2랩의 연속 이송으로 투입된 폐 생리대를 밀봉하는 구성으로서 본체 내에 폐 생리대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폐 생리대에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오염, 악취부분을 해결과 함께 깨끗한 사용 및 밀봉포장 수거로서 공중화장실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생리대 수거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거함의 내부 주요구성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제1기어축, 제2기어축 및 모터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거함의 상부측 내부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거함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는 랩 가이드 및 감지센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거함의 상부커버를 분리한 다음 제1랩 및 제2랩의 장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거함을 통해 폐 생리대 투입과 밀봉포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제1기어축 및 제2기어축을 통과하는 폐 생리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폐 생리대가 연속 포장처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수거함(10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수거함(100)은, 전면에 폐 생리대(P) 회수를 위한 잠금도어(11)가 마련되고, 상부 내측에 폐 생리대 통로(12a)가 형성된 격벽(12)을 갖는 사각형체의 본체(10)와, 상기 본체 상부에 상부커버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부 중앙에 폐 생리대 투입을 위한 가로형의 투입구(21)가 상면과 측면이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21)의 하부 양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투명한 랩가이드편(22)이 하향으로 수직되게 부착된 상부커버(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와 같은 형태는 첨부된 도 1과 같은 형태로서 여성전용 공중화장실의 부스 즉, 변기가 있는 내부 벽면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랩가이드편(22)에는 후술하는 발광부(70)로부터 조사되는 빛 투과를 위한 장공(22a)이 형성된다.
상기 폐 생리대(P)의 본체 내에 자동 투입이 이루어지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제1지지대(30)가 대응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30)는 양측에 축안내홈부(31)가 형성되고, 축안내홈부(31) 사이의 상부에는 축지지부(32)가 평행하게 간격지게 형성되며, 축지지부가 형성된 그 하부측 중간지점에는 센서지지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지지부(33)의 하부에 축지지공(30a) 및 본체(10)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공(30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 사이에는 상기 본체(10)의 격벽(12) 상부의 폐 생리대 통로(12a)와 일치하여 본체(10) 하부로 통하는 통공(41a)이 형성된 바닥부(41)와, 바닥부(41) 양측으로 축관통공(42a)이 형성된 측부(42)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격벽(12) 상면에 바닥부(41) 저면이 안착 고정되고, 양측 측부(42)는 상기 제1지지대(30)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지지대(40)가 설치된다.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30)의 축안내홈부(31)에는 회전축(50)의 각 양단이 구름지지되고, 상기 회전축(50)에는 투입되는 폐 생리대(P)를 감싸 밀봉하기 위한 롤 형태의 제1랩(W1) 및 제2랩(W2)이 각각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대(30)의 축지지부(31)에는 제1랩 및 제2랩으로부터 상부 커버(20)측 투입구(21)의 개구된 부분을 경유하여 상부커버(20)의 내측 하부로 랩을 안내 유도하는 롤러축(60)이 회전가능하게 그 양단이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30)의 센서지지부(33)에는 폐 생리대(P)를 감지하는 발광부(70) 및 발광부(70)와 마주하는 제1지지대(30)의 센서지지부(33)에 고정 설치되어 발광부(70)에서 조사된 빛의 유무를 감지하는 수광부(8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40)에 제1기어축(90A) 및 제2기어축(90B)의 양단이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기어축(90A) 및 제2기어축(90B)은 한 쌍으로 축봉(91) 양측에 평기어(92)가 고정되고, 평기어 사이에는 튜브형의 쿠션재(93)가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40)를 관통하는 제1기어축(90A)의 축봉(91)에는 종동기어(G2)가 결합되고, 종동기어가 설치된 제1지지대(30)의 일측에는 구동기어(G1)가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호 치합관계를 갖으며, 상기 제2지지대(40)에는 상기 구동기어(G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기어축(90A) 및 제2기어축(90B)의 평기어(92)는 치합된 평기어 사이를 통과하는 랩과의 접촉 밀착성을 위해 탄성을 갖는 고무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재(93)는 발포스펀지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수거함의 구동모터 및 투입구측의 발광부, 수광부는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해 간단한 동작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생리대 수거함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생리대 수거함(100)은 변기가 마련된 화장실 부스 내에 벽면 혹은 칸막이 패널에 부착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된 폐 생리대(P)를 밀봉 포장하는 제1랩 및 제2랩은 본체(10)의 상부측 상부커버(20)를 분리한 다음, 제1지지대(30)의 축안내홈부(31)에 제1랩(W1)과 제2랩(W2)에 준비된 회전축(50)을 관통시키고, 그 양단을 걸어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제1랩(W1)과 제2랩(W2)으로부터 랩을 풀어 그 끝단을 각각 회전축(50)을 경유하여 제1기어축(90A)과 제2기어축(90B) 사이를 통과시켜 세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50)을 경유하는 랩은 상부커버(20)의 투입구(21)에 노출된 회전축(50)에 경유되어 상기 제1기어축(90A)과 제2기어축(90B)의 하부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랩은 측면과 상부가 개구된 부위에 걸쳐지는 형태가 되어 폐 생리대의 투입시 폐 생리대의 가장자리나 탐폰 타입의 생리대인 경우, 상호 마주하는 랩의 내측면에 월경혈 묻을 수 있는데, 이는 랩의 이송에 따라 도시된 도 8과 같이 폐 생리대(P)가 투입되어 본체(10) 내부로 진입하면, 깨끗한 랩 부분이 상기 회전축(50)에 의해 노출되는 형태로 투입구(21)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랩(W1)과 제2랩(W2)은 상부커버(20)의 투입구(21) 하부 하향 구비된 랩가이드편(22)에 의해 그 가장자리는 제1기어축(90A)과 제2기어축(90B)의 상호 치합된 평기어(92)로 동일하게 랩의 길이방향을 안내하면서 기어 연속 맞물림에 의해 그 가장자리를 밀봉한다.
참고로 상기 랩(Wrap)은 음식물 포장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하를 띠지 않은 물체나 전열체(부도체)에 잘 들러 붙게 되는 정전기의 성질(랩이 감긴 롤에서 랩을 풀어낼 때 표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 붙게 된다. 더욱이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원래대로 되돌아가려는 힘이 발생하여 상기와 같은 폐 생리대를 감싸면서 랩과 랩이 잘 들러 붙어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입되는 폐 생리대(P)는 양측의 제1랩(W1)과 제2랩(W2)이 상기 회전축을 경유하여 V자 형태로 되어 있어, 초기 투입될 때 발광부(70)와 수광부(80)에서 이루어지는 폐 생리대의 투입상태에 따른 유무를 감지한다.
상기 발광부(70)와 수광부(80)는 제1지지대(30)에 상호 마주보이게 구비된 것으로 그 사이에는 랩가이드편(22)이 위치하고 있으나, 상기 랩가이드편(22)은 투명한 상태 혹은 그 면에 형성된 장공(22a)를 통해 발광부측에서 조사되고 있는 빛을 수광부에서 수광받고 있으며, 그 사이에 통과되는 폐 생리대의 여부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전기적인 신호는 제어부를 통한 구동모터(80)를 가동하여, 구동기어(G2), 종동기어(G1), 제1기어축(90A)의 평기어(92)와 치합된 제2기어축(90B)의 평기어(92)의 맞대응 회전으로 상기 제1랩(W1)과 제2랩(W2)을 잡아당겨 이송시키면서 폐 생리대(P)를 본체(10)의 격벽(12)측 폐 생리대 통로(12a)를 통해 하부로 밀봉 포장하여 이송한다.
상기와 같이 밀봉 포장되는 폐 생리대(P)는 특히 제1기어축(90A)과 제2기어축(90B)의 평기어(21)의 상호 치랍된 사이를 거쳐 랩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밀봉시킴과 동시에, 첨부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축봉(91)에 구비된 쿠션재(93)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눌러 랩을 더욱 밀착시키는 형태로 포장 이송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각각 밀봉 포장되는 폐 생리대(P)는 도 11에서와 같이 간격(T)을 두고 밀봉이 이루어지며, 이는 본체(10)의 격벽(12) 하부에 순차적으로 쌓이는 형태로 수거가 이루어진다.
관리자(화장실 미화원)는 본체(10)의 전면측 잠금도어(11)를 개방하면, 그 내부에 연속으로 간격을 두고 밀봉포장된 폐 생리대(P)를 수거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폐 생리대는 랩에 의해 포장되어 있기 때문에 최종 수거상태에서도 폐 생리대에 대한 악취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이 밀봉 포장형태로 폐 생리대(P)를 수거함에 수거할 수 있는 점은 기존의 수거함과는 달리 별도의 투입구측 커버 혹은 덮개가 필요하지 않으며, 이러한 점은 폐 생리대에서 풍기는 악취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공중화장실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수거시에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수거함의 투입구 부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냄새로 인한 해충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 11: 잠금도어
12: 격벽 12a: 폐 생리대 통로
20: 상부커버 21: 투입구
22: 랩가이드편 22a: 장공
30: 제1지지대 31: 축안내홈부
32: 축지지부 33: 센서지지부
40: 제2지지대 41: 바닥부
42: 측부 50: 회전축
60: 롤러축 70: 발광부
80: 수광부 90A: 제1기어축
90B: 제2기어축 91: 축봉
92: 평기어 93: 쿠션재
G1: 종동기어 G2: 구동기어
M: 구동모터 W1: 제1랩
W2: 제2랩 P: 폐 생리대

Claims (3)

  1. 전면에 폐 생리대(P) 회수를 위한 잠금도어(11)가 마련되고, 상부 내측에 폐 생리대 통로(12a)가 형성된 격벽(12)을 갖는 사각형체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탈착되게 결합되고, 그 상부 중앙에 폐 생리대 투입을 위한 가로형의 투입구(21)가 상면과 측면이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21)의 하부 양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투명한 랩가이드편(22)이 하향으로 수직되게 부착된 상부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대응되게 고정 설치되며, 양측에 축안내홈부(31)가 형성되고, 축안내홈부(31) 사이의 상부에 축지지부(32)가 평행하게 간격지게 형성되며, 중간에 센서지지부(33)가 형성되며, 센서지지부(33)의 하부에 축지지공(30a) 및 본체(10)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공(30b)이 형성된 제1지지대(30)와,
    상기 본체(10)의 격벽(12) 상부의 폐 생리대 통로(12a)와 일치하여 본체(10) 하부로 통하는 통공(41a)이 형성된 바닥부(41)와, 바닥부(41) 양측으로 축관통공(42a)이 형성된 측부(42)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격벽(12) 상면에 바닥부(41) 저면이 안착 고정되고, 양측 측부(42)는 상기 제1지지대(30)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지지대(40)와,
    상기 제1지지대(30)의 축안내홈부(31)에 각각 양단이 구름지지되는 회전축(50) 및 회전축(50)에 각각 장착되어 투입되는 폐 생리대(P)를 감싸 밀봉하기 위한 롤 형태의 제1랩(W1) 및 제2랩(W2)과,
    상기 제1지지대(30)의 축지지부(3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랩 및 제2랩으로부터 상부커버(20)측 투입구(21)의 개구된 부분을 경유하여 상부커버(20)의 내측 하부로 랩을 안내 유도하는 롤러축(60)과,
    상기 제1지지대(30)의 센서지지부(33)에 고정 설치되어 폐 생리대(P)를 감지하는 발광부(70) 및 발광부(70)와 마주하는 제1지지대(30)의 센서지지부(33)에 고정 설치되어 발광부(70)에서 조사된 빛의 유무를 감지하는 수광부(80)와,
    한 쌍으로 축봉(91) 양측에 평기어(92)가 고정되고, 평기어 사이에는 튜브형의 쿠션재(93)가 설치되어져 상기 제2지지대(40)에 양단이 구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축(90A) 및 제2기어축(90B)과,
    상기 제2지지대(40)를 관통하는 제1기어축(90A)의 축봉에 결합되는 종동기어(G2) 및 종동기어가 설치된 제1지지대(3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G1)와,
    상기 제2지지대(40)에 설치되어 구동기어(G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수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축(90A) 및 제2기어축(90B)의 평기어(92)는 치합된 평기어 사이를 통과하는 랩과의 접촉 밀착성을 위해 탄성을 갖는 고무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재(93)는 발포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수거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가이드편(22)에는 발광부(70)로부터 조사되는 빛 투과를 위한 장공(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수거함.
KR1020190178766A 2019-12-27 2019-12-27 생리대 수거함 KR102213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66A KR102213504B1 (ko) 2019-12-27 2019-12-27 생리대 수거함
PCT/KR2020/017821 WO2021132943A1 (ko) 2019-12-27 2020-12-08 생리대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66A KR102213504B1 (ko) 2019-12-27 2019-12-27 생리대 수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504B1 true KR102213504B1 (ko) 2021-02-05

Family

ID=7455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766A KR102213504B1 (ko) 2019-12-27 2019-12-27 생리대 수거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3504B1 (ko)
WO (1) WO202113294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954A (ko) * 2021-05-26 2021-06-15 박종성 폐기물 수거함의 폐기물 밀봉불량 방지구조
US20210179340A1 (en) * 2019-12-16 2021-06-17 Benzhi (Shenzhe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Bag dispensing apparatus and bag dispensing system
KR20220002174A (ko) * 2021-11-23 2022-01-06 박종성 포장랩 위조사용 방지기능이 구비된 폐기물 회수장치
KR20240060756A (ko) 2024-04-18 2024-05-08 송원호 위생 폐기물 회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800B1 (ko) * 2003-10-16 2007-11-12 교리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패키지 장치 및 쓰레기통
JP2012081274A (ja) * 2010-10-13 2012-04-26 Sumiron:Kk 医療用具封止装置
KR20190093472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공의 생리대 수거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6482C2 (nl) * 1997-07-04 1999-01-25 Gideon Noordenbos Inrichting voor het hygiënisch verpakken van gebruikte voorwerpen.
KR100770373B1 (ko) * 2005-12-27 2007-10-26 하영교 압착식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800B1 (ko) * 2003-10-16 2007-11-12 교리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패키지 장치 및 쓰레기통
JP2012081274A (ja) * 2010-10-13 2012-04-26 Sumiron:Kk 医療用具封止装置
KR20190093472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공의 생리대 수거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9340A1 (en) * 2019-12-16 2021-06-17 Benzhi (Shenzhe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Bag dispensing apparatus and bag dispensing system
US11554909B2 (en) * 2019-12-16 2023-01-17 Benzhi (Shenzhe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Bag dispensing apparatus and bag dispensing system
KR20210070954A (ko) * 2021-05-26 2021-06-15 박종성 폐기물 수거함의 폐기물 밀봉불량 방지구조
WO2022250302A1 (ko) * 2021-05-26 2022-12-01 박종성 폐기물 수거함의 폐기물 밀봉불량 방지구조
KR102552130B1 (ko) * 2021-05-26 2023-07-05 박종성 폐기물 수거함의 폐기물 밀봉구조
KR20220002174A (ko) * 2021-11-23 2022-01-06 박종성 포장랩 위조사용 방지기능이 구비된 폐기물 회수장치
KR102547041B1 (ko) 2021-11-23 2023-06-22 박종성 포장랩 위조사용 방지기능이 구비된 폐기물 회수장치
KR20240060756A (ko) 2024-04-18 2024-05-08 송원호 위생 폐기물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2943A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504B1 (ko) 생리대 수거함
US5473789A (en) Disposable toilet seat cleaning pad
US4648513A (en) Package and disposal container including plural tear portions
WO2007027372A1 (en) Packaging component for personal care articles
KR102140934B1 (ko) 폐 위생용품 밀봉장치
KR102028276B1 (ko) 생리대 수거함
US20080027404A1 (en) Absorbent articles and functional wipes
KR102552130B1 (ko) 폐기물 수거함의 폐기물 밀봉구조
JP2006320593A (ja) 取り出し穴のある重ね折りパッド・おむつ
JP2006320593A5 (ko)
JP3223080U (ja) 衛生ペーパーが備えられた衛生用品
KR20220170528A (ko) 밀봉기능을 갖는 폐생리대 수거장치
KR100814614B1 (ko) 남성의 배뇨 후 뒷처리장치
US20130126388A1 (en) Medical product package assembly
KR20210136511A (ko) 위생 폐기물 밀봉 수거장치
US20110106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osing of feminine hygiene waste
KR20200137577A (ko) 폐 생리대 수거함
US20040166289A1 (en) Bottom line toilet seat liners
JP2000301105A (ja) 衛生処理装置
US20210145659A1 (en) Sanitary Protective Panels
US8343118B2 (en) Diaper rash prevention apparatus
CN201415820Y (zh) 一种纸巾包
KR200277409Y1 (ko) 일회용 위생 비닐포대
KR20240060756A (ko) 위생 폐기물 회수장치
US20110028926A1 (en) Diaper Rash Preven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