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350B1 -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350B1
KR102213350B1 KR1020200080262A KR20200080262A KR102213350B1 KR 102213350 B1 KR102213350 B1 KR 102213350B1 KR 1020200080262 A KR1020200080262 A KR 1020200080262A KR 20200080262 A KR20200080262 A KR 20200080262A KR 102213350 B1 KR102213350 B1 KR 10221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lation
cartoon
comics
dat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모
나영록
나문영
Original Assignee
나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경모 filed Critical 나경모
Priority to KR102020008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구획된 공간에 실물 또는 상상의 세계를 가공하여 그림 또는 그림 및 문자를 통하여 표현한 저작물의 감상을 위한 각국의 언어적 문제점을 해결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언어적 문제점이 해결된 신속한 저작물 배포를 통해 해당 저작물에 대한 프로모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가의 만화에 대한 소개 및 작가 소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만화 정보와, 해당 만화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작가 단말기와; 상기 작가 단말기로부터 만화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한 후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만화 저장모듈,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웹상의 다국어 번역 서버와 연동하여 번역하기 위한 번역 연동모듈을 구비하는 만화 번역 연동서버와;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와 접속하여 다국어로 번역된 만화를 감상하기 위한 회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COMICS PROMOTION PLATFORM SYSTEM THROUGH MULTILINGUAL TRANSLATION}
본 발명은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구획된 공간에 실물 또는 상상의 세계를 가공하여 그림 또는 그림 및 문자를 통하여 표현한 저작물의 감상을 위한 각국의 언어적 문제점을 해결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언어적 문제점이 해결된 신속한 저작물 배포를 통해 해당 저작물에 대한 프로모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만화는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구획된 공간에 실물 또는 상상의 세계를 가공하여 그림 또는 그림 및 문자를 통하여 표현한 저작물로서 고대 이집트인의 벽화를 시작으로 오늘날 만화는 익살, 해학, 풍자 등을 통해 대상의 성격을 과장하거나 생략하여 인생이나 사회를 풍자, 비판하는 그림으로서, 그 내용에 따라 순정, 무협, 액션, 코믹, 스포츠, SF 등 다양하게 구분되며, 만화는 그림(이미지)과 글자(텍스트)라는 시각적 체계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복잡한 태도를 드러냄으로써, 단순 글자만으로 이루어진 일반서적에 비해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근래에 들어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만화는 전통적인 만화책에서 벗어나 인터넷 등을 통하여도 서비스되고 있는데, 인터넷 등에서 제공되는 만화는 만화에 포함된 글자를 다양한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독자의 언어권에 맞춰 제공되기도 한다.
하지만, 오늘날 이루어지고 있는 만화는 우선적으로 출판 및 발표되는 국가의 언어로만 제공한 다음, 일반적으로 6 ~ 7개월 후에 정식 번역본이 제작되어 일정 수의 국가의 언어로 제공되며, 이러한 정식 번역본 작업에 소요되는 기간으로 인해 최초로 제공되는 언어권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은 출판 및 발표되는 일자보다 늦게 감상하여 만화에 대한 언어적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식으로 출판 및 발표된 다국어 번역본도 언어의 다양성의 부재로 인해 더 많은 독자들이 온전히 만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기에는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신인 작가들의 창작 활동을 통해 탄생된 만화들은 현재와 같은 유통 구조상 널리 알려진 유명 작가의 만화가 아닌 이상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기란 거의 불가능하고, 대부분의 신인 작가들은 대형 포털사이트를 통해 자신이 창작한 만화를 연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는 굉장히 어려우며, 대형 포털사이트가 아닌 곳에서 만화를 연재한다고 하여도 프로모션의 한계로 인해, 상업적인 목적으로 만화를 홍보 및 판매할 경우, 신인 작가 스스로 과다한 비용을 들여 홍보 및 판매를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함과 아울러 별도의 홍보를 위한 시간 등이 요구되는 것을 볼 때, 만화의 상업적 유통과 관련하여 아직까지는 신인 작가가 감당하기에는 매우 부담스러운 측면으로 인해 대부분의 신인 작가들은 경제적 악순환을 거듭하면서 고통을 겪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들어 번역 웹사이와의 연동을 통해, 만화의 출판 및 발표 일자와 동시에 각 나라에 맞는 언어로서 번역하여 감상하는 것이 추세인데, 이러한 번역의 정확성은 80% 미만으로 온전히 만화를 감상하고 이해하기에는 부족할 뿐만 아니라 해외 각국의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만화를 프로모션 하거나 감상을 추천하기에는 어려운 점, 다시 말해서 정식 번역문이 나오는 6 ~7 개월 소요되는 기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번역 웹사이트를 이용한 80%의 번역 정확성을 통해서는 실질적으로 만화를 프로모션 하거나 감상하기에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식 번역문이 나오는 6 ~ 7 개월이 소요되는 기간, 실질적인 홍보 효과의 부족 및 감상하기에 부족한 번역 웹사이트를 통한 낮은 번역의 완성도 환경을 벗어나, 번역 웹사이트를 이용한 80%의 번역 정확성을 100%의 정확성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각국의 회원들을 통해 번역 참여를 유도하면서 그와 동시에 회원들 사이에서의 자발적인 홍보 유도를 통해 신인 작가들에게 만화를 프로모션 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마련하여, 신인 작가들의 원활한 창작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으로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220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959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정식 번역문이 나오는 6 ~ 7 개월이 소요되는 기간, 실질적인 홍보 효과의 부족 및 감상하기에 부족한 번역 웹사이트를 통한 낮은 번역의 완성도 환경을 벗어나, 번역 웹사이트를 이용한 80%의 번역 정확성을 100%의 정확성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각국의 회원들을 통해 번역 참여를 유도하면서 그와 동시에 회원들 사이에서의 자발적인 홍보 유도를 통해 신인 작가들에게 만화를 효율적으로 프로모션 가능하도록 하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가의 만화에 대한 소개 및 작가 소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만화 정보와, 해당 만화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작가 단말기와; 상기 작가 단말기로부터 만화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한 후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만화 저장모듈,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웹상의 다국어 번역 서버와 연동하여 번역하기 위한 번역 연동모듈을 구비하는 만화 번역 연동서버와;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와 접속하여 다국어로 번역된 만화를 감상하기 위한 회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를 회원 단말기를 통해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번역 참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 단말기를 특정하여, 특정된 회원의 채널을 생성하고 수정된 만화 텍스트를 생성된 채널을 통해 관리하기 위한 회원 채널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복수의 회원들이 각각의 회원 단말기를 통해 특정된 회원의 채널에 입장하여, 입장시간에 대응되는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유효한 조회수를 카운터 하기 위한 카운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카운터 모듈에 의해 카운터된 유효한 조회수를 기초로 작가 단말기에 대한 광고 수익보다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회원 단말기의 수익을 더 크게 책정하여, 작가 단말기 및 해당 회원 단말기로 광고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광고 수익분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 수정 참여횟수를 카운터 하여 해당 회원의 생성된 채널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채널 증가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채널을 소유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SNS 서버 연동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작가 단말기가 전송한 만화에 대한 판권을 등록하여 관리하기 위한 판권 관리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수정된 최종 만화 텍스트에 워터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워터마크 생성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채널 및 SNS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리뷰를 수집하기 위한 리뷰 데이터 수집모듈과, 상기 수집된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마이닝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닝 분석모듈과, 상기 마이닝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연령별 선호도, 회원별 취향 및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석 데이터를 통해 회원별 맞춤형 만화를 추천하기 위한 만화 추천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 정식 번역문이 나오는 6 ~ 7 개월이 소요되는 기간, 실질적인 홍보 효과의 부족 및 감상하기에 부족한 번역 웹사이트를 통한 낮은 번역의 완성도 환경을 벗어나, 번역 웹사이트를 이용한 80%의 번역 정확성을 100%의 정확성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각국의 회원들을 통해 번역 참여를 유도하면서 그와 동시에 회원들 사이에서의 자발적인 홍보 유도를 통해 신인 작가들에게 만화를 효율적으로 프로모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중 만화 번역 연동서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작가 단말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 및 회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작가의 만화에 대한 소개(예: 작가 이름, 만화 제목, 제작 연도, 만화 장르, 간략한 작품설명(한글/영문) 등) 및 작가 소개(예: 학력, 연재 등 구체적인 활동 내역, 만화 포트폴리오, 만화가 소개된 출판물 사본(잡지, 학술지 등)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만화 정보와, 해당 만화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작가 단말기와, 상기 작가 단말기로부터 만화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한 후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만화 저장모듈,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웹상의 다국어 번역 서버와 연동하여 번역하기 위한 번역 연동모듈을 구비하는 만화 번역 연동서버와,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와 접속하여 다국어로 번역된 만화를 감상하기 위한 회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 각각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만화 번역 연동서버에 접속하여, 작가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만화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하거나, 작가의 만화에 대한 소개(예: 작가 이름, 만화 제목, 제작 연도, 만화 장르, 간략한 작품설명(한글/영문) 등) 및 작가 소개(예: 학력, 연재 등 구체적인 활동 내역, 만화 포트폴리오, 만화가 소개된 출판물 사본(잡지, 학술지 등) 등) 와, 해당 만화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태블릿, 넷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조사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일종의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바일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POS 등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입력 모듈
-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는 문자입력 방식, 터치입력 방식 및 음성입력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 방식을 통해 감상하고자 하는 만화에 대응되는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음
- 상기 입력 모듈은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하고, 입력 모듈은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로 전달할 수도 있음
-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및 터치스크린(Touch-screen)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
- 일례로,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가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키,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를 위한 전원 키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특히, 만화 번역 연동서버 접속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인증 정보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특정 샌드 박스 선택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콘텐츠의 색상, 투명도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만화 번역 연동서버에 전달할 수도 있음
* 단말기 제어모듈
-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의 전송받고자 하는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
-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모듈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 및 작가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측정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중 만화 번역 연동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만화 번역 연동서버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만화 저장모듈
- 작가 단말기로부터 만화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한 후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번역에 앞서 보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가 있음
- 일례로, 작가의 만화에 대한 소개(예: 작가 이름, 만화 제목, 제작 연도, 만화 장르, 간략한 작품설명(한글/영문) 등) 및 작가 소개(예: 학력, 연재 등 구체적인 활동 내역, 만화 포트폴리오, 만화가 소개된 출판물 사본(잡지, 학술지 등) 등)와 같은 만화 정보와, 해당 만화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화 될 수도 있음
- 일례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가 분리되어 있지 않은 이미지 데이터 전체로서의 데이터를 작가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경우, 해당 전체 데이터 중 글자 영역을 포함한 부분을 텍스트 박스로 설정한 다음, 글자 영역 외의 이미지 영역 부분과 분리된 글자 영역의 텍스트 박스를 기초로 하는 텍스트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해당 텍스트 파일이 별도로 저장될 수도 있음
- 또한, 상기 작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분리하여 각 데이터를 장르별(예: 옴니버스, 판타지, 일상, 개그, 순정, 감성, 스릴러, 격투, 공포, 극화, 드라마, 무협, 사극, 시대극, 성인, 스포츠, 액션, 요리, 낚시, 전쟁, 코믹, 퇴마, 학원, SF, 추리, 애니, 일러스트, 자작 등)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음
* 번역 연동모듈
-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웹상의 다국어 번역 서버와 연동하여 번역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출판 및 발표되는 국가의 언어로만 제공된 다음에 6 ~ 7개월 후 정식 번역본이 제작되는 만화 감상의 언어적 접근성의 부족함을 보완할 수 있음
- 일례로, 번역 연동모듈은 다수의 번역 서버와의 연동을 통하여, 웹상의 다국어 번역 서버로 번역되는 번역본이 최소 2개 이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음
- 또한, 상기 웹상의 다국어 번역 서버와의 연동은 80여 개국 언어(예: 갈라시아어. 구자르트어. 그루지야어.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네팔어. 노르웨이어(보크몰). 덴마크어. 독일어. 라오어. 라트비아어. 라틴어. 러시아어. 루마니아어. 리투아니아어. 마라티어. 마오리어. 마케도니아어. 말레이어. 몰타어. 몽골어. 몽어. 바스크어. 베트남어. 벨라루스어. 벵골어. 보스니아어. 불가리아어. 세르비아어. 세부아노어. 소말리아어. 스와힐리어. 스웨덴어. 스페인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아랍어. 아르메니아어. 아이슬란드어. 아이티 크리올어. 아일랜드어. 아제르바이잔어. 아프리칸스어. 알바니아어. 에스토니아어. 에스페란토어. 영어. 요루바어. 요르두어. 우크라이나어. 웨일스어. 이그보어. 이디시어. 이탈리아어. 인도네시아어. 일본어. 자바어. 줄루어. 중국어(간체). 중국어(번체). 체코어. 카탈로니아어. 칸나다어. 캄보디아어. 크로아티아어. 타갈로그어. 타밀어. 태국어. 터키어. 텔루구어. 펀자브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핀란드어. 하우사어. 한국어. 헝가리어. 히브리어. 힌디어 등)로 번역되도록 할 수도 있음
* 번역 참여모듈
-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를 회원 단말기를 통해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웹상의 다국어 번역 서버를 통해 번역되는 80% 미만의 정확성을 보완하여 온전히 만화를 감상하고 이해하기에 충분한 번역본 생성을 통해 해외 각국의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만화의 프로모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
- 상기 번역 연동모듈에 의해 번역된 내용에 대해 자유로운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텍스트 박스 형태의 데이터 파일이 회원 단말기로 제공될 수도 있음
- 추가로,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복수의 회원 단말기를 통해 일정기간(예: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의 분량이 200자 이내면 1주, 500자 이내면 3주, 1000자 이내면 한달 등) 내에 복수의 회원들이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 다음, 복수개의 수정된 번역본에 대해서, 수정에 참여한 복수의 회원들이 본인의 수정본을 제외한 그 외에 수정본에 대하여 투표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또한, 상기 투표를 통해 선택된 단 하나의 수정된 번역본만을 해당 만화의 최종 번역본으로 선정할 수도 있음
* 회원 채널모듈
-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 단말기를 특정하여, 특정된 회원의 채널을 생성하고 수정된 만화 텍스트를 생성된 채널을 통해 관리함으로써,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특정 회원만의 채널을 통해 해당 만화의 홍보와 동시에 채널이 생성된 특정 회원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수익에 대한 분배 시 발생되는 분배 비율 산정을 투명하게 운용할 수 있음
- 일례로,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복수의 회원이 존재하는 경우, 번역 참여모듈을 통해 선정된 단 하나의 수정된 번역본에 해당되는 특정 회원만이 해당 선정된 번역본을 본인의 채널에만 게시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또한, 일례로, 일정기간(예: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의 분량이 200자 이내면 1주, 500자 이내면 3주, 1000자 이내면 한 달 등) 이후에 상기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이 있을 경우, 일정기간 이후에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을 제외하여 일정기간 내에 수정한 복수의 회원만으로 번역 참여모듈을 통해 선정된 단 하나의 수정된 번역본에 해당되는 특정 회원만이 해당 선정된 번역본을 본인의 채널에만 게시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추가로, 일정기간(예: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의 분량이 200자 이내면 1주, 500자 이내면 3주, 1000자 이내면 한 달 등) 내에 상기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이 단독일 경우, 일정기간 내에 단 하나의 수정된 번역본에 해당되는 특정 회원만이 해당 번역본을 본인의 채널에만 게시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또한, 일정기간(예: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의 분량이 200자 이내면 1주, 500자 이내면 3주, 1000자 이내면 한 달 등) 내에 상기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이 없을 경우, 해당 기간 이후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특정 회원만이 해당 번역본을 본인의 채널에만 게시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추가로, 일정기간(예: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의 분량이 200자 이내면 1주, 500자 이내면 3주, 1000자 이내면 한 달 등) 내에 상기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이 없을 경우 및 해당 기간 이후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이 복수인 경우, 번역 참여모듈을 통해 선정된 단 하나의 수정된 번역본에 해당되는 특정 회원만이 해당 선정된 번역본을 본인의 채널에만 게시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카운터 모듈
- 복수의 회원들이 각각의 회원 단말기를 통해 특정된 회원의 채널에 입장하여, 입장시간에 대응되는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유효한 조회수를 카운터함으로써, 광고수입 분배에 있어서 실질적인 광고의 효과가 발휘되는 유효한 조회수를 기초로 투명한 광고수입 분배가 가능토록 함
- 일례로, 복수의 회원들이 각각의 회원 단말기를 통해 특정된 회원의 채널에 입장한 후, 일정 이상의 입장시간(예: 수정된 만화의 텍스트의 분량이 200자 이내면 5분 이상, 500자 이내면 8분 이상, 1000자 이내면 15분 이상 등)에 대응하여 감상된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유효한 조회수가 카운터 될 수도 있음
- 일례로, 상기 유효한 조회수란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조회수로 카운터 되었지만, 해당 카운터된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응하여 일정 시간 미만의 채널 입장시간(예: 수정된 만화의 텍스트의 분량이 200자 이내면 5분 이상, 500자 이내면 8분 이상, 1000자 이내면 15분 이상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조회수는 유효하지 않는 조회수로서 최종 카운터에서 제외될 수도 있음
- 추가로, 동일한 수정된 만화 텍스트(하나의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복수의 조회수에 대해서는 하나의 카운터로 인정될 수도 있음
- 또한, 특정된 회원의 채널에 게시된 수정된 만화 텍스트가 복수일 경우(동일하지 않은 별개의 수정된 만화 텍스트), 동일하지 않은 만화별로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조회수를 카운터 하여, 해당 조회수에 대응하여 일정 시간 미만의 채널 입장시간(예: 수정된 만화의 텍스트의 분량이 200자 이내면 5분 이상, 500자 이내면 8분 이상, 1000자 이내면 15분 이상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조회수는 유효하지 않는 조회수로서 최종 카운터에서 제외될 수도 있음
- 상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특정된 회원의 채널에 입장한 회원 단말기를 통해서 채널에 게시된 200자 이내의 수정된 텍스트 분량의 만화 및 500자 이내의 수정된 텍스트 분량의 만화 각각에 대해 특정 채널에 대한 총 조회수 2 이상이 카운터 되어도, 해당 채널에 대해서 입장시간이 총 13분 미만일 경우, 조회수 1이 유효한 조회수로서 최종 카운터 될 수도 있음
* 광고 수익분배 모듈
- 카운터 모듈에 의해 카운터된 유효한 조회수를 기초로 작가 단말기에 대한 광고 수익보다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회원 단말기의 수익을 더 크게 책정하여, 작가 단말기 및 해당 회원 단말기로 광고 수익을 분배함으로써,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회원이 작가 단말기를 통한 만화에 대한 프로모션을 자발적으로 활동하도록 유도하여 해당 만화에 대해 활발한 홍보가 가능토록 함
- 일례로, 작가 단말기와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회원 단말기의 광고수익 분배 비율을 7:3으로 하여, 카운터 모듈에 의해 카운터된 최종 유효한 조회수에 대응된 만화별 총 광고수익에 대해 각각의 단말기를 통해서 분배될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또한, 일례로, 수정된 만화 텍스트가 오로지 작가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진 경우, 카운터 모듈에 의해 카운터된 최종 유효한 조회수에 대응된 만화별 총 광고수익 전부를 작가 단말기에게 지급되도록 할 수도 있음
* 채널 증가모듈
-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 수정 참여횟수를 카운터 하여 해당 회원의 생성된 채널의 용량을 증가함으로써,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회원이 작가 단말기를 통한 만화에 대한 프로모션을 자발적으로 활동하도록 유도하여 해당 만화에 대해 활발한 홍보가 가능토록 하며, 또한, 채널의 용량 증가를 통해서 게시될 수 있는 수정된 만화 텍스트의 종류를 다양하게 할 수 있게 지원하여 분배받는 광고수익에 대한 기대치를 높여줌
- 일례로,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 수정 참여횟수를 카운터 하여 해당 카운터별로 채널에서 게시 가능한 수정된 만화 텍스트의 수를 참여횟수 만큼 증가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또한, 일례로, 번역된 만화 텍스트 수정에 참여한 복수의 회원이 존재하는 경우, 번역 참여모듈을 통해 선정된 단 하나의 수정된 번역본에 해당하는 특정 회원에 대해서는 게시 가능한 수정된 만화 텍스트의 수를 참여횟수의 2배로 증가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추가로, 해당 번역된 만화 텍스트 수정에 참여한 복수의 회원에게는 수정된 만화 텍스트 장르별로 채널의 테마(예: 판타지 장르의 테마, 개그 장르의 테마, 순정 장르의 테마, 스릴러 장르의 테마, 공포 장르의 테마, 무협 장르의 테마, 성인 장르의 테마, 스포츠 장르의 테마 등)가 형성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으며, 해당 테마를 통해서 각각의 회원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채널의 성격을 장르별로 특성화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SNS 서버 연동모듈
- 채널을 소유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알려지지 않은 신인 작가의 만화 특성상 SNS를 활용한 홍보를 통해 좀 더 많은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지게 하여 해당 만화가 노출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함
- 또한, 채널을 소유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SNS를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홍보를 통해 해당 만화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여, 해당 채널로의 입장을 유도하여 유효한 조회수가 카운터 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채널을 소유한 회원 단말기의 광고수익을 증가시킬 수도 있음
* 판권 관리모듈
- 작가 단말기가 전송한 만화에 대한 판권을 등록하여 관리함으로써, 해당 만화에 대한 추후에 발생될 판권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대응 가능하도록 지원함
- 또한, 작가 단말기가 전송한 만화 및 회원 단말기를 통해 수정된 최종 만화 텍스트에 대해 저작권 등록이 가능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일례로, 저작권 협회 서버와 만화 번역 연동서버가 온라인상으로 연동되도록 하여 최종 수정된 만화 텍스트 및 기타 저작권 등록을 위한 신청 서류를 저작권 협회 서버에 제출되도록 하거나, 최종 수정된 만화 텍스트 파일 및 신청 서류를 파일로 저작권 등록받을 대상에게 제공하여 오프라인(우편발송)으로도 저작권 등록 신청을 가능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저작권 등록받을 대상, 즉 저작권 명의는 만화 번역 연동서버 운영정책에 따라 작가, 만화 번역연동 서버 운영자 및 회원 중 1인 이상이 갖도록 하거나 작가 및 운영자간 협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음
* 워터마크 생성모듈
- 수정된 최종 만화 텍스트에 워터마크를 부여함으로써, 부여된 워터마크를 통해서 불법 복제를 방지함
- 추가로, 최종으로 확정되기 전까지 각각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해서도 개별로 워터마크가 부여되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일례로, 작가 단말기를 통해 만화 번역 연동서버로 전송된 만화 및 수정된 최종 만화 텍스트에 대해 별도의 워터마크가 부여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만화 원본 및 수정된 최종 만화 텍스트 간 워터마크가 구별될 수도 있음
* 리뷰 데이터 수집모듈
- 채널 및 SNS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리뷰를 수집함으로써,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리뷰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하여 상기 리뷰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음
- 웹사이트에서 신인 작가 및 해당 신인 작가의 만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집할 수도 있음
- 작가 예술가의 정보로는 성별, 연령, 학력, 전업 여부, 재학 여부, 활동 경력 등이 따를 수도 있음
- 신인 작가의 만화 정보로는 만화제목, 만화 특징(장르), 만화 소개 및 현재까지 작업해왔던 만화에 대한 포트폴리오 등이 따를 수도 있음
- 리뷰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수집된 신인 작가 및 해당 신인 작가의 만화정보를 기반으로 성별, 연령, 학력, 전업 여부, 재학 여부, 활동 경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기 위한 신인 작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
-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만화 번역 연동서버가 먼저 해당 신인 작가에게 만화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음
* 마이닝 분석모듈
- 수집된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마이닝 분석을 수행함
- 상기 통계 데이터의 획득에 앞서, 리뷰 데이터 모듈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데이터를 정제하고, 정제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고, 정제된 데이터 및 획득된 통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마이닝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리뷰 데이터에 대해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음
* 만화 추천모듈
- 마이닝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연령별 선호도, 회원별 취향 및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석 데이터를 통해 회원별 맞춤형 만화를 추천함
- 상기 분석 데이터에 근거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방식을 이용하여 회원별 맞춤형 만화가 추천될 수도 있음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만화 번역 연동서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가 수행하는 마이닝 분석은 시계열적으로 단기 관점의 분석, 즉 실시간성 데이터 분석 개념은 물론, 회원별 또는 비회원별(불특정 다수) 각각의 리뷰 데이터에 대한 미시적 관점의 데이터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닝 분석모듈이 마이닝 분석의 사전단계로써 수행되는 데이터 정제란, 리뷰 데이터 수집모듈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수집된 신인 작가 정보, 해당 신인 작가의 만화 정보,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하여 수집된 리뷰 정보, 채널에 게시된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회원 리뷰 정보, 채널을 소유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를 통한 리뷰 정보 등)를 가공하여, 분석에 더 도움이 되는 정보를 이끌어내고,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향성 및 변화 추이 반영, 주기함수의 결합 변환을 통한 연속적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 시계열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패턴을 분석, 시계열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마이닝 분석모듈이 수행하는 데이터 정제는 리뷰 데이터 수집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수집된 신인 작가 정보, 해당 신인 작가의 만화 정보,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하여 수집된 리뷰 정보, 채널에 게시된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회원 리뷰 정보, 채널을 소유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를 통한 리뷰 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알고리즘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 변환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평활화(Smoothing), 해당 데이터를 더 작은 범위에 들어가게 하기 위해 다듬는 정규화(Normalization), 해당 데이터 값을 다른 범위나 상위 레벨의 개념으로 대체하는 이산화(Discretization)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닝 분석모듈에서 행하여 지는 마이닝 분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제된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장르별, 회원/비회원별(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플랫폼 시스템을 통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로 분류된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정제된 데이터 및 획득된 통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통해 단일 분석 알고리즘인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기반으로 장르별, 회원/비회원에 따른 선호도 및 취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을 구성한 다음, 상이한 단일 분석 알고리즘을 병렬로 배치하여, 복수의 단일 분석 알고리즘의 결합/조합 형태인 부스팅(Boosting) 기법을 활용하여, 부스티드 트리(Boosted Tree) 형태로 분석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더욱이, 단일 분석 알고리즘 중 불량 단일 분석 알고리즘이 반복되어 발생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복수의 단일 분석 알고리즘 형태로 분석 모델 업데이트 시 불량 단일 분석 알고리즘을 제외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닝 분석모듈에서 행하여 지는 마이닝을 살펴보면, 리뷰 데이터 수집모듈이 관리하는 데이터는 기록화된 리뷰 데이터(예컨대 만화의 감상리뷰 및 추천리뷰와 관련된 직접적인 리뷰 등)로써, 일반적으로 텍스트(text)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되고, 단순한 텍스트 데이터는 구조화되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자동화된 분석이 어렵다. 따라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동화된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형화(정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이라고 한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을 기반으로 텍스트에서 의미 뿐만 아니라 기록화된 텍스트(text)에 대한 감정 정보를 알아내는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과정이 있고, 오피니언 마이닝은 어떠한 대상에 대해 텍스트로 이루어진 데이터에서 평가나 감정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관련된 주제에 대한 의견 분포를 군집화 하거나 평가 등을 수치화 하여 통계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닝 분석모듈에 오피니언 마이닝을 도입하면 수집된 만화에 대한 각각의 리뷰의 평가 및 감정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리뷰가 해당 만화에 대해 어떠한 평가나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검색된 전체 리뷰 분포가 해당 주제에 대해 평균적으로 어떠한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서 관련된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정제된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장르별, 회원/비회원별(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플랫폼 시스템을 통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로 분류되어 획득된 통계 데이터에 대한 평가(예: 장르에 따른 회원/비회원별 리뷰 평가를 통한 회원/비회원별 장르 선호도 등)에 대해 어떠한 평가를 가지고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통계화된 전체 데이터가 해당 분류별에 대해 어떠한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서 분류되어 통계화된 리뷰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만화 추천모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화 추천모듈은 마이닝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연령별 선호도, 회원별 취향 및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석된 데이터에 근거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방식을 이용하여 회원별 맞춤형 만화를 추천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만화 추천모듈은 마이닝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방식 중 하나인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이용하여 연령별 선호도, 회원별 취향 및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회원별 맞춤형 만화를 추천하는데, 머신러닝은 기본적으로 에이전트가 어떤 행위를 선택하여 얻게 되는 시행착오를 통해 주어진 환경(state)을 학습하고, 정해진 정책에 따라 행동(action)을 결정하고 실행하여 행동에 따라 얻게 되는 보상(reward)을 기초로 행동정책을 수정해가면서 학습하는 기계학습의 일종이다.
구체적으로, 경사 하강법에 대해 살펴보면 경사 하강법은 우선적으로 머신러닝 회귀 분석은 주어진 데이터가 어떤 함수로부터 생성되었는가를 알아보는 '함수 관계'를 추측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서 데이터 세트(x, y)로부터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설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설에 데이터를 입력하여 예측 값 데이터를 얻고, 이러한 가설에 해당하는 식이 어떤 방정식인지, 계수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머신러닝 회귀 분석에서 방정식의 계수가 선형인 경우 선형 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이라 하고, 방정식의 계수가 여러 개이면 다중 선형 회귀 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이라 하며, 테스트 데이터는 y=x 그래프에 약간의 오차를 섞어 만든 데이터로 학습을 통해 데이터에 맞는 가중치 값(w)과 편향 값(b)을 찾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어 y = wx + b 과 같은 정의에 따라 결과값과의 오차를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통해 알맞은 함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가설을 학습할 때 그려진 선과 각 데이터의 분포의 차이를 계산하여 차이가 가장 적은 것이 이 모델에 적합한 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비용함수(Cost Function)라 하며, 비용함수를 이용하여 실제 세운 가설과 나타내는 값이 얼마나 다른 지를 유추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용함수(오차함수)는 두 개의 매개변수(w, b) 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2차원 공간에 표현할 수 있음에 따라, 각 점에서 오차함수의 높이는 직선에 대한 오차이고, 어떤 직선들은 다른 직선들보다 더 작은 오차를 가지게 되며, 가령 텐서 플로우에서 경사 하강법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이 평면의 한 지점에서 시작하여 더 작은 오차를 갖는 직선을 찾아 이동해 나간다.
또한, 오차함수의 기울기를 계산하기 위하여 오차함수를 미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직선을 찾아가는 과정의 반복이 있을 때마다 움직일 방향을 알아가기 위해 w와 b에 대한 편미분 방정식 계산이 필요하다.
다중 회귀 분석은 단일 회귀 분석에서 쓰였던 입력 데이터 x가 2개 이상이 되고, 일례로 두 개의 변수(x1, x2)를 갖는 다중 회귀 분석의 경우 y = w1*x1 + x2*x2 + b 와 같이 정의하고 학습을 통해 데이터에 맞는 평면을 찾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단일,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데이터가 존재하면 그 데이터를 표현하는 함수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경사 하강법은 cost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최적화란 여러 가지 허용되는 값들 중에서 주어진 기준을 가장 잘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고, 해당 함수의 최소값 위치를 찾기 위해 비용함수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정의한 스텝 사이즈(Step Size)를 가지고 조금씩 움직이면서 최적의 파라미터를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간략하게는 기울기로 함수의 최소값을 찾는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방법은 기본적으로 만화 데이터 전송단계, 만화 데이터 베이스화 단계, 번역 연동단계, 번역 참여지원 단계, 회원 채널관리 단계, 유효 조회수 카운터 단계 및 광고 수익 분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작가 단말기가 작가의 만화에 대한 소개 및 작가 소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만화 정보와, 해당 만화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만화 데이터 전송단계와, 상기 작가 단말기로부터 만화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한 후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만화 데이터 베이스화 단계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웹상의 다국어 번역 서버와 연동하여 번역하는 번역 연동단계와, 상기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를 회원 단말기를 통해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번역 참여지원 단계와,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 단말기를 특정하여, 특정된 회원의 채널을 생성하고 수정된 만화 텍스트를 생성된 채널을 통해 관리하는 회원 채널관리 단계와, 상기 복수의 회원들이 각각의 회원 단말기를 통해 특정된 회원의 채널에 입장하여, 입장시간에 대응되는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유효한 조회수를 카운터 하는 유효 조회수 카운터 단계와, 상기 카운터된 유효한 조회수를 기초로 작가 단말기에 대한 광고 수익보다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회원 단말기의 수익을 더 크게 책정하여, 작가 단말기 및 해당 회원 단말기로 광고 수익을 분배하는 광고 수익 분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작가의 만화에 대한 소개 및 작가 소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만화 정보와, 해당 만화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작가 단말기와;
    상기 작가 단말기로부터 만화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한 후 텍스트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만화 저장모듈,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웹상의 다국어 번역 서버와 연동하여 번역하기 위한 번역 연동모듈을 구비하는 만화 번역 연동서버와;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와 접속하여 다국어로 번역된 만화를 감상하기 위한 회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복수의 회원 단말기를 통해 일정기간 내 복수의 회원 단말기가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복수개의 수정된 번역본을 대상으로 수정에 참여한 복수의 회원 단말기가 본인의 수정본을 제외한 그 외 수정본에 대해 투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투표를 통해 선택된 단 하나의 수정된 번역본만을 해당 만화의 최종 번역본으로 선정하기 위한 번역 참여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번역된 만화 텍스트를 수정한 회원 단말기를 특정하여, 특정된 회원의 채널을 생성하고 번역 참여모듈을 통해 선정된 단 하나의 수정된 번역본을 선정된 회원 채널만을 통해 관리하기 위한 회원 채널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번역된 만화의 텍스트 수정 참여횟수를 카운터 하여 해당 회원의 생성된 채널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채널 증가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채널을 통해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리뷰를 수집하기 위한 리뷰 데이터 수집모듈과,
    상기 리뷰 데이터 모듈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데이터를 정제하고, 정제된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장르별, 회원별 및 비회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분류된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정제된 데이터 및 획득된 통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통해 단일 분석 알고리즘인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기반으로 장르별 회원/비회원에 따른 선호도 및 취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마이닝 분석을 하기 위한 모델을 구성한 다음, 해당 모델에 근거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및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마이닝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닝 분석모듈과,
    상기 마이닝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연령별 선호도, 회원별 취향 및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석 데이터를 통해 회원별 맞춤형 만화를 추천하기 위한 만화 추천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복수의 회원들이 각각의 회원 단말기를 통해 특정된 회원의 채널에 입장하여, 입장시간에 대응되는 수정된 만화 텍스트에 대한 유효한 조회수를 카운터 하기 위한 카운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카운터 모듈에 의해 카운터된 유효한 조회수를 기초로 작가 단말기에 대한 광고 수익보다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회원 단말기의 수익을 더 크게 책정하여, 작가 단말기 및 해당 회원 단말기로 광고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광고 수익분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채널을 소유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SNS 서버 연동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작가 단말기가 전송한 만화에 대한 판권을 등록하여 관리하기 위한 판권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화 번역 연동서버는 수정된 최종 만화 텍스트에 워터마크를 부여하기 위한 워터마크 생성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10. 삭제
KR1020200080262A 2020-06-30 2020-06-30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KR10221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62A KR102213350B1 (ko) 2020-06-30 2020-06-30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62A KR102213350B1 (ko) 2020-06-30 2020-06-30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350B1 true KR102213350B1 (ko) 2021-02-05

Family

ID=7455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262A KR102213350B1 (ko) 2020-06-30 2020-06-30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3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129B1 (ko) * 2022-03-15 2023-04-28 박연조 수익 창출을 위한 참여형 웹툰 컨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3085695A1 (ko) * 2021-11-10 2023-05-19 주식회사 벨루가 이미지 편집 장치
KR102534271B1 (ko) * 2022-06-14 2023-06-01 김현수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문구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545836B1 (ko) * 2023-01-27 2023-06-20 박민범 인공지능 기반 웹툰 제작 방법 및 장치,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207B1 (ko) 2005-04-21 2007-06-27 주식회사 넥슨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64370A (ko) * 2014-11-27 2016-06-08 네이버 주식회사 만화 참여번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만화 참여번역 방법
KR101755653B1 (ko) * 2016-07-28 2017-07-11 주식회사 탑코 사용자 맞춤형 웹툰 자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9272A (ko) * 2017-01-31 2018-08-08 리마 주식회사 복제된 웹툰 추적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121127A (ko) * 2018-04-17 2019-10-25 권택준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디지털만화 컨텐츠의 다국적 자동 퍼블리싱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594A (ko) 2018-07-19 2020-01-30 (주)코믹스브이 파노라마 형식의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현실 만화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207B1 (ko) 2005-04-21 2007-06-27 주식회사 넥슨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64370A (ko) * 2014-11-27 2016-06-08 네이버 주식회사 만화 참여번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만화 참여번역 방법
KR101755653B1 (ko) * 2016-07-28 2017-07-11 주식회사 탑코 사용자 맞춤형 웹툰 자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9272A (ko) * 2017-01-31 2018-08-08 리마 주식회사 복제된 웹툰 추적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121127A (ko) * 2018-04-17 2019-10-25 권택준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디지털만화 컨텐츠의 다국적 자동 퍼블리싱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594A (ko) 2018-07-19 2020-01-30 (주)코믹스브이 파노라마 형식의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현실 만화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95A1 (ko) * 2021-11-10 2023-05-19 주식회사 벨루가 이미지 편집 장치
KR102527129B1 (ko) * 2022-03-15 2023-04-28 박연조 수익 창출을 위한 참여형 웹툰 컨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34271B1 (ko) * 2022-06-14 2023-06-01 김현수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문구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545836B1 (ko) * 2023-01-27 2023-06-20 박민범 인공지능 기반 웹툰 제작 방법 및 장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350B1 (ko) 다국어 번역을 통한 코믹스 프로모션 플랫폼 시스템
Wang et al. Analyzing and predicting user participations in online health communities: a social support perspective
Feizollah et al. Exploring halal tourism tweets on social media
Luo et al. Predicting the helpfulness of online restaurant reviews using different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 case study of yelp
Budroni et al. Architectures of knowledge: the European open science cloud
Foreman Data smart: Using data science to transform information into insight
Ray et al. Exploring values affecting e-Learning adoption from the user-generated-content: A consumption-value-theory perspective
Wu et al. Human preference score v2: A solid benchmark for evaluating human preferences of text-to-image synthesis
Regazzi Scholarly communications: A history from content as king to content as kingmaker
CN111654427A (zh) 社交媒体系统
Greenhill TransNewGuinea. org: An online database of New Guinea languages
Clark et al. Taxonomy as an eScience
Zhu Proximal language predicts crowdfunding success: behavioral and experimental evidence
Chen et al. Who sells knowledge online? An exploratory study of knowledge celebrities in China
Joung et al. Medical and health sciences academics’ behaviours and attitudes towards open access publishing in scholarly journals: a perspective from South Korea
Miragaia et al. Measuring service quality of ski resorts: An approach to identify the consumer profile
Haukka et al. The iratebirds citizen science project: A dataset on birds’ visual aesthetic attractiveness to humans
KR101846122B1 (ko)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Ryan et al. Parenting online: analyzing information provided by parenting-focused Twitter accounts
Mousavi et al. Examining the Impacts of Airbnb Review Policy Change on Listing Reviews
Alzahrani et al. Contextual polarity and influence mining in online social networks
Gill et al. Insight workflow: Systematically combining human and computational methods to explore textual data
Noh et al. Understanding of Customer Decision-Making Behaviors Depending on Online Reviews
Verberne et al. Automatic summarization of domain-specific forum threads: collecting reference data
Nourmohammadi-Khiarak et al. Combined multi-agent method to control inter-department common events collision for university courses timetab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