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320B1 -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 Google Patents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320B1
KR102213320B1 KR1020200027286A KR20200027286A KR102213320B1 KR 102213320 B1 KR102213320 B1 KR 102213320B1 KR 1020200027286 A KR1020200027286 A KR 1020200027286A KR 20200027286 A KR20200027286 A KR 20200027286A KR 102213320 B1 KR102213320 B1 KR 102213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ting
autonomous driving
product
robo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윤
박헌우
이승엽
이유비
백운혁
Original Assignee
김성윤
박헌우
이승엽
이유비
백운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윤, 박헌우, 이승엽, 이유비, 백운혁 filed Critical 김성윤
Priority to KR102020002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식대를 구비한 자율주행 로봇이 대형마트 내부를 돌아다니면서 고객에게 보다 능동적으로 고객에게 시식을 제공함으로써 판매 촉진 효과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에 관한 것입니다. 본 발명의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은 최초에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의 구매비용과 유지비 외에 기존의 인건비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 시식행사에 요구되는 전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Description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Autonomous Driving Robot for Tasting Service}
본 발명은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에 관한 것이다.
시식행사란 대형마트나 음식점 등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무료로 고객에게 제공하여 고객에게 해당 제품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시식행사를 통해 제품을 홍보하는 방식은 매출을 최대 7배 증가시키는 통계가 있으며, 이에 대부분의 대형마트에서는 시식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시식행사는 특정위치에서 판촉직원이 지나가는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현행 시식행사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지나가는 고객에게 수동적으로 제공될 수 밖에 없으며, 판촉직원과 고객이 얼굴을 맞대고 시식이 이루어져 고객이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또한, 판촉직원의 임금에 의한 비용 증가와, 판매 업체와 대형 마트 사이의 판촉직원의 임금분담도 문제가 된다.
현재 판촉직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시식행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시식을 일 위치에서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능동적으로 고객에게 시식을 제공할 수 있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행방향이나 주변의 장애물 또는 고객을 인식하여 자율주행하여 고객에게 시식할 제품을 제공하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으로서: 로봇의 하부에 위치하며, 로봇이 이동하는 경로와 주위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인식하는 감지센서 또는 카메라와, 상기 감지센서 또는 카메라에 의해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고 시식할 고객에게 로봇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자율주행부; 및 상기 자율주행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시식할 제품이 놓여지는 시식대;를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시식대를 덮도록 설치되는 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드는 로봇이 고객에게 이동된 경우 개방되어 시식할 제품이 고객에게 제공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시식대 또는 상기 후드의 내측에는 상기 시식대에 놓여진 제품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을 구비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외측에는 고객에게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의 피드백을 입력받기 위한 후드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시식대에는 무게감지센서 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상기 시식대에 남아있는 시식할 제품의 양을 감지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부는 중앙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유닛을 구비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부와 상기 시식대의 사이에는 시식할 제품과 동일한 판매할 제품이 수용되는 제품보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품보관부는 무게감지센서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제품보관부에 남아있는 판매할 제품의 양을 감지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품보관부에는 냉동유닛 또는 냉장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제품보관함에 보관된 판매할 제품을 냉동 또는 냉장시킨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시식대의 주위로는 스커트가 설치되며, 상기 스커트에는 스커트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고객에게 광고를 제공한다.
일 예에 있어서, 고객이 시식한 제품을 구매할 경우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결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은 시식대를 구비한 자율주행 로봇이 대형마트 내부를 돌아다니면서 고객에게 보다 능동적으로 고객에게 시식을 제공함으로써 판매 촉진 효과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최초에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의 구매비용과 유지비 외에 기존의 인건비를 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어 시식행사에 요구되는 전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시식행사와 달리 고객이 판촉직원과 직접 얼굴을 맞대지 않아 고객들이 보다 자유롭게 시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들로부터 진실성 있는 피드백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은 제품보관함을 시식대와 별도로 구비하여, 고객이 시식한 제품을 구입하고자 할 때 바로 고객에게 제품을 제공하여 매출 증가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의 개략적 정면도로서, 후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의 개략적 정면도로서, 후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의 개략적 정면도로서, 각각 후드가 열리고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100)의 각 구성과 동작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100)은 자율주행부(10)와 시식대(20)를 구비한다.
자율주행부(10)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로봇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자율주행부(10)는 라이다와 같은 감지센서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로봇이 이동하는 경로와 주위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로봇이 장애물이나 고객과 충돌함없이 이동하도록 한다.
예컨대, 자율주행부(10)는 자율주행에 있어 적외선 감지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통해 라인을 인식하거나 교차로에 설치된 NFC 또는 QR코드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라이다 센서 등을 사용하여 도중에 사람 혹은 장애물을 인식하면 멈추거나 우회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 자율주행부(10)는 자율주행에 있어 영상처리 방식으로 장애물을 회피하여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자율주행부(10)는 자율주행에 있어 실내 또는 실외 GPS등으로 스스로의 위치를 인식하여 이동하며 위에 언급한 센서들을 사용하여 사람 혹은 장애물을 인식하면 멈추거나 우회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자율주행부(10)는 자율주행에 있어 딥러닝과 감지센서 또는 카메라를 통해 맵핑을 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하며 사람 혹은 장애물을 인식하면 멈추거나 우회하도록 한다.
자율주행부(10)는 중앙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통신유닛으로는 비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100)이 이동하는 공간, 예컨대 대형마트의 다양한 위치에 비콘이 설치될 수 있다.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100)과 이동하는 공간에 설치된 비콘에 의해 이동할 공간의 이동경로를 매핑할 수 있다.
시식대(20)는 고객에게 제공할 시식할 제품이 놓여진다. 시식대(20)에는 무게감지감지센서 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시식대(20)에 남아있는 양을 감지한다. 시식대(20)에 남아있는 시식할 제품이 소진될 경우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100)은 시식할 제품을 제공해주는 장소로 돌아간다. 물론,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100)이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시식할 제품을 제공해주는 곳으로 돌아가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식대(20)에는 시식대에 놓여진 제품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을 구비한다. 온도조절유닛은 발열장치이거나 냉각장치일 수 있다.
시식대(20)의 상부에는 시식대(20)를 덮도록 후드(32)가 설치된다. 후드(32)는 후드 높이조절 유닛(31)에 의해 도 2와 같이 시식대(20)가 개방되거나, 도 3과 같이 시식대(20)를 후드(32)가 덮도록 할 수 있다.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100)이 이동하는 동안에는 후드(32)가 시식대를 덮은 상태로 이동하다가, 시식할 고객에게 도착할 경우 후드 높이조절 유닛(31)이 후드(32)를 상승시켜서 시식대(20)를 개방시켜 시식할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후드(32)의 내측에는 시식대에 놓여진 제품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을 구비한다. 온도조절유닛은 발열장치이거나 냉각장치일 수 있다.
후드(32)의 외측에는 고객에게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의 피드백을 입력받기 위한 후드용 디스플레이(33)가 설치된다. 후드용 디스플레이(33)는 고객의 피드백을 입력받기 위해 터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거나, 음성인식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후드용 디스플레이는 고객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UI(눈)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자율주행부(10)와 시식대(20)의 사이에는 시식할 제품과 동일한 판매할 제품이 수용되는 제품보관부(41)가 설치되며, 제품보관부(41)는 무게센서(42)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제품보관부(41)에 남아있는 판매할 제품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품보관부(10)에는 냉동유닛 또는 냉장유닛을 구비하여, 제품보관함(10)에 보관된 판매할 제품을 냉동 또는 냉장시킬 수 있다. 시식할 제품을 시식한 고객이 해당 제품을 구매할 것을 결정할 경우 고객은 제품보관부(41)에 보관된 제품을 꺼내 구입할 수 있다.
시식대(20)의 주위로는 스커트(25)가 설치되며, 스커트(25)에는 스커트용 디스플레이(26)가 설치되어 고객에게 광고 또는 매장안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결제수단을 더 구비하여 고객이 제품을 구입할 경우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제품의 대금을 지불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수단은 스커트(25)에 형성되고, 고객이 제품보관부(41)에서 물건을 꺼내 구입할 경우 결제수단을 통해 대금 결제가 가능하다. 결제수단은 신용카드리더기, NFC 리더기, QR 코드 또는 바코드 등을 이용한 페이 리더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10: 자율주행부
20: 시식대
25: 스커트
26: 스커트용 디스플레이
31: 후드 높이조절 유닛
32: 후드
33: 후드용 디스플레이
41: 제품보관함
42: 제품무게감지센서

Claims (10)

  1. 진행방향이나 주변의 장애물 또는 고객을 인식하여 자율주행하여 고객에게 시식할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으로서:
    로봇의 하부에 위치하며, 로봇이 이동하는 경로와 주위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인식하는 감지센서 또는 카메라와, 상기 감지센서 또는 카메라에 의해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고 시식할 고객에게 로봇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자율주행부; 및
    상기 자율주행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시식할 제품이 놓여지는 시식대;를 포함하고,
    상기 시식대를 덮도록 설치되는 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드는 로봇이 고객에게 이동된 경우 개방되어 시식할 제품이 고객에게 제공되는 시식서비스용 자율 주행 로봇.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식대 또는 상기 후드의 내측에는 상기 시식대에 놓여진 제품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을 구비하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외측에는 고객에게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의 피드백을 입력받기 위한 후드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식대에는 무게센서 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상기 시식대에 남아있는 시식할 제품의 양을 감지하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부는 중앙 제어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유닛을 구비한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부와 상기 시식대의 사이에는 시식할 제품과 동일한 판매할 제품이 수용되는 제품보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품보관부는 무게센서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제품보관부에 남아있는 판매할 제품의 양을 감지하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보관부에는 온도조절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제품보관부에 보관된 판매할 제품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식대의 주위로는 스커트가 설치되며, 상기 스커트에는 스커트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고객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10. 제1항에 있어서,
    고객이 시식한 제품을 구매할 경우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결제수단을 더 구비하는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KR1020200027286A 2020-03-04 2020-03-04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KR10221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86A KR102213320B1 (ko) 2020-03-04 2020-03-04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86A KR102213320B1 (ko) 2020-03-04 2020-03-04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320B1 true KR102213320B1 (ko) 2021-02-05

Family

ID=7455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86A KR102213320B1 (ko) 2020-03-04 2020-03-04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3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562B1 (ko) * 2021-08-10 2022-04-29 주식회사세오 음식 쏟아짐 방지를 위한 서빙 로봇
KR20220002263U (ko) 2021-03-15 2022-09-22 케이로보컴퍼니 주식회사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생체인증 연동제어형 실내 자율주행로봇
KR20220002552U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에스디넷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rfid 인증 연동제어형 실내 자율주행로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744Y1 (ko) * 2004-02-20 2004-06-01 강영진 이동식 쟁반 냉장고
KR20110004015A (ko) * 2009-07-07 2011-01-13 송세경 식당의 고객 서비스 및 계산 가능한 지능형 주행로봇
CN203102008U (zh) * 2013-03-12 2013-07-31 王佳 一种餐厅服务机器人
KR20190103105A (ko) * 2019-07-12 2019-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를 이용한 물품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744Y1 (ko) * 2004-02-20 2004-06-01 강영진 이동식 쟁반 냉장고
KR20110004015A (ko) * 2009-07-07 2011-01-13 송세경 식당의 고객 서비스 및 계산 가능한 지능형 주행로봇
CN203102008U (zh) * 2013-03-12 2013-07-31 王佳 一种餐厅服务机器人
KR20190103105A (ko) * 2019-07-12 2019-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를 이용한 물품 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웹문서(2019.11.1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63U (ko) 2021-03-15 2022-09-22 케이로보컴퍼니 주식회사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생체인증 연동제어형 실내 자율주행로봇
KR20220002552U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에스디넷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rfid 인증 연동제어형 실내 자율주행로봇
KR102391562B1 (ko) * 2021-08-10 2022-04-29 주식회사세오 음식 쏟아짐 방지를 위한 서빙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320B1 (ko) 시식서비스용 자율주행 로봇
CN109146380B (zh) 一种基于相对位置的库存分析系统
US10311400B2 (en) Intelligent service robo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Hwangbo et al. Use of the smart store for persuasive marketing and immersive customer experiences: A case study of Korean apparel enterprise
CN107331051B (zh) 无人值守的移动式零售店系统及零售方法
US10769666B2 (en) Intelligent marketing and advertising platform
KR20200023647A (ko) 목표물 포지셔닝 시스템 및 포지셔닝 방법
CA3078985A1 (en) Automatically monitoring retail products based on captured images
CN106228688A (zh) 一种智能大型多规格商品售货系统及其方法
CN111295696A (zh) 自动售卖店
US20060277116A1 (en) Method, apparatus and processes for real-time interactive online ordering and re-ordering and over the counter purchasing with rebate, saving, and investing processes
EP3549045A1 (en) Intelligent service robo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730783A (zh) 基于自助收银机的无人便利店运营系统
WO2019056881A1 (zh) 人工智能自动卖货机
US201900736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capture device selection from within data capture device repository
US10769716B2 (en) Customer assisted robot picking
CN209980352U (zh) 一种可移动组群式售卖机
TR201803789A2 (tr) Robotlar i̇le markette alişveri̇ş yapmak
Lee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logistics industry using internet of things
US20060277117A1 (en) Method, apparatus and processes for real-time interactive online ordering and re-ordering and over the counter purchasing with rebate, saving, and investing processes
Malik Retail and internet of things: a digital transformation
JP7165860B2 (ja) 店舗管理方法及び店舗管理システム
CN115099762A (zh) 一种无人自主经营餐厅食材自动采购运输系统及设备
CN207425032U (zh) 一种履带传输式自助收银机
Sekhar et al. Smart retailing in digital bus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