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296B1 -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296B1
KR102213296B1 KR1020200054333A KR20200054333A KR102213296B1 KR 102213296 B1 KR102213296 B1 KR 102213296B1 KR 1020200054333 A KR1020200054333 A KR 1020200054333A KR 20200054333 A KR20200054333 A KR 20200054333A KR 102213296 B1 KR102213296 B1 KR 10221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seeker
platform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훈
황건희
Original Assignee
황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훈 filed Critical 황정훈
Priority to KR102020005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인업체와 구직자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일자리 매칭 행동에 대한 암호화폐 보상 및 활용 방법, 구직자의 신원 및 경력 확인에 필요한 개인정보 활용 및 보호 방법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블록체인 기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 및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SYSTEM FOR MATCHING A JOB BASED BLOCK CHAIN, AND THE METHOD FOR MANAGED BY THE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인업체와 구직자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일자리 매칭 행동에 대한 암호화폐 보상 및 활용 방법, 구직자의 신원 및 경력 확인에 필요한 개인정보 활용 및 보호 방법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블록체인 기반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이란,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른다.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블록체인은 나카모토 사토시가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를 통해 중앙집권화된 금융시스템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고안했다. 이후 2009년 사토시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을 개발했다.
이러한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정보는 중앙관리서버가 아닌 분산 데이터베이스(참여자 단말)에 저장되며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공개되지만, 기록된 정보를 특정할 수 없어, 위변조하거나 해킹할 수 없다. 이처럼 정보를 저장하거나 당사자 간 송수신 할 경우에 개인정보에 대한 해킹 위험도를 낮추면서 신뢰로운 정보를 공유시킨다는 장점으로 인해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도 매우 광범위하다. 대표적으로 가상통화에 사용되는데, 이때는 블록에 금전 거래 내역을 저장해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내역을 보내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밖에도 전자 결제나 디지털 인증뿐만 아니라 화물 추적 시스템, P2P 대출, 원산지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추적하거나 예술품의 진품 감정, 위조화폐 방지, 전자투표, 전자시민권 발급, 차량 공유, 부동산 등기부, 병원 간 공유되는 의료기록 관리 등 신뢰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은 크게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나뉜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모두에게 개방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형태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통화가 대표적이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기관 또는 기업이 운영하며 사전에 허가를 받은 사람만 사용할 수 있다. 참여자 수가 제한돼 있어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소정의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시청 등의 행위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코인을 지급받을 수 있는 기술을 등록특허공보 제10-2086946호로 출원하여 권리로 확보한 바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당사자의 거래에 적합한 특성 때문에, 특히 구인 및 구직을 연결하는 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고, 이를 통해 구직자의 경우 구직활동을 통해 소정의 수입을 발생시켜 생계에 보탬이 되도록 하고, 이를 지역 경제에 연계하여 발생된 수입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연계한다면, 구직자가 지역 내에 구직활동을 실질적으로 촉진하도록 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광고에 따른 수익을 분배하는 기술에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2994호에는 동영상 콘텐츠의 광고수익에 대한 공동투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동투자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콘텐츠제작자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공동투자 관리서버에 등록하고, 서버운영자는 동영상콘텐츠를 동영상 공유플랫폼에 업로드하며, 동영상 공유플랫폼은 동영상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하여 온라인상에 게시하고, 다수의 콘텐츠 이용자는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광고를 시청하며 상기 동영상 공유플랫폼은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가 광고를 시청하는 시간과 조회 수에 대응하는 광고비를 상기 공동투자 관리서버에 지급하는 시스템에서, 다수의 공동투자자는 동영상 콘텐츠로부터 기대되는 장래의 광고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는 권리에 대해 투자금을 투자하고, 공동투자 관리서버는 투자금을 콘텐츠제작자와 서버운영자에게 지분에 따라 분배하며,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 실제로 광고수익이 발생하면 공동투자 관리서버는 광고수익을 콘텐츠제작자, 서버운영자 및 공동투자자에게 지분에 따라 광고수익을 분배함으로써 콘텐츠제작자는 콘텐츠 제작비용을 조기에 회수하고, 서버운영자는 서버 운영비용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공공투자자는 기대한 광고수익과 실제로 실현한 광고수익 사이의 차액을 분배받아 투자수익을 얻을 뿐만 아니라 동영상 콘텐츠를 확산시키는 공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스스로 광고수익을 올리고 콘텐츠 제작자 또는 시연자의 명성을 높여서 참여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의 광고수익에 대한 공유투자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공유투자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을 비롯한 대다수의 기술들은 광고 청취에 따른 수익을 광고의 게시자 또는 소스제공자가 가져가는 것들이 대부분인데(예를 들면, 유튜브 등),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은, 광고를 제공한 자는 홍보의 목적을 달성하면 충분하고, 해당 광고를 청취한 자(유저)가 수익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되, 해당 유저의 청취 활동에 기반하여 수익을 다르게 하거나, 광고의 게재를 광고 청취에 기반하여 가져갈 수 있는 수익이 종료되면, 게재 역시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어서, 그 목적상 종래 기술들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상술된 등록특허공보 제10-2086946호의 경우, 위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특히 금번 본 출원발명을 통해 제공하는 기술 역시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동시에 구인 및 구직에 관련된 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 지역 내 경제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86946호(2020.03.09.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2994호(2018.06.11.)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인을 원하는 업체에서 구인광고를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에 등록함으로써,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구직자가 시청함에 따라 소정의 코인을 지급하고, 또한 해당 구인광고에 구직신청서를 제출하는 경우 별도의 코인을 더 지급함으로써, 구직자로 하여금 구인광고에 대한 시청을 유도하여 구인광고의 광고 효율을 증가시키고, 구직자의 입장에서도 구직활동 중 획득된 코인을 확보할 수 있되, 확보된 코인을 지역경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자의 입장에서는 구직활동 중 소정의 수입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경제는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자리 매칭 후, 사후적으로 구직자와 구인업체의 상호 평가를 통해, 회적으로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구직자는 자신을 고용한 구인업체에 대하여 계약된 범위의 일을 부여하는지, 부당한 업무를 요구하지 않는지, 계약된 적정한 임금을 적시에 지급하는지, 업무 환경에 대한 위험도는 없는지 등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런 방식으로 다수의 근로자들의 평가 결과가 누적되면, 해당 구인업체는 블록체인 기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에 동종 업계 또는 전체 업계에 가운데 좋은 일자리를 제공한 업체 순위나 레벨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인업체의 경우 고용했던 구직자(근로자)에 대하여 업무 수행 능력, 친절도, 성실성, 정직성, 직장 예절 등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런 방식으로 다수의 구직업체들의 평가 결과가 누적되면, 구직자(근로자)는 블록체인 기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에 구직자 또는 구직희망자로서 지급받은 평균 임금 및 경험치(평가에 따른)가 순위나 레벨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호평가 방식은 첫째, 구인업체와 구직자 간에 상호 신뢰로운 일자리와 합당한 근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사회적 인식을 형성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둘째, 구인업체에 제공되는 구직자의 개인 정보가 해당업무에 대한 경험치 또는 평균 임금을 계량화한 자료(순위 또는 레벨)에 한정하게 하므로써, 업무에 필요한 개인 정보 이외의 과도한 개인 정보 제공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은,
구인업체단말과;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과; 구직자단말과; 지역경제DB;를 포함하여 구성된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구인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구인광고를 게시하고,
상기 구직자단말은 상기 플랫폼에 연동되어 게시된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상기 구인광고에 대한 구직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플랫폼은 구인광고의 시청 또는 구직신청서 제출에 대응한 코인을 구직자단말로 지급하고,
상기 구직자단말은 지급된 코인을 지역경제DB에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인업체단말은,
플랫폼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입력에 따라 구인광고를 구인정보로 생성하는 구인정보생성부와;
플랫폼으로부터 구인광고에 제출된 구직신청서정보를 수신하는 구직신청서정보수신부와;
상기 구직신청서정보수신부를 기반으로 채용자를 선별하여 채용자정보를 생성하는 채용자정보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직자단말은,
플랫폼 및 지역경제DB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플랫폼과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I/F와;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구직신청서 제출을 수행함으로써 플랫폼으로부터 지급된 코인을 확인하거나 상기 코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인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I/F는,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시청I/F와,
구직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출I/F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랫폼은,
구인업체단말 및 구직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구인업체단말 또는 구직자단말을 통해 플랫폼에 연결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ID/PW에 기반하여 분류하고, 해당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DB와;
구인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구인광고를 플랫폼에 연결한 구직자단말로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I/F와;
상기 출력I/F를 통해 출력된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구직신청서를 제출한 구직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코인지급부와;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구직신청서를 기반으로 해당 구직신청서가 해당하는 구인광고를 매칭하고 매칭정보와 구직신청서를 취합하여 구직신청서정보로 생성하는 구직신청서정보생성부와;
상기 구직신청서정보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구직신청서정보를 구인업체단말로 전송하는 구직신청서정보전송부와;
구인업체단말의 채용자정보생성부로부터 채용자정보를 수신하는 채용자정보수신부와;
상기 채용자정보수신부에서 수신된 채용자정보에 포함된 구직자에게 사용자DB와 연동하여 채용자정보를 통보하거나, 플랫폼에 접속한 구직자단말을 사용하는 구직자가 채용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채용자정보통보부와;
구인광고별 시청현황 및 구직신청서제출현황을 통계처리하여 관리하는 통계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에 의하면, 구인을 원하는 업체에서 구인광고를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에 등록함으로써,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구직자가 시청함에 따라 소정의 코인을 지급하고, 또한 해당 구인광고에 구직신청서를 제출하는 경우 별도의 코인을 더 지급함으로써, 구직자로 하여금 구인광고에 대한 시청을 유도하여 구인광고의 광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구직자의 입장에서 구직활동 중 획득된 코인을 확보할 수 있되, 확보된 코인을 지역경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자의 입장에서는 구직활동 중 소정의 수입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경제는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역 경제에 연계하여 발생된 수입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연계한다면, 구직자가 지역 내에 구직하도록 하여,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일자리 매칭 후, 사후적으로 구직자와 구인업체의 상호 평가를 통해, 구인업체와 구직자 간에 상호 신뢰로운 일자리와 합당한 근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사회적 인식을 형성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구인업체에 제공되는 구직자의 개인 정보를 해당업무에 대한 경험치 또는 평균 임금을 계량화한 자료(순위 또는 레벨)에 한정시킴으로써, 업무에 필요한 개인 정보 이외의 과도한 개인 정보 제공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의 각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구인을 원하는 업체에서 구인광고를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에 등록함으로써,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구직자가 시청함에 따라 소정의 코인을 지급하고, 또한 해당 구인광고에 구직신청서를 제출하는 경우 별도의 코인을 더 지급함으로써, 구직자로 하여금 구인광고에 대한 시청을 유도하여 구인광고의 광고 효율을 증가시키고, 구직자의 입장에서도 구직활동 중 획득된 코인을 확보할 수 있되, 확보된 코인을 지역경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자의 입장에서는 구직활동 중 소정의 수입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경제는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인업체단말과;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과; 구직자단말과; 지역경제D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역경제DB는 물리적인 서버로 구축될 수도 있지만, 지역경제의 소상공인 등이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지역경제DB는 네트워크의 개념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플랫폼은 상술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코인을 활용하는 종래 기술을 채용하되, 구인업체에서 제공하는 구인광고를 게시하고, 게시된 구인광고를 구직자단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플랫폼은 구인광고를 시청하는 구직자에게 소정의 코인을 지급하며, 아울러 해당 구인광고에 구직신청서를 제출한 구직자에게도 소정의 코인을 지급한다.
이때, 시청과 구직신청서제출에 따른 코인의 지급량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구직신청서 제출의 경우, 플랫폼이 구직자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구직신청서를 구직신청서정보로 생성할 때, 텍스트 분석을 통해 텍스트의 양, 구입업체에서 원하는 키워드, 조건 등을 분석하여 지급되는 코인의 지급량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만약, 텍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텍스트가 정해진 개수 미만이면 코인을 지급하지 않을 수도 있고, 특정 개수를 넘어갈 때 마다 코인의 지급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악의적으로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하여 빈 내용의 구직신청서를 제출하고 코인을 지급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인업체에서 원하는 인재가 구직신청서를 제출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키워드가 적합한 경우에는 코인의 지급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홍보물의 시청에 따른 코인지급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권리로 확보한, 등록특허공보 제10-2086946호의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서 유저에게 코인을 공급하는 방법 및 공급된 코인을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위 기술에서 기재된 행동(행위) 또는 입시지원서를 제출하는 것에 따른 코인 지급 역시, 본 발명에서 구직신청서 제출에 기인하여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플랫폼은 특정 구인광고에 대하여 구직자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구직신청서를 구인업체로 제공하고, 구인업체는 해당 구직신청서를 대상으로 채용자를 선별하여 플랫폼으로 채용자정보를 제공하면, 플랫폼은 구직자단말로 채용을 통보하거나, 혹은 구직자가 플랫폼에 접속하여 채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구직자단말을 사용하는 구직자는 홍보물을 시청하거나 홍보물에 참여행위를 수행함으로써 지급받은 코인을 지역경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지역경제와의 소정의 협의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지역경제DB가 별도의 물리적인 서버로 구축된 뒤, 해당 서버가 매장의 단말기마다 연결되어 매장의 단말기를 통해 코인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인의 사용법은 특정되지 않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기능하는, 구인업체; 구직자단말; 및 플랫폼;을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의 각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른 구인업체단말은 별도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APP)이 설치되어 기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플랫폼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입력에 따라 구인광고를 구인정보로 생성하는 구인정보생성부와; 플랫폼으로부터 구인광고에 제출된 구직신청서정보를 수신하는 구직신청서정보수신부와; 상기 구직신청서정보수신부를 기반으로 채용자를 선별하여 채용자정보를 생성하는 채용자정보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채용자 선별은 정해진 기준을 충족하면 자동으로 App에서 채용하거나 채용을 추천하도록 할 수도 있고, 구인업체의 관련자가 직접 채용확인을 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구직자단말은 별도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APP)이 설치되어 기능하며, 플랫폼 및 지역경제DB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플랫폼과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I/F와;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구직신청서 제출을 수행함으로써 플랫폼으로부터 지급된 코인을 확인하거나 상기 코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인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동I/F는 상기 구직자단말이 플랫폼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하며,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시청I/F와, 구직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출I/F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구직신청서 제출은 종래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정해진 구직신청서 양식을 통해 제출하도록 하거나, 혹은 별도의 양식으로 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은 구인업체단말 및 구직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구인업체단말 또는 구직자단말을 통해 플랫폼에 연결하는 사용자(구인업체 및 구직자 모두 포함)의 정보를 ID/PW에 기반하여 분류하고, 해당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DB와; 구인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구인광고를 플랫폼에 연결한 구직자단말로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I/F와; 상기 출력I/F를 통해 출력된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구직신청서를 제출한 구직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코인지급부와;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구직신청서를 기반으로 해당 구직신청서가 해당하는 구인광고를 매칭하고 매칭정보와 구직신청서를 취합하여 구직신청서정보로 생성하는 구직신청서정보생성부와; 상기 구직신청서정보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구직신청서정보를 구인업체단말로 전송하는 구직신청서정보전송부와; 구인업체단말의 채용자정보생성부로부터 채용자정보를 수신하는 채용자정보수신부와; 상기 채용자정보수신부에서 수신된 채용자정보에 포함된 구직자에게 사용자DB와 연동하여 채용자정보를 통보하거나, 플랫폼에 접속한 구직자단말을 사용하는 구직자가 채용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채용자정보통보부와; 구인광고별 시청현황 및 구직신청서제출현황을 통계처리하여 관리하는 통계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통계관리부를 통해 처리된 통계정보는 구인업체의 요청으로 제공되어 확인되도록 할 수도 있고, 혹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총 관리하는 관리자가 통계정보로서 확인하도록 가공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계 처리에 대한 기술은 종래 다양한 기술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랫폼의 코인지급부는, 플랫폼을 통해 구인과 구직이 연결된 구인업체 및 구직자에게 별도의 코인을 더 지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구인업체단말 역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급된 코인을 사용할 수 있는 코인관리부가 더 포함되고, 해당 코인은 지역경제 내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플랫폼을 통해 연결된 구인업체와 구직자가 일정 주기마다 지속적으로 계약을 유지하고 있는지에 기반하여 소정의 코인을 더 지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구인업체 또는 구직자는 지속적인 계약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근로계약서, 4대보험가입자증명원, 재직확인서 등)를 오프라인 또는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으로 제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은 확인서류수신부; 수신서류분석부; 계약관계확인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코인 지급은 플랫폼의 코인지급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은 일자리 매칭에 따라 구인업체에 채용된 구직자에게 구직자단말을 통해 구인업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인업체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종의 사후 평가와 같은 것으로, 플랫폼은 구직자단말로 소정의 질의가 기재된 설문지나, 구직자가 직접 의견을 서술할 수 있는 형태의 설문지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소정의 질의란 상술된 구인업체의 평가를 위한 모든 질문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해당 구인업체가 구직자에게 일명 갑질하는 하는지, 계약된 업무 외의 다른 업무를 분배하거나 소위 부당한 대우를 하는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플랫폼은 구직자단말로부터 구인업체평가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계관리부를 통해, 통계처리 함으로써, 추후 해당 구인업체가 동종업계 또는 전체 업종 내에서 우수한 일자리 등으로 순위나 레벨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구인업체가 구인광고를 게시하는 경우, 그에 따른 혜택 또는 패널티를 받도록 할 수 있다.
해당 구직자는 구인업체에 대한 평가를 성실히 수행함으로써, 그에 따른 코인을 별도로 지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구인업체의 평가의 경우 다양한 변수가 생길 수 있다. 예컨대, 구직자의 악의적인 저하평가라던지, 혹은 구직자의 업무능력이 떨어짐에 의해 구인업체 내부적으로 구직자에게 업무 변화 등의 요인이 있는 경우, 구직자에게만 구인업체를 평가하도록 하는 것은 구인업체의 입장에서는 불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플랫폼은 구직자평가부를 더 포함하여 구인업체단말로 구직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설문지를 전송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코인 지급은 구직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구직자의 평가와 구인업체의 평가를 점수로 산출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제공하며, 플랫폼의 통계관리부는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 x 가중치) + (구인업체가 수행한 구직자의 평가점수 x 가중치))로 산출을 수행하여 산출된 점수를 구인업체의 최종 평가점수로 한다.
이때,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의 가중치는 구인업체가 수행한 구직자의 평가점수의 가중치보다 크도록 설정한다. 이는, 구인업체보다 부당한 대우로부터 구직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산출할 때, 3가지의 경우 수가 발생한다.
(1) 산출된 값이 소정의 점수(아래를 예로 들어 4점)을 초과하는 경우,
(2) 산출된 값이 소정의 점수 이하이고, 산출된 값 >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
(3) 산출된 값이 소정의 점수 이하이고, 산출된 값 ≤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
(1)의 경우에는, 구인업체와 구직자 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통계관리부의 통계처리수 구인업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2)의 경우에는 구인업체가 구직자에 대한 평가를 좋게한 반면, 구직자가 구인업체에 대한 평가를 낮게하고 있으므로, 구직자의 역량보다는 구인업체 자체의 대우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추후 통계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3)의 경우에는 구인업체 역시 구직자에 대한 평가를 낮게하는 경우이므로, 구직자의 역량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추후 구인업체에 대한 평가가 해당 구직자에 한해서 낮게 수행되는 점수는 구인업체의 평가에 대해서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의 가중치를 60%로 가정하고, 구인업체가 수행한 구직자의 평가점수의 가중치를 40%로 가정할 때,
평가점수를 5점 만점이 되도록 설문지를 제공하고,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가 3점이고, 구인업체가 수행한 구직자의 평가점수가 4점이라고 가정한 경우,
((3 x 0.6) + (4 x 0.4))로 산출하여, 3.4의 점수가 구인업체의 점수로 산출된다. 이에 따라,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인 3점보다 산출된 값인 3.4가 크므로, 구인업체에서 부당한 대우가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가 3점이고, 구인업체가 수행한 구직자의 평가점수가 3점이라고 가정한 경우,
((3 x 0.6) + (3 x 0.4))로 산출하여, 3의 점수가 구인업체의 점수로 산출된다. 이에 따라,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인 3점이 산출된 값인 3에 포함되므로, 이 경우에는 구인업체가 구직자에 대한 평가를 낮게 수행하고 있고, 이는 구직자의 역량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비슷한 다른 예로서,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가 3점이고, 구인업체가 수행한 구직자의 평가점수가 2점이라고 가정한 경우,
((3 x 0.6) + (3 x 0.4))로 산출하여, 2.6의 점수가 구인업체의 점수로 산출된다. 이에 따라,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인 3점이 산출된 값인 2.6보다 크므로, 이 경우에는 구인업체가 구직자에 대한 평가를 낮게 수행하고 있고, 이는 구직자의 역량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된 구성에 따라서, 플랫폼은 구인업체을 통해 제공된 구인광고를 게시하고, 구직자단말을 통해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구직자단말을 통해 시청하거나 해당 구인광고에 구직신청서를 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구직신청서를 제출한 구직자는, 플랫폼을 통해 해당 콘텐츠를 게시할 때 구인업체에서 적용한 비용에 기반된 코인을 지급받도록 한다.
이때, 상술된 등록특허공보 제10-208694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구직신청서 제출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구인광고 게시 종료시점에서 1/n으로 코인을 분배할 수도 있고, 혹은 실시간으로 코인을 시청시간 또는 행위에 따른 적합한 코인을 지급하되, 책정된 비용이 소진되어 코인을 지급할 수 없을 때 구인광고의 게시가 종료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플랫폼은 구직자단말의 사용정보기록(log)를 수신하는 구직자단말사용정보수신부와; 상기 구직자단말사용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정보기록에서 특정 구인광고를 시청한 시간인 접속시간을 추출하고, 구직자의 특정 구인광고를 시청한 횟수인 시청횟수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접속시간이 소정의 시간(예컨대, 1분)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의 확인 결과, 특정 구직자가 특정 구인광고를 2회 이상 시청하였고, 해당 시청 중 소정의 시간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의 통계관리부는 특정 구직자가 특정 구인광고에 대하여 2회 이상 시청하되, 해당 시청 중 어느 한번이라도 소정의 시간 미만에 해당하는 시간만 시청한 것이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구인광고를 올린 구인업체 또는 구인업체의 구인광고에 대한 문제점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통계로서 관리하고, 이후 구인업체의 요구에 따라 통계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구직자에 대한 정보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8)

  1. 구인업체단말과;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과; 구직자단말과; 지역경제DB;를 포함하여 구성된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구인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구인광고를 게시하고,
    상기 구직자단말은 상기 플랫폼에 연동되어 게시된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상기 구인광고에 대한 구직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플랫폼은 구인광고의 시청 또는 구직신청서 제출에 기반한 코인을 구직자단말로 지급하고,
    상기 구직자단말은 지급된 코인을 지역경제DB에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구인업체단말은,
    플랫폼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입력에 따라 구인광고를 구인정보로 생성하는 구인정보생성부와; 플랫폼으로부터 구인광고에 제출된 구직신청서정보를 수신하는 구직신청서정보수신부와; 상기 구직신청서정보수신부를 기반으로 채용자를 선별하여 채용자정보를 생성하는 채용자정보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직자단말은,
    플랫폼 및 지역경제DB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플랫폼과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I/F와;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구직신청서 제출을 수행함으로써 플랫폼으로부터 지급된 코인을 확인하거나 상기 코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인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랫폼은,
    구인업체단말 및 구직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구인업체단말 또는 구직자단말을 통해 플랫폼에 연결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ID/PW에 기반하여 분류하고, 해당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DB와;
    구인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구인광고를 플랫폼에 연결한 구직자단말로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I/F와;
    상기 출력I/F를 통해 출력된 구인광고를 시청하거나 구직신청서를 제출한 구직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코인지급부와;
    구직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구직신청서를 기반으로 해당 구직신청서가 해당하는 구인광고를 매칭하고 매칭정보와 구직신청서를 취합하여 구직신청서정보로 생성하는 구직신청서정보생성부와;
    상기 구직신청서정보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구직신청서정보를 구인업체단말로 전송하는 구직신청서정보전송부와;
    구인업체단말의 채용자정보생성부로부터 채용자정보를 수신하는 채용자정보수신부와;
    상기 채용자정보수신부에서 수신된 채용자정보에 포함된 구직자에게 사용자DB와 연동하여 채용자정보를 통보하거나, 플랫폼에 접속한 구직자단말을 사용하는 구직자가 채용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채용자정보통보부와;
    구인광고별 시청현황 및 구직신청서제출현황을 통계처리하여 관리하는 통계관리부와;
    구인광고에 기반한 일자리 연결을 통해 구인업체에 채용된 구직자에게 소정의 질의를 통해 구인업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하는 구인업체평가부와;
    구인업체단말로 구직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하는 구직자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인업체평가부의 평가는,
    상기 플랫폼의 통계관리부를 통해 구직자의 평가와 구인업체의 평가를 기반으로 산출된 점수를 토대로,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 x 가중치) + (구인업체가 수행한 구직자의 평가점수 x 가중치))로 산출을 수행하여 산출된 점수를 구인업체의 최종 평가점수로 하되,
    구인업체보다 부당한 대우로부터 구직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직자가 수행한 구인업체의 평가점수의 가중치를 구인업체가 수행한 구직자의 평가점수의 가중치보다 크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I/F는,
    플랫폼에 게시된 구인광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시청I/F와,
    구직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출I/F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구인업체평가부에 의핸 질의를 수행한 구직자에게 소정의 코인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구인업체평가부에 기반한 구직자의 평가에 기반하여, 해당 구인업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일자리 순위나 레벨을 통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8. 삭제
KR1020200054333A 2020-05-07 2020-05-07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213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33A KR102213296B1 (ko) 2020-05-07 2020-05-07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33A KR102213296B1 (ko) 2020-05-07 2020-05-07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296B1 true KR102213296B1 (ko) 2021-02-05

Family

ID=7455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333A KR102213296B1 (ko) 2020-05-07 2020-05-07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917B1 (ko) * 2022-10-26 2023-04-10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이력서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125A (ko) * 2010-09-14 2012-03-22 최동우 인터넷을 이용한 취업정보 제공방법
KR20140131297A (ko) * 2014-09-11 2014-11-12 길영민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시스템
KR20180062994A (ko) 2018-05-16 2018-06-11 김종수 동영상 콘텐츠의 광고수익에 대한 공동투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동투자방법
KR101954952B1 (ko) * 2017-11-01 2019-05-30 이정훈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KR102084699B1 (ko) * 2019-08-22 2020-03-04 주식회사 알비엔 Otpa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경제순환시스템
KR102086946B1 (ko) 2019-02-26 2020-03-09 황건희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서 유저에게 코인을 공급하는 방법 및 공급된 코인을 활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125A (ko) * 2010-09-14 2012-03-22 최동우 인터넷을 이용한 취업정보 제공방법
KR20140131297A (ko) * 2014-09-11 2014-11-12 길영민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구직 시스템
KR101954952B1 (ko) * 2017-11-01 2019-05-30 이정훈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KR20180062994A (ko) 2018-05-16 2018-06-11 김종수 동영상 콘텐츠의 광고수익에 대한 공동투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동투자방법
KR102086946B1 (ko) 2019-02-26 2020-03-09 황건희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서 유저에게 코인을 공급하는 방법 및 공급된 코인을 활용하는 방법
KR102084699B1 (ko) * 2019-08-22 2020-03-04 주식회사 알비엔 Otpa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경제순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917B1 (ko) * 2022-10-26 2023-04-10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이력서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90984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이력서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llo Social media, employee privacy and concerted activity: Brave new world or big brother
Stenström The private policing of insurance claims: power, profit and private justice
Pilonato Accounting can support a “sustainable” corruption network: a case analysis
KR102213296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일자리 매칭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Rose Cutting Class Action Agency Costs: Lessons from the Public Company
Franz The Federal Election Commission as regulator: The changing evaluations of advisory opinions
Sukhtankar et al. Corruption in India: bridging academic evidence and policy options
Gottlieb Keeping the state weak to prevent programmatic claim-making in young democracies
Ravi Innovation with information technology: coalition governments and emerging economies–fighting corruption with electronic governance
Perera et al. A use case centric survey of Blockchain: status quo and future directions
KR100564310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정보 인증, 관리, 운영 시스템 및방법
Haciyakupoglu et al. Countering fake news
Mutungi et al. Digital Anti-Corruption Typology for Public Service Delivery
Minto et al. Approaching the Danske Bank Scandal in a “Tragedy of the Commons” Perspective: Implications for Anti-Money Laundering Institutional Design and Regulatory Reforms in Europe
Anggriawan et al. Consumer Legal Protection Principles of Billing Mechanism by Digital Financial Service Provider: a Prescriptive Fintech Law Study in Indonesia
Koradia et al. Algorithmic Collusion and Indian Competition Act: Suggestions to Tackle Inadequacies and Naivety
Buckhoff et al. Conducting effective ponzi scheme investigations
Frackman et al. Internet and online privacy: a legal and business guide
Mynhardt Investigation of misrepresentation in tender documents
Sirisophonphong The roles of digital media in developing and strengthening public procurement in Thailand
Freiberg et al. The ‘forever war’on red tape and the struggle to improve regulation
AlShaikh et al. Exploring the Current State of Forensic Accounting in Saudi Arabia and Possible Ways of Elevating It to Assist the Government Fighting Corruption
Budiman et al. THE FUNCTION OF CRYPTOCURRENCY EVIDENCE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OF MONEY LAUNDERING CRIME IN THE FRAMEWORK OF CRIMINAL PROCEDURE LAW REFORM
Dias Virtual Assets: A Legal, Causal, and Case Study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COVID-19 on the Use of Virtual Assets to Launder Money and of the European Union Regulatory Reaction on It
Williams E-government Tools to Formalise the Informal Econ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