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289B1 -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 Google Patents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289B1
KR102213289B1 KR1020190131331A KR20190131331A KR102213289B1 KR 102213289 B1 KR102213289 B1 KR 102213289B1 KR 1020190131331 A KR1020190131331 A KR 1020190131331A KR 20190131331 A KR20190131331 A KR 20190131331A KR 102213289 B1 KR102213289 B1 KR 10221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coupled
mineral water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봉환
오철희
Original Assignee
(주)더메리트
조봉환
오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메리트, 조봉환, 오철희 filed Critical (주)더메리트
Priority to KR102019013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2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2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mineral water having a target hardness from containers having mineral water with different hardnesses.

Description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진 미네랄 워터용기(이하 "워터용기"로 약칭 함)들로부터 목표로 하는 경도를 갖는 미네랄 워터를 추출하기 위한 미네랄 워터(Mineral Water)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mineral water having a target hardness from mineral water containers having different hardnesses (hereinafter abbreviated as “water container”).

미네랄 워터는 특정의 수원으로부터 취수한 지하수에 가열, 여과 등 살균을 실시한 것을 내추럴 워터(Natural Water)라 하며, 이 수원에 더하여 지하에서 자연으로 미네랄이 용해한 것을 내추럴 미네랄 워터(Natural Mineral Water)라 한다. 반면, 내추럴 워터와 같이 지하수를 수원으로 하지만 여러 원수를 혼합하거나 미네랄을 인공적으로 첨가한 것을 미네랄 워터(Mineral Water)라 한다. Mineral water is called natural water when sterilization such as heating and filtration is performed on groundwater taken from a specific water source, and in addition to this source, natural mineral water is called natural mineral water. . On the other hand, like natural water, groundwater is used as a water source, but a mixture of several raw waters or artificially added minerals is called mineral water.

국내의 미네랄 워터의 기준과 규격은 식품위생법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각 나라별 기준과 규격은 모두 일정하지 않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mineral water in Korea are stipulated by the Food Sanitation Act, and since th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each country are not all constan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반적으로, 물은 경수(hard water), 생수(raw water), 끓인 물(boiled water), 연수(soft water), 빗물(rain water), 설수(snow water), 여과수(filtered water), 탈 이온수 (de-ionized water) 및 증류수(distilled water) 등으로 분류된다.In general, water is hard water, raw water, boiled water, soft water, rain water, snow water, filtered water, and deionized water. (de-ionized water) and distilled water.

인체는 식물과 같이 무기 미네랄을 유기 미네랄로 전환시키는 화학 작용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선한 과일이나 야채, 육류, 물 등을 통해 유기 미네랄을 섭취하고 있다.Since the human body does not have a chemical action to convert inorganic minerals into organic minerals like plants, it consumes organic minerals through fresh fruits, vegetables, meat, and water.

우리가 마시는 물은 국내 뿐 아니라 세계각지에서 물의 특성과 맛이 다른 것은 물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의 함량 즉, 물의 경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The water we drink differs in characteristics and tast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minerals in water, that is, the hardness of water.

물의 경도는 용존된 칼슘과 마그네슘의 양을 수치로 나타내는데, 물 1ℓ에 용존된 칼슘과 마그네슘 양을 수치화한 값(경도)이 300mg 이상이면 경수, 100mg 이하이면 연수, 100 내지 300mg는 중경수로 구분하고 있다.The hardness of water represents the amount of dissolved calcium and magnesium numerically. If the numerical value (hardness) of calcium and magnesium dissolved in 1 liter of water is more than 300mg, it is divided into hard water, less than 100mg, soft water, and 100 to 300mg is divided into medium hard water. Are doing.

전술한 연수는, 목넘김이 부드럽고 국이나 찌게 또는 면류의 요리할 때 사용하면 식재료가 가지고 있는 맛을 최대한 살릴 수 있고, 다시마를 우려낼 때 사용하면 다시마의 감칠맛 성분이 잘 우러나고 녹차와 홍차에 사용하면 향이나 색이 잘 우러난다.The above-mentioned soft water is soft and can be used when cooking soup, steamed rice, or noodles to maximize the taste of ingredients, and when used when brewing kelp, the umami of kelp is well brewed and used in green tea and black tea. When you do it, the scent or color comes out well.

그리고, 마른 멸치나 가츠오부시처럼 쪄서 말린 식재료에 경수를 사용하면 단백질과 칼슘이 결합되면서 쓴 맛이 생기기 때문에 고유의 맛을 잘 우려내려면 중경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고, 볶음밥이나 김밥용 밥을 지을 때 중경수를 사용하면 쌀의 섬유질을 단단하게 하여 찰기를 약화시킬 수 있고, 또한 신맛이 느껴지는 커피는 중경수를 사용하면 신맛이 완화되거나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you use hard water in steamed and dried ingredients such as dried anchovies or katsuobushi, the protein and calcium combine to create a bitter taste, so it is better to use medium hard water to brewer the original taste, and cook rice for fried rice or kimbap. When using junggyeong water, it is possible to weaken the stickiness by hardening the fiber of rice. In addition, using junggyeong water has the effect of reducing or removing the sour taste of coffee that has a sour taste.

그리고, 돼지고기나 소고기 혹은 닭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요리할 때 경수를 사용하면, 칼슘과 경단백질이 결합되면서 육질이 부드럽게 되고 동시에 해당 육의 특유한 잡내를 제거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파스타와 같은 면류에 경수를 사용하면 적당한 굵기의 면으로 삶아내기 좋고 잘 붇지 않는다. In addition, if you use hard water when cooking meat such as pork, beef, or chicken, calcium and light protein are combined to soften the meat quality and at the same time remove the peculiar smell of the meat. Noodles such as pasta If hard water is used, it is good to boil it with the right thickness and does not swell well.

또한 차(tea)는 맛 성분인 아미노산, 글루타민산 등의 핵산계 물질과 칼슘이 결합되면서 다른 성분으로 바뀌기 때문에 경수보다 연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In addition, tea is better to use soft water than hard water because it changes into other components as the nucleic acid-based substances such as amino acids and glutamic acid, which are taste components, are combined with calcium.

통상, 물 맛은 물속의 미네랄 성분 중에서 칼슘, 칼륨, 규산은 물맛을 좋게 하고, 마그네슘, 황산이온, 염소는 나쁘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In general, it is reported that the taste of water among the mineral components in water, calcium, potassium, and silicic acid improves the taste of water, and that magnesium, sulfate ions, and chlorine worsen.

따라서, 좋은 물의 조건은 무조건 미네랄 함량이 높은 물이 아니라 미네랄이 균형 있게 함유된 물이 좋은 물이라 할 수 있지만, 이 기준은 특정 용도에서는 의미가 없으므로 물의 쓰임에 공통되는 기준으로 보는 것은 무리한 것이다.Therefore, the condition of good water is not water with high mineral content, but water with balanced minerals is good water, but this criterion is not meaningful for a specific use, so it is unreasonable to see it as a common standard for the use of water.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상표명 "하이트 진로 석수"와 "휘슬러워터(경도 47mg/ℓ, pH 7.2)"는 연수제품이고, "퓨리스(Puriss)", "BlueAqua" 및 "FIJI" 워터는 중경수제품이며, "Perrier"는 경수제품이다.The brand names "Hite Jinro Seoksu" and "Whistler Water (hardness 47mg/ℓ, pH 7.2)" are soft water products, and "Puriss", "BlueAqua" and "FIJI" water are medium hard water. Product, and "Perrier" is a hard water product.

위와 같이 물은 경도별로 각기 다른 맛과 독특한 효용성이 있음이 확인되었음에도 아직까지 사용자 맞춤형 미네랄 워터 제조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시도된 바 없으나, 그 효용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건강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면서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Although it has been confirmed that water has different tastes and unique efficacy by hardness, as described above, research related to the manufacture of customized mineral water has not yet been attempted, but the awareness of its effectiveness and necessity has gradually increased as awareness of health increases. It is on the rise.

미네랄 워터의 제조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9795(해양 심층수로부터 음료수를 제조하는 방법)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4683(동해 심층수를 이용한 음용수 제조시스템)이 있다.As technologies related to the manufacture of mineral water, there a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589795 (Method of producing beverage from deep sea water)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654683 (Drinking water production system using deep sea water in East Sea).

전술한 등록특허 10-0589795는 심층수를 가온, 여과, 나노여과하여 역삼투압에 의해 정수처리하고 2가 이상의 미네랄 염을 제거한 다음 pH 조정과 역삼투압공정을 통해 붕소화합물을 제거하고 미네랄 조정제를 사용하여 음료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등록특허 10-0654683는 전처리한 후 담수화시스템과 수질조정시스템을 통해 음료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사용자에 의한 미네랄의 경도 맞춤 제조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The above-described Patent Registration 10-0589795 discloses that the deep water is heated, filtered, and nano-filtered to purify the water by reverse osmosis, remove the mineral salt of divalent or higher, and then remove the boron compound through pH adjustment and reverse osmosis process, and use a mineral modifier.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beverage, and Patent No. 10-0654683 prop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beverage through a desalination system and a water quality adjustment system after pretreatment, but there is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custom manufacturing of minerals by a user.

본 발명자는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경도로 맞춤 제조하기 위한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를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한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As a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e to create a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for custom manufacturing to a specific hardness desired by a user, and have remarkable achievements, and thus propose thi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경도를 지닌 워터용기들로부터 목표로 하는 경도를 갖는 미네랄 워터를 추출하기 위한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mineral water having a target hardness from water containers having different hardnesses.

본 발명의 미네랄 추출 장치는, The mineral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추출구를 갖추고 보관통내에 교환가능하게 수납되는 미네랄 워터가 담긴 워터용기와;A water container containing mineral water that has an extraction port and is exchangeably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워터용기 또는 그 내부의 미네랄 워터를 압축 또는 가압하기 위한 워터압출수단과;Water extruding means for compressing or pressurizing the water container or mineral water therein;

경도 및 유량 설정값에 대응되는 비레 제어값을 통해 상기 워터압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이하 “제어부”라 함)를 포함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에 특징이 있다.There is a feature of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extrusion means through a ratio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and flow rate set value.

전술한 워터압출수단은 상기 워터용기와 1:1로 결합되고, 전술한 워터용기와 워터압출수단은 각기 동일 구성으로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water extruding means is combined with the water container in a 1:1 manner, and the above-described water container and the water extruding means are each employed in the same configuration.

전술한 워터압출수단은, The aforementioned water extrusion means,

추출구를 갖추고,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미네랄 워터가 담긴 워터용기로부터 특정 경도를 갖는 워터를 추출하기 위한 워터압출수단으로서,A water extruding means for extracting water having a specific hardness from a water container containing mineral water having different hardnesses and having an extraction port,

제어부의 비례 제어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이하 "구동부"라 함)와;A driver controlled by the proportional control of the control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ive unit”);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워터용기를 압축시키는 가압부재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ressing member that compresses the water container while linearly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unit.

전술한 워터용기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추출구를 갖춘 속이 빈 가요성 밀폐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container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hollow flexible seal having at least one extraction port.

또한 추출구는 워터의 압력이 상승할 때에만 개로되거나 보관통속에 장입되었을 때 개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raction port is opened only when the pressure of the water increases or when it is charg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워터압출수단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구동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스크루 샤프트에 나선결합된 가압부재을 구동부와 연동하여 샤프트의 축선방향으로 운동시킴으로써 가압부재를 통해 워터용기의 미네랄을 추출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water extruding means extracts minerals from the water container through the pressing member by moving a pressing member helically coupled to a screw shaft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a driver (driving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in connection with the driving unit. There are features.

상기 워터압출수단의 구동부는 상기 제어값에 의해 제어되는 스텝모터인 것에 특징이 있다.The driving unit of the water extrud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tep mo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ue.

상기 워터압출수단은 작동상태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extrud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means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r position.

본 발명의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는 제어부의 비례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의 회전운동에 대해 직선운동하는 가압부재를 통해 워터용기를 비례적으로 압축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유량을 바로 추출할 수 있다.The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extract a target flow rate by compressing a water container proportionally through a pressurizing member that moves linearly with respect to a rotational motion of a driving unit driven by the proportional control of the controll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패널의 주요 모듈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패널의 확대 표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의 좌측에서 본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 제어패널을 생략한 워터용기 보관통을 전면에서 바라 본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와 유사한 도면으로, 워터용기 보관통을 평면에서 바라 본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 측면도이다.
도 10a은 도 7에 도시된 추출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b는 추출구를 배출구와 연통된 결합구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한 추출구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채용된 워터압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및 그 일 측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워터압출수단를 뚜껑에 채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main modules of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1.
3 is an enlarged surface view of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1.
4 is a plan view of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5 is a front view of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6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the left.
7 is a view similar to that of FIG. 5 and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container storage container omitting the control panel.
FIG. 8 is a view similar to that of FIG. 4 and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container storage container.
9A and 9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tracting port shown in FIG. 7, and FIG.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extracting port illustrating that the extracting port is coupled to a coupling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11A and 11B are perspective views and a side view of the water extrusion means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extruding means shown in FIG. 11 is employed on the lid.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in a limiting sens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that proces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can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및 제 2"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희석되지 않는 범주에서 생략될 수 있다.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and the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may be omitted from the scope in whic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luted.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미네랄 워터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내추럴 미네랄 워터(Natural Mineral Water), 내추럴 워터(Natural Water), 미네랄 워터(Mineral Water)를 포괄한다.Mineral water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natural mineral water, natural water, and mineral water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워터압출수단 및 보관통은 워터용기의 갯수와 같은 1:1로 결합되어 있으나, 각 구성들은 구성이 동일하므로 어느 하나의 셋트(보관통 워터용기, 워터압출수단)를 통해 설명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번호를 표기한다.For reference, the water extrusion means and the storage container described below are combined in a 1:1 ratio equal to the number of water containers, but each configuration is the same, so it is described through any one set (water storage container, water extrusion means). And for the same configur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indicated.

제어패널(1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100)에 장착된 각종 하드웨어를 전기/회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기의 모듈들과 판단 및 제어용 소프트웨어 함께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통칭하는 것으로, 세부적으로 경도 및 유량 선택모듈(이하 "선택부(131, 131b)"라 함), 용기 기준값과 운전 기준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모듈(이하 "설정부(108)"라 함), 반도체 메모리로 이루어진 저장부(106), 센싱정보와 설정부의 설정값과 대비 판단하는 판단모듈(이하 "판단부(104)"라 함),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워터압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하 "제어부(105)"라 함), 판단부의 판단결과와 센싱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7) 및 리셋부(110)를 구비하고 있다.The control panel 130, as shown in FIGS. 1 to 3, includes the following modules for electrically/circuitly controlling various hardware installed in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100 and software for determination and control. The circuit board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hardness and flow rate selec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lection units 131 and 131b”), and a setting module in which container reference values and operation reference values are set in advance (hereinafter “setting unit 108”). ), a storage unit 106 made of a semiconductor memory, a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he contrast betwee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termining unit 104”), and a water extruding mean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rol unit 105”), a display unit 107 and a reset unit 110 for displaying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sensing inform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are provided.

경도 및 유량 선택부(131, 131b)는 소망하는 경도값과 유량값을 사용자가 각각 설정하기 위한 모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경도와 유량을 디지털방식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하거나 특정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선택된 경도 및 유량 설정값은 각각 판단부(104)로 전달된다.The hardness and flow rate selection units 131 and 131b are modules for user to set the desired hardness value and flow rate value, respectively, and as shown in FIG. 3, the user's desired hardness and flow rate are independently selected in a digital manner or It includes a means to be specified. The selected hardness and flow rate setting values are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104, respectively.

전술한 경도 선택부(1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 설정값의 세분한 버튼이거나 특정 경도 설정값(디지탈) 범위에서 임의의 경도 설정값을 특정할 수 있는 다이얼식 노브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hardness selection unit 131 may be a subdivided button of a hardness setting value as shown in FIG. 3 or a dial-type knob capable of specifying an arbitrary hardness setting value in a specific hardness setting value (digital) range.

유량 선택부(131a)는 전술한 경도 선택부(131)에서 언급한 버튼 또는 노브와 같은 형태이거나 타이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량 선택부(131a)는 타이머(timer)를 채용 사례로 설명될 것이다.The flow rate selection unit 131a may be in the form of a button or a knob mentioned in the above-described hardness selection unit 131 or may be any one of a timer. Hereinafter, the flow rate selection unit 131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employing a timer.

도 2에 도시된 설정부(108)는 양 워터압출수단의 구동기(이하 “구동부”라 함)를 제어하기 위한 비례 제어값이 미리 저장된 비휴발성 반도체 메모리로, 전술한 경도 설정값의 구간별로 양 워터압출수단을 비례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이를 "비례 제어값"이라 함)과 워터용기(120)의 중량(무게), 크기, 압력 등에 관한 기준 정보를 기억한다.The setting unit 108 shown in FIG. 2 is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in which a proportional control value for controlling the actuators of both water extruding m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iving unit”) is stored in advance. A control value for proportional control of the water extrusion means (this is referred to as a "proportional control value") and reference information regarding the weight (weight), size, pressure, etc. of the water container 120 are stored.

도 2의 저장부(106)는 워터용기(120)나 워터용기내에 담긴 워터의 상태에 관한 센싱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휴발성 반도체 메모리로, 외부에서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100)로 인가되는 메인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는 모두 휴발된다. The storage unit 106 of FIG. 2 is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for updating sensing information on the water container 120 or the state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container, and main power applied to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100 from the outside. When this is blocked, all information recorded in the memory is suspended.

도 2의 판단부(104)는 후술하는 용기센싱수단의 센싱정보를 설정부(108)에 설정된 설정값과 프로그램적으로 비교 판단하는 모듈로, 그 판단결과를 제어부(105)로 전달한다.The determination unit 104 of FIG. 2 is a module that programmatically compares and determines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sens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with a set value set in the setting unit 108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105.

도 2의 제어부(105)는 전술한 판단부(104)의 판단결과에 따라 표시부(107)에 알람하고 워터압출수단(140)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5 of FIG. 2 alarms the display unit 107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04 and controls the water extruding means 140.

도 2의 리셋부(110)는 리셋신호가 센싱되었을 때 워터압출수단(140)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격되도록 즉, 워터용기가 보관통에서 인출되거나 수납할 때 워터압출수단(140)을 워터용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제어부를 통해 구동부를 제어한다.The reset unit 110 of FIG. 2 separates the water extruding means 14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reset signal is sensed, that is, the water extruding means 140 from the water container when the water container is withdrawn or receiv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To separate, the drive unit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리셋부는 제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패널(130)에 버튼 형태로 함께 배치하여 필요시 턴온(On)하거나 후술하는 보관통의 뚜껑에 상기 리셋버튼 혹은 특정 센서(도 12b 111a 참조)를 부착하여 뚜껑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턴온(On) 또는 센싱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리셋버튼의 센싱 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워터압출수단(140)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켜 워터용기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한다.The reset unit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button on the control panel 130 so as to be circui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is turned on when necessary, or by attaching the reset button or a specific sensor (see Fig. 12b 111a) to the lid of the storage container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installed to be turned on or sen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reset butt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of the water extruding means 140 to be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eparated from the water container.

워터압출수단의 작동상태 즉, 가압부재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하여 위치센서(도면에는 미도시)를 부착하여 그 센싱정보의 유무에 따라 제어부는 위치를 판별하고 그 판별된 정보를 통해 운전의 개시여부를 제어한다.In order to sense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extruding means, that is, the position of the pressurizing member, a position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 is attached,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whether the operation is started or not through the determined information. Control.

전술한 제어패널(130)에는 추출개시버튼(도면부호 미표기)이 함께 마련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control panel 130 is provided with an extraction start button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한 하나 이상의 추출구(121)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경도를 지니는 미네랄 워터가 담긴 워터용기(120)들과,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extraction port 121 as shown in FIGS. 4 to 8 and water containers 120 containing mineral water having different hardnesses,

상기 워터용기(120)를 교환가능하게 수용하는 보관통(101a)과, A storage container (101a) that exchangeably accommodates the water container (120),

미네랄 워터의 경도와 유량을 설정하기 위한 경도 및 유량 선택부(131a)와,Hardness and flow rate selection unit (131a) for setting the hardness and flow rate of mineral water,

상기 워터용기(120) 또는 워터를 가압하기 위한 워터압출수단(140)과, A water extrusion means 140 for pressurizing the water container 120 or water,

비례 제어값을 통해 상기 유량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양 워터압출수단(140)을 비례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5)를 포함한다.And a control unit 105 for proportionally controlling the both water extrusion means 140 until the flow rate set value is reached through a proportional control value.

전술한 케이스(101)는 하부에 배치되는 물받이용 트레이(102)과, 상부에 전술한 워터용기(120) 및 보관통(101a)이 내장되는 기계실(도면부호 미표기)과, 트레이(102)와 기계실 사이에 컵이나 물 그릇 등이 놓여지는 공간(도면 부호 미표기)이 마련되어 있다. The above-described case 101 includes a tray 102 for a drip tray disposed at the bottom, a machine room (not shown) in which the water container 12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1a described above are built, and the tray 102 and the machine room. There is a space (not shown in the drawing) where cups or water bowls are placed between them.

기계실과 트레이(102)사이에는 전술한 공간의 상측 케이스(101) 표면에 추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구(103)가 마련되어 있고, 기계실의 전면에는 전술한 제어패널(130)이 결합되어 있다.Between the machine room and the tray 102, a discharge port 103 communicating with an extraction port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case 101 of the space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 panel 13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chine room.

전술한 워터용기(120)는 추출구(121)를 갖춘 의료용 주사기의 실린더(도면에는 미도시) 형태이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 형태일 수 있다. 그 중 속이 빈 자바라 형태가 더 바람직하다.The water container 120 described above may be in the form of a cylinder (not shown in the drawing) of a medical injector equipped with an extraction port 121 or a bellows form as shown in FIG. 9. Among them, the hollow bellows form is more preferable.

그 이유는, 위 실린더 형태나 자바라 형태의 워터용기는 모두 미네랄 워터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미네랄 워터를 워터용기로부터 추출함에 있어, 워터용기(120)의 외부를 가압하는 것과 그 내부를 가압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The reason is that both the cylinder-type and bellows-type water containers have the advantage of hygienic storage of mineral water, but when extracting mineral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the outside of the water container 120 is pressurized and the inside thereof is This is because you have to consider which of the pressurization is more effective.

이 측면에서 볼 때, 자바라 타입의 워터용기(120)는 미네랄 워터의 품질을 위생적으로 보호 및 보존할 수 있고, 워터용기(120)의 교환 및 취급이 용이하며, 워터용기(120)의 압축 및 팽창방향을 일괄성 있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술한 워터압출수단(140)을 워터용기(120)와 연동되게 결합하는데 더 용이하고, 또한 전체적으로 워터용기를 균일하게 압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respect, the bellows type water container 120 can hygienically protect and preserve the quality of mineral water, and it is easy to exchange and handle the water container 120, and compress the water container 120 and This is because the expansion direction can be maintained collectively, and it is easier to connect the water extruding means 140 to be interlocked with the water container 120, and it is possible to uniformly compress the water container as a whole.

이하에서는 워터용기는 자바라 형태를 채용 예로 설명될 것이나 전술한 실린더 형태의 워터용기(120)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water contai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employing a bellows shape, but the above-described cylinder-shaped water container 120 is not excluded.

실린더 형태의 워터용기(120)를 전술한 자바라형 워터용기(120)로 치환하더라 거의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그렇게 하는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Almost similar effects can be expected by replacing the cylinder-shaped water container 120 with the bellows-type water container 120 described above, and in doing s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not have any difficulty. .

전술한 추출구(121)는 워터용기로부터 미네랄 워터가 추출되도록 안내하는 관로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122)와 UV살균램프(도면에는 미도시)가 더 결합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port 121 is a conduit for guiding mineral water to be extracted from the water container, and as shown in FIG. 10A, a check valve 122 and a UV sterilization lamp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further coupled.

그렇게 하면, 워터용기 내의 워터 압력이 상승될 때만 체크밸브(122)의 관로가 개로되므로 워터용기내의 미네랄 워터가 전술한 추출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각종 오염원에 의해 오염되거나 공기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네랄 워터의 위생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미네랄 워터의 품질을 보다 더 오래동안 보존할 수 있고, 또한 워터용기를 보관통에서 인출할 때 체크밸브에 의해 추출구를 통해 에어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보관통에서 인출되는 워터용기의 부피가 팽창되는 일이 없다. In that case, since the pipeline of the check valve 122 is opened only when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container increases, the mineral water in the water container is contaminated by various pollutants introduc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port 121 or oxidized by air. It can be prevented, the sanitary safety of mineral water can be secured, and the quality of mineral water can be preserv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lso, when the water container is taken out of the storage container, it is Since air does not flow in, the volume of the water container drawn out of the storage container does not expand.

그래서 보관통에서 꺼낸 워터용기 그대로 다시 보관통에 장입할 수 있다.So, the water container taken out of the container can be reloaded into the container as it is.

또한 전술한 양 추출구(121)는 서로 근접되게 워터용기(120)에 마련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배출구(103)로 양 추출구(121)를 통합되게 집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UV살균램프(도면에는 미도시)의 구성과 워터배출계통을 최단 길이로 단축할 수 있고, UV살균램프를 통해 양 추출구(121)을 통해 추출되는 미네랄 워터나 배출구(103)에 남아 있는 잔류수를 함께 살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both extracting ports 121 are provided in the water container 120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both extracting ports 121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discharge port 103.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UV sterilization lamp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water discharge system can be shortened to the shortest length, and the mineral water extracted through both extraction ports 121 through the UV sterilization lamp remains in the discharge port 103 Any residual water can be sterilized together.

그러나, 냉온기능이 부설된 경우, 배출구(103)를 각각의 냉온수 배출구(도면에는 미도시)와 1:1로 연결할 때 유용할 수 있다.However, when a cold/hot function is attached, it may be useful to connect the outlet 103 to each of the hot and cold water outlets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a 1:1 manner.

또한 전술한 추출구(121)는 워터용기(120)가 보관통(101a) 내에 장착할 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통(101a)의 바닥에 배출구(103)와 연통되는 결합구(101c)와 나선체결되는 나선부(도면부호 미표기)를 마련하여 결합구(101c)에 고정되게 워터용기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b에서 도면부호 122a는 송곳으로, 추출구(121)가 결합구(101c)에 결합될 때 상기 송곳에 의해 추출구(121)의 관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워터용기가 압축될 때 체크밸브(122)가 개로되면서 워터가 추출된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extraction port 121 includes a coupling port 101c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103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101a as shown in FIG. 10B when the water container 120 is mounted in the storage container 101a.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water container to be fixed to the coupling hole 101c by providing a helical portion (not shown) to be helically fastened. In FIG. 10B, reference numeral 122a denotes an awl, and when the spout 121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01c, the pipe of the spout 121 is formed by the awl. Therefore, when the water container is compressed, the check valve 122 is opened and water is extracted.

이렇게 하면, 워터용기를 보관통(101a) 내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가 예측할 수 없는 이유로 쓰러지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워터용기가 보관통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water container can be fixed in the storage container 101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from falling for unpredictable reasons or the water container being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due to an external impact.

전술한 보관통(101a)은 워터용기(120)의 주위를 포위할 수 있는 크기이고 상기 워터용기(120)를 교환할 수 있게 수용하는 상기 워터용기(120)의 보호통으로, 그 둘레는 보온재(도면부호 미표기)로 피복될 수 있고, 그 주연부에 개폐가능한 뚜껑(도면에는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101a described above is a protective container of the water container 120 that is sized to surround the water container 120 and accommodates the water container 120 to be exchanged, and its circumference is an insulating material (drawing It may be covered with (not shown), and an openable lid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y thereof.

상기 보관통(101a)은 워터용기(120)의 수량에 대응되는 수량으로 1:1로 마련되어 있으며, 배출구(103)의 상측 기계실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다.The storage container (101a) is provided in a quantity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the water container (120) 1:1, and is fixedly mounted in the upper machine room of the discharge port (103).

상기 보관통(101a)은 도 4 내지 도 7에는 워터용기(120)가 출입할 수 있도록 주연부가 개방되어 있으나,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통(101a)의 주연부 혹은 그 상부 케이스(101)에 뚜껑(111)을 개폐가능하게 부설하여 보관통(101a)을 개폐할 수도 있다.The storage container 101a has a peripheral portion open so that the water container 120 can enter and exit in FIGS. 4 to 7, but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peripheral part of the storage container 101a or its upper case 101 ), the lid 111 can be opened and clos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ntainer 101a.

상기 경도 선택부(131)과 유량 선택부(131a)에 의해 특정된 경도 설정값과 유량 설정값(즉, 타임)은 전술한 제어패널(130)의 표시부(107)에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추출개시버튼(도면부호 미표시)을 턴온(On)하면 제어부(105)로 전달되게 된다.The hardness setting value and the flow rate setting value (ie, time) specified by the hardness selection unit 131 and the flow rate selection unit 131a are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107 of the control panel 130 and start extraction. When the button (not shown) is turned on,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5.

전술한 용기센싱수단은, 워터용기(120)의 중량, 압력, 높이 등과 같은 용기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특정 센서소자들을 포괄한다. 개념적으로 워터용기(120)의 압력, 중량, 높이를 센싱할 수 있는 특정 센서를 위 워터용기나 보관통(101a) 주변에 장착하여 워터용기의 상태를 실시간 센싱하는 것이다.The container sensing means described above encompasses specific sensor elements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container such as the weight, pressure, and height of the water container 120. Conceptually, a specific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pressure, weight, and height of the water container 120 is mounted around the upper water container or the storage container 101a to sense the state of the water container in real time.

그 실시 예로서,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통(101a)의 바닥에 중량센서(101b)를 설치하면 워터용기(120)의 중량을 실시간 센싱할 수 있다. As an example, if the weight sensor 101b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101a as shown in FIGS. 7 and 11, the weight of the water container 120 can be sensed in real time.

전술한 워터압출수단(140)은 전술한 워터용기(120)로부터 미네랄 워터를 압출시키기 위한 수단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그렇게 함에 있어 도 11a 및 도 11b에서 보는 것처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141)와, 상기 구동부(141)에 회전운동에 대해 직선운동하는 가압부재(146)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water extruding means 140 includes means for extruding mineral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120, and in doing so, the driving unit 141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and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ressing member 146 linear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in the driving unit 141.

전술한 가압부재(146)는 워터용기의 일측면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워터용기 표면을 고르게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pressing member 146 is configured in a shape capable of covering one side of the water container to evenly compress the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회전운동과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는 가압부재(146)를 포함하는 워터압출수단(140)은 제어부의 제어값에 의해 제어되고 베이스(145)에 결합된 구동부(141)와 연동되는 스크루 샤프트(144)와, 상기 샤프트(144)와 나선결합된 가압부재(146)의 결합에 의해 구현된다.The water extruding means 140 including a pressure member 146 that moves linearly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al motion is controlled by a control value of the control unit and a screw shaft 144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unit 141 coupled to the base 145 And, it is implemented by the coupling of the shaft 144 and the pressure member 146 spirally coupled.

즉, 구동부(141)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44)와 나선결합된 가압부재(146)가 전후진되면서 워터용기(120)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것이다. 도 11a에서 미설명 부호 143은 가압부재의 운동을 원할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축이고, 144a는 가압부재(146)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와 나선결합되는 슬리브이며, 147a는 가압부재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이고, 147은 가압부재와 결합되고 가이드 축(14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이며, 도 12b의 111a는 뚜껑(111)의 개폐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이다.That is, while the shaft 144 rotated by the driving unit 141 and the pressing member 146 spirally coupled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water container 120 is pressed and compressed. In FIG. 11A, reference numeral 143 is a guide shaft for smoothly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144a is a sleeve fixed to the pressing member 146 and helically coupled with the shaft, and 147a is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A sensor, 147 is a slider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and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shaft 143, 111a of FIG. 12B is a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lid 111 is opened or closed.

전술한 양 구동부는 펄스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스텝모터이고, 제어부에 의해 비례 제어되는데, 비례 제어에 관해서는 후반부에서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Both of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s are step motors driven by a pulse voltage, and are proportion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proportional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latter part.

전술한 워터압출수단(140)는 보관통의 하부에 장착해도 무방하지만 워터용기의 동축선선상에 결합되는 것을 바람직하다.The above-described water extrusion means 14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but is preferably coupled on the coaxial line of the water container.

이렇게 하면, 가압부재(146)를 워터용기(120)의 축선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고, 기계실의 공간을 콤팩트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sing member 146 can be compress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water container 120, and the space of the machine room can be compactly reduced.

전술한 가압부재(146)와 워터용기(120) 사이에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스페이서(미도시)를 위치시킨 후 스페이서를 통해 워터용기(120)를 압축시킬 수도 있다.After placing a spacer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between the above-described pressing member 146 and the water container 120, the water container 120 may be compressed through the spacer.

이렇게 하면, 전술한 스페이서를 통해 뚜껑(111)과 보관통(101a)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워터용기(120)의 용량이 작은 채용할 경우에 유용할 수 있고, 스페이서를 생략하는 경우 워터용기(120)의 용량이 크게 설계할 때 유용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space between the lid 111 and the storage container 101a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hrough the spacer described above, it may be useful when the capacity of the water container 120 is small, and the spacer is omitted. It may be useful when designing a large capacity of the water container 120.

또한 상기 가압부재(146)를 통해 워터용기를 압축시킬 때 워터용기와 가압부재(146)사이에 판상체를 위치시켜 워터용기의 상부를 가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mpressing the water container through the pressing member 146, a plate-shaped body may be placed between the water container and the pressing member 146 to pressurize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container.

이렇게 하면, 가압부재의 압축력이 고르게 분산되므로 워터용기를 일정하게 압축시킬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pressing member is evenly distributed, the water container can be compressed uniformly.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 워터 추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A method for extracting miner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전제적으로,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100)는 전원부(109)에 의해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한다.In general, it is assumed that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100 is powered by the power supply unit 109.

본 발명의 미네랄 워터 추출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경도 설정값에 대응되는 제어값들로 유량 설정값에 도달될 때까지 각 워터압출수단을 비례 제어값을 통해 각각 제어하여 양 워터용기로부터 유량을 비례적으로 추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In the mineral water extra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from both water containers is proportional by controlling each water extruding means through a proportional control value, respectively, until the flow rate set value is reached with contro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hardness set value by the controller. It has a characteristic of extracting as an enemy.

제어부(105)는 선행적으로 보관통(101a) 내에 워터용기(120)가 올바로 장입되어 있는지, 장입된 워터용기(120)가 규격품인지, 워터는 설정범위내에 있는지 여부 등을 판별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이를 "운전전 점검단계라 한다.).In advance, the control unit 105 perform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container 120 is properly loaded in the storage container 101a, whether the charged water container 120 is a standard product, and whether the water is within a set range. (This is called the "pre-operation inspection step.).

위 운전전 점검단계는 판단부(104, 도 4)에 의해 전술한 용기센싱수단의 센싱정보와 설정부의 설정값을 대비 판단하여 워터용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The above pre-operation inspection step is to check the state of the water container by compar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sensing means described above with the set value of the setting unit by the determination unit 104 (FIG. 4).

보관통(101a)내에 워터용기(120)의 장입여부를 중량센서(101b)를 통해 센싱한 중량값이 설정부(108)에 미리 저장된 중량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판단부(104)는 보관통(101a)이 비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제어부(105)는 워터용기(120)가 보관통(101a) 내에 장입되지 않았음을 표시부(107)를 통해 알람하고,When the weight value sensed through the weight sensor 101b whether or not the water container 120 is inserted in the storage container 101a is smaller than the weight set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etting unit 108, the determination unit 104 is the storage container 101a. ) Is determined to be empty,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control unit 105 alarms through the display unit 107 that the water container 120 is not load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101a,

센싱된 중량값이 설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비규격 워터용기(120)이거나 워터용기(120) 이외의 물품이 장입된 것이므로, 판단부(104)는 워터용기(120)가 비규격임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05)로 전송하고, 제어부(105)는 표시부(107)에 해당 신호를 알람하며, If the sensed weight value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since the non-standard water container 120 or an article other than the water container 120 is loaded, the determination unit 104 send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water container 120 is non-standard.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105, and the control unit 105 alarms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display unit 107,

센싱된 중량값이 설정값 범위이내인 경우에는 전술한 제어부(105)는 전술한 방법으로 센싱값을 표시부(107)에 알람하면서 센싱된 중량값에 대응하여 양 워터압출수단의 구동부를 제어(On)함으로 워터압출수단은 워터용기(120)의 상태에 맞게 워터용기를 즉시 압축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된다.When the sensed weight value is within the set value range,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105 alarms the sensing value to the display unit 107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s of both water extruding means in response to the sensed weight value. ), the water extruding means is set to a state in which the water container can be immediately compress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ater container 120.

전술한 양 선택부(131)(131a)를 통해 경도와 유량값을 설정한 후 추출개시버튼을 턴온(On)하면(S2), 제어부(105)는 양 워터용기로부터 추출되는 유량의 합이 100이 되도록 양 제어값을 설정하여 양 워터압출수단(140)의 구동부를 제어부가 비례적으로 제어(On)한다.When the hardness and flow rate values are s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both selection units 131 and 131a, and then the extraction start button is turned on (S2), the controller 105 increases the sum of the flow rates extracted from both water containers to 100. Both control values are set so that the control unit proportionally controls (On) the driving units of both water extrusion means 140.

아래의 표 1는 선택된 경도에 따라 양 워터용기에서 추출되는 유량을 비례 제어하기 위한 비례 제어값의 일 예를 예시한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a proportional control value for proportionally controlling the flow rate extracted from both water containers according to the selected hardness.

A 워터용기 워터 추출유량(cc) A Water container water extraction flow rate (cc) 00 9797 9595 9090 8080 7070 6060 5050 3030 00 B 워터용기 워터 추출유량(cc) B Water container Water extraction flow rate (cc) 00 33 55 1010 2020 3030 4040 5050 7070 100100 설정된 경도(HB) Set hardness (HB) 00 3030 5050 100100 200200 300300 400400 500500 700700 10001000

예를 들어, A 워터용기의 경도는 0HB이고 , B 워터용기의 경도는 1,000HB인 것으로 가정하고 원하는 경도를 100HB으로 선택한 경우, A 워터용기는 90cc, B 워터용기는 10cc가 각각 추출되도록 양 워터압출수단의 구동부를 선택된 유량에 도달될 때까지 양 제어값을 통해 제어부가 비례 제어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hardness of A water container is 0HB and the hardness of B water container is 1,000HB and the desired hardness is 100HB, 90cc for A water container and 10cc for B water container are extracted. The control unit proportionally controls the drive unit of the extrusion means through both control values until the selected flow rate is reached.

상기 제어부(105)는 설정부에 설정된 양 워터용기별 비례 제어값을 통해 양 워터압출수단의 구동부를 비례 제어하므로 양 워터용기(120)로부터 비례 유량이 각각 추출되게 된다(이를 "워터추출단계"라 한다.).The control unit 105 proportionally controls the driving units of both water extruding means through the proportional control value for each water container set in the setting unit, so that the proportional flow rate is extracted from both water containers 120 respectively (this is referred to as “water extraction step”. It is called.).

위 워터추출단계에서는 판단부는 용기센싱수단 즉, 중량센서를 통해 워터용기(1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한 용기의 중량값을 판단부로 전달되어 저장부(106)에 업데이트되므로 메인 전력이 차단되지 않는 한 워터압출수단은 워터용기(120)를 바로 압축시킬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동시에 표시부(107)에 워터용기(120)의 잔량 즉, 교환시기를 표시한다.In the above water extraction step, the determination unit transmits the weight value of the container that has sensed the state of the water container 120 in real time through the container sensing means, that is, the weight sensor, to the determination unit and is updated to the storage unit 106, so that the main power is not cut off. Unless the water extruding means is kept in a state capable of directly compressing the water container 120, the remaining amount of the water container 120, that is, the replacement tim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at the same time.

전술한 양 워터압출수단의 구동부는 유량 설정값 즉,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까지 제어부에 의해 제어(On)되고, 목표 유량값에 도달하면 제어부(105)에 의해 정지되도록 제어된다.The drive unit of both water extrusion means is controlled (On) by the control unit until the flow rate set value, that is, the time set by the timer, and is controlled to be stopped by the control unit 105 when the target flow rate value is reached.

전술한 양 워터용기(120) 내의 워터 경도는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때때로 일 측의 워터용기(120)의 워터가 상대적으로 더 빨리 소비될 수 있다. 즉, 양 워터용기(120)의 상태를 용기센싱수단을 통해 센싱한 정보를 판단부에서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105)는 표시부(107)에 판단결과에 해당하는 정보를 실시간 알람하고, 양 워터용기 혹은 어느 한 워터용기의 미네랄 워터 잔량이 하한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05)는 양 워터압출수단(140)이 정지되도록 그 구동부를 제어한다.Since the water hardness in the two water containers 1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water in one side of the water container 120 may sometimes be consumed relatively faster. 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state of both water containers 120 through the container sensing means,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ntrol unit 105 alarm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display unit 107 in real time. If the remaining amount of mineral water in both water containers or one of the water containers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set value, the control unit 105 controls the drive unit so that both water extruding means 140 are stopped.

이와 같이 워터용기(120)내의 워터 잔량은 표시부(107)에 표시되지만 워터용기(120)가 보관통(101a)에 재 장입되더라도 앞서 설명한 워터압출수단은 워터용기(120)의 상태에 맞게 각각의 워터용기를 바로 압축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된다.In this way,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container 12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but even if the water container 120 is reload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101a, the water extruding means described above is suitable for the state of the water container 120. The container is set in a state that can be compressed immediately.

한편, 사용도중에 워터용기(120)를 보관통(101a)에서 꺼내야 하거나 새로운 워터용기(120)로 교체해야 하는 경우, 제어패널(130)에 마련된 리셋버튼을 턴온(On)하거나 보관통 뚜껑의 개폐상태를 센싱할 수 있게 설치된 리셋버튼(센서)의 센싱신호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워터용기(120)의 상태에 맞게 전술한 워터압출수단이 셋팅되므로 워터용기(120)를 보관통(101a)에 재 장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container 120 needs to be remov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101a during use or needs to be replaced with a new water container 120, the reset button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130 is turned on or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storage container lid is changed. Since the above-described water extruding means is se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ater container 12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sensing signal of the reset button (sensor) installed to be sensed, the water container 120 is placed in the storage container 101a. Can be charg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워터압출수단을 비례 제어함으로써 워터용기들로부터 목표로 하는 경도를 갖는 미네랄 워터를 설정한 유량 만큼 추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portionally controlling the water extruding means through the control unit, mineral water having a target hardness can be extracted from the water containers by a set flow rate.

이상에서 예시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응용 예나 변경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응용 예나 변경 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I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d above,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implement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intended tru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claims below are included.

100: 미네랄 워터 추출장치 101: 케이스
101a: 보관통 101b: 중량센서
111: 뚜껑 120: 워터용기
121: 추출구 122: 체크밸브
130: 제어패널 140: 워터압출수단
141: 구동기(구동부) 143: 가이드 축
145: 베이스 146: 가압부재
147a, 147b: 위치센서
100: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101: case
101a: storage container 101b: weight sensor
111: lid 120: water container
121: extraction port 122: check valve
130: control panel 140: water extrusion means
141: actuator (drive unit) 143: guide shaft
145: base 146: pressing member
147a, 147b: position sensor

Claims (17)

추출구를 갖추고,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미네랄 워터가 담긴 워터용기와;
상기 워터용기를 교환가능하게 수용하는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의 상부 케이스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결합되어 뚜껑과 함께 개폐되되, 상기 뚜껑에 결합되는 베이스에 결합되어진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워터용기를 향하여 직선운동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압부재에 고정되면서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는 샤프트에 나선결합되는 슬리브(144a)와, 상기 가압부재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가압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된 워터압출수단과;
선택된 경도 선택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비례 제어값을 통해 워터압출수단을 비례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A water container having an extraction port and containing mineral water having different hardnesses;
A storage passage for receiving the water container exchangeably;
A lid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the upper case of the storage container;
A pressurizing member coupled to the lid and opened and closed with the lid, and interlocking with 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base coupled to the lid to move linearly toward the water container, a guide shaft for guiding the motion of the pressurizing member, and the pressurization Water consisting of a sleeve (144a) that is helically coupled to a shaft that is fixed to the member and is helically coupled to a shaft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unit, a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and a slider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and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shaft Extrusion means;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proportionally controlling the water extruding means through a preset proportional control value in response to the selected hardness sel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워터용기위를 커버할 수 있는 원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member is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a disk shape capable of covering the water contai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unit is a step mot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는 제어부의 펄스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motor is controlled by the pulse voltage of th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워터용기 사이에 소정의 부피를 갖는 스페이서를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upling a space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between the pressing member and the water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의 개폐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d is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lid is opened or cl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구는 워터용기의 내부압력이 상승할 때 개로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raction port further comprises a check valve that open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water container increa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용기는 배출구와 연통된 결합구에 결합되어 개로되는 추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container is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raction port that is opened by being coupled to a coupling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제 1 항, 제 12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구는 보관통에 장입되었을 때 서로 최단 거리에 배치되도록 워터용기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12 and 13,
The extraction port is a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so as to be disposed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each other when load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제 1 항, 제 12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구는 상기 보관통 바닥에 나선결합되는 나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12 and 13,
The extraction port further comprises a spiral portion spiral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용기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진 밀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container is a sealed body made of a bellows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와 워터용기 사이에 판상체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워터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ineral water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shaped body is further coupl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 and the water container.
KR1020190131331A 2019-10-22 2019-10-22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KR1022132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31A KR102213289B1 (en) 2019-10-22 2019-10-22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31A KR102213289B1 (en) 2019-10-22 2019-10-22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289B1 true KR102213289B1 (en) 2021-02-08

Family

ID=7455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331A KR102213289B1 (en) 2019-10-22 2019-10-22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28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648A (en) * 1996-08-27 1998-03-10 Canon Inc Measuring and supplying device of liquid and its supplying method
JP2004290115A (en) * 2003-03-27 2004-10-21 Taisei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atural mineral water
JP2006232328A (en) * 2005-02-25 2006-09-0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Drink feeder
KR101104934B1 (en) * 2011-01-21 2012-01-12 에프. 홀저 게엠베하 Bellows type container
JP2015150537A (en) * 2014-02-18 2015-08-24 スリーボンド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material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648A (en) * 1996-08-27 1998-03-10 Canon Inc Measuring and supplying device of liquid and its supplying method
JP2004290115A (en) * 2003-03-27 2004-10-21 Taisei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atural mineral water
JP2006232328A (en) * 2005-02-25 2006-09-0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Drink feeder
KR101104934B1 (en) * 2011-01-21 2012-01-12 에프. 홀저 게엠베하 Bellows type container
JP2015150537A (en) * 2014-02-18 2015-08-24 スリーボンド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material suppl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289B1 (en)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KR20210047561A (en)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KR102298924B1 (en) Mineral water extraction device
KR102209834B1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extracting cold water and hot water or mineral water with a certain hardness or mixtures thereof
CN210697241U (en) Intelligent tea drinking machine
KR20210047559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extracting purified water or mineral water with a certain hardness or mixtures thereof
KR100482779B1 (en) Water contained with mushroom constituent and a producing method thereof, and a water product contained with mushroom constituent
RU2421068C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black currants compote
CN107827214A (en) A kind of filter core
RU2417693C1 (en) Preserved wild strawberry compote production method
RU2421060C1 (en) Production method of blackcurrant compote
RU2419336C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raspberry compote
RU2408219C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preserved raspberry compote
RU2396018C1 (en) Production method of raspberry compote
RU2417710C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preserved black currants compote
RU2421036C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black currants compote
RU2381711C1 (en) Production method of raspberry compote
RU2417708C1 (en) Production method of preserved blackcurrant compote
RU2383241C1 (en) Method for producing raspberry compote
RU2417661C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preserved wild strawberry compote
RU2420170C1 (en) Method for grape compote manufacturing
RU2417660C1 (en) Preserved wild strawberry compote production method
RU2383247C1 (en) Method for making strawberry compote
RU2420130C1 (en) Preserved raspberry compote production method
RU2408222C1 (en) Production method of preserved raspberry compo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