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883B1 - 일회용 컵 뚜껑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883B1
KR102212883B1 KR1020200061707A KR20200061707A KR102212883B1 KR 102212883 B1 KR102212883 B1 KR 102212883B1 KR 1020200061707 A KR1020200061707 A KR 1020200061707A KR 20200061707 A KR20200061707 A KR 20200061707A KR 102212883 B1 KR102212883 B1 KR 10221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cup
base
opening
hol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호
이현규
하윤우
Original Assignee
한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호 filed Critical 한민호
Priority to PCT/KR2020/0118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4551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서 외주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외측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출방지부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음용공과, 상기 베이스 중 경사면과 대향진 일측 주변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테두리와, 상기 베이스 중 경사면에 상, 하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일회용 컵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기압조절공, 및 상기 베이스 중 경사면과 대향진 외주변측에 형성되고, 선택적인 개폐로 상기 음용공을 통해 유출되는 음료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공을 포함하여,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일회용 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면에 선택적인 개폐로 상기 음용공을 통해 유출되는 음료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공과, 경사면에 일회용 컵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기압조절공을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음료를 유출하는 음용공의 하부에 유출방지부를 하향으로 돌출형성하여, 일상적인 흔들림에도 일회용 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음용공 및 베이스 주변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 일회용 컵 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컵 뚜껑{Disposable cup lid}
본 발명은 일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일회용 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일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각국은 플라스틱 폐기물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다.
환경부의 발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2016년 기준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약 10.1백만 톤이고, 생활폐기물 중 플라스틱폐기물의 양이 5.2백만 톤으로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대한민국 소비자원에 따르면 주요 도시 내 커피전문점 75개 매장을 대상으로 일회용품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휴대 포장(테이크아웃) 이용 소비자 750명 중에서는 694명(92.5%)이 1회용 컵(플라스틱 뚜껑, 종이컵)을 사용했다.
게다가 일회용 커피 뚜껑에 주로 사용되는 재질인 폴리스티렌(PS)은 소비자들이 환경호르몬에 노출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데,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소속 녹색건강연대에 따르면 커피 뚜껑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스티렌(PS)은 고온에서 성조숙증, 내분비교란 등의 원인으로 알려진 비스페놀A와 스티렌다이머 등의 환경 호르몬을 발생시킨다고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카페에서 뜨거운 음료 테이크아웃 시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뚜껑은 일상적인 흔들림에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어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13399호(2006.03.31)에서는 음료가 밀폐되어 나오지 못하게 하는 음료용 용기가 제안되었으나, 음료용 용기를 만들기 위해 pvc재질의 고무마개를 이용해 밀폐하고 스위치로 조절을 하게 만들어 제품 생산 시에 높은 비용을 초래한다.
그리고 종래기술 공개특허 제10-2012-0079524호(2012.07.13)에서는 컵을 파지하는 힘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하지 않게 상측 개구부측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끼워지며 결합력 형성하였으나 종이컵 자체를 변형 시켜야하는 단점과 용기가 겹쳐지지 않아 보관 시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 모두, 종이컵 자체를 변형시켜야 하기 때문에 카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일회용 컵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뚜껑만 대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 중 생활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환경호르몬에 노출되지 않도록 도움을 주며, 일상적인 흔들림에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일회용 컵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은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서 외주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외측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출방지부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음용공과, 상기 베이스 중 경사면과 대향진 일측 주변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테두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선택적인 개폐로 상기 음용공을 통해 유출되는 음료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공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방지부에는 상기 음용공을 통해 상기 일회용 컵 내부로 진입하는 빨대의 가압으로 상기 유출방지부가 절단되도록 하여, 상기 빨대가 상기 음용공을 통해 컵 내부로 진입하게 하는 커팅라인을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은 상기 고정테두리 중 유출제어공 인근에서 수직선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유출제어공을 폐쇄하는 개폐조절편와, 상기 유출제어공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조절편과 대향진 베이스에 형성되고, 절곡된 상기 개폐조절편의 일측단을 수용하여 상기 개폐조절편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게 고정하는 절개라인을 더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와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고, 음용공을 통해 토출된 음료가 상기 베이스 면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단속하는 방지턱을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사면의 외주변에는 상기 고정테두리와 연결되면서, 상기 일회용 컵의 내면과 밀착하는 밀착테두리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 중 경사면에는 상, 하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일회용 컵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기압조절공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테두리는 상기 일회용 컵의 개구부를 외측 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걸려 상기 일회용 컵에 일회용 컵 뚜껑이 결합되게 하는 결합편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일회용 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면에 선택적인 개폐로 상기 음용공을 통해 유출되는 음료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공과, 경사면에 일회용 컵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기압조절공을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음료를 유출하는 음용공의 하부에 유출방지부를 하향으로 돌출형성하여, 일상적인 흔들림에도 일회용 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음용공 및 베이스 주변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유출제어공의 인근에 선택적으로 절곡되는 개폐조절편 및 상기 개폐조절편의 일측을 수용하는 절개라인을 형성하여, 상기 유출제어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음료의 토출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회용 컵의 개구부를 외측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고정테두리의 끝단측에 결합편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편이 일회용 컵의 개구부의 주변 하측에 걸려 결합되게 하여 뚜껑이 컵으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의 정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에 빨대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이 일회용 컵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의 측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일회용 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면에 선택적인 개폐로 상기 음용공을 통해 유출되는 음료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공과, 경사면에 일회용 컵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기압조절공을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음료를 유출하는 음용공의 하부에 유출방지부를 하향으로 돌출형성하여, 일상적인 흔들림에도 일회용 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음용공 및 베이스 주변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일회용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100)은 베이스(110), 경사면(120), 음용공(130), 고정테두리(140), 기압조절공(150) 및 유출제어공(160)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100)은 종이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베이스(110)는 일회용 컵(10)의 개구부(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일회용 컵(10)의 개구부(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컵의 개구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베이스(110) 역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편에는 상기 베이스(110)의 중심에서 외주변 측에는 경사면(1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와 경사면(120) 사이에는 방지턱(170)을 형성하는데, 상기 방지턱(170)은 음용공을 통해 토출된 음료가 상기 베이스(110) 면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20)은 상기 일회용 컵(10) 내부로 하향 경사진 것으로, 상기 음용공(130)을 통해 유출된 음료가 다시 음용공(130)으로 흐르도록 하고, 상기 경사면(120)의 외주변에는 밀착테두리(14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밀착테두리(142)는 상기 고정테두리(140)와 연결되면서, 상기 경사면(120)의 외주변에서 상기 일회용 컵(10)의 내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으로, 상기 일회용 컵(10)의 내면과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일회용 컵 뚜껑(100)을 상기 일회용 컵(10)의 개구부에 결합하면, 상기 베이스(110)는 개구부(11)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밀착테두리(142)는 상기 일회용 컵(10)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일회용 컵(10)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상기 경사면의 외주변과 일회용 컵(10)의 내면 간의 틈새 사이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테두리(142)를 따라 밀착띠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밀착띠는 해당 지정 온도로 가열되면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밀착테두리(142)와 상기 일회용 컵(10)의 내면 간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 중 경사면(120)과 대향진 일측 주변을 따라 고정테두리(140)를 형성하는데, 상기 고정테두리(140)은 상기 베이스(110) 중 경사면(120)과 대향진 일측 주변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테두리(140)은 상기 일회용 컵(10)의 개구부(11)를 외측 방향으로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 하향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테두리(140)의 끝단을 따라 결합편(141)을 형성하는데, 상기 결합편(141)은 수직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외면을 둥글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테두리(140)를 상기 개구부(11)의 주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게 되면, 자체탄성에 의해 확관되면서, 상기 결합편(141)의 외면이 상기 개구부(11)의 주변을 따라 하향으로 미끄러지고, 상기 결합편(141)이 상기 개구부(11)의 주변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고정테두리(140)의 자체탄성에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개구부(11)의 주변 하측에 걸려 결합되게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와 경사면(120) 사이에는 방지턱(170)을 형성하는데, 상기 방지턱(170)은 음용공(130)을 통해 토출된 음료가 상기 베이스(110) 면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20)의 외측에는 음용공(130)을 형성하는데, 상기 음용공(130)의 형상은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용공(130)은 일회용 컵(10)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음용공(130) 하부에는 유출방지부(131)를 형성한다.
상기 유출방지부(131)는 전, 후방향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그 수직단면이 '∪'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음용공(130)을 기준으로 좌, 우 방향에서는 음료의 유출이 어렵게 하고, 전, 후 방향으로만 음료의 유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출방지부(131)는 외부의 힘에 의해 일회용 컵(10)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흔들리게 되면, 음료가 컵의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데, 이때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음료가 음용공(13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물리적으로 단속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출방지부(131)가 좌, 우 방향으로 연통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 후 방향으로 연통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수직단면 역시 '∪'형에 한정하지 않고, 상측에서 가해지는 가압에 절단될 수 있는 'V'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방지부(131)에는 커팅라인(132)을 형성하는데, 상기 커팅라인(132)은 상기 음용공(130)을 통해 일회용 컵(10) 내부로 진입하는 빨대의 가압으로 상기 유출방지부(131)가 절단되어, 상기 빨대가 일회용 컵(10) 내부로 진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팅라인(132)은 상기 유출방지부(131)가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ooo, --- , ㅡ 중 어느 한 형태의 라인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 중 경사면(120)에는 기압조절공(150)을 형성하는데, 상기 기압조절공(150)은 경사면(120)을 상, 하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일회용 컵(10)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기압조절공(150)의 개폐에 따라 일회용 컵(10) 내부와 외부 간에 기압 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기압조절공(150)을 폐쇄한 상태로 외부의 힘에 의해 일회용 컵(10) 내부의 음료가 흔들리게 되면, 음료가 음용공(130)을 통해 유출되면서 경사면(120)을 따라 음료가 하향으로 다시 흘러 음용공(130)을 막게 되는데, 이때 일회용 컵(10) 내부의 음료 일부가 음용공(130)을 통해 유출되었지만, 일회용 컵(1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없기 때문에 공기의 부피는 증가하고 압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컵 뚜껑(100)의 상기 기압조절공(150)은 보일의 법칙에 의해 기압 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보일의 법칙은 일정온도에서 기체의 입력과 그 부피는 서로 반비례하는 법칙으로, 손님이 일회용 컵(10)을 휴대하여 음료를 운반(테이크 아웃)하는 상황에서 작용한다.
그리고 지표면의 공기의 기압은 1기압을 유지하려는 성질 때문에 음료가 일회용 컵(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단속된다.
이때 상기 기압조절공(150)은 식음자의 손가락으로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표스티커과 같은 탈부착물 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기압조절공(150)을 개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에는 유출제어공(160)을 형성하는데, 상기 유출제어공(160)은 선택적인 개폐로 상기 음용공(130)을 통해 유출되는 음료의 유출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유출제어공(160)이 형성되는 위치는 어느 한 곳에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베이스(110) 중 경사면(120)과 대향진 외주변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출제어공(160)의 개폐를 위해 개폐조절편(161) 및 절개라인(162)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개폐조절편(161)은 상기 고정테두리(140) 중 유출제어공(160) 인근에서 수직선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유출제어공(160)을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라인(162)은 상기 유출제어공(160)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조절편(161)과 대향진 베이스(110) 면에 형성되어, 절곡된 상기 개폐조절편(161)의 일측단을 절개부에 수용하여 상기 개폐조절편(161)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조절편(161)을 상기 경사면(120) 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개폐조절편(161)의 종단측을 상기 절개라인(162)에 수용하면, 상기 유출제어공(160)이 폐쇄되고, 상기 유출제어공(160)이 폐쇄된 경우, 일회용 컵(10)을 최대 80°까지 기울여도 일회용 컵(10)에서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고, 상기 유출제어공(160)이 개방된 경우, 일회용 컵(10)에서 음료의 배출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상기 유출제어공(160)이 막혀 있고, 과도한 양의 음료가 컵(10) 외부로 튀어나오는 경우, 음료가 상기 기압조절공(150)과 음용공(130)을 함께 막는 상황이 연출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컵(10) 내부의 공기 부피는 증가하려 하지만, 공기의 유입이 없이 때문에 음료를 나가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출제어공(160) 역시, 상기 개폐조절편(161) 뿐만 아니라, 상기 기압조절공(150) 같이 식음자의 손가락으로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나, 상표스티커과 같은 탈부착물 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유출제어공(160)을 개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일회용 컵
11: 개구부
100: 일회용 컵 뚜껑
110: 베이스
120: 경사면
130: 음용공
131: 유출방지부
132: 커팅라인
140: 고정테두리
141: 결합편
142: 밀착테두리
150: 기압조절공
160: 유출제어공
170: 방지턱

Claims (7)

  1. 일회용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서 외주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외측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출방지부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음용공;
    상기 베이스 중 경사면과 대향진 일측 주변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테두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선택적인 개폐로 상기 음용공을 통해 유출되는 음료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제어공;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방지부에는
    상기 음용공을 통해 상기 일회용 컵 내부로 진입하는 빨대의 가압으로 상기 유출방지부가 절단되도록 하여, 상기 빨대가 상기 음용공을 통해 컵 내부로 진입하게 하는 커팅라인을 형성한 일회용 컵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테두리 중 유출제어공 인근에서 수직선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유출제어공을 폐쇄하는 개폐조절편와;
    상기 유출제어공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조절편과 대향진 베이스에 형성되고, 절곡된 상기 개폐조절편의 일측단을 수용하여 상기 개폐조절편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게 고정하는 절개라인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컵 뚜껑.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고, 음용공을 통해 토출된 음료가 상기 베이스 면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단속하는 방지턱을 포함하는 일회용 컵 뚜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외주변에는
    상기 고정테두리와 연결되면서, 상기 일회용 컵의 내면과 밀착하는 밀착테두리를 형성한 일회용 컵 뚜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중 경사면에는
    상, 하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일회용 컵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기압조절공을 형성한 일회용 컵 뚜껑.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테두리는
    상기 일회용 컵의 개구부를 외측 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걸려 상기 일회용 컵에 일회용 컵 뚜껑이 결합되게 하는 결합편을 형성한 일회용 컵 뚜껑.

KR1020200061707A 2019-09-04 2020-05-22 일회용 컵 뚜껑 KR10221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827 WO2021045517A1 (ko) 2019-09-04 2020-09-03 일회용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9614 2019-09-04
KR1020190109614 2019-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883B1 true KR102212883B1 (ko) 2021-02-10

Family

ID=7456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707A KR102212883B1 (ko) 2019-09-04 2020-05-22 일회용 컵 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2883B1 (ko)
WO (1) WO20210455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004B1 (ko) 2021-10-20 2022-03-21 주식회사 청하머그리드 작업 편의성이 개선된 리드가공설비
WO2022203352A1 (ko) * 2021-03-22 2022-09-29 김은희 컵 리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40U (ja) * 1992-10-01 1994-04-26 株式会社富近工業 飲用カップの蓋
JPH09156661A (ja) * 1995-12-06 1997-06-17 Zojirushi Corp 液体容器の蓋
JP2001039458A (ja) * 1999-07-28 2001-02-13 Pigeon Corp 飲料容器
KR20090029981A (ko) * 2007-09-19 2009-03-24 문오형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개폐구를 갖는 마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8750B2 (ja) * 1993-09-29 2003-09-22 日本酸素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40U (ja) * 1992-10-01 1994-04-26 株式会社富近工業 飲用カップの蓋
JPH09156661A (ja) * 1995-12-06 1997-06-17 Zojirushi Corp 液体容器の蓋
JP2001039458A (ja) * 1999-07-28 2001-02-13 Pigeon Corp 飲料容器
KR20090029981A (ko) * 2007-09-19 2009-03-24 문오형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개폐구를 갖는 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352A1 (ko) * 2021-03-22 2022-09-29 김은희 컵 리드
KR102377004B1 (ko) 2021-10-20 2022-03-21 주식회사 청하머그리드 작업 편의성이 개선된 리드가공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517A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883B1 (ko) 일회용 컵 뚜껑
US6419105B1 (en) Spill resistant lid with openable and closeable drinking opening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RU2345939C2 (ru) Крышка, в частност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стаканчика
RU2673763C2 (ru) Крышк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ытия
US9169060B2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GB2407562A (en) Disposable cup lid with reclosable and resealable condiment tab
US10759574B1 (en) Cup lid
US20190276199A1 (en) Lid for a container
US20030102312A1 (en) Disposable lid with cream and sugar port
US20160045045A1 (en) Dual-Action Lid
MY194267A (en) Beverage cup with beverage ingredient container and straw cup lid
CN204427767U (zh) 用于烹饪器具的盖体组件和具有其的烹饪器具
CN207467293U (zh) 一种杯盖及杯子
US3198393A (en) Pouring spout
CN108313502B (zh) 一种防漏的热饮杯盖
US20160137365A1 (en) Hygienic seal for containers
CN207658343U (zh) 杯盖
CN109562872B (zh) 用于受控的液体输送的液体容器盖组件
FI3580136T3 (fi) Juomasäiliöiden kertakäyttöinen kansi
US10800582B2 (en) Beverage can lid
KR20130003062U (ko) 다기능 돔유닛을 갖는 핫 음료용 컵 뚜껑
JP2016037298A (ja) 飲料缶の飲み口キャップ
CN207666395U (zh) 杯盖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