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754B1 -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754B1
KR102212754B1 KR1020190166397A KR20190166397A KR102212754B1 KR 102212754 B1 KR102212754 B1 KR 102212754B1 KR 1020190166397 A KR1020190166397 A KR 1020190166397A KR 20190166397 A KR20190166397 A KR 20190166397A KR 102212754 B1 KR102212754 B1 KR 10221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ipe
pressure
water
typ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Priority to KR102019016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6Wireless systems for monitoring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시설의 소규모 가압장이나 수용가와 연결된 관말의 주요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0.3mm 이상의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가 탑재된 관로형 필터기(2)를 구비하며, 관로형 필터기(2)의 선두 유입부에는 제1 개폐밸브(14)를 갖는 입수 연통관(12)과 연통되고, 관로형 필터기(2)의 후미 유출부에는 제2 개폐밸브(18)를 갖는 출수 연통관(16)이 연통되며, 정수된 물이 흐르는 제1 급수관(10a)과 제2 급수관(10b) 사이에서 입수 연통관(12)과 출수 연통관(16)에 연결되며 밸브구동부(24)가 구비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22)를 갖는 비상 직통관체(20)를 구비하며, 관로형 필터기(2)의 입구부 상류측의 관로에는 관로형 필터기(2)의 입수압력을 체크하는 제1 압력전송기(26)를 설치하고 관로형 필터기(2)의 출구부 하류측의 관로에는 관로형 필터기(2)의 출수압력을 체크하는 제2 압력전송기(28)를 설치하며, 제어기(30)가 제1 압력전송기(26)의 입수압력과 제2 압력전송기(28)의 출수압력의 압력 차이를 이용해서 필터막힘 정도를 파악하되 압력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1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에 따라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제2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에 따라 밸브구동부(24)를 구동시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22)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PIPE TYPE FITER SYSTEM OF DEBRIS FILTERING}
본 발명은 상수도 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규모 가압장이나 관말의 주요부분에 설치하여 송수과정에서 관체의 내부 오염부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 이물질들을 최종 걸러 주어 수용가에서의 수돗물 수질민원이 방지 내지 최소화되게 하는 관로형 필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시설은 크게 송수시설과 배수시설로 구분된다. 송수시설은 정수장에서 주로 산 위에 설치되는 배수지로 송수하는 시설이며, 배수시설은 배수지에 저류하고 저류된 정수를 수송, 분배,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시설로서, 배수관, 펌프 및 밸브와 기타 부속설비를 포함한다.
상수도 시설은 평상시 물의 공급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적정한 수압을 유지하고 비상시에는 물의 공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정비되어 있다.
배수시설의 급수구역은 구역내 물 수요의 실태나 지형, 지세에 따라서 단일 또는 복수의 배수계통으로 구성되는데, 평상시 안정급수 확보 및 비상시의 응급급수대책을 위해서는 급수구역이 자연적, 사회적 조건에 맞는 적절한 배수계통으로 구성된 관망을 형성하고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관내의 수질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주로 블록관망(block system)형태로 정비되어서 구축되어 있다.
그러므로 정수장에서 생산된 고품질의 수돗물은 배수지를 거쳐서 배수관로를 통하게 되고, 그중 일부는 배수지를 통한 급수가 불가능한 고지대 등에 위치한 수용가들에게 원활한 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소규모 단위의 가압장의 부스터펌프에 의해 펌핑된 후에 수용가에 공급된다.
이러한 상수도 시설의 특성상 관말지역에서는 정수후 수송 및 분배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과 도 1의 (a)(b)에 예시된 사진과 같이 노후 관로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떨어져 나오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며, 수용가에서는 민원 제기를 일으킬 이물질이 수시로 검출되고 있다. 노후 관로에 기인되어 이물질이 검출되는 현상은 정수장에서 멀리 떨어지거나 배수관로가 길수록 그리고 배수지 및 가압장 등의 과정을 여러 단계로 거칠수록 더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망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2116호 "필터를 구비하는 관로세척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규모 가압장이나 관말의 주요부분에 설치하여 송수과정에서 관체의 내부 오염부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 이물질들을 최종 걸러 주어 상수도 수용가의 수돗물에서 이물질 검출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게 하는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규모 가압장이나 관말의 주요부분에 관로형 필터기를 설치하여 0.3mm 이상의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고 시간이 경과하여도 필터의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없도록 할 수 있는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상수도시설의 소규모 가압장이나 수용가와 연결된 관말의 주요부분에 설치되며, 선두에 필터청소용 개폐문을 구비하며 분기관로통체의 내부에는 0.3mm 이상의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가 탑재된 관로형 필터기를 구비하며, 상기 관로형 필터기의 분기관로통체의 선두 유입부에는 제1 개폐밸브를 갖는 입수 연통관과 연통되고, 관로형 필터기의 분기관로통체의 후미 유출부에는 제2 개폐밸브를 갖는 출수 연통관이 연통되며, 정수된 물이 흐르는 제1 급수관과 제2 급수관 사이에 상기 입수 연통관과 출수 연통관이 분기 연결되고, 상기 입수 연통관과 출수 연통관에 연결되며 밸브구동부가 구비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를 갖는 비상직통관체가 제1 급수관과 제2 급수관에 연통되게 구성하며, 상기 관로형 필터기의 입구부 상류측의 관로에는 관로형 필터기의 입수압력을 체크하는 제1 압력전송기를 설치하고 관로형 필터기의 출구부 하류측의 관로에는 관로형 필터기의 출수압력을 체크하는 제2 압력전송기를 설치하며, 상기 제1 압력전송기의 입수압력과 제2 압력전송기의 출수압력의 차이를 이용해서 필터막힘 정도를 파악하되 압력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1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에 따라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제2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밸브구동부를 구동시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통합감시국과의 무선통신을 위해 무선모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미리 설정된 제1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을 판정하면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함과 함께 할당받은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와 상기 무선모뎀을 이용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합감시국으로 해당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 점검상황임을 알리는 무선전송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에 있어 상기 제어기는,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막힘 정도에 따른 경보발생 및 통합감시국으로의 무선보고와 아울러 수용가에서의 단수상황 방지를 위해 직통로 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관로필터 관리제어부와,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막힘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 및 통합감시국으로의 무선보고를 하기 위한 기준치인 제1 필터막힘 임계치와 수용가에서의 단수상황 방지를 위해 직통로 밸브의 개방을 위한 기준치인 제2 필터막힘 임계치를 저장하고 있는 임계치 저장부와, 해당 위치의 제어기에 할당받은 이동단말 고유식별자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저장하는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 저장부와, 무선모뎀과의 무선인터페이스를 위한 무선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에서 상기 관로필터 관리 제어부는, 상시 감시를 통해 제1 압력전송기로부터 전송된 관로형 필터기로의 입수압력값과 제2 압력전송기로부터 전송된 관로형 필터기의 출수압력값을 근거로 압력차이를 산출하는 압력차이 산출기능부와, 상기 압력차이 산출기능부에서 산출된 압력 차이가 상기 제1 필터막힘 임계치 및 상기 제2 필터막힘 임계치중의 하나와 비교해서 필터막힘 상황을 판정하는 판정기능부와, 상기 압력 차이 산출기능부에서의 압력 차이가 제1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을 판정 기능부가 판정하면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알람 기능부와, 상기 압력 차이 산출기능부에서의 압력 차이가 제1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을 판정 기능부가 판정하면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를 이용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합감시국으로 해당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 점검상황임을 알리는 무선전송하는 감시국 무선보고 제어기능부와, 상기 압력 차이 산출기능부에서의 압력 차이가 제2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을 판정 기능부가 판정하면 밸브구동부를 구동시켜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밸브구동제어 기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에 있어 상기 이물질포집용 원통형 필터체는, 통공들이 배열 형성된 금속재 통체로서 30~50%의 개공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에서 상기 필터청소용 개폐문은 분기관로통체에 장치된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에 대한 점검과 청소 및 수밀유지가 용이하도록 분기관로통체의 개구 플랜지부에 배열된 래치편들에 의해서 잠금고정하되, 상기 분기관로통체의 개구 플랜지부과 원판형 필터청소용 개폐문의 외주부에는 래치삽입용 정렬홈들이 각각 배열 형성되며, 분기관로통체의 개구 플랜지부의 후부 힌지축편에 힌지축 연결된 래치봉이 상기 래치삽입용 정렬홈에 삽입되고 손잡이형 잠금너트에 의해서 래치봉의 나사부가 나사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규모 가압장이나 관말의 주요부분에 송수관로형 필터장치를 설치하여서 송수과정에서 관체의 내부 오염부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 이물질들을 최종 걸러 주어 수용가에서의 이물질 검출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게 하여 수용가에서의이물질 수질민원을 차단하고, 더욱이 소규모 가압장이나 관말의 주요부분에 설치된 관로형 필터장치가 0.3mm 이상의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고 필터 막힘상태를 파악하는 감시와 보고,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시간이 경과하여도 필터의 유지관리에도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상수도 시설에서 노후된 배수관을 보여주는 사진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기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의 사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의 개공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청소용 개폐문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 구성도,
도 7은 도 4의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의 실제 사진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의 설치 사진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수도 시설의 수용가에서 요구하는 수돗물 수질에 대한 문제는 단지 정수장에서 고품질의 정수 물을 만들었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수용가에게 품질 좋은 물이 전달되어야만이 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가와 직접 관련있는 관말 가압장이나 불순물 출수가 빈번한 관말지역의 주요부분에 관체형 필터장치를 설치하여 배수관 또는 기타 배수과정에서 생긴 이물질을 최종 여과해 줌으로써 정수장에서 생성된 고품질의 수돗물이 관로의 노후화 등에 의한 이물질 발생 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가의 소비자에게 제대로 도착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상수관망에서 이물질이 발생하는 원인은 금속관로의 산화, 도장재 등의 박리, 유무기물 및 슬라임 등의 침전, 생물학적인 영향과 상수관망에 대한 유지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수돗물의 이물질은 관로의 내부부식 및 노후화로 인한 부식생성물의 무기성분 뿐만 아니라 관 내부에 끼여 있는 슬라임에 포함된 탄소(C) 성분을 함유한 유기성분도 다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돗물 이물질에 대한 제거를 하면서도 적절한 유지관리가 잘 될 수 있도록 관로형 필터시스템을 구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돗물 수질민원을 해소할 관로형 필터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상수도시설의 소규모 가압장이나 수용가와 연결된 관말의 주요부분(배수관이나 급수관)에 관로형 필터장치가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로형 필터장치는 선두에 필터청소용 개폐문(4)을 구비하며 분기관로통체(6)의 내부에는 0.1mm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0.3mm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가 탑재된 관로형 필터기(2)를 구비하여 제1,제2 급수관(10a)(10b)를 따라 흐르는 정수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며, 여과기간이 지속됨에 따라 관로형 필터기(2)의 포집된 이물질로 인해 필터막힘 현상이 심해져서 급수관 막힘에 의한 수용가 측에서의 단수 방지를 위한 구성요소도 포함된다.
이러한 관로형 필터기(2)를 구성하는 분기관로통체(6)의 선두 유입부는 제1 개폐밸브(14)를 갖는 입수 연통관(12)과 연통되고, 관로형 필터기(2)를 구성하는 분기관로통체(6)의 후미 유출부는 제2 개폐밸브(18)를 갖는 출수 연통관(16)과 연통된다.
소규모 가압장이나 관말의 주요부분에서 정수된 물이 흐르는 제1 급수관(10)과 제2 급수관(10b) 사이에는 관로형 필터기(2)와 연통된 입수 연통관(12)과 출수 연통관(16)이 분기 연결되어 있기에, 제1 급수관(10a)을 통해 흐르는 정수물이 입수 연통관(12)을 통해 관로형 필터기(2)로 들어가게 되고, 관로형 필터기(2)에서 여과된 정수물이 출수 연통관(16)을 통해 제2 급수관(10b)을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상 직통관체(20)를 제1 급수관(10a)과 제2 급수관(10b)에 연통되게 설치하되, 상기 비상 직통관체(20)는 입수 연통관(12)과 출수 연통관(16)에 연결되며 모터와 같은 밸브구동부(24)가 구비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22)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관로형 필터장치는 상기 관로형 필터기(2)의 입구부 상류측의 관로에는 관로형 필터기(2)의 입수압력을 체크하는 제1 압력전송기(26)를 설치하고, 관로형 필터기(2)의 출구부 하류측의 관로에는 관로형 필터기(2)의 출수압력을 체크하는 제2 압력전송기(28)를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관로형 필터장치는 제어기(3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어기(30)는 제1 압력전송기(26)의 입수압력과 제2 압력전송기(28)의 출수압력을 상시 체크하며 제1 압력전송기(26)의 입수압력과 제2 압력전송기(28)의 출수압력의 압력차이를 이용해서 필터막힘 정도를 파악한다. 즉 제어기(30)는 제1 압력전송기(26)의 입수압력과 제2 압력전송기(28)의 출수압력의 압력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1 필터막힘 임계치(필터 45~55% 막힘, 일예로 필터 50% 막힘)에 도달하면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하고 또 미리 설정된 제2 필터막힘 임계치(필터 65~~75% 막힘, 일예로 필터 70% 막힘)에 도달하면 밸브구동부(24)를 구동시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22)가 개방되게 제어한다.
상기 제1 압력전송기(26)의 입수압력과 제2 압력전송기(28)의 출수압력의 압력 차이와 제1,제2 필터막힘 임계치를 설정하는 필터막힘정도의 관계는 실험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 본원 발명자의 실험에서는 상기 압력차이가 1.5kgf/cm2일 때(제1 필터막힘 임계치가 됨) 필터 50% 막힘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로형 필터장치의 제어기(30)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합감시국(34)과의 무선통신 접속을 위해 이동단말에 부여되는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할당받으며,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통합감시국(34)과의 무선통신을 위해 무선모뎀(32)과 연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어기(30)는 전국 전역에 걸쳐 서비스되는 3G나 4G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망 접속으로 해당 위치의 관로형 필터장치에서 제1 필터막힘 임계치(필터 50% 막힘)에 도달하면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통합감시국(34)으로의 해당 관로형 필터기(2)의 필터 점검상황임을 알리는 무선보고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기(30)는 제2 필터막힘 임계치(필터 70% 막힘)에 도달하여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22)를 개방한 후에는 통합감시국(34)으로의 관로형 필터기(2)의 필터막힘 긴급 제거상황임을 알리는 무선보고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기(30)의 구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기(30)는, 관로형 필터기(2)의 필터막힘 정도에 따른 경보발생 및 통합감시국(34)으로의 무선보고와 아울러 수용가에서의 단수상황 방지를 위해 직통로 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관로필터 관리제어부(40)와, 관로형 필터기(2)의 필터막힘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 및 통합감시국(34)으로의 무선보고를 하기 위한 기준치인 제1 필터막힘 임계치(일예로 필터 50% 막힘)와 수용가에서의 단수상황 방지를 위해 직통로 밸브의 개방을 위한 기준치인 제2 필터막힘 임계치(일예로 필터 70% 막힘)를 저장하고 있는 임계치 저장부(42)와, 해당 위치의 제어기(30)에 할당받은 이동단말 고유식별자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저장하는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 저장부(44)와, 무선모뎀(32)과의 무선인터페이스를 위한 무선부(46)와, 관로필터 관리제어부(40)의 제어 하의 경보알람을 표시하기 위한 알람표시등(48)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기(30)의 관로필터 관리 제어부(40)는, 압력차이 산출부(S1), 판정기능부(S2), 경보알람 기능부(S3), 감시국 무선보고 기능부(S4), 밸브구동 제어 기능부(S5)를 포함하며, 아래의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시 감시를 통해 제1 압력전송기(26)로부터 전송된 관로형 필터기(2)로의 입수압력값과 제2 압력전송기(28)로부터 전송된 관로형 필터기(2)의 출수압력값을 근거로 압력차이를 압력차이 산출기능부(S1)가 산출하고, 판정기능부(S2)가 압력차이 산출기능부(S1)에서 산출된 압력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1 필터막힘 임계치(필터 50% 막힘)에 도달함을 판정하면 경보알람 기능부(S3)가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하고 아울러 감시국 무선보고 제어기능부(S4)가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를 이용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합감시국(34)으로 무선전송한다.
또한 판정기능부(S2)가 압력차이 산출기능부(S1)에서 산출된 압력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2 필터막힘 임계치(필터 70% 막힘)에 도달함을 판정하면 밸브구동제어 기능부(S5)가 밸브구동부(24)를 구동시켜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22)가 개방되게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로형 필터기(2)의 분기관로통체(6)에 탑재된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의 사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레스 스틸과 같은 방청 금속재질이며 걸림턱이 있는 원통형 바구니 형태로서 표면에는 0.3mm의 직경(D)을 갖는 통공(50)들이 균일 배열된다.
도 5는 도 4의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의 개공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물질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의 개공율은 아래의 수학식1에 의해서 구해진다.
[수학식 1]
Figure 112019128898077-pat00001
여기서, D는 통공(50)의 크기이고, P는 통공(50)간의 거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의 개공율은 30~50%이고, 바람직하게는 35~45%로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의 개공율 30~50%은 이물질이 포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의 상류와 하류 압력차가 거의 없도록 하는 투과율을 가짐과 동시에 필터체(8)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통공(50)을 위한 3mm 직경(D)의 정밀 천공 역시도 가능하도록 하는데에 그 임계적 의의가 있다.
도 7에서는 도 4의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의 실제 사진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로형 필터기(2)의 필터청소용 개폐문(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로통체(6)에 장치된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에 대한 점검과 청소, 수밀유지가 용이하도록 분기관로통체(6)의 개구 플랜지부(6a)에 배열된 래치편(42)들에 의해서 잠금고정된다.
분기관로통체(6)의 개구 플랜지부(6a)과 원판형 필터청소용 개폐문(4)의 외주부에는 래치삽입용 정렬홈(68)들이 각각 형성되며, 분기관로통체(6)의 개구 플랜지부(6a)의 후부 힌지축편에 힌지(hinge)축 연결된 래치봉(64)이 래치삽입용 정렬홈(68)에 삽입되고 손잡이형 잠금너트(66)가 래치봉(64)의 나사부에 나사체결되면 잠금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필터청소용 개폐문(4)의 체결구조는 작업자가 개폐문(4)의 개방을 원할 시에 손잡이형 잠금너트(66)를 조금만 풀어준 다음 래치봉(64)을 젖혀서 래치삽입용 정렬홈(68)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쉽게 필터청소용 개폐문(4)을 개방할 수 있으며, 잠금시에는 그 역순으로 행하면 되므로 점검과 청소 그리고 수밀유지가 아주 용이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의 설치 사진 예시도로서, 소형 가압장에 관로형 필터장치가 설치된 사진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시설의 소규모 가압장이나 관말의 주요부분에 설치하여서 송수과정에서 관체의 내부 오염부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 이물질들을 최종 걸러 주어 수용가에게 이물질 없는 정수물을 공급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2)-- 관로형 필터기 (4)-- 필터청소용 개폐문
(6)-- 분기관로통체 (6a)-- 개구 플랜지부
(8)-- 이물질포집용 원통형 필터체 (10a)(10b)-- 제1,제2 급수관
(12)-- 입수 연통관 (14)-- 제1 개폐밸브
(16)-- 출수 연통관 (18)-- 제2 개폐밸브
(20)-- 비상 직통관체 (22)-- 단수방지용 개폐밸브
(24)-- 밸브구동부 (26)(28)-제1,제2 압력전송기
(30)-- 제어기 (32)-- 무선모뎀
(34)-- 통합감시국 (40)-- 관로필터 관리제어부
(42)-- 임계치 저장부
(44)--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 저장부
(46)-- 무선부 (48)-- 알람표시등
(50)-- 통공 (62)-- 래치편
(64)-- 래치봉 (66)-- 손잡이형 잠금너트
(68)-- 래치삽입용 정렬홈

Claims (7)

  1. 상수도 수용가의 수돗물에서 이물질 검출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게 할 수 있는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에 있어서,
    상수도시설의 소규모 가압장이나 수용가와 연결된 관말의 주요부분에 설치되며 선두에는 필터청소용 개폐문을 구비하고 분기관로통체의 내부에는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가 탑재된 관로형 필터기를 구비하며,
    상기 관로형 필터기의 유입부에는 제1 개폐밸브를 갖는 입수 연통관과 연통되고, 관로형 필터기의 유출부에는 제2 개폐밸브를 갖는 출수 연통관이 연통되며,
    정수된 물이 흐르는 제1 급수관과 제2 급수관 사이에 상기 입수 연통관과 출수 연통관이 분기 연결되고,
    상기 입수 연통관과 출수 연통관에 연결되며 밸브구동부가 구비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를 갖는 비상 직통관체가 제1 급수관과 제2 급수관에 연통되게 구성하며,
    상기 관로형 필터기의 입구부 상류측의 관로에는 관로형 필터기의 입수압력을 체크하는 제1 압력전송기를 설치하고 관로형 필터기의 출구부 하류측의 관로에는 관로형 필터기의 출수압력을 체크하는 제2 압력전송기를 설치하며,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통합감시국과의 무선통신을 위해 무선모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압력전송기의 입수압력과 제2 압력전송기의 출수압력의 차이를 이용해서 필터막힘 정도를 파악하되 압력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1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에 따라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함과 함께 할당받은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와 상기 무선모뎀을 이용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합감시국으로 해당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 점검상황임을 알리는 무선전송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제2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밸브구동부를 구동시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막힘 정도에 따른 경보발생 및 통합감시국으로의 무선보고와 아울러 수용가에서의 단수상황 방지를 위해 직통로 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관로필터 관리제어부와,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막힘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 및 통합감시국으로의 무선보고를 하기 위한 기준치인 제1 필터막힘 임계치와 수용가에서의 단수상황 방지를 위해 직통로 밸브의 개방을 위한 기준치인 제2 필터막힘 임계치를 저장하고 있는 임계치 저장부와,
    해당 위치의 제어기에 할당받은 이동단말 고유식별자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저장하는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 저장부와,
    통합감시국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모뎀과 무선인터페이스하는 무선부로 구성하고,
    상기 관로필터 관리 제어부는;
    상시 감시를 통해 제1 압력전송기로부터 전송된 관로형 필터기로의 입수압력값과 제2 압력전송기로부터 전송된 관로형 필터기의 출수압력값을 근거로 압력차이를 산출하는 압력차이 산출기능부와,
    상기 압력차이 산출기능부에서 산출된 압력 차이가 상기 제1 필터막힘 임계치 및 상기 제2 필터막힘 임계치중의 하나와 비교해서 필터막힘 상황을 판정하는 판정기능부와,
    상기 압력 차이 산출기능부에서의 압력 차이가 제1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을 판정 기능부가 판정하면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알람 기능부와,
    상기 압력 차이 산출기능부에서의 압력 차이가 제1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을 판정 기능부가 판정하면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를 이용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합감시국으로 해당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 점검상황임을 알리는 무선전송하는 감시국 무선보고 제어기능부와,
    상기 압력 차이 산출기능부에서의 압력 차이가 제2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을 판정 기능부가 판정하면 밸브구동부를 구동시켜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밸브구동제어 기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포집용 원통형 필터체는 통공들이 배열 형성된 금속재 통체로서 30~50%의 개공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용 개폐문은 분기관로통체에 장치된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8)에 대한 점검과 청소 및 수밀유지가 용이하도록 분기관로통체의 개구 플랜지부에 배열된 래치편들에 의해서 잠금고정하되,
    상기 분기관로통체의 개구 플랜지부과 필터청소용 개폐문의 외주부에는 래치삽입용 정렬홈들이 각각 배열 형성되며, 분기관로통체의 개구 플랜지부의 후부 힌지축편에 힌지축 연결된 래치봉이 상기 래치삽입용 정렬홈에 삽입되고 손잡이형 잠금너트에 의해서 래치봉의 나사부가 나사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7. 상수도 수용가의 수돗물에서 이물질 검출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게 할 수 있는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에 있어서,
    상수도시설의 소규모 가압장이나 수용가와 연결된 관말의 주요부분에 관로형 필터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관로형 필터장치는,
    선두에 필터청소용 개폐문을 구비하며 분기관로통체의 내부에는 0.1mm 이상의 이물질 포집용 원통형 필터체가 탑재된 관로형 필터기와,
    상기 관로형 필터기의 유입부와 연통되며 제1 개폐밸브를 갖는 입수 연통관과,
    정수된 물이 흐르는 제1 급수관과 제2 급수관 사이에서 상기 입수 연통관과 출수 연통관에 연결되며 밸브구동부가 구비된 단수방지용 개폐밸브를 갖는 비상 직통관체와,
    상기 관로형 필터기의 입구부 상류측의 관로에 설치되어 관로형 필터기의 입수압력을 체크하는 제1 압력전송기와,
    상기 관로형 필터기의 출구부 하류측의 관로에 설치되어 관로형 필터기의 출수압력을 체크하는 제2 압력전송기와,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통합감시국과의 무선통신을 위해 무선모뎀과,
    상기 제1 압력전송기의 입수압력과 제2 압력전송기의 출수압력의 차이를 이용해서 필터막힘 정도를 파악하되 압력 차이가 필터막힘을 경고하는 미리 설정된 제1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에 따라 필터막힘 경보를 발생함과 함께 미리 할당받은 이동단말고유식별자번호(MIN)와 상기 무선모뎀을 이용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합감시국으로 해당 관로형 필터기의 필터 점검상황임을 알리는 무선전송을 수행하고, 압력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2 필터막힘 임계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밸브구동부를 구동시켜 비상 직통관체의 단수방지용 개폐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KR1020190166397A 2019-12-13 2019-12-13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KR102212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397A KR102212754B1 (ko) 2019-12-13 2019-12-13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397A KR102212754B1 (ko) 2019-12-13 2019-12-13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754B1 true KR102212754B1 (ko) 2021-02-05

Family

ID=7455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397A KR102212754B1 (ko) 2019-12-13 2019-12-13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7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018B1 (ko) * 2021-12-30 2022-09-29 주식회사 승원 정밀여과장치 부단수 바이패스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18322B1 (ko) * 2022-03-31 2023-04-05 (주)디이산업 실시간 상수도 수질감지 및 수질사고 대응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562218B1 (ko) * 2022-09-23 2023-08-01 주식회사 승원 탁도 감지형 tm/tc 수돗물 정밀 여과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786Y1 (ko) * 2006-03-23 2006-06-01 (주)포스프로 기계식 유량계의 배관 구조
KR20090042116A (ko) 2007-10-24 2009-04-29 김도경 필터를 구비하는 관로세척장치
KR100937907B1 (ko) * 2009-04-22 2010-01-20 한미희 단수 방지를 위한 무인관리형 정수장치
KR100990362B1 (ko) * 2010-01-12 2010-10-29 파워테크주식회사 지역별 데이터 수집ㆍ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설물 통합 관리시스템
JP2019093322A (ja) * 2017-11-20 2019-06-20 伸栄工業株式会社 ろ過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ール水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786Y1 (ko) * 2006-03-23 2006-06-01 (주)포스프로 기계식 유량계의 배관 구조
KR20090042116A (ko) 2007-10-24 2009-04-29 김도경 필터를 구비하는 관로세척장치
KR100937907B1 (ko) * 2009-04-22 2010-01-20 한미희 단수 방지를 위한 무인관리형 정수장치
KR100990362B1 (ko) * 2010-01-12 2010-10-29 파워테크주식회사 지역별 데이터 수집ㆍ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설물 통합 관리시스템
JP2019093322A (ja) * 2017-11-20 2019-06-20 伸栄工業株式会社 ろ過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ール水浄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018B1 (ko) * 2021-12-30 2022-09-29 주식회사 승원 정밀여과장치 부단수 바이패스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18322B1 (ko) * 2022-03-31 2023-04-05 (주)디이산업 실시간 상수도 수질감지 및 수질사고 대응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562218B1 (ko) * 2022-09-23 2023-08-01 주식회사 승원 탁도 감지형 tm/tc 수돗물 정밀 여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754B1 (ko) 이물질 여과기능의 관로형 필터시스템
US6245224B1 (en)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KR102313700B1 (ko)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
US5932091A (en) Oily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2163249B1 (ko) 수용가에서의 혼탁수 재발방지를 위한 이물질 여과기능의 상수도 관로형 필터시스템
JP2001505120A (ja) 改良型水処理システム
US11746031B2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190001450U (ko) 산업용 스마트 정수기
EP3860943B1 (en) Fuel storage and supply arrangement having fuel conditioning and filtration assembly
KR102394333B1 (ko) 수용가에서의 혼탁수 재발 방지를 위한 이물질 이중 여과기능의 상수도 관로형 자동 역세필터시스템
CN101730577B (zh) 净水装置的运行方法
CN212127758U (zh) 一种基于云计算的直饮水水务管理系统
US8899258B2 (en) Drain valv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rain valve
CN210736347U (zh) 净化水系统
CN207286832U (zh) 一种桶装水水生产系统
CN213475479U (zh) 一种双核模块化一体式预处理系统
CN205382027U (zh) 一种净水器前置预处理冲洗系统
JP2006297314A (ja) 二酸化塩素発生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二酸化塩素発生装置
US4502953A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with air check valve and filter condition indication
KR20070116017A (ko) 위생 배관용 일체형 오물포집 컵이 부착된 필터 조립체
CN110743238A (zh) 一种污水在线检测自清洁预处理系统和方法
KR102393521B1 (ko) 혼탁수 방지용 복합여과시스템을 구비한 교체 기능이 개선된 상수도 관로형 자동 필터장치
CN105170578A (zh) 一种自动清除废液排放管路堵塞的装置
KR100937907B1 (ko) 단수 방지를 위한 무인관리형 정수장치
JP2000279769A (ja) 膜破損検知方法、その装置、および膜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