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491B1 -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491B1
KR102212491B1 KR1020190061248A KR20190061248A KR102212491B1 KR 102212491 B1 KR102212491 B1 KR 102212491B1 KR 1020190061248 A KR1020190061248 A KR 1020190061248A KR 20190061248 A KR20190061248 A KR 20190061248A KR 102212491 B1 KR102212491 B1 KR 10221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s
pipe
loading pipe
suction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969A (ko
Inventor
나정식
박상조
Original Assignee
나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정식 filed Critical 나정식
Priority to KR102019006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4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50Supplying devices, e.g. funnels; Supply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원두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재관(1100);
상기 적재관(1100)에 설치되는 이송관연결부(1300);
내부에 모터를 장착하고 상단에 배기구(1510)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관(1100) 상단에 설치되는 흡입모터부(1500);
상기 적재관(1100) 하단에 설치되는 토출부(1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적재관(1100) 내부의 기압변동으로 상기 이송관연결부(1300)에 연결된 이송관(500) 내부의 커피원두를 흡입하고,
상기 모터의 정지시 상기 커피원두가 상기 토출부(170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10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the improved fixed quantity inhaling device for coffee bean}
본 발명은 커피원두를 정량으로 토출하기 위한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와 토출된 커피원두를 기압변동으로 흡입하여 분쇄하기 위한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호의 변화로 원두커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보통 커피전문점에서 여러 종류의 커피원두를 인력으로 선별 개량하여 고객에게 공급한다.
따라서 커피원두의 선별과 개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커피원두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통에서 테이블, 조리실, 온수실 등 원하는 장소로 이송관을 통하여 대기압차를 이용하여 흡입하여 공급하는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와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89323호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분배기’, 2018년08월08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1451호 ‘저온 유지를 위한 커피원두 그라인더용 호퍼’, 2018년12월14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여러 종류의 커피원두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통에서 테이블, 조리실, 온수실 등 원하는 장소로 이송관을 통하여 대기압차를 이용하여 흡입하여 공급하는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와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피원두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재관(1100);
상기 적재관(1100)에 설치되는 이송관연결부(1300);
내부에 모터를 장착하고 상단에 배기구(1510)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관(1100) 상단에 설치되는 흡입모터부(1500);
상기 적재관(1100) 하단에 설치되는 토출부(1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적재관(1100) 내부의 기압변동으로 상기 이송관연결부(1300)에 연결된 이송관(500) 내부의 커피원두를 흡입하고,
상기 모터의 정지시 상기 커피원두가 상기 토출부(170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10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커피원두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저장통에서 테이블, 조리실, 온수실 등 원하는 장소로 이송관을 통하여 대기압차를 이용하여 흡입하여 공급하는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와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와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토출부와 배출커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이송관의 실시예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점선부분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와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와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는 각각 독립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병존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Ⅰ.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는,
커피원두를 정량으로 토출하여 이송관(500)으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
상기 본체(100) 상부에 설치되는 원두통(200);
일부는 상기 본체(100) 내부로 삽입되고 일부는 상기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는 개폐구(300);
상기 개폐구(300) 연결되는 구동장치(400);
상기 본체(100)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이송관(5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동장치(400)의 작동으로 상기 개폐구(300)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원두통(200)에 적재된 커피원두가 상기 본체(100)의 토출부(110)를 통해 상기 이송관(500)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100) 하부의 구동장치(400) 전후운동으로 연결된 개폐구(300)의 전후운동을 조정하며,
상기 구동장치(400)가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토출부(110)가 개방되어 이송관(500)으로 커피원두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400)의 이동범위량에 따라 상기 토출부(110)의 개방범위를 조정하여 커피원두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400) 측면에는 위치감지센서(PS)가 부착되어 상기 구동장치(400)의 이동범위량을 정확히 계측하게 된다.
상기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는,
사용 현장의 사정에 따라 상기 본체(100), 상기 원두통(200), 상기 개폐구(300) 및 상기 구동장치(400)의 결합체는 유닛화하여 다수개가 병렬로 설치되며, 하부에서 1개의 이송관(500)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피원두를 산지별, 종류별 등으로 분류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고객의 기호에 따라 각기 다른 커피원두를 정확히 계량하여 혼합하여 이송관(500)을 통해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토출부(110) 주위의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커피원두의 적체를 방지하는 진동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커피원두의 경우 토출부(110)로 배출될 때 적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진동부(600)의 진동으로 인하여 적체된 커피원두를 흔들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진동부(600)는 상기 원두통(200) 하단의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상기 원두통(200)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상기 원두통(200)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3의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이송관(500)에서 커피원두의 이송방향의 반대쪽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AS)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기 흡입모터부(1500) 대신에 도 7과 같이 공기를 불어넣는 컴프레셔와 같은 기능을 하는 공기압축기(AP)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기압축기(AP)는 커피원두의 이송능력을 향상하여 위하여 하기 흡입모터부(1500)와 병행하여 설치될 수 있다.
부연하면 후술하는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1000)에서 이송관(500)의 커피원두를 기압차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흡입할 때, 상기 공기압축기(AP)는 흡입능력을 배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점선부분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110)를 통하여 상기 개폐구(300)의 개폐홀(310)에 정량의 커피원두가 수용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홀(310)이 중립위치로 이동하며,
이어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홀(310)이 상기 이송관(50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홀(310)이 도 13(b)에 도시된 중립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토출부(110) 및 상기 이송관(500)과 연결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상기 본체(100), 상기 원두통(200), 상기 개폐구(300) 및 상기 구동장치(400)의 결합체가 1개의 이송관(500)에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라도 상기 이송관(500)의 공기압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Ⅱ.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
도 8은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1000)는,
커피원두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재관(1100);
상기 적재관(1100)에 설치되는 이송관연결부(1300);
내부에 모터를 장착하고 상단에 배기구(1510)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관(1100) 상단에 설치되는 흡입모터부(1500);
상기 적재관(1100) 하단에 설치되는 토출부(1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적재관(1100) 내부의 기압변동으로 상기 이송관연결부(1300)에 연결된 이송관(500) 내부의 커피원두를 흡입하고,
상기 모터의 정지시 상기 커피원두가 상기 토출부(170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모터부(1500) 하부에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커피원두가 상기 흡입모터부(1500)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서 토출부와 배출커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서 배출커버(1800)는 상기 토출부(1700)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커버(180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미도시)를 이용하여 적체되는 커피원두의 무게에 따라 개방되고 폐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반대쪽에 무게추(1810)를 달아 상기 탄성체의 기능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게추(1810) 조절 또는 이동으로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커버(1800)에는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미도시)을 부착하여 상기 무게추(1810) 및 상기 탄성체(미도시)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상기 흡입모터부(1500)는 상기 적재관(1100)에서 분리되어 상기 적재관(1100)과 별도의 관 또는 호스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관연결부(1300)에 연결된 이송관(500)의 중심축이 상기 적재관(1100)의 중심축과 어긋나게 편심되게 설치하면, 상기 이송관(500)을 통해 상기 적재관(1100)으로 흡입된 커피원두가 상기 적재관(110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흡입 적재되어 흡입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이송관의 실시예이다.
도 10은 도 1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이송관(500)이 분기되어 지관(500-1, 500-2)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이때 분기되는 내부에 방향전환기(PC)를 설치하여 커피원두의 이송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관(500-1, 500-2)은 도시된 것 외에도 2개 이상의 지관이 형성될 수 있어, 원하는 장소에 다수개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10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기(PC)는 공기의 흐름으로 자동 전환 되므로 방향전환기(PC)에 별도의 구동장치 및 전원 없이 흡입장치(1000)가 흡입하는 곳으로 커피원두를 이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의 하부에는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장치(G)가 설치된다.
따라서 한 장소에 다수개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1000)가 인접하여 설치되게 되면, 각각의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1000) 하부에 각기 다른 분쇄성능을 가진 그라인더장치(G)를 설치하여 고객의 기호에 맞는 분쇄도를 가진 커피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AS: 흡기구
AP: 공기압축기
PC: 방향전환기
PS: 위치감지센서
100: 본체
110: 토출부
200: 원두통
300: 개폐구
310: 개폐홀
400: 구동장치
500: 이송관
500-1, 500-2: 지관
600: 진동부
1000: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
1100: 적재관
1300: 이송관연결부
1500: 흡입모터부
1700: 토출부
1800: 배출커버
1810: 무게추

Claims (3)

  1. 커피원두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재관(1100);
    상기 적재관(1100)에 설치되는 이송관연결부(1300);
    내부에 모터를 장착하고 상단에 배기구(1510)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관(1100) 상단에 설치되는 흡입모터부(1500);
    상기 적재관(1100) 하단에 설치되는 토출부(1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터의 구동시 상기 적재관(1100) 내부의 기압변동으로 상기 이송관연결부(1300)에 연결된 이송관(500) 내부의 커피원두를 흡입하고,
    상기 모터의 정지시 상기 커피원두가 상기 토출부(170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흡입모터부(1500) 하부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상기 커피원두가 상기 흡입모터부(1500)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토출부(1700) 하부에는 무게추(1810)가 부착된 배출커버(1800)가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1810)의 조절로 배출되는 커피원두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이송관연결부(1300)에 연결된 상기 이송관(500)의 중심축이 상기 적재관(1100)의 중심축과 어긋나게 편심되게 설치하여 상기 이송관(500)을 통해 상기 적재관(1100)으로 흡입된 커피원두가 상기 적재관(110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흡입 적재되어 흡입효율를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송관(500)이 분기되어 지관(500-1, 500-2)이 형성되며,
    분기되는 내부에 방향전환기(PC)를 설치하여 커피원두의 이송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향전환기(PC)는 공기의 흐름으로 자동 전환 되므로 방향전환기(PC)에 별도의 구동장치 및 전원 없이 흡입장치(1000)가 흡입하는 곳으로 커피원두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1000).
  2. 삭제
  3. 삭제
KR1020190061248A 2019-05-24 2019-05-24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 KR102212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48A KR102212491B1 (ko) 2019-05-24 2019-05-24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48A KR102212491B1 (ko) 2019-05-24 2019-05-24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969A KR20200134969A (ko) 2020-12-02
KR102212491B1 true KR102212491B1 (ko) 2021-02-03

Family

ID=7379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248A KR102212491B1 (ko) 2019-05-24 2019-05-24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4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509B1 (ko) * 2013-02-07 2014-12-16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곡물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0320B2 (ja) * 1997-02-06 2006-06-28 株式会社松井製作所 気体によって輸送される粉粒体の貯留槽
KR102012584B1 (ko) 2017-01-31 2019-08-20 주식회사 푸드엔텍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분배기
KR101931451B1 (ko) 2017-12-12 2018-12-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유지를 위한 커피원두 그라인더용 호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509B1 (ko) * 2013-02-07 2014-12-16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곡물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969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1335B1 (en) Built-in pump for an airbed with a single valve
CN109310255B (zh) 用于集尘器的减压阀和软管设备、集尘器及用于操作集尘器的方法
CN107224209B (zh) 烹调设备的分料装置、送料装置、加料装置及其烹调设备
KR102212491B1 (ko)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흡입 장치
CN104545456A (zh) 全自动智能豆浆机
US20180282081A1 (en) Grain conveying apparatus using air
KR102284185B1 (ko) 개량형 커피원두 정량 토출 장치
US20180099820A1 (en) Automated vacuum actuated control
CN207482939U (zh) 一种大米传输装置
KR101472509B1 (ko) 곡물 이송 장치
CN209242158U (zh) 一种吸料斗
CA1186662A (en) Small beverage dispenser for commercial use
JPS61111544U (ko)
KR20210035670A (ko) 맞춤형 커피 주문 시스템
KR200423775Y1 (ko) 파우더 이송장치
CN112473774A (zh) 自动售米机
EP3801156B1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coffee beans
CN208700108U (zh) 一种爆米花机的糖料自动下料装置
CN208709523U (zh) 物料存储装置及烹饪器具
KR200187941Y1 (ko) 곡물이송장치
JP7027799B2 (ja) 吸引式搬送機
CN207354920U (zh) 一种杂交水稻种子存储装置
CN218738394U (zh) 一种采用风力送粉的咖啡壶
CN211216570U (zh) 一种颗粒状原料真空上料系统
KR20220169596A (ko) 커피원두 로스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