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288B1 -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288B1
KR102212288B1 KR1020190074842A KR20190074842A KR102212288B1 KR 102212288 B1 KR102212288 B1 KR 102212288B1 KR 1020190074842 A KR1020190074842 A KR 1020190074842A KR 20190074842 A KR20190074842 A KR 20190074842A KR 102212288 B1 KR102212288 B1 KR 102212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carbon nanotubes
nanotube dispersion
liquid carb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060A (ko
Inventor
문지훈
구현철
이학주
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평레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평레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평레미콘
Priority to KR102019007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2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04B14/026Carbon of particular shape, e.g.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03Methods for mix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04B14/024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386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6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03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making use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4B40/0021Sonic or ultrasonic waves, e.g. to initiate sonochemical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82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making use of a rise in temperature, e.g. caused by an exothermic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흑연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Exothermic Concrete using Liquid Carbon Nanotubes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액상형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되어 발열효율이 향상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주택, 도로, 다리, 초고층빌딩, 댐 등 도처에서 다양한 구조물의 시공에 필요한 것으로, 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콘크리트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힘들 정도로 그 활용도가 상당한 실정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중 발열콘크리트는 전기전도성의 향상으로 콘크리트로 주거 또는 생산시설의 바닥 및 벽체, 폭설이나 결빙시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공항의 활주로, 도로의 결빙지역, 교량, 철도의 분기 시설지, 온실, 농산물의 건조시설 등 난방용 건설 및 건축설비물 등 다양한 온도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54478호에서는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마사토 골재 30~40중량%를 준비하는 마사토 골재 준비단계(S100); 콘크리트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황토 3~7중량%와, 석회석 미분말 3~6중량%와, 시멘트 10~20중량%와, 슬래그미분말 5~7중량%와, 물 20~40중량%로 된 부재료를 준비하는 부재료 준비단계(S200); 콘크리트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그래핀용액 0.1~6중량%를 준비하는 그래핀용액 준비단계(S300); 콘크리트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광물접합물질 3~7 중량%를 준비하는 광물접합물질 준비단계(S400); 및 마사토 골재와, 황토와, 석회석 미분말과, 시멘트와, 슬래그 미분말과, 물과, 그래핀용액과, 광물접합물질을 혼합하는 혼합단계(S500)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핀용액 준비단계(S300)에서, 그래핀용액은, 황산(H2SO4) 50ml를 90℃까지 열중탕기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과황화칼륨(K2S2O8) 10g과 오산화인 10g을 넣어준 후, 다 녹을 때까지 교반하고, 교반된 혼합액을 80℃가 되도록 냉각시킨 후, 흑연(Graphite) 12g을 넣고 4~5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가열을 멈추고 2L의 증류수로 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희석시키며, 희석된 용액을 0.2㎛의 나일론 필터를 이용하여 흑연을 걸러내어 용액만 추출하며, 추출된 용액을 0℃의 항온조에 2L 비커를 넣어 준비하고 460mL의 황산을 비커에 넣고 전처리를 거친 그래핀을 비커에 넣고 교반하고, 혼합물을 비커에 과망간산칼륨(KMnO4) 60g을 넣고 완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비커를 꺼내어 35℃의 항온조에 넣고 2시간동안 교반하며, 혼합물을 다시 0℃의 항온조에서 40~5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증류수 920mL를 20~30mL로 나누어 넣어주면서 2시간 동안 교반 후, 2.8L의 물을 넣어 3시간동안 교반 희석하며, 희석물 100중량%에 대하여 과산화수소(H2O2)를 20~30중량%를 넣어준 후, 염화수소(HCl)와 증류수가 부피비로 1 : 2의 비율로 혼합된 물을 첨가하여 얻어진 PH 5~7에 해당하는 그래핀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함유한 전도성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그래핀을 이용하여 전도성을 부여하고자 한 것이나 이러한 그래핀의 경우 분산이 용이하지 않아 페이스트에 전도성 단절구간을 형성하기 쉬워서 적은 에너지로 우수한 발열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54478호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되 분산성 등을 향상시켜 적은 에너지로도 충분한 발열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이하 "본 발명의 발열콘크리트"라함)는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흑연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폴리비닐피로리돈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탄소섬유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에리스리톨 및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 혼합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은,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흑연, 골재를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단계(S20);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상기 혼합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교반시키는 단계(S30); 상기 조성물을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S10단계에는, 교반용기에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혼합한 후 초음파발생구를 가동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교반용기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성되며, 상기 외용기에는 냉각수가 충진되며, 상기 외용기의 내부에 구성되는 내용기에는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가 투입되고, 상기 내용기에서 초음파발생구에 의해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하여 온도상승이 제어되도록 하면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외용기 내부에 상기 내용기는 열전도성재질의 열전달바와 그 외주연에 열차단피복을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온도에 따라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냉각수의 충진을 선택적으로 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콘크리트는 탄소나노튜브 등의 균일한 분산, 탄소나노튜브의 기능저하 방지 등에 의해 적은 에너지로 발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열콘크리트는 전도성 단절구간을 제어하여 발열효율을 배가시키도록 하면서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발열성능을 실험한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반응용기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반응용기의 다른 예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발열콘크리트는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흑연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해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30 내지 80중량부, 흑연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에는 전로슬래그가 포함될 수 있다. 전로슬래그는 철분이 많이 함유돼 있어 천연 암석보다 밀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바, 페이스트의 전기전도성이 부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로슬래그엔 생석회(CaO)가 함유돼 있어 물과 반응하면 체적팽창이 되는 바, 팽창제로서 균열저감의 기능도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폴리비닐피로리돈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상의 탄소나노튜브를 물에 희석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탄소나노튜브 입자들은 강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인력으로 인해 입자간 인력이 생기며, 이로 인해 자기-응집(self-aggregation)을 이루게 된다. 탄소나노튜브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페이스트에서 탄소나노튜브 입자 자체를 미세입자로 분산시키고, 분산된 미세입자들의 분산성을 유지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특히 탄소나노튜브는 비중이 매우 낮아 배합시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며 표면으로 떠오르기 때문으로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에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탄소나노튜브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카르본산(Polycarboxylate)계 감수제를 사용하는데, 주쇄(main chain)가 긴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는 카르복실기(COO-)가 시멘트의 초기 분산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고 시멘트가 수화하여 강도를 발현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폴리카르본산(Polycarboxylate)계 감수제와 더불어 폴리카르본산(Polycarboxylate)계 유지제가 더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쇄(side chain)가 긴 폴리카르본계 유지제의 카르복실기(COO-)의 주쇄가 시멘트 수화물의 생성물에 매립되면 측쇄의 2차 분산 능력으로 장시간 작업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에 있어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폴리카르본산계 유지제의 경우 액상 탄소나노튜브의 농도, 용도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그 배합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페이스트의 전기전도도가 발현되도록 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에 더하여 흑연이 더 첨가되도록 한다.
소정의 전도성능이나 강도강화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필러로서 탄소나노튜브 또는 흑연간에 네트워킹(Networking)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필러간에 좋은 네트워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장축비가 작은 흑연보다는 장축비가 월등히 큰 탄소나노튜브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즉, 장축비가 큰 탄소나노튜브는 적은 량의 함량으로도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발현하며, 반면에 장축비가 작은 흑연은 탄소나노튜브에 비하면 훨씬 많은 량의 함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만을 사용하는 경우 경제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튜브와 흑연을 필러로서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킹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튜브와 흑연에 더하여 탄소섬유가 더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탄소섬유는 유기섬유를 불활성기체 속에서 적당한 온도로 열처리해 탄화, 결정화시킨 섬유를 정의하는 것으로, 탄소섬유는 그래파이트(graphite)상의 탄소로 된 고강도ㆍ고강성 등 기계적 성질이 발현된다.
이렇게 탄소섬유가 혼입됨으로써 가교작용을 통한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탄소섬유는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는 바, 페이스트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탄소섬유는 탄소나노튜브에 비해 장축비가 월등히 커서 네트워킹이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탄소나노튜브 또는 흑연 간에 응집에 의해 전도성의 단절구간이 형성되더라도 탄소섬유가 탄소나노튜브 또는 흑연 간에 응집부분을 연결하여 더욱 전도성을 강화시켜 발열효율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작업성 등을 위해 물/결합재비(w/c)가 증가하면 탄소나노튜브 또는 흑연의 뭉침 현상이 증가하는데 탄소섬유(Carbon fiber)에 의해 응집된 탄소나노튜브 간, 흑연 간, 탄소나노튜브와 흑연간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므로 전도성의 단절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균열부분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전도성의 단절구간이 형성되는데 탄소섬유가 첨가됨에 의해 탄소섬유의 가교작용을 통해 페이스트의 균열을 제어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해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30 내지 80중량부, 흑연 5 내지 30중량부, 탄소섬유 1 내지 3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배합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들 외에도 에리스리톨 및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 혼합물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에리스리톨은 시멘트 페이스트가 전해질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전도성 단절구간의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에리스리톨은 배합과정 및 경화과정에서 수화열을 흡수하여 균열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수화열의 흡수에 의해 열에 의해 탄소나노튜브의 열변성을 제어하여 기능저하를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시멘트 페이스트가 경화후에는 건조수축 등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필러가 충진되지 않은 구간은 전도성의 단절구간으로서 작용하여 발열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며, 이러한 수축은 균열을 유발하여 구조적 건전성을 저하시키고 물리적으로도 전도성의 단절구간으로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에리스리톨을 첨가토록 하여 보습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경화과정에서 수화열이 상기 에리스리톨에 의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온도균열의 형성도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에리스리톨만 첨가하는 경우 에리스리톨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열을 흡수하는 성상에 의해 하절기 등 주위 온도가 높은 경우 너무 많은 열을 흡수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습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에리스리톨에 더하여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가 더 첨가되도록 하여 열적 안정성이 부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해 에리스리톨과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 혼합물 1 내지 3중량부가 배합되도록 하고, 에리스리톨과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는 중량비로 (70:30) 내지 (80:20)으로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에리스리톨과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가 더 첨가되는 경우 발열효율이 배가되는 것은 도 1에서 도시하는 실험결과에서도 증명이 된다.
도 1에 있어 실시예 1의 경우는 시멘트를 100중량부에 대해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80중량부, 흑연 2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된 예이고,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합하되, 탄소섬유 3중량부가 더 배합된 예이며, 실시예 3의 경우 실시예 2와 동일하되, 에리스리톨과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 혼합물 3중량부가 더 배합된 예이며 여기서 에리스리톨과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는 중량비로 (70:30)인 것으로 하였다.
실험결과에서 보면 실시예 1보다 실시예 2의 경우가 더욱 발열효율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탄소섬유가 탄소나노튜브 또는 흑연 간에 응집부분을 연결하여 전도성을 강화시키는 점과 가교작용에 의해 균열을 제어하는 점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실시예 2보다 실시예 3의 경우가 더욱 발열효율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멘트 페이스트가 전해질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여 전도성 단절구간의 형성을 제어하는 점과 수화열 흡수 등에 의해 균열을 제어하는 점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에서 언급한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흑연, 골재를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단계(S20);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상기 혼합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교반시키는 단계(S30); 상기 조성물을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S10)를 갖는다. 상기 S10단계에는, 교반용기에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혼합한 후 초음파발생구를 가동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초음파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되고 이러한 열은 탄소나노튜브를 열화시키는 인자로 작용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기능의 발현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되는 교반용기(1)를 사용하여 S10단계가 수행되어지는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용기(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기(2)와 외용기(3)로 구성되며, 상기 외용기(3)에는 냉각수(5)가 충진되며, 상기 외용기(3)의 내부에 구성되는 내용기(2)에는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가 투입되고, 상기 내용기(2)에서 초음파발생구(4)에 의해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하여 온도상승이 제어되도록 하면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6)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용기(3)와 내용기(2) 사이에 충진된 냉각수(5)와 내용기(2)에 충진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6)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초음파발생구(4)에 의해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로 이루어진 교반대상물을 교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열교환에 의해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발생구(4)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기의 온도에 따라 열교환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교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탄소나노튜브의 열화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용기(3) 내부에 상기 내용기(2)는 열전도성재질의 열전달바(71)와 그 외주연에 열차단피복(72)을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대(7)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온도에 따라 외용기(3)와 내용기(2) 사이에 냉각수(5)의 충진을 선택적으로 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6)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용기(3) 내부에 내용기(2)가 복수의 지지대(7)에 의해 상호 이격을 형성하면서 구성되되, 상기 지지대(7)는 열전도성재질의 열전달바(71)와 그 외주연에 열차단피복(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전달바(71)는 내용기(2)의 열(H1)을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그 재질은 당연히 열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열전단바(71)를 감싸는 열차단피복(72)은 열전달바(71)와 외부간 열전달을 차단토록 하는 것으로 도 4a에서는 열전달바(71)와 외용기(3)와 내용기(2) 사이의 공기간 열전달을 차단토록 하여 내용기(2)에서 이하에서 설명할 초음파분산에 의해 발생되는 열(H1)이 외용기(3) 외부로 방열이 되도록 하는 것이며, 도 4b에서는 열전달바(71)와 냉각수(5) 간의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하여 냉각수(5)와 탄소나노튜브 분산액(6) 간에만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열차단피복(72)의 경우도 다양한 공지의 재질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 4a는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 특히 동절기 등에 외부의 낮은 온도가 탄소나노튜브 분산액(6)으로 전달되는 경우 분산자체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탄소나노튜브가 응집된 형태의 분산액(6)이 제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바, 이 경우 외용기(3)와 내용기(2) 사이는 외기가 내용기(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열차단층의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여 내용기(2) 내부의 탄소나노튜브 분산액(6)에 분산저하를 유발할 정도의 저온이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며, 초음파에 의한 분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H1)의 경우는 열전달바(71)를 이용하여 외부로 방열시켜 분산과정에서 탄소나노튜브가 열화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즉 도 4a는 동절기 등에 내용기(2) 내부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6)이 분산이 어려울 정도로 저온이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면서 초음파에 의한 분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H1)은 외부로 방열시켜 탄소나노튜브의 열화를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4b는 하절기 등의 경우 내용기(2) 내부의 탄소나노튜브 분산액(6)에 외기가 전달되는 것만으로도 탄소나노튜브의 열화를 초래할 수 있는 경우 외용기(3)와 내용기(2) 사이에 냉각수(5)를 충진토록 하여 냉각수(5)와 탄소나노튜브 분산액(6) 간에 열(H2)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초음파에 의한 분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H1)의 경우도 열전달바(71)를 이용하여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하여 외기 및 초음파에 의한 분산에 의해 탄소나노튜브가 열화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S10)를 거치면, 그 다음으로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흑연, 골재를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단계(S20)를 갖는다. 결합재, 흑연, 골재를 교반시켜 특히 입자가 작은 흑연이 결합재와 골재 간에 충분한 분산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상기 혼합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교반시키는 단계(S30)를 갖는다. 본 단계(S30)의 경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교반용기(1)를 이용하여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S30)에서는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상기 혼합물외에도 탄소섬유, 에리스리톨 및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 혼합물을 더 첨가한 조성물에 대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성물을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S40)를 갖는다. 본 단계(S40)에서는 용도에 따라 상기 조성물을 타설 및 양생토록 하는데, 용도에 따라 전극이 거푸집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성물을 타설 및 양생토록 하여 전극이 매립된 형태의 구조물이 제조 또는 시공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교반용기 2 : 내용기
3 : 외용기 4 : 초음파발생구
5 : 냉각수 6 :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Claims (8)

  1. 시멘트,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흑연, 에리스리톨과 폴리부틸주석말레이트 혼합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폴리비닐피로리돈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3. 제 1항에 있어서,
    탄소섬유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4. 삭제
  5.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시멘트, 흑연, 골재를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단계(S20);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상기 혼합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교반시키는 단계(S30);
    상기 조성물을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S10단계에는, 교반용기에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혼합하여 초음파발생구를 가동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되,
    상기 교반용기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성되며, 상기 외용기에는 냉각수가 충진되며, 상기 외용기의 내부에 구성되는 내용기에는 액상 탄소나노튜브, 물,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가 투입되고 초음파발생구에 의해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하여 온도상승이 제어되도록 하면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내부에 상기 내용기는 복수의 열전도성재질의 열전달바와 그 외주연에 열차단피복을 포함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온도에 따라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냉각수의 충진을 선택적으로 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20190074842A 2019-06-24 2019-06-24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2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42A KR102212288B1 (ko) 2019-06-24 2019-06-24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842A KR102212288B1 (ko) 2019-06-24 2019-06-24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60A KR20210000060A (ko) 2021-01-04
KR102212288B1 true KR102212288B1 (ko) 2021-02-05

Family

ID=7412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842A KR102212288B1 (ko) 2019-06-24 2019-06-24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730A (ko) 2021-12-27 2023-07-05 한국세라믹기술원 코크스 혼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발열 모르타르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308B1 (ko) * 2021-10-14 2022-10-18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칼슘-알루미네이트계 화합물 및 전도성 골재를 이용한 발열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755B2 (ja) 1992-11-30 1997-03-19 日本セメント株式会社 発熱温度抑制用セメント添加剤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US20180334407A1 (en) * 2017-05-17 2018-11-22 Eden Innov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Nanocarbon Particle Admixtures And Concre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306A (ko) * 1995-08-18 1997-03-27 전, 후석 파워 시트 제어회로
EP2562766A1 (de) * 2011-08-22 2013-02-27 Bayer MaterialScience AG Kohlenstoffnanoröhren und Graphenplättchen umfassende Dispersionen
KR101343454B1 (ko) * 2011-12-14 2013-12-19 (주)케미우스코리아 Cnt를 혼입한 수화열 방열 콘크리트 조성물
KR101654478B1 (ko) 2015-09-03 2016-09-05 김승묵 그래핀을 함유한 전도성 발열콘크리트 및 그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755B2 (ja) 1992-11-30 1997-03-19 日本セメント株式会社 発熱温度抑制用セメント添加剤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US20180334407A1 (en) * 2017-05-17 2018-11-22 Eden Innov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Nanocarbon Particle Admixtures And Concre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730A (ko) 2021-12-27 2023-07-05 한국세라믹기술원 코크스 혼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발열 모르타르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60A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289B1 (ko) 발열콘크리트용 레미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
Hekimoğlu et al. Silica fume/capric acid-stearic acid PCM included-cementitious composite for thermal controlling of buildings: Thermal energy storage and mechanical properties
KR102212288B1 (ko) 액상형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86981B (zh) 一种具有导热和储热功能的混凝土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40213B1 (ko) 폐탄소나노튜브 및 폐음극재를 이용한 전자파차폐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Ren et al. Preparation and analysis of composite phase change material used in asphalt mixture by sol–gel method
KR102493676B1 (ko) 폐탄소나노튜브 및 폐음극재를 이용한 발열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Haider et al. Enhanc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rmal energy storage concrete containing a low-temperature phase change material using silica fume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N1264776C (zh) 石蜡相变保温砂浆粉及石蜡相变保温砂浆的制备方法
CN113024141B (zh) 一种改性碳纤维及其制法和改性碳纤维增强水泥基材料
CN108238752A (zh) 一种基于高吸水树脂的储热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6396707A (zh) 一种超高温抗结皮浇注料
KR102493675B1 (ko) 폐음극재를 이용한 발열 투수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3838864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binder for manufacturing heatable building parts
CN108409229A (zh) 一种石墨烯改性降阻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96925B1 (ko) 고상 탄소 캡슐이 혼입된 발열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N105503095A (zh) 一种相变储热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1363305B1 (ko)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콘크리트 도로용 시멘트 융설체
Wei et al. Extremely high thermal conductive cement-based composites with diamond/ZnO/expanded graphite thermal conductivity network for cooling road
JP5294539B2 (ja) 融雪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915937A (zh) 金属纤维混凝土及其生产工艺
KR101369733B1 (ko)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콘크리트 도로용 시멘트 융설체의 시공 방법
KR101906016B1 (ko) 발열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113845887B (zh) 一种磷石膏基复合相变储能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467252A (zh) 一种耐高温固化剂地坪材料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