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134B1 -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134B1
KR102212134B1 KR1020180006628A KR20180006628A KR102212134B1 KR 102212134 B1 KR102212134 B1 KR 102212134B1 KR 1020180006628 A KR1020180006628 A KR 1020180006628A KR 20180006628 A KR20180006628 A KR 20180006628A KR 102212134 B1 KR102212134 B1 KR 10221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weigh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279A (ko
Inventor
이희제
권윤경
박병수
강성욱
한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0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1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온도가변형 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THE TEMPERATURE VARIABL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자장치(OED; organic electronic device)는 정공 및 전자를 이용하여 전하의 교류를 발생하는 유기 재료층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그 예로는, 광전지 장치(photovoltaic device), 정류기(rectifier),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전자장치 중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doe)는 기존 광원에 비하여, 전력 소모량이 적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표시장치 또는 조명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OLED는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여, 각종 휴대용 기기, 모니터, 노트북 및 TV에 걸친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OLED의 상용화 및 용도 확대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문제점은 내구성 문제이다. OLED에 포함된 유기재료 및 금속 전극 등은 수분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매우 쉽게 산화된다. 따라서, OLED를 포함하는 제품은 환경적 요인에 크게 민감하다. 이에 따라 OLED 등과 같은 유기전자장치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산소 또는 수분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접착성 캡슐화 조성물 필름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 PIB(polyisobutylene)을 기반으로 한 점착제로 가공성이 좋지 않고, 고온 고습 조건에서 신뢰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유기 전자 장치에서 요구 수명을 확보하고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고온 고습 조건에서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고 광학 특성 및 재작업성이 우수한 봉지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36837호
본 명세서에서는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배리어 필름(Barrier Film) 상에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제2 점착제층은 우레탄 점착 수지와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점착제층과 SUS304 기판과의 초기 점착력(G1)이 100 gf/in 이하이며, 50℃ 및 5기압의 조건에서 20분 경과 후의 점착력(G2)이 500 gf/in 이상이고,
G2/G1 > 5 의 식을 만족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 봉지 제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배리어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배리어 필름 상에 전술한 점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점착 특성과 같은 종래의 점착 시트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특징적으로 초기 점착력이 낮아 오부착 시 재작업(Rework)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시트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배리어 필름(Barrier Film) 상에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제2 점착제층은 우레탄 점착 수지와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점착제층과 SUS304 기판과의 초기 점착력(G1)이 100 gf/in 이하이며, 50℃ 및 5기압의 조건에서 20분 경과 후의 점착력(G2)이 500 gf/in 이상이고, G2/G1 > 5 의 식을 만족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배리어 필름은 기재층, 평탄화층 및 배리어(Barrier)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착제층은 상기 배리어 필름의 배리어층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으로 사용되는 기재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기재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으로는, 다양한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아세테이트 수지 필름, 폴리에테르설폰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아릴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페닐렌설피드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층체의 용도를 고려하여 적정한 두께로 조절될 수 있다. 통상 기재 필름은 10㎛ 내지 110㎛, 10㎛ 내지 80㎛, 10㎛ 내지 60㎛ 또는 10㎛ 내지 30㎛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에서 상기 제2 점착제층은 우레탄 점착 수지와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점착 수지로는 광학적으로 허용되는 제반 점착 및/또는 접착 소재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점착 수지로 우레탄 점착 수지를 사용할 경우,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피착기재에 대한 웨팅(젖음성)이 좋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점착 수지로 SP-205(TOYO INK)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는 구체적으로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MA),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stearyl methacrylate, STMA) 및 FM-0721(Chisso Corp.)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는 용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톨루엔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200,000의 범위 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100,000의 범위 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수치를 의미할 수 있고,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어떠한 중합체의 분자량은 그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는 상기 제2 점착제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상온에서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점착제 표면에 존재하여 초기 상온 박리력을 낮출 수 있고, 가온/가압 공정 이후에는 점착제의 메인 수지의 역할이 커져 피착기재와의 부착력이 강해짐으로써 점착제층에 온도 가변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점착제층은 공지의 추가 성분, 예를 들면 대전 방지제, 점착성 부여 수지,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재, 소포제, 계면 활성제 또는 가소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점착제층은 상기 제2 점착제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우레탄 점착 수지 60 내지 99 중량부,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0.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μm 내지 30 μ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에서 상기 제2 점착제층과 SUS304 기판과의 초기 점착력(G1)이 5 gf/in 이상 100 gf/in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gf/in 이상 90 gf/in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낮은 초기 점착력으로 인해 오부착 시 재작업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에서 상기 제2 점착제층의 도포 후 50℃ 및 5기압의 조건에서 20분 경과 후의 점착력(G2)이 500 gf/in 이상 2000 gf/in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600 gf/in 이상 1800 gf/i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점착제층의 50℃ 및 5기압의 열처리로 오토클레이브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하는 오토클레이브를 실행함으로써 압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초기 점착력은 제2 점착층에 붙어있는 이형필름을 제거 후 SUS304 기판에 1인치 길이로 2kg 하중의 롤로 라미한 다음 20분 뒤에 TA(Texture Analyze) 장비로 300mm/min의 속도, 180도 각도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오토클레이브 후의 점착력은 SUS304 기판에 1인치 길이로 2kg 하중의 롤로 라미한 다음 오토클레이브 처리 후 TA(Texture Analyze) 장비로 300mm/min의 속도, 180도 각도로 박리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G2/G1 > 5 의 식을 만족한다.
예컨대, 상기 G2/G1의 값은 7 이상 60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0이하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식을 만족함으로써 초기 박리력이 낮고, 열처리 후 박리력이 높아 가변 성능이 우수하며, 재작업 특성이 부여되고 신뢰성 또한 우수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수분 투과율이 10 g/m2·24h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 내에서 점착 시트는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이나 산소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소자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투과율은 낮을수록 우수한 수분 차단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므로, 그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0 g/m2·24h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수분 투과율은 필름 형상의 점착층에 나일론 메시를 부착하여 100 ℉ 및 100 %의 상대습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필름 형상의 층의 두께 방향에 대한 수분 투과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분 투과율은 ASTM F1249에서의 규정에 따라서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착제층은 디엔 및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올레핀계 화합물은 이소부틸렌,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엔은 상기 올레핀계 화합물과 중합 가능한 단량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부텐, 2-부텐,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소부틸렌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이소부틸렌 단량체와 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화합물 및 디엔의 공중합체는 부틸 고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수지를 사용함에 따라,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수분 차단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 투과도가 낮으나, 내열성 또한 낮은 기존의 이소부틸렌 중합체와 비교하여 내습성과 내열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제 및 경화성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바람직하게 수소화된 환형 올레핀계 중합체일 수 있다.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면, 석유 수지를 수소화하여 얻어지는 수소화된 석유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소화된 석유 수지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소화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지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점착 부여제는 점착제 조성물과 상용성이 좋으면서도 수분 차단성이 우수하고, 유기 휘발 성분이 낮은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수소화된 석유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수소화된 테르펜계 수지, 수소화된 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수소화된 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200 내지 5,000 일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부여제는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8 내지 95 중량부, 10 중량부 내지 93 중량부 또는 15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수지는 예를 들면, 경화되어 접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서,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드기 등과 같은 열경화 가능한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거나, 혹은 에폭사이드(epoxide)기, 고리형 에테르(cyclic ether)기, 설파이드(sulfide)기, 아세탈(acetal)기 또는 락톤(lactone)기 등과 같은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해 경화 가능한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에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 방향족 또는 지방족; 또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에폭시 당량이 180 g/eq 내지 1,000 g/eq인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에폭시 당량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경화물의 접착 성능 및 유리전이온도 등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폭시 수지의 예에는,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4관능성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트리 페놀 메탄형 에폭시 수지, 알킬 변성 트리 페놀 메탄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페놀형 에폭시 수지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착제층의 두께는 15 μm 내지 100 μm일 수 있다.
도 1에 점착 시트의 구조를 예시하였다. 도 1에 따르면, 기재층(600), 평탄화층(500) 및 배리어층(400)을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상에 제1 점착제층(300) 및 제2 점착제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점착제층(200) 상에 이형 필름(100)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 봉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전자장치 봉지 제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전자소자; 및 상기 유기전자소자의 전면, 예를 들면 상부 및 측면을 모두 봉지하고 있는 점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전자소자는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일 수 있다.
상기 유기전자장치 봉지 제품은 OLED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부에 유기전자소자가 형성된 기판에 전술한 점착 시트가 상기 유기전자소자를 커버하도록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배리어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배리어 필름 상에 전술한 점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우레탄 점착 수지 SP-205(TOYO INK사)를 96 중량부, BMA 및 FM-0721을 8 : 2의 비율로 중합한 중합체 3 중량부 및 경화제(DR-7030HD, 삼영잉크)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 A를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 A를 실리콘 이형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상에 15μm로 도포한 후, 120℃ 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제2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배리어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접착제층(LBFL-LX, LG화학)과 합지하여 점착 시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우레탄 점착 수지 SP-205(TOYO INK사) 94 중량부, BMA 및 FM-0721을 8 : 2의 비율로 중합한 중합체 5 중량부 및 경화제(DR-7030HD, 삼영잉크)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 B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 시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3
경화제의 함량을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우레탄 점착 수지 SP-205(TOYO INK사) 95 중량부, BMA 및 FM-0721을 8 : 2의 비율로 중합한 중합체 3 중량부 및 경화제(DR-7030HD, 삼영잉크)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 C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 시트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제1 접착제층만으로 점착 시트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시트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3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시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점착 시트의 초기 점착력(G1), 열처리 후 점착력(G2), 가변 성능(G2/G1), 신뢰도 및 재작업성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SUS304 기판 위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점착 시트를 적층 후 20분 간 방치 후 초기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열처리 후 점착력으로서, 50℃, 5 기압에서 20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 후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재작업성 평가 시, 점착 시트 부착 5분 경과 후 재박리 시 기판에 점착제가 남지 않고 떨어지면 OK, 점착제의 잔류물이 남으면 NG로 표시하였다.
또한, 신뢰성 평가 시, 오토클레이브 처리 후 85℃ 및 85 % 상대습도의 항온 및 항습 챔버에서 500 시간 유지 후에 기판과 점착제층 사이의 계면에서 들뜸이나 기포가 발생되지 않으면 OK, 발생한 경우를 NG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초기 점착력
(gf/in)
88 70 35 188 750 470
열처리 후 점착력
(gf/in)
1390 1513 1207 290 1100 980
가변 성능 (G2/G1) 15.7 21.6 34.4 1.5 1.4 2.1
신뢰성 OK OK OK NG OK OK
재작업성 OK OK OK NG NG NG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3 따르면, 초기 점착력이 낮아 재작업성이 우수하며, 열처리 후 점착력이 높고, 수분 투과도가 낮아 신뢰성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1의 비교예 1에 따르면, 열처리 후 점착력이 낮아 가변 성능이 좋지 않고, 신뢰성이 구현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1의 비교예 2 및 3에 따르면, 초기 점착력이 높아 가변 성능이 좋지 않고, 재작업 특성이 구현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100: 이형 필름
200: 제2 점착제층
300: 제1 점착제층
400: 배리어층
500: 평탄화층
600: 기재층

Claims (8)

  1. 배리어 필름(Barrier Film) 상에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제2 점착제층은 상기 제2 점착제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우레탄 점착 수지 60 내지 99 중량부,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0.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점착제층과 SUS304 기판과의 초기 점착력(G1)이 15 gf/in 이상 90 gf/in 이하이며, 50℃ 및 5기압의 조건에서 20분 경과 후의 점착력(G2)이 600 gf/in 이상 1,800 gf/in 이하이고,
    G2/G1로 계산된 값이 10 이상 50 이하인 것인 점착 시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수분 투과율(WVTR)이 10g/m2·24h 이하인 점착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필름은 기재층, 평탄화층 및 배리어(Barrier)층이 적층된 구조인 점착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은 디엔 및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 및 경화성 수지를 더 포함하는 점착 시트.
  7. 청구항 1, 및 3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 봉지 제품.
  8. 배리어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배리어 필름 상에 청구항 1, 및 3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제조방법.
KR1020180006628A 2018-01-18 2018-01-18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KR10221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28A KR102212134B1 (ko) 2018-01-18 2018-01-18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28A KR102212134B1 (ko) 2018-01-18 2018-01-18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79A KR20190088279A (ko) 2019-07-26
KR102212134B1 true KR102212134B1 (ko) 2021-02-03

Family

ID=6746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28A KR102212134B1 (ko) 2018-01-18 2018-01-18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1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9467A (ja) 2010-08-30 2012-03-08 Mitsubishi Plastics Inc 太陽電池封止材及びそれを用いて作製され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4047310A (ja) 2012-09-03 2014-03-17 Shin Etsu Chem Co Ltd 粘着性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17061639A (ja) 2015-09-25 2017-03-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レタン系粘着シートおよびウレタン系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ウレタン系粘着シートの粘着力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7777B2 (ja) 2000-05-21 2012-08-22 Tdk株式会社 透明導電積層体
JP6609405B2 (ja) * 2014-08-26 2019-11-2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02957B2 (ja) * 2015-01-23 2017-03-29 マツダ株式会社 直噴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2631535B1 (ko) * 2016-06-30 2024-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9467A (ja) 2010-08-30 2012-03-08 Mitsubishi Plastics Inc 太陽電池封止材及びそれを用いて作製され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4047310A (ja) 2012-09-03 2014-03-17 Shin Etsu Chem Co Ltd 粘着性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17061639A (ja) 2015-09-25 2017-03-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レタン系粘着シートおよびウレタン系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ウレタン系粘着シートの粘着力制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16135991 A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79A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395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
KR101825804B1 (ko) 봉지 필름
KR101822254B1 (ko) 점착제 조성물
EP278157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KR101589374B1 (ko) 봉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KR101807920B1 (ko) 점착 필름
EP3001476A1 (en) Encapsulation film and method for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WO2014126115A1 (ja)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102083399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KR101644708B1 (ko) 점착 시트
KR102212134B1 (ko)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KR102212135B1 (ko)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KR102212139B1 (ko)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KR102232412B1 (ko)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가변형 점착 시트 제조방법
KR20150113449A (ko) 유기발광영역 충진 접착필름 및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