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897B1 -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1897B1 KR102211897B1 KR1020180132863A KR20180132863A KR102211897B1 KR 102211897 B1 KR102211897 B1 KR 102211897B1 KR 1020180132863 A KR1020180132863 A KR 1020180132863A KR 20180132863 A KR20180132863 A KR 20180132863A KR 102211897 B1 KR102211897 B1 KR 102211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gment
- acrylate copolymer
- silicone
- cosmetic composition
- lip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색소 분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색소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바 선명한 발색력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부드럽고 매끈한 사용감의 립글로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그 사용감을 구현하는 실리콘계 원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제형의 롱라스팅, 워터프루프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총 중량 대비 실리콘계 원료의 함량이 50% 이상을 포함하는 립글로스의 경우, 색소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으며 색소 분산력이 떨어지는 바 고함량의 색소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는 이러한 제형에서는 색소의 함량을 10% 미만으로 사용하여 저 발색으로만 개발이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실리콘계 원료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 채도가 유지되면서 고 발색이 가능한 제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 양상은 색소 분산제로서,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색소 분산제로서,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원료가 색소파우더의 외관을 코팅시킴으로써 색소 알갱이가 실리콘화 되어 실리콘 베이스에 잘 분산될 수 있으므로 보이는 색상 그대로 입술 위에 구현되는 선명하면서도 강력한 발색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Acrylate/Acrylamid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코폴리머(Acrylate/Dimethicon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Ethylhexyl 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Acrylate/VP Copolymer), 브이피/헥사데센 코폴리머(VP/Hexadecene Copolymer), 부틸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utyl Acrylate/Hydroxypropyl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Isobutylmetacrylate/bis-Hydroxypropyl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 또는 이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5 내지 2.0 중량%, 0.5 내지 1.8 중량%, 0.5 내지 1.5 중량%, 0.5 내지 1.3 중량%, 0.5 내지 1.0 중량%, 또는 0.7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색소가 충분히 분산될 수 없어 색소 띠가 형성되거나 색소가 뭉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특유의 냄새로 인해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이소도데칸 및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소도데칸 및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3:7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7 내지 7:3, 3.5:6.5 내지 6.5:3.5, 4:6 내지 6:4 또는 5:5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따. 이때,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이소도데칸의 함량으로 인해 사용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함량이 낮아 색소 분산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부틸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안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안료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색 201호(RED 6 LAKE), 적색 202호(RED 6), 적색 104호의(1)(RED 7 LAKE), 적색 218호(RED 27 LAKE, RED 28 LAKE), 적색 227호(RED 33 LAKE), 황색 4호(YELLOW 5 LAKE), 황색 5호(YELLOW 6 LAKE), 황색 203호(YELLOW 10 LAKE), 청색 1호(BLUE 1 LAKE),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마이카(MICA)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전체 조성물 중,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8 중량%,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3 중량%, 5 내지 10 중량%, 7 내지 18 중량%, 9 내지 15중량% 또는 11 내지 1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안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적용 없이도 색소 분산에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코폴리머의 효용성을 입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하며, 상기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원료 특유의 냄새로 인해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입술용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분산 안정도가 우수한 에스테르계 합성 오일 및/또는 실리콘계 오일을 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예를 들어, 탄화수소계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2-에틸헥실산 글리세린, 피마자유, 유동파라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미리스틸 락테이트(Myristyl Lactat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tearyl Malate),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Glyceryl Diisostearate),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Isostearate), 트리이소스테아린(Triisostearin),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 Isostearyl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 Triisostearate),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트리이소노나노인(triisononanoin),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octyldodecyl stearoylstearate), 폴리 글리세릴 -10 노나 이소스테아린(Polyglyceryl-10 Nonaisostear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노나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nonanoate)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페닐프로필디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Phenylpropyldimethylsiloxysilicate, 트리메칠 펜타페닐 트리실록산(Trimethyl Pentaphenyl Trisiloxane), 디페닐실록시 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등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중, 4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0 내지 80 중량%, 40 내지 75 중량%, 40 내지 70 중량%, 40 내지 65 중량%, 45 내지 80 중량%, 45 내지 75 중량%, 45 내지 65 중량%, 50 내지 75 중량%, 또는 5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하지 않고도 색소 분산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실리콘 원료의 함량이 과도하게 높아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분산력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밥, 립 틴트, 립케어, 립 트린트먼트 등의 제형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구성성분들을 통상의 제조 방법으로 가열, 혼합 및 교반 등의 처리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형에 따라 각종 공지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 구체예에 따르면 담체, 유화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안정화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락토오스,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유동 파라핀, 세틸올타노에이트, 스테아린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및 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 5 내지 30 중량%, 10 내지 30 중량%, 또는 5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때,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습 지속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끈적임 및 눅눅함이 증가하여 사용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킬레이팅제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EDTA), α-하이드록시 지방산, 락토페린, α-하이드록시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빌리루빈, 빌리버딘(biliverd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프로필 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성분으로서 유지 성분, 에몰리언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pH 조절제, 알코올, 색소, 항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하고자 하는 피부 면적에 따라 적절한 양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루 1회 내지 수 회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용하는 양 및 횟수는 개인의 피부 상태, 연령 등에 따라 필요에 의해 증감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분산제로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코폴리머를 사용하여 색소 분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색소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바 선명한 발색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분산력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4~5의 분산력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4~5의 분산력을 확인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3.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커에 계량한 후, 70~80℃의 온도에서 아지믹서(Agi-mixer)를 이용하여 25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색소 베이스를 투입한 후, 5분간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해당원료인 실리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2종을 투입 및 분산하였다. 이때, 온도를 60~65℃로 유지하면서 공정을 진행하였다. 이후, 기포를 제거하여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
디메치콘 | 60.00 | 60.00 | 60.00 |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 |||
트리베헤닌 | 1.00 | 1.00 | 1.00 |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To 100) | 23.25 | 22.75 | 21.75 |
디하이드로아세틱 애씨드 | 0.05 | 0.05 | 0.05 |
토코페릴아세티이트 | 0.10 | 0.10 | 0.10 |
색소 (유기, 무기색소) | 15.00 | 15.00 | 15.00 |
향료 | 0.10 | 0.10 | 0.10 |
실리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A | 0.25 | 0.50 | 1.00 |
실리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B | 0.25 | 0.50 | 1.00 |
성분 | 함량(중량%) | |
원료 A | 원료 B | |
부틸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 100.00 | - |
이소도데칸 | - | 60.00 |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 - | 40.00 |
[
비교예
]
비교예 1~3.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2 및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디메치콘 | 60.00 | 60.00 | 60.00 |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 |||
트리베헤닌 | 1.00 | 1.00 | 1.00 |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23.75 | 23.45 | 20.75 |
디하이드로아세틱 애씨드 | 0.05 | 0.05 | 0.05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0.10 | 0.10 | 0.10 |
색소 | 15.00 | 15.00 | 15.00 |
향료 | 0.10 | 0.10 | 0.10 |
실리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A | - | 0.15 | 1.50 |
실리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B | - | 0.15 | 1.50 |
비교예
4~5.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4의 조성 및 함량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 |
비교예 4 | 비교예 5 | |
디메치콘 | 60.00 | 60.00 |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 ||
트리베헤닌 | 1.00 | 1.00 |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20.75 | 5.75 |
디하이드로아세틱 애씨드 | 0.05 | 0.05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0.10 | 0.10 |
색소 | 13.00 | 13.00 |
향료 | 0.10 | 0.10 |
실리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A | - | - |
실리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B | - | - |
다이머 디리놀레일 다이머 디리놀레이트 | 5.00 | - |
페트롤라튬 (로진계 페이스트) | - | 20.00 |
[
실험예
]
색소
분산력
확인(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분산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용기에 충진하고 외관에서 분산력을 확인하였다. 색소 분산이 미흡할 경우에는 외관이 외관에 색소 띠가 발생하거나 발색이 되지 않으며 색소 분산이 잘 되었을 경우에는 색소 띠나 뭉침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선명한 색으로 발색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분산력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 외관에 색소 띠가 관찰되며 붉고 어두운 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경우에도 외관에 색소 띠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3 및 비교예 3의 경우, 색소 분산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3의 경우,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폴리머의 원료 냄새가 심하게 나는바, 처방에 적용하기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색소 분산력이 향상되는 바, 붉고 선명한 발색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색소
분산력
확인(2)
실시예 1 및 비교예 4~5에서 제조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분산력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4~5의 분산력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이머 디리놀레일 다이머 디리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교예 4의 경우, 외관에 색소 띠가 관찰되었으며 색소 분산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리콘 겔과 로진계 페이스트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교예 4의 경우, 색소 분산력은 우수했으나 로진계 페이스트의 양이 20% 이상 함유됨으로써 제형의 사용감 및 성상 자체가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함으로써 색소 분산력이 향상되고, 실리콘 특유의 부드럽고 매끈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는바, 가볍고 촉촉한 텍스처로 인해 편안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보이는 컬러 그대로 선명한 색 표현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 색소 분산제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utyl Acrylate/Hydroxypropyl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 및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Isobutylmetacrylate/bis-Hydroxypropyl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 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소 분산제는 0.5 내지 2 중량% 포함된 것인 조성물.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소 분산제는 이소도데칸 및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가 3:7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된 것인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료가 추가로 포함된 것이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밥, 립 틴트, 립케어 또는 립 트린트먼트의 제형인 것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2863A KR102211897B1 (ko) | 2018-11-01 | 2018-11-01 |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2863A KR102211897B1 (ko) | 2018-11-01 | 2018-11-01 |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0176A KR20200050176A (ko) | 2020-05-11 |
KR102211897B1 true KR102211897B1 (ko) | 2021-02-04 |
Family
ID=7072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2863A KR102211897B1 (ko) | 2018-11-01 | 2018-11-01 |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189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08172A (ja) * | 2002-12-27 | 2006-03-09 | エイボン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膜形成材を有する水性カラーリング及びグロス化粧料組成物 |
US20080019932A1 (en) | 2006-07-20 | 2008-01-24 | Laura Louise Crosby | Color Cosmetic Compositions |
JP2017518328A (ja) | 2014-06-18 | 2017-07-06 | ロレアル | 改善された快適さを有するリップスティック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9772A (ko) * | 1995-08-24 | 1997-03-27 | 임병철 | 지속성 립스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FR2801198B1 (fr) * | 1999-09-16 | 2002-01-11 | Oreal |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copolymere silicone/acrylate et au moins un agent de conditionnement |
GB0125778D0 (en) * | 2001-10-26 | 2001-12-19 | Procter & Gamble | Silicone elastome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lorant inclusive internal phase |
KR100422386B1 (ko) * | 2001-12-19 | 2004-03-1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오일케익용 화장료 조성물 |
US20100104610A1 (en) * | 2008-10-01 | 2010-04-29 | Dueva-Koganov Olga V | Color cosmetics comprising a random terpolymer |
KR102371153B1 (ko) * | 2015-01-30 | 2022-03-07 | (주)아모레퍼시픽 |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2018
- 2018-11-01 KR KR1020180132863A patent/KR1022118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08172A (ja) * | 2002-12-27 | 2006-03-09 | エイボン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膜形成材を有する水性カラーリング及びグロス化粧料組成物 |
US20080019932A1 (en) | 2006-07-20 | 2008-01-24 | Laura Louise Crosby | Color Cosmetic Compositions |
JP2017518328A (ja) | 2014-06-18 | 2017-07-06 | ロレアル | 改善された快適さを有するリップスティック組成物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Michael Starch et al, ‘Expanding Silicone Technologies for Sun Care: Performance Complements Aesthetics’, CHEMICAL WEEKLY, 2007, Vol.53, No.14, pp.179-18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0176A (ko) | 2020-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2678B1 (ko) |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102762A (ko) |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08366953B (zh) | 组合物 | |
KR102013619B1 (ko) |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1227822B1 (ko) |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001687A (ko) |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01586A (ko) |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를 함유한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11897B1 (ko) | 실리콘계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841554B1 (ko) | 고융점 및 고광택 성능을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 |
KR102273235B1 (ko) |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33774A (ko) | 입술화장료 조성물 | |
KR102684988B1 (ko) | 유성 화장료 | |
JP5562816B2 (ja) | スティック状乳化組成物 | |
KR101762246B1 (ko) | 실리카로 표면처리된 무기안료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KR101015384B1 (ko) |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84418B1 (ko) | 성형성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KR100422386B1 (ko) | 오일케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45099B1 (ko) |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 |
EP3880313A2 (fr) | Composition cosmetique apte a se transformer en poudre | |
KR20190008693A (ko) |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칼라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80709B1 (ko) |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EP3226975A1 (de) | Oxidationsfärbemittel | |
KR100743807B1 (ko) | 휘발성 오일이 담지된 실리카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 |
CN115551465B (zh) | 用于护理和/或化妆角蛋白材料的组合物 | |
KR102703187B1 (ko) |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