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766B1 - 자동 세척을 위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 세척을 위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766B1
KR102211766B1 KR1020190101655A KR20190101655A KR102211766B1 KR 102211766 B1 KR102211766 B1 KR 102211766B1 KR 1020190101655 A KR1020190101655 A KR 1020190101655A KR 20190101655 A KR20190101655 A KR 20190101655A KR 102211766 B1 KR102211766 B1 KR 10221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liquid
cleaning liquid
shut
pip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Priority to KR1020190101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는, 음료액 보관용기와 연결을 위한 N개의 음료액 결합부;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에 각각 연결된 N개의 음료액 차단부; 세정액 보관용기와 연결을 위한 세정액 결합부; 상기 세정액 결합부에 연결된 세정액 분배부; 상기 세정액 분배부에 연결된 N개의 세정액 차단부; 및 제1 단은 상기 음료액 차단부에 연결되고 제2 단은 상기 세정액 차단부에 연결되며 제3 단은 노즐결합부에 연결된 N개의 교차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액 차단부 및 세정액 차단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배관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세척을 위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BEVERAGE DISPENSING PIPE ASSEMBLY FOR AUTO-WASHING}
본 발명은 음료를 배출하는 배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커피는 단순 기호 식품을 넘어서 하나의 생필품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커피를 구매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 자판기를 통해 구매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커피 자판기는 캔커피 자판기이거나, 인스턴트 커피의 형태로 건조된 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판매하는 믹스커피 자판기이다. 캔커피나 믹스커피는 커피 전문점에서 판매하는 에스프레소 커피에 비해 맛과 향이 현저하게 떨어져서 커피 수요자에게 외면 받는 것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캔커피 자판기 및 믹스커피 자판기를 1세대 커피 자판기라고 하면, 1세대 커피 자판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원두를 즉석에서 갈아 에스프레소 형태로 추출해주는 2세대 커피 자판기가 출시되어 운영중이다. 그러나 2세대 커피 자판기인 에스프레소 커피 자판기는 커피 추출에 사용된 커피 찌꺼기를 보관하는 별도의 공간을 커피 자판기 내부에 설치해야 하며, 커피 찌꺼기가 쌓이지 전에 자주 처리해줘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1세대 커피 자판기와 달리 커피 찌꺼기는 물에 젖은 상태이기 때문에 세균 번식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자판기의 장점은 무인 판매 시스템으로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2세대 커피 자판기는 자판기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1세대 커피 자판기에 비해 인건비가 상승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2세대 커피 자판기의 높은 관리비용 문제로 인해, 에스프레소 커피 자판기는 사무실 또는 식당과 같이 소규모 공간에서 한정된 인원만 사용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상술한 1세대 커피 자판기와 2세대 커피 자판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최근 새롭게 시도되는 3세대 커피 자판기는 액상 커피 자판기이다. 액상 커피 자판기는 에스프레소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한 후, 추출된 커피의 맛과 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케그(keg)와 같은 보관 용기에 담아서 판매하는 자판기이다. 액상 커피 자판기는 1세대 자판기의 단점인 맛과 향을 보완하면서도, 2세대 자판기의 단점인 커피 찌꺼기를 배출하지 않아서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다만, 3세대 커피 자판기인 액상 커피 자판기 역시, 액상 커피를 배출하는 배관을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하는 위생 관리가 요구된다. 3세대 커피 자판기인 액상 커피 자판기가 1세대 커피 자판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관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377호, 2015.09.15
본 명세서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는, 음료액 보관용기와 연결을 위한 N개의 음료액 결합부;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에 각각 연결된 N개의 음료액 차단부; 세정액 보관용기와 연결을 위한 세정액 결합부; 상기 세정액 결합부에 연결된 세정액 분배부; 상기 세정액 분배부에 연결된 N개의 세정액 차단부; 및 제1 단은 상기 음료액 차단부에 연결되고 제2 단은 상기 세정액 차단부에 연결되며 제3 단은 노즐결합부에 연결된 N개의 교차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액 결합부 및 상기 세정액 결합부는, 각각 감압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액 차단부 및 상기 세정액 차단부는, 차단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액 차단부 및 상기 세정액 차단부는, 한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게 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액 차단부 및 상기 세정액 차단부는, 차단 밸브 및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료액 차단부에 포함된 차단 밸브는 상기 음료액 차단부의 양단 중 상기 음료액 결합부와 연결된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음료액 차단부에 포함된 체크 밸브는 상기 음료액 차단부의 양단 중 상기 교차결합부와 연결된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세정액 차단부에 포함된 차단 밸브는 상기 세정액 차단부의 양단 중 상기 세정액 분배부와 연결된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세정액 차단부에 포함된 체크 밸브는 상기 세정액 차단부의 양단 중 상기 교차결합부와 연결된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는,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액 보관용기; 및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에 포함된 N개의 노즐결합부와 연결된 음료 배출 노즐을 가진 음료 토출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는,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의 상부 영역이면서 동시에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의 후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에 포함된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와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와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에 포함된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는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와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에 포함된 N개의 음료액 결합부는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에 포함된 N개의 노즐결합부는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로부터 먼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료를 배출하는 배관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 등 음료 배출 배관을 관리하기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커피 자동 판매기와 같은 음료 배출기에 장착이 가능하다.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마지막에 배출되는 음료가 튀지 않도록 안정적인 유체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기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 구성의 내부를 볼 수 있게 도시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상하/좌우/앞뒤/상부/하부/중간"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는 N개의 음료액 결합부(110), N개의 음료액 차단부(120), 세정액 결합부(130), 세정액 분배부(140), N개의 세정액 차단부(150) 및 N개의 교차결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110)는 음료액 보관용기(201)와 연결을 위한 구성 요소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의 일단은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에 연결되며,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의 타단은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잠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는 커피, 차 등 다양한 종류의 액상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용기로서, 일 예로 케그(keg)가 될 수 있다.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의 일단에는 수동 차단 밸브(1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동 차단 밸브(112)는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의 일단과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N은 자연수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에서 N=5이다. 상기 N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면, 상기 N의 크기에 따라 최대 N개의 서로 다른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110)가 항상 반드시 N개의 음료액 보관용기(201)와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120)는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의 일단은 상기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의 타단은 상기 교차결합부(1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는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에 보관된 음료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는 세정액 보관용기(도면 미도시)와 연결을 위한 구성 요소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의 일단은 상기 세정액 보관용기에 연결되며,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의 타단은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보관용기 역시 도 7에 도시된 음료액 보관용기(201)와 동일한 형태의 보관용기일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보관용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세정액이 보관될 수 있으면, 일 예로 과탄산나트룸, 차아염소산나트륨, 산소계표백제, PBW, 구연산, 음이온 계면활성제, 메타규산나트륨, 염화알킬벤틸디메틸암모늄, 염화-n-알킬디메틸에틸벤젤암모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세정액일 수 있다.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의 일단에는 수동 차단 밸브(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동 차단 밸브(132)는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의 일단과 상기 세정액 보관용기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세정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는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의 일단은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의 타단은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1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는 하나의 세정액 결합부(130)에 흐르는 세정액을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150)에 분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150)는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의 일단은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의 타단은 상기 교차결합부(1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는 세정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교차결합부(160)는 연결을 위한 3개의 단을 가진다. 상기 교차결합부(160)의 제1 단은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에 연결되고, 상기 교차결합부(160)의 제2 단은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에 연결되며, 상기 교차결합부(160)의 제3 단은 노즐결합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결합부(170)는 음료액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음료 배출 노즐과 연결되는 구성 요소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의 구조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음료액 또는 세정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음료액 보관용기에 저장된 음료액은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 상기 교차결합부(160) 및 상기 노즐결합부(170)의 순서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정액 보관용기에 저장된 세정액은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 상기 교차결합부(160) 및 상기 노즐결합부(170)의 순서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 및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는 각각 감압 밸브(111, 1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측면에 배치된 2개의 가스통(203)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스통(203)은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 및 세정액 보관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에 저장된 음료액 및 세정액 보관용기에 저장된 세정액은 가스 압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가스 압력에 의해 배출된 음료액과 세정액은 대기압력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배출된 음료액과 세정액의 압력을 대기압과 유사하게 낮출 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감압 밸브(111, 131)는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에서 배출된 음료액 및 세정액 보관용기에서 배출된 세정액의 배출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 및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는 차단 밸브(121, 151) 및/또는 체크 밸브(122,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밸브(121, 151)는 상기 음료액 또는 상기 세정액이 흐르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 밸브(121, 151)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어 신호에 의해 통로를 개방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 밸브(121, 151)를 전기식으로 제어하여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체크 밸브(122, 152)는 한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체크 밸브(122, 152)는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 또는 상기 세정액 결합부에서 상기 노즐결합부(170) 방향으로만 음료액 또는 세정액이 흐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에 포함된 체크 밸브(122)는 세정액이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에 포함된 체크 밸브(152)는 음료액이 상기 세정액 보관용기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밸브(121, 151)와 상기 체크 밸브(122, 152)의 배치 순서는 바람직하게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에 포함된 차단 밸브(121)는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의 양단 중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와 연결된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에 포함된 체크 밸브(122)는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의 양단 중 상기 교차결합부(160)와 연결된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에 포함된 차단 밸브(151)는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의 양단 중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와 연결된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에 포함된 체크 밸브(152)는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의 양단 중 상기 교차결합부(160)와 연결된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단 밸브(121, 151)와 체크 밸브(122, 152)의 배치 순서는, 역류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차단 밸브(121, 151)와 체크 밸브(122, 152) 사이에 음료액 또는 세정액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차단 밸브(121, 151)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경우 사용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밸브 내부에 약간의 틈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배치 순서와 반대로 배치된 경우, 역류한 음료액 또는 세정액이 차단 밸브(121, 151)의 틈을 통해 체크 밸브(122, 152)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역류한 음료액 또는 세정액 특히, 역류한 세정액이 음료액 차단부(120)에 남은 경우, 나중에 음료액과 섞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는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액 보관용기(201) 및 음료 토출 조립체(202)를 포함하는 음료 배출기(200)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기(200)란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음료를 노즐로 배출하는 장치로서, 일 예로 커피 자판기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액상 커피 자판기를 기준을 설명하도록 하겠으나,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기(200)가 반드시 자판기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202)는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에 포함된 N개의 노즐결합부(170)와 연결된 음료 배출 노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202)는 컵 배출기에서 배출된 컵이 안착되는 곳으로서, 배출된 컵의 입구 높이에 맞추어 음료 배출 노즐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음료를 제공받기 위한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는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의 상부 영역이면서 동시에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202)의 후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액상 커피 자판기의 음료액 보관용기인 케그(keg)는 그 내부에 음료액을 가득 채운 경우 상당히 무거운 용기이다. 따라서, 종래 1세대 커피 자판기와 같이 재료를 자판기의 상단부에 올려서 보관하는 것은 작업자에게 상당한 중노동일 뿐만 아니라, 자판기 전체의 무게 중심이 위로 올라가게 되어 자판기의 안정성 측면에서도 위험하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 및 자판기의 안정적 구조를 위해 케그를 자판기의 하단부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음료 토출 조립체(202)는 자판기의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음료를 제공받기 위한 장치이므로 자판기의 정면에 음료 토출 조립체(202)가 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와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202)의 중간에서 두 구성 요소를 연결하는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는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201)의 상부 영역이면서 동시에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202)의 후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는 액상 커피 자판기와 같은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효율적 배치를 위해 고려해야할 사안들을 정리해보겠다.
도 1,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에 포함된 차단 밸브(121)와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에 포함된 차단 밸브(151)가 다른 부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에 포함된 감압 밸브(111) 및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에 포함된 감압 밸브(131) 역시, 상기 차단 밸브(121, 151)에 비해 작지만, 다른 부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와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 배치 및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와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를 연결하는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를 위한 공간 배치 역시 동시에 고려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 및 상기 노즐결합부(170)를 연결하는 상기 교차결합부(160)를 위한 공간 배치 역시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 요소들을 한정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110)와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120)와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150)는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120)는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110)와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3가지 구성 요소인 음료액 결합부(110), 음료액 차단부(120) 및 세정액 차단부(150)를 한정된 공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의 공간을 상하로 나누어서 구성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와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의 연결을 위한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와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를 연결하는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 역시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두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의 상부 영역에서 앞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누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상기 차단 밸브(121, 151)와 상기 감압 밸브(111, 131)는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의 중간 영역에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밸브(121, 151)는 상기 중간 영역을 다시 상하로 나누어서 중간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감압 밸브(111, 131)는 상기 차단 밸브(121, 151)는 상기 중간 영역을 다시 상하로 나누어서 중간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결합부(160)는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요소들의 배치를 통해, 도 1을 참조하면, 모든 구성 요소들이 앞뒤/좌우/상하 관계를 고려하여 밀착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는 하나의 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에 포함된 N개의 음료액 결합부(110)는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202)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에 포함된 N개의 노즐결합부(170)는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202)로부터 먼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 내 흐르는 음료 및 세정액은 가스 압력에 의해 음료액 보관용기 및 세정액 보관용기에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액 및 세정액이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 내 배관을 이동하면서 특히, 곡선 연결 부분에서 유체의 속도 및 압력이 약간씩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음료액 및 세정액은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202)에서 최종적으로 배출될 때에는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의 구조에 관계없이 유체가 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N개의 노즐결합부(170)와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202)가 연결된 거리를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하여 짧은 구간 내에서 급격한 곡선 배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가 설계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상기 차단 밸브(121, 151)를 전기식으로 제어하여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 경우, 상기 차단 밸브(121, 151)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가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우선, 음료액이 배출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150)에 포함된 상기 N개의 차단 밸브(151)를 전부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120)에 포함된 N개의 차단 밸브(121) 중 음료 배출이 요구되는 음료액 보관용기와 연결된 차단 밸브만 선택적으로 개방 및/또는 폐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료액은 상기 음료액 결합부(110), 상기 음료액 차단부(120), 상기 교차결합부(160) 및 상기 노즐결합부(170)를 통해 배출된다.
반면,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10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120)에 포함된 상기 N개의 차단 밸브(121)를 전부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150)에 포함된 N개의 차단 밸브(151) 중 세정이 요구되는 음료액 차단부와 연결된 차단 밸브만 선택적으로 개방 및/또는 폐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정액은 상기 세정액 결합부(130), 상기 세정액 분배부(140), 상기 세정액 차단부(150), 상기 교차결합부(160) 및 상기 노즐결합부(17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어부는 세정이 완료되면, 다시 음료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 밸브(121)들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기 교차결합부(160) 및 상기 노즐결합부(170)에 남은 세정액을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양의 음료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120)에 포함된 차단 밸브(121)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개방 킬 수 있다.
<세균검출시험결과>
본 출원인은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가 사용될 경우, 얼마나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지 세균 검출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은 본 출원인이 실제 2주동안 음료를 정상 판매한 자판기에서 음료액 보관용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내부 및 음료 완제품(컵에 토출된 음료)에서 샘플을 채취하였다. 아래 표는 시험 결과이다.
시료 일반세균 대장균 기준치 초과여부
음료 완제품 A N.D N.D -
음료 완제품 B 0.73±0.22 N.D -
음료액 보관용기 A N.D N.D -
음료액 보관용기 B 0.80±0.27 N.D -
배관 조립체 내부 A 0.65±0.16 N.D -
배관 조립체 내부 A N.D N.D -
N.D : Not detected, 단위 : log CFU/g
참고로, 식품 자동판매기 음료류에 대한 미생물 기준(밀봉제품 제외) 규격은 일반세균의 경우 3 log CFU/g (g당 세균 수 1000개)를 넘지 않아야 하며 대장균의 경우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표에서 A, B는 1번 및 2번 배관 및 이와 각각 연결된 음료 보관용기 등이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영역에서 검출 세균수 기준치를 월등하게 만족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명세서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세정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110 : 음료액 결합부
111 : 음료액 결합부에 포함된 감압 밸브
112 : 음료액 결합부에 포함된 수동 차단 밸브
120 : 음료액 차단부
121 : 음료액 차단부에 포함된 차단 밸브
122 : 음료액 차단부에 포함된 체크 밸브
130 : 세정액 결합부
131 : 세정액 결합부에 포함된 감압 밸브
132 : 세정액 결합부에 포함된 수동 차단 밸브
140 : 세정액 분배부
150 : 세정액 차단부
151 : 세정액 차단부에 포함된 차단 밸브
152 : 세정액 차단부에 포함된 체크 밸브
160 : 교차결합부
170 : 노즐결합부
200 : 음료 배출기
201 : 음료액 보관용기
202 : 음료 토출 조립체
203 : 가스통

Claims (11)

  1. 음료액 보관용기와 연결을 위한 N개의 음료액 결합부;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에 각각 연결된 N개의 음료액 차단부;
    세정액 보관용기와 연결을 위한 세정액 결합부;
    상기 세정액 결합부에 연결된 세정액 분배부;
    상기 세정액 분배부에 연결된 N개의 세정액 차단부; 및
    제1 단은 상기 음료액 차단부에 연결되고 제2 단은 상기 세정액 차단부에 연결되며 제3 단은 N개의 노즐결합부에 연결된 N개의 교차결합부;를 포함하는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로서,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에 포함된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와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와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에 포함된 상기 N개의 음료액 차단부는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와 상기 N개의 세정액 차단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음료액 결합부는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앞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N개의 노즐결합부는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뒷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상부 영역에서 앞 부분에 상기 음료액 결합부와 상기 음료액 차단부의 연결을 위한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세정액 분배부는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상부 영역에서 중간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결합부는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액 차단부 및 상기 세정액 차단부는 차단 밸브 및 한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게 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액 차단부에 포함된 차단 밸브는 상기 음료액 차단부의 양단 중 상기 음료액 결합부와 연결된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음료액 차단부에 포함된 체크 밸브는 상기 음료액 차단부의 양단 중 상기 교차결합부와 연결된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세정액 차단부에 포함된 차단 밸브는 상기 세정액 차단부의 양단 중 상기 세정액 분배부와 연결된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세정액 차단부에 포함된 체크 밸브는 상기 세정액 차단부의 양단 중 상기 교차결합부와 연결된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료액 보관용기; 및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에 포함된 N개의 노즐결합부와 연결된 음료 배출 노즐을 가진 음료 토출 조립체;를 포함하는 음료 배출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는, 상기 음료액 보관용기의 상부 영역이면서 동시에 상기 음료 토출 조립체의 후면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01655A 2019-08-20 2019-08-20 자동 세척을 위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KR102211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655A KR102211766B1 (ko) 2019-08-20 2019-08-20 자동 세척을 위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655A KR102211766B1 (ko) 2019-08-20 2019-08-20 자동 세척을 위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766B1 true KR102211766B1 (ko) 2021-02-04

Family

ID=7455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655A KR102211766B1 (ko) 2019-08-20 2019-08-20 자동 세척을 위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7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9523A (ja) * 2013-08-22 2015-03-02 西山工業株式会社 ミルク供給経路の自動洗浄性を高めたコーヒーマシン
KR20150104377A (ko) 2014-03-05 2015-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9523A (ja) * 2013-08-22 2015-03-02 西山工業株式会社 ミルク供給経路の自動洗浄性を高めたコーヒーマシン
KR20150104377A (ko) 2014-03-05 2015-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378B1 (ko) 질소 발생기 및 질소 발생기 사용 방법
US5056686A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9932218B2 (en) Cold beverage dispenser and cutter assembly for cold beverage dispenser
US10414642B2 (en) Cold beverage dispenser and flexible pouch
US6926170B2 (en) Drink dispensing cart and water packaging and supply system
US8087346B2 (en) Multiple beverage brewer
US11083325B2 (en) Modular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from capsules
US8534501B2 (e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beverage ingredients
CN102859559B (zh) 用于分配饮料配料的集成方法和系统
AU2015366585B2 (en) Beverage dispenser
JPH03121025A (ja) ホット飲料水の準備と供給カート
US20140109770A1 (en) Modular blending system
KR102211766B1 (ko) 자동 세척을 위한 음료 배출 배관 조립체
CN114585281A (zh) 用于装有液体食品的贮存容器的冷却装置
US20120192584A1 (en) Ice Machine For Dispensing Flavored Ice Cubes
KR101495776B1 (ko) 액상 드링크 공급장치
JP3785346B2 (ja) 原料液注出装置および飲料提供装置
CN211380849U (zh) 饮品供应设备
WO2015170992A1 (en) Spray can with interchangeable capsule
CN212489593U (zh) 一种咖啡机管路系统
EP3771371B1 (en) Coffee machine drainage channel
RU2772511C1 (ru) 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напитка со средствами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прием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напитка и прием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KR102135620B1 (ko)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TWM600445U (zh) 飲料販賣機之供料機構
US20210085124A1 (en) Coffee machine, in particular filter coffe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