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695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695B1
KR102211695B1 KR1020207018953A KR20207018953A KR102211695B1 KR 102211695 B1 KR102211695 B1 KR 102211695B1 KR 1020207018953 A KR1020207018953 A KR 1020207018953A KR 20207018953 A KR20207018953 A KR 20207018953A KR 102211695 B1 KR102211695 B1 KR 10221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uplink transmission
terminal
stoppe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476A (ko
Inventor
배덕현
이윤정
황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8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2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intra-user or intra-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eMBB와 URLLC 간의 동적 자원 공유(resource sharing)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중단을 지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대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폭발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자원의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크게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 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디바이스 개수의 수용, 매우 낮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대규모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이중(In-band Full Duplex),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초광대역(Super wideband) 지원, 단말 네트워킹(Device Networkin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전송 자원을 사용하는 단말들이 서로 dynamic 혹은 semi-static한 방법으로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pre-emption resource indication에 의해 지시된 자원에 UL 전송을 위한 DMRS가 포함된 경우의 UL 전송 핸들링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는 eMBB와 URLLC 간의 동적 자원 공유(resource sharing)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중단을 지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대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DMRS가 포함된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드롭(drop)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DMRS가 포함된 경우,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앞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1 파트,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해당하는 제 2 파트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뒤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3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3 파트에 각각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슬롯보다 작은 시간을 가지는 논-슬롯(non-slot) 단위로 스케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eMBB와 URLLC 간의 동적 자원 공유(resource sharing)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transmitter);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receiver); 및 상기 전송기 및 수신기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중단을 지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대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며; 및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urgent한 traffic을 전송하기 위해 기 할당되거나 또는 전송 중인 다른 전송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의 과정에서 기존 전송과의 충돌(collision), 기존 전송의 성능 악화(performance degradation)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 포트 및 뉴머롤로지 별 자원 그리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프리엠션 지시 관련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프리엠션 지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중단 메시지 전송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의 또 다른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gNB(general NB, generation NB)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NR(New RAT)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smartphone) 및 IoT(Internet Of Things) 단말들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통신 망을 통해 주고받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에서는 기존의 통신 시스템(또는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예: 향상된 이동 광대역 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기기들 및 사물(object)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의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통신의 신뢰성(reliability) 및/또는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service) 및/또는 단말(terminal) 등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예: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의 디자인도 논의 되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은 NR(New RAT, Radio Access Technology)로 지칭되며, 상기 NR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NR 시스템으로 지칭된다.
용어 정의
eLTE eNB: eLTE eNB는 EPC 및 NGC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는 eNB의 진화(evolution)이다.
gNB: NGC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NR을 지원하는 노드.
새로운 RAN: NR 또는 E-UTRA를 지원하거나 NGC와 상호 작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종단 간 범위와 함께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는 특정 시장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operator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네트워크 기능은 잘 정의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잘 정의된 기능적 동작을 가진 네트워크 인프라 내에서의 논리적 노드.
NG-C: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2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U: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3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비 독립형(Non-standalone) NR: gNB가 LTE eNB를 EP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거나 또는 eLTE eNB를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는 배치 구성.
비 독립형 E-UTRA: eLTE eNB가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gNB를 요구하는 배치 구성.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 NG-U 인터페이스의 종단점.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NG-RA 사용자 평면(새로운 AS sublayer/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
상기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gNB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NGC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gNB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User Plane Function)로 연결된다.
NR(New Rat) 뉴머롤로지(Numerology) 및 프레임(frame) 구조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들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 N(또는, μ )으로 스케일링(scaling) 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에서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가정될지라도, 이용되는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뉴머롤로지 및 프레임 구조를 살펴본다.
NR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다수의 OFDM 뉴머롤로지들은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20067974841-pct00001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와 관련하여, 시간 영역의 다양한 필드의 크기는
Figure 112020067974841-pct00002
의 시간 단위의 배수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20067974841-pct00003
이고,
Figure 112020067974841-pct00004
이다. 하향링크(downlink) 및 상향링크(uplink) 전송은
Figure 112020067974841-pct00005
의 구간을 가지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무선 프레임은 각각
Figure 112020067974841-pct00006
의 구간을 가지는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 및 하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말(User Equipment, UE)로 부터의 상향링크 프레임 번호 i의 전송은 해당 단말에서의 해당 하향링크 프레임의 시작보다
Figure 112020067974841-pct00007
이전에 시작해야 한다.
뉴머롤로지 μ 에 대하여, 슬롯(slot)들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Figure 112020067974841-pct00008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고,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Figure 112020067974841-pct00009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슬롯은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0
의 연속하는 OFDM 심볼들로 구성되고,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1
는, 이용되는 뉴머롤로지 및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에 따라 결정된다. 서브프레임에서 슬롯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2
의 시작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OFDM 심볼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3
의 시작과 시간적으로 정렬된다.
모든 단말이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하향링크 슬롯(downlink slot) 또는 상향링크 슬롯(uplink slot)의 모든 OFDM 심볼들이 이용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는 일반(normal) CP에서 슬롯 별 OFDM 심볼의 개수(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4
), 무선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5
), 서브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6
)를 나타내며, 표 3은 확장(extended) CP에서 슬롯 별 OFDM 심볼의 개수, 무선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 서브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7
[표 3]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8
도 3은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표 3의 경우, μ=2인 경우, 즉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이 60kHz인 경우의 일례로서, 표 2를 참고하면 1 서브프레임(또는 프레임)은 4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1 서브프레임={1,2,4} 슬롯들은 일례로서, 1 서브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스롯(들)의 개수는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미니-슬롯(mini-slot)은 2, 4 또는 7 심볼(symbol)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심볼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NR 시스템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캐리어 파트(carrier part)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물리 자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안테나 포트와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쉬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자원 그리드가 주파수 영역 상으로
Figure 112020067974841-pct00019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2μ OFDM 심볼들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R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신호(transmitted signal)는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0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 그리드들 및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1
의 OFDM 심볼들에 의해 설명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2
이다. 상기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3
는 최대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이는, 뉴머롤로지들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도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5와 같이, 뉴머롤로지 μ 및 안테나 포트 p 별로 하나의 자원 그리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 포트 및 뉴머롤로지 별 자원 그리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뉴머롤로지 μ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그리드의 각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로 지칭되며, 인덱스 쌍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4
에 의해 고유적으로 식별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5
는 주파수 영역 상의 인덱스이고,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6
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심볼의 위치를 지칭한다. 슬롯에서 자원 요소를 지칭할 때에는, 인덱스 쌍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7
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8
이다.
뉴머롤로지
Figure 112020067974841-pct00029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요소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0
는 복소 값(complex value)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1
에 해당한다. 혼동(confusion)될 위험이 없는 경우 혹은 특정 안테나 포트 또는 뉴머롤로지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덱스들 p 및 μ는 드롭(drop)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복소 값은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2
또는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3
이 될 수 있다.
또한,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은 주파수 영역 상의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4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로 정의된다.
Point A는 자원 블록 그리드의 공통 참조 지점(common reference point)으로서 역할을 하며 다음과 같이 획득될 수 있다.
- PCell 다운링크에 대한 offsetToPointA는 초기 셀 선택을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 SS/PBCH 블록과 겹치는 가장 낮은 자원 블록의 가장 낮은 서브캐리어와 point A 간의 주파수 오프셋을 나타내며, FR1에 대해 15kHz 서브캐리어 간격 및 FR2에 대해 60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정한 리소스 블록 단위(unit)들로 표현되고;
- absoluteFrequencyPointA는 ARFCN(absolute radio-frequency channel number)에서와 같이 표현된 point A의 주파수-위치를 나타낸다.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들은 서브캐리어 간격 설정 μ에 대한 주파수 영역에서 0부터 위쪽으로 넘버링(numbering)된다.
서브캐리어 간격 설정 μ에 대한 공통 자원 블록 0의 subcarrier 0의 중심은 'point A'와 일치한다. 주파수 영역에서 공통 자원 블록 번호(number)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5
와 서브캐리어 간격 설정 μ에 대한 자원 요소(k,l)은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6
여기에서, kk=0 이 point A를 중심으로 하는 subcarrier에 해당하도록 point A에 상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리 자원 블록들은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 내에서 0부터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7
까지 번호가 매겨지고, i는 BWP의 번호이다. BWP i에서 물리 자원 블록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8
와 공통 자원 블록
Figure 112020067974841-pct00039
간의 관계는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0067974841-pct00040
여기에서,
Figure 112020067974841-pct00041
는 BWP가 공통 자원 블록 0에 상대적으로 시작하는 공통 자원 블록일 수 있다.
Self-contained 구조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구조는 상향링크(Uplink, UL)와 하향링크(Downlink, DL)를 하나의 슬롯(slot)(또는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모두 처리하는 구조이다. 이는,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지연(latency)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조는 self-contained 구조 또는 self-contained 슬롯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6을 참고하면, legacy LTE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전송 단위(예: 슬롯,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가정된다.
도 6에서, 영역 602는 하향링크 제어 영역(down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하고, 영역 604는 상향링크 제어 영역(uplink control region)을 의미한다. 또한, 영역 602 및 영역 604 이외의 영역(즉, 별도의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의 전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는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반면, 데이터(data)의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self-contained 슬롯 내에서,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및 상향링크 ACK/NACK의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재전송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달과 관련된 지연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과 같은 self-contained 슬롯 구조에서, 기지국(eNodeB, eNB, gNB) 및/또는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이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서 수신 모드(reception mode)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위한 시간 갭(time gap)이 요구된다. 상기 시간 갭과 관련하여, 상기 self-contained 슬롯에서 하향링크 전송 이후에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일부 OFDM 심볼(들)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밀리미터파(mmWave, mmW) 통신 시스템에서는, 신호의 파장(wavelength)이 짧아짐에 따라, 동일 면적에 다수의(또는 다중의)(multiple) 안테나들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CHz 대역에서, 파장은 약 1cm정도 이며, 2차원(2-dimension) 배열 형태에 따라 5cm x is 5cm의 패널(panel)에 0.5람다(lambda) 간격으로 안테나들을 설치할 경우, 총 100개의 안테나 요소(element)들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mmW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이용하여 빔포밍(beamforming, BF) 이득을 높임에 따라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키거나, 처리량(throughput)을 높이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 요소 별로 전송 파워(transmission power) 및 위상(phase) 조절이 가능하도록 TXRU(Transceiver Unit)가 설치되는 경우, 주파수 자원(frequency resource) 별로 독립적인 빔포밍이 가능하다.
다만, 모든 안테나 요소들(예: 100개의 안테나 요소들)에 TXRU를 설치하는 방안은 가격 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TXRU에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매핑(mapping)하고, 아날로그 위상 천이기(analog phase shifter)를 이용하여 빔(beam)의 방향(direction)을 제어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은 전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빔 방향만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선택적인 빔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빔 포밍(digital beamforming)과 아날로그 빔포밍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요소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하이브리드 빔포밍(hybrid beamforming)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요소들의 연결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빔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eMBB의 전송 중단(Halting on-going transmission of eMBB)
eMBB UL channel의 전송과 URLLC의 UL channel의 전송이 겹칠 경우, 상호 간 간섭(interference)로 인하여 두 UL channel에 대한 검출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다.
특히, URLLC의 경우, UL channel의 검출 실패로 인하여 실질적인 지연(latency)는 길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단말은 전송 중인 eMBB UL channel을 URLLC UL channel이 전송되는 시점에서만 또는 해당 시점을 포함하여 그 이후부터 전송을 중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위해서, eMBB UE는 전송 도중에 URLLC UL channel의 존재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다음의 2가지 방법들(방법 1 및 방법 2)의 경우, eMBB UE가 URLLC UL channel의 존재를 인지하고, 중단(halting)을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예이다.
(방법 1)
eMBB UE는 URLLC에 대한 UL grant 및/또는 제어 채널에 대한 DMRS 및/또는 UL channel에 대한 DMRS를 검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방법 1을 위해서, 기지국은 eMBB UE에게 또는 UE-group-specific하게 URLLC signal의 검출에 필요한 정보를 signalling해줄 필요가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에 필요한 정보는 DCI 및/또는 DMRS에 대한 candidates일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URLLC에 대한 DCI 및/또는 DMRS가 UE-specific하게 설정되는 것 대신에 cell-specific 또는 beam-specific 또는 group-common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방법 1은 eMBB와 URLLC 간 numerology가 다를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eMBB numerology에 맞춰서 halting signal이 전송될 수 있다.
eMBB UE는 기지국(gNB)로부터 상기 halting signal을 검출하고, 일정 시간 이후에 eMBB 전송을 해당 시점만 또는 그 시점부터 중단할 수 있다.
방법 1은, URLLC가 grant-free UL transmission(또는 NR에서 정의되는 configured grant)인 경우, 수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grant-free UL transmission에 대한 resource는 reserved (eMBB UL로 사용 못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방법 2)
eMBB UL는 URLLC signal에 대하여 LBT (listen before talk)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eMBB UL transmission 도중에 URLLC signal의 전송 여부를 (energy detection 등으로)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eMBB UL 전송을 멈출 수 있다.
하지만, 방법 2의 경우, 두 UE 간 거리가 떨어진 경우 (hidden-node problem)에는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multi-slot scheduling을 받거나 또는 multi-mini-slot scheduling을 받은 단말은 상기 단말의 control channel monitoring behaviour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1) control channel monitoring에 대해 매 slot 별로 설정받은 경우, 상기 control channel monitoring을 수행한다.
여기서, control에 의해 현재 진행중인 multi-slot scheduling에 대한 연기(suspension) 또는 드롭(drop) 또는 연속(continue)의 indication이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content 혹은 type은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다르게 사용하거나 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다르게 사용하거나 또는 scrambling 등을 다르게 하거나 또는 DM-RS sequence/scrambling 등을 다르게 사용하여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상기 content 또는 type은 전송 탐색 영역 후보(search space candidate) 또는 자원(resource)을 다르게 해서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2) multi-slot scheduling인 경우, transmission/reception 중간에 control channel monitoring이 skip될 수 있다.
기지국이 UE에게 전송하는 펑처링(puncturing) 또는 진행 중인 UL 전송의 중단(stopping on-going UL transmission)에 대한 indication signal은 (별도로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서 지시된) mini-slot (group) 별로 또는 URLLC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서비스 요구 사항(service requirement) 및/또는 스케쥴링 단위(scheduling unit)을 갖는 eMBB와 URLLC가 기지국의 grant 기반으로 동작할 경우, 기지국은 eMBB UL transmission이 발생 중인 동안에 URLLC UL transmission을 (일부 겹치는 time-frequency resource를 통해서) 수신하기 위해서 eMBB UE에게 indication signal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ndication signal의 전송 가능 시점은 URLLC UL transmission에 대한 grant를 전송하는 시점 또는 해당 시점 이후와 URLLC UL transmission 시점 이전 사이일 수 있다.
eMBB UE는 기지국이 전송한 indication signal을 수신 (또는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점(예를 들어, 다음 mini-slot (group))부터 eMBB UL transmission의 전송 지연 혹은 전송 중단일 수 있다.
좀 더 특징적으로, 상기 indication signal은 eMBB/URLLC에 대한 UL transmission 이외에도 DL transmission에 대해서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차세대 시스템은 서로 다른 service requirements 및/또는 scheduling unit을 갖는 eMBB와 URLLC에 대해서 eMBB DL transmission이 진행되는 도중에 자원의 일부를 URLLC DL transmission으로 사용할 수 있다.
eMBB UE는 적합한 demodulation 및 decoding을 위해서 상기 상황에 대한 indication signaling에 대한 도입을 고려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이 상기 indication signalling을 mini-slot (group)별로 전송한다고 할 때, 상기 indication signalling은 (1) 진행 중인(on-going) eMBB DL transmission이 URLLC DL transmission에 의해서 펑처링 되었는지 유무 또는 해당 자원 정보, 및/또는 (2) on-going eMBB UL transmission이 URLLC UL transmission에 의해서 전송 지연 또는 전송 중단 여부 또는 해당 대상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표현 방식으로, (1) DL data를 demodulation 및 decoding함에 있어서 해당 UE에 대한 정보가 아닌 부분을 표시, 및/또는 (2) UL data를 전송함에 있어서 특정 시점부터 전송을 지연할지 또는 전송을 중단할지에 대한 여부 또는 대상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간략하게 2 bits의 비트맵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MSB는 DL에 대한 정보, LSB는 UL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eMBB/URLLC DL 및/또는 UL multiplexing에 대한 정보를 서로 다른 sequence에 매핑하는 형태로 indication signal이 설정될 수도 있다.
Grant-free 기반의 UL transmission을 고려할 경우, 기지국에서 on-going transmission에 대한 방법을 조절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RLLC가 grant-free UL transmission 방법을 이용하고, traffic이 간헐적으로 발생한다고 가정할 때, 기지국은 eMBB UL transmission을 언제 중단할지에 대해 알 수 없다.
이에 대한 문제를 경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전송 지연 또는 전송 중단의 대상이 되는 resource는 사전에 (high layer signaling을 통해서) 설정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eMBB 및 URLLC의 중첩(Superposition of eMBB and URLLC)
또 다른 방법으로, eMBB와 URLLC를 동일 resource에서 동시 전송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두 개의 UL channel들 간 전력 비율(power ratio)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크게 하고, superposition함으로써 기지국(gNB)에서 두 UL channel들을 (interference cancellation 기법 등을 이용하여) 구분 및 검출하게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eMBB UL transmission은 전송 중일 수 있으며, 또한 QAM modulation을 고려하는 경우, 하나의 channel은 전송 중에 power가 유지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기 때문에, URLLC의 power를 적합하게 변경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eMBB UE의 상황 또는 power 설정에 따라서 eMBB UL signal에 URLLC signal을 포개는(또는 중첩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고, 반대로 URLLC UL signal에 eMBB signal을 포개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중첩(superposition)에서 포개는 signal은 상대적으로 power가 작은 것일 수 있으며, 포갬을 당하는 signal이 먼저 검출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즉, latency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송신 또는 수신 power의) URLLC UL signal에 (상대적으로 낮은 송신 또는 수신 power의) eMBB signal을 포개는 것만 network이 허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의 경우, eMBB signal을 decoding하기 위해서는 URLLC signal을 전체 또는 일정 수준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해당 eMBB UE에게 혹은 cell-common하게 혹은 group-common하게 URLLC signal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상기의 방법은 eMBB DL transmission에 제한될 수 있으며, UL transmission의 경우 대상이 동일 network일 수 있으므로, eMBB 및 URLLC UL transmission에 대한 decoding 정보를 모두 아는 경우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예로, URLLC signal을 decoding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candidate(s)을 사전에 정의 또는 network이 signalling을 통해서 지시해줄 수 있다.
상기에서 network signalling은 higher layer에서 설정하는 것일 수도 있고, 혹은 higher layer에서 후보 군을 설정한 후 DCI에서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좀더 특징적으로, DCI는 group-common DCI이거나 또는 해당 eMBB data를 scheduling하는 DCI일 수 있다.
URLLC signal은 상대적으로 높은 power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eMBB signal의 유무와 관계없이 decoding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반대 방향의 superposition을 고려할 경우, 상기 실시 예에서 eMBB signal과 URLLC signal의 설명 위치가 바뀔 수 있다.
좀 더 특징적으로, URLLC UE에게 eMBB signal에 대한 정보를 제공 시, 기지국은 특정 CB group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eMBB UL channel에 대해서는 grant 기반의 scheduling이 고려될 수 있으며, URLLC UL channel에 대해서는 grant 기반의 scheduling과 grant-free기반의 scheduling이 모두 고려될 수 있다.
상기에서 grant-free 기반이란, UE가 기지국(gNB)의 scheduling 지시없이 미리 또는 higher layer에서 할당된 자원에서 스스로 전송하는 형태일 수 있다.
Grant 기반의 UL channel 전송 간에는 각자 power control (특히 TPC(transmit power control) 조절)을 통해서 중첩(superposition)이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TPC 및/또는 high layer signalled offset이 적합한 값으로 setting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값의 범위에 대한 조절 폭이 클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superposition 동작을 (higher layer에서) configure 할 경우, TPC의 값 범위 및/또는 higher layer signalled offset의 값 또는 값 범위가 변동될 수 있다.
eMBB와 URLLC가 superposition되어서 전송할 수 있는 자원은 semi-static하게 configure되어 있고, 해당 자원 내에서의 URLLC 스케줄링은 grant 기반으로 dynamic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때, eMBB UE는 URLLC가 전송될 가능성이 있는 자원과 그렇지 않는 자원에서 별도의 전송 전력을 적용할 수 있으며, URLLC 전송이 가능한 자원에 적용하는 별도의 TPC 정보는 higher layer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일 UL transmission에 대하여 power 설정이 다를 수 있는 상이한 resource가 모두 구성되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일례로, superposition을 고려한 혹은 URLLC transmission을 위한 guaranteed resource는 다른 resource에 비해서 UL transmit power가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UL transmit Power 변경 시, 위상 연속성(phase continuity)가 보장이 안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장된 자원(guaranteed resource)에 대해서도 별도의 pilot 혹은 RS가 추가될 수도 있다.
다음은 guaranteed resource에서의 UE 동작에 대해 아래 방법들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eMBB UL transmission의 전송 방법을 살펴본다.
(방법 1)
방법 1은 전체 혹은 특정 signal (e.g. RS 및/또는 UCI)를 제외하고는 전송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URLLC 전송을 위해서 eMBB UL transmission은 해당 resource에서 punctured 또는 rate-matched될 수 있다.
상기 punctured 또는 rate-matched는 dropped로 표현될 수도 있다.
(방법 2)
방법 2는 전체 또는 특정 signal (e.g. RS 및/또는 UCI)를 제외하고는 전송 power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해당 guaranteed resource에 대한 전송 power 또는 power density는 non-guaranteed resource에서의 전송 power에 비례해서 (추가 offset) 설정될 수도 있거나 또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power control이 수행(독립적으로 higher layer signalled offset 설정 및/또는 TPC (transmit power control) 운용)될 수도 있다.
(방법 3)
방법 3은 주파수(frequency) 및/또는 시간-영역(time-domain)에 대해서 OCC (orthogonal cover code)를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eMBB UL transmission은 특정 PRB set (e.g. single PRB) 내에 대해서 frequency 축으로 OCC가 적용될 수 있으며(e.g, 2-length OCC 또는 4-length OCC), 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service requirements 및/또는 scheduling unit을 갖는 eMBB와 URLLC 간 multiplexing을 지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eMBB UL transmission은 각 PRB(physical resource block)마다 even subcarrier index와 odd subcarrier index에 대해서 반복 매핑되고, 각각에 대해서 OCC가 설정(even subcarrier index에 대응되는 coded symbol에는 +1을 곱하고, odd subcarrier index에 대응되는 coded symbol에는 service 혹은 UE에 따라서 -1 또는 +1을 곱하는 것)될 수 있다.
또는, 각 PRB 내에 처음 6개의 subcarrier index들과 다음 6개의 subcarrier index들에 반복 매핑되고, 각각에 대해서 OCC가 설정될 수도 있다.
방법 3은 상호 특정 방식만 선택될 수도 있거나 또는, 기지국이 지시 (e.g. DCI로 지시 혹은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DCI는 해당 UL transmission을 scheduling하는 것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multiplexing의 대상이 되는 URLLC는 grant 기반의 UL transmission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grant-free 기반의 UL transmission의 경우에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반면에, grant-free 기반의 UL channel은 기지국에서의 power 조절이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에, eMBB data와 superposition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경우, grant-free URLLC에 대해서 설정된 resource에 대해서는 eMBB data가 rate-matching 또는 puncturing될 수 있다,
상기 URLLC에 대해서 설정된 자원은 grant-free UL transmission이 전송될 수 있는 candidates의 전체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guaranteed resource 형태로 기지국이 지시(higher layer signalling 또는 DCI 지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superposition을 지원할 경우, 상기 higher layer signalled offset에 의존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좀 더 특징적으로 grant-free에 대한 TPC는 별도의 channel (e.g. group-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 등)을 통해서 전송해줄 수 있다.
특징적으로, 해당 TPC command는 accumulation 용도라기 보다는 TPC command 이후 처음 grant-free 자원에 대한 power의 설정일 수 있다.
또는, TPC command를 통해 다수의 grant-free 자원들에 대한 power를 설정할 수도 있고, 어느 정도의 자원에 적용되는 것인지는 higher layer로 configuration되거나 동적으로 indication될 수 있다.
이러한 TPC에서 전송되는 값은 offset 이거나 P0 또는 alpha 등에 해당하는 power control parameter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measurement한 pathless 기반으로 해당 parameter를 설정하여 power를 계산할 수 있다.
URLLC와 eMBB가 superposition되는 경우, URLLC의 DMRS가 전송될 수 있는 RE에서 eMBB UE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RE를 비워두고 rate match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eMBB UE는 URLLC의 DMRS가 전송되는 RE에서 URLLC DMRS와 직교하는 시퀀스(e.g. 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superposition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URLLC의 채널 추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만약, 기지국이 URLLC를 먼저 decoding하고, 이후 eMBB를 decoding하는 경우, eMBB의 DMRS가 전송되는 RE에는 URLLC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URLLC가 성공적으로 decoding하는 경우에는 URLLC 신호를 제거한 뒤 eMBB 신호의 decoding을 시도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URLLC의 신뢰도가 eMBB보다 높기 때문이다.
eMBB 단말 또는 URLLC 단말의 UL grant를 URLLC 단말 또는 grant-free 사용 단말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은 상기 검출을 위해서 각 단말 별 RNTI로 masking을 하기보다는 group RNTI로 masking을 하고, 단말 ID를 payload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two-stage DCI가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첫 번째(1st) level DCI를 group RNTI로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에 대한 indication을 단말에게 먼저 주고, 두 번째(2nd) level DCI의 경우, 기지국은 단말 RNTI로 indication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DCI를 수신한 단말은 grant-free 전송 시 grant-based transmission과 충돌 할 수 있음을 감지하고, UL 전송을 drop 하거나 또는 UL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power offset을 크게 증가시켜 reliability를 높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grant-based 단말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grant-free resource의 frequency 영역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줄 수도 있다.
일례로,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를 M개의 sub-band로 나누고, grant-free resource가 어떤 sub-band에 올 수 있는지 기지국은 동적으로 단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Grant-free UL transmission들 간에도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체 또는 일부 grant-free UL transmission을 위한 reserved resource에 대해서 UL channel을 매핑 시, OCC를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guaranteed resource에서 전송되는 grant-free UL transmission은 해당 coded symbol을 매핑함에 있어서 반복 및/또는 OCC를 적용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subcarrier index f0, f1, ..., fN-1에 대해서 OCC o0, o1, o2, ..., oM-1이 사용된다고 할 때, coded symbol c0, c1, c2,...는 guaranteed resource에서 c0*o0, c0*o1, ..., c0*oM-1, c1*o0,...c1*oM-1, ... 와 같은 방식으로 매핑될 수 있다.
상기 OCC 적용 방법은 일례에 불과하며, 실제 매핑 순서는 interleaved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UE에 대하여 OCC sequence는 다르게 선택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OCC를 사용하는 UE에 대한 grant-free UL transmission은 기지국에서 분리 및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RLLC의 traffic의 양은 상대적으로 다른 data traffic에 비해서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OCC 적용에 따른 resource 증가가 미미할 수 있다.
프리엠션 지시(Pre-emption indication)
NR의 경우, eMBB와 URLLC 사이의 동적 자원 공유(sharing)이 지원된다. eMBB와 URLLC 서비스들은 비-중첩(non-overlapping) 시간/주파수 자원들 상에서 스케쥴될 수 있으며, URLLC 전송은 진행 중인(ongoing) eMBB traffic에 대해 스케쥴된 자원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 eMBB 단말은 해당 단말의 PDSCH 전송이 부분적으로 펑처링(puncturing)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을 수 있고, corrupted coded bit들로 인해 단말은 PDSCH를 디코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해, NR에서 프리엠션 지시(preemption indication) 관련 내용들이 정의되어 있다. 상기 프리엠션 지시(preemption indication)는 중단된 전송 지시(interrupted transmission indication)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7은 프리엠션 지시 관련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ownlinkPreemption IE를 수신한다(S710).
그리고, 단말은 상기 DownlinkPreemption IE에 기초하여 DCI format 2_1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720).
그리고, 단말은 상기 DCI format 2_1에 포함된 pre-emption indication에 의해 지시된 자원(PRB 및 OFDM symbol)에서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다(또는 어떤 전송도 의도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S730).
도 8은 프리엠션 지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프리엠션 지시(또는 interrupted transmission indication 또는 impacted resource indication)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말이 higher layer parameter DownlinkPreemption를 제공받은 경우, 단말은 DCI format 2_1을 운반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higher layer parameter int-RNTI에 의해 제공된 INT-RNTI로 설정된다.
그리고, 단말은 DownlinkPreemption IE에 의해 추가적으로 INT-ConfigurationPerServingCell 파라미터, dci-PayloadSize 파라미터, timeFrequencySet 파라미터와 같은 정보들이 설정된다.
아래 표 3은 DownlinkPreemption IE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20067974841-pct00042
상기 int-RNTI 파라미터는 DL에서 pre-emption indication을 위해 사용되는 RNTI이며, timeFrequencySet 파라미터는 DL-preemption indication에 대한 set을 선택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상기 dci-PayloadSize 파라미터는 INT-RNTI로 스크램블된 DCI payload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상기 int-ConfigurationPerServingCell 파라미터는 DCI payload 내에 있는 14bit INT 값들의 위치를 (서빙 셀 별로) 지시하는 파라미터이다.
상기 positionInDCI 파라미터는 DCI payload 내 (servingCellId) 해당 서빙 셀에 대해 적용 가능한 14bit INT value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상기 INT-ConfigurationPerServingCell 파라미터는 대응하는 higher layer parameter servingCellId 및 higher layer parameter positionInDCI에 의해 DCI format 2_1의 필드들에 대한 위치의 대응하는 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빙 셀 인덱스 세트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만약 단말이 설정된 서빙 셀들의 세트로부터 서빙 셀에 대한 DCI format 2_1을 검출하는 경우, 마지막 모니터링 기간의 PRB 세트 및 symbol 세트로부터, 단말은 해당 단말로의 어떠한 전송도 DCI format 2_1에 의해 지시된 PRB들 및 symbol들에서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상기 DCI format 2_1는 어떤 전송도 UE를 위해 의도되지 않았다고 UE가 가정하는 PRB(s) 및 OFDM symbol(s)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PRB 및 OFDM symbol은 pre-emption indication에 의해 지시된다.
상기 DCI format 2_1에 의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preemption indication은 INT-RNTI(interruption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CRC 스크램블된다.
상기 DCI format 2_1의 사이즈는 126 bit들까지 higher layer들에 의해 설정되며, 각 pre-emption indication은 14 bit이다.
여기서, DCI format 2_1에 의한 preemption indication은 SS/PBCH block의 수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 보다 유연하게 기지국이 시간/주파수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고, 시스템 대역폭으로 단말의 주파수 영역을 제한하지 않고, 단말에 개별적인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단말들이 사용하는 상이한 QoS(Quality of Service)를 가지는 service에 따라 자원을 할당 받는 signaling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단말 또는 하나의 단말이더라도 service 간의 requirement를 고려하여 시스템이 특정 service의 트래픽을 우선해야 할 수 있다.
짧은 latency와 높은 reliability를 요구하는 service를 위하여 기지국이 단말들의 자원을 기존 시스템보다 더 dynamic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5G/NR은 여러 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며, 하나의 단말도 여러 가지 서비스들을 동시에 지원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여러 가지 서비스들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가 L2 이상의 level에서만 분류 되게 되면, 매우 짧은 latency를 요구하는 서비스 등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매우 짧은 latency를 요구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L1에서도 QoS에 따라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단말이 각 packet의 QoS requirement를 구별해 낼 수 있는 방식이 L1에서도 필요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여러 QoS requirement가 낮은 data를 지원하면서도 짧은 interruption과 minimum resource로 urgent한 data가 처리될 수 있게 된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향링크 전송의 dynamic resource sharing을 위해 group-common DCI를 사용한 preemption indic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기지국이 임의로 특정 transmission을 다른 전송을 puncturing하여 전송하고, 차후 puncturing의 여부 또는 가능성을 단말에게 알려 puncturing으로 인한 손해를 단말이 스스로 compensation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향링크 전송의 경우, 전송의 주체가 서로 다른 단말이기 때문에 전송 시점에서 하향링크처럼 puncturing을 수행하는데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victim UE에 대한 중단 메시지(halting message), 중첩 전송(superposition transmission) 등의 추가적인 signaling 혹은 전송 기법을 통한 상향링크 동적 공유(uplink dynamic sharing)이 고려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단말들이 dynamic한 uplink sharing을 사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signaling 또는 전송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공한다. Downlink resource sharing에 비해서 uplink resource sharing 은 좀 더 중요성을 가진다. 첫째, downlink 의 경우, network 이 power 를 증가시키거나, resource 사용을 증가시키거나 하는 방식으로 URLLC traffic에 priority 를 줄 수 있다. 하지만 Uplink 의 경우, 해당 동작이 단말의 제한된 power로 인하여 제한적이며, 특히 다른 셀에 접속된 단말에서 주는 interference를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uplink multiplexing 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식들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URLLC use case의 경우, uplink traffic이 더욱 중요한 경우들이 있다 (e.g., sensor data report). 따라서, 효과적으로 URLLC UL transmission을 하기 위한 방식들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경우, 단말의 PUSCH 전송에 대한 멀티플렉싱(multiplexing)에 대해서 다루고 있지만, 본 명세서의 내용은 단말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dynamic grant PUSCH 전송만이 아닌 configured grant를 사용한 PUSCH 전송, semi-static/dynamic signaling에 의한 PUCCH 전송 또는 임의 접속(random access) 시의 상향링크 전송뿐만 아니라 PDSCH를 포함한 단말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송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차세대 무선 시스템은 응용 분야 또는 traffic의 종류에 따라서는 물리 채널을 송수신하는데 가정/사용하는 기준 시간 단위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은 특정 물리 채널을 scheduling하는 기본 단위일 수 있으며, 해당 scheduling unit을 구성하는 symbol의 개수 및/또는 subcarrier spacing 등에 따라서 기준 시간 단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상 기준 시간 단위로써 slot과 non-slot을 기반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slot은 일례로, 일반적인 data traffic (e.g.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에 사용되는 scheduling 기본 단위일 수 있으며, non-slot은 time-domain에서 slot보다 시간 구간이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non-slot은 좀 더 특별한 목적의 traffic 또는 통신 방식 (e.g. URLLC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또는 unlicensed band 또는 millimeter wave 등)에서 사용하는 scheduling 기본 단위일 수도 있다.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eMBB가 non-slot을 기반으로 물리 채널을 송수신하는 경우 또는 URLLC나 다른 통신 기법이 slot 기반으로 물리 채널을 송수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확장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TA를 가지는 impacted resource indication handling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별도의 signaling을 통해 어떤 단말의 기존 전송을 중단 혹은 puncture시키고, 확보한 자원에서 새로운 전송을 urgent하게 전송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signaling은, 하나의 단말 입장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단말이 해당 signaling을 짧은 시간 안에 처리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기지국이 이러한 signalling 및 자원 할당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이상적인 상황에서 자원을 사전에 할당 받았고, 어떤 signalling을 통해 자원 사용을 할 수 없게 되는 victim UE(vUE)가 수신하는 Halting request message 즉, Impacted resource indication과 해당 자원을 우선하여 사용하게 될 pre-empting UE(pUE)가 수신하는 Uplink resource allocation, UL grant는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pUE의 전송을 vUE가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pUE가 UL grant를 해석하는 시간(processing time)에 비해 vUE가 halting message를 해석하는 시간이 최소한 같거나 작아야 한다.
도 9는 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중단 메시지 전송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pUE은 urgent한 service를 사용하기 위해서 slot n의 1st symbol에서 scheduling request를 전송하고, vUE은 n+1 slot의 symbol들을 PUSCH 전송에 사용하기 위해 이미 할당 받은 상태이다.
이때, 기지국이 8th symbol에서 pUE에게 vUE가 이미 할당 받은 시간/주파수 자원 중 일부를 UL grant로서 새로이 할당하고, vUE로 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halting message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vUE는 n slot의 8th symbol에서 수신된 halting message를 해석하여 n+1 slot의 1st, 2nd symbol에서의 전송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이상적인 상황이고, signaling을 전달하는 채널(i.e., PDCCH)의 물리적 구성에 따라 signaling의 수신 timing이 달라질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먼 거리에 존재하는 경우에 propagation delay를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timing advanced(TA) 만큼 앞서서 수행되기 때문에, vUE가 halting message를 해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용 processing time은 상기 다양한 요소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halting message를 수신한 시점이 t이고, halting message를 통해 pre-empted되는 첫 번째 자원의 위치가 t+k일 때, 기지국이 전송하는 halting message가 유효할 수 있도록 다음을 고려하여 기지국 또는 단말이 halting message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k는 미리 정해지거나 기지국의 higher layer signaling 혹은 L1 signaling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방법 1)
vUE는 자신이 사용하는 TA 값을 고려하여 중단 메시지(halting message)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가 tTA인 경우, k-tTA 값이 어떤 임계값 tthreshold보다 작은 경우, 상기 vUE는 상기 중단 메시지(halting message)를 유효하지 않은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미리 정해진 값이거나 또는 기지국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 또는 L1 signaling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거나 또는 단말의 능력(capability)에 따라 정해지는 값일 수 있다.
단말은 유효하지 않은 halting message를 기대하지 않거나 또는 무시할 수 있다.
단말이 유효하지 않은 halting message를 기대하지 않거나 또는 무시하는 경우, 상기 halting message는 UE-specific한 signaling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단말이 SFI (slot format indicator)를 수신해서 UL에 대한 전송을 cancel하는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이 상기 SFI를 수신한 slot을 n(slot #n)이라고 할 때, 단말의 최소 processing time (to PUSCH)를 k2라고 하고, 자신의 TA 값을 tTA라고 할 경우, slot n에서부터 최소 k2 + 2* tTA 이후의 UL에 대해서 cancel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좀 더 간단히, 단말은 해당 delay 이후의 slot들에 schedule된 UL을 cancel할 수 있거나, UL의 resource 시작이 해당 delay 이후인 경우에만 cancel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방법 2)
vUE가 자신이 사용하는 TA 값을 고려하여 halting message를 임의로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가 tTA인 경우, k - tTA 값이 어떤 임계값 tthreshold 보다 작은 경우 tthreshold k1-tTA를 만족하는 k1을 정해진 k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달받은 pre-empted resource의 duration이 d인 경우, d + k = k1 + d1인 d1이 duration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기지국이 전달한 pre-empted resource에서 가능한 한 halting message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미리 정해진 값이거나 또는 기지국의 higher layer signaling 또는 L1 signaling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거나 단말의 capability에 따라 정해지는 값일 수 있다.
상기 방법들에 있어, 단말이 k - tTA를 기준으로 halting message의 유효성을 판단하거나 해석하는 과정에서 k - tTA 값 대신 tTA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기술적 사상이 확장되는 것은 자명하다.
DMRS를 가진 Impacted resource indication handling
단말이 halting message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데 있어, halting message가 나타내는 impacted resource의위치와 동시에 할당 받은 PUSCH의 DMRS 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채널추정에 DMRS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DMRS가 없는 경우 단말의 전송성능에 큰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 pre-empted resource에 의해 scheduled PUSCH resource가 두 개 이상의 연속되지 않는 부분으로 (시간상으로) 나누어 지는 경우, 단말의 phase continuity가 성립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각 부분의 채널 추정을 위해서 각 부분에 DMRS가 포함되도록 하거나 수신할 수 없는 부분을 drop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 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방법 2-1)
vUE로 전송된 halting message가 나타내는 pre-empted resource가 단말이 할당 받은 PUSCH 전송의 DMRS symbol을 포함하더라도, 상기 DMRS symbol은 pre-emption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DMRS symbol은 상기 halting message로부터 보호받는 것일 수 있다. 이때, pUE의 UL grant는 vUE의 DMRS symbo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동일한 DMRS symbol을 지시할 수 있다.
(방법 2-2)
vUE로 전송된 halting message가 나타내는 pre-empted resource가 단말이 할당 받은 PUSCH 전송의 DMRS symbol을 포함하는 경우, vUE가 할당받은 PUSCH/PUCCH 전송의 전체를 drop할 수 있다.
이는 DMRS가 pre-empted resource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PUSCH의 일부라도 pre-emption된 경우, 전체 PUSCH/PUCCH를 drop하는 옵션으로 확장할 수 있다.
(방법 2-3)
vUE로 전송된 halting message가 나타내는 pre-empted resource가 단말이 할당 받은 PUSCH 전송의 DMRS symbol을 포함하는 경우, vUE가 상기 halting message를 기대하지 않거나 또는 무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vUE는 상기 halting message가 유효하지 않은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방법 2-4)
vUE로 전송된 halting message에 새로운 PUSCH DMRS가 지시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PUSCH DMRS는 pre-empted resource에 포함되지 않는 DMRS일 수 있다.
이때, vUE로 전송된 halting message가 복수의 새로운 PUSCH DMRS들의 위치를 지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의 PUSCH DMRS들의 위치는 pre-empted resource에 의해 비연속성(discontinuity)를 가지게 된 PUSCH의 부분들(parts of PUSCH)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방법 2-5)
vUE가 할당받은 PUSCH가 pre-empted resource에 의해 discontinuity를 가지게 된 경우, DMRS는 전체 또는 일부 (part of PUSCH)의 특정 symbol(e.g., 첫 번째 symbol)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halting message에서 이러한 DMRS 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parameter를 지시할 수 있다.
특히, PUSCH 전송 도중에 pre-empted resource가 발생한 경우, vUE는 해당 pre-emption 이후 DMRS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방법 2-6)
vUE가 할당받은 PUSCH가 pre-empted resource에 의해 discontinuity를 가지게 된 경우, DMRS가 존재하는 전체 또는 일부의 PUSCH만이 전송되고, DMRS를 포함하지 않는 PUSCH의 부분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2-7)
Pre-empted resource가 DMRS와 충돌하지 않는 경우에도 overlap 되는 PUSCH의 경우 drop을 가정한다. 또는, vUE가 첫 심볼부터 처음 overlap 되는 심볼 전까지만 전송한다.
위의 pre-emption resource에 의해 discontinuity가 발생하는 경우 위의 방법들이 필요한 기술적 이유는 DMRS와 PUSCH 간에 puncturing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안테나를 on / off하면서 DMRS와 PUSCH 간에 align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살핀 방법들은 상기 discontinuity 또는 pre-empted resource의 시간 길이가 어떤 시간 길이 k보다 큰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k는 미리 정해지거나 또는 기지국의 higher layer signaling 혹은 L1 signaling에 의해 결정되거나 단말의 capability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들을 사용함에 있어 새로운 DMRS 위치를 결정하거나 또는 signaling을 통해 새로이 indication하는 경우, 새로운 DMRS 위치의 resource element에 DMRS 외의 다른 DATA(e. g., UL-SCH data)가 이미 mapping되어 있는 경우, 해당 DATA는 새로운 DMRS에 의해 추가적으로 puncturing되거나 또는 rate-matching될 수 있다.
또는, symbol level로 단순히 DMRS의 위치만 변경된 것인 경우, 기존의 RE mapping을 위치만 바꾸어 전송될 수 있다.
웨이브폼을 갖는 Impacted resource indication handling
단말이 수신하는 Impacted resource indication(i.e., pre-empted resource indication)이 주파수 영역의 자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단말이 할당 받은 자원에 time-domain discontinuity 뿐만 아니라 frequency domain discontinuity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DFT-s-OFDM 등 frequency domain의 연속성에 민감한 waveform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의 전송 성능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pre-emption의 효과 또한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vUE가 수신하는 Impacted resource indication(IRI)이 frequency-domain discontinuity를 만드는 경우, 다음의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3-1)
단말이 frequency-domain discontinuity를 만드는 IRI를 무시하거나 또는 기대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IRI는 CP-OFDM에서만 허용될 수 있다.
(방법 3-2)
단말이 frequency-domain discontinuity를 만드는 IRI를 수신하는 경우, frequency-domain discontinuity가 발생하는 resource 영역에서 전체 frequency domain을 비우기 위해 puncturing하거나 또는 rate match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은 IRI에 포함된 정보 중 시간 영역 정보(time-domain information)만을 적용하고, frequency domain에 대한 정보는 없는 것으로 가정하거나 또는 항상 전체 frequency 영역을 의미하는 것이라 가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UE가 사용하는 waveform에 따라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CP-OFDM을 사용하는 vUE는 IRI가 보내는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고, DFT-s-OFDM을 사용하는 단말은 앞서 언급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Impacted resource indication의 설계
앞서 살핀 동작들에서 vUE가 pUE가 사용할 resource를 확보하기 위해 vUE에게 pre-empted resource를 dynamic하게 알려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때 signaling의 design을 위해 다음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다.
(방법 4-1)
방법 4-1은 DL pre-emption indication과 같은 signaling을 재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UL pre-emption indication은 signaling의 형태는 동일하지만, 다른 reference resource를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미래에 존재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이 reference resource로 사용될 수 있다.
(방법 4-2)
방법 4-2는 UL grant의 signaling을 재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DCI format 0_0, DCI format 0_1에서 특정한 parameter 값을 통해 resource가 pre-empted됨이 지시될 수 있다.
이때, pre-empted resource를 나타내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time/frequency resource allocation을 사용하고, 별도의 field로 pre-emption 여부를 나타내거나, time-domain resource allocation만을 pre-empted resource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고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의 특정 값, 일례로, RA type 0에서 모두 '0' RA type 1에서 모두 '1' 등을 사용하여 pre-emption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단말은 해당 DCI에 포함된 HARQ ID, NDI 등의 HARQ entity와 연관되거나 pre-emption 동작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DCI field들을 무시할 수 있다.
SS/UE-ID를 가진 Impacted resource indication handling
IRI가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하기 위해 UE-specific signalling 뿐만 아니라 group-specific, BWP-specific, cell-specific 등 다수의 단말에게 한번에 전송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pUE가 IRI를 수신하는 것을 배제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IRI를 수신했을 때 자신이 pUE인지, vUE인지 판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때 단말이 control signalling을 수신할 때 사용하는 parameter, resource등을 고려하여 다음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방법 5-1)
단말이 IRI를 수신했을 때, pre-empted resource에 포함된 scheduled resource의 여부로 pUE인지 또는 vUE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IRI가 나타내는 pre-empted resource와 기존에 할당된 scheduled resource의 overlap 여부로 pUE인지 vUE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 혼동이 없도록 항상 pUE의 UL grant보다 IRI를 같거나 더 앞선 시간에 전송하고, IRI와 동시에 수신된 UL grant에 대해서 서로 conflict하는 경우, 상기 UL grant를 우선시 할 수 있다.
(방법 5-2)
단말이 IRI를 수신했을 때, pre-empted resource에 포함된 scheduled resource의 scheduling signal로 pUE인지 또는 vUE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다음 방법들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방법 5-2-1)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resource를 scheduling 받을 때 사용한 control channel (e.g., Search space, CORESET, PDCCH)에 기반하여 pUE 인지 또는 vUE 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RESET confinguration에 포함된 parameter를 통해 단말이 해당 CORESET에 포함된 scheduling은 다른 단말에 의해 pre-empted 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것일 수 있다. 혹은 CORESET/PDCCH의 위치 및 길이를 특정 위치, 특정 길이와 비교하여 어떤 조건(e.g., 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같은 경우, 어떤 임계 값 내로 유사한 경우 등)을 만족하는 경우 다른 단말에 의해 pre-empted 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정 위치, 특정 길이, 어떤 조건은 미리 정해지거나 기지국의 higher layer signalling 혹은 L1 signalling에 의해 정해지는 것일 수 있다.
(방법 5-2-2)
단말이 resource를 scheduling 받을 때 사용한 RNTI에 기반하여 pUE인지 또는 vUE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특정 RNTI를 통해 단말이 수신한 scheduled resource는 다른 단말에 의해 pre-empted 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RNTI는 미리 정해지거나 또는 기지국의 higher layer signaling 또는 L1 signaling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RNTI는 urgent한 traffic을 scheduling하기 위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할당한 Identifier일 수 있다. 또는, configured grant에 사용되는 CS-RNTI 등 URLLC 전송에서 이용될 수 있는 RNTI중 하나일 수 있다.
(방법 5-3)
단말이 IRI를 수신했을 때, pre-empted resource에 포함된 scheduled resource의 scheduling signal과 IRI를 수신할 때 사용한 control signal을 동시에 고려하여 pUE 인지 vUE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heduling signal의 control channel 및/또는 수신에 사용된 RNTI와 IRI 수신에 사용된 control signal의 control channel 및/또는 수신에 사용된 RNTI 사이에 mapping이 존재하고, mapping된 IRI로만 해당 scheduled resource를 pre-emption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mapping은 control channel의 구성, RNTI의 종류에 의해 미리 정해지거나 또는 기지국의 higher layer signaling 또는 L1 signaling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도 10은 eMBB와 URLLC 간의 동적 자원 공유(resource sharing)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S1010).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중단을 지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대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020).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S1030).
만약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DMRS가 포함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드롭(drop)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DMRS가 포함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앞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1 파트,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해당하는 제 2 파트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뒤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3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3 파트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슬롯보다 작은 시간을 가지는 논-슬롯(non-slot) 단위로 스케쥴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대한 순서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도 11은 eMBB와 URLLC 간의 동적 자원 공유(resource sharing)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기지국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단말로 전송한다(S1110).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중단을 지시하는 제 1 정보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대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S1120).
만약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DMRS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앞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1 파트,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해당하는 제 2 파트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뒤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3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3 파트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슬롯보다 작은 시간을 가지는 논-슬롯(non-slot) 단위로 스케쥴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도 1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210)과 기지국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1220)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과 단말은 각각 무선 장치로 표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프로세서(processor, 1211), 메모리(memory, 1212) 및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1213)을 포함한다. 상기 RF 모듈은 전송기(transmitter)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11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모듈은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은 프로세서(1221), 메모리(1222) 및 RF 모듈(122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11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모듈은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1212, 1222)는 프로세서(1211, 12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또는 단말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
안테나(1214, 1224)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310)과 기지국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1320)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송신 장치로, 단말은 수신 장치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기지국과 단말은 프로세서(processor, 1311,1321), 메모리(memory, 1314,1324), 하나 이상의 Tx/Rx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1315,1325), Tx 프로세서(1312,1322), Rx 프로세서(1313,1323), 안테나(1316,132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앞서 살핀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DL(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은 프로세서(1311)에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L2 계층의 기능을 구현한다. DL에서, 프로세서는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다중화(multiplexing), 무선 자원 할당을 단말(1320)에 제공하며, 단말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전송(TX) 프로세서(1312)는 L1 계층 (즉, 물리 계층)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을 구현한다. 신호 처리 기능은 단말에서 FEC(forward error correction)을 용이하게 하고, 코딩 및 인터리빙(coding and interleaving)을 포함한다. 부호화 및 변조된 심볼은 병렬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스트림은 OFDM 부반송파에 매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와 멀티플렉싱되며, 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 영역 OFDMA 심볼 스트림을 운반하는 물리적 채널을 생성한다. OFDM 스트림은 다중 공간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개별 Tx/Rx 모듈(또는 송수신기,1315)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1316)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Tx/Rx 모듈은 전송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반송파를 변조할 수 있다. 단말에서, 각각의 Tx/Rx 모듈(또는 송수신기,1325)는 각 Tx/Rx 모듈의 각 안테나(1326)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Tx/Rx 모듈은 RF 캐리어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여, 수(RX)프로세서(1323)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는 layer 1의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는 단말로 향하는 임의의 공간 스트림을 복구하기 위해 정보에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단말로 향하는 경우, 다수의 RX 프로세서들에 의해 단일 OFDMA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 있다. RX 프로세서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사용하여 OFDMA 심볼 스트림을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주파수 영역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 캐리어에 대한 개별적인 OFDMA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기준 신호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배치 포인트들을 결정함으로써 복원되고 복조된다. 이러한 연 판정(soft decision)들은 채널 추정 값들에 기초할 수 있다. 연판정들은 물리 채널 상에서 기지국에 의해 원래 전송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되다. 해당 데이터 및 제어 신호는 프로세서(1321)에 제공된다.
UL(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은 단말(1320)에서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지국(1310)에서 처리된다. 각각의 Tx/Rx 모듈(1325)는 각각의 안테나(1326)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Tx/Rx 모듈은 RF 반송파 및 정보를 RX 프로세서(1323)에 제공한다. 프로세서(1321)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1324)와 관련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은 3GPP LTE/LTE-A 시스템, 5G 시스템(New RAT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eMBB와 URLLC 간의 동적 자원 공유(resource sharing)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중단을 지시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과 관련된 타이밍 보정(Timing Advance, TA) 값 및 상기 제 1 정보와 관련된 심볼(symbol)을 수신한 시점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중단하기 위한 상기 제어 메시지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임계값에 근거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대한 제 2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DMRS가 포함된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드롭(drop)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DMRS가 포함된 경우,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앞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1 파트,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해당하는 제 2 파트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뒤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3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3 파트에 각각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슬롯보다 작은 시간을 가지는 논-슬롯(non-slot) 단위로 스케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eMBB와 URLLC 간의 동적 자원 공유(resource sharing)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transmitter);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receiver); 및
    상기 전송기 및 수신기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전송의 중단을 지시하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며; 및
    상기 단말과 관련된 타이밍 보정(Timing Advance, TA) 값 및 상기 제 1 정보와 관련된 심볼(symbol)을 수신한 시점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중단하기 위한 상기 제어 메시지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대한 제 2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DMRS가 포함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드롭(dro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상기 DMRS가 포함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앞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1 파트,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에 해당하는 제 2 파트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의 뒤에 위치하는 자원에 해당하는 제 3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DMRS의 새로운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3 파트에 각각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중단될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슬롯보다 작은 시간을 가지는 논-슬롯(non-slot) 단위로 스케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207018953A 2018-02-14 2019-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11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30320P 2018-02-14 2018-02-14
US62/630,320 2018-02-14
PCT/KR2019/001832 WO2019160360A1 (ko) 2018-02-14 2019-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476A KR20200088476A (ko) 2020-07-22
KR102211695B1 true KR102211695B1 (ko) 2021-02-03

Family

ID=6761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953A KR102211695B1 (ko) 2018-02-14 2019-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10827B2 (ko)
EP (1) EP3737189B1 (ko)
JP (1) JP7073506B2 (ko)
KR (1) KR102211695B1 (ko)
CN (1) CN111713164B (ko)
WO (1) WO2019160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1430B2 (en) * 2018-02-25 2021-02-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reemption in carrier aggregation/multi-connectivity mode
DE112019003715T5 (de) * 2018-07-25 2021-04-08 Sony Corporation Basisstation, anwenderausrüstung, schaltkreise, mobiltele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US20220159701A1 (en) * 2019-05-03 2022-05-19 Apple Inc. Downlink control channel signaling for ul coexistence of multiple service types
US11805528B2 (en) * 2019-05-13 2023-10-31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preemption applicability techniques
WO2021225492A1 (en) * 2020-05-05 2021-1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signaling for high frequency networks
US11595983B2 (en) * 2020-11-13 2023-02-28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of an uplink (UL) cancellation ind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12436930B (zh) * 2020-11-24 2024-03-22 北京中航通用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220312409A1 (en) * 2021-03-29 2022-09-29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continuity capability reporting
KR20230142987A (ko) * 2022-04-04 202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평행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의하여 스트리밍 서비스의 지연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86764B1 (en) 2009-10-09 2013-08-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tended cell range
CN103069763A (zh) * 2010-08-18 2013-04-24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接入系统中传输上行数据的方法和装置
JP5307112B2 (ja) * 2010-12-17 2013-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JP5291135B2 (ja) * 2011-03-11 2013-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CN103548409B (zh) * 2011-05-02 2017-07-28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接收数据的方法及其基站
WO2012173445A2 (ko) * 2011-06-17 2012-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306377B1 (ko) * 2011-09-29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19402B1 (ko) * 2014-12-15 2017-03-23 장재우 치과 임플란트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EP3242435B1 (en) * 2014-12-31 2019-10-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19616B1 (ko) * 2015-04-15 2017-03-29 농업회사법인 페트라 주식회사 당장 반건조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당장 반건조과
WO2017188729A2 (ko) * 2016-04-26 2017-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11102808B2 (en) * 2016-05-06 2021-08-24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80035459A1 (en) * 2016-07-29 2018-02-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existence of Grant-Based and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in a Channel
AU2017308902A1 (en) * 2016-08-10 2019-02-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Timing advance and processing capabilities in a reduced latency system
US20180049079A1 (en) * 2016-08-12 2018-02-15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9565711A (zh) * 2016-08-26 2019-04-02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以及发送方法
JP2019204983A (ja) * 2016-09-21 2019-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1800205B1 (ko) * 2016-10-20 2017-11-24 전자부품연구원 광화학 센서 리드아웃을 위한 아날로그 연산증폭기 기반의 펄스폭변조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화학 센서 시스템
US20180198665A1 (en) * 2017-01-06 2018-07-12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l timing asynchronis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142376A1 (en) * 2017-02-06 2018-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puncturing of mini-slot on slot transmissions
US10397958B2 (en) * 2017-03-17 2019-08-27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off mechanism applied for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88161B2 (en) * 2017-05-05 2020-03-10 Motorola Mobility Llc Collision handling between sTTI and TTI transmissions
WO2019011332A1 (en) * 2017-07-14 2019-01-17 Cheng Yu Hsin HIGH RELIABILITY ULTRA-RELIABLE LATENCY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US20190045546A1 (en) * 2017-08-04 2019-02-07 Mediatek Inc. Collision Handling of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and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Uplink (UL) Transmission
CN109392179B (zh) * 2017-08-09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发起随机接入过程的方法及装置
US11678246B2 (en) * 2017-08-11 2023-06-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failure
US10660044B2 (en) * 2017-11-17 2020-05-19 Lenovo (Singapore) Pte Ltd Power control configuration for uplink transmissions
US10944501B2 (en) * 2017-12-15 2021-03-09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table in mobile communications
CA3038634A1 (en) * 2018-03-30 2019-09-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ssociated with preempted resources
JP7066503B2 (ja) * 2018-04-27 2022-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EP3930237A1 (en) * 2018-05-10 2021-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iza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9402*
3GPP R1-1719616*
3GPP R1-1800205*
R1-1710576
R1-1719402*
R1-1719616*
R1-1800205*
R1-180026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2546A (ja) 2021-05-13
EP3737189B1 (en) 2023-09-06
EP3737189A1 (en) 2020-11-11
JP7073506B2 (ja) 2022-05-23
US20200413436A1 (en) 2020-12-31
CN111713164A (zh) 2020-09-25
US11310827B2 (en) 2022-04-19
CN111713164B (zh) 2023-07-18
US20220217765A1 (en) 2022-07-07
EP3737189A4 (en) 2021-03-03
WO2019160360A1 (ko) 2019-08-22
KR20200088476A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6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330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reempted resource information
KR10266241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613320B (zh) 对上行链路传输的调度
US1170010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108505B2 (en) URLLC in unlicensed bands
JP6608051B2 (ja) 非免許帯域及びキャリア結合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バースト送信方法及び装置
CN107580801B (zh) 在支持未授权带的无线接入系统中基于harq-ack信息调整竞争窗口大小的方法和支持该方法的设备
KR1022256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호핑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183696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信号的方法及其装置
CN110024344B (zh) 蜂窝通信系统中的上行链路传输方法和装置
US11064560B1 (en) Cancellation indication signaling for uplink carriers
US10979976B1 (en) Control channel monitoring for uplink cancellation indication
CN114175830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pusch)的方法、装置和系统
WO2022061249A1 (en) Enhanced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processes
KR20190038329A (ko)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엠션의 지시 방법
CN111247857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信号的方法及其设备
CN112292902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及其装置
US10587393B2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DD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