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342B1 -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342B1
KR102211342B1 KR1020200110457A KR20200110457A KR102211342B1 KR 102211342 B1 KR102211342 B1 KR 102211342B1 KR 1020200110457 A KR1020200110457 A KR 1020200110457A KR 20200110457 A KR20200110457 A KR 20200110457A KR 102211342 B1 KR102211342 B1 KR 102211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filter
suction fan
l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342B9 (ko
Inventor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엔
Priority to KR102020011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342B1/ko
Priority to KR1020210011627A priority patent/KR102416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342B1/ko
Publication of KR10221134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34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부인 LED 등기구와 흡입팬과 필터부 및 승강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LED 등기구는 LED 모듈과 방열부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팬은 상기 방열부 직상부에 설치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며 상/하부커버 중간에 흡입팬 날개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흡입팬의 상부커버 상단에 설치되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은 개방된 원통형 필터와 필터부프레임과 필터부덮개 및 보호커버로 구성됨으로써 필터 용량의 증대를 통해 공간 내 미세먼지를 충분히 정화하고, 정화시 환류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등기구의 방열부를 효과적으로 방열하며, 필터의 오염도를 균일화하여 필터의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LED FLOODLIGHT WITH FINE DUST PURIFICATION FUNCITION}
본 발명은 공장 체육관 등에 설치되는 LED 투광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 내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시스템을 구비하되, 공기정화 과정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LED 모듈의 방열부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방열기능과 공기 정화기능이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공기정화시스템은 공기정화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필터를 드럼형 필터로 형성하고, 조명기구 및 공기정화시스템의 편리한 유지 보수를 위해 천정에 설치된 투광등을 승강시키는 승강구가 결합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공간내에서 상황에 맞는 적정 밝기를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LED 투광등은 공장, 체육관 등에 주로 설치된다.
한편, 공장, 실내체육관 등에서 생산활동 및 인간활동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증가로 인해 실내환경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른 대응으로 환기를 통해 실내공기의 질을 적정수준으로 유지시켜준다.
그러나 환기를 통한 실내 공기의 청정도 유지는 에너지 손실을 동반하게 되어 경제적 부담이 따를 뿐 아니라 근래에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대기중의 초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어 쾌적한 실내 공간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인은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정화하기 위해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가로등을 특허출원하여 특허권을 확보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기정화 기능이 부가된 LED 가로등은 구조적 조건상 LED 가로등에 부가되는 필터 용량의 한계에 따라 공간내의 미세먼지를 충분히 정화하는데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 19986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 - 18959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공간 내 공기를 충분히 정화하기 위한 LED 투광등에 부가되는 필터 용량의 적정화, 천정에 메달린 LED 투광등의 편리한 유지보수를 위한 편의성 제고, 필터 사용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필터 오염의 균일화 및 LED 투광등의 효율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방열수단을 강구함으로서 공간 내 미세먼지 정화는 물론 LED 투광등의 효율 향상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조명부인 LED 등기구와 흡입팬과 필터부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에 있어서, 상기 LED 등기구는 LED 모듈과 방열부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팬은 상기 방열부 직상부에 설치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며 상/하부커버 중간에 흡입팬 날개가 설치되어 흡입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필터부에서 방열부 방향으로 순환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흡입팬의 상부커버 상단에 설치되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은 개방된 원통형 필터와, 필터부프레임에 의해 필터부덮개가 흡입팬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부덮개와 상기 흡입팬의 상부커버간에 보호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필터부덮개는 미세먼지센서와 미세먼지상태표시등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미세먼지 필터링 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은 필터부덮개와 천정 간에 개재되는 승강구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입팬의 상부커버와 필터 하단 간에 필터부브라켓이 개재되되, 상기 필터부브라켓은 얇은 원통형의 외주 중앙에 동심축인 브라켓중심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중심홀의 외주면과 외주의 내주면 간에는 브라켓날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구는 리모컨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팬의 흡입팬날개와 필터부브라켓의 브라켓날개의 경사방향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미세먼지상태표시등은 LED 램프로 이루어지며 미세먼지센서에서 센싱된 신호를 받아 공간 내 미세먼지 상태에 따라 녹색 황색 적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상태표시등은 필터 교체시기를 점멸주기로 표시하되 정상/관심/교체로 구분하여 점멸주기를 다르게 하여 표시된다.
또한, 상기 필터에는 프리필터가 외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교체시기는, 흡입팬의 가동시간에 공간 내의 미세먼지농도를 곱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은 필터 용량의 증대를 통해 공간 내 미세먼지를 충분히 정화하고, 정화시 순환되는 공기를 이용한 효과적인 방열부의 냉각으로 LED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필터의 오염도를 균일화하여 필터의 사용기간을 연장하며, LED 투광등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LED 모듈 및 필터의 유지보수시 어려운 점이 해소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분해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흡입팬과 필터부브라켓과 필터부의 결합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의 필터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입팬과 필터부브라켓과 필터부의 분해 전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 내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에 관한 것으로서, LED 모듈이 구비되는 LED 등기구의 방열부 일측에 흡입팬과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부가하고, 필터부 일측에 승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공간 내 미세먼지 제거는 물론 유지 보수가 편리한 LED 투광등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조명부인 LED 등기구(100)와 공간 내 공기를 필터를 통과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흡입팬(200), 순환되는 공기내의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부(400) 및 조명부와 필터부를 위아래로 승강 시키는 수단인 승강구(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LED 등기구(100)는 PCB에 LED 칩이 장착되어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는 LED 모듈(110)과 LED 칩에서 발생한 열을 식히는 방열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부(120)는 방열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로 돌출되어 방열부의 중심부에서 방사형으로 확산되는 띠모양의 날개(1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121)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방열 효율을 극대화하였다. 즉 흡입팬(200)에 의해 필터를 거쳐 방열부(120)에 다달은 공기는 날개(121) 사이를 따라 흐르게 되며 날개(121)를 나선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순환되는 공기와 접하는 날개(121)의 표면적을 최대화 함으로써 방열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방열부(120) 상부 양측에는 등기구 클램프(13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팬(200)은 상/하부가 개방된 상부커버(230)와 하부커버(210)로 구성되고, 상/하부커버 중간에 흡입팬 날개(220)가 설치되어 전력에 의한 흡입팬 날개(220)의 회전에 의해 상부커버(230)의 상부 개방부에서 하부커버(210)의 하부개방부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되는 구조이다.
상기 하부커버(210)는 상/하부가 개방되지만 하부는 그릴(21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커버는 분리결합가능하며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흡입팬 날개(220)가 위치된다.
상기 상부커버(23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이지만 상협하광형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원통의 직경이 상단은 좁고 하단은 넓은 단차진 원통형상이다.
상기 상부커버(230)의 상단 중앙에는 축부(231)가 형성되되, 상기 축부(231)는 축부(231)의 원주면과 상부커버(230)의 상단 내주면 간에 연결된 방사형 빗살(232)에 의해 고정 형성되고, 상기 축부(231)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된 브라켓축(23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230) 외부 양측에는 클램프체결부(234)가 형성되고, 상기 각 클램프체결부(234) 상단에는 프레임지지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LED 등기구(100)의 방열부(120)에 형성된 등기구 클램프(130)가 상기 클램프체결부(234)에 체결됨으로써 LED 등기구(100)와 흡입팬(200)은 결합 고정된다.
상기 필터부(400)는 공간 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필터(410)와 필터(410) 외측에 위치되는 프리필터(420)와 필터부덮개(450)와 흡입팬(200)과 필터부덮개(450) 간을 이격 결합하는 필터부프레임(430) 및 필터를 보호하는 보호커버(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4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필터(410) 외측으로 프리필터(420)가 외삽되어 위치되며 프리필터(420)가 외삽된 필터(410)는 상기 흡입팬(200)의 상부커버(230)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흡입팬 상부커버(230)의 각 프레임지지부(235)에는 필터부프레임(430) 하단이 결합되고 필터부프레임(430) 상단에는 필터부덮개(450)가 결합되어 흡입팬(200)의 상부커버(230) 상단에 설치된 필터(4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필터(410) 및 프리필터(420)는 원통형상이며 원통형 필터(410)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은 개방된다.
아울러 원통형상의 필터(410)는 주름진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를 주름진 원통형상으로 하는 것은 순환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는 한정된 체적에서 필터용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프리필터(420)는 입자가 큰 먼지를 필터(410)에 앞에서 걸러주는 것으로 미세먼지 필터(410)의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키는 기능과 함께 추후 필터부의 먼지제거에 효과 적이다.
아울러 필터(410)의 외측에 위치되는 프리필터는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커버(440)는 공기 통공이 형성된 2 개의 반원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덮개(450)와 상기 흡입팬(200)의 상부커버(230)간에 2 개의 반원통이 조립결합된다.
2 개의 반원통이 하나의 원통으로 결합되는 구조는 각 반원통에 형성된 암/수 체결구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고 볼트너트에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덮개(450)에는 미세먼지센서(451)가 구비되며, 상기 미세먼지센서(451)에는 팬이 부가되어 팬에 흡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정체된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센싱하는 경우 공간 내의 평균적인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세먼지센서 주변의 공기를 흡입 순환시켜 평균적인 미세먼지 농도을 센싱하기 위함이다.
상기 필터부덮개(450)에는 공간 내의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는 미세먼지상태표시등(452)이 구비된다.
상기 미세먼지상태표시등(452)은 환형 LED램프로 이루어지며 미세먼지센서(451)에서 센싱된 신호를 받아 공간 내 미세먼지 상태에 따라 녹색(양호) 황색(경계) 적색(불량) 등으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서 공간 내 활동자가 공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기동성 있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환형 LED램프는 필터부덮개(450)의 외주를 따라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필터(410)의 교체시기는 필터(410)의 오염상태 또는 필터사용시간을 기준으로 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필터의 사용시간을 기준으로 교체시기를 표시한다.
필터(410) 교체시기 표시 수단은 상기 미세먼지상태표시등(452)의 점멸 주기로 표시할 수 있다.
필터(410)의 사용시간은 흡입팬(200)의 가동시간을 기준으로 할 수 있고, 흡입팬(200)의 가동시간에 미세먼지센서(451)에서 측정된 공간 내의 미세먼지농도를 곱하여 산정한 값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흡입팬(200)의 가동시간에 공기 질상태에 가중치를 둔 즉, 미세먼지농도를 곱하여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410) 교체시기 표시는 정상(교체시간 90% 이전 상태) 관심(교체시간 90% ∼ 100%), 교체(교체시간이 경과)로 나누어 미세먼지상태표시등(452)의 점멸주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필터(410)의 사용시간이 10,000일 때가 적정 교체시기라면, 9000시간 까지는 점멸이 없는 정상상태, 9000 ∼ 10,000 시간까지는 점멸 주기를 1분으로 하는 관심상태, 10,000시간이 경과되면 점멸 주기를 1초로 하는 교체할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먼지상태표시등(452)의 점멸주기에 의해 필터(410)의 교체시기를 표시함으로써 조명등 및 필터의 유지 보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조명등의 기능에 문제가 있어 조명등을 보수시 필터(410)의 사용시간이 관심[미세먼지상태표시등(452)의 점멸주기가 1분인 경우] 상태인 경우 조명등 보수와 병행하여 필터(410)도 교체함으로서 조만간에 교체해야할 필터(410)을 미리 교체하여 시간 및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유지 관리를 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내 미세먼지의 분포도가 균일하지 못할 경우, 예를 들면 특정 위치의 작업대에서 먼지가 많이 발생하거나 신선한 공기가 유통되는 출입문 반대편 등의 공간을 향한 필터(410) 측은 미세먼지 여과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많이 쌓이게 되어 여과 과정에서 필터(410)에 미세먼지가 균일하게 쌓이는 것보다 필터(410)를 교체하는 시기가 단축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간 내 미세먼지가 불균일한 상태에서도 필터(410)에 쌓이는 미세먼지의 균일도를 고르게 하기위한 수단으로 필터(410)을 회전시키는 구성을 부가하였다.
필터(410)를 회전시키는 수단의 구성은,
상기 흡입팬(200)의 상부커버(230)와 필터(410) 하단 간에 필터부브라켓(300)을 개재하여 흡입팬(20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필터부브라켓(300)의 자전에 의해 필터부브라켓(300) 상단에 안착된 필터(410)가 같이 회전되는 구성이다.
필터부브라켓(300)은 얇은 원통형의 외주(330) 중앙에 동심축인 브라켓중심홀(310)이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중심홀(310)의 외주면과 외주(330)의 내주면 간에 열결된 브라켓날개(32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중심홀(310)에는 원통형 베어링(311)이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311)의 내경은 상기 브라켓축(233)에 외삽되는 구조이다.
즉, 흡입팬(20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풍력이 필터부브라켓(300)을 통과하면서 브라켓날개(320)에 작용하여 필터부브라켓(300)이 흡입팬(200)의 상부커버(230)와 상대 회전되고, 이에 따라 필터부브라켓(300)에 안착된 필터(41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흡입팬(200)의 흡입팬날개(220)와 필터부브라켓(300)의 브라켓날개(320)의 경사방향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팬날개(220)가 3/2분면으로 상향경사진 것이라면 브라켓날개(320)는 1/4분면으로 하향경사지게 되며 이로서 필터부브라켓(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회전방향과 흡입팬(200)을 통과하는 공기의 회전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어 와류에 의한 풍손 및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천장에 설치된 LED 투광등의 조명부의 유지 보수 또는 필터(410)의 교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 차를 이용하여야 함으로 작업의 안전 뿐 아니라 편리성에 문제가 많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은 승강구(500)와 결합하여 천정에 설치한다.
상기 승강구(500)는 실내 공간의 천정에 고정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을 천정에서 바닥면으로 하강시키는 수단으로써 승강구(500)와 필터부의 필터부덮개(450) 간에 로프를 설치하여 승강구(500) 내에 설치된 권취모터에 의해 로프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을 승/강 시킬수 있다.
상기 권취모터의 작동은 원격제어장치(리모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구(500)는 리모컨 으로부터 승강구(500) 제어용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수신부와 수신받은 신호에 의해 권취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권취모터에 감겨권취되는 로프로 구성된다(도면 생략)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LED 등기구 110 : LED 모듈
120 : 방열부 121 : 날개
130 : 등기구 클램프 200 : 흡입팬
210 : 하부커버 211 : 그릴
220 : 흡입팬 날개 230 : 상부커버
231 : 축부 232 : 빗살
233 : 브라켓축 234 : 클램프체결부
235 : 프레임지지부 300 : 필터부브라켓
310 : 브라켓 중심홀 311 : 베어링
320 : 브라켓 날개 330 : 외주
400 : 필터부 410 : 필터
420 : 프리필터 430 : 필터부프레임
440 : 보호커버 441 : 통공
450 : 필터부덮개 451 : 미세먼지센서
452 : 미세먼지상태표시등 500 : 승강구

Claims (10)

  1. 조명부인 LED 등기구(100)와 흡입팬(200)과 필터부(400)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에 있어서,
    상기 LED 등기구(100)는 LED 모듈(110)과 방열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팬(200)은 상기 방열부(120) 직상부에 설치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상부커버(230)와 하부커버(210)로 구성되며 상/하부커버 중간에 흡입팬 날개(220)가 설치되어 흡입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필터부(400)에서 방열부(120) 방향으로 순환되며,
    상기 필터부(400)는,
    상기 흡입팬의 상부커버(230) 상단에 설치되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은 개방된 원통형 필터(410)와, 필터부프레임(430)에 의해 필터부덮개(450)가 흡입팬(20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부덮개(450)와 상기 흡입팬(200)의 상부커버(230)간에 보호커버(440)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200)의 상부커버(230)와 필터(410) 하단 간에 필터부브라켓(300)이 개재되되,
    상기 필터부브라켓(300)은 얇은 원통형의 외주(330) 중앙에 동심축인 브라켓중심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중심홀(310)의 외주면과 외주(330)의 내주면 간에는 브라켓날개(320)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팬날개(220)와 브라켓날개(320)의 경사방향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덮개(450)는, 미세먼지센서(451)와 미세먼지상태표시등(4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은, 필터부덮개(450)와 천정 간에 개재되는 승강구(500)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500)는 리모컨에 의해 원격제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상태표시등(452)은 LED 램프로 이루어지며 미세먼지센서(451)에서 센싱된 신호를 받아 공간 내 미세먼지 상태에 따라 녹색(양호) 황색(경계) 적색(불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상태표시등(452)은 필터(410) 교체시기를 점멸주기로 표시하되 정상/관심/교체로 구분하여 점멸주기를 다르게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410)는, 주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410) 교체시기는, 흡입팬(200)의 가동시간에 공간 내의 미세먼지농도를 곱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KR1020200110457A 2020-08-31 2020-08-31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KR10221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57A KR102211342B1 (ko) 2020-08-31 2020-08-31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KR1020210011627A KR102416835B1 (ko) 2020-08-31 2021-01-27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57A KR102211342B1 (ko) 2020-08-31 2020-08-31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27A Division KR102416835B1 (ko) 2020-08-31 2021-01-27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342B1 true KR102211342B1 (ko) 2021-02-03
KR102211342B9 KR102211342B9 (ko) 2021-08-23

Family

ID=745720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457A KR102211342B1 (ko) 2020-08-31 2020-08-31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KR1020210011627A KR102416835B1 (ko) 2020-08-31 2021-01-27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27A KR102416835B1 (ko) 2020-08-31 2021-01-27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13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232Y1 (ko) * 2004-04-24 2004-07-14 신정훈 스프링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090105634A (ko) * 2008-04-03 2009-10-07 남기동 주방용 조명장치
CN203594996U (zh) * 2013-10-16 2014-05-14 厦门兴恒隆照明科技有限公司 带空气净化功能的灯具结构
WO2017135203A1 (ja) * 2016-02-05 2017-08-10 株式会社カンキョー 空気清浄機、加湿機及び消臭機
KR101895978B1 (ko) 2018-03-29 2018-10-04 현영길 미세먼지 정화기능이 구비된 천장용 조명등
KR20180134515A (ko) * 2017-06-09 2018-12-19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초미세먼지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8623B1 (ko) 2019-04-11 2019-07-10 주식회사 테크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led 가로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232Y1 (ko) * 2004-04-24 2004-07-14 신정훈 스프링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090105634A (ko) * 2008-04-03 2009-10-07 남기동 주방용 조명장치
CN203594996U (zh) * 2013-10-16 2014-05-14 厦门兴恒隆照明科技有限公司 带空气净化功能的灯具结构
WO2017135203A1 (ja) * 2016-02-05 2017-08-10 株式会社カンキョー 空気清浄機、加湿機及び消臭機
KR20180134515A (ko) * 2017-06-09 2018-12-19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초미세먼지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5978B1 (ko) 2018-03-29 2018-10-04 현영길 미세먼지 정화기능이 구비된 천장용 조명등
KR101998623B1 (ko) 2019-04-11 2019-07-10 주식회사 테크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led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835B1 (ko) 2022-07-05
KR20220029299A (ko) 2022-03-08
KR102211342B9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43734A1 (en) Ceiling fan with germicidal capabilities
CN102072432B (zh) Led路灯结构和led路灯结构的灯头的散热方法
CN112292532B (zh) 空气过滤吊扇
KR101086143B1 (ko) 승강기를 구비한 공기 순환 장치
CN108758473B (zh) 一种便于使用的吊灯
KR102211342B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CN108457878A (zh) 吊顶风扇
KR102211329B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led 투광등 유지관리 방법
CN114593386B (zh) 一种led灯具多功能扣件结构
KR102216313B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구비한 엣지커버형 led 조명등
CN205828909U (zh) 一种便于散热的低压配电柜
CN107461624A (zh) 一种可拆装的led灯管
CN208457904U (zh) 可升降吊装机构及具有其的吊灯和吊顶烟机
CN208587962U (zh) 吊顶烟机
GB2186813A (en) Fan installation
CN214840503U (zh) 一种市政建设用照明保护装置
CN220817685U (zh) 一种新型灯具灯罩
CN110686219A (zh) 灯具升降装置
CN216280779U (zh) 一种灯头方便拆装的充电手持灯
CN108826244A (zh) 可升降吊装机构及具有其的吊灯和吊顶烟机
CN208237569U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心血管外科用led灯
CN216285377U (zh) Mini led lp检测仪
KR102633203B1 (ko) 실내환경 관리가 가능한 자동승강 조명시스템
CN216480598U (zh) 一种新型节能led吸顶灯
CN115638394A (zh) 灯光秀用灯具的温控散热联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