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318B1 -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318B1
KR102211318B1 KR1020180170161A KR20180170161A KR102211318B1 KR 102211318 B1 KR102211318 B1 KR 102211318B1 KR 1020180170161 A KR1020180170161 A KR 1020180170161A KR 20180170161 A KR20180170161 A KR 20180170161A KR 102211318 B1 KR102211318 B1 KR 10221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information
stored
data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569A (ko
Inventor
강경욱
Original Assignee
강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욱 filed Critical 강경욱
Priority to KR102018017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318B1/ko
Priority to CN201980093178.6A priority patent/CN113490961A/zh
Priority to PCT/KR2019/014814 priority patent/WO2020138699A1/ko
Publication of KR2020008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93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stereo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ome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곡물, 사료와 같은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고에 설치되는 3D 이미지센서를 기반으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실시간 재고관리를 하는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은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고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고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3D 이미지 센서; 및 상기 3D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저장물에 대한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는 정보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저장고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물을 사실적,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 등의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고, 산출된 재고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재고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System for real-time inventory management based on image sensor of three dimens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 사료와 같은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고에 설치되는 3D 이미지센서를 기반으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실시간 재고관리를 하는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역별 넓게 분산된 사료 공장, 스마트 팜, 미곡처리장, 곡물 엘리베이터, 석탄발전소, 시멘트/비료 공장, 석유/화학 플랜트 공장 등의 저장고의 원료재고 비용, 적기공급 및 물류비용을 줄이기 위한 실시간 정밀 재고 파악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단일 지점에서 라이더 등을 이용하여 측정함에 따라, 입자가 작고, 저장상태 표면이 균일하지 않는 곡물, 사료와 같은 고체 저장물의 실시간 재고관리에 있어, 낮은 정확도와 고비용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삭제
한국등록특허 제10-1927639호(발명의 명칭: 이물질 클리너를 구비한 사일로 또는 빈의 저장상태 측정을 위한 3차원 스캐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고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물을 사실적,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 등의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고, 산출된 재고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재고관리가 가능한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은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고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고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3D 이미지 센서; 및 상기 3D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저장물에 대한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는 정보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 장치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저장물의 부피를 수치로 산출하고, 상기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기설정된 주기마다 부피와 비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을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기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수치로 산출된 부피 및 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은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 및 비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판독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처리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를 통해,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유입 명령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고의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기설정된 주기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입 과정이 수행되기 이전의 저장물의 제1 부피와 상기 유입 과정이 수행된 이후 저장물의 제2 부피를 각각 산출하여, 상기 제1 부피와 상기 제2 부피 간의 차이 값을 수치로 산출하고,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유입된 저장물의 비중을 수치로 산출하되,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유입된 저장물의 유입량을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를 통해,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식별정보가 획득되면, 기저장된 정보들 중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 이미지 센서는, 저장고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체; 상기 제1 회전체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체; 상기 제2 회전체에 마련되어, 광신호를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제2 회전체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신호가 저장물에 반사되면, 상기 반사된 광신호를 감지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를 통해, 감지된 광신호를 기반으로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가 각각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각각의 기설정된 각도에서의 단면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단면 데이터들을 수집된 단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 이미지 센서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를 향해 형성되는 다수의 모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기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부의 표면과 상기 수광부의 표면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은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고의 상측에 마련된 3D 이미지 센서가 상기 저장고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정보처리 장치가 상기 3D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저장물에 대한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장고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물을 사실적,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 등의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고, 산출된 재고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재고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를 통해 획득된 3차원 데이터가 예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이 관리자 단말에 재고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판독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를 통해 획득된 3차원 데이터가 예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은 저장고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물을 사실적,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 등의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고, 산출된 재고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3D 이미지 센서, 정보처리 장치, 관리자 단말 및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3D 이미지 센서(100)는 저장고(10)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3D 이미지 센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고(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3차원 데이터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다.
일 예를 들면, 3D 이미지 센서(10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저장고(10)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측정하여,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정보처리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정보처리 장치(200)는 3D 이미지 센서(100)와 유선 통신망, 근거리 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3D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장된 저장물에 대한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 장치(200)는 3D 이미지 센서(100)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장된 저장물의 부피를 수치로 산출하고,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기설정된 주기마다 부피와 비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을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처리 장치(200)는 보유량을 수치로 산출하여, 산출된 보유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이를 관리자 단말(300)에 전달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은 정보처리 장치(200) 또는 3D 이미지 센서(100)와 유선 통신망, 근거리 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 재고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300)은, 데스크 탑 컴퓨터(PC),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등으로 구현된 관리자 단말(300)에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 재고정보들이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재고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서버(400)는 복수의 3D 이미지 센서(100)와 정보처리 장치(200)로부터 획득/산출되는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300)이 요청하는 경우, 저장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는 저장고(10)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측정하여,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제1 회전체(110), 제2 회전체(120), 발광부(130), 수광부(140), 본체(150), 프로세서(미도시), 배터리(미도시), 통신 모듈(미도시) 및 브러쉬(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체(110)는 저장고(10)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제2 회전체(120)는 제1 회전체(110)의 회전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1 회전체(110)는 저장고(1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위치로 변경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발광부(130)는, 제2 회전체(120)에 마련되어, 저장물을 향해 광신호를 조사할 수 있으며, 수광부(140)는, 제2 회전체(120)에 마련되되, 발광부(130)와 동일한 앵글을 갖도록 마련되어, 발광부(130)에서 조사된 광신호가 저장물에 반사되면, 반사된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본체(150)는, 프로세서, 배터리 및 통신 모듈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 배터리 및 통신 모듈은 경우에 따라 제2 회전체(120)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제2 회전체(120)의 내부 또는 본체(150)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광부(140)를 통해, 감지된 광신호를 기반으로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제1 회전체(110) 및 제2 회전체(120)가 각각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제1 회전체(110) 및 제2 회전체(120)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면, 발광부(130) 및 수광부(1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각각의 기설정된 각도에서의 단면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단면 데이터들을 수집된 단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제1 회전체(110)가 180도를 회전범위로 회전하되, 1도씩 회전하도록 하고, 제1 회전체(110)가 1도 회전할 때마다, 제2 회전체(120)가 기설정된 회전범위를 회전 왕복하도록 하고, 제2 회전체(120)가 1회 회전 왕복하는 경우, 하나의 단면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1 회전체(110)가 재차 1도 회전하는 방식을 반복하여, 회전범위인 180도를 모두 회전하면, 모든 단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제2 회전체(120)는 특정 각도에서 정지 상태에 있고, 제1 회전체(110)가 360도 회전하며, 하나의 단면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회전체(120)가 특정 각도에서 1도 만큼 회전한 이후, 다시 제1 회전체(110)가 360도 회전하며, 다른 하나의 단면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을 반복하여, 획득한 모든 단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브러쉬는 제1 회전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되, 발광부(130) 및 수광부(140)를 향해 형성되는 다수의 모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광부(130) 및 수광부(140)가 기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면, 발광부(130)의 표면과 수광부(140)의 표면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장치(2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장치(200)는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과 관리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마련될 수 있다.
화면에는 저장물 잔량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영역(a), 저장물 잔량을 수치로 표시하는 영역(b), 저장물 잔량의 단위를 표시하는 영역(c), 오늘과 어제의 배출량을 표시하는 영역(d), 최근 3일간의 평균 배출량을 표시하는 영역(e), 관리하는 가축의 두수를 표시하는 영역(f), 저장고(10)의 빈 내부 온도를 표시하는 영역(g) 및 저장중인 저장물의 종류를 표시하는 영역(h)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다양한 버튼이 구비되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빈 내부 스캔 결과를 단면 데이터로 표시하기 위한 버튼(i), 비중을 계산하기 위해, 질량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j),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K), 저장물 잔량의 수치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l), 최근 3일간의 평균 배출량 또는 누적 배출량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표시되는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n), 질량 또는 비중을 수동 측정하기 위한 버튼(m), 저장물 잔량을 0으로 표시하기 위한 잔량 제거 버튼(o), 저장물의 잔량이 설정된 경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관리자 단말(300)로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경보 기준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 설정 버튼(p), 각종 설정을 바꾸는데 이용되는 설정 버튼(q) 및 현재 입력을 취소하기 위한 버튼(r)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이 관리자 단말(300)에 재고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정보처리 장치(20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신된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의 표면 정보로부터 체적을 산출하여, 저장물의 부피를 수치로 산출하고,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기설정된 주기마다 부피와 비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을 수치로 산출할 뿐만 아니라, 원뿔 좌표를 원통 좌표로 변환하고, 센서가 기울어지는 경우,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가 보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저장고(10)의 벽과 사료를 구별하고, 저장된 사료에 발생하는 싱크 홀을 식별하거나, 내부 온도의 온도 편차가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처리 장치(200)가 산출하거나, 연산 처리한 데이터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서버(HTTP Server) 또는 이동통신을 위한 국제표준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통해, 각각의 관리자 단말(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정보처리 장치(200)는 보유량을 수치로 산출하여, 산출된 보유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이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푸시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3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독 장치(50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은 저장고(10)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물을 담고 있는 포대에 부착된 무선 태그(20)를 판독하여 획득하기 위해, 전술한 3D 이미지 센서(100), 정보처리 장치(200), 관리자 단말(300) 및 서버(400) 이외에, 추가로 판독 장치(500)가 마련될 수 있다.
판독 장치(500)는, 곡물, 사료와 같은 저장물을 담고 있는 포대에 부착된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와 같은 무선 태그(20)를 판독하여, 무선 태그(20)에 포함된 저장물의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정보처리 장치(200)는, 판독 장치(500)를 통해, 무선 태그(20)를 판독하여, 저장고(10)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식별정보가 획득되면, 자체적으로 저장하거나 또는 서버(400)를 통해 저장된 정보들 중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처리 장치(200)는, 판독 장치(500)를 통해,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유입 명령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고(10)의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되, 기설정된 주기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입 과정이 수행되기 이전의 저장물의 제1 부피와 유입 과정이 수행된 이후 저장물의 제2 부피를 각각 산출하여, 제1 부피와 제2 부피 간의 차이 값을 수치로 산출하고, 저장고(10)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유입된 저장물의 비중을 수치로 산출하되, 저장고(10)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유입된 저장물의 유입량을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가 저장물의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어,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과정에서 잘못 입력하는 오류를 방지하고,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은 저장고(10)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 등의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기 위해, 기설정된 주기에 도달하면(S810-Y), 3D 이미지 센서(100)가, 저장고(10)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를 측정하여,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고(S820), 이를 정보처리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처리 장치(200)는 3D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장된 저장물의 부피를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S830).
또한, 정보처리 장치(200)는,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S840-Y), 기설정된 주기마다 부피와 비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을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S850).
그리고 산출된 정보들은 정보처리 장치(200)에 의해, 서버(400)에 저장되거나 관리자 단말(3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판독 장치(500)를 이용하는 경우,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주기에 도달할 때마다, 3D 이미지센서가 동작하도록 하여, 저장된 저장물의 부피, 보유량 및 배출량 등을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판독 장치(500)를 통해,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유입 과정이 수행된 이후에 유입된 저장물의 유입량을 수치로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설정된 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판독 장치(500)를 통해, 저장물의 포대에 부착된 무선 태그(20)를 판독하여,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S910-Y), 정보처리 장치(200)가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유입 명령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여, 기설정된 주기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3D 이미지 센서(100)를 통해, 유입 과정이 수행되기 이전의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하고(S920), 저장고(10)의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S930).
그리고 유입 과정이 완료되면, 정보처리 장치(200)가 3D 이미지 센서(100)를 통해, 유입 과정이 수행된 이후의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하고(S940), 유입 과정이 수행되기 이전의 저장물의 제1 부피와 유입 과정이 수행된 이후 저장물의 제2 부피를 각각 산출하여, 제1 부피와 제2 부피 간의 차이 값을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S950).
이때, 정보처리 장치(200)는, 저장고(10)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S960-Y), 유입된 저장물의 질량을 수치로 산출하고(S970), 유입된 저장물의 유입량과 저장물의 전체 보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S990).
또한, 정보처리 장치(200)는, 저장고(10)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S980-Y), 유입된 저장물의 비중을 수치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입된 저장물의 유입량과 저장물의 전체 보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S99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저장고
20 : 무선 태그
100 : 3D 이미지 센서
110 : 제1 회전체
120 : 제2 회전체
130 : 발광부
140 : 수광부
150 : 본체
200 : 정보처리 장치
300 : 관리자 단말
400 : 서버
500 : 판독 장치

Claims (10)

  1.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고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고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3D 이미지 센서; 및
    상기 3D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저장물에 대한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는 정보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 장치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저장물의 부피를 수치로 산출하고,
    상기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기설정된 주기마다 부피와 비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을 수치로 산출하며,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기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수치로 산출된 부피 및 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은,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 및 비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판독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처리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를 통해,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유입 명령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고의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기설정된 주기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입 과정이 수행되기 이전의 저장물의 제1 부피와 상기 유입 과정이 수행된 이후 저장물의 제2 부피를 각각 산출하여, 상기 제1 부피와 상기 제2 부피 간의 차이 값을 수치로 산출하고,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유입된 저장물의 비중을 수치로 산출하되,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유입된 저장물의 유입량을 수치로 산출하며,
    상기 정보처리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를 통해,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식별정보가 획득되면, 기저장된 정보들 중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3D 이미지 센서는,
    저장고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체;
    상기 제1 회전체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체;
    상기 제2 회전체에 마련되어, 광신호를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제2 회전체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신호가 저장물에 반사되면, 상기 반사된 광신호를 감지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를 통해, 감지된 광신호를 기반으로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가 각각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각각의 기설정된 각도에서의 단면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단면 데이터들을 수집된 단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정보처리 장치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신된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의 표면 정보로부터 체적을 산출하여, 저장물의 부피를 수치로 산출하고,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기설정된 주기마다 부피와 비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을 수치로 산출하고, 원뿔 좌표를 원통 좌표로 변환하고,
    센서가 기울어지는 경우,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가 보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고의 벽과 사료를 구별하고,
    저장된 사료에 발생하는 싱크 홀을 식별하거나, 내부 온도의 온도 편차가 보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D 이미지 센서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를 향해 형성되는 다수의 모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기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부의 표면과 상기 수광부의 표면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10. 저장물이 저장된 저장고의 상측에 마련된 3D 이미지 센서가 상기 저장고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정보처리 장치가 상기 3D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저장물에 대한 재고정보를 수치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수신된 단층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저장물의 부피를 수치로 산출하고,
    상기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기설정된 주기마다 부피와 비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을 수치로 산출하며,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은,
    재고정보가 수치로 산출되면,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 상기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 관리자 단말이,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수치로 산출된 부피 및 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은,
    판독 장치가,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 및 비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 장치가, 상기 판독 장치를 통해,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유입 명령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고의 유입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기설정된 주기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입 과정이 수행되기 이전의 저장물의 제1 부피와 상기 유입 과정이 수행된 이후 저장물의 제2 부피를 각각 산출하여, 상기 제1 부피와 상기 제2 부피 간의 차이 값을 수치로 산출하고,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질량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유입된 저장물의 비중을 수치로 산출하되,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유입된 저장물의 유입량을 수치로 산출하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 장치가,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고에 유입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식별정보가 획득되면, 기저장된 정보들 중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질량 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3D 이미지 센서는,
    저장고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체;
    상기 제1 회전체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체;
    상기 제2 회전체에 마련되어, 광신호를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제2 회전체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신호가 저장물에 반사되면, 상기 반사된 광신호를 감지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를 통해, 감지된 광신호를 기반으로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가 각각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의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상태에 대한 각각의 기설정된 각도에서의 단면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단면 데이터들을 수집된 단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주기마다 수신된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의 표면 정보로부터 체적을 산출하여, 저장물의 부피를 수치로 산출하고,
    저장물의 비중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기설정된 주기마다 부피와 비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물의 보유량 및 배출량을 수치로 산출하고, 원뿔 좌표를 원통 좌표로 변환하고,
    센서가 기울어지는 경우, 단면 데이터 및 3차원 데이터가 보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고의 벽과 사료를 구별하고,
    저장된 사료에 발생하는 싱크 홀을 식별하거나, 내부 온도의 온도 편차가 보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방법.
KR1020180170161A 2018-12-27 2018-12-27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21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161A KR102211318B1 (ko) 2018-12-27 2018-12-27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201980093178.6A CN113490961A (zh) 2018-12-27 2019-11-04 基于3d图像传感器的实时库存管理系统及使用该系统的方法
PCT/KR2019/014814 WO2020138699A1 (ko) 2018-12-27 2019-11-04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161A KR102211318B1 (ko) 2018-12-27 2018-12-27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569A KR20200080569A (ko) 2020-07-07
KR102211318B1 true KR102211318B1 (ko) 2021-02-02

Family

ID=7112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161A KR102211318B1 (ko) 2018-12-27 2018-12-27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11318B1 (ko)
CN (1) CN113490961A (ko)
WO (1) WO20201386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953B1 (ko) * 2023-08-10 2024-05-03 (주)담원인터내셔널 인공지능 기반 식품원료 재고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017B1 (ko) * 2020-09-08 2022-11-03 주식회사 포스코 연원료 측량 시스템 및 그 측량 방법
WO2022065982A1 (ko)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리츠 사일로 또는 빈의 내부 스캐너 설치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스캐너 설치장치
KR20220042998A (ko)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리츠 사일로 또는 빈의 내부 스캐너 설치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스캐너 설치장치
KR20220130869A (ko) 2021-03-19 2022-09-27 최철호 벌크 머티리얼 관리 시스템
CN114971122B (zh) * 2021-10-10 2023-06-16 淮阴师范学院 一种基于bim的电力工程用分析监测反馈系统
KR102649607B1 (ko) * 2023-08-28 2024-03-21 (주)다울 3d 센서 기반 실시간 재고 파악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2333A (ja) * 2005-10-27 2007-05-17 Fujitsu Support & Service Kk 産業廃棄物の輸送管理方法および輸送管理システム
JP2016136930A (ja) * 2015-01-29 2016-08-04 株式会社中嶋製作所 飼料残量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畜舎管理システム
KR101927639B1 (ko) * 2017-09-21 2018-12-10 강경욱 이물질 클리너를 구비한 사일로 또는 빈의 저장상태 측정을 위한 3차원 스캐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11476A1 (en) * 1996-07-24 1998-01-24 Pgi International, Ltd. Carbon monoxide monitor and method
KR20120041708A (ko) * 2012-02-17 2012-05-02 유철영 3차원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물품관리시스템
KR101492338B1 (ko) * 2013-10-10 2015-02-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CN104280089B (zh) * 2014-09-26 2017-11-03 福建北卡科技有限公司 基于容重估算的库存粮食数量远程测算系统
CN104616127B (zh) * 2015-01-16 2018-04-03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rfid系统的三维重构仓储运维系统及方法
KR101816612B1 (ko) * 2016-06-22 2018-01-10 대한민국 축사용 사료탱크의 사료잔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잔량 제어방법
US9827683B1 (en) * 2016-07-28 2017-11-28 X Development Llc Collaborative inventory monitoring
KR101863861B1 (ko) * 2016-08-23 2018-06-01 주식회사 오토닉스 3차원 스캐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2333A (ja) * 2005-10-27 2007-05-17 Fujitsu Support & Service Kk 産業廃棄物の輸送管理方法および輸送管理システム
JP2016136930A (ja) * 2015-01-29 2016-08-04 株式会社中嶋製作所 飼料残量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畜舎管理システム
KR101927639B1 (ko) * 2017-09-21 2018-12-10 강경욱 이물질 클리너를 구비한 사일로 또는 빈의 저장상태 측정을 위한 3차원 스캐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953B1 (ko) * 2023-08-10 2024-05-03 (주)담원인터내셔널 인공지능 기반 식품원료 재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569A (ko) 2020-07-07
CN113490961A (zh) 2021-10-08
WO2020138699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318B1 (ko)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U20182612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 status detection
US10078815B2 (en) Overstock inventory sorting at retail sales facilities
US20180082038A1 (en) Sensor based reordering system
US11350809B2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performing task thereof
US11100464B1 (en) Predictive consolidation system based on sensor data
US202001420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ments in scanning and mapping
RU2769288C2 (ru) Прогнозирование урожайности зернового поля
JP5844925B1 (ja) 飼料残量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畜舎管理システム
US20190285555A1 (e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Multi-Sensor Inspection of Pipe Interiors
CA30473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roducts via unmanned aerial vehicles to delivery locations designated by customers
CN114341904A (zh) 在自动化工具控制系统中管理具有分配状态的对象
CN106999808A (zh) 网眼堵塞推测方法以及过滤器监视系统
CN104463056B (zh) 基于物联网技术的设备点检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747211A (zh) 一种通过网络控制实现远程数据采集和传输的方法
JP6873611B2 (ja) 地表情報分析システムおよび地表情報分析方法
US20160239697A1 (en) Manager,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6516988B2 (ja) 飼料タンクの管理装置
US102899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tock room bin audits at retail sales facilities
US11961036B2 (en) Multilayer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the accurate calculation of freight density, area, and classification and provide recommendations to optimize shipping efficiency
KR20200079356A (ko) 3D Depth 센서를 이용한 사료 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ells et al. Evaluation of ground plane detection for estimating breast height in stereo images
KR20230039473A (ko) 가축의 크기 및 무게를 산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7141312B2 (ja) 推定装置、推定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及び情報システム
CN104768637B (zh) 用固体颗粒对反应器装料的管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