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338B1 -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338B1
KR101492338B1 KR20130120711A KR20130120711A KR101492338B1 KR 101492338 B1 KR101492338 B1 KR 101492338B1 KR 20130120711 A KR20130120711 A KR 20130120711A KR 20130120711 A KR20130120711 A KR 20130120711A KR 101492338 B1 KR101492338 B1 KR 10149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tag
interference signal
articles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성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3012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e.g. configurations including means to resolv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를 파악하는 RFID 및 영상센서 기반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은, 주기의 도래에 따라, 태그를 각각 부착하는 복수의 물품 중에서 적어도 2개의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한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현재크기를, 이전 주기에 측정된 이전크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한 차이값이 선정된 임계값 보다 큰, 태그 간섭신호와 연관된 물품들을 대상 물품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MANAGING OF PRODUCT USING RF TAG AND VISON SENSOR}
본 발명은 RF 태그와 고정형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를 파악하는 RFID 및 영상센서 기반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창고, 도서관 등과 같은 물품 보관소에서 물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물품 보관소에 입고된 물품의 위치파악을 위해, 사람이 직접 물품 보관소 전체를 돌아다니면서 물품을 확인하고 수량을 파악해야 하므로, 많은 인력 비용과 일의 효율성이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스마트 선반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리더기를 이용하여 물품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 스마트 선반으로 인해, 물품 관리자는, RF 태그를, 선반과 물품에 부착한 후, RF 리더기를 통해 통신 반경 내의 물품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선반은 다수의 RF 리더기를 각각의 선반에 설치함으로써 설치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 선반은 기존의 물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물품 인식 방식인 EPC(Electronic Product Code) 방식과의 호환성이 낮아, 기존의 물류 시스템과의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들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UHF(Ultra High Frequency) Passive RF 태그를 이용한 개선된 스마트 선반이 개발되었으나, 개선된 스마트 선반에서는 물품의 위치 파악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선반의 물품위치를 파악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위치 파악 정확도를 보장하지만 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처리시간 및 리소스의 소모가 커진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선반에서 위치 파악 정확도를 보장하면서,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 물품 관리 모델의 출현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 간의 간섭신호의 변화 강도를 이용하여 물품의 대략적인 후보영역을 파악하고, 영상센서가 획득한 전체 이미지에서 RFID를 이용하여 선정된 후보영역의 영상정보 만을 처리 함으로써, 물품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는,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를, RFID 시스템과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위치정보 추정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FID 시스템을 통하여 목표물의 위치 후보 영역 설정 방법 및 후보영역 수의 설정을 통하여 신뢰성 및 정확도를 보장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은, 주기의 도래에 따라, 태그를 각각 부착하는 복수의 물품 중에서 적어도 2개의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한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현재크기를, 이전 주기에 측정된 이전크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한 차이값이 선정된 임계값 보다 큰, 태그 간섭신호와 연관된 물품들을 대상 물품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장치로서,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는, 주기의 도래에 따라, 태그를 각각 부착하는 복수의 물품 중에서 적어도 2개의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신호 측정부, 측정한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현재크기를, 이전 주기에 측정된 이전크기와 비교하는 크기 비교부, 및 상기 비교한 차이값이 선정된 임계값 보다 큰, 태그 간섭신호와 연관된 물품들을 대상 물품으로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 간의 간섭신호의 변화 강도를 이용하여 물품의 대략적인 후보영역을 파악하고, 영상센서가 획득한 전체 이미지에서 RFID를 이용하여 선정된 후보영역의 영상정보 만을 처리 함으로써, 물품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는,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를, RFID 시스템과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위치정보 추정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시스템을 통하여 목표물의 위치 후보 영역 설정 방법 및 후보영역 수의 설정을 통하여 신뢰성 및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의 적용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 선반(Smart Shelf)은 유통매장 등에서 제품, 물품을 진영하는 선반에 RFID 리더기와 LCD 모니터 등을 장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선반은 선반에서 제품을 꺼낼 때 해당 제품의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예컨대 이력추적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는,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 간의 간섭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선반에서의 물품이 위치하는 대략적인 영역(후보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후보영역에 대한 영상 처리를 통해 해당 물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 선반에서의 물품 위치를,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 간의 간섭신호의 변화 강도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신호 측정부(110), 크기 비교부(120) 및 위치 결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카메라(140)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우선, 신호 측정부(110)는 주기의 도래에 따라, 태그(155, 165)를 각각 부착하는 복수의 물품 중에서 적어도 2개의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한다. 즉, 신호 측정부(110)는, 물품(150, 160)의 각 태그(155, 165)에서 출력되는 태그 신호와 연관되어, 이들 태그 신호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에 의한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측정에 있어서, 신호 측정부(110)는 상술의 주기 도래 이외에 신규 물품의 유입에 따라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할 수도 있다. 즉, 신호 측정부(110)는 제1 태그(155)를 부착하는 물품(150)이, 제2 태그(165)를 부착하는 물품(160)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주기의 도래와 무관하여,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측정부(110)는 주기의 도래 이외에, 스마트 선반 내에서 물품(150, 160)의 위치 이동, 또는 신규 유입출 등에 따라 비정기적으로도 상기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크기 비교부(120)는 측정한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현재크기를, 이전 주기에 측정된 이전크기와 비교한다. 즉, 크기 비교부(120)는 측정되는 태그 간섭신호의 값이, 이전 측정시의 값에 비해 어느 정도 변화하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크기 변화는, 주위 환경의 미세한 변동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물품의 신규 유입/출입 등 물품의 위치 변경에 따른 태그 신호 간의 급격한 간섭 작용에 따른 발생으로 볼 수 있다.
위치 결정부(130)는 상기 비교한 차이값이 선정된 임계값 보다 큰, 태그 간섭신호와 연관된 물품들을 대상 물품으로 결정한다. 즉, 위치 결정부(130)는 태그 간섭신호의 변화 정도가 기준치로 마련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해당 물품 사이에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가정하여, 대상 물품으로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상 물품의 결정 이후, 위치 결정부(130)는 영상정보 내에서, 상기 결정된 대상 물품에 관한 후보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카메라(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카메라(140)는 상기 복수의 물품을 촬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즉, 카메라(140)는 스마트 선반으로 진열되는 복수의 물품에 대해 촬영하여 이미지로서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정보의 획득에 따라, 위치 결정부(130)는 상기 대상 물품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 내 후보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위치 결정부(130)는, 상기 대상 물품에 속하는 물품들이 위치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기 영상정보 내 영역을 특정하여 상기 후보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위치 결정부(130)는, 상기 후보영역을 대상으로 영상 처리하여, 상기 대상 물품에 속하는 물품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는,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영상정보로부터 특징부(고정 폴리콘, 사물 등)를 검출하는 처리 과정일 수 있고, 예컨대 2차원 신호의 영상정보에, 표준적인 신호 처리 기법을 적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술의 영상 처리에 의거하여 물품의 위치가 확정된 이후, 위치 결정부(130)는 상기 후보영역에 존재하는 물품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물품에 부착되는 태그들로부터, 해당 물품의 위치를 리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 간의 간섭신호의 변화 강도를 이용하여 물품의 대략적인 후보영역을 파악하고, 영상센서가 획득한 전체 이미지에서 RFID를 이용하여 선정된 후보영역의 영상정보 만을 처리 함으로써, 물품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를, RFID 시스템과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위치정보 추정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시스템을 통하여 목표물의 위치 후보 영역 설정 방법 및 후보영역 수의 설정을 통하여 신뢰성 및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가 적용되는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의 적용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인식 시스템(Localization System)은, UHF RFID 리더, 상기 UHF RFID 리더와 연결되는 안테나, 및 고정 카메라를 포함하여, 관심 물체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위치인식 시스템은 각 물품에 부착된 참조 태그들(Passive UHD RFID Tags)에 관한 최신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맵을 작성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RFID 시스템을 작동한다. 캐리어의 출몰을 탐지하면, 위치인식 시스템은 위치 감지 프로세스를 작동시킨다. 위치인식 시스템이 새롭게 들어오는 타켓 태그의 ID를 탐지하면, 현재 RSSI 맵 RSi는 이전 질의 기간의 RSSI 맵 RSi -1과 비교된다. 각각의 참조 태그에 대해, 위치인식 시스템은 차이
Figure 112013091616887-pat00001
의 절대치를 계산할 수 있다. 특정 레퍼런스의 차이가 주어진 임계치 보다 크면, 위치인식 시스템은 레퍼런스가
Figure 112013091616887-pat00002
수준으로 간섭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 다음, 위치인식 시스템은 타켓 태그에 의해 가장 간섭된 영역을 측정하도록 레퍼런스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된 주어진 크기의 그룹은 후보 영역으로 명명할 수 있고, 각 그룹 멤버는 기하학적으로 물리적으로 인접할 수 있다.
결합 시스템에서 후보 영역을 측정할 때, 위치인식 시스템은 초기 그룹 크기 g를 이용하여 참조 그룹을 계산할 수 있다.
그 후, 위치인식 시스템은 각각 초기 그룹 멤버의 판독률(reading rate)을 종합하여, 그룹 크기를 g'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만약, 업데이트된 그룹 크기의 g'가, 최고 그룹 크기 g 보다 크면, 위치인식 시스템은 상기 g'를 이용하여 참조 그룹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g'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업데이트 될 수 있다.
Figure 112013091616887-pat00003
각각 측정된 참조 그룹은 각 멤버가 받는 충격도의 합계에 따라 서로 다른 랭크를 갖는다. 최종적으로, 위치인식 시스템은 각 참조 그룹의 MBR(Minimum Boundary Polygon)을 계산하고, 큐(queue) CQ에 저장한다. 타겟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위치인식 시스템은 이미지 차이 탐지 알고리즘(image difference detection algorithm)을 적용할 수 있다.
초기 스테이지 하에서, 위치인식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초기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RFID 컴포넌트에 의해 모니터링 영역 상에서 일어난 임의의 이벤트를 탐지하면, 위치인식 시스템은 현재 모니터링 장면을 캡쳐한다.
그 다음, 위치인식 시스템은 CQ로부터 최초 랭크 MBR을 측정할 수 있다.
위치인식 시스템은 측정된 MBR을 IMGcurrent 내에서 이미지 블록에 대한 후보 위치로 한 다음, 픽셀 강도를 IMGprev 에서 동일한 픽셀 좌표와 비교할 수 있다.
그 후, 선택된 이미지 블록이 변경된 픽셀들을 포함하면, 위치인식 시스템은 변경된 픽셀 좌표들의 MBP를 계산할 수 있다. 폴리곤은 Q 블록도를 갖을 수 있다.
변경된 후보 영역 사이에서 임의의 픽셀 변화를 탐지하지 못하면, 위치인식 시스템은 CQ로부터 다음의 가장 높은 순위의 후보 영역으로 이동하고, 타겟 위치를 측정할 때까지 변형 및 이미지 변화 탐지 절차를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인식 시스템은,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를 RFID 시스템과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위치정보 추정시간으로 물품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인식 시스템은 RFID 시스템을 통하여 목표물의 위치 후보 영역 설정 방법 및 후보영역 수의 설정을 통하여 신뢰성 및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은 상술한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주기의 도래에 따라, 태그(155, 165)를 각각 부착하는 복수의 물품 중에서 적어도 2개의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한다(310). 단계(310)는 물품(150, 160)의 각 태그(155, 165)에서 출력되는 태그 신호와 연관되어, 이들 태그 신호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에 의한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측정에 있어서,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상술의 주기 도래 이외에 신규 물품의 유입에 따라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할 수도 있다. 즉, 단계(310)에서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제1 태그(155)를 부착하는 물품(150)이, 제2 태그(165)를 부착하는 물품(160)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주기의 도래와 무관하여,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주기의 도래 이외에, 스마트 선반 내에서 물품(150, 160)의 위치 이동, 또는 신규 유입출 등에 따라 비정기적으로도 상기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측정한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현재크기를, 이전 주기에 측정된 이전크기와 비교한다(320). 단계(320)는 측정되는 태그 간섭신호의 값이, 이전 측정시의 값에 비해 어느 정도 변화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크기 변화는, 주위 환경의 미세한 변동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물품의 신규 유입/출입 등 물품의 위치 변경에 따른 태그 신호 간의 급격한 간섭 작용에 따른 발생으로 볼 수 있다.
계속해서,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상기 비교한 차이값이 선정된 임계값 보다 큰, 태그 간섭신호와 연관된 물품들을 대상 물품으로 결정한다(330). 단계(330)는 태그 간섭신호의 변화 정도가 기준치로 마련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해당 물품 사이에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가정하여, 대상 물품으로 지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대상 물품의 결정(단계 330) 이후,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영상정보 내에서, 상기 결정된 대상 물품에 관한 후보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카메라(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140)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물품을 촬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40)는 스마트 선반으로 진열되는 복수의 물품에 대해 촬영하여 이미지로서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정보의 획득에 따라,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상기 대상 물품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 내 후보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상기 대상 물품에 속하는 물품들이 위치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기 영상정보 내 영역을 특정하여 상기 후보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상기 후보영역을 대상으로 영상 처리하여, 상기 대상 물품에 속하는 물품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는,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영상정보로부터 특징부(고정 폴리콘, 사물 등)를 검출하는 처리 과정일 수 있고, 예컨대 2차원 신호의 영상정보에, 표준적인 신호 처리 기법을 적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술의 영상 처리에 의거하여 물품의 위치가 확정된 이후,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상기 후보영역에 존재하는 물품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물품에 부착되는 태그들로부터, 해당 물품의 위치를 리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100)는,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 간의 간섭신호의 변화 강도를 이용하여 물품의 대략적인 후보영역을 파악하고, 영상센서가 획득한 전체 이미지에서 RFID를 이용하여 선정된 후보영역의 영상정보 만을 처리 함으로써, 물품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RF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를, RFID 시스템과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위치정보 추정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시스템을 통하여 목표물의 위치 후보 영역 설정 방법 및 후보영역 수의 설정을 통하여 신뢰성 및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110 : 신호 측정부 120 : 크기 비교부
130 : 위치 결정부 140 : 카메라
150, 160 : 물품

Claims (10)

  1. 태그를 각각 부착하는 복수의 물품을 촬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주기의 도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물품 중에서 적어도 2개의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한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현재크기를, 이전 주기에 측정된 이전크기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한 차이값이 선정된 임계값 보다 큰, 태그 간섭신호와 연관된 물품들을 대상 물품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물품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 내 후보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영역에 존재하는 물품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물품에 부착되는 태그들로부터, 해당 물품의 위치를 리드하여, 상기 대상 물품에 속하는 물품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는,
    제1 태그를 부착하는 물품이, 제2 태그를 부착하는 물품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상기 주기의 도래와 무관하여, 상기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6. 태그를 각각 부착하는 복수의 물품을 촬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주기의 도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물품 중에서 적어도 2개의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신호 측정부;
    측정한 상기 태그 간섭신호의 현재크기를, 이전 주기에 측정된 이전크기와 비교하는 크기 비교부; 및
    상기 비교한 차이값이 선정된 임계값 보다 큰, 태그 간섭신호와 연관된 물품들을 대상 물품으로 결정하고, 상기 대상 물품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정보 내 후보영역을 추출하는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후보영역에 존재하는 물품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물품에 부착되는 태그들로부터, 해당 물품의 위치를 리드하여, 상기 대상 물품에 속하는 물품의 위치를 확정하는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부는,
    제1 태그를 부착하는 물품이, 제2 태그를 부착하는 물품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상기 주기의 도래와 무관하여, 상기 물품 간의 태그 간섭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KR20130120711A 2013-10-10 2013-10-10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KR10149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711A KR101492338B1 (ko) 2013-10-10 2013-10-10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711A KR101492338B1 (ko) 2013-10-10 2013-10-10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338B1 true KR101492338B1 (ko) 2015-02-11

Family

ID=5259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0711A KR101492338B1 (ko) 2013-10-10 2013-10-10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5703A (zh) * 2019-09-20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防窃取方法和相关产品
WO2020138699A1 (ko) * 2018-12-27 2020-07-02 강경욱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102A (ja) * 2007-05-08 2008-11-20 Hitachi Ltd 作業支援システム、作業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業管理方法
KR20120086513A (ko) * 2011-01-26 201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통신과 고효율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간섭 제어 시스템
KR101299582B1 (ko) * 2012-06-29 2013-08-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Rf 태그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102A (ja) * 2007-05-08 2008-11-20 Hitachi Ltd 作業支援システム、作業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業管理方法
KR20120086513A (ko) * 2011-01-26 201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통신과 고효율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간섭 제어 시스템
KR101299582B1 (ko) * 2012-06-29 2013-08-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Rf 태그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99A1 (ko) * 2018-12-27 2020-07-02 강경욱 3d 이미지센서 기반의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0795703A (zh) * 2019-09-20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防窃取方法和相关产品
CN110795703B (zh) * 2019-09-20 2024-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防窃取方法和相关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6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210042689A1 (en) Inventory control
US96974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to avoid counting shelf edge promotional labels when counting product labels
CN109271847B (zh) 无人结算场景中异常检测方法、装置及设备
CN101023373B (zh) 传感环境属性与实体的自主相关的方法和系统
US8421627B2 (en) Method for associating and RFID tag with a known region
JPWO2016117600A1 (ja) 商品棚割管理装置及び商品棚割管理方法
US9922423B2 (en) Image angle variation detection device, image angle variation detection method and image angle variation detection program
US20170068945A1 (en) Pos terminal apparatus, pos system, commodity recogni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CN111399492A (zh) 一种机器人及其障碍物感知方法和装置
US10970528B2 (en) Method for human motion analysis, apparatus for human motion analysi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501178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40348384A1 (en) System for Managing Locations of Items
US10671971B1 (en) RFID inventory and mapping system
WO2018067765A9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tags
KR101492338B1 (ko) Rf 태그와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물품 관리 방법 및 스마트 물품 관리 장치
US2013008859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ositioning of an object in a warehouse
US110676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items within a facility
JP5805511B2 (ja) 画像監視装置
US11710007B2 (en) Tracking a movement status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KR20150137698A (ko) 농장에서의 움직임 개체의 이동 궤적 트래킹 방법 및 장치
US2017019377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obile tag reader positional confidence
Ziekow et al. A probabilistic approach for cleaning RFID data
Murakami et al. Position tracking system for commodities in an indoor environment
US20190243995A1 (en) Item management system using ta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