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103B1 -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103B1
KR102211103B1 KR1020200086692A KR20200086692A KR102211103B1 KR 102211103 B1 KR102211103 B1 KR 102211103B1 KR 1020200086692 A KR1020200086692 A KR 1020200086692A KR 20200086692 A KR20200086692 A KR 20200086692A KR 102211103 B1 KR102211103 B1 KR 10221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collection
information
company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일
Original Assignee
김우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일 filed Critical 김우일
Priority to KR102020008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103B1/ko
Priority to PCT/KR2020/009567 priority patent/WO2021020790A1/ko
Priority to JP2020550776A priority patent/JP7051044B2/ja
Priority to EP20760746.6A priority patent/EP4006819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K9/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기)수신한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수거업체의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수거하는 쓰레기의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가정의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쓰레기 감독기관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는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외부장치와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정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Garbage Disposal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령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을 통해 쓰레기 수거 요청시 사용자가 별도의 장소에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고 수거원에게 대면 방식으로 바로 전달하여 방문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해 청결한 쓰레기 처리 환경을 조정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그 처리비를 차등적으로 부과함으로써 쓰레기 배출량이 늘어나면 처리비도 그만큼 많이 부담하는 제도이다. 환경부는 건물면적, 재산세 등을 과표로 쓰레기 처리 수수료를 징수하던 종전의 제도를 오염자 부담 원칙에 따라 실제 배출량을 과표로 수수료를 부과하는 쓰레기 종량제로 전환하여 1995년 1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하였다. 현재 종량제 적용대상 쓰레기는 일반 가정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한 일반쓰레기이고, 배출자는 일반쓰레기를 규격봉투에 담아 배출해야 하며, 규격봉투는 지정된 판매소에서 정해진 가격으로 주민에게 판매되고 있다. 규격봉투에는 쓰레기 처리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규격봉투에 담아 버린 쓰레기에 대해서는 따로 수거료를 낼 필요가 없고, 규격봉투 가격은 지역 및 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다. 만약 규격봉투에 넣지 않고 버리다 적발되면 100만원의 과태료를 물게 된다. 현재, 재활용품은 수수료없이 수집하므로 사전에 분리해 버리면 그만큼 비용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재활용품은 요일에 따라 종류를 따로 정해 수집해 가는 경우와 구역별로 수집 요일을 정하여 종류의 구분없이 모두 수집해 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관련해, 종래에는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처리에 대한 쓰레기봉투 물류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쓰레기의 효율적인 관리 및 수거를 위해 쓰레기봉투에 대하여 인식 가능하게 인식정보, 발주, 입고, 재고이동, 판매, 수거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인서버와, 쓰레기봉투, 대형폐기물(예: 스티커), 음식물 쓰레기봉투(스티커) 판매량 및 배출량을 쓰레기봉투, 대형폐기물(스티커), 음식물쓰레기봉투(스티커)에 부착된 바코드로 인식하여 각 지역에서 쓰레기 배출량을 조사 및 분석하는 보조서버와, 월간 및년간 배출량을 예측하여 쓰레기봉투, 대형폐기물(스티커), 음식물쓰레기봉투(스티커)의 판매와 재고를 파악할 수 있는 관리서버와, 배출된 쓰레기의 바코드를 확인하여 확인된 데이터의 정상 유통여부를 인터넷 또는 무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전송수단과, 쓰레기봉투, 대형폐기물(스티커), 음식물쓰레기봉투(스티커)의 판매에서부터 수거를 인터넷이나 전산망을 통해 원격으로 관리하는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쓰레기를 수거하게 되면, 주민들이 직접 쓰레기를 들고 나가서 집 주변의 지정된 수거장소로 운반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악취를 맡을 수 있으며, 운반 과정에서 쓰레기가 떨어질 수 있고, 수거장소에 운반된 쓰레기봉투를 길고양이 등의 동물들이 뜯어서 주변이 더러워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민들이 배출한 일반쓰레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쓰레기 등은 분리된 채 집 주변의 수거장소로 모아 놓는데, 청소차로 수거시 주거환경이 더러워져 비위생적이고, 악취가 심하며,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지 않은 주민을 적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03455호(2003.10.1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5339호(2011.11.1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58068호(2012.06.0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7963호(2018.05.0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1188호(2012.06.1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을 통해 쓰레기 수거 요청시 사용자가 별도의 장소에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고 수거원에게 대면 방식으로 바로 전달하여 방문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해 청결한 쓰레기 처리 환경을 조정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수거업체의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수거하는 쓰레기의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가정의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쓰레기 감독기관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는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장치와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정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부와 회사가 3대 7로 나누기로 합의했다면, 회사가 1000원짜리 쓰레기를 배달했을 때 정부는 300원을 갖고, 회사는 700원을 갖는다. 또, 회사가 2000원짜리 쓰레기봉투를 배달했을 때 정부는 600원을 갖고 회사는 1400원을 갖는다. 만약 이런 식으로 합의하면, 쓰레기처리과정이 모두 전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에 의해 돈 계산이 간단, 명료하게 계산된다. 정부는 모니터만하기 때문에 조금만 받아야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지역별, 날짜별 또는 시간별 쓰레기 배출 현황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수거업체가 동일 관할 구역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거 요청 정보 및 수거업체의 응답 결과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수거업체를 지정해 쓰레기 수거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거정보를 근거로 쓰레기의 유형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거업체를 지정해 수거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쓰레기 수거 요청시의 제1 시간정보, 상기 각 가정에서 쓰레기가 수거될 때의 제2 시간정보, 상기 쓰레기가 임시 저장되는 보관소에서 분리될 때의 제3 시간정보 및 상기 분리된 쓰레기가 매립지나 소각장으로 운반될 때의 제4 시간정보를 근거로 쓰레기 수거업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쓰레기를 수거하여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소의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워터제트와 연동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이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워터제트를 작동시켜 상기 촬영장치의 렌즈를 세척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쓰레기를 수거하여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소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상의 유해물질쓰레기를 감지하는 적외선감지기와 연동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유해물질쓰레기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수거업체의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수거하는 쓰레기의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가정의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쓰레기 감독기관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는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장치와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쓰레기 봉투의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지역별, 날짜별 또는 시간별 쓰레기 배출 현황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수거업체가 동일 관할 구역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거 요청 정보 및 수거업체의 응답 결과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수거업체를 지정해 쓰레기 수거를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를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거정보를 근거로 쓰레기의 유형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거업체를 지정해 수거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쓰레기 수거 요청시의 제1 시간정보, 상기 각 가정에서 쓰레기가 수거될 때의 제2 시간정보, 상기 쓰레기가 임시 저장되는 보관소에서 분리될 때의 제3 시간정보 및 상기 분리된 쓰레기가 매립지나 소각장으로 운반될 때의 제4 시간정보를 근거로 쓰레기 수거업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쓰레기를 수거하여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소의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워터제트와 연동하며,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이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워터제트를 작동시켜 상기 촬영장치의 렌즈를 세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쓰레기를 수거하여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소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상의 유해물질쓰레기를 감지하는 적외선감지기와 연동하며,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외선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유해물질쓰레기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방문 쓰레기봉투 배달 처리 시스템은, 쓰레기봉투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생성 및 관리하고, 배달비가 포함된 가격으로 식별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판매소에 판매하여 판매정보가 저장되며, 배달회사서버로부터 전송된 배달정보를 확인하여 배달비를 배달회사서버로 지급하는 기관서버, 쓰레기봉투를 주민에게 판매하는 판매소에 설치되고, 기관서버로 주민에게 판매할 쓰레기봉투에 대한 주문 요청을 전송하여 쓰레기봉투의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판매소단말기, 판매소로부터 쓰레기봉투를 구입한 주민이 소지하고, 쓰레기 이미지를 촬영하여 배달회사서버에 분석을 요청하며, 쓰레기봉투에 담긴 쓰레기에 대한 배달 요청을 방문정보와 함께 배달회사서버로 전송하는 주민단말기, 주민단말기가 요청한 쓰레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쓰레기 종류 및 쓰레기 종류에 적합한 쓰레기봉투를 주민단말기로 송신하며 배달직원에게 방문정보를 전송하여 배달직원의 가정 방문에 의해 쓰레기봉투를 수거하여 쓰레기임시저장소로 배달하도록 지시하고 배달직원이 소지한 배달직원단말기에 의해 인식되어 전송된 식별코드를 포함한 배달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배달비를 계산하고 배달비를 배달정보와 함께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배달회사서버, 및 주민거주지역마다 지정된 쓰레기임시저장소에 설치되고, 배달직원에 의해 배달된 쓰레기봉투의 식별코드를 포함한 배달정보를 저장하는 쓰레기저장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방문정보는 주민의 성명, 주민의 집주소, 주민의 전화번호 및 배달요청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배달정보는 주민의 성명, 주민의 집주소, 주민의 전화번호, 배달회사 명칭, 배달직원 성명 및 배달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임시저장소는 복수개의 지상층과 지하층을 포함한 빌딩으로 이루어지되, 지상층은 쓰레기를 관리하는 사무실과 주민시설을 포함하고, 지하층에 저장된 쓰레기봉투는 쓰레기 종류별로 구분하여 저장박스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박스는 냉동장치에 의해 냉동된 상태로 보관되어 악취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저장서버는, 지하층에 설치된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영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전송받은 촬영정보를 통하여 저장박스가 가득 찬 것으로 판단되면, 운반차량을 통하여 저장박스를 쓰레기처리장까지 운반하도록 지시하여 최종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방문 쓰레기봉투 배달 처리 방법은, 쓰레기봉투를 주민에게 판매하는 판매소의 판매소단말기가 기관서버로 쓰레기봉투의 주문을 요청하는 단계, 판매소단말기의 주문 요청에 따라 기관서버가 식별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배달비가 포함된 가격으로 판매소에 판매하고 판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주민단말기가 쓰레기 이미지를 촬영하여 배달회사서버에 분석을 요청하는 단계, 주민단말기가 배달회사서버에 방문정보를 전송하여 쓰레기 배달을 요청하는 단계, 배달회사서버가 주민단말기가 요청한 쓰레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쓰레기 종류 및 쓰레기 종류에 적합한 쓰레기봉투를 주민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주민의 배달 요청에 따라 배달회사서버가 배달직원의 가정 방문을 통해 쓰레기봉투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하여 주민거주지역마다 지정된 쓰레기임시저장소로 배달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배달직원단말기가 배달할 쓰레기봉투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식별코드를 포함한 배달정보를 배달회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쓰레기저장서버가 쓰레기임시저장소로 배달된 쓰레기봉투의 식별코드를 포함한 배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배달회사서버가 상기 전송된 식별코드를 포함한 배달정보를 저장하고, 배달비를 계산하며, 배달비를 배달정보와 함께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기관서버가 배달정보를 확인한 후 배달비를 배달회사서버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문정보는 주민의 성명, 주민의 집주소, 주민의 전화번호 및 배달요청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배달정보는 주민의 성명, 주민의 집주소, 주민의 전화번호, 배달회사 명칭, 배달직원 성명 및 배달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직원의 가정 방문시 쓰레기가 담긴 봉투를 밀폐용기에 넣어 수거하고, 배달직원의 차량은 냉동장치가 설치되어 쓰레기봉투가 냉동된 상태로 쓰레기 임시저장소까지 운반될 수 있다.
쓰레기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쓰레기봉투 중 재활용품은 배달직원에 의해 분리수거되고, 재활용 쓰레기봉투에 비재활용 쓰레기가 포함되거나, 일반 쓰레기봉투에 유해물질이 포함된 경우, 쓰레기봉투에 인쇄된 식별코드가 기관서버로 전송되어 배출 주민에게 소정의 책임을 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기관서버는 배달회사로부터 배달서비스를 받은 주민의 주민단말기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주민이 주민단말기를 통하여 응답한 경우, 상기 기관서버는 수신한 응답을 분석하여 서비스 점수가 낮은 배달회사에 대해 불이익을 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방문 쓰레기봉투 배달 처리 시스템은, 기관서버, 배달회사서버, 배달회사의 직원단말기 및 주민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정 방문 쓰레기봉투 배달 처리 시스템이고, 상기 기관서버는 쓰레기봉투에 인쇄되는 식별코드의 생성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주민단말기는 상기 식별코드가 인쇄된 상기 쓰레기봉투를 주민의 거주지에서 쓰레기임시저장소까지 배달하는 배달서비스비가 포함된 가격으로 구입한 주민이 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민에 의하여 상기 쓰레기봉투에 담긴 쓰레기에 대한 방문배달요청을 상기 배달회사서버에게 전송하고, 이때 방문배달요청 정보는 상기 주민의 성명, 상기 주민의 거주지 주소, 상기 주민의 전화번호 및 방문배달요청 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달회사서버는 상기 주민단말기의 상기 쓰레기 방문배달요청을 수신하면, 그러한 방문배달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직원단말기에게 상기 방문배달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방문배달작업을 지시하며, 상기 직원단말기를 소지한 상기 배달회사의 직원이 상기 방문배달요청을 한 상기 주민의 거주지에 방문하여 쓰레기가 담긴 상기 쓰레기봉투를 넘겨받은 즉시 자신의 직원단말기의 식별코드리더기를 사용하여 상기 쓰레기봉투에 인쇄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시키면, 상기 직원단말기는 상기 주민의 상기 방문배달요청 정보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결합하여 그것을 배달착수정보로서 저장하고,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상기 배달회사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배달회사서버는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상기 기관서버에게 전송하고, 또한 상기 배달착수정보로부터 배달서비스비를 계산하여 상기 기관서버에게 통지하며, 상기 기관서버는 상기 배달회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배달착수정보로부터 배달서비스비를 계산하여 이것이 상기 배달회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배달서비스비와 일치하면, 상기 배달회사서버가 통지한 상기 배달서비스비를 승인할 수 있다.
상기 배달착수정보는 상기 방문배달요청 정보, 상기 식별코드, 상기 직원단말기의 상기 식별코드리더기에 의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시킨 시각, 상기 배달회사 명칭 또는 ID 및 상기 배달회사의 상기 직원 성명 또는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정 방문 쓰레기 봉투 배달 처리 시스템은 주민거주지역마다 지정된 쓰레기임시저장소에 설치되는 쓰레기저장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달회사의 상기 직원이 상기 주민으로부터 넘겨받은 상기 쓰레기가 담긴 상기 쓰레기봉투를 소지하고 상기 쓰레기임시저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쓰레기봉투를 저장박스에 담을 때, 상기 쓰레기저장서버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배달완료정보를 저장시키고, 상기 쓰레기저장서버는 상기 배달완료정보를 상기 배달회사서버 및 상기 기관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기관서버는 상기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식별코드의 상기 쓰레기봉투에 대한 상기 배달서비스비를 승인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저장서버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배달완료정보의 저장은 상기 쓰레기임시저장소 또는 저장박수에 구비된 리더기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시키거나 또는 상기 직원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상기 쓰레기저장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달완료정보는 상기 쓰레기임시저장소 또는 저장박스에 구비된 리더기가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한 시각 또는 상기 직원단말기로부터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전송받은 시각을 배달완료시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쓰레기봉투를 상기 주민에게 판매하는 판매소에 설치되는 판매소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매소단말기는 상기 주민에게 판매할 상기 쓰레기봉투에 대한 주문을 상기 기관서버에게 전송하고, 그러면 상기 기관서버는 상기 식별코드가 인쇄된 상기 쓰레기봉투가 상기 판매소에게 판매되면, 그러면 판매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저장서버는 설치된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영정보를 실시가능로 전송받고, 전송받은 촬영정보를 통하여 저장박스가 가득 찬 것으로 판단되면, 운반 차량을 통하여 상기 저장박스에 담긴 상기 쓰레기봉투를 쓰레기처리장까지 운반하도록 지시하여 최종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기관서버는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는 식별코드의 생성 및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식별코드가 인쇄된 상기 쓰레기봉투를 주민의 거주지에서 쓰레기임시저장소가지 배달하는 배달서비스비가 포함된 가격으로 구입한 주민은 자신이 소지주민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쓰레기봉투에 담긴 쓰레기에 대한 방문배달요청을 상기 배달회사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때 방문배달요청 정보는 상기 주민의 성명, 상기 주민의 거주지 주소, 상기 주민의 전화번호 및 방문배달요청 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달회사서버는 상기 주민단말기의 상기 쓰레기 방문배달요청을 수신하면, 그러한 방문배달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직원단말기에게 상기 방문배달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방문배달작업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직원은 상기 방문배달요청을 한 상기 주민의 거주지에 방문하여 쓰레기가 담긴 상기 쓰레기봉투를 넘겨받은 즉시 자신의 직원단말기의 식별코드리더기를 사용하여 상기 쓰레기봉투에 인쇄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시키고, 그러면 상기 직원단말기는 상기 주민의 상기 방문배달요청 정보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결합하여 그것을 배달착수정보로서 저장하고,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상기 배달회사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달회사서버는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상기 기관서버에게 전송하고, 또한 상기 배달착수정보로부터 배달서비스비를 계산하여 상기 기관서버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기관서버는 상기 배달회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배달착수정보로부터 배달서비스비를 계산하여 이것이 상기 배달회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배달서비스비와 일치하면, 상기 배달회사서버가 통지한 상기 배달서비스비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달착수정보는 상기 방문배달요청 정보, 상기 식별코드, 상기 직원단말기의 상기 식별코드리더기에 의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시킨 시각, 상기 배달회사 명칭 또는 ID 및 상기 배달회사의 상기 직원 성명 또는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달회사의 상기 직원이 상기 주민으로부터 넘겨받은 상기 쓰레기가 담긴 상기 쓰레기봉투를 소지하고 상기 쓰레기임시저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쓰레기봉투를 저장박스에 담을 때, 상기 쓰레기임시저장소에 설치되는 쓰레기저장서버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배달완료정보를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쓰레기저장서버는 상기 배달완료정보를 상기 배달회사서버 및 상기 기관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관서버는 상기 배달완료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식별코드의 상기 쓰레기봉투에 대한 상기 배달서비스비를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저장서버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배달완료정보의 저장은 상기 쓰레기임시저장소 또는 저장박수에 구비된 리더기에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시키거나 또는 상기 직원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상기 쓰레기저장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달완료정보는 상기 쓰레기임시저장소 또는 저장박스에 구비된 리더기가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한 시각 또는 상기 직원단말기로부터 상기 배달착수정보를 전송받은 시각을 배달완료시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봉투를 상기 주민에게 판매하는 판매소에 설치되는 판매소단말기는상기 주민에게 판매할 상기 쓰레기봉투에 대한 주문을 상기 기관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관서버는 상기 식별코드가 인쇄된 상기 쓰레기봉투가 상기 판매소에게 판매되면, 그러면 판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쓰레기봉투 중 재활용품은 상기 배달직원에 의해 분리수거되고, 재활용 쓰레기봉투에 비재활용 쓰레기가 포함되거나, 일반 쓰레기봉투에 유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쓰레기봉투에 인쇄된 상기 식별코드가 상기 기관서버로 전송되어 배출 주민에게 소정의 책임을 물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민의 수거 요청이 오면 수거회사의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식별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에 담긴 쓰레기를 쓰레기임시저장소로 수거하여 처리하고, 수거회사는 쓰레기봉투 가격에 포함된 수거서비스 비용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쓰레기 처리와 관련한 서비스의 질이 개선되고, 주거환경이 청결해지고 위생적이며, 악취 발생이 방지되고, 주민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지 않는 주민을 적발하여 계도할 수 있고, 쓰레기봉투의 판매, 유통 및 수거 등의 처리 정보에 관한 정확한 통계를 얻을 수 있어 자동화된 관리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방문 쓰레기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방문 쓰레기처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방문 쓰레기처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방문 쓰레기처리 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수거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 임시저장소장치(140) 및 감독기관장치(1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쓰레기봉투를 판매하는 판매소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임시저장소장치(140)나 감독기관장치(150)가 생략되어 가정 방문 쓰레기처리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와 같은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 임시저장소장치(140) 및 감독기관장치(150) 등은 서버(server)로서 설명될 수도 있으며, 판매소 장치는 판매소 단말기, 수거자 단말장치(110)는 수거자 단말기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주민단말기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동일 장치를 지칭하지만 다양한 명칭으로 변경되어 명명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명칭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각 가정의 사용자 즉 주민이 소지한 PC(예: 데스크탑 PC, 랩탑 PC, 태블릿 PC 등), 스마트폰 등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포함하며, 국내 S사의 갤*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매소로부터 쓰레기봉투를 구입한 주민 즉 사용자는 쓰레기를 쓰레기봉투에 담아 사용하다가 쓰레기봉투가 가득 차게 되면 이를 밀봉하며,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쓰레기봉투에 담긴 쓰레기에 대한 수거 요청을 할 수 있다. 물론 수거 요청시 화면에 표시되는 서비스 화면을 통해 수거 요청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음성 녹음 등을 통해 서비스 요청이 가능할 수 있다. 음성의 경우에는 자연어 처리 기술이 많이 발달되어 있으므로 질의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수거 요청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쓰레기봉투(G)는 일반쓰레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쓰레기, 유해물질쓰레기 등의 종류로 구분될 수 있고, 미리 지정된 용량의 규격봉투로 마련된다. 재활용봉지뿐 아니라 유해물질봉지도 정부에서 주민들에게 공짜로 배급하며, 봉지표면에는 QR코드가 찍혀 있어 어느 집에서 생산된 쓰레인지를 바로 알 수 있다. 정부는 공짜로 배급한 후, 컴퓨터에 집주소와 봉지개수를 기록하기 때문에 주민들은 함부로 낭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수거 요청시 주민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방문정보를 입력하거나 통보할 수 있고, 방문정보는 수거되는 쓰레기 유형에 대한 정보, 주민의 성명, 주민의 집주소, 주민의 전화번호, 수거요청시간 등에서 선택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문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거정보 또는 방문요청정보라 명명될 수도 있다.
수거자 단말장치(110)는 사용자 즉 주민의 쓰레기 수거 요청에 따라 해당 가정으로 방문하는 직원이 소지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거자 단말장치(110)는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 QR 코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스캐너를 구비할 수 있으며, 물론 이러한 코드 이미지는 수거자인 쓰레기 수거회사의 직원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전용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거회사의 직원은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하여 코드 인식을 통해 인식 결과를 쓰레기서비스처리장치(130) 등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수거 시간과 관련한 시간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수거직원은 수거자 단말장치(110)로서 가령 식별코드리더기를 이용해 쓰레기봉투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수거정보를 입력하며, 식별코드를 포함한 수거정보를 수거회사서버와 같은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로 전송하여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 보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거정보는 주민의 성명, 주민의 집주소, 주민의 전화번호, 수거회사 명칭, 수거직원 성명, 수거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물론 그러한 정보는 직원이 소지하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지만, 식별코드리더기가 자체적으로 이러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수거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수거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회사의 회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쓰레기 수거 요청이 있을 때, 수거회사의 직원을 보내어 각 가정을 방문하여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G)를 수거하고 이를 쓰레기임시저장소로 이동하는 수거회사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수거회사는 자장면, 피자, 치킨 등을 소비자에게 배달하는 것처럼 각 가정을 방문하여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G)를 수거하여 쓰레기임시저장소로 수거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해 주며, 수거회사는 정부나 지자체에서 복수 개의 회사들을 허가하여 서로 선의의 경쟁을 펼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각 가정은 정부에서 정해주는 한 회사의 서비스만 받도록 시스템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온라인상의 서비스만을 전문으로 제공하는 운영업체일 수 있으며, 쓰레기 수거를 위한 수거회사의 회사장치(예: PC나 스마트폰, 서버 등)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다수의 수거회사의 수거회사장치에 연동하는 경우, 쓰레기 수거 요청을 한 주민의 관할 지역(혹은 구역)에 해당하는 수거회사들을 선별하여 수거 가능 여부를 타진하고 그 응답 결과에 따라 특정 수거회사를 지정하여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에 대한 수거 요청을 수신하면, 수거직원에게 방문정보를 전송하거나 방문지시를 하고, 수거직원은 수거용 오토바이나 쓰레기운반차량(97)을 이용하여 방문정보에 있는 가정을 방문하여 주민이 밀봉해 놓은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G)를 수거하여 쓰레기임시저장소로 이동한다. 여기서, 쓰레기운반차량(97)은 택배차와 비슷한 크기의 차량일 수 있다. 또한, 쓰레기임시저장소는 쓰레기를 소각장이나 매립장 등으로 운반하기 전에 각 가정에서 쓰레기가 제대로 배출되었는지 확인하고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장소라 볼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직원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쓰레기의 배출 상태 정보(혹은 데이터)로서 획득할 수 있다. 수거직원의 가정 방문시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는 밀폐용기에 넣어 수거되고, 수거직원의 차량은 냉동장치가 설치되어 쓰레기봉투가 냉동된 상태로 쓰레기임시저장소까지 운반될 수 있다. 운반시간은 그리 길지 않으므로 전기료가 많이 소모되지 않는다.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수거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DB(130a)에 저장하고, 수거서비스 비용을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수거서비스료를 수거정보와 함께 감독기관장치(15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쓰레기봉투의 바코드 인식시 제공되는 수거업체의 식별정보(예: 스캐너의 장치정보, 수거업체 직원의 소속정보 등)를 근거로 각 업체의 쓰레기 처리량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쓰레기 유형을 판단하여 비용을 정산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비용 정산과 관련해서는 회사와 정부간 협의에 따라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쓰레기 배출 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시저장소장치(140)로부터 쓰레기 분리와 관련한 촬영영상이 제공되면 이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며, 이의 과정에서 코드 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영상에는 다수의 직원들이 서로 다른 쓰레기 봉투에 대한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되는 촬영영상에서 직원별 쓰레기 봉투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쓰레기 배출 상태를 분석해 낼 수 있다. 또한, 일반쓰레기 봉지를 두가지로 만들어 하나는 타는 일반쓰레기봉지, 그리고 다른 하나는 안타는 일반쓰레기봉지로 하면 인권비가 상당히 절약될 수 있다. 각 가정에서 미리 타는 쓰레기와 안타는 쓰레기로 분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CCTV와 같은 카메라는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이를 이동하는 쓰레기 봉투를 촬영할 수 있다. 물론 임시저장소에는 CCTV와 함께 일반쓰레기와 재활용쓰레기, 음식물쓰레기 또 유해물질쓰레기를 판별해 내기 위한 적외선 감지기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임시저장소장치(140)에서 제공되는 촬영영상이나 감지센서 또는 감지카메라의 센싱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쓰레기 봉투에 이종의 쓰레기가 포함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물질을 감지하는 판독기와 같이 쓰레기들이 컨베이어를 통과할 때, 해당 영상을 확보하여 인공지능의 딥러닝 등을 통해 불량 쓰레기 배출 봉투를 우선적으로 판별해 내고, 이를 근거로 특정 쓰레기 봉투에 대해서만 쓰레기를 분리하여 사진 촬영 등을 통해 증거자료를 확보하여 해당 가정의 사용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임시저장소장치(140)는 쓰레기의 임시저장소에 설치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임시저장소장치(140)는 대표적으로 CCTV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임시저장소의 대형박스에 쓰레기를 채우고, 또 이 과정을 CCTV로 모니터하다가 대형박스에 쓰레기가 가득 채워지면 대형 트럭(혹은 그 운전자의 단말)에 신호를 보내 매립지나 소각장으로 운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임시저장소장치(140)는 주민 거주지역마다 건축되어 각 가정으로부터 수거된 쓰레기봉투가 임시로 저장되는 쓰레기임시저장소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것으로서, 주민이 수거 요청한 쓰레기봉투는 해당 주민의 주거지가 속한 행정구역에 설치된 쓰레기임시저장소로 수거되고, 수거직원은 수거차량을 쓰레기임시저장소의 지하층으로 이동시켜 저장박스(S)에 층별로 내려가면서 순차적으로 담는다. 가령 지하 2층은 재활용이 냄새가 덜 나므로 재활용, 지하 3층은 일반쓰레기, 지하 4층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거직원에 의해 수거된 쓰레기봉투의 식별코드(B)를 포함한 수거정보는 쓰레기저장서버와 같은 임시저장소장치(140)의 데이터베이스(D)에 저장된다. 즉, 수거직원이 쓰레기봉투를 저장박스(S)에 담기 전에 쓰레기임시저장소 내지 저장박스에 구비된 리더기에 쓰레기봉투의 식별코드(B)를 인식하거나, 수거직원의 식별코드리더기를 통해 식별코드(B)를 포함한 수거정보를 쓰레기저장서버로 전송하여 저장된다.
쓰레기임시저장소는 복수 개의 지상층과 지하층을 포함한 빌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상층은 쓰레기를 관리하는 사무실과 주민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주민시설을 포함하여 주민에게 혜택을 주며, 지하층은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들이 종류별로 구분되어 저장박스(S)에 담겨 임시로 저장되고, 예컨대 지하 2층에는 재활용 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고, 지하 3층에는 일반 쓰레기를 임시 저장하며, 지하 4층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박스(S)는 냉동장치에 의해 쓰레기봉투가 냉동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므로 악취가 방지될 수 있고, 임시로 잠시 저장한 후 소각장 등의 쓰레기처리장으로 운반되므로 냉동을 위한 전기료가 많이 소모되지 않는다. 지하실 지열 효과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덜 소비된다. 또한, 쓰레기임시저장소에 저장되는 쓰레기 중 재활용품은 수거직원에 의해 분리 수거되어 이익금은 수거회사로 회수될 수 있다.
또한, 재활용 쓰레기봉투에 일반쓰레기나 음식물쓰레기 등의 비재활용 쓰레기가 포함되거나, 쓰레기봉투에 유해 물질이 포함된 경우, 쓰레기저장서버, 더 정확하게는 임시저장소장치(140)는 쓰레기봉투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포함한 수거정보를 감독기관장치(150)로 전송하며, 감독기관장치(150)는 이를 수신하여 위반한 배출 주민에게 우편이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경고나 과태료 등을 통지하여 소정의 책임을 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에 보관되는 저장박스(S) 주변에 CCTV 카메라(C)가 설치되어 저장박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CCTV 카메라(C)의 촬영정보는 쓰레기저장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임시저장소장치(140)로서 쓰레기저장서버는 CCTV 카메라(C)의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쓰레기봉투가 가득 찬 저장박스(S)에 대해서는 밀봉하여 운반차량을 통하여 소각장, 매립장 등의 쓰레기처리장까지 운반하여 최종 처리되도록 동작한다.
감독기관장치(150)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공공기관에 설치되어 운용되거나 공공기관이 위탁한 위탁업체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것으로, 쓰레기봉투(G)에 인쇄될 식별코드(B)를 생성 및 관리하고, 이때 식별코드는 바코드, QR코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감독기관장치(150)는 쓰레기봉투를 판매하는 판매소로부터 주문 요청이 전송되면 식별코드(B)가 인쇄된 쓰레기봉투(G)를 판매소에 판매하고, 판매소명, 식별코드, 판매가격, 판매량 등의 판매정보는 데이터베이스(D)에 저장되며, 쓰레기봉투의 판매가에는 수거회사의 수거직원이 쓰레기임시저장소까지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이동하는 수거서비스료가 포함되어 있다. 즉, 종래의 쓰레기봉투의 판매가에 수거서비스료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수거서비스료는 수거가 완료된 후 감독기관장치(150)가 정산하여 가령 수거회사서버를 통해 수거회사로 지급하여 돌려준다. 즉, 감독기관장치(150)는 수거회사서버로부터 전송된 수거정보를 확인한 후 금액을 정산하여 수거서비스료를 수거회사서버로 지급한다. 동네 주민들이 불결한 쓰레기 서비스 회사가 자기 동네로 들어오는 것을 반대하기 때문에 정부가 혜택을 주겠다고 공고하면 여러 동네에서 신청하며 투명한 투표 방법으로 정부는 혜택받을 동네를 선택하는 방법이 민주적이고 합리적일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먼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수거하는 수거회사의 설립과 영업을 법적으로 인·허가해 줘야 하고, 정부는 돈이 없기 때문에 수거회사가 주민거주지역마다 쓰레기임시저장소 건물을 설치한다. 예컨대, 동이나 면 등의 각 행정구역마다 쓰레기임시저장소를 설치하고, 각 행정구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쓰레기는 수거회사를 통하여 해당 주민의 주거지가 속한 행정구역에 설치된 쓰레기임시저장소로 수거하도록 한다.
이외에, 판매소 장치(99)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쓰레기봉투(G)를 구매하여 판매하도록 지정된 판매소에 설치되는 컴퓨터나 이동단말기를 포함한다. 판매소 장치(99)는 필요시 감독기관장치(150)로 주민에게 판매할 쓰레기봉투에 대한 주문 요청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고, 수거회사의 수거서비스료가 포함된 판매가를 지불하여 쓰레기봉투(G)의 구매가 이루어진다. 이때 판매소의 주문 요청은 쓰레기봉투의 종류, 용량 및 수량 등을 함께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쓰레기처리실행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 수거자 단말장치(110), 임시저장소장치(140) 및 감독기관장치(15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가령 온라인상에서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서비스 화면을 통해 쓰레기 수거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성명, 집주소 정보, 쓰레기 유형 등의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로부터 쓰레기 수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수거업체의 수거자 단말장치(110)로 수거 요청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여 쓰레기 수거를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문 수거를 수행하므로, 사용자가 수거 요청시 제공하는 방문요청시간 등의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시간에 각 가정에 방문하여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자나 치킨 배달처럼 바로 쓰레기를 배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며, 카*오 택시처럼 주민이 배달 요청 후 바로 지도맵에서 배달차가 오는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교통상태가 나빠서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해 서비스가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수거업체의 직원이 수거요청이 있는 각 가정에 방문하여 쓰레기봉투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 QR 코드 등의 코드이미지를 스캐너나 자신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스캔하여 제공하는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코드 정보에는 쓰레기 봉투의 일련번호, 관할지역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코드 정보와 함께 수거직원정보, 쓰레기를 수거하는 시간정보(혹은 제1 시간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수거업체의 직원에 의해 쓰레기가 임시 저장되고 분리가 이루어지는 임시저장소장치(140)와 통신을 수행하여 CCTV와 같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영상이나, 쓰레기 분리가 이루어지는 시간정보(혹은 제2 시간정보), 또 쓰레기 분리시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와 관련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위반과 관련해서는 쓰레기 봉투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해당 봉투에서 위반 여부가 발견될 때 분리수거 직원이 사진 촬영을 하거나, CCTV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영상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쓰레기 봉투의 쓰레기 배출 현황 등과 관련한 데이터를 감독기관장치(15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수거업체들의 쓰레기 처리량을 날짜별, 시간별, 쓰레기 유형별 등을 구분하여 분석되는 분석 데이터를 감독기관장치(15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수거업체들의 용역비용이 정산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지는 각 가정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 등을 통해 서비스 만족도와 관련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주민들에게 서비스 만족도를 묻는 설문조사는 당연히 정부가 주도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쓰레기처리실행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쓰레기처리실행부(320)를 제어하여 서비스 화면이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부터 쓰레기 수거 요청시 제공한 서비스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수거 요청 정보, 가령 집주소정보, 사용자의 이름정보, 쓰레기 유형정보 등을 수신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쓰레기처리실행부(3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310)는 쓰레기처리실행부(320)와 연계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가정에서 수거되는 쓰레기봉투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배출 위반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데이터를 도 1의 감독기관장치(150)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임시저장소장치(140)를 통해 제공되는 분리수거 직원의 사진 촬영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지만, 촬영영상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촬영영상의 분석을 통해 위반 여부가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거된 쓰레기 봉투가 분리대에 놓일 때 촬영영상의 이미지를 통해 코드 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코드 이미지를 근거로 쓰레기 봉투가 분리될 때의 촬영영상에서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가 발견되는지를 판단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지는 각 가정의 사용자에 대한 수거 업체의 평가를 위한 서비스 만족도 등을 조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독기관장치(150)로부터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요청하거나, 쓰레기 수거가 완료된 시점, 또는 그날 저녁에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결과를 쓰레기처리실행부(320)에 제공하여 분석 결과를 수신해 감독기관장치(150)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쓰레기처리실행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의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쓰레기처리실행부(320)는 그래픽(GUI)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쓰레기를 배출한 각 가정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나 쓰레기 봉투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와 관련한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부(330)나 도 1의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으며, 촬영영상의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의 분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쓰레기 봉투의 코드 정보를 인식한 후에 이와 관련하여 쓰레기 분리와 관련된 촬영영상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촬영영상에서 일반쓰레기 봉투에서 재활용쓰레기가 검출될 때, 이에 대한 촬영영상의 이미지를 단위 프레임 비디오의 형태로 캡쳐하거나, 단위 프레임 영상에서 해당 부위만을 자동 캡쳐한 후 위반 여부에 대한 증거자료로서 보존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증거자료는 쓰레기 배출 위반이 있는 각 가정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쓰레기처리실행부(320)는 다양한 형태로 쓰레기 배출 위반 사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위의 경우에는 사전에 일반쓰레기나 재활용쓰레기 등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를 확보하여 이를 근거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이의 과정에서 인공지능(AI)의 딥러닝 객체 분류기 등을 이용하여 학습을 통해 정확한 판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인공지능이 위반상태를 감지하자마자 컴퓨터(혹은 메모리)에 기록되고, 해당 가정은 경고를 받게 되며, 경고기록이 많아지면 벌금을 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반 쓰레기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재활용 쓰레기와 관련한 이미지를 탬플릿 형태로 저장하고 이를 통해 일반쓰레기에서 재활용쓰레기가 발견되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상에서 적외선 촬영 등으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재활용쓰레기가 감지되면 이를 탬플릿 기반의 객체 검출기나 분류기를 통해 재활용쓰레기 여부를 판단하여 쓰레기 분리를 담당하는 직원에게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담당 직원에게 확인을 요청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간단하게는 컨베이어상에서 우선적으로 분류된 쓰레기봉투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영상의 분석이 아니라, 쓰레기를 분리하는 직원이 위반 사례를 직접 카메라나 스마트폰의 카메라 등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쓰레기를 분리하는 현장에서 담당 직원이 자신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앱을 실행한 후 쓰레기 봉투의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경우 해당 쓰레기 봉투의 사용자가 누구인지 DB(130a)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검색을 통해 금방 알 수 있다. 이는 직원이 가정에 방문하여 쓰레기 수거시 스캐너 등에 의해 스캔된 코드 정보 등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임시저장소의 쓰레기 분리 현장에서 이러한 인식 동작 이후에 카메라를 동작시켜 해당 부분을 촬영하고 가령 어떠한 위반 사항에 해당하는지 직원이 직접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한 후 전송하면, 해당 사진 이미지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 수신되어 쓰레기처리실행부(320)로 전달된다. 그러면, 쓰레기처리실행부(320)는 쓰레기 봉투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진 이미지를 매칭시켜 DB(13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쓰레기처리실행부(320)는 감독기관장치(150)로 제공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쓰레기처리실행부(320)는 DB(130a)에 저장되어 있는 각 가정의 사용자별 쓰레기 배출 현상을 분석하여 지자체의 동 단위나 구 단위의 지역별, 시간이나 날짜별 등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감독기관장치(1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쓰레기 수거업체의 쓰레기 수거 현황을 시간 정보 등을 이용해 분석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만족도 등을 확인하여 수거업체의 서비스 품질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외에도 쓰레기처리실행부(320)는 쓰레기 수거와 관련해 관할 구역별로 하나의 수거업체를 지정하여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하지만, 가령 복수의 수거업체가 동일 관할 구역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업체 등록 정보를 근거로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 업체와 재활용 쓰레기의 수거 업체는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물론 감독기관에서는 이러한 쓰레기 업체를 선정할 때, 모든 유형의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지는 업체를 선정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분명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쓰레기처리실행부(320)는 이러한 업체의 쓰레기 수거 가능 유형을 판단한 후, 사용자의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이를 검색하여 동일 관할 구역에서 복수의 수거업체를 동시에 지정하여 수거를 요청할 수도 있다. 가령, 한곳의 가정에서 일반쓰레기와 재활용쓰레기에 대한 수거 요청이 동시에 있는 경우, 쓰레기처리실행부(320)는 동일 서비스 화면을 통해 서로 다른 유형의 쓰레기 수거 요청을 수신하지만, 이를 근거로 서로 다른 수거업체를 지정하여 해당 가정에서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지시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각 유형의 쓰레기에 대하여 각각 수거 요청을 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각 가정이 정부에서 정해주는 한 개의 쓰레기 배달 서비스회사의 서비스만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한다. 여기서, 정보나 데이터의 개념을 구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의미가 없으며, 실제로, 이러한 용어는 현장에서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용어의 사용이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데이터 패킷 구조로 볼 때, 헤더(부)와 페이로드(부)에 포함되는 정보와 데이터는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쓰레기 분리 장면을 촬영한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촬영영상은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출력되어 쓰레기처리실행부(32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쓰레기처리실행부(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처리를,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입력된 2진 비트정보가 어떠한 동작의 수행에 관련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해석은 룩업테이블(LUT)상의 좌측과 우측에 데이터를 매칭한 후 제어회로가 좌측 데이터를 근거로 우측의 데이터를 찾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의 초기 구동시 쓰레기처리실행부(320)의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켜 데이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방문 쓰레기처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여 쓰레기 수거를 요청한다(S400). 물론 이의 과정에서 쓰레기 수거시 필요한 주소정보나 쓰레기 유형 정보, 수거 가능 시간 정보 등의 수거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과 같은 사용자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쓰레기 수거 요청이 있는 경우, 수거업체의 수거자 단말장치(110)로 수거 요청 정보를 제공하면서 쓰레기 수거를 지시할 수 있다(S410). 수거를 지시할 때,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가 요청한 수거 시간에 임박하여(예: 수거 30분전) 지시를 제공할 수 있지만,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될 때 또는 가령 수거 30분 전에 수거자 단말장치(110)로 바로 수거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수거 가능 여부를 타진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할 구역에 복수의 업체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해당 시간에 수거 가능한 업체의 직원으로부터 응답이 있을 때 이를 근거로 쓰레기 수거 업체 및 직원을 확정할 수 있다. 그리고,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수거에 임박하여 알림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수거 시간에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면에 의해 수거하는 것이므로, 다양한 형태로 수거 요청 및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회사에서 수거 요청을 하였으나 집에 도착하기에 시간이 지체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수거 시간 정보를 정정함으로써 이를 수거 업체나 직원에 전달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쓰레기 수거를 위해 가정에 방문한 직원은 수거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쓰레기봉투의 식별코드를 인식시킨다(S420). 코드를 인식시키는 과정에서 수거 직원의 이름을 기록할 수도 있다. 다만, 위의 수거 요청시 이미 직원이 지정된 상태이므로, 코드의 인식과 함께 수거 시간 정보 등의 수거 요청 정보가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로 전송될 수 있다(S430).
또한,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임시저장소장치(140)로부터 수거된 쓰레기의 분리 등과 관련한 수거 요청 정보, 더 정확하게는 쓰레기 배출상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S440). 가령, 수거업체의 임시저장소에 쓰레기가 이동되면 이의 장소에서 쓰레기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쓰레기에 건전지 등의 재활용 쓰레기 담기거나 할 때 이에 관련되는 정보나 데이터(예: 촬영사진)가 배출 상태 정보로서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로 제공될 수 있다. 수동 작업보다는 컨베이어 등에 설치되는 적외선 카메라 등의 촬영 등을 통해 이종의 쓰레기가 발견되는 경우이를 분류하고, 분류된 쓰레기 봉투에서 최종적으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이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한다.
나아가,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쓰레기 수거업체의 수거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어느 업체에서 어느 정도의 수거량을 처리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는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어 있는 코드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코드 정보를 근거로 일반쓰레기, 재활용쓰레기, 음식물쓰레기 등에 따라 서비스 단가를 계산하여 업체나 월별, 혹은 주별 수거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감독기관장치(150)로 서비스료의 정산을 요청하여 이를 처리한다(S460, S470).
이외에도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나 감독기관장치(150)는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지는 각 가정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쓰레기 수거 업체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할 수 있다(S480). 감독기관은 서비스 만족도를 근거로 해당 업체에 서비스 품질을 높이도록 종용하거나, 업체 선정시 이를 참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임시저장소장치(140)는, 더 정확하게는 쓰레기 분리가 완료된 수거업체에서는 매립장이나 소각장과 같은 쓰레기처리장으로 쓰레기 저장박스의 운반을 지시할 수 있다(S490).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임시저장소장치(140)는 운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지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쓰레기 처리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관련 정보를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비스회사 지하에서 분리만 전문으로 하는 직원은, 일반 쓰레기를 분리할 때 소각장 쓰레기(예: 타는 쓰레기)와 매립지 쓰레기(예: 안타는 쓰레기)를 분리한다.
도 4와 관련하여 좀더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살펴본다.
가령 가정주부가 슈퍼마켓에서 배달비용이 포함된 쓰레기 봉투를 구입한다.
이 봉투의 표면에는 QR 코드 등이 찍혀 있다. 예를 들어, 30 리터(ℓ)짜리 일반쓰레기 봉투로 예를 들면, 현재 가격이 700원인데, 배달서비스비용이 포함되어 1000원에 판매된다고 가정하자. 참고로 재활용봉투는 무료이며, 재활용봉투 속에 일반쓰레기를 담으면 관계기관 등으로부터 책임추궁이 이어질 수 있다. 또, 병원의 주사기, 건전지와 같은 유해물질봉투도 따로 만들어 특별 관리되고 있다.
가정주부는 먼저 쓰레기들을 분리한 후 일반쓰레기 30ℓ 봉투에 일반쓰레기만 가득 채워 넣은 후 윗부분을 묶는다. 쓰레기서비스회사에 전화나 문자메시지, 또는 앱을 통해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화면에서 서비스를 요구한다. 가령 지금 서울의 특정 동네에서는 금요일 아침에 묶어 놓은 쓰레기를 금요일 날 바로 버릴 수 없고, 토요일도 안되며, 일요일 저녁 늦게까지 기다린 후 건물 앞 쓰레기를 모아 두는 곳에 버려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하다. 이곳에는 재활용쓰레기, 일반쓰레기, 음식물쓰레기가 버려져 있는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정으로부터 주문을 받자마자 서비스회사 수거전문직원이 오토바이나 차량을 타고 가정을 방문하여 쓰레기를 수거한다.
수거전문직원은 쓰레기를 받자마자 바로 그 집 앞에서 리더기 또는 스캐너로 쓰레기봉투 표면의 가령 QR 코드를 찍은 후, 인공위성(GPS)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정부나 회사로 정보를 각각 송신한다. 이때 정보 속에는 쓰레기 봉투번호, 수거전문직원성명, 쓰레기를 받은 시간, 쓰레기받은 집 주소 등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거전문직원은 쓰레기를 수거업체인 회사로 가져온다. 이때 쓰레기운반차량에는 쓰레기를 냉동처리하는 장치가 있어 악취를 많이 줄일 수 있다. 빨리 처리되기 때문에 가정에서 매립지까지 쓰레기가 소비하는 전기에너지는 크지 않다.
수거업체의 회사 지하에는 쓰레기임시저장소가 존재한다. 가령 회사는 고층건물이며, 지상에는 회사사무실과 주민들을 위한 오락시설이 있을 수 있다.
정부는 각 동사무소 단위로 몇개의 쓰레기서비스회사를 허가해 준다. 따라서 쓰레기 배출이 많은 곳은 더 많은 서비스회사가 필요하다.
수거전문직원은 회사에 도착하자마자, 정부와 회사로 다시 쓰레기봉투가 회사에 도착한 시간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가령, 임시저장소에 구비되는 임시저장소장치(140)에 코드 이미지를 인식시켜 자동으로 정보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재활용쓰레기는 지하 2층에서, 일반쓰레기는 지하 3층에서, 음식물쓰레기는 지하 4층에서 처리될 수 있다.
회사 지하 쓰레기 임시저장소에서 쓰레기를 분리만 전문으로 하는 직원들이 쓰레기를 한번 더 분리하기 때문에 분리가 정확해진다. 물론 이는 직원에 의한 수동 작업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분리를 엉터리로 한 가정은 책임추궁이 후에 관계기관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직원이 직접 사진 촬영 등에 의해 확보한 사진 등의 증거자료가 수집되어 관계기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완전히 분해된 쓰레기봉투의 정보가 마지막으로 정부와 회사에 송신된다. 이 정보 속에는 분리 결과가 기록된다. 여기서, 분리 결과는 앞서의 배출 상태 정보가 될 수 있다.
회사 지하에 있는 대형 쓰레기 박스에 쓰레기가 가득 채워지자마자 대형 트럭이 매립지나 소각장으로 운반한다. 이때 트럭에 실린 쓰레기의 무게, 쓰레기를 버린 매립지, 소각장 등등에 대한 정보가 정부와 회사로 송신된다. 따라서, 정부는 각 동사무소의 일주일 동안 쓰레기 생산량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통계 자료들에 의해 매립지나 소각장 설계가 정확해 질 수 있다. 또 전산 시스템에 의해 정부가 공급해야 할 쓰레기 봉지 개수가 정확하게 계산된다.
새로운 쓰레기 처리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혜택은 다양하다. 쓰레기처리과정이 모두 전산화되기 때문에 정부와 회사간에 비용 계산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해결된다. 박리다매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쓰레기수거서비스를 받게 되며, 주변에서 쓰레기를 볼 수도 없고 따라서 새로운 쓰레기처리방법을 주민들은 대환영할 것이다. 새로운 쓰레기처리방법에 의해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이 많이 줄어들 수도 있을 것이다. 감염 경로가 그만큼 줄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와 회사의 컴퓨터 속에 쓰레기 봉투 번호가 저장되고, 또 이 번호 속에는 수거신청시간, 수거원이 가정을 방문한 시간, 수거원이 쓰레기봉투를 회사로 가져온 시간, 쓰레기봉투가 분해된 시간과 분해할 때 문제가 생기면 그 문제까지 기록된다.
쓰레기를 수거한 직후, 정부는 해당 가정에 문자 메시지를 보내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반쓰레기봉투, 재활용쓰레기봉투, 음식물쓰레기봉투, 유해물질쓰레기봉투 표면에 해당 쓰레기를 기록하여 주민들의 실수를 예방한다. 예를 들면 일반 쓰레기 봉투 표면에 계란 껍질과 돼지뼈 등등을 기록한다.
나아가, 동사무소 단위 또는 구청 단위로 주민투표를 시행하여 쓰레기수거서비스 여부를 주민들이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시나리오를 좀더 살펴본다.
먼저, 구청단위로 투표하여 찬,반을 결정한다. 따라서 30리터짜리 일반쓰레기봉투가 반대하는 구에서는 700원이고, 찬성하는 구에서는 1000원이 된다. 결국 배달비용이 300원인 셈이다. 가령 교촌치킨의 배달비용은 2000원이지만, 쓰레기배달비용은 박리다매 효과에 의해 가격이 다운되서 300원 이하로 예상된다. 모두가 쓰레기를 생산하기 때문이다.
정부(예: 환경부)에서는 콜센터를 설치하여, 주민들이 쓰레기분리방법을 물어 볼 수 있게 한다. 외국인에게는 그 나라언어로 설명한다. 쓰레기봉투 표면에 정부콜센터 전화번호를 기록하여, 일반쓰레기인지 재활용쓰레기인지 음식물쓰레기인지 판단이 안될 때 주민들이 물어 볼 수 있게 도와준다. 예를 들어, 계란껍질과 돼지뼈는 음식물쓰레기가 아니고 일반쓰레기이다.
쓰레기배달 서비스회사 지하의 임시저장소에는 재활용쓰레기를 종류별로 수집하는 대형박스가 여러 개 준비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제품만 수집하는 대형박스, 플라스틱제품만 수집하는 대형박스, 고철제품만 수집하는 대형박스, 두꺼운종이만 수집하는 대형박스, 종이상자만 수집하는 대형박스 등등이 준비되어 있으며 대형박스가 가득 채워지면 바로 대형 트럭이 재활용 공장으로 운반한다. 분리만 전문으로 하는 직원이 한번 더 분리하기 때문에, 분리가 정확해져서 거의 100% 재활용할 수 있다. 정부를 중심으로 수백 개의 쓰레기 배달서비스회사가 도와주기 때문에, 또 모든 처리 과정이 전산화되기 때문에 쓰레기 문제가 간단하면서 신속, 정확하게 해결된다.
마지막으로 각 가정은 정부에서 정해주는 한 회사의 서비스만 받을수 있는데, 주민들의 서비스 설문조사 평가가 나빠지면 그 회사는 정부로부터 불이익을 당한다. 지금은 쓰레기서비스회사가 주민들에게 엄청 생트집을 잡으면서 짜증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고철과 유리그릇을 버리는 통이 없으며 주로 플라스틱 수집박스만 많다. 고철과 유리는 옆 빌딩에 버리라고 하는데, 옆빌딩 담당자는 자기네한테 쓰레기 가져오지 말라고 하는 경우들이 간혹 발생할 수 있다. 한 회사가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는 쓰레기 생산량이 많은 동은 쓰레기 생산량이 적은 동보다 더 많은 회사를 허가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서울의 경우 봉천동은 3개, 신림동은 5개가 허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S500). 여기서,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는 각 가정에서 배출하고자 하는 쓰레기의 유형, 가령 일반 쓰레기인지, 재활용 쓰레기인지 아니면 음식물 쓰레기인지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수거 요청 시간, 주소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여기서 수거 요청 시간은 회사에 너무 큰 부담을 주게 되므로, 서비스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수거되는 쓰레기의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가정의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쓰레기 감독기관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는 코드 정보를 근거로 외부장치와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정산한다(S510). 여기서, 외부장치는 감독기관의 직원이 사용하는 컴퓨터, 서버 등의 감독기관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동마다 예를 들어 신림동, 봉천동의 경우 일주일 동안의 쓰레기 생산량이 계산되면, 정부에서 소각장과 매립지 설계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이를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에서 분석하여 정부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각동에 공급해야 할 쓰레기서비스회사의 갯수가 정확하게 계산된다.
일반 쓰레기를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대형박스에 쓰레기를 채울 때, 쓰레기 먼지에 의해 CCTV 렌즈에 먼지가 붙어서 안보이기 때문에 CCTV 렌즈 앞에 워터제트를 설치하여 모니터실에서 쓰레기 대형 박스를 모니터(링)할 때 주기적으로 스위치를 눌러 렌즈를 깨끗이 한 후 후에 대형박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워터제트는 공기 대신 물을 빨아들여 압력을 높였다가 다시 뒤로 내뿜는 방식이다. 물을 빨아들이는 구멍은 CCTV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130)는 워터제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령 CCTV 등의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할 때, 이미지가 혼탁하게 분석되는 등 촬영영상이 비정상 상태일 때, 이를 판단하여 워터제트를 작동시켜 촬영장치의 렌즈를 세척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세척 정도를 판단하여 기준값을 만족할 때, 워터제트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수거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140: 임시저장소장치 150: 감독기관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쓰레기처리실행부 330: 저장부

Claims (14)

  1.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수거업체의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수거하는 쓰레기의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가정의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쓰레기 감독기관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는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장치와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정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쓰레기 수거 요청시의 제1 시간정보, 상기 각 가정에서 쓰레기가 수거될 때의 제2 시간정보, 상기 쓰레기가 임시 저장되는 보관소에서 분리될 때의 제3 시간정보 및 상기 분리된 쓰레기가 매립지나 소각장으로 운반될 때의 제4 시간정보를 근거로 쓰레기 수거업체를 모니터링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쓰레기 봉투의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지역별, 날짜별 또는 시간별 쓰레기 배출 현황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수거업체가 동일 관할 구역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거 요청 정보 및 수거업체의 응답 결과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수거업체를 지정해 쓰레기 수거를 지시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쓰레기의 유형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거업체를 지정해 수거를 지시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쓰레기를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소의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워터제트와 연동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이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워터제트를 작동시켜 상기 촬영장치의 렌즈를 세척시키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7.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수거업체의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수거하는 쓰레기의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가정의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쓰레기 감독기관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는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장치와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정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쓰레기를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소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상의 유해물질쓰레기를 감지하는 적외선감지기와 연동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유해물질쓰레기를 판별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8.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수거업체의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수거하는 쓰레기의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가정의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쓰레기 감독기관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는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장치와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쓰레기 수거 요청시의 제1 시간정보, 상기 각 가정에서 쓰레기가 수거될 때의 제2 시간정보, 상기 쓰레기가 임시 저장되는 보관소에서 분리될 때의 제3 시간정보 및 상기 분리된 쓰레기가 매립지나 소각장으로 운반될 때의 제4 시간정보를 근거로 쓰레기 수거업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쓰레기 봉투의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지역별, 날짜별 또는 시간별 쓰레기 배출 현황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수거업체가 동일 관할 구역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거 요청 정보 및 수거업체의 응답 결과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수거업체를 지정해 쓰레기 수거를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를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쓰레기의 유형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거업체를 지정해 수거를 지시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쓰레기를 수거하여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소의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워터제트와 연동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이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워터제트를 작동시켜 상기 촬영장치의 렌즈를 세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4.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수거 요청 정보를 근거로 수거업체의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수거하는 쓰레기의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가정의 쓰레기 배출 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쓰레기 감독기관의 외부장치로 전송하며, 쓰레기 봉투에 인쇄되는 코드 정보 및 상기 배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장치와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쓰레기를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소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상의 유해물질쓰레기를 감지하는 적외선감지기와 연동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적외선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유해물질쓰레기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086692A 2019-07-30 2020-07-14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1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692A KR102211103B1 (ko) 2020-07-14 2020-07-14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CT/KR2020/009567 WO2021020790A1 (ko) 2019-07-30 2020-07-21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20550776A JP7051044B2 (ja) 2019-07-30 2020-07-21 ゴミ処理サービス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駆動方法
EP20760746.6A EP4006819A4 (en) 2019-07-30 2020-07-21 GARBAGE DISPOSAL SERVIC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692A KR102211103B1 (ko) 2020-07-14 2020-07-14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103B1 true KR102211103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692A KR102211103B1 (ko) 2019-07-30 2020-07-14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103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311A (ko) * 2003-08-26 2003-09-13 주식회사 에스엠티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85752A (ko) * 2002-05-01 2003-11-07 박인호 네트워크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관리 시스템
KR100714926B1 (ko) * 2006-10-02 2007-05-04 (주) 현암바씨스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KR20090079539A (ko) * 2008-01-18 2009-07-22 조규하 대형 생활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5339B1 (ko) 2011-06-17 2011-11-23 지창훈 종량제 쓰레기봉투의 위조 방지 및 위조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종량제 쓰레기봉투
KR20120061188A (ko) 2010-12-03 2012-06-13 이정석 바코드를 이용한 쓰레기 자동 분리수거 장치
KR101158068B1 (ko) 2011-12-13 2012-06-18 주식회사 코리아환경스마트 이미지코드시스템이 구비되는 음식물류 쓰레기처리장치
KR101857963B1 (ko) 2016-12-28 2018-05-15 (주)늘빛 위조방지 qr 코드를 활용한 종량제 쓰레기봉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90000397U (ko) * 2017-08-03 2019-02-13 주식회사 대건정보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오염도를 관리하는 장치
KR101954400B1 (ko) * 2018-08-21 2019-03-05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종량제 쓰레기 납부필증과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쓰레기 수거 차량 제어가 가능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34577A (ko) * 2019-07-30 2020-03-31 김우일 가정 방문 쓰레기봉투 배달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52A (ko) * 2002-05-01 2003-11-07 박인호 네트워크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관리 시스템
KR20030072311A (ko) * 2003-08-26 2003-09-13 주식회사 에스엠티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3455B1 (ko) 2003-08-26 2003-10-30 주식회사 에스엠티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4926B1 (ko) * 2006-10-02 2007-05-04 (주) 현암바씨스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KR20090079539A (ko) * 2008-01-18 2009-07-22 조규하 대형 생활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61188A (ko) 2010-12-03 2012-06-13 이정석 바코드를 이용한 쓰레기 자동 분리수거 장치
KR101085339B1 (ko) 2011-06-17 2011-11-23 지창훈 종량제 쓰레기봉투의 위조 방지 및 위조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종량제 쓰레기봉투
KR101158068B1 (ko) 2011-12-13 2012-06-18 주식회사 코리아환경스마트 이미지코드시스템이 구비되는 음식물류 쓰레기처리장치
KR101857963B1 (ko) 2016-12-28 2018-05-15 (주)늘빛 위조방지 qr 코드를 활용한 종량제 쓰레기봉투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90000397U (ko) * 2017-08-03 2019-02-13 주식회사 대건정보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오염도를 관리하는 장치
KR101954400B1 (ko) * 2018-08-21 2019-03-05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종량제 쓰레기 납부필증과 봉투의 발행과 주문 및 수거, 쓰레기 수거 차량 제어가 가능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34577A (ko) * 2019-07-30 2020-03-31 김우일 가정 방문 쓰레기봉투 배달 처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1044B2 (ja) ゴミ処理サービス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駆動方法
US20200082354A1 (en) Smart waste management system
KR101783523B1 (ko) 대형 폐기물 수거 관리 시스템
WO2019010935A1 (zh) 一种城市社区垃圾分类处理系统
KR2013014028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255655A (zh) 一种城市垃圾投放系统
CN108280686B (zh) 垃圾分类回收信息管理系统
CN105035600A (zh) 垃圾分类操作管理系统和方法
US20190005507A1 (en) Systems implementing solid-waste carbon exchange
CN111891587B (zh) 一种生活垃圾的分类投放方法及装置
CN110329684A (zh) 一种垃圾清运方法、系统及垃圾车
CN109178724A (zh) 分类回收客户端、回收箱、验收装置、回收系统和方法
CN111153070A (zh) 一种垃圾处理方法和设备
CN113443293A (zh) 一种垃圾分类回收方法、装置和系统
CN110708389A (zh) 智慧环卫云平台及其数据处理方法
KR102211103B1 (ko) 쓰레기처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211086959U (zh) 集成智慧路灯的垃圾处理系统
CA3022583A1 (fr) Automatic system for reliable and efficient interactive management of waste generated by an individual or by a group of individuals, method thereof
KR20200034577A (ko) 가정 방문 쓰레기봉투 배달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2208568A (ja) 不要物処理システム
CN110895397A (zh) 集成智慧路灯的垃圾处理系统
US1189769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waste disposal and energy efficiency using sensor and alternative power technologies
CN211086960U (zh) 集成智慧路灯的垃圾回收系统
JP2004269150A (ja) ごみ収集システム
CN114020982A (zh) 一种生活垃圾分类“多网融合”的运营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