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706B1 -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706B1
KR102210706B1 KR1020140180231A KR20140180231A KR102210706B1 KR 102210706 B1 KR102210706 B1 KR 102210706B1 KR 1020140180231 A KR1020140180231 A KR 1020140180231A KR 20140180231 A KR20140180231 A KR 20140180231A KR 102210706 B1 KR102210706 B1 KR 102210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relay device
signal relay
signal
communication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517A (ko
Inventor
박지연
김두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706B1/ko
Priority to EP15199267.4A priority patent/EP3035677B1/en
Publication of KR2016007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to plural spots in a confined site, e.g. MATV [Master Antenna Tele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3/00Communications: radio wave antennas
    • Y10S343/02Satellite-mounted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신호중계장치에 접속된 케이블의 복수의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며, 복수의 포트 중 제1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1통신규격 및 제1개수보다 많은 제2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2통신규격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신호중계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닝 명령어를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고, 튜닝 명령어에 대응하여 튜닝된 방송신호를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게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통신부가 접속된 포트의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접속된 포트의 번호가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제1개수 범위 내인 것으로 판별되면 제1통신규격에 따라서 튜닝 명령어를 신호중계장치에 전송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영상데이터를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에 설치된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로부터 복수의 영상처리장치가 각기 영상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가 지원 가능한 통신포맷 사양에 대응하여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구조의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영상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장치라면 영상을 표시 가능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및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를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그 예시로는 TV가 있고, 후자의 경우의 예시로는 셋탑박스(set-top box)가 있다.
영상처리장치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는 바, 예를 들면 방송국의 방송 장비로부터 직접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영상처리장치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 있고, 영상처리장치가 유선 접속된 RF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 형태의 영상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방식이 있고, 영상처리장치가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를 통해 유선 및 무선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를 통한 방식은 다음과 같다.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는 지구의 정지궤도상에 위치한 통신위성으로부터 무선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되게 한다.
하나의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는 복수의 영상처리장치에 대해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각 영상처리장치 별로 튜닝된 각 영상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사전에 규약된 통신 포맷은 사용 지역 또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그런데,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 및 영상처리장치가 동일한 통신 포맷을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지원 가능한 포맷의 버전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로 영상처리장치를 위해 튜닝된 영상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는 바, 위성 안테나 신호중계장치 및 복수의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의 적용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신호중계장치에 접속된 케이블의 복수의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제1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1통신규격 및 상기 제1개수보다 많은 제2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2통신규격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신호중계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튜닝 명령어에 대응하여 튜닝된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게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접속된 포트의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접속된 포트의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내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1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접속된 포트의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2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신호중계장치가 제1통신규격을 지원하는 장비라는 것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는 상태라고 하더라도, 신호중계장치의 지원 규격에 대응하여 영상처리장치가 신호중계장치로부터 튜닝된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포트의 식별정보는 상기 접속 포트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번호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내이고,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최대 포트 번호를 초과하면 상기 접속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번호는,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번호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접속 포트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접속 포트가 어느 통신규격에 해당하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포트 각각의 포트 번호 및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최대 포트 번호는 0 이상의 정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포트의 식별을 디지털 비트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통신규격은 EN50494이며, 상기 제2통신규격은 EN50607일 수 있다. 이로써, 유럽에서 사용되는 통신규격에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접속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신호중계장치가 답신을 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신이 수신되면 상기 제2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튜닝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내용의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신호중계장치가 지원 가능한 통신규격이 무엇인지 사용자가 모르는 상태라고 하더라도, 영상처리장치가 신호중계장치가 지원 가능한 통신규격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가 입력되게 마련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영상처리장치가 접속 포트의 식별정도를 용이하게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신호중계장치에 접속된 케이블의 복수의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영상처리장치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제1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1통신규격 및 상기 제1개수보다 많은 제2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2통신규격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튜닝 명령어에 대응하여 튜닝된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튜닝 명령어의 전송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접속된 포트의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한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접속된 포트의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내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1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튜닝 명령어의 전송 단계는, 상기 접속된 포트의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2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되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신호중계장치가 제1통신규격을 지원하는 장비라는 것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는 상태라고 하더라도, 신호중계장치의 지원 규격에 대응하여 영상처리장치가 신호중계장치로부터 튜닝된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포트의 식별정보는 상기 접속 포트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번호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내이고,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최대 포트 번호를 초과하면 상기 접속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로써, 접속 포트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접속 포트가 어느 통신규격에 해당하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통신규격은 EN50494이며, 상기 제2통신규격은 EN50607일 수 있다. 이로써, 포트의 식별을 디지털 비트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닝 명령어의 전송 단계는, 상기 접속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신호중계장치가 답신을 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신이 수신되면 상기 제2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튜닝 명령어의 전송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튜닝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내용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신호중계장치가 지원 가능한 통신규격이 무엇인지 사용자가 모르는 상태라고 하더라도, 영상처리장치가 신호중계장치가 지원 가능한 통신규격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시스템에서, 신호중계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시스템에서,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도 2의 시스템에서, EN50494 지원 영상처리장치가 EN50607을 지원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시스템에서, 영상처리장치의 초기설정 서비스 시에 표시되는 UI의 예시도,
도 8은 기본적인 EN50494의 튜닝 커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EN50494에 따른 채널 변경에 관한 튜닝 커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EN50607에 따른 채널 변경에 관한 튜닝 커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4는 도 2의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통신규약 별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및 동작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도 15의 제어방법을 따르는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통신규약 별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및 동작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신호중계장치 및 영상처리장치 사이의 관련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8은 도 17의 S29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에 표시되는 경고 메시지의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0은 도 19의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거나 부가되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위성 중계 기반의 신호전달 구조에 따르는 바, 영상신호를 통신위성(10)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는 신호중계장치(40)와, 신호중계장치(4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처리장치(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처리장치(50)는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으로 표현하나, 셋탑박스 또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중계장치(40)는 지구의 정지궤도에 있는 통신위성(10)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방송국의 방송장비(20)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신호는 방송장비(20) 측의 신호중계장치(30)에 의해 업링크(uplink) 신호로 변환되며, 업링크 신호는 신호중계장치(30)에 의해 통신위성(10)으로 전송된다. 통신위성(10)은 방송장비(20) 측의 신호중계장치(30)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면, 이 업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다운링크(downlink) 신호를 영상처리장치(50) 측의 신호중계장치(40)에 전송한다.
신호중계장치(40)는 하나 이상의 위성 접시(satellite dish)(미도시)를 가지고 통신위성(10)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며, 영상처리장치(5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다운링크 신호를 튜닝한 튜닝된 신호를 영상처리장치(50)에 전달한다. 신호중계장치(40) 및 영상처리장치(50)의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은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진다. 신호중계장치(40)는 하나의 위성 접시(미도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하나의 통신위성(10)으로부터만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위성 접시(미도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두 개의 각기 서로 다른 통신위성(10)으로부터 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신호중계장치(40)가 동시에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위성(10)의 수는 위성 접시(미도시)의 수와 동일하다.
영상처리장치(50)는 신호중계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튜닝된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이 표시되게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50)가 TV라면 자체적으로 방송영상을 표시하며, 영상처리장치(50)가 셋탑박스라면 처리한 영상신호를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게 출력한다.
영상처리장치(50)는 기 설정된 통신 규약에 기초하여 신호중계장치(40)와 통신하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 이벤트에 대응하는 커맨드(command)를 신호중계장치(40)에 전송하고, 해당 커맨드에 따라서 다시 튜닝된 튜닝된 신호를 신호중계장치(4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50) 및 신호중계장치(40)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규약 또는 통신 포맷은 다양한 종류의 규격이 적용될 수 있는데, 양자간의 통신은 적어도 영상처리장치(50) 및 신호중계장치(40) 쌍방이 모두 해당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포맷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도면에서는 시스템(1)이 하나의 신호중계장치(40)에 대해 하나의 영상처리장치(50)가 접속되어 있는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1)이 하나의 신호중계장치(40) 및 복수의 영상처리장치(50)를 포함하는 형태도 가능한 바, 이러한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2)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2)은 복수의 방(room1, room2, room3, room4)을 가진 저택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시스템(2)은 하나의 신호중계장치(100)와, 신호중계장치(100)에 접속된 케이블(200)과, 케이블(200)의 각 노드(node)(210, 220, 230, 240)에 각기 접속된 복수의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를 포함한다.
신호중계장치(100)가 통신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성신호는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에 의해 간섭되므로, 신호중계장치(100)는 저택 외부의 높은 곳, 예를 들면 저택의 지붕과 같이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접근하기 곤란하며 신호 간섭이 최소화될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택 내의 각 방(room1, room2, room3, room4)에는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이들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는 모두 신호중계장치(100)로부터 튜닝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신호중계장치(100) 및 복수의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 사이의 신호 전송은 저택에 설치된 케이블(200)을 통해 수행된다.
물론, 시스템(2)의 구현 시에, 신호중계장치(100)로부터 각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로부터 개별적으로 케이블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당연히 케이블의 수가 많아지므로 설치 및 관리가 곤란하며, 신호중계장치(100)에도 많은 수의 케이블이 접속되기 위한 입출력 단자가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2)은 신호중계장치(100)에 하나의 싱글(single) 케이블(200) 또는 동축(coaxial) 케이블(200)이 접속되고, 이 케이블(200)의 각 노드(210, 220, 230, 240)에 각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가 접속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케이블(200)의 각 노드(210, 220, 230, 240)에는 물리적인 소켓(socket), 슬롯(slot) 또는 포트(port)가 설치됨으로써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가 접속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케이블(200)이 가지는 복수의 포트(210, 220, 230, 240)는 상호 구별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포트(210, 220, 230, 240)가 총 4개가 있다고 하면, 포트(210, 220, 230, 240)들은 1번 포트(210), 2번 포트(220), 3번 포트(230), 4번 포트(240)로 넘버링이 될 수 있다. 또는, 포트(210, 220, 230, 240)들은 0번 포트(210), 1번 포트(220), 2번 포트(230), 3번 포트(240)와 같이 넘버링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장치(310)가 0번 포트(210)에 접속되어 있다고 한다면, 영상처리장치(340)는 3번 포트(240)에 접속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는, 포트(210, 220, 230, 240)들은 첫 번째 포트(210), 두 번째 포트(220), 세 번째 포트(230), 네 번째 포트(240)와 같이 넘버링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포트(210, 220, 230, 240) 사이의 넘버링은 포트(210, 220, 230, 240)의 순서대로 붙여진다.
이러한 시스템(2) 하에서, 신호중계장치(100)로부터 각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에 대해 개별적으로 튜닝된 튜닝된 신호를 각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에 전송해야 하는 바, 케이블(200)은 각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 별 튜닝된 신호를 상호 구분하여 전달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술을 단일 케이블 분배(Single Cable Distribution) 방법이라고 지칭한다. 단일 케이블 분배 방법에 의하여, 신호중계장치(100)는 싱글 케이블(200)을 통해 복수의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에 대한 위성 수신의 전체범위에 걸쳐 독립적인 튜닝을 제공할 수 있다.
단일 케이블 분배 방법에 관한 유럽의 산업 규격으로는, 2007년에 규정된 CENELEC EN50494과, EN50494의 발전형으로서 2013년에 규정된 EN50607이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신호중계장치(100) 및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는 단일 케이블 분배 방법에 따라서 동작하기 위해, 특정한 통신 버스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유럽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통신 버스 프로토콜의 예시로는 DiSEqC(Digital Satellite Equipment Control) 버스가 있다. DiSEqC은 기본적으로, 싱글 마스터(single master)에 대응하는 싱글/멀티 슬레이브(single/multi slave) 시스템 구조이다. 신호중계장치(100) 및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가 DiSEqC 프로토콜 기반으로 상호 통신하기 위해서는 양자 모두 DiSEqC 프로토콜을 지원해야한다. EN50494 및 EN50607은 DiSEq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적용된다.
DiSEqC 프로토콜은 각 버전 별로 기능에 차이가 있는 바, 이에 관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DiSEqC 1.0은 4개까지의 위성 소스 사이의 전환을 허용한다. DiSEqC 1.1은 16개까지의 위성 소스 사이의 전환을 허용한다. DiSEqC 1.2는 16개까지의 위성 소스 사이의 전환을 허용하며, 위성 모터(미도시)의 싱글축의 제어를 허용한다. 여기서, 위성 모터(미도시)는 신호중계장치(100)의 위성 접시(미도시)의 오리엔테이션을 조정하도록 신호중계장치(100)에 마련된 구성인 바, DiSEqC 1.2는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가 신호중계장치(100)의 위성 접시(미도시)의 오리엔테이션을 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DiSEqC 2.0은 DiSEqC 1.0 기반에서 신호중계장치(100) 및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한다. DiSEqC 2.1은 DiSEqC 1.1 기반에서 신호중계장치(100) 및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한다. DiSEqC 2.2는 DiSEqC 1.2 기반에서 신호중계장치(100) 및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한다.
DiSEqC의 나중 버전은 이전 버전과 호환되는 반면, 이전 버전은 나중 버전과 호환되지 않는다.
DiSEqC 1.x 버전 하에서는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로부터 신호중계장치(100)에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지만, 신호중계장치(100)는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응하는 튜닝된 신호만을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에 전송할 수 있을 뿐이며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에 커맨드를 전송할 수는 없다. 그러나, DiSEqC 2.x 버전 하에서는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 및 신호중계장치(100) 상호간에 서로 커맨드를 주고받을 수 있다.
단일 케이블 분배 방법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는 신호중계장치(100)가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용 사용자 밴드(dedicated user band)를 가진다.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는 DiSEqC 기반 커맨드를 통해 특정 트랜스판더(transponder) 주파수를 요청한다. 신호중계장치(100)는 통신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각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 별 사용자 밴드 IF(intermediate frequencies) 센터 주파수로 변환한다. 신호중계장치(100)는 각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의 변환된 트랜스판더를 결합시키고, 케이블(200)을 통해 각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에 전송한다. 케이블(200)을 통해 전송되는 결합신호는 각 영상처리장치(310, 320, 330, 340)에 분배된다.
이하, 신호중계장치(100)의 구성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신호중계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중계장치(100)는 통신위성으로부터의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위성 접시(110)와, 위성 접시(110)로부터 수신되는 위성신호를 영상처리장치(310)를 위한 튜닝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LNB(low-noise block downconverter)(120)와, LNB(120)에 의해 처리된 튜닝된 신호를 케이블(200)로 출력하는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위성 접시(110)는 신호중계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통신위성으로부터 중계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게 마련된다. 위성 접시(110)는 대체적으로 중앙이 오목한 원반 형태인 파라볼라 안테나이며, 별도의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오리엔테이션이 변화한다. 위성 접시(110)는 오리엔테이션에 따라서 복수의 통신위성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바, 기본적으로 하나의 위성 접시(110)는 하나의 통신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위성 접시(110)는 신호중계장치(100)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데, 하나의 신호중계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는 위성 접시(110)의 수는 해당 신호중계장치(100)가 지원 가능한 통신규격에 대응하여 달라진다. 신호중계장치(100)가 EN50494를 지원하는 장비라면 신호중계장치(100)는 두 개까지의 위성 접시(110)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신호중계장치(100)가 EN50607을 지원하는 장비라면 신호중계장치(100)는 셋 이상의 위성 접시(110)를 가질 수 있다.
EN50494를 지원하는 장비와 EN50607을 지원하는 장비는 서로 하드웨어가 상이하므로, EN50494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신호중계장치(100)가 EN50607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만으로는 곤란하며 대폭적인 하드웨어의 교체 내지 개선이 필요하다. 즉, 기존에 EN50494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신호중계장치(100)가 설치된 환경에서 새로 EN50607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신호중계장치(100)를 교체하는 것이 적절하다.
LNB(120)는 LNC(low-noise converter) 또는 LND(low-noise downconverter)라고도 지칭한다. LNB(120)는 저노이즈 증폭기(low-noise amplifier)(121), 주파수 믹서(frequency mixer)(122), 로컬 오실레이터(local oscillator)(123) 및 IF 증폭기(IF amplifier)(124)를 포함한다. LNB(120)는 위성 접시(110)에 의해 수집된 위성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 블록을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ies)의 보다 낮은 블록으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한다. 이러한 다운컨버팅 또는 다운컨버전(downconversion)은 보다 저렴한 동축 케이블(200)을 사용하여 영상처리장치(31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다운컨버팅 없이 원래의 고주파 신호를 영상처리장치(310)에 전달한다면, 보다 고가의 비실용적인 케이블이 필요할 것이다.
LNB(120)를 비롯한 신호중계장치(100)의 구동전력은 케이블(200)을 통해 영상처리장치(31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의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위성 접시(110)를 통해 LNB(120)에 수신되는 위성신호는 매우 약하므로, 다운컨버전 이전에 증폭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저노이즈 증폭기(121)는 이와 같이 약한 신호를 증폭시킨다.
통신위성은 위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매우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높은 주파수의 위성신호는 벽, 지붕, 유리창 등의 건축 구조물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므로, 신호중계장치(100), 특히 위성 접시(110)는 실외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LNB(120)는 수퍼헤테로다인 법칙(superheterodyne principle)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가진 위성신호의 블록 또는 밴드를 이보다 낮은 주파수(예를 들면 중간주파수)에서 전송될 수 있는 유사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는 케이블(200)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감쇠 정도를 저감시키는 바, 케이블(200)을 통해 영상처리장치(310)에 전송되는 신호의 정보량의 손실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이는, 시스템(2)을 구현함에 있어서, 높은 주파수의 신호전송의 경우에 비해 보다 저렴하고도 간단한 구조가 가능하게 한다.
주파수 컨버전은 로컬 오실레이터(123)에 의해 생성되는 고정된 주파수를 주파수 믹서(122)가 LNB(120)에 입력되는 인커밍(incoming) 신호에 믹싱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에 의하여 주파수 총합(sum) 신호 및 주파수 차분(difference) 신호가 생성된다. 주파수 총합 신호는 필터링되고, 주파수 차분 신호는 IF 증폭기(124)에 의해 증폭된 이후에 통신부(130)로 전달됨으로써 케이블(200)을 통해 영상처리장치(310)에 전송된다.
이하, 영상처리장치(310)의 구성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난 다른 영상처리장치(320, 330, 340)에 관해서는 이하 설명할 실시예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영상처리장치(31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3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311)와, 신호중계장치(100)와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케이블(200)에 접속된 통신부(312)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수행되는 입력부(313)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314)와, 영상처리장치(31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신호/데이터를 다양한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처리부(3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영상처리장치(310)는 표시부(311)를 포함하는 구성이지만, 구현 예시에 따라서는 표시부(311)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312), 저장부(314), 처리부(315)는 각 구성이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됨으로써 형성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311)는 처리부(315)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311)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311)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방식인 경우에, 표시부(311)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312)는 케이블(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신호중계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튜닝된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312)는 동축 케이블(200)로부터의 분기를 위해 마련된 포트 중 어느 하나(210)에 접속된다. 또한, 통신부(312)는 케이블(200)을 통해 신호중계장치(100)에 다양한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한 커맨드에 따라서 튜닝된 신호를 신호중계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통신부(312)는 영상처리장치(310)가 외부의 다양한 전자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의 총칭이므로, 통신부(312)는 케이블(200)을 통해 신호중계장치(100)와 접속되는 것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 및 유선포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2)는 튜너를 포함하며, 신호중계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튜닝된 신호 중에서 자체 영상처리장치(310)에 할당된 주파수 밴드를 모니터링한다. 이 할당된 주파수 밴드가 해당 영상처리장치(310)의 사용자 밴드인 바, 통신부(312)는 튜닝된 신호에서 자신의 사용자 밴드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취득하여 튜닝한다. 즉, 통신부(312)는 튜닝된 신호 중에서 자체 영상처리장치(310)에 할당된 사용자 밴드의 영상데이터만을 취득하고, 나머지 사용자 밴드의 영상데이터는 취득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자 밴드에는 포트(210)의 넘버가 나타나 있다. 즉, 튜닝된 신호에서 사용자 밴드에 기록된 포트(210)의 넘버가 통신부(312)가 접속된 포트(210)의 넘버와 동일하다면, 해당 사용자 밴드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는 이 영상처리장치(310)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튜닝된 신호에서 사용자 밴드에 기록된 포트(210)의 넘버가 통신부(312)가 접속된 포트(210)의 넘버와 상이하다면, 해당 사용자 밴드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는 이 영상처리장치(310)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입력부(313)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처리부(315)에 전달한다. 입력부(313)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정보화하여 처리부(315)에 전달한다. 입력부(313)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입력부(313)는 영상처리장치(310) 외측에 설치된 키/버튼이거나, 영상처리장치(310) 본체와 이격되게 별도로 마련되며 통신부(312)와 통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이거나, 또는 표시부(311)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다.
저장부(314)는 처리부(315)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314)는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314)는 처리부(315)에 의해 억세스(access)됨으로써, 데이터의 독취(read), 기록(write), 수정(edit), 삭제(delete), 갱신(update) 등이 수행된다.
또는, 저장부(314)는 롬(ROM, read only memory)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롬은 플래시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비해 자유로운 기록이 불가하지만 영상처리장치(310)의 특정한 동작모드 시 또는 외부의 특정 기록장치(미도시)와 같은 제한된 환경 하에서 기록이 수행될 수 있다.
처리부(315)는 통신부(312)에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대해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통신부(312)로부터 영상신호가 전달되면, 처리부(315)는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표시부(311)에 출력함으로써 표시부(311)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또한, 처리부(315)는 입력부(313) 등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커맨드를 통신부(312)를 통해 신호중계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생성한 커맨드에 대응하는 동작 또는 연산을 실행한다. 이를 위하여, 처리부(315)는 CPU(미도시), 다양한 칩셋(미도시), 램(RAM, random access memory)(미도시)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SOC(system-on-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315)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입력되는 신호를 영상, 음성, 부가데이터의 각 하위신호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스트림을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315)는 신호중계장치(100)로부터 영상처리장치(310)에 대응하는 튜닝된 신호를 요청하기 위해, EN50494 또는 EN50607에 기반한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100)로 전송한다. EN50494 기반 튜닝 커맨드 또는 EN50607 기반 튜닝 커맨드에 관한 데이터는 저장부(314)에 저장되어 있다. EN50607이 EN50494를 원리적으로 확장시킨 규약이므로, 하위 호환성에 따라서 EN50607은 EN50494 기반 튜닝 커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처리부(315), 즉 영상처리장치(310) 또한 신호중계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EN50494 또는 EN50607을 지원하게 마련된다. 다만 하드웨어적인 대체가 필요한 신호중계장치(100)의 경우와는 달리, EN50494를 지원하게 마련된 영상처리장치(310)는 시스템의 자원이 허용한다면 소프트웨어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EN50607을 지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EN50494 지원 영상처리장치(310)가 EN50607을 지원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310)가 최초 EN50494를 지원하도록 마련된 경우에, 저장부(314)는 EN50494 기반 커맨드 세트(314a)를 저장한다. 만일 처리부(315)가 튜닝된 신호의 수신을 위한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100)에 전송하고자 한다면, 저장부(314)에 저장된 EN50494 기반 커맨드 세트(314a)를 호출하여 사용한다.
만일 EN50607로의 업그레이드 이벤트가 발생하면, 처리부(315)는 통신부(312)에 EN50607 기반 커맨드 세트(314b)를 저장한 외부장치(60, 70)가 접속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외부장치(60, 70)는 통신부(312)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서버(60)이거나, 통신부(312)에 로컬 접속된 USB메모리(70)일 수도 있다. 처리부(315)는 통신부(312)에 접속된 외부장치(60, 70)에 EN50607 기반 커맨드 세트(314b)가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판단하면, 외부장치(60, 70)로부터 EN50607 기반 커맨드 세트(314b)를 수신한다.
또는, 외부장치(60, 70)가 통신부(312)에 접속되면 외부장치(60, 70)가 자동으로 EN50607 기반 커맨드 세트(314b)를 처리부(315)로 전달하는 실행 코드가 외부장치(60, 7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외부장치(60, 70)는 통신부(312)에 대한 접속을 감지하면 기 저장된 실행 코드에 따라서 EN50607 기반 커맨드 세트(314b)를 통신부(312)로 전달한다.
처리부(315)는 EN50607 기반 커맨드 세트(314b)를 수신하면, 저장부(314)에 기 저장된 EN50494 기반 커맨드 세트(314a)를 삭제하고, EN50607 기반 커맨드 세트(314b)를 새로 기록한다. 처리부(315)는 신호중계장치(100)에 대한 튜닝 커맨드를 전송하고자 할 때, 저장부(314)에 저장된 EN50607 기반 커맨드 세트(314b)를 호출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처리부(315)가 신호중계장치(100)에 튜닝 커맨드를 전송함에 있어서, 처리부(315)는 영상처리장치(310)가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200)의 포트(210)를 특정하여 해당 포트(210)의 고유넘버를 신호중계장치(100)에게 알려야 한다. 신호중계장치(100)가 영상처리장치(310)의 접속 포트(210)의 넘버를 알고 있어야, 해당 영상처리장치(310)의 튜닝 커맨드에 맞는 영상데이터를 튜닝된 신호의 전용 사용자 밴드에 대응하도록 튜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처리부(315)는 저장부(314) 또는 별도의 레지스터(미도시)에 기록된 영상처리장치(310)의 접속 포트(210)의 넘버를 취득할 수 있다.
포트(210)의 넘버는 사전에 영상처리장치(310)에 기록되며, 이 기록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영상처리장치(310)의 초기설정 서비스 시에 표시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310)는 영상처리장치(310)의 초기설정 서비스, 즉 사용자가 해당 영상처리장치(310)를 구매하여 설치한 이후에 시스템 전원을 최초로 턴온시켰을 때에 실행되는 영상처리장치(310)의 기본 환경설정 서비스가 실행될 때에, UI 영상(410)을 표시한다. UI 영상(410)의 표시는 초기설정 서비스 또는 사용자에 의한 지정 등 다양한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UI 영상(410)은 영상처리장치(310)의 자체 케이블이 포트(210, 도 5 참조)에 접속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UI 영상(410)은 사용자가 영상처리장치(310)를 포트(210)에 접속시킨 이후에 "다음"을 선택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또는, 영상처리장치(310)는 UI 영상(4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영상처리장치(310)가 포트(210)에 접속된 것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310)는 다음 단계에서 새로운 UI 영상(420)을 표시한다. UI 영상(420)은 영상처리장치(310)가 접속된 포트(210, 도 5 참조)의 넘버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사용자는 입력부(313)를 조작하여 포트(210)의 넘버를 입력하고 그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영상처리장치(310)는 UI 영상(420)을 통해 입력된 넘버를, 포트(210)의 넘버로서 저장부(314, 도 4 참조)에 기록한다. 이후 튜닝 커맨드의 생성 시에, 이와 같이 저장된 포트(210)의 넘버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EN50494의 튜닝 커맨드의 형식에 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기본적인 EN50494의 튜닝 커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50494 기반 튜닝 커맨드의 메시지 구조(M)는 각기 8 데이터 비트를 포함하는 5바이트와, 각 바이트에 부가되는 홀수 패리티 비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1바이트의 듀레이션(duration)은 13.5ms이므로, 메시지(M)는 67.5ms가 된다. 메시지(M)는 트래픽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손실을 피하기 위해 5바이트로 제한된다.
메시지(M)의 첫 번째 섹션은 프레이밍(Framing)이라고 하며, 전체적인 DiSEqC 신호 트래픽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일 케이블 분배 방법에 따른 커맨드는 E0h라는 프레이밍 워드만 사용된다. 규격에 따르면 E0h는 Command from Master, No reply required, First transmission의 내용을 가진다.
두 번째 섹션은 어드레스(Address)라고 지칭하며, 해당 메시지(M)가 어떠한 슬레이브 장치에 관한 것인지를 지시한다.
세 번째 섹션은 커맨드(Command)라고 지칭하며, 어드레스 섹션에서 지정된 슬레이브 장치에 의해 수행되기 위한 동작을 특정한다. 어드레스 및 커맨드에는 사전 규약에 따른 워드, 예를 들면 00h, 10h, 11h, 5Ah, 5Bh와 같은 워드가 사용된다. 각 워드에 관한 내용은 EN50494에 규정되어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섹션은 데이터(Data)라고 지칭한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9는 EN50494에 따른 채널 변경에 관한 튜닝 커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ODU_Channel_change 커맨드는 슬레이브 장치, 즉 영상처리장치(310, 도 5 참조)가 마스터 장치, 즉 신호중계장치(100, 도 5 참조)에 대해 새로운 채널의 튜닝을 요청할 때에 보내는 튜닝 커맨드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ODU_Channel_change 커맨드에서, 프레이밍 섹션에는 E0h, 어드레스 섹션에는 00h, 커맨드 섹션에는 5Ah라는 워드가 각각 적용되어 있다.
Data 1 format에서, UB는 요구되는 신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포트를 지시하는 구간인 바, 즉 사용자 밴드를 나타낸다. [2:0]은 0번째 비트부터 2번째 비트까지임을 나타낸다. Bank는 요구되는 채널을 이송하는 신호 뱅크를 나타낸다. Data 1 format 및 Data 2 format에서, T는 튜닝 워드(word)의 십진수 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UB의 비트 수이다. EN50494 기반 튜닝 커맨드에서의 사용자 밴드는 3비트이므로, UB에서 구분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총 8개이다. 이는, EN50494를 지원하는 마스터 장치가 구별할 수 있는 슬레이브 장치의 수는 총 8개이며, 만일 9개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는 해당 슬레이브 장치를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표현하면, EN50494를 지원하는 마스터 장치가 동축 케이블의 복수의 포트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에 튜닝된 신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튜닝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슬레이브 장치 또는 포트의 수는 8개까지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부터, 구 규약인 EN50494를 보다 발전시키고 확장시킨 것이 EN50607이다. EN50607의 데이터 포맷은 EN50494와 유사하게, DiSEqC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바이트 당 하나의 패리티 비트를 가지는 22kHz PWK 모듈레이션에 기초한다. 다만, EN50607의 데이터 포맷에서는 EN50494와 상이하게 프레이밍, 어드레스, 커맨드의 섹션 구조가 적용되지 않으며, 대신 EN50607 기반 튜닝 커맨드는 항상 7Xh 계통의 프레이밍 워드로 시작한다.
7Xh 계통의 프레이밍 워드의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70h: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튜닝
71h: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튜닝 (PIN protected)
74h: (마스터 장치로부터) "OK" 답변, 데이터 첨부 가능
7Ah: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마스터 장치에게 유효한 사용자 밴드(UB)를 문의
7Bh: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실제로 PIN protected되는 UB를 문의
7Ch: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현재 사용중인 UB를 문의
7Dh: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요청된 UB의 UB 센터 주파수를 문의.
이하, EN50607의 튜닝 커맨드의 형식에 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EN50607에 따른 채널 변경에 관한 튜닝 커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50607에 따른 70h 튜닝 커맨드는 70h라는 프레이밍 워드 다음에 데이터 섹션이 이어지는 형식을 가진다. Data format에서의 UB 및 T의 의미는 E50494의 경우와 동일하며, "uncommitted/committed swithces"는 DiSEqC 스펙에 규정된 비트들인 바, 예를 들면 Bit. 0은 "band", Bit. 1은 "polarity"를 나타내는 식이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사용자 밴드(UB)이다. EN50607에서의 사용자 밴드는 5비트이므로, 사용자 밴드에서 구분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총 32개이다. 이는, EN50607을 지원하는 마스터 장치가 구별할 수 있는 슬레이브 장치의 수는 총 32개이며, 또는 EN50607을 지원하는 마스터 장치가 동축 케이블의 복수의 포트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에 튜닝된 신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튜닝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슬레이브 장치 또는 포트의 수는 32개까지라는 것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EN50494를 지원하는 마스터 장치는 0번부터 7번까지 총 8개까지의 슬레이브 장치를 구별할 수 있는 것에 비해, EN50607을 지원하는 마스터 장치는 0번부터 31번까지 총 32개까지의 슬레이브 장치를 구별할 수 있다.
그런데, 마스터 장치가 EN50494 및 EN50607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도록 마련된 것과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장치 또한 EN50494 및 EN50607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도록 마련된다. 하나의 마스터 장치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EN50494과 EN50607을 각기 지원하는 장치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장치들 간의 지원 규약의 차이로 인해 통신 불능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예시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지원하는 통신규약 별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및 동작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중계장치(510)가 EN50607을 지원하고, 동축 케이블을 통해 영상처리장치(5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고려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EN50607을 신규약, EN50494을 구규약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케이블의 포트는 32개 이내이며, 이 중에서 9개 이상의 포트에 각기 영상처리장치(520)가 접속된 경우를 고려한다.
영상처리장치(520)가 신규약을 지원한다면, 해당 영상처리장치(520)는 케이블의 포트 중에서 어느 포트에 접속시키더라도 신호중계장치(510)와 통신이 가능하며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이다. 이는 신호중계장치(510) 및 영상처리장치(520)가 동일하게 신규약을 지원하므로, 신호중계장치(510)가 영상처리장치(520)로부터의 튜닝 커맨드를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중계장치(530)가 구규약을 지원하고, 영상처리장치(540, 550) 또한 구규약을 지원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영상처리장치(540)가 케이블의 첫 번째 포트 내지 8번째 포트에 접속된다면, 해당 영상처리장치(540)는 신호중계장치(530)와 통신이 가능하며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이다. 그러나, 영상처리장치(550)가 9번째 이상의 포트에 접속된다면, 해당 영상처리장치(550)는 신호중계장치(530)와 통신이 불가능하며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이는, 구규약에 따른 커맨드의 사용자 밴드가 3비트이므로 구규약을 지원하는 신호중계장치(530)가 8개까지의 포트만을 구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신호중계장치(530)는 9번째 이상의 포트는 구별할 수 없으므로, 영상처리장치(550)와의 통신 및 해당 영상처리장치(550)에 대한 튜닝된 신호의 공급이 불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중계장치(560)가 신규약을 지원하고, 영상처리장치(570, 580)가 구규약을 지원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신규약이 구규약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가지므로, 이 경우는 앞선 도 12의 경우와 유사하다. 즉, 영상처리장치(570)가 케이블의 첫 번째 포트 내지 8번째 포트에 접속된다면, 해당 영상처리장치(570)는 신호중계장치(560)와 통신이 가능하며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한편, 영상처리장치(580)가 9번째 이상의 포트에 접속된다면, 해당 영상처리장치(580)는 신호중계장치(560)와 통신이 불가능하며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이는, 신호중계장치(560)가 신규약을 지원하더라도, 영상처리장치(580) 자체가 신규약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영상처리장치(580)가 9번째 이상의 포트에 대응하여 신규약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560)에 전송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중계장치(610)가 구규약을 지원하고, 영상처리장치(620)가 신규약을 지원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는, 영상처리장치(620)를 케이블의 어느 포트에 접속시키더라도 신호중계장치(610)와 통신할 수 없으며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다. 이는, 영상처리장치(620)가 신규약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610)에 전송할 때, 신호중계장치(610)가 해당 튜닝 커맨드를 해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규약을 지원하는 장치와 신규약을 지원하는 장치가 시스템 내에서 혼재되어 있을 때에, 규약의 차이로 인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 장치인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구규약으로부터 신규약으로의 업그레이드는 단순히 영상처리장치 내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만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스터 장치인 신호중계장치는 위성신호의 수신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실외, 나아가서는 지붕이나 높은 위치의 벽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접근하기 곤란한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신호중계장치가 지원하는 규약이 구규약인지 아니면 신규약인지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신호중계장치는 영상처리장치와 달리 구규약으로부터 신규약으로의 업그레이드가 용이하지 않으며, 신규약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의 대체 또는 장치 전체의 교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신호중계장치가 단일 케이블 분배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영상처리장치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중계장치가 구규약 및 신규약 중 어느 것을 지원하는지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신호중계장치의 지원 규약에 대응하여 영상처리장치가 정상적으로 신호중계장치로부터 튜닝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예의 영상처리장치는 하나의 신호중계장치로부터 단일 케이블을 통해 튜닝된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영상처리장치 중 하나이며, 나머지 영상처리장치 또한 본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구규약 및 신규약 중에서 신규약을 지원하는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특히 도 14와 같은 상황에서 가능한 한 영상처리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의 발생을 감지한다. 트리거 이벤트는 영상처리장치가 신호중계장치에 대해 기 설정된 튜닝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이벤트의 총칭이다. 트리거 이벤트의 내용을 어느 한 가지로 한정할 수는 없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방송영상을 특정 채널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경우가 가능하다.
S12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자체 영상처리장치가 접속된 케이블의 포트 넘버를 취득한다. 여기서, 케이블의 포트 번호는 0 이상의 양의 정수로 마련되며, 사용자에 의한 사전 입력에 따라서 영상처리장치 내에 기 저장된다.
S13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취득한 포트 넘버가 구규약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넘버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구규약은 신규약에 비해 지원 가능한 포트 넘버가 작게 마련된다. EN50494 및 EN50607의 예를 들면, EN50494가 지원 가능한 포트 넘버는 0부터 7까지로서 최대 포트 넘버가 7인 것에 비해, EN50607이 지원 가능한 포트 넘버는 0부터 31까지이다.
물론 포트 넘버가 31을 초과하게 되면 EN50607도 지원할 수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EN50494 및 EN50607이 혼재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므로 케이블에 마련된 포트 넘버가 31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다. 다만, EN50494 및 EN50607이 아닌 다른 규약에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하는 경우에 구규약 및 신규약은 별도로 마련된 소정의 제1규약 및 제2규약에 각기 대응할 수 있으며, 구규약이 지원 가능한 포트 수 또한 본 실시예와 상이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은 EN50494 및 EN50607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다.
취득한 포트 넘버가 구규약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넘버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면, S14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신규약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EN50494가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넘버가 7이므로, 취득된 포트 넘버가 8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영상처리장치는 EN50494를 지원하는 신호중계장치의 인지가능 범위 밖에 있으므로, 일단 영상처리장치는 EN50607 기반의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한다.
만일 신호중계장치가 EN50607을 지원한다면, 영상처리장치는 신호중계장치와 정상적으로 통신하여 EN50607 기반의 커맨드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는 튜닝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처리장치는 현재 신호중계장치가 어떠한 규약을 지원하는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이에, 영상처리장치는 별도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바, 이러한 프로세스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반면, 취득한 포트 넘버가 구규약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넘버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S15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구규약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취득된 포트 넘버가 5라면, 이는 EN50494가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넘버인 7보다 작다. 이 경우에, 설사 영상처리장치가 EN50607을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영상처리장치는 EN50494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한다. 이 경우에, 신호중계장치가 EN50494 및 EN50607 중 어느 쪽을 지원하는지와 무관하게, 신호중계장치는 영상처리장치로부터의 커맨드를 정상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앞서 전송한 튜닝 커맨드에 따라서 튜닝된 신호를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다. S17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수신되는 튜닝된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되게 처리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서, 영상처리장치는 신호중계장치가 지원하는 통신규약에 대응하여 신호중계장치와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서 신호중계장치가 단일 케이블 분배방법으로 복수의 영상처리장치에 튜닝된 신호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제어방법을 따르는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통신규약 별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및 동작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중계장치(630)가 구규약 및 신규약 중 어느 것을 지원하는 장비인지 영상처리장치(640, 650)의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장치(640, 650)가 신규약을 지원하도록 마련된다.
영상처리장치(640)가 구규약이 지원 가능한 첫 번째 내지 8번째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접속되어 있으면, 해당 영상처리장치(640)는 신규약을 지원 가능하더라도 구규약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630)에 전송한다. 만일 신호중계장치(630)가 구규약을 지원하는 장비라도, 영상처리장치(640)가 구규약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전송하고 또한 영상처리장치(640)가 구규약에서 인식 가능한 범위 내의 포트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신호중계장치(630)는 정상적으로 튜닝 커맨드를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영상처리장치(650)가 구규약이 지원하지 못하는 9번째 포트 이상의 포트에 접속되어 있으면, 해당 영상처리장치(650)는 신규약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630)에 전송한다. 이 경우에는 신호중계장치(630)가 신규약을 지원하는 경우라면 신호중계장치(630)는 정상적으로 튜닝 커맨드를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신호중계장치(630)가 구규약을 지원하는 경우라면, 신호중계장치(630)는 신규약 기반 튜닝 커맨드를 해석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650)는 포트 넘버를 취득한 시점에서, 튜닝 커맨드를 전송하기에 앞서서 신호중계장치(630)가 어떤 규약을 지원하는 장비인지를 먼저 판단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시스템(4)에서 신호중계장치(710) 및 영상처리장치(720) 사이의 관련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720)는 해당 영상처리장치(720)가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의 포트 넘버를 취득한다.
영상처리장치(720)는 취득한 포트 넘버가 구규약이 지원 가능한 범위 안이면, S220 단계에서 구규약 기반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710)에 전송한다. 그리고, S23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720)는 신호중계장치(710)로부터 튜닝된 신호를 수신한다.
반면, 영상처리장치(720)는 취득한 포트 넘버가 구규약이 지원 가능한 범위 밖이면, S240 단계에서 신호중계장치(710)가 답신을 하도록 기 설정된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710)에 전송한다. 이러한 커맨드를 전송한 이후에 답신을 수신 가능해야 하므로, 일단 영상처리장치(720)는 DiSEqC 2.0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커맨드는 신호중계장치(710)가 답신을 하도록 규정된 커맨드라면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7Ah"라는 커맨드가 가능하다. 7Ah는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마스터 장치에게 유효한 사용자 밴드를 문의하는 커맨드이므로, 마스터 장치가 해당 문의 결과를 슬레이브 장치에 답신하도록 마련된다.
만일 신호중계장치(710)로부터 답신이 오는 S250 단계가 실행되면, 이는 신호중계장치(710)가 신규약을 지원하는 장비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영상처리장치(720)는 S260 단계에서 신규약 기반 튜닝 커맨드를 신호중계장치(710)에 전송한다. 그리고, S27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720)는 신호중계장치(710)로부터 튜닝된 신호를 수신한다.
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신호중계장치(710)로부터 어떠한 답신도 없는 S280 단계가 발생하면, 이는 신호중계장치(710)가 7Ah 커맨드를 인식할 수 없는 장비, 즉 구규약을 지원하는 장비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S29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720)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처리장치(720)가 신호중계장치(710)로부터 정상적으로 튜닝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린다.
도 18은 도 17의 S29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720)에 표시되는 경고 메시지(730)의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72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신호중계장치(710)로부터 7Ah 커맨드에 대한 답신이 없다고 판단하면, 신호중계장치(710)가 구규약을 지원하는 장비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 메시지(730)를 표시한다. 본 경고 메시지(730)에 따라서, 사용자는 신호중계장치(710)를 신규약을 지원하는 장비로 교체하는 등의 관련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장치가 접속된 포트 넘버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함으로써 영상처리장치에 저장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영상처리장치가 포트 넘버를 취득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입력 없이 영상처리장치가 자동으로 접속 포트의 넘버를 판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83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830)는 신호중계장치(810)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820)의 일 포트(8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영상처리장치(830)는 표시부(831), 통신부(832), 입력부(833), 저장부(834) 및 처리부(835)의 구성을 포함하는 바, 이들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 4의 동명의 구성들에 준하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처리장치(830)는 통신부(832)에 접속되는 케이블(820)의 포트(821) 넘버를 감지하는 감지부(836)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836)는 특정 시점, 예를 들면 영상처리장치(830)의 초기설정 서비스 시에 통신부(832)가 케이블(820)의 포트(821)에 접속된 것을 감지하고, 통신부(832)가 접속된 포트(821)의 넘버를 감지하여 저장부(834)에 기록한다. 감지부(836)는 통신부(832)의 접속 포트(821)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면, 접속 포트(821)의 넘버를 새로이 감지하여 저장부(834)에 업데이트한다.
감지부(836)가 포트(821)의 넘버를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한 회로 구성이 적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한정할 수 없다. 한 가지 가능한 예시로는, 감지부(836)는 통신부(832)에 소정의 전압을 전송하고, 통신부(832)에 접속되는 포트(821) 별로 감지부(836)에 리턴되는 전압이 상이하게 마련된다면, 감지부(836)는 리턴되는 전압에 따라서 포트(821) 넘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836)가 처리부(835)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영상처리장치(83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처리부(835)가 감지부(836)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0은 도 19의 영상처리장치(83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1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830, 도 19 참조)는 동축 케이블의 일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영상처리장치(830)가 동축 케이블의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S32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830)는 접속 포트의 넘버를 감지한다. S33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830)는 감지한 넘버를 저장한다.
S34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830)는 트리거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다.
S35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830)는 저장된 포트 넘버를 취득한다.
S36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830)는 취득한 포트 넘버가 구규약이 지원하는 최대 포트 넘버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취득한 포트 넘버가 구규약이 지원하는 최대 포트 넘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S37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830)는 신규약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전송한다.
반면, 취득한 포트 넘버가 구규약이 지원하는 최대 포트 넘버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S38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830)는 구규약 기반의 튜닝 커맨드를 전송한다.
S39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830)는 전송한 튜닝 커맨드에 따라서 튜닝된 신호를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서, 영상처리장치(830)는 신호중계장치가 지원하는 통신규약에 대응하여 신호중계장치와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4 : 시스템
100, 510, 530, 560, 610, 630, 710, 810 : 신호중계장치
110 : 위성 접시
120 : LNB
121 : 저노이즈 증폭기
122 : 주파수 믹서
123 : 로컬 오실레이터
124 : IF 증폭기
200, 820 : 동축 케이블
210, 821 : 포트
310, 520, 540, 550, 570, 580, 620, 640, 650, 720, 830 : 영상처리장치
311, 831 : 표시부
312, 832 : 통신부
313, 833 : 입력부
314, 834 : 저장부
315, 835 : 처리부
836 : 감지부

Claims (15)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신호중계장치에 접속된 케이블의 복수의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제1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1통신규격 및 상기 제1개수보다 많은 제2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2통신규격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신호중계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튜닝 명령어에 대응하여 튜닝된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게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접속된 포트의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접속된 포트의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내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1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접속된 포트의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2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포트의 식별정보는 상기 접속된 포트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번호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된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내이고,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최대 포트 번호를 초과하면 상기 접속된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번호는,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번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 각각의 포트 번호 및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최대 포트 번호는 0 이상의 정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규격은 EN50494이며, 상기 제2통신규격은 EN506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접속된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신호중계장치가 답신을 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신이 수신되면 상기 제2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튜닝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내용의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가 입력되게 마련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신호중계장치에 접속된 케이블의 복수의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영상처리장치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복수의 포트 중 제1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1통신규격 및 상기 제1개수보다 많은 제2개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제2통신규격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튜닝 명령어에 대응하여 튜닝된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튜닝 명령어의 전송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접속된 포트의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한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접속된 포트의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내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1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명령어의 전송 단계는,
    상기 접속된 포트의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2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되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포트의 식별정보는 상기 접속된 포트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최대 포트 번호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된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내이고, 상기 식별 번호가 상기 최대 포트 번호를 초과하면 상기 접속된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규격은 EN50494이며, 상기 제2통신규격은 EN506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명령어의 전송 단계는,
    상기 접속된 포트가 상기 제1통신규격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개수 범위 밖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신호중계장치가 답신을 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신이 수신되면 상기 제2통신규격에 따라서 상기 튜닝 명령어를 상기 신호중계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명령어의 전송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한 답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중계장치로부터 상기 튜닝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내용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80231A 2014-12-15 2014-12-15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10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231A KR102210706B1 (ko) 2014-12-15 2014-12-15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5199267.4A EP3035677B1 (en) 2014-12-15 2015-12-10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231A KR102210706B1 (ko) 2014-12-15 2014-12-15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517A KR20160072517A (ko) 2016-06-23
KR102210706B1 true KR102210706B1 (ko) 2021-02-02

Family

ID=5507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231A KR102210706B1 (ko) 2014-12-15 2014-12-15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035677B1 (ko)
KR (1) KR102210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2930B (zh) * 2019-08-23 2024-01-19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Unicable设备识别方法、装置、电视机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4607A1 (ja) 2010-03-16 2011-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機およびそのアンテナ制御信号の衝突検出方法
US20120264365A1 (en) 2011-04-16 2012-10-18 Entropic Communications, Inc. Single-Cable Automatic IRD Installation Proced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562B1 (ko) * 2006-11-14 2008-06-26 주식회사 휴맥스 듀얼 튜너의 연결 상태 설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4607A1 (ja) 2010-03-16 2011-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機およびそのアンテナ制御信号の衝突検出方法
US20120264365A1 (en) 2011-04-16 2012-10-18 Entropic Communications, Inc. Single-Cable Automatic IRD Installation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5677B1 (en) 2018-06-20
KR20160072517A (ko) 2016-06-23
EP3035677A1 (en)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66837A1 (en) Video apparatus, video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software thereof
US9654838B2 (en) Single-cable automatic IRD installation procedure
EP234758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for multiple devices
EP3489923B1 (en) Remote control, electronic apparatus and pairing method thereof
EP31272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door unit connected with an integrated receiver decoder using a single cable
KR102210706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98228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hannel searching method thereof
KR20110039005A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EP2392134A1 (en) Method for assign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low-noise block and a set-top box in a domestic television system
KR20180024637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099030A (ja) 放送情報表示システム、放送情報表示装置および放送情報の取得方法
CN103533268A (zh) 一种卫星电视接收系统及方法
KR100806393B1 (ko) 블루투스 시스템
US107646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ingle-wire multiswitch device
KR20120134994A (ko) 리피터, 방송 송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중계 방법
EP2613545A2 (en)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method and display device
US20080120655A1 (en) Integrated satellite master antenna television unit
KR10187099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113218B2 (ja) ハイブリッド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ボード、ハイブリッド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方法
KR2007009175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무선 송신 방법
KR20150051615A (ko) Tv 전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01434A (ko) 무선 중계장치를 이용한 방송신호 수신장치
KR20050006413A (ko) 상호 연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그 방법
JP2008099029A (ja) 放送情報表示システム、放送情報表示装置および放送情報の表示割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