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762B1 -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762B1
KR102209762B1 KR1020200126843A KR20200126843A KR102209762B1 KR 102209762 B1 KR102209762 B1 KR 102209762B1 KR 1020200126843 A KR1020200126843 A KR 1020200126843A KR 20200126843 A KR20200126843 A KR 20200126843A KR 102209762 B1 KR102209762 B1 KR 10220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tand
epaulet
spe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대
Original Assignee
박기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대 filed Critical 박기대
Priority to KR102020012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는, 전방 일부를 개방시킨 작업 스페이스와 상기 작업 스페이스의 후방 일부를 개방시킨 보조 스페이스가 형성된 작업 테이블과, 상기 작업 테이블을 지지하는 레그를 구비한 작업대; 상기 보조 스페이스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작업 테이블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기립된 스탠드; 중공을 구비한 봉 형상으로서 외주면에 견장이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탠드의 전방 하측에서 기립되도록 장착된 견장 끼움봉; 상기 견장 끼움봉의 상측인 상기 스탠드의 전방 상측에 기립된 실린더와 상기 견장 끼움봉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상기 실린더에서 인입 및 인출 운동하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부와, 스위치의 조작으로 상기 로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에 의하면,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작업자가 견장을 완성하기 위해 여러 곳을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임과 동시에 뒤집힌 견장을 보다 손쉽게 식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EPAULET REVERSING DEVICE IMPROVING WORK EFFICIENCY}
본 발명은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재봉을 마친 견장을 뒤집어 완성 견장을 만드는 기계적 수단을 작업 테이블에 장착할 때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기계적 수단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여 작업 테이블에 별도의 재봉기를 장착하거나 작업자가 견장 제조를 위해 다른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견장 뒤집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견장(epaulet)은 제복이나 군복의 어깨에 다는 장식으로, 군복의 경우 일반적으로 계급을 표시하는 계급장으로서의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견장은 패션의 발달에 의하여 제복과 군복을 넘어서 여성복에서도 일종의 장식이나 액세서리로서 활용되거나 트렌치코트의 트리밍 등으로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견장은 대개 일정 길이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납작하게 눌린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보이게 되며, 식별성이나 고급스러움을 더하면서 구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전면과 후면은 빳빳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견장은 2장의 원단을 재봉하거나 박음질(워싱) 처리한 다음 이를 뒤집는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단이 빳빳하거나 일정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박음질을 마친 견장을 뒤집는 과정이 생각보다 상당한 힘이 드는 것은 물론 사이즈가 크지도 않기 때문에 제대로 힘을 가하기도 어려워 수작업으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견장을 뒤집는 장치, 일명 견장 뒤집기 장치(또는 견장 제조기)가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999- 0031571호인 견장제조기는, 기판에 고정관의 받침판을 고정하여 상기의 고정관에는 뒤집기관을 끼워 볼트로 고정하는 한편, 고정관의 후측에는 지주를 고정하여, 상기의 지주의 브라켓트에는 외부의 리드스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한 실린더를 고정하여 미완성견장을 뒤집기관에 끼우고 스위치로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전진시켜 뒤집을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시하여, 기계적 수단을 매개로 편리하게 견장을 뒤집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에 의하면 기판, 즉 테이블의 후방에 지주를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하고 이 지주의 연장 방향을 따라 피스톤로드 역시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기판의 전방에 설치된 뒤집기관에 삽입되는데, 지주 및, 피스톤로드, 뒤집기관이 모두 기판의 전방 방향으로 경사 배치되다보니 기판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판에서 원단을 워싱 처리하는 등의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워 워싱 작업을 다른 테이블에서 수행한 다음 작업자가 이 장치로 이동하는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더불어, 뒤집힌 견장을 기판 밑에서 받아야 하는데 기판이 가리기 때문에 제대로 식별되지 않아 뒤집힌 견장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견장을 뒤집는 기계적 수단을 테이블 상에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최소화한 다음 워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해당 테이블에 배치하여 번거롭게 이동하는 불편함을 줄임과 동시에 뒤집힌 견장을 손쉽게 식별하면서 받을 수 있도록 개방된 작업 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이 작업 공간에 의해서도 테이블의 작업 영역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견장 뒤집기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견장을 뒤집는 기계적 수단을 테이블에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번거로운 이동 공정 없이 견장 제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뒤집힌 견장을 손쉽게 식별하면서 받을 수 있도록 개방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견장 뒤집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달 방식으로 견장을 뒤집는 로드를 구동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드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임계속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견장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견장을 뒤집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로드의 끝단의 구조를 개량하여 견장에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면서도 수울하게 견장을 뒤집을 수 있도록 처리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는, 전방 일부를 개방시킨 작업 스페이스와 상기 작업 스페이스의 후방 일부를 개방시킨 보조 스페이스가 형성된 작업 테이블과, 상기 작업 테이블을 지지하는 레그를 구비한 작업대; 상기 보조 스페이스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작업 테이블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기립된 스탠드; 중공을 구비한 봉 형상으로서 외주면에 견장이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탠드의 전방 하측에서 기립되도록 장착된 견장 끼움봉; 상기 견장 끼움봉의 상측인 상기 스탠드의 전방 상측에 기립된 실린더와 상기 견장 끼움봉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상기 실린더에서 인입 및 인출 운동하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부와, 스위치의 조작으로 상기 로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레그의 하단에서 작업자의 발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페달(peda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부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로드의 구동을 위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밸브 및,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는 스텝 모터와, 상기 스텝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로드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에 의하면,
1)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작업자가 견장을 완성하기 위해 여러 곳을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임과 동시에 뒤집힌 견장을 보다 손쉽게 식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2) 페달 방식으로 편리하게 로드를 구동시킬 수 있어 작업 속도를 올릴 수 있으며,
3) 로드의 하강 속도를 측정 및 보정하여 견장에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없이 견장을 원활하게 뒤집을 수 있는 로드 이동 속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로드의 단부에 추가로 형성된 라운딩 돌출부 및 함입 파트에 의해 견장에 자국이 남는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견장 뒤집기 장치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견장 끼움봉에 끼움 결합된 견장이 뒤집히는 과정을 예시한 개념도.
도 3은 구동부에 의해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진 실린더부가 제어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도 4는 속도측정센서를 통해 로드의 이동속도가 제어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도 5는 로드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견장 뒤집기 장치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견장 끼움봉에 끼움 결합된 견장이 뒤집히는 과정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장치는 기본적으로 스탠드(10), 견장 끼움봉(20) 및 실린더 어셈블리(100)와 작업대(200)를 포함한다.
우선 작업대(200)는 후술할 스탠드(10) 등의 여러 구성이 장착되는 기초적 구조체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식별성을 강화하면서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마치 일반적인 책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공지의 책상의 상판과 레그와 마찬가지로 작업대(200)는 작업 테이블(210)과 레그(220)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 테이블(210)은 공지의 책상의 상판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일정 두께를 가진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업 테이블(210)은 복수 개의 레그(220)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기립되도록 지지되는바, 이 레그(220)는 공지의 책상 스타일의 작업대에서의 레그와 구조 및 기능이 같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작업 테이블(210)은 작업 스페이스(211)와 보조 스페이스(212)를 포함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작업 스페이스(211)는 작업 테이블(210)의 전방 일부가 개방된 영역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작업 테이블(210)의 '전방'은 도 1을 기준으로 작업자 측인 작업 테이블(210)의 아래쪽 부위를 지칭하고, 작업 테이블(210)의 후방은 이 반대 위치인 작업 테이블(210)의 위쪽 부위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 스페이스(211)는 작업 테이블(210)의 전방 측변에서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친 지점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견장을 뒤집기 위한 후술할 수단들이 작업 테이블(210)의 일 측 영역만을 차지하여 다른 측 영역을 워싱 작업이나 기타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보조 스페이스(212)는 이 작업 스페이스(211)의 후방 일부를 개방시키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할 스탠드(1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작업 스페이스(211)와 보조 스페이스(212)는 작업 테이블(210)의 활용성 및 작업자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공지의 견장 뒤집기 장치는 견장을 뒤집는 기계적 수단이 경사 배치됨으로 테이블 영역을 적지 않게 차지하여 테이블에서 별도의 재봉 작업을 수행하기에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견장을 뒤집는 기계적 수단을 작업 스페이스(211)의 후방인 보조 스페이스(212)에 기립 방식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작업 스페이스(211)는 작업자에게 견장을 견장 끼움봉(20)에 손쉽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작업 테이블(210)에 별도의 재봉틀이나 기타 수선에 관련된 기계적 수단을 장착/안착할 수 있다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스페이스(212)에 물리적 체적을 차지하는 스탠드(10)를 직립(수직) 방식으로 끼움결합시킨 다음 그 앞쪽인 작업 스페이스(211)를 통해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 테이블(210)에서 스탠드(10) 등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면서도 안정적으로 견장 뒤집기 작업을 수행할 공간까지 확보할 수 있는 특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작업 스페이스(211)의 개방 공간에 의해 뒤집힌 견장이 작업자의 육안으로 바로 식별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곧바로 견장 끼움봉(20)의 하부로 토출되는 견장을 바닥에 떨어트리지 않고 손으로 받아낼 수 있다는 특징도 겸비할 수 있다.
스탠드(10)는 상술한 보조 스페이스(212)에 장착(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 테이블(210)의 상부 영역은 물론 하부 영역에 이르도록 일정 길이로 기립된 구조체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스탠드(10)는 공지의 스탠드가 경사지게 기립된 것과 달리 수직 기립된 구조를 취하는바,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작업 스페이스(211)에 의해 작업 공간이 이미 확보되었기 때문에 굳이 스탠드(10)를 경사 배치하는 방식으로 작업 테이블(210) 상에 별도의 작업 공간을 확보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더불어, 스탠드(10)의 이러한 수직 기립 구조에 의해 작업 테이블(210)에서 차지하는 공간 역시 줄일 수 있어 작업 테이블(210)의 활용도를 올릴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스탠드(10)는 후술할 로드(112)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 운동할 수 있도록 견장 끼움봉(20) 및 실린더 어셈블리(100)의 일부 구성이 장착되는 지지대 내지 지주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견장 끼움봉(20)은 중공을 가진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스탠드(10)에서 전방을 향한 면의 하측 부위에서 기립 장착된 구조체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이 견장 끼움봉(20)의 외주면 상부에 견장을 끼우면 그 위에 위치한 실린더(111)에서 로드(112)가 내려와 견장을 타격하면서 견장 끼움봉(20) 내의 중공으로 삽입되면서 결과적으로 견장을 뒤집을 수 있고 뒤집힌 견장은 견장 끼움봉(20)의 중공 하부로 빼낼 수 있다.
이 견장 끼움봉(20) 역시 스탠드(10)의 수직 기립 상태에 대응하여 수직 기립되고 아울러 실린더(111) 역시 수직 기립된 상태를 가져, 이로 인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로드(112)가 작업 테이블(200)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린더 어셈블리(100)는 상술한 견장 끼움봉(20)에 삽입되는 로드(112)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실린더부(110)와 구동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실린더부(110)는 실린더(111)와 로드(112)를 포함한다.
우선, 실린더(111)는 견장 끼움봉(20)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스탠드(10)의 상측 부위에서 스탠드(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중공을 구비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 내부에 로드(112)를 수용함과 아울러 로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20)의 기계적 수단을 포함한다. 로드(112)는 실린더(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술할 구동부(120)에서 제공하는 동력으로 실린더(111)에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승강 운동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 운동을 통해 그 아래 위치한 견장 끼움봉(20)에 삽입 및 분리된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드(112)의 하강 운동으로 견장 끼움봉(20)의 외주면 상부 부위를 감싸고 있는 견장을 누르면서 견장 끼움봉(20)에 삽입되며, 이 과정으로 견장을 뒤집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부(120)는 작업 테이블(210)의 일 측에 제공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로드(112)를 승강 및 하강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구동부(120)는 모터, 기어 등의 기계/전자적인 다양한 동력 발생 및 전달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견장 뒤집기 장치는 로드(112)의 구동으로 견장 끼움봉(20)에 끼워진 견장을 견장 끼움봉(20)의 중공으로 삽입 이동시키면서 견장을 손쉽게 뒤집을 수 있는 기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스탠드(10)가 작업 테이블(20)에서 이중으로 파인 보조 스페이스(212)에 장착되어 작업 테이블(210)에서 불필요하게 전방 측으로 돌출되거나 많은 체적을 차지하지 않고 수직 기립되어 로드(112)의 수직 상하 운동을 도모함과 동시에, 작업 스페이스(211)로 하여금 작업자가 견장을 견장 끼움봉(20)에 끼우거나 뒤집힌 견장을 빼내기 위해 손을 넣을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 테이블(210)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여 예를 들어 견장을 뒤집는 장치와 재봉틀과 같은 장치를 하나의 작업 테이블에 장착시키는 등으로 경제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스위치는 작업자의 발로 조작되어 회동되는 페달(230)인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작업 테이블(210)의 아래쪽 중에서 레그(220)의 하단, 즉 작업자의 발이 닿는 부위에는 페달(230)이 장착되어 있다.
페달(230)은 레그(220)의 하단 일 측에 마련된 봉 형상의 지지대를 매개로 설치될 수 있는데, 발판과 이 발판 사이에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중공은 지지대에 끼움 결합되어 일종의 힌지 역할을 하면서 이 중공과 지지대의 결합 부위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조절 수단이 함께 설치되어 지지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로 회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대와 중공 사이에 리드 스위치를 장착하거나 페달(230)이 회동되는 과정에서 발판에 접촉되는 접촉 스위치를 구비하여, 페달(230)의 구동 시 이 리드 스위치 또는 접촉 스위치에서 구동 신호를 생성한 다음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어부가 이 구동 신호를 생성하였을 때 로드(112)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구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링크나 기어와 같은 기계적 전달 수단이거나 아니면 전자적 성질을 가진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과 같은 전자적 전달 수단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페달(230)을 스위치로 구현함으로써 작업자가 굳이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허리를 숙이거나 자세를 고칠 필요 없이 작업 상태에서 발만 움직임으로써 로드를 구동시킬 수 있어 다량의 견장 뒤집기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구동부에 의해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진 실린더부가 제어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린더부(110)는 피스톤과 피스톤 압축부와 같은 공지의 기계적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부(110)가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다.
즉, 실린더부(110)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져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로드(112)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주지의 사실과 같이, 유압이란 유압 실린더 내부의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의미하며, 유압 실린더는 유체를 통해 실린더를 신축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바 본 발명의 유압 실린더는 잘 알려진 주지관용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대응하여, 구동부(120)는 유량 조절밸브(121), 스텝 모터(122), 컨트롤부(123)로 이루어진다.
유량 조절밸브(121)는 상술한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위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에 유입 내지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유량 조절밸브(121)의 개폐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기계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개폐 구조는 스텝 모터(122)와 연결되어 자동 개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모터(step motor)(122)는 유량 조절밸브(121)와 연결되어 유량 조절밸브(121)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이러한 후술할 컨트롤부(123)의 제어에 따라 스텝 모터(122)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유량 조절밸브(121)를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이를 통해 유압 실린더의 유체에 대한 유량까지 조절하면서 결과적으로 로드(112)의 승강 또는 하강 운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스텝 모터(122)는 공지의 일반적인 모터보다 정밀하게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유량 조절밸브(121)의 개폐에 따른 유체의 유량 역시 정밀 제어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도 3에 따른 실시예는 로드(112)의 하강 운동에 대한 제어를 위해 유압 실린더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유압 실린더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유량 조절밸브(121)와 연결되어 유량 조절밸브(121)의 개폐량(개폐 상태)에 따라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유량 조절밸브(121)의 개폐 제어는 스텝 모터(122)의 회전수 조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스텝 모터(122)는 컨트롤부(123)에 의해 구동 상태,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수가 제어된다.
컨트롤부(123)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로드(112)의 승강 제어를 위해 유압 실린더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스텝 모터(122)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정리하면, 도 3에 따른 실시예는 로드(112)가 견장 끼움봉(20)으로 근접 및 이격하는 방식으로 승강 운동을 제어하는 기본 구조를 구비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의 구동을 매개로 승강될 수 있는바, 다시 말해 유압 실린더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공하는 유량 조절밸브(121)의 개폐를 제어할 때 정밀한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스텝 모터(122)를 적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너무 빨리 하강하여 견장 끼움봉(20)에 끼워진 견장을 손상하거나 반대로 너무 늦게 하강하여 견장이 제대로 뒤집히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로드(112)의 승강 상태, 특히 하강 운동을 보다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장치는 로드(112)의 실질적인 하강 상태를 반영하여 더 정밀하게 스텝 모터(122)를 제어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속도측정센서를 통해 로드의 이동속도가 제어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스탠드(10)의 일 측에는 속도측정센서(130)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속도측정센서(130)는 로드(112)가 하강하는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응하여 컨트롤부(123)는 제 1 보정파트(123a)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컨트롤부(123)는 작업자에 의해 기설정된 로드(112)의 임계속도를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임계속도는 견장의 사이즈나 재질,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러한 임계속도는 견장의 사이즈나 재질, 두께에 따라 로드의 이동속도를 이론상으로 설정한 속도로서, 견장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견장을 제대로 뒤집을 수 있는 속도 수치 범위를 가진다.
제 1 보정파트(123a)는 이러한 임계속도와 상술한 속도측정센서(130)에서 측정한 로드(112)의 이동속도가 다를 경우 스텝 모터(122)의 회전수를 보정하여 결과적으로 로드(112)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임계속도는 이론상의 속도라 로드(112)의 중량, 유체의 종류, 유압 실린더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 조절의 차이 등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오차를 로드(112)가 실제 하강하는 속도와 비교하여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로드(112)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처리한 것이다.
이때, 제 1 보정 파트(123a)는 로드(112)의 실제 하강 속도와 임계 속도의 차이값에 따라 미리 결정된 스텝 모터(122)의 회전수 정보를 학습하여 경험적으로 정리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회전수 정보를 참조하여 스텝 모터(122)의 회전수를 1차 보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견장 끼움봉(20)의 일 측에는 로드(112)가 견장 끼움봉(20)에 삽입되는 시점에서의 속도(본 발명에서는 이 속도를 '삽입 이동속도'라 한다)를 측정하는 서브 속도측정센서(140)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트롤부(123)는 기설정된 임계속도와 상기 속도측정센서(130)에서 측정한 로드(112)의 이동속도가 다를 시에 스텝 모터(122)의 회전수를 추가 보정하는 제 2 보정파트(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로드(112)의 이동을 2단계, 다시 말해 견장 끼움봉(20)에 삽입되기 전의 제 1 이동 단계와 견장 끼움봉(20)에 접촉하여 삽입되는 제 2 이동 단계로 구분한 다음, 제 1 이동 단계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 1 보정 파트(123a)에 의해 로드(112)의 이동속도를 1차 보정하고 제 2 이동 단계에 대해서는 제 2 보정 파트(123b)에 의해 1차 보정된 로드(112)의 이동속도를 2차 보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마찰력에 의해 제 2 보정 파트(123b)은 견장 끼움봉(20)에 접촉하였을 때 로드(112)가 하강되는 속도는 견장 끼움봉(20)에 접촉하지 않았을 때의 속도보다 낮을 것이 충분히 예상되기 때문에 앞서 1차 보정 파트(123a)에서 조절된 로드(112)의 하강 속도를 실제 견장 끼움봉(20)에 접촉할 시점에 그대로 적용하지 않고 견장 끼움봉(20)에 접촉하면서 변화된 실질적인 하강 속도를 추가로 반영하여 2차적으로 스텝 모터(122)의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로드(112)가 견장 끼움봉(20)에 접촉하지 않았을 때는 물론 접촉 시의 하강 속도를 각각 측정하여 이들을 각각 설정된 임계속도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두 번에 걸쳐 스텝 모터(122)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로드(112)의 하강 속도를 실제 상황에 맞게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도 5는 로드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로드(112)의 끝단, 즉 하단은 견장 끼움봉(20)에 끼워진 견장을 견장 끼움봉(20)의 중공에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뭉툭한 것이 아니라 뾰족한 형상을 취하되 그렇다고 너무 뾰족할 경우 견장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하방(견장 끼움봉의 중공 방향)을 향해 라운딩지도록 돌출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라운딩 돌출부(113)라 한다.
즉, 라운딩 돌출부(113)는 로드(112)가 견장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견장 끼움봉(20)의 중공에 견장을 원활하게 삽입시키는 구조적 기반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라운딩 돌출부(113)의 중앙 부위, 즉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지점이 견장을 손상시키지는 않더라도 견장에 압박을 가하면서 움푹 팬 자국을 남길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이 부분을 내측으로 라운딩지도록 함입시킬 수 있는데 이를 함입 파트(114)라 한다.
더불어, 이 함입 파트(114)와 라운딩 돌출부(113)의 경계 부위를 챔퍼(chamfer) 처리함으로써, 각지거나 뾰족한 부분이 잔류하여 이로부터 견장이 손상되는 문제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한다.
이러한 로드(112)의 독특한 구조를 통해 견장을 견장 끼움봉(20)에 원활하게 밀어 넣음과 동시에 견장에 자국이 발생하는 문제까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라운딩 돌출부(113)의 표면에는 흡착 보조제를 포함한 흡착층(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흡착층(115)은 액상 또는 겔상으로 이루어진 흡착 보조제를 스프레이 방식이나 도포 방식과 같은 공지의 도포 처리 공정을 통해서 라운딩 돌출부(113)에 형성시킨 다음 경화 공정과 같은 후처리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흡착 보조제는 통상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견장의 표면에 발생된 보푸라기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를 통해 깔끔한 견장의 표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스탠드 20: 견장 끼움봉
100: 실린더 어셈블리 110: 실린더부
111: 실린더 112: 로드
113: 라운딩 돌출부 114: 함입 파트
115: 흡착층 120: 구동부
121: 유량 조절밸브 122: 스텝 모터
123: 컨트롤부 123a: 제 1 보정 파트
123b: 제 2 보정 파트 130: 속도측정센서
140: 서브 속도측정센서 200: 작업대
210: 작업 테이블 211: 작업 스페이스
212: 보조 스페이스 220: 레그
230: 페달

Claims (9)

  1.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로서,
    전방 일부를 개방시킨 작업 스페이스와 상기 작업 스페이스의 후방 일부를 개방시킨 보조 스페이스가 형성된 작업 테이블과, 상기 작업 테이블을 지지하는 레그를 구비한 작업대;
    상기 보조 스페이스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작업 테이블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기립된 스탠드;
    중공을 구비한 봉 형상으로서 외주면에 견장이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탠드의 전방 하측에서 기립되도록 장착된 견장 끼움봉;
    상기 견장 끼움봉의 상측인 상기 스탠드의 전방 상측에 기립된 실린더와 상기 견장 끼움봉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상기 실린더에서 인입 및 인출 운동하는 로드를 구비한 유압 실린더와, 상기 레그의 하단에서 작업자의 발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페달(pedal)의 조작으로 상기 로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로드의 구동을 위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밸브 및, 상기 유량 조절밸브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는 스텝 모터와, 상기 스텝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로드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장 뒤집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의 일 측에는,
    상기 로드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기설정된 임계속도와 상기 속도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로드의 이동속도가 다를 시에 상기 스텝 모터의 회전수를 보정하는 제 1 보정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장 뒤집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장 끼움봉의 일 측에는,
    상기 로드가 상기 견장 끼움봉에 삽입되는 시점에서의 삽입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서브 속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기설정된 임계속도와 상기 서브 속도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로드의 이동속도가 다를 시에 상기 스텝 모터의 회전수를 추가 보정하는 제 2 보정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장 뒤집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하단은,
    라운딩지도록 하방을 향해 돌출된 라운딩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장 뒤집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딩 돌출부의 중앙 부위에는, 내측으로 라운딩지도록 함입된 함입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함입 파트와 라운딩 돌출부의 경계 부위는, 챔퍼(chamfer)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장 뒤집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126843A 2020-09-29 2020-09-29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 KR10220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843A KR102209762B1 (ko) 2020-09-29 2020-09-29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843A KR102209762B1 (ko) 2020-09-29 2020-09-29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762B1 true KR102209762B1 (ko) 2021-01-28

Family

ID=7423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843A KR102209762B1 (ko) 2020-09-29 2020-09-29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7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571U (ko) * 1997-12-23 1999-07-26 최병석 견장제조기
KR102117789B1 (ko) * 2019-07-01 2020-06-0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작업자 공간이 형성되어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봉제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571U (ko) * 1997-12-23 1999-07-26 최병석 견장제조기
KR102117789B1 (ko) * 2019-07-01 2020-06-0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작업자 공간이 형성되어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봉제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3375A (zh) 用于调平覆盖层的装置
CN101213337A (zh) 可调节高度的烫衣板
KR102209762B1 (ko)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견장 뒤집기 장치
CN204803528U (zh) 缝纫机的内压脚机构
CN216759931U (zh) 一种冲压机用工件取放机械手
JPH07171287A (ja) ミシンテーブル
KR200393769Y1 (ko) 포장박스 접이장치
US5584258A (en) Semi-automatic pocket and pocket flap setter
US8336473B2 (en) Mattress edge sewing machine
US4957052A (en) Triple folding device for folding a towel hem
CN101063255B (zh) 缝纫机
US6805268B2 (en) Ironing device for application to machines for ironing trousers by blowing hot air therethrough
CN108311879A (zh) 一种智能锁螺丝机
JPH06170751A (ja) 作業テーブル
JP2008167897A (ja) ミシンの布押さえ装置
CN207224187U (zh) 一种防尘罩安装用自动码钉机
CN111421571A (zh) 一种四轴机器人
CN100378264C (zh) 计算机化数字控制系统控制的钮扣孔缝纫机
CN219059325U (zh) 一种缝纫设备用定位机构
CN219212948U (zh) 用于油锯的发动机箱体定位工装
JPH09207902A (ja) 自動封函機
CN219542986U (zh) 行李箱地毯铰链的辅助安装结构
CN204726013U (zh) 一种3d鞋垫自动烫金机
US46900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stitching a shirt placket
CN218778281U (zh) 一种消音效果好的回转式立罐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