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679B1 - 미세 기포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기포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679B1
KR102209679B1 KR1020200041817A KR20200041817A KR102209679B1 KR 102209679 B1 KR102209679 B1 KR 102209679B1 KR 1020200041817 A KR1020200041817 A KR 1020200041817A KR 20200041817 A KR20200041817 A KR 20200041817A KR 102209679 B1 KR102209679 B1 KR 102209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bubble discharge
bubble
bubble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우림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림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림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 B01F15/0227
    • B01F15/02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23/23114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bubbling installation ar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65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being tubes, tubular elements, cylindrical elements or set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6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being in the form of rings or ann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01F25/21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with submerged injectors, e.g. nozzles, for injecting high-pressure jets into a large volume or into mixing chambers
    • B01F25/212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with submerged injectors, e.g. nozzles, for injecting high-pressure jets into a large volume or into mixing chambers the injectors being movable, e.g. rotating
    • B01F25/2122Rotating during je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for mixing more than two compone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4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at the circumference of the conduit
    • B01F25/314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at the circumference of the conduit the conduit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in the axial direction o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B01F3/0412
    • B01F3/048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01F5/0231
    • B01F5/0405
    • B01F5/0475
    • B01F2003/04283
    • B01F2003/04319
    • B01F2003/0432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 기포 배출관을 구비한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노즐에서 토출된 기포를 수중까지 이송하는 기포 이송관과, 기포 이송관에 구비되되 길이가 조절되는 기포 배출관을 구비하여 수중의 기포 배출 영역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회전하며 기포를 분사하는 회전 분사기를 구비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 기포를 분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기포 배출관도 회전시켜 기포 분사 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기포 발생장치{FINE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 기포 배출관을 구비한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포는 물과 공기에 의해 생성되는 거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포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되며, 기포 발생장치는 물과 공기를 펌프에 의해 흡입하여 이들을 과포화시킨 후 충돌 등에 의해 기포가 발생되도록 한다.
하지만, 기존의 기포 발생장치는 작은 노즐에 의해 수중에 기포를 토출시키는 구조로, 넓은 범위에 기포를 토출하거나 기포 토출 범위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2370호(2013.11.18.)
본 발명의 목적은 기포 토출 범위를 증가시키고 기포 토출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로와,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로, 물 유입로와 기체 유입로를 통해 물과 공기가 각각 흡입되도록 하는 펌프, 펌프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 탱크, 혼합 탱크에 연결되어 공기와 물이 혼합된 기액혼합물을 기포로 변환하는 노즐, 노즐에 연결된 기포 이송관, 기포 이송관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포 이송관에 연결되어 노즐에서 변환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 배출관을 포함하며, 기포 배출관은, 서로 지름이 상이한 다수의 기포 배출관이 근접한 기포 배출관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베어링에 의해 회전하며 기포를 분사하는 회전 분사기를 포함한다.
회전 분사기는, 기포 배출관의 외주연에 구비된 베어링과, 베어링에 구비되어 기포 배출관을 통해 이송된 기포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한다.
기포 이송관과 기포 배출관 사이에 구비되어, 기포 이송관의 중심축에 대해 기포 배출관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포함한다.
다수의 기포 배출관은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는 판 스프링 형태의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일면에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며, 기포 배출관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베이스판은 다수의 기포 배출관 중 이동하는 기포 배출관의 외면에 구비된다.
기포 배출관은 기포 이송관과 직접 연결되며 기포가 배출되는 제1 회전 분사기와 돌기가 결합되는 제1 결합홀이 형성된 제1 기포 배출관과, 제1 기포 배출관의 내부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기포가 배출되는 제2 회전 분사기와 돌기가 결합되는 제2 결합홀이 형성된 제2 기포 배출관, 및 제2 기포 배출관의 내부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기포가 배출되는 제3 회전 분사기가 형성된 제3 기포 배출관을 포함하며, 스토퍼는, 제2 기포 배출관의 외면에 구비되어 제1 결합홀에 돌기가 결합되는 제1 스토퍼와, 제3 기포 배출관의 외면에 구비되어 제2 결합홀에 돌기가 결합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노즐에서 토출된 기포를 수중까지 이송하는 기포 이송관과, 기포 이송관에 구비되되 길이가 조절되는 기포 배출관을 구비하여 수중의 기포 배출 영역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회전하며 기포를 분사하는 회전 분사기를 구비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 기포를 분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기포 배출관도 회전시켜 기포 분사 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기포 토출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회전 분사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회전장치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서 스토퍼가 구비된 기포 토출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서 스토퍼가 구비된 기포 토출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기포 토출관의 개략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로(100)와,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로(200), 물 유입로(200)와 기체 유입로(100)를 통해 물과 기체가 각각 흡입되도록 하는 펌프(300), 펌프(300)에 의해 유입된 기체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 탱크(400), 혼합 탱크(400)에서 기체와 물이 혼합된 기액혼합물로 기포를 생성하는 노즐(500), 및 노즐(500)에서 생성된 기포를 수중에 토출하는 토출관(600)을 포함한다.
기체 유입로(100)는 기포 생성에 필요한 기체를 유입시켜 연결로(700)를 통해 혼합 탱크(400)에 공급한다.
물 유입로(200)는 기포 생성에 사용할 물을 유입시킨다. 여기서, 물 유입로(200)로 유입되는 물은 자연수계 정화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해당 자연수계의 물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연수계의 물 대신 정화된 물을 물 유입로(2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펌프(300)는 물 유입로(200)와 기체 유입로(100)로 물과 이산화탄소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펌프(300)는 물 유입로(200)와 기체 유입로(100)에 직접 연결되며, 펌프(300)를 통해 유입된 물과 이산화탄소는 펌프(300)와 혼합 탱크(400) 사이에 연결된 연결로(700)를 통해 혼합 탱크(400)로 이송된다.
혼합 탱크(400)는 펌프(300)를 통해 물 유입로(200)와 기체 유입로(100)로 유입된 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한다. 또한, 혼합 탱크(400)는 내부에, 일부 영역이 개방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플레이트는 개방된 일부 영역이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개의 플레이트 간 이격 간격은 동일한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플레이트 간 이격 간격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물 탱크(600)는 펌프 작동 시 필요한 마중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 유입로(200)에서 분기된 물 탱크 연결로(210)에 의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물론, 물 탱크(600)가 구비될 경우 물 유입로(200)는 혼합 탱크 연결로(220)도 분기되어 혼합 탱크(40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기포 토출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이다.
기포 토출관(600)은 노즐(500)에서 생성된 기포를 토출한다. 이를 위해서, 기포 토출관(6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이송관(610)과 기포 배출관(620)을 포함한다.
기포 이송관(610)은 노즐(500)에서 생성된 기포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기포 이송관(610)이 중공의 원형관 형상인 것을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포 이송관(610)은 중공의 타원관, 삼각이나 사각 등을 포함하는 다각관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기포 이송관(610)은 노즐(500)에서 생성된 기포를 수중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수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기포 배출관(620)은 기포 이송관(610)에서 이송된 기포를 수중으로 토출한다. 이는 기포 배출관(620)에 형성된 회전 분사기를 통해 수행되며, 이에 따라, 기포 배출관(6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분사기가 형성되며, 다수개가 형성될 경우 다수개의 회전 분사기는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포 이송관(610)과 직접 연결된 기포 배출관(620) 영역은 수압이 크므로, 기포 이송관(610)에서 멀어질수록 회전 분사기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포 배출관(620)은 기포 이송관(610)에서 멀어질수록 회전 분사기에 구비된 분사구의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회전 분사기의 간격이 기포 이송관(610)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함과 동시에 분사구의 지름도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구조에 의해서, 기포 배출관(620)에서 배출되는 기포의 양이 기포 배출관(620) 전체에서 고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포 배출관(620)은 길이 조절을 위해서, 서로 지름이 상이한 제1 기포 배출관(621)과 제2 기포 배출관(622) 및 제3 기포 배출관(623)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기포 배출관(620)은 두 개의 기포 배출관, 즉, 제1 기포 배출관(621)과 제2 기포 배출관(622) 만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의 기포 배출관, 즉, 제1 기포 배출관(621)과 제2 기포 배출관(622), 제3 기포 배출관 및 제4 기포 배출관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 상, 기포 배출관(620)이 제1 기포 배출관(621)과 제2 기포 배출관(622) 및 제3 기포 배출관(623)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전술된 제2 기포 배출관(622)과 제3 기포 배출관(623)의 제2 기포 배출 홀(622a) 및 제3 기포 배출 홀(623a)은 기포 이송관(610)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도록 하여, 분사되는 기포의 수압에 의해 제2 기포 배출관(622)과 제3 기포 배출관(623)이 제1 기포 배출관(621)으로부터 이탈되는 힘을 받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제1 기포 배출관(621)에는 제1 회전 분사기(621a)가 형성되고 제2 기포 배출관(622)에는 제2 회전 분사기(622a)가 형성된다. 또한, 제3 기포 배출관(623)에는 제3 회전 분사기(623a)가 형성된다.
제1 기포 배출관(621)은 기포 이송관(6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기포 이송관(610)으로부터 기포를 이송받아 외부로 토출한다. 또한, 전술된 기포 이송관(610)이 수직으로 수면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므로, 제1 기포 배출관(621)은 기포 이송관(6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제1 기포 배출관(621)은 중심부는 기포 이송관(610)과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은 개방된다. 제1 기포 배출관(621)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의 끝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후술될 제2 기포 배출관(622)이 제1 기포 배출관(6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기포 배출관(621)에는 제1 회전 분사기(621a)가 구비된다.
제1 회전 분사기(621a)는 제1 기포 배출관(621)의 끝단에 위치되며, 제1 기포 배출관(621)으로 이송된 기포를 분사하는 제1 분사구와, 제1 분사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베어링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베어링은 제1 분사구를 중심에 두고 양측으로 볼이 구비된 형태이며, 이에 따라 중심에 위치된 제1 분사구를 통해 기포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사구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1 분사구의 기포 분사력에 의해 제1 베어링이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제1 회전 분사기(621a)는 제1 기포 배출관(621)에서 360도 회전하며 기포를 분사할 수 있다.
제2 기포 배출관(622)은 제1 기포 배출관(621)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2 기포 배출관(622)은 제1 기포 배출관(6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를 위해서 제2 기포 배출관(622)의 지름은 제1 기포 배출관(62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기포 배출관(622)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중공의 관 형상이며, 일측의 끝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제1 기포 배출관(621)의 내측으로 절곡된 일측 또는 타측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제2 기포 배출관(622)은 두 개가 구비되어 제1 기포 배출관(6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기포 배출관(621)의 양단에 삽입되어 결합된 제2 기포 배출관(622)은 제1 기포 배출관(621)의 내부와 외부로 자유롭게 왕복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포 배출관(621)과 같이 제2 기포 배출관(622)에도 제2 회전 분사기(622a)가 구비된다.
제2 회전 분사기(622a)는 제1 회전 분사기(621a)와 동일한 형상이되, 제1 기포 배출관(621)의 지름보다 제2 기포 배출관(622)의 지름이 크기 때문에 해당 지름의 차이만큼 제1 회전 분사기(621a)보다 지름이 크다. 또한, 제2 회전 분사기(622a)는
제3 기포 배출관(623)은 제2 기포 배출관(622)에 결합되어 제1 기포 배출관(621)과 제2 기포 배출관(622)에서 토출되지 못한 기포를 토출시킨다. 또한, 제3 기포 배출관(623)은 제2 기포 배출관(6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 기포 배출관(622)과 연통되며, 제3 기포 배출관(623)이 제2 기포 배출관(622) 내에 삽입되기 위해 제3 기포 배출관(623)의 지름은 제2 기포 배출관(622)의 지름보다 작아야 한다. 여기서, 제3 기포 배출관(623) 역시 두 개의 제2 기포 배출관(622)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두 개의 제3 기포 배출관(623)이 구비된다. 물론, 제3 기포 배출관(623)도 제2 기포 배출관(622)에 삽입되는 방향의 일측 끝단이 외부로 절곡되어 제2 기포 배출관(6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전술된 제1 기포 배출관(621)의 지름은 제2 기포 배출관(622)의 지름보다 크고, 제3 기포 배출관(623)의 지름은 제2 기포 배출관(622)의 지름보다 작다. 또한, 제1 기포 배출관(621) 및 제2 기포 배출관(622)과 같이 제3 기포 배출관(623)에도 제3 회전 분사기(623a)가 구비된다.
제3 회전 분사기(623a)는 제2 회전 분사기(622a)와 동일한 형상이되, 제2 기포 배출관(622)의 지름보다 제3 기포 배출관(623)의 지름이 크기 때문에 해당 지름의 차이만큼 제2 회전 분사기(622a)보다 지름이 크다. 또한, 제3 회전 분사기(623a)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회전 분사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회전 분사기는 하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분사기는 다수개의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분사구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포 배출관(621)과 제2 기포 배출관(622) 및 제3 기포 배출관(623) 사이에는 고무 재질의 O링이 구비되어 기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서, 본 실시예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 운반 시에는 기포 배출관(620)의 크기를 작게하고, 사용 시에는 기포의 수압에 의해 제2 기포 배출관(622)과 제3 기포 배출관(623)이 제1 기포 배출관(621)으로부터 펼쳐져 기포 토출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포 배출관(620)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회전장치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이송관(610)과 기포 배출관(620) 사이에 베어링 형태의 회전장치(611)를 설치하여 기포 배출관(620)이 기포 이송관(61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기포 배출관(620)의 회전은, 기포 배출관(620)의 일면을 따라 기포 배출 홀을 형성하고 기포 배출 홀에서 배출되는 기포의 수압에 의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장치(611)는 모터의 형태로 구현되어 기포 배출관(62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기포 배출관(6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서 스토퍼가 구비된 기포 토출관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서 스토퍼가 구비된 기포 토출관의 개략 단면도이다.
스토퍼(622c, 623c)는 기포 배출관(620)의 길이 조절 시 제2 기포 배출관(622)을 제1 기포 배출관(621)에 고정하거나, 제3 기포 배출관(623)을 제2 기포 배출관(622)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 스토퍼(622c, 623c)는 제2 기포 배출관(622)에 구비된 제1 스토퍼(622c)와 제3 기포 배출관(623)에 구비된 제2 스토퍼(623c)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스토퍼(622c)와 제2 스토퍼(623c)는 제2 기포 배출관(622)과 제3 기포 배출관(623)의 표면에 각각 구비된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한다.
베이스판은 판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며, 기포 이송관(610)에서 멀어질수록 기포 배출관(622)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베이스판은 외압에 의해 압박되더라도 복원력으로 인해, 제2 기포 배출관(622)이 제1 기포 배출관(621)에 고정되거나, 제3 기포 배출관(623)이 제2 배출관(62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판은 전술된 형태 이외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은 돔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기포 배출관(622)에 형성된 결합 홈으로부터 유입되는 기포의 수압에 의해 가압되어 제1 기포 배출관(621)과 제2 기포 배출관(622) 및 제3 기포 배출관(623)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베이스판은 제2 기포 배출관(622)이나 제3 기포 배출관(623)의 하단, 즉, 기포 이송관(610)에서 제1 기포 배출관(621)으로 배출되는 기포에 의해 압박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를 위해서, 베이스판은 제2 기포 배출관(622)에 구비된 제1 베이스판과, 제3 기포 배출관(623)에 구비된 제2 베이스판을 포함한다. 또한, 제2 기포 배출관(622)과 제3 기포 배출관(623)은 2개씩 구비되므로 제1 베이스판과 제2 베이스판 역시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돌기는 베이스판의 일 표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 기포 배출관(621)에 형성된 제1 결합홀과 제2 기포 배출관(622)에 형성된 제1 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는 돔 스프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노즐에서 토출된 기포를 수중까지 이송하는 기포 이송관과, 기포 이송관에 구비되되 길이가 조절되는 기포 배출관을 구비하여 수중의 기포 배출 영역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기포 배출관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기포 배출관(621)에 제2 기포 배출관(622)이 고정되거나, 제2 기포 배출관(622)에 제3 기포 배출관(623)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기포 토출관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된 판 스프링 형태의 스토퍼를 사용하지 않거나 판 스프링 형태의 스토퍼와 함께 나사산 형태의 스토퍼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포 배출관(621)의 내주연 일부에 제1 나사산(621b)을 형성하고, 제1 기포 배출관(62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기포 배출관(622)의 일단 외주연에 제1 기포 배출관(621)의 내주연 일부에 형성된 제1 나사산(621b)에 대응되는 제2 외부 나사산(622c)을 형성한다. 또한, 제2 기포 배출관(622)의 내주연 일부에 제2 내부 나사산(622d)을 형성하고, 제2 기포 배출관(622)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3 기포 배출관(623)의 일단 외주연에 제2 기포 배출관(622)의 내주연 일부에 형성된 제2 내부 나사산(622d)에 대응되는 제3 나사산(623c)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2 기포 배출관(622)을 제1 기포 배출관(621)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기포 배출관(622)이 제1 기포 배출관(621)에 결합되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기포 배출관(621)에 결합되었던 제2 기포 배출관(622)이 제1 기포 배출관(621)으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또한, 제3 기포 배출관(623)을 제2 기포 배출관(622)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 기포 배출관(623)이 제2 기포 배출관(622)에 결합되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기포 배출관(622)에 결합되었던 제3 기포 배출관(623)이 제2 기포 배출관(622)으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기포 배출관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기포 배출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기체 유입로 200: 물 유입로
300: 펌프 400: 혼합 탱크
500: 노즐 600: 기포 토출관

Claims (5)

  1.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로와,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로,
    상기 물 유입로와 상기 기체 유입로를 통해 물과 공기가 각각 흡입되도록 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 탱크,
    상기 혼합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와 물이 혼합된 기액혼합물을 기포로 변환하는 노즐,
    상기 노즐에 연결된 기포 이송관,
    상기 기포 이송관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포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에서 변환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기포 배출관은, 서로 지름이 상이한 다수의 기포 배출관이 근접한 기포 배출관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베어링에 의해 회전하며 기포를 분사하는 회전 분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분사기는, 상기 기포 배출관의 외주연에 구비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구비되어 상기 기포 배출관을 통해 이송된 기포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 이송관과 상기 기포 배출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기포 이송관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기포 배출관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기포 배출관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판 스프링 형태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 배출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다수의 기포 배출관 중 이동하는 기포 배출관의 외면에 구비된 미세 기포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배출관은 상기 기포 이송관과 직접 연결되며 기포가 배출되는 제1 회전 분사기와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제1 결합홀이 형성된 제1 기포 배출관과,
    상기 제1 기포 배출관의 내부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기포가 배출되는 제2 회전 분사기와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제2 결합홀이 형성된 제2 기포 배출관, 및
    상기 제2 기포 배출관의 내부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기포가 배출되는 제3 회전 분사기가 형성된 제3 기포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기포 배출관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홀에 돌기가 결합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제3 기포 배출관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결합홀에 돌기가 결합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
KR1020200041817A 2020-04-06 2020-04-06 미세 기포 발생장치 KR102209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17A KR102209679B1 (ko) 2020-04-06 2020-04-06 미세 기포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17A KR102209679B1 (ko) 2020-04-06 2020-04-06 미세 기포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679B1 true KR102209679B1 (ko) 2021-02-01

Family

ID=7457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817A KR102209679B1 (ko) 2020-04-06 2020-04-06 미세 기포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6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546A (ko) * 2011-01-14 2011-02-09 대웅이엔에스 (주) 회전형 기포제트 산기관
KR20110120646A (ko) * 2010-04-29 2011-11-04 주식회사 승광 출수구 및 이를 이용한 냉/온 연수기
JP2012236151A (ja) * 2011-05-12 2012-12-06 Sigma Technology Kk マイクロ・ナノバブル発生装置とノズル構造
KR101332370B1 (ko) 2011-12-30 2013-11-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기포 발생장치
JP2018069213A (ja) * 2016-11-04 2018-05-10 株式会社幸陽 微細気泡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646A (ko) * 2010-04-29 2011-11-04 주식회사 승광 출수구 및 이를 이용한 냉/온 연수기
KR20110013546A (ko) * 2011-01-14 2011-02-09 대웅이엔에스 (주) 회전형 기포제트 산기관
JP2012236151A (ja) * 2011-05-12 2012-12-06 Sigma Technology Kk マイクロ・ナノバブル発生装置とノズル構造
KR101332370B1 (ko) 2011-12-30 2013-11-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기포 발생장치
JP2018069213A (ja) * 2016-11-04 2018-05-10 株式会社幸陽 微細気泡発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88743T3 (es) Boquilla de atomización
US20030150624A1 (en) Foam, spray or atomizer nozzle
ES2603412T3 (es) Aparato mezclador para mezclas bombeables y procedimiento referido a ello
KR101079206B1 (ko)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KR20160067818A (ko) 후폭풍을 이용한 액체 분사기
FI111054B (fi) Suutin pintojen päällystämiseksi
BR102012012110B1 (pt) combinação para um misturador estático de aspersão
KR102209679B1 (ko) 미세 기포 발생장치
CN202479078U (zh) 背负式可伸缩自动喷雾器
KR20010049864A (ko) 기체액체 혼합류 분사장치
CN113307388A (zh) 一种可调整射流方向的射流曝气系统及其调整方法
KR101676833B1 (ko) 휴대용 미스트용 노즐 구조
KR102209694B1 (ko) 미세 기포 발생장치
RU2345281C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форсунка для распыливания растворов
JP2008023459A (ja) 二流体噴射ノズル
KR100536574B1 (ko) 멀티 선회류를 이용한 흡수세정장치
KR20110048608A (ko) 액체 살포기
KR102412969B1 (ko) 구조가 단순한 미세분무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독장치
KR20220128860A (ko) 약액 분사기
CA2131109C (en) Foam nozzle
JP2011012422A (ja) 吹付けノズル装置
RU2597608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RU2019144630A (ru) Конический форсуночный скруббер
SU1036392A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 форсунка
CN104671455A (zh) 管道加药或管道曝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