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566B1 - 연속 주조 설비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566B1
KR102209566B1 KR1020180114272A KR20180114272A KR102209566B1 KR 102209566 B1 KR102209566 B1 KR 102209566B1 KR 1020180114272 A KR1020180114272 A KR 1020180114272A KR 20180114272 A KR20180114272 A KR 20180114272A KR 102209566 B1 KR102209566 B1 KR 102209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
transfer
upper frame
cas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459A (ko
Inventor
한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1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5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 설비는 주형을 통과하여 초기 응고된 주편을 이송하는 세그먼트장치; 및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세그먼트장치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장치는, 상기 주편을 사이에 두게 배치된 상부롤 및 하부롤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롤은,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롤과도 마주보게 구비되고, 상기 세그먼트장치는, 상기 주형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에 접촉하는 상기 상부롤;과, 상기 상부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주편이 놓이도록 상기 주형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에 접촉하는 상기 하부롤;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하부프레임에 후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이 구비되는 이송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후행된 위치에서 상기 세그먼트장치의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이송장치의 상기 이송프레임도 결합하게 제공되어 상기 주편은, 상기 상부롤과 상기 이송롤 사이로도 이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주조 설비{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연속 주조 설비는 정련된 용강을 공급받아 이를 주편으로 주조하는 설비이다. 연속 주조 설비는 주형, 상기 주형의 하측에서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발되는 슬라브를 일정 곡률로 굽혀주는 벤더(Bender) 및 상기 벤더의 하측에서 상기 슬라브를 공급받아 이를 인발하며 냉각, 이송시키는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이듯, 세그먼트(10)는 상호 마주보는 상부프레임(10a) 및 하부프레임(10b)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0a) 및 상기 하부프레임(10b)에서 회전하는 세그먼트롤(11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0a) 및 상기 하부프레임(10b)은 타이로드(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타이로드(30)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프레임(10a)에는 철정압에 대응하기 위한 별도의 실린더(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그먼트(10)는 주조 속도 향상 등을 위하여 그 구간이 연장되어야 할 때가 있는데, 연속 주조 설비 상에서 세그먼트(10)가 한번 구축된 상태에서 그 설치구간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주조 조건, 주조 환경 등에 의하여 세그먼트(10)의 설치 구간 및 규격 등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연속 주조 설비를 처음부터 다시 구축해야 하므로 소모되는 시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867738 B1 (2018.06.07)
본 발명은 세그먼트의 구축을 용이하게 하고, 연속 주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 설비는 주형을 통과하여 초기 응고된 주편을 이송하는 세그먼트장치; 및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세그먼트장치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장치는, 상기 주편을 사이에 두게 배치된 상부롤 및 하부롤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롤은,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롤과도 마주보게 구비되고, 상기 세그먼트장치는, 상기 주형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에 접촉하는 상기 상부롤; 상기 상부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주편이 놓이도록 상기 주형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에 접촉하는 상기 하부롤;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하부프레임에 후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이 구비되는 이송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롤은 상기 이송프레임의 상부에도 얹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세그먼트장치의 후단에서 상기 세그먼트장치의 확장이 가능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후행된 위치에서 상기 세그먼트장치의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이송장치의 상기 이송프레임도 결합하게 제공되어 상기 주편은, 상기 상부롤과 상기 이송롤 사이로도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의 일면에 접촉하되, 상기 하부롤이 접촉하는 면에 접촉하게 구비되는 상기 이송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이송프레임에 구비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로드;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그먼트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과 연결된 실린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세그먼트의 구축이 용이하고, 연속 주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세그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 설비의 세그먼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 설비의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 설비의 이송장치와 세그먼트장치의 상부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 설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 설비는 도 2에서 보이듯, 주형(미도시)을 통과하여 초기 응고된 주편(1)을 이송하는 세그먼트장치(110) 및 상기 주편(1)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세그먼트장치(110)에 후행되게 배치되어 상기 세그먼트장치(110)를 통과한 상기 주편(1)을 이송하는 이송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송장치(120)는 상기 세그먼트장치(110)의 출측에 배치된 이송프레임(121) 및 상기 이송프레임(121)에서 회전하게 구비되어 주편(1)을 이송하는 이송롤(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122)은 주편(1)의 표면에 접촉하며, 주편(1)은 상기 이송롤(122)을 따라 이송되면서 일정 온도까지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송롤(122)은 런아웃테이블(ROT)의 이송롤(122)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보이듯, 상기 세그먼트장치(110)는 연속 주조 설비의 주형(미도시)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13),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도 2의 1)에 접촉하며, 회전하게 구비되는 상부롤(111), 상기 상부프레임(113)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3)과의 사이에 상기 주편(도 2의 1)이 놓이도록 상기 주형(미도시)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114),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도 2의 1)에 접촉하며, 회전하게 구비되는 하부롤(112) 및 상기 상부프레임(113)과 상기 하부프레임(114)을 결합하는 결합유닛(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편(도 2의 1)은 상기 세그먼트장치(110)의 상기 상부롤(111) 및 상기 하부롤(112) 사이인 이송공간(S)으로 이송되며, 세그먼트장치(110)의 출측에서 상기 이송장치의 상기 이송롤(122)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세그먼트장치(110)의 상부롤(111)의 상부로는 상기 주편(도 2의 1)으로부터 가해지는 철정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실린더유닛(119)이 연결된다.
실린더유닛은 상부프레임(113)에 고정된 몸체(119a) 및 상기 몸체에서 신장 또는 수축하게 구비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롤(111)에 연동된 피스톤로드(119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린더유닛은 유압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결합유닛(115)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부프레임(113)과 하부프레임(114)을 상호 분리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서 보이듯,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상기 주편(도 2의 1)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하부프레임(도 3의 114)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이송프레임(121) 및 상기 이송프레임(121)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도 2의 1)의 일면에 접촉하되, 상기 하부롤(도 3의 112)이 상기 주편(도 2의 1)에 접촉하는 일면과 동일한 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주편(도 2의 1)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롤(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송프레임(121)의 양측에는 결합유닛(11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이듯, 결합유닛(115)은 세그먼트장치(110)의 상부프레임(113)과 하부프레임(114)을 결합하기도 하며, 도 4에서 보이듯, 이송프레임(121)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프레임(121)의 상부에 상기 세그먼트장치(110)의 상기 상부프레임(113)을 결합하기도 한다.
즉, 도 5에서 보이듯, 상기 이송프레임(121)에 구비된 상기 결합유닛(115)을 세그먼트장치(도 3의 110)의 상부프레임(113)에 결합함으로써 이송장치(120)의 이송프레임(121)과 세그먼트장치(도 3의 110)의 상부프레임(113)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13) 및 상기 상부프레임(113)에 구비된 상부롤(111)은 상기 이송프레임(121) 이전에 배치된 세그먼트장치(도 3의 110)의 하부프레임(114)으로부터 분리된 상부프레임(113) 및 상부롤(111)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13)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상부롤(111)은 이송프레임(121)의 상부에 얹혀지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유닛(115)은 상기 이송프레임(121)에 구비된 결합부재(116), 상기 결합부재(116)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3)에 결합되는 결합로드(117) 및 상기 상부프레임(113)과 상기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13)에는 상기 결합로드(117)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 로드홈(117a)이 마련되고, 이와 같은 로드홈(117a)에 따르면 상기 결합로드(117)를 상기 로드홈(117a)에 삽입하여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결합유닛의 종류는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로드(117)를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에 힌지(미도시)결합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하면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보이듯, 이송롤(122)을 포함하는 이송장치(120)의 상부에 세그먼트장치(도 3의 110)의 상부프레임(113)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상부롤(111)을 얹고, 상기 실린더유닛(119)으로 하여금 철정압을 견디게 하면 세그먼트장치(도 3의 110)를 별도로 설계할 필요 없이 이송장치(120)의 이송롤(122)을 세그먼트장치(도 3의 110)의 하부롤(112)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및 유지보수에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연속 주조 설비에서 주편을 이송하는 이송롤은 필수적으로 다구간 마련되게 되므로, 본 발명은 이 다구간 마련된 다수의 이송롤을 세그먼트장치의 하부롤을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연속 주조 설비에서 세그먼트장치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런아웃테이블(ROT)의 상부에 세그먼트장치의 상부프레임 및 상부롤을 얹어 세그먼트장치의 후단에서 즉각적인 세그먼트장치의 확장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 세그먼트 10a : 상부프레임
10b : 하부프레임 11a : 세그먼트롤
20 : 실린더 30 : 타이로드
100 : 연속 주조 설비 110 : 세그먼트장치
111 : 상부롤 112 : 하부롤
113 : 상부프레임 114 : 하부프레임
115 : 결합유닛 116 : 결합부재
117 : 결합로드 118 : 체결부재
119 : 실린더유닛 120 : 이송장치

Claims (7)

  1. 주형을 통과하여 초기 응고된 주편을 이송하는 세그먼트장치; 및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세그먼트장치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장치는,
    상기 주편을 사이에 두게 배치된 상부롤 및 하부롤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롤은,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롤과도 마주보게 구비되고,
    상기 세그먼트장치는,
    상기 주형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에 접촉하는 상기 상부롤;
    상기 상부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주편이 놓이도록 상기 주형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에 접촉하는 상기 하부롤;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하부프레임에 후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롤이 구비되는 이송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롤은 상기 이송프레임의 상부에도 얹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세그먼트장치의 후단에서 상기 세그먼트장치의 확장이 가능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후행된 위치에서 상기 세그먼트장치의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이송장치의 상기 이송프레임도 결합하게 제공되어 상기 주편은, 상기 상부롤과 상기 이송롤 사이로도 이송되는 연속 주조 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주편의 일면에 접촉하되, 상기 하부롤이 접촉하는 면에 접촉하게 구비되는 상기 이송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설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이송프레임에 구비된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로드;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설비.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롤과 연결된 실린더유닛;
    을 더 포함하는 연속 주조 설비.
KR1020180114272A 2018-09-21 2018-09-21 연속 주조 설비 KR102209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272A KR102209566B1 (ko) 2018-09-21 2018-09-21 연속 주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272A KR102209566B1 (ko) 2018-09-21 2018-09-21 연속 주조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459A KR20200034459A (ko) 2020-03-31
KR102209566B1 true KR102209566B1 (ko) 2021-01-28

Family

ID=7000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272A KR102209566B1 (ko) 2018-09-21 2018-09-21 연속 주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5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7939B2 (ja) * 1981-10-05 1985-12-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片案内装置
JPS58116905A (ja) * 1981-12-29 1983-07-12 Nippon Steel Corp 鋼材の直接圧延製造装置
AT509352B1 (de) * 2010-02-05 2014-06-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Strangführungssegment in kassettenbauweise mit einzelrollenanstellung
KR20140082513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 주조용 세그먼트
KR101867738B1 (ko) 2016-12-23 2018-06-15 주식회사 포스코 몰드와 세그먼트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459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1219A (ko) 아직 완전하게 응고되지 않은 금속 스트립을 안내하기 위한스트랜드 가이드 장치와 그 가이드 방법
KR102209566B1 (ko) 연속 주조 설비
EP2929956B1 (en)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EP1537927B1 (en) A segment roll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s
US8016020B2 (en) Oscillating table
US4018261A (en) Continuous casting plant strand guiding means
JPS60118361A (ja) 連続鋳造における丸鋳片用支持案内装置
US4131154A (en) Roller apron for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for steel
CN210333781U (zh) 冷床矫直板装置
CN109226707A (zh) 一种大方坯用扇形分段
US3318368A (en) Roller spray apron
JP6442058B2 (ja) 連続鋳造用セグメント
JP5445680B2 (ja) 鋳造用の消失模型および鋳造品
CA1050721A (en) Roller apron for continuous casting plant
JP4722644B2 (ja) 連続鋳造機用多分割ロール装置
JP4110209B2 (ja) 連続鋳造機のロール装置および連続鋳造機のロール支持用円筒ころ軸受
US5787966A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products having a round cross-section and products having a cross-section with flat sides
KR101797351B1 (ko)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KR20130137775A (ko) 연속주조장치의 세그먼트 조립체
JPH0710836Y2 (ja) 連続鋳造設備のロールレイアウト変更装置
JP3091814B2 (ja) 型式変更容易な連続鋳造機
CN210615058U (zh) 具有弹性自动恢复功能的结晶器挠性引锭杆
US3429366A (en) Universal starting bar
JPH03110049A (ja) 連続鋳造用分割ロールの軸受装置
JPS56128651A (en) Support roll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