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657B1 -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57B1
KR102208657B1 KR1020190001161A KR20190001161A KR102208657B1 KR 102208657 B1 KR102208657 B1 KR 102208657B1 KR 1020190001161 A KR1020190001161 A KR 1020190001161A KR 20190001161 A KR20190001161 A KR 20190001161A KR 102208657 B1 KR102208657 B1 KR 102208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llution
vehicle
region
pollu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2451A (en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57B1/en
Publication of KR2020009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IoT 센서에서 측정하는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교통여행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국제표준인 TPEG 기술을 통해 각 차량에 제공하고, 상기 차량에서 상기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로부터 차량이 위치한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여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가 차량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provid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ransmits traffic travel information by divi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air environment and odors measur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for each region. The vehicle is provided to each vehicle through TPEG technology,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use, and by generating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from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 the vehicle to check the pollution level in the intended direction of passing the vehicle. When entering this contaminated area, it is related to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level of pollu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that blocks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vehicle while alarming.

Description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

본 발명은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센서에서 측정하는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교통여행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국제표준인 TPEG 기술을 통해 각 차량에 제공하고, 상기 차량에서 상기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로부터 차량이 위치한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여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가 차량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air environment and odors measured by a plurality of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s. Is provided to each vehicle through TPEG technology,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transmitting traffic travel information by dividing each region, and generating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from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that blocks external air from entering the vehicle while alarming when the vehicle enters a polluted area by checking the pollution level in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달하고 자동차의 이용이 늘어날수록 대기의 오염이 점차 증가되며, 이에 따라 인간의 활동은 물론 동식물의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In general, as the industry develops and the use of automobiles increases, pollution of the air gradually increases, and accordingly, it has a serious impact on the life of animals and plants as well as human activities.

예를 들어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오존층이 점차 파괴되어 지상에 도달하는 자외선 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 자외선은 이용 및 건강에 유해하다. 또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는 입자가 매우 작아 호흡기를 통해 몸에 바로 침투하여 면역력을 저하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최근 실외 뿐 아니라 실내 공간에서도 미세먼지의 인체 위해성이 강조되고 있다.For example, due to the influence of global warming, the ozone layer is gradually destroyed and the amount of ultraviolet rays reaching the ground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ultraviolet rays are harmful to use and health. In addition, fine dust or ultrafine dust has a very small particle size and penetrates directly into the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lowers immunity and causes various diseases, so the danger of fine dust to the human body is emphasized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특히 최근 들어 삶의 질 향상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사용자 주변의 자외선 지수, 미세먼지 농도 등 인간 건강을 위협하는 대기 오염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건강한 생활패턴을 유도하는 IoT 기반의 환경 관리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In particular, with the recent increase in quality of life or interest in health, IoT-based environmental management that induces healthy living patterns by monitoring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hat threatens human health in real time, such as UV index and fine dust concentration around users. The need for system development is being emphasized.

하지만 상기 대기 오염도 정보를 제공받는 현재의 시스템은 대부분 사용자들이 직접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사청 등의 관련 기관으로부터 제공받아 확인하거나, 방송이나 신문 등의 미디어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차량 운전자의 경우 도로 주변에 설치된 전광판을 통해 표시되는 각 지역별 대기 오염도 정보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However, most of the current systems receiving th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re provided from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News Agency through applications installed on smartphones or tablets, etc., which users directly possess, or are checked through media such as broadcasting or newspapers. It is common. Also, in the case of vehicle drivers, most of them check through th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displayed through the electric sign installed around the road.

이와 같이 사용자들이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대기 오염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제약사항이 많았다. 즉 기존의 대기 오염도 정보는 시, 군, 구 등의 광역 단위로 대기 오염도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사용자나 차량이 위치하고 있는 수십 내지 수백 미터 단위의 제한된 지역별로 대기 오염도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였던 것이다.In this way,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in order for users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air pollution level in the area where they are located. In other words, since most of the existing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was provided in a wide area unit such as city, county, and district,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was not provided for each limited area in the units of tens to hundreds of meters in which users or vehicles are located. will be.

또한 종래에는 대기 오염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이나 차량 내에 유무선 통신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in order to receiv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it is inconvenient to use a smartphone or a separate hardware device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vehicle.

한편, 최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주파수를 이용해 자동차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실시간 교통 정보, 여행 정보 등을 보여주는 TPEG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교통 정보나 여행 정보 이외에 날씨나 대기환경 정보 등을 추가로 제공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PEG technology that display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travel information on a car navigation terminal us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broadcast frequency has been used.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or travel information, weather or atmospheric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예를 들어 DMB 방송국에서 방송 주파수에 각 지역별 날씨나 대기환경 정보를 송출하면,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운행 중인 지역의 날씨나 대기환경 정보를 수신 및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특정 지역의 날씨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a DMB broadcasting station transmits weather or atmospheric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o a broadcasting frequency, a naviga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vehicle receives and displays the weather or air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operating region. You can check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날씨나 대기환경 정보 제공 서비스는, 비교적 광역 단위의 날씨나 대기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의 특성상 수 초의 시간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확한 대기 오염도 정보를 정밀하게 제공받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weather or atmospheric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s described above provides weather or atmospheric environment information in a relatively wide area, so even if a time difference of several seconds occu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moving at a high spee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here have been frequent cases where accurat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bout is not provided and used.

즉 종래에는 차량의 속도나 움직임 방향을 반영하여 대기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TPEG 기술을 통해 대기 오염도 정보를 제공받는다 하더라도 차량이 해당 지점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지점의 대기 오염도 정보가 아니라 이미 지나간 지점에 대한 대기 오염도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결과가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현재 위치와 대기 오염도 정보가 일치되지 않으며, 부정확한 대기 오염도 정보의 이용으로 인해 오염도 정보 제공 서비스의 신뢰성이 크게 하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other words, sinc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is not provided by reflecting the vehicle's speed or movement direction in the past, even if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PEG technology, when the vehicle moves rapidly from the corresponding point, the air pollution level at the point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located. The result is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bout the point that has already passed is not provided,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do not match, and the reliability of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s due to the use of inaccurat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greatly declined.

또한 종래에는 대기환경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받았을 뿐, 도로 주변의 냄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도로 주변에 축사가 있거나 퇴비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경우 오염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에서 외부공기 차단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윈도우를 닫거나 내부순환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때까지 악취를 맡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in the past, only information about the air environment was provided, but because information about odors around the road was not provided, external air is blocked from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contaminated area when there is a livestock near the road or odor occurs due to compost. Was not properly performed, and for this reas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river had to take on the odor until the driver closes the window or performs an operation to switch to the internal circulation mod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생성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TPEG 기술을 이용하여 각 차량에 제공하고, 상기 차량에서 상기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로부터 차량이 지나는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후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여 기준 이상의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smell generated by collecting from a plurality of IoT sensors is provided to each vehicle using the TPEG technology, and the vehicle from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smell in the vehicle After generating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passing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to automatically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while alarming when entering a contaminated area above the standard by checking the pollution level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Next, the prior art existing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n the technical matter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chieve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0559384호(2006.03.10.)는 텔레메틱스를 이용한 공기 오염 지역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외부 공기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AQS와, 상기 차량의 FATC에 내장되어 상기 AQS 에서 측정한 신호를 받고 내기모드로 할 것인지 외기모드로 할 것인지 결정하여 FRE-REC 액추에이터로 보내주는 공조시스템과, 상기 공조 시스템으로부터 내기모드로 또는 외기모드로 상기 FRE-REC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송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정보센터의 서버로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irs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559384 (2006.03.10.) relates to an air pollution area notification system using telematics, AQ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detect the pollution level of the outside air of the vehicle, and built-in FATC of the vehicl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receives the signal measured by the AQS, decides whether to enter the bet mode or the outside air mode, and sends it to the FRE-REC actuator, and operates the FRE-REC actuator from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o the bet mode or outside air mode. The main technical feature is to include a telematics terminal that sense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transmits it to a server of an information center.

즉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에서 외부 공기의 오염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한 오염 정도에 따라 외기모드로 할지 내기모드로 할지 결정하여 동작하는 시스템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That is, the prior art describes a system that detects pollution information of outside air in a vehicle,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outside air mode or the bet mode according to the detected pollution level, and operates.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830794호(2018.04.04.)는 IoT 기반의 자외선 및 미세먼지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저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자외선 지수, 미세먼지 농도 및 온도/습도와 같은 환경 정보를 계측하며, 기상청 서버 컴퓨터로부터 기상청 정보를 수집하여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마트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상기 환경 정보를 표시하고, 계측된 환경 정보의 추이를 표시하고, 통신 연결을 위한 환경을 설정하며, 상기 자외선 지수 및 미세먼지 농도가 임계치 이상이 되었을 때 알람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계측된 환경정보 추이를 다른 이동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개방형 IoT 플랫폼 기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830794 (2018.04.04.) relates to an IoT-based ultraviolet and fine dust alarm system, receiv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ultraviolet index,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humidity. A smart device configured to measure, collect meteorological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computer and outpu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 device, display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 the trend of the measured environmental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set an environment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generate an alarm signal when the UV index and fine dust concentration exceed a threshold,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environmental information trend of the mobile terminal. The main technical feature is to include an open IoT platform-based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allows sharing with other mobile terminals.

즉 상기 선행기술은 유저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자외선 지수, 미세먼지 농도, 온도/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계측하여 이동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환경 정보 추이를 표시하고, 자외선 지수 및 미세먼지 지수가 임계치 이상이 되었을 때 알람을 표시하며, 개방형 IoT 플랫폼 기반 서버를 통해 다른 이동 단말기들과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prior art collects user's location information, measure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UV index, fine dust concentration, temperature/humidity, and displays environmental information trends in real time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the UV index and fine dust index are threshold values. It displays an alarm when something goes wrong, and describes a system that shares information with other mobile terminals through an open IoT platform-based server.

이상에서 선행기술들을 검토한 결과, 상기 선행기술은 자동차의 실내에 공급될 공기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실내의 공기를 조절하는 구성, 이동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환경정보와 환경 정보 추이를 표시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기재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생성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TPEG 기술을 이용하여 각 차량에 제공하고, 상기 차량에서 상기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로부터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후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함으로써,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ior art in the above, the prior art is a configuration that automatically selects air to be supplied to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controls the indoor air, and a configuration that displays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ends in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a mobile terminal. It is only described. On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ach vehicle with information on the pollution level of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generated by collecting from a plurality of IoT sensors to each vehicle using TPEG technology, and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from the vehicle By creating a distribution map and checking the pollution leve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expected to pass, when a vehicle enters a contaminated area, an alarm is issued and the inflow of external air is automatically blocked. Therefore, the prior art does not describe or suggest such 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국제 표준화 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 표준인 교통여행정보 제공 프로토콜인 TPEG 기술을 활용하여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오염도 정보를 측정하는 각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운행 중인 각 차량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and pollution degree of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using TPEG technology,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transportation travel information,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standardization (ISO). Its purpose is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ensor that measures information to each vehicle in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복수의 IoT 센서를 통해 수집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황사,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에 대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각 IoT 센서의 위치정보와 함께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DMB 방송 서버를 통해 TPEG 데이터로 해당 지역을 운행하는 각 차량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for fine dust, ultrafine dust, yellow dust, ozone,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sulfur dioxide, etc., collected through a plurality of IoT sensors from a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other purpose is to classify each region together with information and provide TPEG data to each vehicle operating a corresponding region through a DMB broadcasting server.

또한 본 발명은 TPEG 기술을 통해 해당 지역의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오염도 정보를 측정하는 각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은 차량용 단말에서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차량이 현재 위치한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다음, 상기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차량이 기준 이상의 오염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외부공기가 차량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verlaps with road information in a vehicle terminal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ensor that measur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n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 a corresponding area through TPEG technology to map the pollution distribution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located. Another object is to check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generate an alarm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a contaminated area above the standard and block external air from entering the vehicle. To do.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IoT 센서에서 측정하는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오염도 정보를 측정하는 각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TPEG 기술을 통해 각 차량에 제공할 때, 일정 주기 내에서 데이터를 분산하여 송출하되, 동일한 IoT 센서 위치에 대해서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변경되거나 또는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의 차분값만을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트래픽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용량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measur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ensor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provides them to each vehicle through TPEG technology, at a certain period. In addition, it is another idea to enable large-capacity transmission while suppressing traffic increase as much as possible by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data within the same IoT sensor location by chang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er unit time or transmitting only the difference value of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er unit time.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복수의 IoT 센서를 통해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오염도 정보를 측정하는 각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다음, 상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TPEG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을 운행하는 각 차량에 제공하면, 상기 차량에서 상기 오염 분포도를 참조하여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가 차량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by overl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ensor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and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collected through a plurality of IoT sensors i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with road information. Next, if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is provided to each vehicle running in the corresponding region using TPEG technology, the vehicle enters the pollution area by checking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intended to pass by referring to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in the vehicle. In this case, another purpose is to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vehicle while performing an alarm.

또한 본 발명은 TPEG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를 추가할 필요 없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차량이 운행하는 방향의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TPEG technology, it is another object to be able to check the pollution level of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 the direction the vehicle is traveling through the existing navigation device without the need to add a separate hardware device.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복수의 IoT 센서에서 측정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복수의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는, 상기 DMB 방송 서버에서 TPEG 데이터로 변환되어 해당 지역에 위치한 차량용 단말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he TPEG standard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air environments and odors measur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the collected air environment And an information generator that generates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ased on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odo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generated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o a DMB broadcasting server, wherein the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converted into TPEG data in the DMB broadcasting server and transmitted to a vehicle terminal located in a corresponding region.

또한 상기 차량용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가 포함된 TPEG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에 포함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IoT 센서의 위치정보에 도로정보를 오버랩하여 차량이 현재 위치한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다음, 상기 생성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extracts TPEG data including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from the DMB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nd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cluded in the extracted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the IoT sensor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located is generated by overlapping the road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nd then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expected to pass is checked from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when the checked pollution degre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that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and performs an alarm while blocking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vehicle.

또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상기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할 때, 상기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일정 주기 내에서 분산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되, 동일한 IoT 센서의 위치에 대해서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변경되거나, 또는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의 차분값만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래픽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용량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when provid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allows the regional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within a certain period, but at the same location of the IoT sensor. For each unit time,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is changed or only the difference value of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by unit time can be transmitted, thereby suppressing an increase in traffic as much as possible and enabling large-capacity transmission.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IoT 센서의 위치정보, 종류, 측정 주기, 고장발생여부, 동작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관리하는 IoT 센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oT sensor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ypes, measurement periods, failure occurrence status, oper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는 오염 분포도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압축, 코딩한 후 상기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DMB 방송 서버에서 압축, 코딩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해당 지역에 위치한 차량용 단말로 송출되도록 하며, 상기 차량용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가 포함된 TPEG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by overlapp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smell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with road information, th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compresses and codes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and then provides it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thereby converting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compressed and coded by the DMB broadcasting server into TPEG data, and then for vehicle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The vehicle terminal extracts TPEG data including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from the DMB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nd checks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passage plan from the extrac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the When the checked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threshold,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and an alarm is performed while blocking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vehicle.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복수의 IoT 센서에서 측정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복수의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는, 상기 DMB 방송 서버에서 TPEG 데이터로 변환되어 해당 지역에 위치한 차량용 단말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he TPEG standard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for collect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measur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Collection step,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collecte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providing the generate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And a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wherei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converted into TPEG data in the DMB broadcasting server and transmitted to a vehicle terminal located in a corresponding region.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가 포함된 TPEG 데이터를 추출하는 TPEG 데이터 추출 단계, 상기 추출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에 포함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IoT 센서의 위치정보에 도로정보를 오버랩하여 차량이 현재 위치한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다음, 상기 생성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는 오염도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차단하는 경보 및 차량환기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includes, at the vehicle terminal, extracting TPEG data inclu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from a DMB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air environment and smell included in the extracte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Pollution level confirmation step of generating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located by overlapping road information with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and then checking the pollution leve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expected to pass from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When the checked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and an alarm and vehicle ventilation control step of blocking the vehicle inflow of external air while performing an alarm are confirmed.

또한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상기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할 때, 상기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일정 주기 내에서 분산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되, 동일한 IoT 센서의 위치에 대해서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변경되거나, 또는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의 차분값만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래픽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용량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whe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generated in the information generating step is provided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can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within a certain period, but the location of the same IoT sensor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unit time is changed, or only the difference value of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unit time can be transmitted, thereby suppressing an increase in traffic as much as possible and enabling large-capacity transmission.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IoT 센서의 위치정보, 종류, 측정 주기, 고장발생여부, 동작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관리하는 IoT 센서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n IoT sensor management step of managing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ype, measurement period, failure occurrence, oper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i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는 오염 분포도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압축, 코딩한 후 상기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DMB 방송 서버에서 압축, 코딩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해당 지역에 위치한 차량용 단말로 송출되도록 하며, 상기 차량용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가 포함된 TPEG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comprises, i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overlap with road information to generate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A generation step further comprises a generation step,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includes compressing and coding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and then providing it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so that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compressed and coded by the DMB broadcasting server is TPEG data. And then transmitted to a vehicle terminal located in a corresponding region, and the vehicle terminal extracts TPEG data including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from the DMB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nd passes the vehicle from the extrac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Checking the pollution leve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if the checked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confirming that the vehicle enters the polluted area and performing an alarm while blocking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vehicle.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따르면, 운행 중인 차량에서 DMB 방송신호에 포함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각 IoT 센서별 위치정보를 토대로 운행 지역의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오염 분포도를 직접 생성하거나, 또는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생성한 해당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수신한 다음, 상기 오염 분포도를 토대로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여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면 알람, 표시 등의 경보를 수행하면서 자동으로 외부공기 차단 및 실내공기 순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오염지역을 이동하는 차량 운전자나 동승자가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차량 운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he TPEG standar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cluded in the DMB broadcast signal from the vehicle in oper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IoT sensor. Directly generate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by overlapping the road information of the driving area, or receive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generated by overlapping the road information from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then calculate the pollution level in the intended direction of passing the vehicle based on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When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it automatically shuts off the outside air and circulates indoor air while performing an alarm, indication, etc., so that the driver or passenger of a vehicle moving in the contaminated area is not exposed to contaminated ai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ehicle can be operated in a pleasant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서와 같이 차량의 빠른 이동상황이나 진행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뒤늦은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의 제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오염도 정보의 불일치 및 부정확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장치의 추가 없이 기존의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차량이 운행하는 특정 지역의 오염도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inconsistency and inaccuracy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caused by the provision of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belated air environment and odor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fast moving situation or direction of the vehicle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pollution level of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vehicle is operated through an existing navigation device without adding a hardwar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단말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데이터 압축과 관련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차량용 단말에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he TPEG standard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of FIG. 1 in more detail.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of FIG. 1 in more detail.
5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an operation process of a method of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ing process related to data compress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checking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in the vehicle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TPEG 기술을 이용한 오염도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using the TPEG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In addition,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The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is desirable not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conceptual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providin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 복수의 IoT 센서(200), DMB 방송 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 차량용 단말(500) 등으로 구성된다.1 and 2,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a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a DMB broadcasting server 300, a database 400, a vehicle terminal 500, etc. Consists of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 개의 IoT 센서(200)와 각각 유무선으로 통신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에서 측정하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황사,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의 대기환경에 대한 오염도 정보 및 악취와 관련한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수신한 다음, 상기 수신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상기 IoT 센서(200) 각각의 위치정보(즉 GPS 정보)를 참조하여 각 지역별로 구분한 오염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network, and fine dust, ultrafine dust, yellow dust, ozone,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After receiv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such as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sulfurous acid gas, etc., and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smell related to odor,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pollution level 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d odor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IoT sensors 200 By referring to (that is, GPS information), pollution level information classified for each region is generated.

또한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생성한 오염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DMB 방송 서버(300)로 전송하여, 상기 DMB 방송 서버(300)에서 상기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TPEG 기술을 통해 각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용 단말(500)로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용 단말(500)에서 TPEG 기술을 통해 송출된 상기 오염도 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위치하는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후 상기 오염 분포도를 참조하여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차량이 오염지역을 이동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통해 표시되는 오염도는 숫자로 된 디지털 데이터, 리니어한 곡선 형태의 아날로그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형태로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generated by dividing each region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and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transmits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hrough TPEG technology. Provides to the vehicle terminal 500 passing through each area, and generates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based o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500 through TPEG technology, and then refers to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By doing so, it checks the degree of pollution in the direction the vehicle is expected to pass through, and when the vehicle moves to the contaminated area as a result of the check, it alerts the driver and automatically blocks the inflow of the vehicle from outside air. Here, the pollution degree displayed through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may be variously displayed in a form including digital data in numeric form, analog data in the form of a linear curve, or a combination thereof.

즉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IoT 센서(200)에서 측정하는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복수의 IoT 센서(20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DMB 방송 서버(300)를 통해 TPEG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각 차량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량에서 상기 오염도 정보에 포함된 해당 지역의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오염도 정보를 측정하는 각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는 도로정보에 오버랩하여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다음, 상기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할 지역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보다 높음을 시각, 청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경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공기가 차량 내로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ased on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and By providing to each vehicle passing through the area using TPEG technology through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the vehicle measure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nd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bout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of the corresponding area included i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ensor is overlapped with pre-stored road information to generate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then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intended vehicle passage is checked from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when the vehicle moves to the pollution area, A warning is made through visual, audible, or a combination of the level of pollution that is hig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data,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vehicle.

이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서, 차량의 빠른 이동상황이나 진행방향을 고려하지 않음으로 인한 뒤늦은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의 제공으로 인해 발생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인 차량의 현재 위치와 오염도 정보의 불일치 및 부정확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정확한 오염도 정보의 제공 및 차량환기 제어를 토대로 오염지역을 이동하는 차량 운전자나 동승자가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차량 운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is i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and pollution level of the vehicle, which is a conventional problem caused by the provision of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belated air environment and odor due to not taking into account the fast moving situation or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nconsistency and inaccuracies can be resolved, and vehicle drivers or passengers moving in a contaminated area are not exposed to contaminated air based on the provision of accurat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nd vehicle ventilation control, enabling vehicle operation in a pleasant environment. .

이때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상기 DMB 방송 서버(300)를 통해 TPEG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각 차량에 제공할 때,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의 데이터 량이 크기 때문에 트래픽 증가를 억제하면서 대용량 송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At this time, whe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provides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o each vehicle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region using TPEG technology through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the amount of data of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large. Therefore, it should be possible to perform mass transmission while suppressing traffic increase.

이를 위해서,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DMB 방송 서버(300)로 제공할 때, 일정 주기 내에서 데이터를 분산하여 송출하도록 하였고, 이 과정에서 동일한 IoT 센서 위치에 대해서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변경되거나 또는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의 차분값만을 송출하는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시간적 데이터 압축 및 코딩을 통해 트래픽 발생을 줄이면서 대용량의 데이터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방식 이외에도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오염으로 판단하는 기준치 이상일 경우 또는 오염도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큰 폭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한정해서 송출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도 있다.To this end, whe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provides it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the data is distributed and transmitted within a certain period. In this process, the same IoT sensor By introducing a method in which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by unit time is changed or only the difference value of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by unit time is transmitted for a loca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large amounts of data while reducing traffic generation through temporal data compression and coding.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introduce a method of transmitting only whe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unit time exceeds a standard value determined as pollution or whe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is significantly changed beyond a preset range.

한편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설명과 달리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직접 생성하여 상기 DMB 방송 서버(300)를 통해 각 차량용 단말(500)로 제공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may introduce and use a method of directly generating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and providing it to each vehicle terminal 500 through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즉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IoT 센서(200)로부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각 IoT 센서(20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한 후,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와 기 저장된 도로정보를 오버랩하여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상기 DMB 방송 서버(300)를 통해 TPEG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지역을 운행하는 각각의 차량용 단말(500)로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용 단말(500)에서 이를 수신하여 TPEG 데이터로 추출한 지역별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여 오염지역 경보 발생 및 외부공기 유입을 차단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ensor 200, and then Each vehicle terminal operating a corresponding region by overlapping regional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nd previously stored road information to generate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and applying TPEG technology to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through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500, and the vehicle terminal 500 receives it and checks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s intended passage from the regional pollution distribution map extracted as TPEG data to generate an alarm for the contaminated area and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

이때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상기 DMB 방송 서버(300)를 통해 TPEG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각 차량에 제공할 때,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제공할 때 수행하였던 방식과 마찬가지로 압축 및 코딩을 수행하여 트래픽 증가를 억제하고 대용량 송출을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는 상기 설명한 오염도 정보와 달리 맵 정보이기 때문에 데이터 량이 훨씬 크지만, 전체 맵 정보를 시간적 및 공간적인 데이터 압축 및 코딩을 수행하면 데이터 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압축 및 코딩 방식은 상기 설명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provides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area to each vehicle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area using TPEG technology through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it is performed when provid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area. Like the previous method, compression and coding should be performed to suppress increase in traffic and perform large-capacity transmission. Here, since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is map information, unlike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data is much larger, but the amount of data can be greatly reduced by performing temporal and spatial data compression and coding on the entire map information. Since the compression and coding scheme is the same as the above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 각각의 위치정보, 종류, 측정 주기, 고장발생여부, 동작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지속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고장 발생 여부의 확인이나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continuously stores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ype, measurement period, failure occurrence, oper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in the database 400. By storing and managing them, it is possible to support to check whether a failure has occurred or to perform maintenance smoothly.

상기 IoT 센서(200)는 도로 주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와 유무선으로 통신 접속되어 있으며, 설치 지역의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의 요청에 의해 측정한 후, 상기 측정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A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are installed around the road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connected to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via a network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pollution level of the air environment and smell of the installation area After measuring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or at the request of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the measured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s transmitted to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또한 상기 IoT 센서(200)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황사,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의 대기환경은 물론, 냄새를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내부에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등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oT sensor 20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odors as well as atmospheric environments such as fine dust, ultrafine dust, yellow dust, ozone,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sulfurous acid gas, etc., and the pollution level therein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and a memory in which an operation program is stored are provided.

이때 상기 IoT 센서(200)는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면과 가까운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로 주변 이외에 건물, 주택 등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oT sensor 20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place close to the groun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d odor,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buildings and houses in addition to the vicinity of the road.

상기 DMB 방송 서버(300)는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방송신호에 실어 각 지역에 위치하는 차량용 단말(500)로 송출한다.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converts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provided from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into TPEG data, loads it in a broadcast signal, and transmits it to a vehicle terminal 500 located in each region.

이때 상기 DMB 방송 서버(300)는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 전체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하여 방송신호에 실어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TPEG을 통해 송출하는 데이터가 크기 때문에 데이터 량을 줄이기 위해서 특별시, 광역시 및 도 단위의 광역별이나 시군구 단위별로 나누어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한 후 해당 지역에 방송하는 방송신호에 실어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단위 지역별로 송출되는 방송신호에 해당 지역에 관련된 오염 분포도 정보를 실어 송출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may convert the entir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nto TPEG data and transmit it to the broadcasting signal. However, this is because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PEG is large, so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It is desirable to convert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nto TPEG data by dividing it by region or by city, county, and ward unit, and transmit it on a broadcast signal broadcast to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pollution related to the region is transmitted to the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d by large-scale regions.

한편 상기 DMB 방송 서버(300)는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형태의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가 제공되면, 상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방송신호에 실어 각 지역에 위치하는 차량용 단말(500)로 송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converts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into TPEG data when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in a form is provided from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and loads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into TPEG data to be located in each reg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500.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의 관리정보,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되는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 또는 오염 분포도,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동작프로그램 등을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database 400 include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r pollution distribution for each region generated by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Store and manage operation programs.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일반 차량에서 사용하는 통상적인 내비게이션 단말로서, 상기 DMB 방송 서버(300)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추출한 TPEG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지역별 오염도 정보에 포함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오염도 정보를 측정하는 각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는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다.The vehicle terminal 500 is a general navigation terminal used in a general vehicle, receiving a DMB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d in the TPEG data extracted from the received DMB broadcast signal.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area is check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ensor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n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cluded in the checked area pollution level information is overlapp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road information to pollute each area. Generate a distribution plot.

또한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차량 내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측정한 속도, 가속도, 조향각 등의 센싱정보를 통해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을 확인한 후, 상기 지역별 오염 분포도에서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오염도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의 오염지역에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면 소리, 표시 등의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순환모드를 내부순환모드로 전환하여 외부공기가 차량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500 checks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sensing information such as speed, acceleration, and steering angle measured by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n checks the pollution level in the intended direction of passing the vehicle from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And, by comparing the checked pollution level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enters a contaminated area that exceeds a preset standard, and when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 alarm such as a sound or an indication is performed and the external circulation mode Switch to the internal circulation mode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entering the vehicle.

또한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추출한 TPEG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설명한 지역별 오염도 정보가 아닌 맵 형태의 오염 분포도인 경우,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를 통해 확인한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상기 오염 분포도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오염도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면 경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차단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PEG data extract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s not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described above, but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in the form of a map, the vehicle terminal 500 checked through various sensors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pollution degree in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is checked from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the checked pollution degree is compared with a preset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enters the polluted area,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vehicle enters the polluted area, an alarm is issued and external Control to block air from entering the vehicle can be performed.

한편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와 DMB 방송 서버(300)는 동일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거나 기술적 제휴관계가 설정되는 경우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and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may be integrated into one when operated by the same operator or when a technical alliance is established.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차량에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를 추가할 필요 없이 기존에 사용하였던 내비게이션 장치인 차량용 단말(500)의 사용을 통해 차량이 이동하는 지역의 정확하고 신속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ccurate and rapid air environment and odor pollution information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 moves through the use of the vehicle terminal 500, which is a previously used navigation device without the need to add a separate hardware device to each vehicle. Can be provided.

이러한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provi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he TPEG standard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s follows.

먼저, 도로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IoT 센서(200) 각각에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황사,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의 대기환경에 대한 오염도는 물론, 냄새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①).Firs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road,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environment such as fine dust, ultrafine dust, yellow dust, ozone,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sulfurous acid gas, as well as the pollution degree of odors is determined. Measured, and transmits the measured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to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①).

그러면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에서 수행하는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이를 측정한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 각각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한다(②).The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collects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performed by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and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and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measuring the same.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ensors 200,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generated (②).

또한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각 지역별 오염도 분포를 DMB 방송 서버(300)로 전송하여, 상기 DMB 방송 서버(300)에서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상기 변환한 TPEG 데이터를 방송신호에 실어 각 지역에 위치하는 차량용 단말(500)로 송출한다(③).In additio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the pollution degree distribution for each region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and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received from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is TPEG. After the data is converted, the converted TPEG data is loaded onto a broadcast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500 located in each region (③).

한편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상기 DMB 방송 서버(300)에서 송출하는 DMB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DMB 방송신호에서 TPEG 데이터를 추출하여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지역별 오염도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에서 측정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이를 측정한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 각각의 위치정보와 기 저장되어 있는 도로정보를 오버랩하여 해당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다(④).Meanwhile, the vehicle terminal 500 receives the DMB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and then extracts TPEG data from the DMB broadcasting signal to check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is included i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f the air environment and smell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measured by overlapping the previously stored road information, and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Create (④).

또한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차량 내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센서에서 측정한 속도, 가속도, 조향각 등의 센싱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지역별 오염 분포도에서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⑤).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500 checks sensing information such as speed, acceleration, and steering angle measured by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vehicle to confirm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Check the pollution level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⑤).

또한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상기 확인한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상기 차량이 기준 이상의 오염지역에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소리, 표시 등의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순환모드를 내부순환모드로 전환하여 외부공기가 차량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한다(⑥).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5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a contaminated area above the standard by exceeding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the level of pollution in the direction of the intended passage of the vehicle exceeds a preset threshold. While performing the alarm of, the external circul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internal circulation mode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entering the vehicle (⑥).

한편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추출한 TPEG 데이터가 지역별 오염도 정보가 아니라 맵 형태의 오염 분포도를 직접 제공받는 경우, 상기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오염도와 기 설정된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한 오염지역 통과 여부를 확인하며, 오염지역을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수행하면서 차량환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PEG data extracted from the DMB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s directly provided with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in the form of a map instead of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he vehicle terminal 500 checks the pollution level in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o pass the polluted area by comparing the checked pollution degree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lluted area is passed, the vehicle ventila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while performing an alarm.

도 3은 상기 도 1의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of FIG. 1 in more detai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정보 수집부(120), 정보 생성부(130), 정보 제공부(140), IoT 센서 관리부(150), 저장부(160), 오염 분포도 생성부(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10,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and an IoT sensor management unit 150. ), a storage unit 160,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170, and the like.

또한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구성 부분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각종 기능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각 구성 부분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each component, an input unit for inputting data for various functions, an updat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updates of various operation programs, each componen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art overall.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IoT 센서(200)와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 구동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DMB 방송 서버(300)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10 transmits/receives data related to driving control, information on pollution levels of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with a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that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s/receives data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on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와 상기 정보 생성부(130)에서 처리하는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 상기 IoT 센서 관리부(150)에서 수행하는 관리 정보 등의 저장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10 includes data for storage and management of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processed by the database 400 and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and management information performed by the IoT sensor management unit 150. Transmit and receive.

상기 정보 수집부(120)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복수의 IoT 센서(200)로부터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대기환경 오염도 정보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황사,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에 대한 측정 정보이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collects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from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10. At this time, th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is measurement information on fine dust, ultrafine dust, yellow dust, ozone,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sulfurous acid gas,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120)는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전송받거나,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의 측정을 요구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periodically receiv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from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o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through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Can be transmitted by requesting the measurement of.

상기 정보 생성부(130)는 상기 정보 수집부(120)에서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지역에 따라 구분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refers to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and divides each region according to each region. Generat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정보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DMB 방송 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10.

즉 상기 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상기 DMB 방송 서버(300)에서 TPEG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지역에 위치한 차량용 단말(500)로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is converted into TPEG data in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500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이때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정보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상기 DMB 방송 서버(300)로 제공할 때, 트래픽 증가를 억제하면서 대용량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일정 주기 내에서 분산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동일한 IoT 센서의 위치에 대해서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변경되거나, 또는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의 차분값만을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도 6 참조)At this time, whe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provide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in order to suppress an increase in traffic and enable mass transmissio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by region can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within a certain period, and in this process,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er unit time can be changed for the location of the same IoT sensor, or only the difference value of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er unit time can be transmitted. (See Fig. 6)

즉 시간적 데이터 압축 및 코딩을 통해 트래픽 발생을 줄이면서 대용량의 데이터 송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데이터 압축 및 코딩을 수행할 때, 상기 설명한 방식 이외에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오염으로 판단하는 기준치 이상이거나,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큰 폭으로 변경될 때 데이터를 송출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rough temporal data compression and coding, it is possible to transmit large amounts of data while reducing traffic generation. Here, when performing data compression and cod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have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unit tim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andard value determined to be pollution, or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unit time may be significantly changed beyond a preset range. Of course,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such as transmitting data at the time.

상기 IoT 센서 관리부(150)는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의 위치정보, 구비된 센서의 종류, 측정 주기, 고장발생여부, 동작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의 구동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oT sensor management unit 150 stores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types of sensors, measurement periods, failure occurrence, oper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to the database 400. It stores and manages, and performs a function of directly or indirect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하는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 상기 정보 생성부(130)에서 생성하는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 등을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orage unit 160 stores various operation programs used i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and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nd 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t performs a function of temporarily stor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generated in (130).

상기 오염 분포도 생성부(170)는 상기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를 통해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이를 측정하는 각각의 IoT 센서(200)의 위치정보에 기 설정된 도로정보를 오버랩하여 맵 형태의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다.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170 includ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coll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nd each of the IoT sensors 200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By overlapping the preset road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in the form of a map is created.

이때 상기 오염 분포도 생성부(170)에서는 소정의 범위(예를 들어 10Km2)를 하나의 지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지역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IoT 센서(200)에서 측정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IoT 센서(200)가 설치된 위치에 표시하여 오염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도 7 참조)At this time,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170 sets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10Km 2 ) as one area, and the air environment and smell measur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disposed in the area ar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t the location where the IoT sensor 200 is installed to generate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see FIG. 7).

즉 상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는 해당 지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IoT 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오염도 정보(즉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측정 정보)가 표시된 정보이다. 여기서 상기 오염도 정보는 각각의 IoT 센서(200)에서 수행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디지털 형태의 숫자 정보로 표시하거나, 또는 그래프나 선 등의 아날로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is information on which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ie,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of a loc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oT sensors existing in a corresponding region is installed is displayed. Here,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digital numerical information, or in an analog form such as a graph or a line, for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performed by each IoT sensor 200.

이와 같이 상기 오염 분포도 생성부(170)에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면,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압축 및 코딩한 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DMB 방송 서버(300)로 전송한다. 즉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제공할 때 수행하였던 방식과 마찬가지로 전체 맵 정보를 시간적 및 공간적인 압축 및 코딩을 수행하여 트래픽 증가를 억제하고 대용량 송출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170 generates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compresses and codes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and then,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10. It is transmitted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In other words, similar to the method used to provid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he entire map information is temporally and spatially compressed and coded to suppress an increase in traffic and perform large-capacity transmission.

한편 상기 오염 분포도 생성부(170)는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에서 복수의 IoT 센서(200)로부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각 IoT 센서(200)의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맵 형태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이므로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Meanwhile,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170 set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by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oT sensor 200 in advance.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n optional configuration used when creating a map-type pollution distribution map by overlapping road information, so it may not be us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도 4는 상기 도 1의 차량용 단말(5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500 of FIG. 1 in more detai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수신부(510), TPEG 데이터 추출부(520), 센서(530), 오염 분포도 생성부(540), 오염지역 확인부(550), 표시부(560), 경보부(570), 차량환기 제어부(580), 저장부(5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vehicle terminal 500 includes a receiving unit 510, a TPEG data extracting unit 520, a sensor 530,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540, a contaminated area check unit 550, and a display unit. 560, an alarm unit 570, a vehicle ventilation control unit 580, a storage unit 590, and the like.

또한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구성 부분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각종 기능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각 구성 부분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vehicle terminal 5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to each component part, an input unit for inputting data for various functions, an updat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updates of various operation programs, and each component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verall.

상기 수신부(510)는 상기 DMB 방송 서버(300)에서 송출하는 DMB 방송신호를 수신한다.The receiver 510 receives a DMB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MB broadcast server 300.

상기 TPEG 데이터 추출부(520)는 상기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TPEG 데이터를 추출하여 차량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오염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오염도 정보를 상기 오염 분포도 생성부(540)로 출력한다.The TPEG data extraction unit 520 extracts TPEG data from the DMB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unit 510 to check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located, and use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into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 540).

상기 센서(530)는 차량 내에 구비된 속도센서, 가속도센서, 조향센서 등을 포함한 각종 센서로서, 속도, 가속도, 조향각 등의 센싱정보를 상기 오염지역 확인부(550)로 출력한다.The sensor 530 is a variety of sensors including a speed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steering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outputs sensing information such as speed, acceleration, and steering angle to the contaminated area identification unit 550.

상기 오염 분포도 생성부(540)는 상기 TPEG 데이터 추출부(520)에서 추출한 지역별 오염도 정보에 포함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IoT 센서의 위치정보에 기 저장되어 있는 도로정보를 오버랩하여 차량이 현재 위치한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오염 분포도를 상기 오염지역 확인부(550)로 출력한다.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540 overlap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cluded in the regional pollution level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TPEG data extraction unit 520 and roa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located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is output to the pollution area check unit 550.

상기 오염지역 확인부(550)는 상기 센서(530)로부터 제공받은 센싱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오염 분포도 생성부(540)에서 생성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오염도를 상기 표시부(560)를 통해 표시한다.The pollution area check unit 550 checks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or 530, and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ed by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540 is used to determine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ollution degree is checked, and the confirmed pollution degre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560.

또한 상기 오염지역 확인부(550)는 상기 오염 분포도로부터 확인한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오염도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여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보부(570)를 통해 오염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경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차량환기 제어부(580)를 통해 외부공기가 차량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pollution area check unit 550 determines whether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vehicle, which is checked from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exceeds a preset threshold,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ollution degre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nd the vehicle is polluted. When it is determined to enter the area, an alarm notifying that the contaminated area has been entered is performed through the alarm unit 570, and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ventilation control unit 580 controls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entering the vehicle.

한편 상기 오염지역 확인부(550)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자체적으로 생성하지 않고, 상기 TPEG 데이터 추출부(520)로부터 차량이 위치한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직접 제공받는 경우, 상기 오염 분포도로부터 상기 센서(530)로부터 제공받은 센싱정보를 토대로 확인한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오염도와 임계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차량환기 제어부(580)를 통해 외부공기가 차량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mination distribution map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is directly provided from the TPEG data extraction unit 520 without generating the contamina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area as described above, the contamination area identification unit 550 The pollution level of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upposed to pass is check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or 53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pollution area through comparison of the pollution degree and a threshold value, an alarm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so that external air does not flow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ventilation control unit 580.

이러한 상기 오염지역 확인부(550)의 동작은 상기 DMB 방송 서버(300)로부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직접 제공받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이므로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polluted area check unit 550 is an optional configuration used only when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area is directly provid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it may not be us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상기 표시부(560)는 상기 오염지역 확인부(550)에서 확인한 현재 차량이 위치하는 지역의 오염도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play unit 560 display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located, which has been checked by the contamination area check unit 550,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it.

상기 경보부(570)는 스피커, 진동자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오염지역 확인부(550)의 확인결과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소리, 진동 등을 발생시켜 경보를 수행한다.The alarm unit 570 includes a speaker, a vibrator, and the like, and when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by the contaminated area check unit 550, it generates sound and vibration to perform an alarm.

또한 상기 경보부(570)는 상기 표시부(560)의 화면을 깜박거리거나 경보 문구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경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unit 570 may alarm that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through a method such as blink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560 or displaying an alarm phrase on the screen.

상기 차량환기 제어부(580)는 상기 오염지역 확인부(550)의 확인결과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현재 차량의 환기모드를 확인하고, 외부순환모드인 경우 내부순환모드로 변경하여 외부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vehicle ventilation control unit 580 checks the current ventilation mod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by the contaminated area checking unit 550, and changes to the internal circulation mod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Blocks entry into the vehicle.

상기 저장부(590)는 상기 차량용 단말(500)에서 사용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 오염 판단을 위한 임계값, 도로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DMB 방송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방송신호에서 추출한 오염도 정보 또는 오염 분포도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590 stores various operation programs used by the vehicle terminal 500, a threshold value for pollution determination, road information, etc., and the degree of pollution extracted from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It stores information or pollution distribution map.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Next,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he TPEG standard technolog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At this time, the order of each step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by a use environment 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데이터 압축과 관련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차량용 단말에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process of a method for provi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ss related to data compress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checking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in the vehicle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도로 주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IoT 센서(200)에서 측정하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황사,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의 대기환경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다(S100).First,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is applied to atmospheric environments such as fine dust, ultrafine dust, yellow dust, ozone,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sulfur dioxide, etc., measur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road.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and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odor is collected through the network (S100).

또한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S100 단계에서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이를 측정한 상기 복수의 IoT 센서(200) 각각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한다(S200).In additio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y referring to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collected in step S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measuring the same. (S200).

또한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S200 단계를 통해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압축 및 코딩하여 DMB 방송 서버(300)로 제공하며(S300), 상기 DMB 방송 서버(300)는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상기 변환한 TPEG 데이터를 방송신호에 실어 각 지역에 위치하는 차량용 단말(500)로 송출한다(S400).In additio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compresses and codes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generated through the step S200 and provides it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S300), and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provides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provided from the providing server 100 is converted into TPEG data, and then the converted TPEG data is loaded on a broadcast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500 located in each region (S400).

이때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DMB 방송 서버(300)를 통해 TPEG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각 차량에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제공할 때, 트래픽 증가를 억제하면서 대용량 송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압축 및 코딩하여 상기 DMB 방송 서버(300)로 제공한다.At this time, whe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provides each area-specific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each vehicle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area using TPEG technology through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it performs large-capacity transmission while suppressing traffic increase.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compressed and coded so that it can be provided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에서 정해진 주기별로 10개의 단위시간으로 나누어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압축 및 코딩하고, 이렇게 처리한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DMB 방송 서버(300)를 통해 TPEG 데이터로 변환하여 차량용 단말(500)로 전송한다고 가정한다.If this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first,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divides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by region by dividing it into 10 unit time periods, and then compresses and codes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t is assumed that TPEG data is converted through 300)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500.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첫 번째 단위시간 t 시간에는 해당 지역에 위치한 각각의 IoT 센서(200)에서 측정한 모든 오염도 정보(예를 들어, 천개) 풀 세트를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다음 t+1 시간부터 t+9 시간의 단위시간까지는 동일한 IoT 센서의 위치에 대해서, 현재 단위시간의 각 IoT 센서별 오염도 정보와 이전 단위시간의 각 IoT 센서별 오염도 정보 중에서 오염도 정보가 변경된 것만 선택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차분값을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정해진 10개의 단위시간이 지나면 주기를 초기화하여 처음부터 반복하여 처리한다.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a full set of all pollution level information (eg, thousand pieces) measured by each IoT sensor 200 located in a corresponding area at the first unit time t time. Then, for the location of the same IoT sensor from time t+1 to time t+9,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has changed amo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IoT sensor in the current unit time and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IoT sensor in the previous unit time. Select and transmit only or transmit the difference value. In addition, after 10 predetermined unit times, the cycle is initialized and the process is repeated from the beginning.

이에 따라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DMB 방송 서버(300)를 통해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TPEG으로 변환하여 각 차량용 단말(500)로 송출하는 과정에서, 트래픽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용량 송출이 가능해 진다.Accordingly,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0 converts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nto TPEG through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and transmits it to each vehicle terminal 500. It becomes possible.

한편,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상기 S400 단계를 통해 상기 DMB 방송 서버(300)에서 송출하는 DMB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TPEG 데이터를 추출하여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확인한다(S500).Meanwhile, the vehicle terminal 500 receives the DMB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300 through the step S400, and extracts TPEG data from the received DMB broadcasting signal to check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 S500).

또한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상기 S500 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지역별 오염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해당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IoT 센서(200)에서 측정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이를 측정한 각 IoT 센서(200)의 위치정보에 기 저장되어 있는 도로정보를 오버랩하여 해당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다(S600).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500 includ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measur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200 located in a corresponding area included i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area checked in step S500, and each IoT sensor measuring the same. By overlapping the roa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200),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generated (S600).

이후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내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센서에서 측정한 속도, 가속도, 조향각 등의 센싱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을 확인한 다음, 상기 S600 단계에서 생성한 지역별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한다(S700).Thereafter, the vehicle terminal 500 checks sensing information such as speed, acceleration, and steering angle measured by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vehicle as shown in FIG. 7 to confirm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n generates in step S600. From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vehicle in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is checked (S700).

이처럼 상기 S700 단계를 통해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한 이후,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상기 확인한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800). 즉 상기 차량이 기준 이상의 오염지역에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fter checking the pollution level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is scheduled to pass through the step S700, the vehicle terminal 500 determines whether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cheduled to pass through the check exceeds a preset threshold (S800).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enters a contaminated area above the standard.

상기 S80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소리, 표시 등의 경보를 수행하여 차량이 오염지역을 통과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현재 차량의 공기순환모드가 외부순환모드인지 내부순환모드인지를 판단한 다음, 외부순환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내부순환모드로 전환하여 외부공기가 차량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S90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0, when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the vehicle terminal 500 notifies the driver that the vehicle is passing through the contaminated area by performing an alarm such as sound or indication, and the current vehicle air circulation mode Is determined whether is the external circulation mode or the internal circulation mode, and if it is set to the external circulation mode, it is switched to the internal circulation mode so that external air does not flow into the vehicle (S900).

그리고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오염도 정보 제공 서비스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S500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1000).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500 repeats the step S500 until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s terminated (S1000).

한편 상기 설명과 달리, 상기 차량용 단말(500)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추출한 TPEG 데이터가 지역별 오염도 정보가 아니라 맵 형태의 오염 분포도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TPEG data extracted from the DMB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from the vehicle terminal 500 is not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ut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in the form of a map.

이 경우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차량 내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측정한 속도, 가속도, 조향각 등의 센싱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을 확인한 다음, 상기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의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오염도와 기 설정된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차량이 오염지역을 통과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차량이 오염지역을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용 단말(500)은 오염지역 통과에 대한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환기 제어를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vehicle terminal 500 checks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such as speed, acceleration, and steering angle measured by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n determines the pollution degree in the intended passage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After checking,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will pass through the contaminated area by comparing the checked pollution degree with a preset threshol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contaminated area, the vehicle terminal 500 performs vehicle ventilation control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while alarming about the passage of the contaminated area.

이처럼, 본 발명은 운행 중인 차량에서 DMB 방송신호에 포함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각 IoT 센서별 위치정보를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운행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직접 생성하거나, 또는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생성한 해당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수신한 다음, 상기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여 기준 이상의 오염지역에 진입하면, 경보를 수행하면서 자동으로 외부공기 차단 및 실내공기 순환을 수행함으로써, 오염지역을 이동하는 차량 운전자나 동승자가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지 않아 쾌적한 환경에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generates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a driving area by overlapp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cluded in the DMB broadcas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IoT sensor with road information, or provid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fter receiving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ed by overlapping the roa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check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when entering a pollution area above the standard, external air is automatically blocked and By performing indoor air circulation, a vehicle driver or passenger traveling in a contaminated area is not exposed to contaminated air, so that a vehicle can be used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서와 같이 차량의 빠른 이동상황이나 진행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뒤늦은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의 제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오염도 정보의 불일치 및 부정확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장치의 추가 없이 기존의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차량이 운행하는 특정 지역의 오염도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inconsistency and inaccuracy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caused by the provision of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belated air environment and odor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fast moving situation or direction of the vehicle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pollution level of a specific area in which the vehicle is operated through the existing navigation device without adding a hardware devi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available fro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belong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 1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 정보 수집부 130 : 정보 생성부
140 : 정보 제공부 150 : IoT 센서 관리부
160 : 저장부 170 : 오염 분포도 생성부
200 : IoT 센서 300 : DMB 방송 서버
400 : 데이터베이스 500 : 차량용 단말
510 : 수신부 520 : TPEG 데이터 추출부
530 : 센서 540 : 오염 분포도 생성부
550 : 오염지역 확인부 560 : 표시부
570 : 경보부 580 : 차량환기 제어부
590 : 저장부
100: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1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20: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0: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IoT sensor management unit
160: storage unit 170: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200: IoT sensor 300: DMB broadcasting server
400: database 500: vehicle terminal
510: receiver 520: TPEG data extraction unit
530: sensor 540: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550: contaminated area identification unit 560: display unit
570: alarm unit 580: vehicle ventilation control unit
590: storage unit

Claims (10)

복수의 IoT 센서에서 측정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복수의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는, 상기 DMB 방송 서버에서 TPEG 데이터로 변환되어 해당 지역에 위치한 차량용 단말로 송출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상기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할 때, 상기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정해진 각 주기별로 복수의 단위시간으로 각각 나누어 상기 각 주기 내에서 분산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각 주기의 첫 번째 단위시간에서는 해당 지역에 위치한 상기 각 IoT 센서에서 측정한 모든 오염도 정보를 송출하도록 하고, 나머지 단위시간에서는 동일한 IoT 센서의 위치에 대해서,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변경된 것만 선택하여 송출하거나, 또는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의 차분값만을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트래픽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용량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measur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An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y using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air environment and odo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Including;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generate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converted into TPEG data in the DMB broadcasting server and transmitted to a vehicle terminal located in the reg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When providing the generate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the regional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within each period,
In the first unit time of each cycle, all pollution level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of the IoT sensors located in the area is transmitted, and in the remaining unit time, only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changed by unit time is selected for the location of the same IoT sensor and transmitted. Or, by transmitting only the difference value of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er unit time, a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a TPEG standard technology,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large-capacity transmission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raffic as much as possi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가 포함된 TPEG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에 포함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IoT 센서의 위치정보에 도로정보를 오버랩하여 차량이 현재 위치한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다음, 상기 생성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terminal,
Extracting TPEG data inclu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from the DMB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through a network,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about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cluded in the extracted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road information are overlapp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to generate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located, and then the vehicle from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Check the pollution level in the direction of the intended passage,
When the checked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and an alarm is triggered to block the inflow of the vehicle from outside air.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IoT 센서에 대한 위치정보, 종류, 측정 주기, 고장발생여부, 동작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관리하는 IoT 센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An IoT sensor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ype, measurement period, failure occurrence, oper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ystem that provides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는 오염 분포도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압축, 코딩한 후 상기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DMB 방송 서버에서 압축, 코딩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해당 지역에 위치한 차량용 단말로 송출되도록 하며,
상기 차량용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가 포함된 TPEG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by overlapp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with road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compresses and codes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and provides it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converts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compressed and coded by the DMB broadcasting server into TPEG data, and then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The vehicle terminal extracts TPEG data including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from the DMB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through the network, checks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passage plan from the extrac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checks the When the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threshold,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and an alarm is performed to block the inflow of the vehicle from outside air. System to provide.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복수의 IoT 센서에서 측정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복수의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는, 상기 DMB 방송 서버에서 TPEG 데이터로 변환되어 해당 지역에 위치한 차량용 단말로 송출되며,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상기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할 때, 상기 지역별 오염도 정보를 정해진 각 주기별로 복수의 단위시간으로 각각 나누어 상기 각 주기 내에서 분산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각 주기의 첫 번째 단위시간에서는 해당 지역에 위치한 상기 각 IoT 센서에서 측정한 모든 오염도 정보를 송출하도록 하고, 나머지 단위시간에서는 동일한 IoT 센서의 위치에 대해서,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가 변경된 것만 선택하여 송출하거나, 또는 단위시간별 오염도 정보의 차분값만을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트래픽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용량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n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in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s measur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A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by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y us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air environment and odo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I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generate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o a DMB broadcasting server; Includ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converted into TPEG data in the DMB broadcasting server and transmitted to a vehicle terminal located in the reg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When providing the generate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the regional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within each period,
In the first unit time of each cycle, all pollution level information measured by each of the IoT sensors located in the area is transmitted, and in the remaining unit time, only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changed by unit time is selected for the location of the same IoT sensor and transmitted. Or, by transmitting only the difference value of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unit time, a method of provi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large-capacity transmission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raffic as much as possibl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가 포함된 TPEG 데이터를 추출하는 TPEG 데이터 추출 단계;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 상기 추출한 각 지역별 오염도 정보에 포함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IoT 센서의 위치정보에 도로정보를 오버랩하여 차량이 현재 위치한 지역의 오염 분포도를 생성한 다음, 상기 생성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는 오염도 확인 단계; 및
상기 차량용 단말에서, 상기 확인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차단하는 경보 및 차량환기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above method,
TPEG data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TPEG data including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from the DMB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through a network in the vehicle terminal;
In the vehicle terminal,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included in the extracte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overlap road information to generate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of the area where the vehicle is currently located, and then the generation A pollution degree checking step of confirming a pollution degre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is expected to pass from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In the vehicle terminal, an alarm and vehicle ventilation control step of blocking the vehicle inflow of external air while confirming that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when the checked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performing an alarm; A method of provi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a vehicle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IoT 센서에 대한 위치정보, 종류, 측정 주기, 고장발생여부, 동작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관리하는 IoT 센서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above method,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e IoT sensor management step of managing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ype, measurement period, failure occurrence, oper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A method of providing pollution level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PEG standard technolog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오염도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수집한 대기환경 및 냄새에 대한 오염도 정보와 상기 IoT 센서의 위치정보를 도로정보와 오버랩하여,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생성하는 오염 분포도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생성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압축, 코딩한 후 상기 DMB 방송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DMB 방송 서버에서 압축, 코딩된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를 TPEG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해당 지역에 위치한 차량용 단말로 송출되도록 하며,
상기 차량용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DMB 방송신호에서 상기 각 지역별 오염 분포도가 포함된 TPEG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오염 분포도로부터 차량 통과예정 방향의 오염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이 오염지역에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경보를 수행하면서 외부공기의 차량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above method,
In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by overlapping the pollution level information on the air environment and odor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oT sensor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with road information; Including more,
In the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the genera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is compressed and coded and then provided to the DMB broadcasting server, and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compressed and coded by the DMB broadcasting server is converted into TPEG data, and then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located,
The vehicle terminal extracts TPEG data including the pollution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from the DMB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DMB broadcasting server through the network, checks the pollution degre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passage plan from the extracted pollution distribution map, and checks the When the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threshold,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enters the contaminated area, and an alarm is performed to block the inflow of the vehicle from outside air. How to provide.
KR1020190001161A 2019-01-04 2019-01-04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 KR1022086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161A KR102208657B1 (en) 2019-01-04 2019-01-04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161A KR102208657B1 (en) 2019-01-04 2019-01-04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451A KR20200092451A (en) 2020-08-04
KR102208657B1 true KR102208657B1 (en) 2021-01-27

Family

ID=7204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161A KR102208657B1 (en) 2019-01-04 2019-01-04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57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02B1 (en) * 2009-04-23 2011-1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environment utilizing realtime data of road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environment using the same
KR101510619B1 (en) * 2013-04-23 2015-04-1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for controlling traffic flows considering atmospheric environment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GB2550974B (en) * 2016-06-03 2020-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vironmental monitoring
KR20180053287A (en) * 2018-05-09 2018-05-21 주식회사 멕서스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total air pollution combined with pre-installed structues on the gr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451A (en)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8871B1 (en) Internet of vehicles-based air quality detecting system
US10828959B2 (en) Controlling in-vehicle air quality
US10883974B2 (en) Method for providing air quality information
CN112437876B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objectivity of atmospheric pollutant monitoring data
CN107782564B (en) Automatic driving vehicl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CN101495861B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ravel conditions
US103172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llution mapping from variations data
KR101814188B1 (en) System for providing air quality map using transportation
CN106595757A (en)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JP6428668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KR2019006681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ing air quality information
RU2466460C2 (en) Computer-aided system of monitoring rail freightage
EP0622625A2 (en) System for monitoring air quality
JP2013257667A (en) Traffic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for traffic control system
JP2006133121A (en) Base section, air pollu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ir pollution prediction method, and ventilation device
EP3628972A1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a route
JP2009292247A (en) On-vehicle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server,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KR20150042034A (en) Mobile sensor based air quality measurement method
KR201800283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indoor air quality for vehicle
KR102426943B1 (en) Air pollutants ouput and fine dust monitoring Smart CCTV system of road vehicle
KR101414527B1 (en) Control system for railway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KR102158741B1 (en) Customiz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way for vehicle driver
KR102208657B1 (en) System for providing pollution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standard technology
KR102339691B1 (en) Intelligent centralized disaster control platform server for industrial estate
US20240109570A1 (en) Transportation operations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