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625B1 -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25B1
KR102208625B1 KR1020180098820A KR20180098820A KR102208625B1 KR 102208625 B1 KR102208625 B1 KR 102208625B1 KR 1020180098820 A KR1020180098820 A KR 1020180098820A KR 20180098820 A KR20180098820 A KR 20180098820A KR 102208625 B1 KR102208625 B1 KR 102208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pad
dial
tendon muscle
p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770A (ko
Inventor
차춘근
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자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자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자숨
Priority to KR102018009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elbow, e.g. decubitus ulce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꿈치나 발목 등의 건근육접합부에 형성된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지속 압박하여, 해당 통증부위의 건근육 긴장을 해소하는 개량된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통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건근육 접합부를 감싸는 조임패드와; 상기 조임패드의 양단을 연결하여 조임하여, 환형을 이룬 조임패드가 건근육 접합부를 조임하도록 하는 조임 연결부와; 상기 조임패드에 형성되어, 조임패드에 의해 조임된 건근육 접합부의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압박하는 국부 압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임 연결부는, 조임패드에 형성된 조임끈을 권취하여, 권취되는 조임끈에 의해 환형을 이룬 조임패드의 직경을 축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Muscular pain relieving device in which a tightening structure and a nociceptive structure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은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꿈치나 발목 등의 건근육접합부에 형성된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지속 압박하여, 해당 통증부위의 건근육 긴장을 해소하는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엘보우와 관련하여 나타내는 상병은 많이 있으나, 흔히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통증의 원인으로서는 외상과염과 내상과염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외상과염은 일반적으로 테니스 엘보우로 알려져 있으며, 복합적 원인이나 통상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미세한 스트레스 및 장력이 가해지면서 신전건(extensor tendon) 부착부인 골-건 접합부(bone-tendon junction)에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해당 근육 사용시 또는 휴식시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외상과염은 팔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팔꿈치의 바깥쪽에 통증을 느끼게 되며, 손목을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리거나 손목이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운동이나 동작을 반복하는 사람들에게서 연령과 관계없이 흔히 발생한다.
내상과염은 일반적으로 골퍼 엘보우로 알려져 있으며, 복합적 원인이나 통상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미세한 스트레스 및 장력이 가해지면서 굴전건(flexor tendon) 주위에 발생한 염증이며 그에 따라 해당 근육 사용시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내상과염은 팔꿈치 안쪽에 통증을 느끼게 되며 골프를 자주하는 사람에게서 잘 나타나며 빨래, 청소 등 집안일을 반복적으로 오랜 기간하는 주부들에게서도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외상과염과 내상과염에 따른 통증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해서 통증유발점(trigger point)인 건강한 근육 조직, 일 예로 신전건 또는 굴전건과 접하는 건근육접합부를 압박하거나 지지하려는 장치나 기구가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92772호(공개일: 2009년 09월 01일)에는 "압박랩"이 제시되고 있으며, 상처 입은 팔꿈치를 압박하기 위하여 압박랩 인서트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압박패드를 이용하여 팔꿈치의 건근육접합부를 압박하는 등의 많은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근육운동 중단 시에도 지속적으로 일관된 압박이 가해지며 압박을 중단하려면 장치를 탈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동 중 압박패드에 의한 압착력의 변동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수시로 장치를 탈부착함으로서 원하는 압착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35839 B1 KR 20-0361975 Y KR 10-1707195 B1 KR 10-2009-0092772 A KR 20-2013-0002499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팔꿈치나 발목 등의 건근육접합부에 형성된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지속 압박하여, 해당 통증부위의 건근육 긴장을 해소하는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원화되게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는,
건근육 접합부를 감싸는 조임패드와;
상기 조임패드에 형성된 조임끈을 권취하여 권취되는 조임끈에 의해 환형을 이룬 조임패드의 직경을 축소하는 조임 연결부와;
상기 조임패드에 형성되어, 조임패드에 의해 조임된 건근육 접합부의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압박하는 국부 압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임 연결부와, 상기 조임 연결부가 조립된 조임패드에는 내외측으로 관통하는 조립구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국부 압박부는 조립구를 통해 조임 연결부와 조임패드를 관통하여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 연결부는 조임패드에 고정되며 회동공간이 형성된 다이얼 하우징과; 상기 다이얼 하우징의 회동공간 내에 동심구조로 설치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임끈을 권취하는 권취 다이얼; 및 상호 마주하는 권취 다이얼의 외경면과 회동공간의 내경면 사이에 형성되어, 권취 다이얼의 역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견착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조임패드와, 상기 조임 연결부를 형성하는 다이얼 하우징과 권취 다이얼에는 국부 압박부를 구성하는 내측에 조립구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 하우징에 형성된 조립구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국부 압박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내측단에 형성되는 압박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국부 압박부는 볼트부재를 조립구에 체결하여, 볼트부재와 조립구의 체결량에 따라 조임패드의 내벽에 돌출되는 압박헤드의 돌출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착 스토퍼는 권취 다이얼의 외경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견착홈들과; 상기 다이얼 하우징에 설치되어, 미늘형의 라쳇 구속단를 통해 다이얼 하우징에 형성된 견착홈을 견착하여 권취 다이얼의 역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레버는 힌지축을 통해 다이얼 하우징에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힌지 회전하여서, 권취 다이얼에 형성된 견착홈을 역방향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구속레버는 힌지축을 통해 다이얼 하우징에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단부에 형성된 라쳇 구속단을 권취 다이얼의 견착홈에 진입시켜서, 권취 다이얼에 형성된 견착홈을 역방향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패드에는 조임 연결부에서 풀려진 조임끈을 조임패드 내부로 탄성 견인하여, 조임끈의 노출을 억제하는 탄성 당김부재가 부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국부 압박부가 형성된 조임패드는 조임끈과 조임 연결부에 의해 환형을 형성하고, 상기 환형을 형성한 조임패드는 조임 연결부에 마련된 권취 다이얼에 의한 조임끈의 권취작용에 의해 조임되어 조임패드에 의해 감싸진 건근육접합부을 조임하여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근육통 완화장치는 조임끈과 조임 연결부에 의해 항시 환형을 형성하고, 또 혼자서 한 손으로 권취 다이얼의 간편한 조작하여 건근육접합부에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조임 연결부에서 풀려진 조임끈은 조임패드의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탄성 당김부재에 의해 조임패드 내에 탄성 당김하여 수납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휴대 및 보관시에 외관이 불량해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패드에 마련된 국부 압박부는 볼트부재의 체결거리의 조절을 통해 건근육접합부에 형성된 통증부위의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 복수의 압박헤드를 설치하거나 압박헤드의 위치를 변경시켜서, 통증부위의 압박위치를 변경하거나 복수의 통증부위를 동시에 압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통 완화장치의 외형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통 완화장치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도 2에서 'A'부분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통 완화장치에 있어, 탄성 견인부재에 의해 조임끈이 조임패드 내에 견인하여 수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통 완화장치의 외형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통 완화장치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도 2에서 'A'부분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통 완화장치에 있어, 탄성 견인부재에 의해 조임끈이 조임패드 내에 견인하여 수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통 완화장치(1)는, 통증이 유발된 착용자의 건근육 접합부에 간편하게 착용되어 해당 건근육 접합부에 형성된 통증부위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서, 통증의 원인이 되는 건근육의 긴장을 해소하여 통증을 완화하는 보조 기구물이다.
상기 건근육통 완화장치(1)는, 건근육 접합부를 감싸는 조임패드(10)와; 상기 조임패드(10)의 양단을 조임하여, 환형을 이룬 조임패드(10)가 건근육 접합부를 조임하도록 하는 조임 연결부(20); 및 상기 조임패드(10)에 형성되어, 조임패드(10)에 의해 조임된 건근육 접합부의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압박하는 국부 압박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임패드(10)의 단부를 조임하여 연결하는 독특한 구조의 조임 연결부(20)를 제안 및 구비하여, 건근육통 완화장치(1)를 건근육 접합부에 착탈함에 따른 편리성과 간편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임 연결부(20)는, 조임패드(10)의 단부에 형성된 조임끈(40)을 권취하여 권취되는 조임끈(40)에 의해 환형을 이룬 조임패드(10)의 직경을 축소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임 연결부(20)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임패드(10)의 일지점에 고정되며 회동공간(21a)이 형성된 다이얼 하우징(21)과; 상기 다이얼 하우징(21)의 회동공간(21a) 내에 동심구조로 설치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임끈(40)을 권취하는 권취 다이얼(22); 및 권취 다이얼(22)의 역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견착 스토퍼(23)를 포함한다.
상기 견착 스토퍼(23)는, 권취 다이얼(22)의 외경에 형성되는 복수의 견착홈(23a)과; 상기 다이얼 하우징(21)에 설치되어, 라쳇 구속단(22b-a)를 통해 견착홈(23a)을 견착하여 권취 다이얼(22)의 역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레버(23b)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회동형 구속레버(23b)를 힌지축(23b-b)을 통해 다이얼 하우징(21)에 힌지구조로 설치하여, 구속레버(23b)는 힌지축(23b-b)을 중심으로 정역으로 힌지 회전하여 권취 다이얼(22)에 형성된 견착홈(23a)의 구속상태를 설정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퇴형 구속레버(23c)를 다이얼 하우징(21)에 진퇴구조로 설치하여, 라쳇 구속단(23b-a)을 권취 다이얼(22)의 견착홈(23a)에 진출입하여서, 권취 다이얼(22)의 역방향 회전의 구속상태를 설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패드(10)에는 다이얼 하우징(21)에서 전개된 조임끈(40)을 조임패드의 내부로 탄성 견인하여 수납하는 탄성 당김부재(12)가 형성되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취 다이얼(22)에서 풀려진 조임끈(40)은 조임패드(10)의 외부에 느슨하게 전개된 상태로 노출되지 아니하고, 탄성 당김부재(12)에 의해 조임패드(10) 내부에 탄력적으로 견인되어서 느슨해진 조임끈(40)에 의해 외관이 불량해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임 연결부(20)와 조임끈(40)에 의해 환형을 이룬 조임패드(10)에 건근육 접합부를 관통한 다음, 조임 연결부(20)의 권취 다이얼(2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임패드(10)의 단부와 권취 다이얼(22) 사이에 형성된 조임끈(40)들은 권취 다이얼(22)에 권취되고, 또 정방향으로 회전한 권취 다이얼(22)은 견착 스토퍼(23)를 구성하는 견착홈(23a)과 구속레버(23b, 23c)에 형성된 라쳇 구속단(23b-a, 23c-a)에 의해 역방향 회전이 구속된다.
그리하여, 환형을 이룬 조임패드(10)는 조임 연결부(20)에 의한 조임끈(40)의 권취작용에 의해 직경이 점차 축소되므로, 조임패드(10)는 건근육 접합부를 압박한 상태로 조임된다.
한편, 상기 조임패드(10)에 형성되어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압박하는 국부 압박부(30)는, 볼트부재(32)와, 상기 볼트부재(32)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건근육 접합부의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압박하는 압박헤드(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압박헤드(33)는 도 2와 같이 건근육 접합부를 감싼 조임패드(10)의 내벽에 돌출되어서, 건근육 접합부의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압박하여 근육의 긴장을 해소하여 통증을 완화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부재(32)의 내측단과 압박헤드(33) 사이에는 헤드 체결부(32a)와 볼트 체결부(33a)로 이루어진 압박헤드 조립구조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착용자는 도 3과 같이 상기 압박헤드 조립부를 통해 다양한 재질, 또는 형상의 압박헤드(33)를 치환 설치하여서 통증부위의 요하는 압박형태 등을 변경하도록 한다.
상기 압박헤드(33)는, 고무나, 세라믹, 실리콘, 목재, 자석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며, 형태 또한 구형, 반구형을 비롯하여 원추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압박을 요하는 통증부위의 압박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임 연결부(20)와 국부 압박부(30)를 분리하여 구성하지 아니하고 일원화되게 구성하여, 구조의 간소화와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특히 종래 조임패드(10)의 2지점에 분할되게 국부 압박부(30)와 조임 연결부(20)가 각각 형성됨에 따른 착용시 간섭이나 불편함이 해소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임 연결부(20)와, 상기 조임 연결부(20)가 조립된 조임패드(10)에 상호 연통하는 조립구를 연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국부 압박부(30)는 조립구를 통해 조임 연결부(20)와 조임패드(10)를 관통하여 조립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임 연결부(20)에 형성된 조립구와 국부 압박부(30)를 구성하는 볼트부재(32) 사이에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압박헤드가 형성된 볼트부재(32)는 조임 연결부(20)와의 체결량에 따라 조임밴드(10)의 내벽에 돌출되는 압박헤드(33)의 돌출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통증부위의 압박강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임패드(10)와, 상기 조임 연결부(20)를 형성하는 다이얼 하우징(21)과 권취 다이얼(22)에는 국부 압박부(30)를 구성하는 볼트부재(22)가 관통하는 조립구(21b, 22a)를 형성하고, 상기 다이얼 하우징(21)에 형성된 조립구(21b)에는 볼트부재(22)와의 조립을 위한 나사산(21b-a)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압박헤드(33)가 마련된 볼트부재(32)는 착용자에 의해 정역 회전하여 체결거리가 조절되고, 이를 통해 착용자는 조임패드(10)의 내벽에 돌출되는 볼트부재(32), 및 상기 볼트부재(32)의 내측단에 형성된 압박헤드(33)의 돌출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통증부위의 압박강도를 증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조임패드(10)에 형성된 국부 압박부(30)는 건근육 접합부에 형성된 통증부위를 압박헤드(33)를 통해 국부적으로 압박하여서, 건근육의 긴장을 해소하여 통증을 완화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임 연결부(20)와 국부 압박부(30)는 분리하여 구성되지 아니하고 일원화된 관계로, 구조의 간소화와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특히 종래 조임패드(10)의 2지점에 분할되게 국부 압박부(30)와 조임 연결부(20)가 각각 형성됨에 따른 착용시 간섭이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가 조임 연결부(20)에 형성된 구속레버(23b, 23c)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후퇴시켜 권취 다이얼(22)의 역방향 구속을 해체하면, 권취 다이얼(22)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조임끈(40)들의 당김 상태가 해제되고, 결과적으로 조임 연결부(20)와 조임끈을 통해 환형을 이루어 건근육 접합부를 휘감은 조임패드(10)는 직경이 점차 확대되어 건근육 접합부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권취 다이얼(22)에서 풀려진 조임끈(4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임패드(10)의 외부에 느슨하게 노출된 상태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탄성 당김부재(12)에 의해 조임패드(10) 내에 탄력적으로 견인되어서 느슨해진 조임끈(40)에 의해 외관이 불량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1. 건근육통 완화장치
10. 조임패드
11. 이송슬롯 12. 탄성 당김부재
13. 조립구
20. 조임 연결부
21. 다이얼 하우징 21a. 회동공간
21b. 조립구 21b-a. 나사산
22. 권취 다이얼 22a. 조립구
23. 견착 스토퍼 23a.견착홈
23b. 구속레버 23b-a. 라쳇 구속단
23b-b. 힌지축
23c. 구속레버 23c-a. 라쳇 구속단
30. 국부 압박부 31. 너트부재
32. 볼트부재 32a. 헤드 체결부
33. 압박헤드 33a. 볼트 체결부
40. 조임끈

Claims (3)

  1. 건근육 접합부를 감싸는 조임패드와;
    상기 조임패드에 형성된 조임끈을 권취하여 권취되는 조임끈에 의해 환형을 이룬 조임패드의 직경을 축소하는 조임 연결부; 및
    상기 조임패드에 형성되어, 조임패드에 의해 조임된 건근육 접합부의 통증부위를 국부적으로 압박하는 국부 압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임 연결부와, 상기 조임 연결부가 조립된 조임패드에는 내외측으로 관통하는 조립구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국부 압박부는 조립구를 통해 조임 연결부와 조임패드를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조임 연결부는 조임패드에 고정되며 회동공간이 형성된 다이얼 하우징과; 상기 다이얼 하우징의 회동공간 내에 동심구조로 설치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임끈을 권취하는 권취 다이얼; 및 상호 마주하는 권취 다이얼의 외경면과 회동공간의 내경면 사이에 형성되어, 권취 다이얼의 역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견착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조임패드와, 상기 조임 연결부를 형성하는 다이얼 하우징과 권취 다이얼에는 국부 압박부를 구성하는 내측에 조립구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 하우징에 형성된 조립구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국부 압박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내측단에 형성되는 압박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국부 압박부는 볼트부재를 조립구에 체결하여, 볼트부재와 조립구의 체결량에 따라 조임패드의 내벽에 돌출되는 압박헤드의 돌출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 스토퍼는 권취 다이얼의 외경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견착홈들과; 상기 다이얼 하우징에 설치되어, 미늘형의 라쳇 구속단를 통해 다이얼 하우징에 형성된 견착홈을 견착하여 권취 다이얼의 역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
KR1020180098820A 2018-08-23 2018-08-23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 KR102208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820A KR102208625B1 (ko) 2018-08-23 2018-08-23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820A KR102208625B1 (ko) 2018-08-23 2018-08-23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70A KR20200022770A (ko) 2020-03-04
KR102208625B1 true KR102208625B1 (ko) 2021-01-28

Family

ID=6978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820A KR102208625B1 (ko) 2018-08-23 2018-08-23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460A (ko) 2021-09-01 2023-03-0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허리통증 완화 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230B1 (ko) 2020-05-27 2023-02-03 이석규 근육통증 완화장치
KR102456375B1 (ko) 2020-09-23 2022-10-18 이석규 체결 편의성이 향상된 밴드 체결구조
KR20240006788A (ko) 2022-07-07 2024-01-16 이석규 통증 완화용 압박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569A (ja) 2008-05-06 2011-11-24 メリッ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橈骨動脈圧迫デバイス
KR101694813B1 (ko) 2015-08-07 2017-01-11 주식회사 휴먼자숨 엘보우 보호대
KR101707195B1 (ko) 2016-04-05 2017-02-27 이석규 엘보우 예방 및 증상완화 장치
KR300923966S (ko) 2017-07-21 2017-09-21
KR101892573B1 (ko) * 2017-12-18 2018-08-29 이상진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975Y1 (ko) 2004-06-16 2004-09-13 류실근 팔 통증치료를 위한 팔 보호대
US8628488B2 (en) 2006-10-25 2014-01-14 Richard J. Serola Compression wrap
KR101135839B1 (ko) 2010-09-30 2012-04-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을 이용한 엘보보호대
KR20130002499U (ko) 2011-10-18 2013-04-26 기한상 관절교정 보호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569A (ja) 2008-05-06 2011-11-24 メリッ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橈骨動脈圧迫デバイス
KR101694813B1 (ko) 2015-08-07 2017-01-11 주식회사 휴먼자숨 엘보우 보호대
KR101707195B1 (ko) 2016-04-05 2017-02-27 이석규 엘보우 예방 및 증상완화 장치
KR300923966S (ko) 2017-07-21 2017-09-21
KR101892573B1 (ko) * 2017-12-18 2018-08-29 이상진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460A (ko) 2021-09-01 2023-03-0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허리통증 완화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70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625B1 (ko) 조임구조와 통점 압박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건근육통 완화장치
US4790301A (en) Device for and method of dynamic splinting
US11160679B2 (en) Dynamic tension system for orthopedic device
US3970081A (en) Tennis elbow brace
US7896787B2 (en) Health and fitness device
US5624388A (en) Therapeutic elbow support method
US5611540A (en) Tethered ball apparatus
US8679045B2 (en) Supinating arm and elbow brace
KR101694813B1 (ko) 엘보우 보호대
US20120310129A1 (en) Focal Compression Therapeutic Device
KR100799718B1 (ko) 허리보호대
KR102208621B1 (ko) 개량된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통 완화장치
CN110068928B (zh) 绑带调节装置及头戴显示产品
US6517470B1 (en) Exercising device
KR102208627B1 (ko) 개량된 압박구조를 갖는 건근육 접합부 압박밴드
KR101984083B1 (ko) 무릎 보호대
KR20210057507A (ko) 향상된 착용감을 갖는 건근육 접합부용 국부 압박 밴드장치
JPS63109857A (ja) 下腕疾病処理用ブレ−ス
KR20200058235A (ko) 가변 압박구조를 갖는 건근육 접합부 압박밴드
KR102286062B1 (ko) 개량된 압박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 접합부용 국부 압박 밴드장치
JP2000197655A (ja) サポ―タ―
CN112586843B (zh) 腕戴设备
KR102496230B1 (ko) 근육통증 완화장치
KR102456375B1 (ko) 체결 편의성이 향상된 밴드 체결구조
JPH06335488A (ja) テニス肘用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