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389B1 -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 Google Patents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389B1
KR102208389B1 KR1020200042238A KR20200042238A KR102208389B1 KR 102208389 B1 KR102208389 B1 KR 102208389B1 KR 1020200042238 A KR1020200042238 A KR 1020200042238A KR 20200042238 A KR20200042238 A KR 20200042238A KR 102208389 B1 KR102208389 B1 KR 10220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b
stirring
insertion hole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김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인 filed Critical 김종인
Priority to KR102020004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교반 비트 및 다축의 교반 비트에 대한 교반 지지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마모되기 쉬운 각 구성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개량 구조를 제시하여, 교반 비트 및 교반 지지대의 유지 보수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는, 상단에 천공기 교반 로드에 결합되는 로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스크류 결합부 및 중간에 외주면을 따라 일체 형성된 제1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본체; 제1 교반 날개의 측단면에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바이트 팁; 및 상단에 스크류 결합부와 볼트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를 갖고, 최하단에 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측면에 하면에 다수의 바이트가 일체 형성된 제2 교반 날개가 결합된 스크류부;를 포함하는 비트 본체; 및 4개의 비트 본체를 서로 독립 회동 가능한 동시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교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FOUR-AXIS DETACHABLE BIT WITH IMPROVED MAINTENANCE}
본 발명은 연약지반내에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안정처리재를 저압으로 주입하면서 연약토와 안정처리재를 특수 교반기의 회전에 의해 교반 혼합하고, 시멘트와 경화반응을 이용하여 원지반내에 원주형 또는 직사각형의 말뚝체를 고화조성 하는 지반조강공법에 사용되는 지반굴착용 교반 비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반 등에 접촉되어 마모되기 쉬운 교반 비트의 구성에 대한 교체가 가능하고, 4축 교반 비트 구조에 있어서 분리와 설치가 용이한 동시에, 부품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성이 크게 향상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에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연약지반의 토질을 개량하고 지반을 단단하게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법의 하나로서 석회, 시멘트와 같은 고화제를 토립자에 첨가 및 혼합하는 심층 혼합처리공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공법에서는, 지반을 굴착하고 교반하는 교반비트가 사용되며, 교반비트를 상단의 천공기 교반 로드에 적어도 하나 결합하여, 교반비트가 굴착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고화제를 동시에 첨가 및 굴착되는 연약지반의 토립자와 혼합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토질 개선을 위한 천공 비트는,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10-2006-0004186호에 게시된 바와 같은 교반비트를 사용한다. 상기의 선행 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교반비트는, 원통형의 천공 비트 지주의 하부 또는 측부에 다수의 교반 날개가 일체로 결합되며, 하부에 굴착을 위한 스크류가 설치되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트를 구조화시켜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트 장치는, 지반을 굴착해야 하는 특성 상, 큰 철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도 확보를 위해서 고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지반과 접촉되는 부분이 마모되는 경우, 이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데, 보통 상술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교반 비트에서는 모든 부품을 용접하여 사용하고 있어, 분리와 교체 및 수리 등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비트 장치를 구조화시키는 데 있어서 회전되는 비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교반 지지대가 사용되는 데, 해당 교반 지지대 역시 일체로 구성되거나 용접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어, 회전 마찰에 의한 교반 지지대의 마모 시 용접을 해체하고 부품을 교체하고 있어, 부품의 유지 보수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공장 입고, 용접 해체 등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어도 5일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교반 공정에 있어서 시공 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교반 비트 및 다축의 교반 비트에 대한 교반 지지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마모되기 쉬운 각 구성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개량 구조를 제시하여, 교반 비트 및 교반 지지대의 유지 보수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는, 상단에 천공기 교반 로드에 결합되는 로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스크류 결합부 및 중간에 외주면을 따라 일체 형성된 제1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제1 교반 날개의 측단면에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바이트 팁; 및 상단에 상기 스크류 결합부와 볼트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를 갖고, 최하단에 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측면에 하면에 다수의 바이트가 일체 형성된 제2 교반 날개가 결합된 스크류부;를 포함하는 비트 본체; 및 4개의 비트 본체를 서로 독립 회동 가능한 동시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교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교반 날개의 측단면은, 중앙 부분에 오목하게 함몰된 제1 오목부를 갖고, 제1 오목부를 감싸는 외벽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트 팁은, 바이트 팁 본체와, 상기 바이트 팁 본체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1 오목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오목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돌출부와, 상기 바이트 팁 본체의 제1 돌출부 측의 반대 측에 형성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교반 날개의 측단면은, 중앙 부분에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트 팁은, 바이트 팁 본체와, 상기 바이트 팁 본체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도록함몰 형성되어 있되, 제2 돌출부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3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4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크류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원통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하부로 일체 형성되며, 적어도 측면에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하부 방향의 제5 볼트 삽입공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리브가 일체 형성된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로부터 하부로 일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의 상면과 접촉되되, 적어도 하부로 돌출된 삽입부를 갖는 제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결합부는, 중심부가 상기 삽입부가 삽입 수용되도록 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크류 결합부와 접촉 시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3 바디와 접촉되며, 측면에 상기 제5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6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제4 바디; 및 상기 제4 바디로부터 하부로 일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의 원통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제5 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 지지대는, 최외곽의 제1 브라켓과, 본체의 일 영역의 외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에 걸림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에 걸림 결합되는 상하 한 쌍의 제1 서브 브라켓으로 형성되며, 각 제1 서브 브라켓은 접촉 시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등분되고 상측 또는 하측 단면에 제1 외주 돌출부가 형성된 두 개의 제2 서브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설치 시 상기 두 개의 제2 서브 브라켓이 상기 제1 브라켓 내면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접촉되어 상기 제1 서브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하 한 쌍의 제1 서브 브라켓의 상기 제1 외주 돌출부가 상기 제1 브라켓 내면에 고정되어 상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면서 제3 브라켓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서브 브라켓의 일 영역에는 제1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면에는 돌출된 제1 키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1 키부에 걸림 고정되면서 상기 제3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이 서로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브라켓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대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외면의 상하 단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3 브라켓에 걸림 고정되어 상하 이동이 제한되고, 접촉 시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등분된 두 개의 제3 서브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설치 시 상기 제3 서브 브라켓이 상기 가이드 리브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어 제2 브라켓을 형성하고, 적어도 각 제3 서브 브라켓의 상면에는 제2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일 영역에는 돌출된 제2 키부가 형성되어, 설치 시 상기 제2 홈부 및 상기 제2 키부 사이의 걸림 고정에 의하여 상기 제2 브라켓이 상기 본체에 대해서 상대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접촉 시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등분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7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제4 돌출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4 서브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설치 시 상기 제4 서브 브라켓이 상기 제3 브라켓을 감싸면서 상기 제1 키부와 상기 제1 홈부가 걸림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4 돌출부 사이는 상기 제7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8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의 판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다수의 판부의 결합 구조 에 따라서 4축 구조의 비트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 비트 본체에 있어서 지반과의 접촉에 의하여 마모되기 쉬운 교반 날개의 바이트 팁 및 스크류부를 본체와 볼트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면서 결합력이 우수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어, 바이트 팁 및 스크류부를 비트 본체의 완전 해체 없이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반 지지대의 경우에도, 최내측에 존재하여 본체의 회전에 의한 마찰이 가해지는 영역의 제2 브라켓 및 제3 브라켓을 쉽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동시에, 함께 회동하여 고가의 교반 지지대 본체와 마찰되지 않도록 회전이 제한되는 새로운 구조로 제시함으로써, 제2 브라켓 및 제3 브라켓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교반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4축 교반 비트 구조에 있어서 분리와 설치가 용이한 동시에, 부품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의 일부 비트 본체의 설치 구조 및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비트 본체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2개의 비트 본체의 스크류부의 연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결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결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날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날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지지대의 4축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지지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브라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의 일부 비트 본체의 설치 구조 및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비트 본체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2개의 비트 본체의 스크류부의 연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결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결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날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날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지지대의 4축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 지지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브라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면을 전부 또는 일부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트 본체와,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트 본체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비트 본체는 본체(100), 바이트 팁(200) 및 스크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체(100)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천공기 교반 로드에 결합되는 로드 결합부가 도 1의 본체(100)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스크류 결합부(110) 및 중간에 외주면을 따라 일체 형성된 제1 교반 날개(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천공기 교반 로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본체(10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을 주기능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고화제를 투입하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틸 등 강재 또는 다양한 금속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중심축 부분이 비워진 원통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중심축 부분이 채워진 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제1 교반 날개(120)는 도 1 및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측 단측은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단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팁(200)이 부착될 수 있다. 바이트 팁(200)은 제1 교반 날개(120)의 단측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토질에 접촉되어 마모되기 쉬운 최단측의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바이트 팁(200)은 제1 교반 날개(12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바이트 팁(200)이 제1 교반 날개(120)의 측단면에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교반 날개(120)는 도 2 및 도 5의 (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3개 또는 3개 이외의 복수개가 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교반 날개(120)는 도 1, 5, 10 및 1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모서리가 테이퍼진 사각의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주 날개(121)와, 주 날개(121)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주 날개(12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서브 날개(1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날개(122)는 굴착 및 교반력을 높이고, 주 날개(121)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보강하기 위해선, 바이트 팁(200) 측에서 본체(100) 연결 영역으로 진행될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주 날개(121)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결합되는 형태가 지면과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교반력 및 굴착력이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이트 팁(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교반 날개(120)의 측단면에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교체가 용이하도록 탈부착이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 시 결합력이 용접 방식에 비하여 감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도 8 내지 도 11과 같은 실시예로 바이트 팁(200)과 제1 교반 날개(120)의 단면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먼저, 도 8 및 도 10의 한 쌍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 교반 날개(120)의 측단면, 즉 바이트 팁(200)과의 결합 단면은, 중앙 부분에 오목하게 함몰된 제1 오목부(123)를 갖고, 제1 오목부(123)를 감싸는 외벽의 적어도 일 영역,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의 양 외벽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 삽입공(124)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되어, 바이트 팁(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팁 본체(210)와, 바이트 팁 본체(210)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있되, 제1 오목부(123)에 대응되어 제1 오목부(123)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제1 오목부(123)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볼트 삽입공(124)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볼트 삽입공(21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돌출부(21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볼트 삽입공(124)와 제2 볼트 삽입공(212) 사이를 볼트결합하여, 바이트 팁(200)이 제1 교반 날개(12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오목부(123)와 제1 돌출부(211)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결합되기 때문에, 단순 볼트 결합에 비하여 삽입된 상태의 하중 분배 구조에 의하여 그 결합력이 강해질 수 있다.
이때 볼트 결합은 볼트가 일 측에서 각 삽입공(124, 212)을 통과하고 다른 측에서 너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각 삽입공(124, 212)에 나사선이 존재하여 볼트만을 회전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 결합은 이후 설명할 모든 구조의 볼트 결합에 공통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팁(200)의 최외곽면, 즉 제1 돌출부(211) 측의 반대 측에는 보강재(213)가 일체로 결합되어,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굴착력 및 교반력이 상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도 9의 실시예에서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8 및 10의 실시예와 달리, 도 9 및 11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 및 11의 실시예는 도 8 및 10의 실시예와 오목부 및 돌출부가 반대로 형성된 실시예를 의미한다.
즉, 도 9 및 11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교반 날개(120)의 측단면은, 중앙 부분에 돌출된 제2 돌출부(125)를 갖고, 제2 돌출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제1 볼트 삽입공(124)와 유사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볼트 삽입공(1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9를 참조하면, 바이트 팁(200)은, 도 8과 유사하게 바이트 팁 본체(210)와, 바이트 팁 본체(210)에 제2 돌출부(125)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되, 제2 돌출부(125)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제3 볼트 삽입공(126)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4 볼트 삽입공(215)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오목부(2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9 및 11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 및 10의 실시예에 비하여 오목부와 돌출부가 반대로 형성된 실시예로서, 각 볼트 삽입공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볼트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크류부(300)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본체(100)에 스크류 결합부(110)와 볼트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310)를 갖고, 최하단에 스크류(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측면에는 제1 교반 날개(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서, 하면에 다수의 바이트(331)가 일체 형성된 제2 교반 날개(330)가 결합된 구성을 의미한다.
스크류(320)는 도 1, 3, 4, 5의 (d)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외면을 갖고, 하면에는 바이트(321)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회전 시 굴착 기능을 주로수행하여 토질을 굴착하면서 본체(100)가 지면 하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제2 교반 날개(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에 다수의 바이트(331)가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부(3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후 설명할 다축 구조에 있어서 교반 날개(120, 330) 사이의 충돌방지 및 교반력 증가 및 굴착력 증가를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비트 본체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스크류부(300)는 비트 본체 마다의 높이 사이즈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사이즈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함을 가정하는 경우, 일 비트 본체(10)와 다른 비트 본체(11)에 설치되는 스크류부(300)는 각각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같은 높이에서 사용 시 교반 날개(120, 330)끼리 서로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크류부(300)와 본체(100)는 스크류 결합부(110)와 본체 결합부(310)가 볼트 결합됨에 따라서, 바이트 팁(200)과 제1 교반 날개(120)의 결합 형태와 유사하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8 내지 도 11의 실시예와 유사한 삽입 결합 형태를 갖도록 하는 볼트 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용접 결합 방식에 비해서 결합력의 감소가 최소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결합부(110)와 본체 결합부(310)의 예가 도 5, 6, 7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류 결합부(110)는 본체(10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류 결합부(110)는, 제1 바디(111), 제2 바디(112) 및 제3 바디(1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 내지 제3 바디(111, 112, 114)는 별도의 독립된 구성이 아닌, 스크류 결합부(110)의 일체 형성 구성에 있어서 각 영역을 높이 방향으로 구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바디(111)는 도 1, 5의 (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원통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제2 바디(112)는 제1 바디(111)로부터 하부로 일체 형성되며, 적어도 측면에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하부 방향의 제5 볼트 삽입공(113)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리브가 일체 형성된 영역을 의미한다. 즉, 제2 바디(112)는 제5 볼트 삽입공(113)이 형성된 리브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제3 바디(114)는 제2 바디(112)로부터 하부로 일체 형성되며, 스크류부(300)의 상면과 접촉되되, 적어도 하부로 돌출된 삽입부(115)를 갖는 구성을 의미한다. 즉, 제3 바디(114)는 후술하는 본체 결합부(310)의 내부를 향하여 삽입되는 삽입부(115)가 형성된 영역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본체 결합부(310)는 도 7을 참조하면, 제4 바디(312) 및 제5 바디(313)으로 그 영역이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바디(312) 및 제5 바디(313) 역시, 별도의 독립된 구성이 아닌, 본체 결합부(310)의 일체 형성 구성에 있어서 각 영역을 높이 방향으로 구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고, 본체 결합부(310) 역시 스크류부(300)에 용접 결합되거나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바디(312)는 중심부가 삽입부(115)가 삽입 수용되도록 하는 삽입 공간(311)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 결합부(110)와 접촉 시 삽입부(115)를 수용하면서 제3 바디(114)와 접촉되며, 측면에 제5 볼트 삽입공(113)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6 볼트 삽입공(315) 형성된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제5 바디(314)는, 제4 바디(312)로부터 하부로 일체 형성되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스크류부(300)의 원통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용접 또는 일체 형성 방식 등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5 볼트 삽입공(113) 및 제6 볼트 삽입공(315)의 평단면은 도 5의 (c)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바디(112) 및 제4 바디(312)는 같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볼트 삽입공(113)과 동일한 영역에 동일한 형태로 제6 볼트 삽입공(315)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스크류 결합부(110)와 본체 결합부(310)가 볼트 결합됨에 따라서 결과적으로 본체(100)와 스크류부(300)가 볼트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이트 팁(200) 및 스크류부(300)와 같이, 비트 본체를 사용함에 따라서 마모되기 쉬운 부분에 대해서, 바이트 팁(200) 및 스크류부(300)를 본체(100)와 볼트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면서 결합력이 우수한 삽입 고정 구조를 제시할 수 있어, 4축 교반 비트 구조에 있어서 분리와 설치가 용이한 동시에, 부품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교반 지지대는 예를 들어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교반 지지대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교반 지지대가 상하 좌우 영역으로 배치되도록 결합 배치되며, 각 교반 지지대에 본체(100)의 가이드 리브(130)가 걸림됨에 따라서 비트 본체가 서로 상대적으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교반 지지대의 1개 구성에 대해서 도 13 내지 16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먼저 교반 지지대는 최외곽의 제1 브라켓(400),본체의 일 영역의 외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130)에 걸림되는 제2 브라켓(500) 및 제1 브라켓(400)과 제2 브라켓(5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브라켓(600)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본체(100)의 가이드 리브(130)에 제2 브라켓(500)이 접촉 걸림되도록 설치되고, 이를 제3 브라켓(600)이 감싸면서 지지하고, 제3 브라켓(600)을 제1 브라켓(400)이 감싸면서 지지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조립 시에는, 후술하는 반원통형의 각 서브 브라켓을 조립하면서, 가이드 리브(130) 사이에 제2 브라켓(500)을 설치하고, 제1 브라켓(400)에 제3 브라켓(600)을 설치한 뒤, 제2 브라켓(500)과 제3 브라켓(600)을 결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브라켓(400, 500, 600)은 반원통형의 두 개의 구성이 서로 결합하여 원통형을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제1 브라켓(400)의 반통형 내부에 제3 브라켓(6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서브 브라켓(610)의 반통형이 결합되도록 설치되도록 하고, 가이드 리브(130)에 제2 브라켓(500)을 구성하는 제3 서브 브라켓(510) 한쌍을 서로 결합하도록 설치한 뒤, 제2 브라켓(500)이 설치된 가이드 리브(130)에 제1 브라켓(400)의 반통형인 제4 서브 브라켓(410, 420)에 제1 서브 브라켓(610)이 설치된 구성을 제2 브라켓(500)을 감싸면서 결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가이드 리브(130)에 교반 지지대가 걸림 결합되도록 조립될 수 있고, 해체는 이와 반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제3 브라켓(600)에 대해서 도 14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a) 및 (b)는 상술한 제3 브라켓(600)을 지름방향으로 절단한 결과의 반통형의 구조에 대해 도시한 것이며, 제3 브라켓(600)은 반통형의 한 쌍이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4의 (a) 및 (b), 도 16을 참조하면, 제3 브라켓(600)은 제2 브라켓(500)에 대해서 상하로 걸림되도록 하는 상하 한쌍의 제1 서브 브라켓(610)으로 구성된다. 제3 브라켓(6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400)의 후술하는 돌출부(511) 사이에 걸림 접촉되는 구성이다.
제1 서브 브라켓(6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시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등분되고 상측 또는 하측 단면에 제1 외주 돌출부(621)가 형성된 두 개의 제2 서브 브라켓(610)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술한 조립 순서에 따라서 설치가 완료되는 경우 시, 제2 서브 브라켓(620)이 제2 브라켓(500)의 돌출부(511) 사이에서 제2 브라켓(500)을 감싸면서 서로 접촉하도록 결합된 상태를 구성하여 상술한 제1 서브 브라켓(610)의 형태를 형성하고, 상하 한 쌍의 제1 서브 브라켓(610)의 제1 외주 돌출부(621)가 후술하는 제1 브라켓(400)의 내면 및 상하면에 걸림 고정되고, 내면의 원통형 면은 제2 브라켓(500)의 돌출부(511) 사이에 걸림고정되어 결국 제3 브라켓(600) 및 제1 브라켓(400)의 결합구조 전체의 상하 이동이 제2 브라켓(500)의 돌출부(511) 사이로 제한되도록 하면서 제3 브라켓(60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3 브라켓(600)과 제1 브라켓(400) 사이에는 제3 브라켓 측 삽입공(623) 및 제1 브라켓 측 삽입공(413)을 통한 볼트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 브라켓(620)의 일 영역에는 도 14의 (a)와 같이 제1 홈부(6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 브라켓(500)의 내면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제1 키부(51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키부(700)는 바람직하게는 제1 브라켓(400)의 내면에 용접 설치되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브라켓(400) 에 볼트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홈부(622)를 갖는 제2 서브 브라켓(620)이 한쌍 결합하여 제1 서브 브라켓(610)을 형성하면, 제1 서브 브라켓(610)중 상부의 제1 서브 브라켓은 제1 키부(700)의 상면에 해당 제1 서브 브라켓의 제1 홈부가 걸리고, 하부의 제1 서브 브라켓은 제1 키부(700)의 하면에 해당 제1 서브 브라켓의 제1 홈부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결과적으로 제3 브라켓(600)을 구성하는 유닛 전체가 제1 브라켓(400)에 대해서 상술한 볼트 결합 구조와 더불어 상대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브라켓(600)은 제1 홈부(622) 및 제1 키부(700)의 걸림에 의하여 제1 브라켓(400)에 대해서 상대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3 브라켓(600)이 제2 브라켓(500)과 접촉하면서 본체(100)의 회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제3 브라켓(600)이 회동을 시작하게 되면, 제3 브라켓(600)과 제1 브라켓(400)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고가의 스틸부재인 제1 브라켓(400)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3 브라켓(600) 또는 제2 브라켓(500) 만을 마모 시 교체하도록 하여, 교반 지지대의 고가의 장비에 대한 유지 보수성을 높이기 위함에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유지 보수 시 제3 브라켓(600) 및 제2 브라켓(500)을 편리하게 분리하여 교체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2 브라켓(500)은 역시, 두 개의 제3 서브 브라켓(510)으로 구성된다. 이때 두 개의 제3 서브 브라켓(510)은 제2 서브 브라켓(620)과 마찬가지로, 접촉 시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지름에 따라서 등분된 두 개의 반통형의 구조를 의미한다.
이때 각 제3 서브 브라켓(510)은 외면의 상하 단측에는 돌출부(511)가 형성되어, 설치 시에 제3 서브 브라켓(510)이 제3 브라켓(600)의 상하를 덮으면서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이때 제2 브라켓(500)과 제3 브라켓(600)의 결합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하 단면은 가이드 리브(130) 사이에 걸림되면서 결과적으로 본체(100)를 감싸는 원통형의 제2 브라켓(500)을 형성한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서브 브라켓(510)의 접촉 영역에는, 상하면에 제2 홈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키부(131)가 가이드 리브(130)의 일 영역에 상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서, 설치 시 제2 홈부(512)와 제2 키부(131) 사이의 걸림 고정에 의하여 제2 브라켓(500)이 본체(100)에 대해서 상대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가이드 리브(130)의 상하 이동 제한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제1 내지 제3 브라켓(400, 500, 600)이 전체적으로 가이드 리브(130) 사이에 존재하도록 하여 상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1 브라켓(400)은 최외면의 구성으로서, 역시 접촉 시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등분되어 있는 두 개의 제4 서브 브라켓(410, 420)으로 구성됨에 따라서, 설치 시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서브 브라켓(410, 420)이 제3 브라켓(600)을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제1 키부(700)와 제1 홈부(622)가 걸림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도 1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서브 브라켓(410, 4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4 돌출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돌출부(4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7 볼트 삽입공(4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교반 지지대의 결합은 판부(8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판부(800)가 제4 돌출부(411) 사이를 연결 결합함에 따라서 도 12와 같은 4축의 결합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판부(800)의 영역 중, 제7 볼트 삽입공(412)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8 볼트 삽입공(801)이 형성되어, 제1 브라켓(400)과 다수의 판부(800)의 결합 구조 에 따라서 4축 구조의 비트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비트 본체뿐 아니라, 교반 지지대의 경우에도, 최내측에 존재하여 본체(100)의 회전에 의한 마찰이 가해지는 영역의 제2 브라켓(500) 및 제3 브라켓(600)을 쉽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동시에, 함께 회동하여 고가의 교반 지지대 본체와 마찰되지 않도록 회전이 제한되는 새로운 구조로 제시함으로써, 제2 브라켓(500) 및 제3 브라켓(600)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교반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상단에 천공기 교반 로드에 결합되는 로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스크류 결합부 및 중간에 외주면을 따라 일체 형성된 제1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제1 교반 날개의 측단면에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바이트 팁; 및 상단에 상기 스크류 결합부와 볼트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를 갖고, 최하단에 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측면에 하면에 다수의 바이트가 일체 형성된 제2 교반 날개가 결합된 스크류부;를 포함하는 비트 본체; 및
    4개의 비트 본체를 서로 독립 회동 가능한 동시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교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지지대는,
    최외곽의 제1 브라켓과, 본체의 일 영역의 외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에 걸림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에 걸림 결합되는 상하 한 쌍의 제1 서브 브라켓으로 형성되며, 각 제1 서브 브라켓은 접촉 시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등분되고 상측 또는 하측 단면에 제1 외주 돌출부가 형성된 두 개의 제2 서브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설치 시 상기 두 개의 제2 서브 브라켓이 상기 제1 브라켓 내면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접촉되어 상기 제1 서브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하 한 쌍의 제1 서브 브라켓의 상기 제1 외주 돌출부가 상기 제1 브라켓 내면에 고정되어 상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면서 제3 브라켓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서브 브라켓의 일 영역에는 제1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면에는 돌출된 제1 키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1 키부에 걸림 고정되면서 상기 제3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이 서로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브라켓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대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외면의 상하 단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3 브라켓에 걸림 고정되어상하 이동이 제한되고, 접촉 시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등분된 두 개의 제3 서브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설치 시 상기 제3 서브 브라켓이 상기 가이드 리브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어 제2 브라켓을 형성하고,
    적어도 각 제3 서브 브라켓의 상면에는 제2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리브의 일 영역에는 돌출된 제2 키부가 형성되어, 설치 시 상기 제2 홈부 및 상기 제2 키부 사이의 걸림 고정에 의하여 상기 제2 브라켓이 상기 본체에 대해서 상대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접촉 시 원통을 형성하도록 서로 등분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7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제4 돌출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4 서브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설치 시 상기 제4 서브 브라켓이 상기 제3 브라켓을 감싸면서 상기 제1 키부와 상기 제1 홈부가 걸림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4 돌출부 사이는 상기 제7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8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의 판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다수의 판부의 결합 구조 에 따라서 4축 구조의 비트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 날개의 측단면은,
    중앙 부분에 오목하게 함몰된 제1 오목부를 갖고, 제1 오목부를 감싸는 외벽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트 팁은,
    바이트 팁 본체와, 상기 바이트 팁 본체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1 오목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오목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2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돌출부와, 상기 바이트 팁 본체의 제1 돌출부 측의 반대 측에 형성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 날개의 측단면은,
    중앙 부분에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트 팁은,
    바이트 팁 본체와, 상기 바이트 팁 본체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도록함몰 형성되어 있되, 제2 돌출부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3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4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원통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하부로 일체 형성되며, 적어도 측면에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하부 방향의 제5 볼트 삽입공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리브가 일체 형성된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로부터 하부로 일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의 상면과 접촉되되, 적어도 하부로 돌출된 삽입부를 갖는 제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결합부는,
    중심부가 상기 삽입부가 삽입 수용되도록 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크류 결합부와 접촉 시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3 바디와 접촉되며, 측면에 상기 제5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6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제4 바디; 및
    상기 제4 바디로부터 하부로 일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의 원통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제5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5. 삭제
KR1020200042238A 2020-04-07 2020-04-07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KR10220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238A KR102208389B1 (ko) 2020-04-07 2020-04-07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238A KR102208389B1 (ko) 2020-04-07 2020-04-07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389B1 true KR102208389B1 (ko) 2021-01-28

Family

ID=7423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238A KR102208389B1 (ko) 2020-04-07 2020-04-07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3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81Y1 (ko) * 2021-04-16 2021-12-01 주식회사 세화테크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지반굴착용 교반 비트의 바이트 팁
JP2022186416A (ja) * 2021-06-04 2022-12-15 株式会社Kgフローテクノ 硬質地盤硬化層の造成工法とその装置
KR102490262B1 (ko) 2022-06-24 2023-01-20 주식회사 동아지질 다축로드의 과다 굴착교반 방지를 위한 심층혼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층혼합처리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140Y1 (ko) * 1998-03-03 2000-08-01 신광진 토목 오거(auger) 굴삭기의 천공장치(BORING EQUIPMENT OF AUGER BORING MACHINE FOR CONSTRUCTION WORK)
KR101646683B1 (ko) * 2015-01-05 2016-08-08 양성문 지반 굴착용 교반 로드
KR101666141B1 (ko) * 2016-05-23 2016-10-24 주식회사 윤앤플락 오거축 보호용 천공교반기
KR101672359B1 (ko) * 2016-03-24 2016-11-16 주식회사 이도구조엔지니어링 지반 보강용 앙카 파일 시공방법
KR20180001123U (ko) * 2016-10-13 2018-04-23 박민주 교체형 드릴 비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140Y1 (ko) * 1998-03-03 2000-08-01 신광진 토목 오거(auger) 굴삭기의 천공장치(BORING EQUIPMENT OF AUGER BORING MACHINE FOR CONSTRUCTION WORK)
KR101646683B1 (ko) * 2015-01-05 2016-08-08 양성문 지반 굴착용 교반 로드
KR101672359B1 (ko) * 2016-03-24 2016-11-16 주식회사 이도구조엔지니어링 지반 보강용 앙카 파일 시공방법
KR101666141B1 (ko) * 2016-05-23 2016-10-24 주식회사 윤앤플락 오거축 보호용 천공교반기
KR20180001123U (ko) * 2016-10-13 2018-04-23 박민주 교체형 드릴 비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81Y1 (ko) * 2021-04-16 2021-12-01 주식회사 세화테크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지반굴착용 교반 비트의 바이트 팁
JP2022186416A (ja) * 2021-06-04 2022-12-15 株式会社Kgフローテクノ 硬質地盤硬化層の造成工法とその装置
KR102490262B1 (ko) 2022-06-24 2023-01-20 주식회사 동아지질 다축로드의 과다 굴착교반 방지를 위한 심층혼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층혼합처리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389B1 (ko)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4축 분리형 비트
KR100394413B1 (ko) 날개구조를 갖는 다축식 굴삭장치 및 주열식 연속벽체의구축방법
JP2023184610A (ja) 攪拌装置
KR20150070807A (ko) 오거 테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단면 기초 구조물 시공장치
JP5512752B2 (ja) 掘削オーガヘッド
KR102029424B1 (ko) 고결된 연약지반 표층의 천공 및 하부 연약지반의 교반이 동시에 가능한 연약지반용 원위치 지반교반 장치
KR100645893B1 (ko) 지반개량 교반장치
JP2003328386A (ja) ボーリング装置および地中ボーリング穴掘削方法
KR102098175B1 (ko) 지반 개량용 굴착장치
KR102135557B1 (ko) 회전관입식 phc파일 및 그 시공방법
JPS6351515A (ja) 地盤改良用掘削具
JP5161896B2 (ja) 地盤改良装置
JP6477624B2 (ja) 機械攪拌地盤改良装置
JP3676850B2 (ja) 鋼杭の施工法
JP2799843B2 (ja) 掘削土塊の共回り防止機構を具えた地盤改良コラムの築造装置
JPH07197469A (ja) 山留壁の構造および山留工法
KR20150070814A (ko)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JP2002045669A (ja) 流動化処理装置の攪拌混合機及び攪拌混合方法
JP3231978U (ja) 供回り防止翼を備えた地盤改良装置
JP2019138047A (ja) 機械式撹拌深層混合処理工法を用いた地盤改良工法と地盤改良装置
KR102189669B1 (ko) 복합노즐을 포함하는 지반 확대굴착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확대굴착 시공방법
JP6553101B2 (ja) 地盤改良攪拌装置
CN218880845U (zh) 一种组合斜桩撑施工装置
CN213805342U (zh) 一种兼具导正和防抱钻功能的搅拌钻头
JP7131985B2 (ja) 掘削撹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