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814A -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0814A KR20150070814A KR1020130157443A KR20130157443A KR20150070814A KR 20150070814 A KR20150070814 A KR 20150070814A KR 1020130157443 A KR1020130157443 A KR 1020130157443A KR 20130157443 A KR20130157443 A KR 20130157443A KR 20150070814 A KR20150070814 A KR 201500708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ger
- ground
- casing
- augertail
- stir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6—Foundations formed of separate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거는 토사가 배출되는 토사배출홀(12)이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싱(10) 및 상기 케이싱(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교반날개(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지중의 토사와 충진재를 종횡 방향으로 충분히 교반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복합 단면 기초를 형성할 수 있는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시에는 기초 공사(基礎 工事)가 선행된다. 기초 공사는 구조물의 중량 및 구조물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기초용 구조물을 축조하는 공사이다.
지반은 그 깊이에 따라 지내력이 다른 층(연약층, 암반 등의 지지층)이 존재하는데 연약층과 같이 지내력이 약한 지반에는 복합 단면 기초와 같이 단면적의 크기가 상이한 기초를 형성함으로써 지내력을 확보한다. 복합 단면 기초는 지반의 경도에 따라 구근부와 테일부의 단면적을 달리하여 기초의 안정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복합 단면 기초의 시공 시에는 이종의 오거(AUGER)가 결합된 형태인 더블 오거 구조가 이용되며, 각각의 오거는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에 연결되어 지반에 회전 관입되면서 충진재 등을 분사하고, 지중의 토사와 충진재를 교반함으로써 기초를 형성한다(여기서 충진재는 고화제, 물 및 시멘트가 포함된 혼합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거는 교반 시 오거의 내측에서 지중의 토사와 충진재가 진흙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면 이를 배출할 수단이 없어 그대로 경화되거나 진흙 덩어리가 상부오거에 고착되어 교반 효율이 떨어지고 유지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반 시 지중의 토사와 충진재가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면 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거는 토사가 배출되는 토사배출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 상기 오거와 동일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오거 테일; 상기 오거를 구동하는 제1 회전구동부 및 상기 오거 테일을 구동하는 제2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시공 방법은 오거와 오거 테일이 회전되어 지반에 관입되는 관입 단계; 및 상기 오거 테일이 충진재를 분사하고, 상기 오거 또는 상기 오거 테일이 각각 지반을 교반하는 교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거는 케이싱에 토사배출홀을 형성하여 교반 시 지중의 토사와 충진재가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면 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 효율을 높이고, 배출된 진흙 덩어리 등이 교반날개를 통해 다시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토사와 충진재가 충분히 교반되어 균질한 상태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고,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의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는 지반의 경도에 따라 구근부와 테일부의 단면적을 달리하여 기초를 형성함으로써 기초의 안정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켜 구근부에 의한 지지력의 확보와 테일부에 의한 복합 단면 기초 구조물의 침하 방지를 통해 안정적인 기초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는 고심도와 저심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관입, 교반함으로써 구근부 및 테일부를 형성하여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기초를 형성할 수 있고, 장비의 부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이용해 시공된 기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이용해 시공된 기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거는 케이싱(10); 케이싱에 결합되는 교반날개(20); 교반날개(20)에 결합되는 비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거는 후술하는 오거 테일(200)과 결합되어 지중의 토사와 충진재를 교반함으로써 복합 단면 기초를 형성한다.
케이싱(10)은 강재와 같이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지중에 회전 관입된다.
케이싱(10)은 양단이 개방되며, 회전 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형 파이프 형태이고, 내부에 오거 테일(200)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10)에는 토사배출홀(12)이 형성된다. 토사배출홀(12)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로 지반을 교반 시 지중의 돌조각이나 토사와 충진재가 뭉쳐진 진흙 덩어리(이하 ‘진흙 덩어리 등’이라 한다)를 원활하게 배출함으로써 교반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진흙 덩어리 등은 오거 테일(200)의 승강, 회전 등에 의해 상승되므로 토사배출홀(12)을 케이싱(10)의 중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사배출홀(12)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로 형성될 경우 토사배출홀(12)들이 상하, 좌우로 이격되도록 하여 진흙 덩어리 등이 케이싱(10)의 사방에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토사배출홀(12)은 그 상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진흙 덩어리 등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케이싱(10)의 상단에는 연결플랜지(14)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케이싱(30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연결플랜지(14)에는 관통홀(15)이 형성되어 볼트가 관통된다.
이와 같은 케이싱(10)의 지름 및 길이는 설치 지역의 설계 하중이나 목표 심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그 형상 및 재질 등은 케이싱(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교반날개(20)는 플레이트 형태로, 선단에 비트(30)가 결합되고 후단이 케이싱(10)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결합되어 케이싱(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지중의 토사와 충진재를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교반날개(20)는 사다리꼴 형태와 같이 그 후단이 선단보다 넓게 형성되어 케이싱(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오거의 회전 시 교반날개(20)를 따라 토사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관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반날개(20)는 케이싱(10)의 외주면에 다단 구조로 결합된다. 교반날개(20)의 길이는 케이싱(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면 가까이에 원뿔대 형상의 기초가 형성되므로 구조물의 하부에 충분한 지지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기초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복수 개의 교반날개(20)가 케이싱(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즉, 교반날개(20)가 종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보다 교반날개(20)에 작용하는 토압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날개(20)의 작용 하중을 경감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교반날개(20)에는 충진재분사홀(22)이 형성되어 충진재를 분사할 수 있다. 충진재분사홀(22)은 필요에 따라 복수 개 형성되어 교반날개(20)의 사방으로 충진재를 효율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비트(30)는 교반날개(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지반의 파쇄를 용이하게 한다. 비트(30)는 플레이트 형태로, 선단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지반의 천공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복수 개의 교반날개(20) 중 케이싱(10)의 최하단에 형성된 교반날개(20)에 결합되는 비트(30)가 케이싱(10)의 하단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오거의 굴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트(30)의 선단은 교반날개(2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지반의 천공을 용이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100), 오거(100)와 동일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오거 테일(200), 오거(100)를 구동하는 제1 회전구동부(300), 오거 테일(200)을 구동하는 제2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토사가 배출되는 토사배출공(520)이 형성되고 오거(100)와 제1 회전구동부(300)를 연결하는 연결케이싱(500), 제1 회전구동부(300) 및 연결케이싱(500)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오거 테일(200)과 제2 회전구동부(400)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거(100)와 제1 회전구동부(300), 오거 테일(200)과 제2 회전구동부(400)가 직접 또는 각각 연결케이싱(500)과 연결샤프트(600)를 매개로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승강 및 회전된다.
오거 테일(200)은 원형 파이프 형태의 로드(210), 토사이동홀(222)이 마련되며 로드(21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220), 로드(210)의 선단에 결합되고, 배출홀(231)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비트부(232)가 구비되는 헤드(230), 복수 개의 회전날개(220) 사이에 배치되어 로드(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교반날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오거 테일(200)은 비트부(232)를 통해 지반을 파쇄하고, 파쇄된 토사가 회전날개(220)에 의하여 교반되며, 배출홀(231)을 통해 분사된 충진재가 교반날개(2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지중의 토사와 혼합되어 복합 단면 기초를 형성한다.
오거 테일(200)은 독립적으로 이용되어 기초를 형성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오거(100)와 결합되는 경우 복합 단면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오거(100)가 원뿔대 형상의 구근부를 형성한다면, 오거 테일(200)은 그 하부에 원주형의 테일부를 형성함으로써 복합 단면 기초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기초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근부를 크고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공이 어렵고,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오거(100)가 원뿔대 형상의 구근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초 상단의 크기를 확보하고, 오거 테일(200)은 원주형의 테일부를 지반 깊이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견고한 지지층에 도달시킴으로써 기초의 지지력을 확보하여 보다 안정적인 기초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거(100)는 지반의 연약층에 구근부(A)를 형성하고 오거 테일(200)은 지반의 지지층에 테일부(B)를 형성하여 지반의 경도에 따라 단면적을 달리하여 기초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약층이란 N치(가공 경화 지수, 63.5㎏의 해머를 76㎝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지반에 30㎝ 박는데 필요한 타격 횟수로 정의됨)가 낮은 지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점토지반의 경우 일반적으로 N≤4를 만족할 때 연약층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연결케이싱(500)은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이며, 토사배출공(520)이 형성된다. 토사배출공(520)을 형성하는 것은 토사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 진흙 덩어리 등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토사배출공(520)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로 형성될 경우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진흙 덩어리 등이 연결케이싱(500)의 사방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사배출공(520)을 통해 배출된 진흙 덩어리 등은 교반날개(20)에 의해 다시 고르게 교반됨으로써 보다 균질한 상태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케이싱(500)의 하단에는 플랜지(540)가 형성되어 연결플랜지(14)와 맞닿게 배치되며, 볼트 등에 의해 관통 체결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거(100)에 제1 회전구동부(300)의 회전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는 오거 크레인(C)에 구비되는 리더(L)를 나타낸 것으로, 제1 회전구동부(300) 및 제2 회전구동부(400)가 리더(L)와 연결되어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오거 및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관입 단계(S10):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관입한다.
오거(100) 및 오거 테일(200)은 각각 오거 크레인(C)과 연결된 제1 회전구동부(300) 및 제2 회전구동부(400)와 연동되어 제1 회전구동부(300) 및 제2 회전구동부(4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관입된다. 이때 비트부(232)가 지반을 파쇄하고, 나선형의 회전날개(220)를 따라 토사가 이동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관입될 수 있다.
오거(100)는 구근부(A)에 형성되는 심도까지 관입하며, 오거 테일(200)은 테일부(B)에 해당되는 심도까지 관입한다. 이때 오거(100)와 오거 테일(200)의 지반 관입은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오거(100)와 오거 테일(200)이 동시에 지반 관입을 하거나 오거 테일(200)이 먼저 지반에 회전 관입되고, 그 후에 오거(100)가 지반에 회전 관입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비트부(232)로 먼저 지반을 파쇄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오거(100)의 지반 회전 관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② 교반 단계(S20): 오거 테일(200)에서 충진재를 분사하여 지중의 토사와 충진재를 교반한다.
관입 시에는 종방향으로 승강되며 회전되고, 배출홀(231)을 통해 목표 심도까지 충진재를 지속적으로 분사하거나, 지면과 가까운 곳에서는 물을 분사하고 목표 심도의 2/3지점부터 충진재를 분사하며 관입되어 부상토가 배토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목표 심도까지 종방향으로 승강되어 회전 관입됨에 따라 토사이동홀(222)을 통해 종방향의 토사를 교반하고, 회전날개(220)를 통해 횡방향의 토사를 교반한다. 이때 토사와 충진재가 뭉쳐 진흙 덩어리 등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진흙 덩어리 등은 토사배출홀(12) 및 토사배출공(520)을 통해 배출되어 교반날개(20)에 의해 다시 고르게 교반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교반되어 균질한 상태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진흙 덩어리 등이 케이싱(10) 및 연결케이싱(500)에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싱(10) 및 연결케이싱(500)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오거(100)의 지반 교반은 오거 테일(200)의 지반 관입과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오거 테일(200)이 일정 심도까지 지반을 교반한 후에 오거(100)가 지반을 교반할 수 있다. 그리고 오거 테일(200)이 목표 심도까지 충진재를 분사하며 교반하는 동안 분사된 충진재가 수직방향으로 타고 올라와 오거(100) 영역까지 올라온 시점에 오거(100)가 교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공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거 테일(200)은 목표 심도까지 충진재를 분사하며 지반을 교반한 후에 종방향으로 승강되며 회전되어 지반을 교반하고, 오거(100)는 오거 테일(200)이 수직 왕복 교반하는 동안 수직 방향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 교반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구근부(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오거(100)와 오거 테일(200)의 회전 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지반의 상태에 따라 오거(100)와 오거 테일(200)의 교반을 다른 방향으로 하는 것이 안정적인 복합 단면 기초 구조물 형성에 유리하다.
③ 인발 단계(S30): 지중의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인발한다.
오거(100)와 오거 테일(200)이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에 의해 목표 심도까지 다다른 후 다시 회전되어 인발된다.
④ 경화 단계(S40): 교반 단계(S20)에서 교반된 토사와 충진재를 경화하여 기초를 형성한다.
이처럼 오거(100)와 오거 테일(200)이 종횡 방향으로 충분하게 교반되어 지중의 토사와 충진재를 효율적으로 교반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균질한 상태의 기초 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중의 지내력에 따라 단면적을 달리한 복합 단면 기초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10: 케이싱
12: 토사배출홀
20: 교반날개 22: 충진재분사홀
30: 비트 100: 오거
200: 오거 테일 210: 로드
220: 회전날개 230: 헤드
231: 배출홀 232: 비트부
300: 제1 회전구동부 400: 제2 회전구동부
500: 연결케이싱 520: 토사배출공
A: 구근부 B: 테일부
20: 교반날개 22: 충진재분사홀
30: 비트 100: 오거
200: 오거 테일 210: 로드
220: 회전날개 230: 헤드
231: 배출홀 232: 비트부
300: 제1 회전구동부 400: 제2 회전구동부
500: 연결케이싱 520: 토사배출공
A: 구근부 B: 테일부
Claims (18)
- 토사가 배출되는 토사배출홀(12)이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싱(10) 및
상기 케이싱(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교반날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사배출홀(12)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20)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후단이 상기 케이싱(10)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20)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교반날개(20)는 상기 케이싱(1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20)에 충진재분사홀(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20)의 선단에 결합되는 비트(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교반날개(20) 중 상기 케이싱(10)의 최하단에 형성된 교반날개(20)에 결합되는 비트(30)는 상기 케이싱(10)의 하단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거(100);
상기 오거(100)와 동일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오거 테일(200);
상기 오거(100)를 구동하는 제1 회전구동부(300) 및
상기 오거 테일(200)을 구동하는 제2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거 테일(200)은 원형 파이프 형태의 로드(210);
상기 로드(21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220) 및
상기 로드(210)의 선단에 결합되고, 배출홀(231)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비트부(232)가 구비되는 헤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토사가 배출되는 토사배출공(520)이 형성되고 상기 오거(100)와 제1 회전구동부(300)를 연결하는 연결케이싱(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으로서,
오거(100)와 오거 테일(200)이 회전되어 지반에 관입되는 관입 단계(S10);
상기 오거 테일(200)이 충진재를 분사하고, 상기 오거(100) 또는 상기 오거 테일(200)이 각각 지반을 교반하는 교반 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시공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관입 단계(S10)는 상기 오거 테일(200)이 먼저 지반에 관입되고, 상기 오거(100)가 지반에 관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시공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교반 단계(S20)는 상기 오거 테일(200)이 지표면부터 목표 심도의 2/3 지점까지는 물을 분사하면서 교반하고, 목표 심도의 2/3 지점부터 목표 심도까지는 물 및 고화제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분사하면서 지반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시공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교반 단계(S20)는 상기 오거 테일(200)이 일정 심도까지 지반을 교반한 후에 상기 오거(100)가 지반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시공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교반 단계(S20)는 상기 오거 테일(200)이 목표 심도까지 충진재를 분사하며 지반을 교반한 후에 종방향으로 승강되며 회전되어 지반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시공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교반 단계(S20)는 상기 오거(100)가 수직 방향에 대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오거 테일(200)이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시공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오거(100)가 지반의 연약층에 구근부(A)를 형성하고, 상기 오거 테일(200)은 지반의 지지층에 테일부(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7443A KR20150070814A (ko) | 2013-12-17 | 2013-12-17 |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7443A KR20150070814A (ko) | 2013-12-17 | 2013-12-17 |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0814A true KR20150070814A (ko) | 2015-06-25 |
Family
ID=5351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7443A KR20150070814A (ko) | 2013-12-17 | 2013-12-17 |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7081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8208B1 (ko) * | 2019-02-08 | 2019-07-09 | 주장훈 | 이중 로드 교반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지반 강화 교반공법 |
KR20190106116A (ko) * | 2018-03-07 | 2019-09-18 | 백규호 | 원통형 말뚝 시공장치 및 테이퍼형 말뚝 시공장치와 테이퍼형 말뚝 시공방법 |
-
2013
- 2013-12-17 KR KR1020130157443A patent/KR2015007081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6116A (ko) * | 2018-03-07 | 2019-09-18 | 백규호 | 원통형 말뚝 시공장치 및 테이퍼형 말뚝 시공장치와 테이퍼형 말뚝 시공방법 |
KR101998208B1 (ko) * | 2019-02-08 | 2019-07-09 | 주장훈 | 이중 로드 교반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지반 강화 교반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212147Y (zh) | 长螺旋旋喷搅拌桩复合钻具 | |
KR101421173B1 (ko) | 경질지반 개량용 천공교반기 | |
KR20150070807A (ko) | 오거 테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단면 기초 구조물 시공장치 | |
KR101187582B1 (ko) | 굴착롯드와 캐이싱롯드를 회전방향은 같고 회전속도는 다르게 회전작동시키도록 구성한 오거굴착장치 | |
JP4626655B2 (ja) | 基礎杭の施工方法 | |
CN1632233A (zh) | 双向搅拌桩的成桩操作方法 | |
JP4679705B2 (ja) | 機械撹拌エアーセメントミルク混合圧送工法を施工する装置 | |
KR102029424B1 (ko) | 고결된 연약지반 표층의 천공 및 하부 연약지반의 교반이 동시에 가능한 연약지반용 원위치 지반교반 장치 | |
KR20150070814A (ko) | 오거,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
KR20200109043A (ko) | 유기질토층 지반 개량 방법 | |
KR20140050524A (ko) | 천공구를 이용한 지반 개량체 및 말뚝 시공방법 | |
KR102202627B1 (ko) | 지반개량용 롤링형 교반기 | |
JP4923011B2 (ja) | 柱状地盤改良体の構築方法 | |
CN207484464U (zh) | 一种滑坡治理用深层搅拌桩机 | |
WO2015093642A1 (ko) | 오거, 오거 어셈블리, 복합 단면 기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
JP2005009240A (ja) | ソイル硬化物現場造成杭及び既製杭の施工法 | |
JP5202743B2 (ja) | 柱状地盤改良体構築装置 | |
KR101440470B1 (ko) | 선단부에 슬라임 처리 장치를 구비한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말뚝 매입 공법 | |
JP6724200B1 (ja) | 掘削機 | |
JP2003213679A (ja) | 杭穴の築造方法、掘削ロッド及び掘削ヘッド | |
JP4566634B2 (ja) | 地盤の改良方法 | |
JP3676850B2 (ja) | 鋼杭の施工法 | |
KR100497281B1 (ko) | 굴착 기능이 강화된 지반 개량용 교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개량공법 | |
KR102259389B1 (ko) | 계단형 말뚝 시공장치 및 계단형 말뚝 시공방법 | |
KR200170088Y1 (ko) | 지반굴착용 교반로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